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43532B1 - 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532B1
KR101343532B1 KR1020130127836A KR20130127836A KR101343532B1 KR 101343532 B1 KR101343532 B1 KR 101343532B1 KR 1020130127836 A KR1020130127836 A KR 1020130127836A KR 20130127836 A KR20130127836 A KR 20130127836A KR 101343532 B1 KR101343532 B1 KR 10134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projectile
bobbin
unit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진영
정병창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12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5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53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4Cartridge guides, stops or positioners, e.g. for cartridge extraction
    • F41A9/58Cartridge stops; Cartridge pos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와 통하도록 일측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튜브, 및 상기 발사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며, 상기 발사체의 발사시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튜브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에 장입된 상기 발사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발사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줄과, 상기 줄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사체를 구속하기 위해 외부로 인출된 상기 줄을 감아 회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줄감기부, 및 상기 줄감김부에서 인출된 상기 줄과 연결되어 상기 줄을 고정시키며 상기 발사체의 구속 해제 요청시 상기 줄을 상기 줄감김부로 회수시키도록 상기 줄과의 연결이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구속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o receive a projectile, the tube having at least one hole passing through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and con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when the projectile launches the tube. A constraining portion provided outside of the tube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side of the constraining portion, the constraining portion penetrates the hole to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charg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tube and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jectile. A string winding portion configured to receive the string, the string winding portion providing elasticity to wind and recover the rope drawn out to restrain the projectile, and the string drawn out from the string winding portion to fix the string The connection with the string to recover the string to the bobbin when the projectile release request is released. And possibly consisting proposes a movement restraining device comprising the government.

Description

이동 구속장치{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Moving Restraint {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본 발명은 줄감김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ement restraint device having a bobbin function.

발사체가 튜브 내부에 장입되어 발사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사체가 장입된 튜브를 안전하게 수송하기 위해, 발사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발사체의 움직임을 구속시킨 상태에서 튜브의 수송이 이루어져야 한다. In a system in which a projectile is loaded inside a tube and fired, in order to safely transport the loaded tube, the tube must be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le is constrained using a device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기존에 발사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방식 중에서, 탄 지지대 등을 발사체에 부착하는 이동 구속장치는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설계가 용이하다. 하지만, 공기 저항을 유발하여 발사체가 발사될 때 운행 성능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어, 발사체가 튜브에서 발사되어 이탈하는 동시에 이동 구속장치의 분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Among the existing methods of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for attaching a bullet support or the like to the projectile has a simple structure and easy design.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riving performance is reduced when the projectile is launched by causing air resistance, the projectile should be released from the tube and at the same time the separation of the movement restraint must be made.

또한, 튜브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의 이동 구속장치는 발사시 발사체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하기 위하여, 이동 구속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발사체의 발사시 이동 구속장치의 비산물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 주변의 다른 설치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directly attached to the tub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becomes complicated and large in order to design such that interference with the projectile does not occur during launch. In particular, when the artifacts of the movement restraint are generated together with the launch of the projectile, it may affect other installations around.

그리고, 튜브에 탑재하기 위한 공간이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발사체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이동 구속장치를 설계하기 위한 공간상의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space for mounting on the tube is determined, as the size of the projectile increases, a space limitation for designing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occurs.

