[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9870B1 - Anti-slos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nti-slos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870B1
KR101349870B1 KR1020110147261A KR20110147261A KR101349870B1 KR 101349870 B1 KR101349870 B1 KR 101349870B1 KR 1020110147261 A KR1020110147261 A KR 1020110147261A KR 20110147261 A KR20110147261 A KR 20110147261A KR 101349870 B1 KR101349870 B1 KR 101349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uoyancy block
cover
sloshing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8357A (en
Inventor
이수호
김병수
전상언
김종학
황정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870B1/en
Publication of KR20130078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3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87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슬로싱 억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는, 복수의 부력 블록 및 복수의 부력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부의 액체의 표면에 부유될 수 있는 슬로싱 억제 장치로서, 부력 블록은, 액체의 표면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는 부력체; 부력체를 둘러싸며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폼부재 및 폼부재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제 1 커버부; 및 제 1 커버부보다 유체 투과성이 좋으며, 부력 블록의 상면부 및 하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커버부를 포함하되, 폼부재는 부력 블록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폼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폼부재 관통홀을 구비하고, 부력체는 부력 블록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부력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관통홀을 구비한다.A sloshing suppression device is disclosed.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oyancy blocks and connecting means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buoyancy blocks, and the sloshing suppression that can float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inside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An apparatus, comprising: a buoyancy block comprising: a buoyant body having buoyancy force to float on a surface of a liquid; A cover member surrounding the buoyancy body and capable of absorbing liquid, and a cover surrounding the foam member, the cover comprising: a first cover part; And a second cover part having better fluid permeability than the first cover part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uoyancy block, wherein the foam member is at least one foam penetrating the foam memb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A member through-hole is provided, and the buoyancy body has at least one buoyancy body through-hole penetrating the buoyancy bod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Description

슬로싱 억제 장치{ANTI-SLOSHING APPARATUS}Sloshing Suppression Device {ANTI-SLO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의 슬로싱을 억제하기 위한 슬로싱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oshing inhibiting device for suppressing sloshing in a liquid cargo storage tank.

일반적으로, 해상으로 액체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선박들이 제작되고 있다. 예를 들면 LNG(liquefied natural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원유(crude oil) 등의 액체 화물을 옮기기 위하여 각각의 화물 특징에 따라 선체가 제작되고, 이러한 선체에 화물을 저온 또는 고압 등으로 밀폐, 보온되도록 하기 위하여 특수한 형태의 액체 화물 저장 탱크들이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ships are being manufactured to transport liquid cargo by sea. For example, in order to transport liquid cargoes such as liquefied natural gas (LN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and crude oil, hulls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rgo. Specific types of liquid cargo storage tanks have been applied to ensure that they are sealed and kept warm.

이러한 선체 및 액체 화물 저장 탱크를 제작함에 있어서 중요한 하중 조건 중의 하나가 슬로싱(sloshing) 문제인데, 슬로싱이란 액체 화물이 선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운동에너지를 계속적으로 받게 됨으로써 자유 표면을 가지는 액체 화물이 급격히 흔들리면서 저장 공간 즉,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내벽에 강한 충격을 유발하는 유체의 거동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슬로싱은 선체 및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제작 초기부터 고려된다.One of the important loading conditions in the manufacture of such hull and liquid cargo storage tanks is the sloshing problem. Sloshing is a liquid cargo having a free surface because liquid cargo receives continuous kinetic energy due to the movement of the hull. As it refers to the behavior of a fluid that shakes sharply and causes a strong impact on the inner wall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this sloshing is considered from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hull and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이와 같이, 선체와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형태는 액체 화물에 의한 슬로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예상되는 슬로싱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왔고, 이러한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견디기 어려운 슬로싱 하중을 피하기 위하여 선주들은 화물의 적재량이 제한되는 조건부 운항 조건을 받아들여야 했다.As such, the shape of the hull and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has been designed to minimize the sloshing caused by the liquid cargo and at the same time to withstand the expected sloshing load. In order to avoid the sloshing load, Shipowners had to accept conditional service conditions with limited cargo load.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로싱 하중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예상치 못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손상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있다.Nonetheless,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sloshing load, various problems with the damage of unexpected liquid cargo storage tanks continue to arise.

이와 같은 슬로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한국 등록 특허 제1043622호(선행문헌 1)에서, 액체의 표면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가지는 복수의 부력체, 액체를 흡수하도록 오픈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며 부력체를 둘러싸는 폼부재 및 인접한 부력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sloshing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having buoyancy to be suspended on the surface of a liqui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43622 (prior document 1), and an open cell to absorb a liquid. It has been proposed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and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uoyancy body and the adjacent buoyancy body to each other.

이 때, 선행문헌 1에 개시된 슬로싱 억제 장치에서는 부력체를 둘러싸는 폼부재 및 폼부재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부력 블록이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예가 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disclosed in the prior document 1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the buoyancy block including the foam member surrounding the buoyancy body and the cover surrounding the foam member is formed in a cube shape.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 1의 일 실시예 중 제 5 실시예에 개시된 슬로싱 억제 장치에는 부력 블록을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 때, 부력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이와 같은 연결 수단은 벨트로 형성되며, 부력 블록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벨트가 인접한 벨트와 상호 연결됨으로써 복수 개의 부력 블록이 연결될 수 있다.By the way, in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disclose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of the prior document 1 is shown a structure for interconnecting the buoyancy block using the connecting means. At this time, such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uoyancy block is formed of a belt, a plurality of buoyancy blocks can be connected by the belts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buoyancy block is interconnected with the adjacent belt.

이 때, 극저온 환경에서 견딜 수 있도록 커버는 폴리아릴레이트 (polyarylate)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일반 섬유에 비하여 고가의 섬유이므로 슬로싱 억제 장치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가 발생한다.In this case, the cover may be made of polyarylate fibers to withstand the cryogenic environment, which is expensive compared to general fibers, and thus, a costly problem arises in manufacturing a sloshing suppressing device.

또한,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warm-up 작업시에 바닥에 위치한 슬로싱 억제 장치의 단열 기능에 의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나, 액체 화물을 액체 화물 저장 탱크로부터 언로딩(unloading) 하는 경우 슬로싱 억제 장치 내부에 남아 있는 액체 화물이 완전히 빠져나가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rm-up operation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is a time-consuming problem due to the insulation function of the sloshing suppressor located at the bottom, or when unloading liquid cargo from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Problems that take a long time to completely escape the liquid cargo remaining inside the containment device can occur.

특허문헌 1 : 한국 등록 특허 제1043622호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436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체 화물의 액체 저장 탱크로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준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슬로싱 억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eparation work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iquid cargo to the liquid storage tank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슬로싱 억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부력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부력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부의 액체의 표면에 부유될 수 있는 슬로싱 억제 장치로서, 상기 부력 블록은, 상기 액체의 표면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를 둘러싸며 상기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폼부재 및 상기 폼부재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1 커버부보다 유체 투과성이 좋으며, 상기 부력 블록의 상면부 및 하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폼부재는 상기 부력 블록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폼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폼부재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부력 블록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부력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관통홀을 구비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oshing suppress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buoyancy blocks and connecting means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buoyancy blocks, and capable of floating on the surface of a liquid inside a liquid cargo storage tank, the buoyancy force The block includes a buoyancy body having buoyancy force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A cover member surrounding the buoyancy body and absorbing the liquid and a cover surrounding the foam member,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first cover part; And a second cover part having better fluid permeability than the first cover part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uoyancy block, wherein the foam member penetrates the foam member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And a buoyancy body having at least one buoyant body through-hole penetrating the buoyancy body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 때,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부력 블록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폼부재 관통홀 및 상기 부력체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와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cover portion may be arranged to form a straight line with at least one of the foam member through hole and the buoyancy body through hol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이 때,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부력 블록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portion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uoyancy block.

또한, 상기 제 2 커버부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cover part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 2 커버부는 개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 part may be an opening.

또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제 1 커버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커버부보다 조직이 성기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 portion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ver portion, the tissue may be formed coarse than the first cover portion.

이 때,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부력 블록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buoyancy block.

이 때, 상기 커버는 폴리아릴레이트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may be made of a polyarylate fiber.

한편, 상기 부력 블록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oyancy block may be made of a hexahedral shape.

한편,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부력 블록의 표면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부력 블록에 설치되는 연결 벨트 및 상기 부력 블록의 연결 벨트와 상기 부력 블록에 이웃하는 다른 부력 블록의 연결 벨트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ans, the connecting belt is installed on the buoyancy block so as to cross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lock and the faste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belt of the buoyancy block and the connection belt of the other buoyancy block adjacent to the buoyancy block. It may include.

이 때, 상기 연결 벨트는 상기 부력 블록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십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belt may be arranged crosswis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oyancy block.

이 때, 상기 연결 벨트의 양 단부에는 연결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elt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ng ring.

이 때,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부력 블록의 모서리부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ring may be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buoyancy block.

이 때, 상기 체결 부재는,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연결 고리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는 각각의 양단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fastening members having a curved shape such that both ends of the fastening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adjacent pair of connecting rings, and the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face each opposite end thereof. And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는 유체 투과성이 좋은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액체 화물의 액체 저장 탱크로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준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having a good fluid permeability,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eparation work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iquid cargo into the liquid storage tan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는 부력 블록의 측면부에 조직이 성긴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including a cover having a rough structure on the side portion of the buoyancy bl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를 구성하는 부력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에서 부력 블록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에서 부력 블록을 구성하는 폼부재 및 부력체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에서 부력 블록을 구성하는 커버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의 체결 부재가 연결 벨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의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loshing suppre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liquid cargo storage tank.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loshing suppre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iquid cargo storage tank.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ancy unit constituting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block in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foam member and the buoyancy body constituting the buoyancy block in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constituting the buoyancy block in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of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elt.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as is injected into a liquid cargo storage tank while a sloshing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iquid cargo storage tank 1.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 저장된 액체 화물(2) 상에 복수로 배치되는 부력 유닛(100)이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내부에서, 도 2 에서 볼 때,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액체 화물(2) 상부 표면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uoyancy unit 100 arranged in plural on a liquid cargo 2 stored in a liquid cargo storage tank 1. Are arranged to be interconnected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n a state arranged side by side in a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s seen in FIG. 2. The liquid cargo 2 is made to float on the upper surface.