따라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발사시 발사체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이동 구속장치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movement restraint device that minimizes the space occupied by the device and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ith the projectile during launch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은 발사체의 발사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구조적으로 소형화가 가능한 이동 구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ement restraint device that can be structurally downsized without interference occurs during the launch of the projectil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구속장치는, 발사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와 통하도록 일측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튜브, 및 상기 발사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며 상기 발사체의 발사시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튜브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에 장입된 상기 발사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발사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줄과, 상기 줄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사체를 구속하기 위해 외부로 인출된 상기 줄을 감아 회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줄감기부, 및 상기 줄감김부에서 인출된 상기 줄과 연결되어 상기 줄을 고정시키며 상기 발사체의 구속 해제 요청시 상기 줄을 상기 줄감김부로 회수시키도록 상기 줄과의 연결이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portion formed to receive a projectile, and at least one hole passing through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And a constraining portion that restrains movement of the projectile and is installed outside of the tube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interior of the tube when the projectile is launched. A cord that penetrates the hole to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and wr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jectile, and a cord configured to receive the cord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wind and recover the cord drawn out to constrain the projectile A win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tring drawn out from the string winding portion, to fix the string, and to the projectile To recover the bound off when the request line to the spiral part and julgam and the connection with the line comprising releasably including government.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줄감김부는, 상기 줄을 자동으로 감도록 회전축에 탄성력이 작용하는 릴(reel), 및 상기 릴로부터 풀려나온 상기 줄이 상기 릴로 감겨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줄을 고정시키는 줄감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winding unit, a reel (elastic force) acts on the rotating shaft to automatically wind the string, and the string to prevent the string released from the reel to be wound into the reel It may include a bobbin fixing for fixing the.

상기 줄감김 고정부는, 상기 발사체의 구속을 통제하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줄의 이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도록, 상기 줄감김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줄감김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bbin fixing part may include a bobbin switching part for operating the bobbin fixing part to receive or receive a signal from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to restrain or allow the movement of the bobbin.

상기 줄감김부는, 상기 릴에 연결되고 상기 발사체의 구속 해제 요청시, 상기 릴이 상기 줄의 회수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줄감김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bbin winding unit may include a bobbin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reel and detecting whether the reel has completed the recovery of the string when the projectile release request is released.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사체를 감싸는 상기 줄과 연결되어 상기 줄을 고정시키는 줄 고정부, 및 상기 발사체의 구속을 통제하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줄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줄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ine surrounding the projectile, the line fixing unit for fixing the line,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to the fixing unit It may include a signal receiving unit for operating the string fixing portion to release the connection of the fixed string.

상기 줄 고정부는 상기 줄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줄이 절단됨에 따라, 상기 줄과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The string fixing part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string as the string fixed to the string fixing part is cut.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속부가 상기 제어부와 하나의 신호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줄감김부와 상기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restraint pa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by one signal line so that the restraint part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이동 구속장치는 발사체가 수용되는 튜브의 외부에 설치되고, 발사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줄은 발사체의 구속 해제시 튜브의 내부에서 외부로 완전히 빠져 나가, 발사체가 발사 경로상에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tube in which the projectile is accommodated, and the string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completely exits from the inside of the tube when the projectile is restrained, so that the projectil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aunch path. There is an advantage not to receive.

또한, 본 발명의 이동 구속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발사체의 구속을 해제하는 메커니즘이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이동 구속장치가 설치되는 튜브의 운송에 따르는 공간상의 제약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device, thereby reducing the space constraints caused by the transport of the tube in which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is installed.

또한, 발사체를 구속하는 줄의 회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여 발사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 구속장치와 대비하여 큰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recovery of the rope restraining the projectile can be provid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launch. Therefore, there is a great advantage compared to the existing movement restraint devic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구속장치에서 1개의 구속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2개의 구속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3개의 구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줄감김부를 확대한 개념도.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고정부를 확대한 개념도.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2개의 구속부에 서로 줄이 연결되어 발사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b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4개의 구속부에 서로 줄이 연결되어 발사체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튜브의 단면이 사각형일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1A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ide of a state where one restraint unit is installed in a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ide of a state where two restraints are installed i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shown in FIG. 1A; FIG.
1C is a conceptual view from above of a state where three restraints are installed i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shown in FIG. 1A;
2 is an enlarged conceptual view of a bobbin in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conceptual view of a fixing part in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shown in FIG. 1A;
4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e is connected to two restraining portions to restrain the movement of a projectile i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A.
4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lines are connected to four restraints in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illustrated in FIG. 1A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Figure 4c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tube in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shown in Figure 4b.