이 때, 슬로싱 억제 장치(10)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에 저장될 수 있는 액체, 예를 들어, LNG를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관(4) 등과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부딪히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모서리 부분 등과 부딪히지 않도록 일부 영역에 부력 유닛(100)이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10 is not hit by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10 such as a plurality of pipes 4 and the like for transporting the liquid, for example, LNG, which can be stored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The buoyancy unit 100 may not be installed in some areas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corner portion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or the lik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 저장되는 액체 화물(2) 상에 부유되는 복수의 부력 유닛(100)에 의해 액체 화물(2)의 슬로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oshing of the liquid cargo 2 is carried out by a plurality of buoyancy units 100 suspended on the liquid cargo 2 stored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of the ship.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도 3은 도 2에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를 구성하는 부력 유닛(1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에서 부력 블록(110)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에서 부력 블록(110)을 구성하는 부력체(112) 및 폼부재(114)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에서 부력 블록(110)을 구성하는 커버(116)의 상세 사시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unit 100 constituting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block 110 in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body 112 and the foam member 114 constituting the buoyancy block 110 in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116 constituting the buoyancy block 110 in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는 부력 유닛(100) 및 체결 부재(130)를 포함한다.3 to 7,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oyancy unit 100 and a fastening member 130.

이 때, 부력 유닛(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를 구성하는 단위 유닛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부력 블록(110) 및 연결 벨트(120)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buoyancy unit 100 is a unit unit constituting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buoyancy block 110 and the connection belt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 블록(110)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에 저장된 액체 화물(2) 상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는 부유체로서,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0 ~ 1.5m의 길이를 갖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내부 공간의 형태, 크기에 따라 형상이나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uoyancy block 110 is a float having a buoyancy to float on the liquid cargo (2) stored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the horizontal, vertical and height is 1.0 ~ 1.5m It may have a cube or a cuboid shape having a length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shape or size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inner space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 블록(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112), 폼부재(114) 및 커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lock 110 may include a buoyancy body 112, a foam member 114 and a cover 116 as shown in FIG.

부력체(112)는, 액체 화물(2) 상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유닛(100)이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는 구성이다.The buoyancy body 112 is a component having buoyancy so that the buoyancy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on the liquid cargo 2.

이 때, 부력체(112)는 폐쇄 셀(closed cell) 구조로 이루어지는 발포 폼으로 형성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oyancy body 112 may be a structure formed of a foam foam having a closed cell structure.

이 때, 발포 폼은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ethylene) 폼,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폼 및 발포 폴리우레탄(expanded polyurethane) 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am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expanded polyethylene foam, expanded polypropylene foam, and expanded polyurethane foam.

여기서, 폐쇄 셀 구조란 유체가 폼 재질 구조체의 내부와 외부를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구조로서, 액체 화물(2)이 스며들 수 없도록 형성된 구조를 의미한다.Here, the closed cell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pass throug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oam material structure is not formed, and means a structure in which the liquid cargo 2 cannot be penetrated.

이와 같이, 폐쇄 셀 구조를 갖는 발포 폼 재질의 부력체(112)는 부력 블록(110)이 액체 화물(2) 내부에 잠긴 상태에서도 셀 구조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폼 자체가 부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uch, the buoyancy body 112 of the foam material having a closed cell structure is such that the foam itself has buoyancy by not introducing liquid into the cell structure even when the buoyancy block 110 is locked in the liquid cargo 2. Can be formed.

또한, 부력체(112)가 폐쇄 셀의 폼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 하중, 압축 하중 등에 의해 부력체의 표면에 크랙(crack)이 발생되더라도 부력체(112)의 내부로 액체 화물(2)이 스며들지 못하므로, 부력체(112)는 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buoyancy body 112 is made of a foam material of a closed cell, even if crack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due to thermal load, compression load, or the like, the liquid cargo 2 inside the buoyancy body 112. Since it does not seep, the buoyancy body 112 can maintain the buoyancy stab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체(112)는 단면이 원, 타원,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구형 또는 사각 기둥과 같은 다각 기둥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ody 112 may be any one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al cross section,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olygonal column shape such as a spherical or square column as a who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체(112)에는 상하 방향으로 부력체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ody through hole 113 may be formed in the buoyancy body 112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도 6을 참조하면, 구형인 부력체(112)의 중앙부에 부력체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6, the buoyant body through hole 113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herical buoyancy body 112.

이와 같은 부력체 관통홀(113)은 발포 폼으로 형성되는 부력체(112)를 제작하기 용이하도록 한다.The buoyancy body through-hole 113 as described above makes it easy to manufacture the buoyancy body 112 formed of a foam.

보다 상세히, 폐쇄 셀 형태의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112)는 복수의 작은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 입자를, 부력체(112)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buoyancy body 112 made of foam foam in the form of a closed cell is formed by pressing and heating polyethylene particles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mall grains at a high temperature while being placed in a mold for forming the buoyancy body 112. Can be.

이 때, 금형으로 부력체(112)를 제작할 경우 표면은 금형에 가해지는 고온 및 고압에 의하여 조밀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쉬우나, 구형 내부의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부력체(112) 표면에 비하여 온도 및 압력이 낮으므로 표면에 비하여 조밀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거나 폴리에틸렌 입자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uoyancy body 112 is manufactured by using a mold, the surface is easily formed by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pplied to the mold, but in the sphere area,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buoyancy body 112. Because of this low, it may be formed into a less dense structure compared to the surface or voids may occur between the polyethylene particles.

이 때, 부력체(112)를 관통하는 부력체 관통홀(113)을 형성하면 부력체(112)의 내부에까지 고르게 고온 및 고압 상태가 형성될 수 있어, 부력체(112) 내부까지 조밀한 형태의 부력체(112)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buoyancy body through-hole 113 penetrating the buoyancy body 112 is formed, evenl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ate can be formed even inside the buoyancy body 112, the compact form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112 The buoyancy body 112 can be formed.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 관통홀(113)은 부력체(112)의 중앙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 개의 부력체 관통홀(113)이 형성되거나 부력체(112)의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된 부력체 관통홀(113)은 서로 나란하거나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buoyancy body through-hole 113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oyancy body 112, but is not limited to this, a plurality of The buoyancy body through hole 113 may be formed or may b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buoyancy body 112.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oyancy through-holes 113 formed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ggered with each other.

이 때, 부력체(112) 내부에 형성되는 부력체 관통홀(113)의 폭 및 수량은 부력체(112)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and the number of the buoyancy body through-holes 113 formed in the buoyancy body 112 may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buoyancy body (11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체(112) 내부에 형성되는 부력체 관통홀(113)은 부력 블록(110) 내부에서, 도 6을 기준으로 제 3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ody through-holes 113 formed in the buoyancy body 112 are arrang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ch is the third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6, inside the buoyancy block 110. It is formed to be.

이는,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내부에 설치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내부에서 액체 화물(2)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로 고온의 기체를 주입하거나,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를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 기체를 주입할 때, 기체의 전달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t is possible to inject hot gas into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n order to evaporate the liquid cargo 2 inside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n which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10 is installed, or When injecting the cooling gas to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1), the delivery of the gas can be made fas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그러나, 부력체 관통홀(113)의 방향은 상하 방향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도 6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부력체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through-hole 113 is not limited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buoyancy body through-hole 113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FIG. Can be forme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부력 블록(110)에서, 폼부재(114)는 정육면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부력체(112)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in the buoyancy block 110 of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member 114 is formed of a cube to the above-described buoyancy body 112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이 때, 폼부재(114)는 액체 화물(2)이 스며들어 슬로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오픈 셀(open c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am member 114 may have an open cell structur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sloshing by the liquid cargo (2).

여기서, 오픈 셀 구조는 폼부재(114)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구멍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폼부재(114)의 표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액체 화물(2)의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Here, the open cell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 hole penet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oam member 11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foam member 114 can be maximized, thereby promoting the absorption of the liquid cargo 2. can do.

이와 같이 폼부재(114)가 오픈 셀 구조로 형성되어 액체 화물(2)이 폼부재(114) 내로 스며들게 됨으로써, 부력 블록(110)이 액체 화물(2)의 표면에 일부가 잠긴 상태로 부유하여 액체 화물(2)의 자유면을 덮게 되며, 이에 따라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의 액체 화물(2)에 의한 슬로싱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Thus, the foam member 114 is formed in an open cell structure so that the liquid cargo 2 penetrates into the foam member 114, so that the buoyancy block 110 is floated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liquid cargo 2 is submerged. The free face of the liquid cargo 2 is covered, so that sloshing by the liquid cargo 2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can b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폼부재(114)는 고분자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NG와 같은 액체 화물(2)이 액상을 유지하는 극저온에서도 액체 화물(2)의 흡수가 가능하며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폐놀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이들의 합성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분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member 114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etc., for example, the absorption of the liquid cargo (2) even at cryogenic temperatures in which the liquid cargo (2), such as LNG, maintains the liquid phase It can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comprising any one of the phenolic resin, melamine resin and synthetic resins thereof capable of maintaining elasticit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폼부재(114)에는 폼부재 관통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member through hole 115 may be formed in the foam member 114.

이 때, 도 6을 참조하면, 폼부재 관통홀(115)은 전술한 부력체(11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부력체 관통홀(113)과 연통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6, the foam member through hole 115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uoyancy body through hole 11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bove-described buoyancy body 112.

이에 따라, 부력 블록(110)을 통한 기체의 전달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ccordingly, the delivery of gas through the buoyancy block 110 can be made fas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폼부재 관통홀(11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블록(110)의 중앙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 개의 폼부재 관통홀(115)이 형성되거나 부력 블록(110)의 중앙이 아닌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되는 폼부재 관통홀(115)은 서로 나란하거나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member through-hole 115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oyancy block 110, as shown in Figure 6,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rough a plurality of foam members The hole 115 may be formed or may b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buoyancy block 110 and not at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oam member through holes 115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r staggered with each other.

이 때, 폼부재 관통홀(115)의 폭 및 수량은 폼부재(114)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and quantity of the foam member through-hole 115 may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foam member 114.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폼부재(1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폼부재 관통홀(115)은 부력 블록(110) 내부에서, 도 6을 기준으로 제 3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member through-hole 115 formed to penetrate the foam member 114 in the buoyancy block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third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It is formed to be arranged.

이는, 부력 블록(110)을 통한 기체의 전달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is is to allow a faster delivery of gas through the buoyancy block 1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그러나, 폼부재 관통홀(115)의 방향은 상하 방향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도 6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폼부재 관통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direction of the foam member through-hole 115 is not limited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oam member through-hole 115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horizontal relative to FIG. Can be forme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부력 블록(110)에서, 커버(116)는 전술한 폼부재(114)를 감싸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in the buoyancy block 110 of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116 surrounds the foam member 114 described above.

커버(116)는 폼부재(114)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 손상된 폼부재(114)의 부스러기로 인해 액체 화물(2)이 오염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116 may prevent the foam member 114 from breaking, and may also prevent the liquid cargo 2 from being contaminated due to debris of some damaged foam member 114.

이 때, 커버(116)는 극저온에서도 상온에서와 같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16)는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116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have the same durability at room temperature even at cryogenic temperatures, in which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116 is made of polyarylate fibers Can be don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16)는 제 1 커버부(117) 및 제 1 커버부(117)보다 유체 투과성이 좋은 제 2 커버부(118)를 포함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116 includes a first cover part 117 and a second cover part 118 having better fluid permeability than the first cover part 117.

여기서 유체 투과성이란, 커버(116)가 유체, 예를 들어 액체 화물(2) 및 각종 가스를 투과시키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이다.Fluid permeability here means the property which the cover 116 permeates a fluid, for example, the liquid cargo 2, and various gas.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버부(117)와 제 2 커버부(118)는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전술한 폴리아릴레이트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portion 117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18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polyarylate fiber.

즉, 제 1 커버부(117)는 폴리아릴레이트 섬유의 조직이 조밀하게 형성된 부분이고, 제 2 커버부(118)는 제 1 커버부(117)보다 폴리아릴레이트 섬유의 조직이 성기게 형성된 부분이다.That is, the first cover portion 117 is a portion where the tissue of the polyarylate fiber is densely formed,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18 is a portion where the tissue of the polyarylate fiber is coarser than the first cover portion 117. to be.

이 때, 커버(116)는 제 2 커버부(118)를 제외한 부분이 제 1 커버부(117)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ver 116 may be formed of the first cover part 117 except for the second cover part 118.

이에 따라, 제 2 커버부(118)는 제 1 커버부(117)보다 조직이 성기게 형성되어, 유체의 투과 공간이 될 수 있는 조직 사이의 틈새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over portion 118 is formed with a coarse texture than the first cover portion 117, the gap between the tissues that can be the penetration space of the fluid can be formed larg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커버(116)는, 조직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제 1 커버부(117)만으로 커버(116) 전체가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cover 1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terial cost than when the entire cover 116 is formed only by the first cover portion 117 where the tissue is densely formed.

한편, 제 2 커버부(118)의 재질은 전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 2 커버부(118)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는 폼부재(114)의 부스러기가 유출되지 않을 정도로 작은 개구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material of the second cover part 118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second cover part 118 may be formed as an opening. However, in this case, only the openings are small enough that the debris of the foam member 114 does not flow out.

이 때, 제 2 커버부(118)는 하나의 개구가 아닌, 다수 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국소적인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cover part 118 may mean a local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rather than one ope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버부(118)는 부력 블록(110)의 상면부 및 하면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cover part 118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uoyancy block 110.

이 때, 제 2 커버부(118)는 연결 벨트(1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후술할 한 쌍의 단위 벨트(122)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단위 벨트(12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cover part 118 may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pair of unit belts 122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on belt 120. The unit belt 122 is mentioned later.

이 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하였듯이 부력체(112) 및 폼부재(114)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113, 115)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버부(118)는 상기 부력체 관통홀(113) 및 폼부재 관통홀(115)과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6 and 7, through holes 113 and 115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buoyancy body 112 and the foam member 114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ver part 118 may be arranged to form a straight line with the buoyancy body through hole 113 and the foam member through hole 115.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버부(118)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부력 블록(110)의 중앙이 아닌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는 중앙이 아닌 주변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폼부재 관통홀(115)과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cover portion 118 may be formed in plural, accordingly it may b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buoyancy block 110, not the center, this time is not the center It may be arranged to form a straight line with the plurality of foam member through-holes 115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버부(118)는 부력 블록(110)의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cover part 118 may be dispos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buoyancy block 110.

이 때, 정육면체 형태의 부력 블록(110)에서, 상면 및 하면을 제외한 4개의 측면부에는 모두 제 2 커버부(118)가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buoyancy block 110 of the cube shape, the second cover portion 118 may be located on all four side portions excep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이는, 연결 벨트(120)가 고정되어 큰 하중과 압력이 작용되는 상면 및 하면과는 달리, 측면은 큰 하중과 압력이 작용되지 않기 때문에 조직이 성기게 형성되더라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unlik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here the connection belt 120 is fixed and a large load and pressure are applied, the side surface is not subjected to a large load and pressure, so that even if the tissue is formed coarse,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Because there is.

또한, 전술한 부력체 관통홀(113) 및 폼부재 관통홀(115)은 상하 방향이 아닌, 도 6을 기준으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커버부(118)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113, 115)과 연통되어 부력 블록(110)을 통한 유체의 대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buoyancy body through hole 113 and the foam member through hole 115 may b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FIG. 6 instead of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cover part ( 118 may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s 113 and 115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o further improve the convection effect of the fluid through the buoyancy block 110.

뿐만 아니라, 커버(116)에서 부력 블록(110)의 측면부 전체를 제 2 커버부(118)로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재료비 절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entire side portion of the buoyancy block 110 in the cover 116 as the second cover portion 118,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bove-described material cost reduction effec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부력 유닛(10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부력 블록(110)의 일측에 연결 벨트(12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belt 1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oyancy block 110 as a mean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uoyancy units 100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벨트(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블록(110)의 표면을 가로지르도록 부력 블록(110)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on bel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lock 110 to cross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lock 110, as shown in Figures 3 and 4.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벨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블록(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부력 블록(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중심부를 지나도록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bel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oyancy block 11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4,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oyancy block 110 Can be installed.

이에 따라, 연결 벨트(120)가 부력 블록(110)의 표면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부력 블록(110)과 연결 벨트(120) 간의 결합 면적이 최대화됨으로써, 부력 블록(110)의 유동에 의해 연결 벨트(120)와 부력 블록(110) 사이의 계면에 작용하는 하중이 부력 블록(110)의 표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구조적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ion belt 120 is installed across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lock 110 to maximize the engagement area between the buoyancy block 110 and the connection belt 120, so that the connection belt by the flow of the buoyancy block 110 The load acting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120 and the buoyancy block 110 can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lock 110, and as a resul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loshing suppression device 10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have.

한편, 이러한 연결 벨트(120)는 부력 블록(110)의 커버(116)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재봉 등의 방식에 의해 부력 블록(110)의 커버(116)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력 블록(110)의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belt 12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ver 116 of the buoyancy block 110, it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116 of the buoyancy block 110 by a method such as sewing, in addition to the adhesive It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lock 110 using the back.

이 때, 연결 벨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 벨트(120)가 서로 교차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차된 한 쌍의 연결 벨트(120)는 부력 블록(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connecting belt 120, a pair of connecting belt 120 may be arranged in a pair so as to cross each other, such a pair of crossed connecting belt 120 is buoyancy It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ck 110, respectively.

이와 같이 연결 벨트(120)가 교차 설치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부력 블록(110)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the connection belt 120 is install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buoyancy blocks 110 arranged in a lattice structure may be effectively connec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이러한 연결 벨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위 벨트(1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단위 벨트(122)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ng belt 120 may be formed of a pair of unit belts 122, and the unit belts 122 may be dispos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Can be.

이와 같이 한 쌍의 단위 벨트(122)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체결 부재(130)의 보다 용이한 결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체결 부재(130)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such, the pair of unit belts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space for easier coupling of the fastening member 13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fastening member 130.

한편, 연결 벨트(120)의 양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고리(124)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elt 120, the connecting ring 124 may be formed.

이 경우 연결 고리(124)는 단위 벨트(122)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대향하도록 단위 벨트(122)가 만곡된 상태에서 단위 벨트(122)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접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ring 124 may be formed by joining a part of the unit belt 122 with another part while the unit belt 122 is curved so that a part of the unit belt 122 faces the other part.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력 블록(110)과 연결 벨트(120)가 결합된 단위체는 부력 유닛(100)으로 지칭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in which the buoyancy block 110 and the connection belt 120 are coupled may be referred to as a buoyancy unit 100.

부력 유닛(100)은 체결 부재(1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는 부력 유닛(100)이 체결 부재(130)에 의하여 격자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buoyancy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member 130, according to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oyancy unit 100 grating by the fastening member 130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formed by connecting in form.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체결 부재(130)가 서로 이웃하는 연결 벨트(12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130 of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adjacent connection belts 120.

체결 부재(13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부력 블록(110)이 서로 연결되도록, 인접한 한 쌍의 연결 고리(124)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8, the fastening member 130 may connect a pair of adjacent connecting rings 124 to each other such that adjacent buoyancy blocks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체결 부재(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8, the fastening member 130 may include a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132 dispos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즉, 체결 부재(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한 쌍의 연결 고리(124)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13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132)는 각각의 양단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134)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fastening member 130 may include a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132 having a curved shape so that both ends thereof can be inserted into the adjacent pair of connecting rings 12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132 may be dispose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134 such as a bolt.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1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132)의 양단부는 인접한 한 쌍의 연결 고리(124)에 도 8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부에서 상부로 각각 삽입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132 may have a 'U' shape, and both ends of the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132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8 may be inserted from top to bottom and bottom to top with reference to FIG. 8.

이와 같이 인접한 한 쌍의 연결 고리(124)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132)의 양단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위 벨트(122) 사이의 이격된 공간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132)는 이러한 공간 상에서 너트와 같은 연결 부재(134) 등에 의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both ends of the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132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air of adjacent coupling rings 12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air of unit belts 122. The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132 may be easily fastened by a connection member 134 such as a nut in such a spa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부재(130) 상에는 체결 부재(130)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memb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fastening member 130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13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 부재(130)로서 한 쌍의 U자형 단위 체결 부재(132)를 예시하였으나, 체결 부재(130)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열쇠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링형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 벨트(120)를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 벨트(120)와 동일한 재질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부력 블록(110)을 상호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 pair of U-shaped unit fastening member 132 as a fastening member 130, the fastening member 130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ring-shaped in the form of a key ring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connection belt 120 using the connection member, or to connect the buoyancy block 110 using a fastening mean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nnection belt 12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부력 블록(1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서 연결 벨트(120) 및 체결 부재(130)를 사용하였으나, 부력 블록(1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이프, 지퍼와 같은 공지의 연결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connecting belt 120 and the fastening member 130 are used as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uoyancy blocks 110 to each other, in order to connect the buoyancy blocks 110 to each other, Velcro tape, It is also possible to use known connection means such as zippers.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슬로싱 억제 장치(10)는,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액체 화물(2)을 제거하거나 또는 액체 화물(2)을 저장하기 위한 준비 단계에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내부를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시키기 효과적이다. 이하, 이에 대하여 도면을 달리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moves the liquid cargo 2 or the liquid cargo 2 while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10 is located inside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t is effective to heat or cool the inside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n the preparation step for storing ().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ifferent drawings.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바닥면(3)에 놓여진 상태에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9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jects gas into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n a state where it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3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Drawing.

도 9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부력 블록(110)을 연결하는 연결 벨트(120) 및 체결 부재(13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In FIG. 9, the connection belt 120 and the fastening member 130 connecting the buoyancy block 110 of the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10 are omitted for simplicity of the drawings.

도 1 및 도 9을 참조하면, 액체 화물 저장 탱크(1)로부터 극저온의 액체 화물(2), 예컨대 LNG를 빼내는 경우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의 펌프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LNG를 빼내고 남은 약간의 LNG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의 바닥면(3)에 잔존하게 된다.1 and 9, when the cryogenic liquid cargo 2, for example LNG, is withdrawn from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the pumping inside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s used to remove most of the LNG and slightly remaining. LNG will remain on the bottom surface 3 inside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이 때,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슬로싱 억제 장치(10)는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바닥면(3) 상에 놓여지게 되는데,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폼부재(114)의 하부에는 아직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액화 천연 가스가 중력에 의하여 부력 블록(110)의 하측부 영역(I)에 잔존한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ure 9, when the sloshing suppress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the sloshing suppression device 10 is a liquid cargo storage tank ( On the bottom surface 3 of 1), the lower portion of the foam member 114 of the sloshing suppression device 10, the liquefied natural gas not ye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oyancy block 110 by gravity It remains in the side region I.

이와 같이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바닥면(3)에 놓여진 상태에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내부로 LNG를 증발시키기 위한 고온의 가스가 저장 탱크(1) 상부 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바닥면(3)을 향하여 주입된다.In this manner, the hot gas for evaporating LNG into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n the state where the sloshing suppressor 10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3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1. ) Is injected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bottom surface 3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와 같이 주입된 고온의 가스에 의하여 저장 탱크 내부에 극저온으로 잔존하던 LNG의 증발이 촉진된다.The high temperature gas injected in this way promotes the evaporation of LNG which remained at a cryogenic temperature in the storage tank.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의 가스는, 도 9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은 가스의 흐름을 따라 저장 탱크의 상부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로싱 억제 장치(10)의 부력 블록(110) 내부로 유입되어 부력 블록(110)의 폼부재(114)를 지나 부력 블록(110) 하측까지 열을 전달하게 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gas is mov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tank along the flow of ga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It is introduced into the buoyancy block 110 of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foam member 114 of the buoyancy block 110 to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110.

이 때, 부력 블록(110) 내부를 지나는 가스의 열은 폼부재(114)에 의한 열의 전도로 부력 블록(110)의 하측부까지 전달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체(112)에는 부력체 관통홀(113)이, 폼부재(114)에는 폼부재 관통홀(115)이, 커버(116)에는 제 2 커버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통홀(113, 115) 및 제 2 커버부(118)를 통과하는 유체의 대류 현상을 통하여 열이 부력 블록(110)의 상측부로부터 하측부로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buoyancy block 110 is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110 by the conduction of heat by the foam member 1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ody 112 ), The buoyant body through-hole 113, the foam member 114, the foam member through-hole 115, and the cover 116 is formed with a second cover portion 118, the through-holes 113, 115 ) And heat may be transferr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block 110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convection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ver portion 118.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 블록(110)의 내부에 관통홀(113, 115) 및 제 2 커버부(118)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부력 블록(110) 내부에 관통홀(113, 115) 및 제 2 커버부(11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부력 블록(110)의 상측부로부터 부력 블록(110)의 하측부로 열의 전달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holes 113 and 115 and the second cover part 118 are not penetrated in the buoyancy block 110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buoyancy block 110 is not formed. Since the holes 113 and 115 and the second cover part 118 are formed, heat can be more easily transferr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block 110 to the lower part of the buoyancy block 110.

이와 같이 부력 블록(11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열의 전달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부력체 관통홀(113), 폼부재 관통홀(115) 및 제 2 커버부(118)는 부력 블록(110)의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us, in order to facilitate the heat transf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the buoyancy block 110, the buoyancy body through-hole 113, the foam member through-hole 115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18 is a buoyancy block ( Most preferably, it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110).

이와 같이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에서 액체 화물(2)을 제거하는 경우뿐 아니라 액체 화물(2)이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에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체 화물(2)을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에 저장하기 위하여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를 미리 냉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억제 장치(10)가 설치된 액체 화물 저장 탱크(1)는, 냉각 기체를 액체 화물 저장 탱크(1)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주입할 때 액체 화물 저장 탱크(1) 내부로 냉각 열을 보다 빨리 전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iquid cargo (2) is not only stored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but also the liquid cargo (2) is not stored in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Even when the inside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s to be cooled in advance for storage in the storage tank 1,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provided with the sloshing suppress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hen the cooling gas is injec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cooling heat more quickly into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1.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액체 화물 저장 탱크 2 액체 화물
3 바닥면 4 배관
10 슬로싱 억제 장치 100 부력 유닛
110 부력 블록 113 부력체 관통홀
114 폼부재 115 폼부재 관통홀
116 커버 117 제 1 커버부
118 제 2 커버부 120 연결 벨트
122 단위 벨트 124 연결 고리
130 체결 부재 132 단위 체결 부재
134 연결 부재
1 Liquid Cargo Storage Tanks 2 Liquid Cargo
3 Bottom 4 Pipe
10 Sloshing suppression device 100 Buoyancy unit
110 Buoyancy Block 113 Buoyant Through Hole
114 Foam member 115 Through hole
116 Cover 117 First Cover Section
118 2nd cover part 120 Connection belt
122 Unit Belt 124 Link
130 Fastening Member 132 Unit Fastening Member
134 connection member

Claims (17)

복수의 부력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부력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액체 화물 저장 탱크 내부의 액체의 표면에 부유될 수 있는 슬로싱 억제 장치로서,
상기 부력 블록은,
상기 액체의 표면에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를 둘러싸며 상기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폼부재 및
상기 폼부재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1 커버부보다 유체 투과성이 좋으며, 상기 부력 블록의 상면부 및 하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폼부재는 상기 부력 블록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폼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폼부재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부력 블록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부력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관통홀을 구비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A sloshing suppress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buoyancy blocks and connecting means for interconnecting said plurality of buoyancy blocks, said sloshing suppressor being able to float on the surface of a liquid inside a liquid cargo storage tank,
The buoyancy block comprises:
A buoyancy body having buoyancy force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A foam member surrounding the buoyant body and capable of absorbing the liquid;
A cover surrounding the foam member,
The cover
A first cover part; And
Fluid permeability is better than the first cover portion, and includes a second cover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oyancy block,
The foam member has at least one foam member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foam memb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The buoyancy body has at least one buoyancy body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buoyancy bod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Sloshing suppress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부력 블록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폼부재 관통홀 및 상기 부력체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와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ver portion,
And a sloshing suppressing device arranged to form a straight line with at least one of the foam member through hole and the buoyancy body through hole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of the buoyancy block.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부력 블록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uoyancy block.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ver portion is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luralit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econd cover portion is an opening.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제 1 커버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커버부보다 조직이 성기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ver part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ver portion,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ssue is formed coarse than the first cover por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부력 블록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cover portion is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uoyancy block.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폴리아릴레이트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cover is made of polyarylate fiber.
제 1항, 제 5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블록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uoyancy block is a sloshing suppres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ube.
제 1항, 제 5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부력 블록의 표면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부력 블록에 설치되는 연결 벨트 및
상기 부력 블록의 연결 벨트와 상기 부력 블록에 이웃하는 다른 부력 블록의 연결 벨트를 연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connecting belt installed on the buoyancy block to cross the surface of the buoyancy block;
And a fastening member connecting the connection belt of the buoyancy block and the connection belt of another buoyancy block adjacent to the buoyancy block.
Sloshing suppression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벨트는 상기 부력 블록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십자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connecting belt is crosswise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oyancy block.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벨트의 양 단부에는 연결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Sloshing inhibi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ring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elt.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부력 블록의 모서리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said linking ring is located at an edge of said buoyancy block.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연결 고리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단위 체결 부재는 각각의 양단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억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fastening member
A pair of fastening members having a curved shape so that both ends are respectively insertable into an adjacent pair of said connecting rings,
The pair of unit fastening members are dispose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opposed to each other fastening each other.
KR1020110147261A 2011-12-30 2011-12-30 Anti-sloshing apparatus Active KR101349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261A KR101349870B1 (en) 2011-12-30 2011-12-30 Anti-slos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261A KR101349870B1 (en) 2011-12-30 2011-12-30 Anti-slos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357A KR20130078357A (en) 2013-07-10
KR101349870B1 true KR101349870B1 (en) 2014-01-16

Family

ID=4899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261A Active KR101349870B1 (en) 2011-12-30 2011-12-30 Anti-slos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8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358Y1 (en) * 2003-07-04 2003-12-24 맹용주 floating unit structure possible to assemble
US20090078705A1 (en) 2007-09-21 2009-03-26 Ramsay Thomas N Floating Absorber Assembly for Reduced Fuel Slosh Noise
KR20090037635A (en) * 2007-10-12 2009-04-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 for fluid tank to reduce sloshing
KR20100056351A (en) * 2008-11-18 2010-05-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nti slos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358Y1 (en) * 2003-07-04 2003-12-24 맹용주 floating unit structure possible to assemble
US20090078705A1 (en) 2007-09-21 2009-03-26 Ramsay Thomas N Floating Absorber Assembly for Reduced Fuel Slosh Noise
KR20090037635A (en) * 2007-10-12 2009-04-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 for fluid tank to reduce sloshing
KR20100056351A (en) * 2008-11-18 2010-05-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nti slosh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357A (en)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3713B2 (en) Sloshing suppression device
KR101349870B1 (en) Anti-sloshing apparatus
KR101349868B1 (en) Sloshing suppressor
KR101337634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49869B1 (en) Anti-sloshing apparatus
KR101314817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259092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and liquid cargo storage structure having the same
KR101418429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for a liquid storage tnak on the land
KR101375252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for onshore liquid cargo storage tank
KR101314818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75250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for onshore liquid cargo storage tank
KR20120061719A (en) Anti sloshing unit and anti slo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30013242A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04904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14819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20130012867A (en) Buoyant unit and anti slo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350494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20140012439A (en) Anti-sloshing apparatus
KR101337655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37632B1 (en) Sloshing suppressor
KR101337654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37659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418427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for a liquid storage tnak on the land
KR101375251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for onshore liquid cargo storage tank
KR20130012888A (en) Floating unit and anti-slos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