이하, 본 발명의 이동 구속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구속장치에서 1개의 구속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2개의 구속부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에서 3개의 구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FIG. 1A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ide of a state where one restrainer is installed in a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llustrates a side of a state where two restraints are installed in a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A. 1C is a conceptual view from above of a state where three restraints are installed i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A.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구속장치(100)는, 튜브(110) 내부에 수용되는 발사체(10)가 구속부(120)에 의하여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120)는 튜브(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1A to 1C,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jectile 10 accommodated in the tube 110 is restricted by the constraint portion 120. do. As shown, the restrainer 12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tube 110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튜브(110)는 발사체(1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와 통하도록 일측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116)을 구비한다. 발사체(10)는 튜브(110)의 개구된 일측으로 장입되고, 이때, 튜브(110)의 내벽과 발사체(10) 사이에는 이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이격으로 인하여 발사체(10)가 장입된 튜브(110)의 수송시에 발사체(10)가 튜브(110)의 내벽에 충돌함으로 인하여 발사체(10)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속부(120)를 이용하여, 수송중 발사체(10)를 튜브(1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튜브(110)의 단면은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사각형 또는 사각형이 아닌 다른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ube 110 has a hollow portion formed to receive the projectile 10, and has at least one hole 116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The projectile 10 is charged to the opened side of the tube 110, and at this time,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tube 110 and the projectile 1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rojectile 10 may be damaged due to the projectile 10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tube 110 during the transport of the tube 110 loaded with the projectile 10 due to the separa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restraint portion 120, the projectile 10 is firmly fixed to the tube 110 during transportation. Although the cross section of the tube 110 is shown in a circular shape, it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polygon other than a rectangle or a rectangle.

구속부(120)는,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하며, 발사시 튜브(110)에 장입된 발사체(10)가 튜브(110)의 외부로 사출될 때, 발사체(10)의 사출 경로 상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튜브(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발사체(10)가 걸림 없이 튜브(110) 외부로 안정적으로 발사될 수 있다.The constraining part 120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and when the projectile 10 loaded into the tube 110 is ejected to the outside of the tube 110 when the projecting object 10 is fired on the injection path of the projectile 10. In order not to cause interference in the tube 110 is installed outside the projectile 10 can be stably launched to the outside of the tube 110 without being caught.

이하, 구속부(12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strictor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구속부(120)는, 줄(130), 줄감김부(140), 및 고정부(150)를 포함한다.The restraint unit 120 includes a string 130, a bobbin unit 140, and a fixing unit 150.

줄은 튜브(110)의 내부에 장입된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홀(116)을 관통하여 발사체(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줄(130)은 섬유 또는 강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장력이 작용될 때 변형이 크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ing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jectile 10 through the hole 116 to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loaded inside the tube 110. String 130 may be formed of a fiber or steel wi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formation is not large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줄감김부(140)는 내부에 상기 줄(130)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줄(130)이 외부로 인출되고 다시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외부로 인출된 줄(130)을 감아 회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줄감김부(140) 내부에 수용되는 줄(130)은, 줄감김부(140) 내부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아 자동적으로 줄감김부(140) 내부로 감겨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줄(130)을 인출하려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줄(130)은 줄감김부(140)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줄(130)은 줄감김부(140) 내부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줄감김부(140)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The bobbin section 140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string 130 therein, the string 13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accommodated again inside, to the outside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to wind and recover the drawn line 130. Specifically, the string 130 accommodated in the bobbin section 140 may be automatically wound into the bobbin section 140 by receiving an elastic force acting inside the bobbin section 140.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draw the string 130, the string 130 is drawn out of the bobbin winding 140,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obbin 130 is moved into the bobbin winding 140. It can be automatically recovered into the bobbin section 140 by the acting elastic force.

고정부(150)는 줄감김부(140)에서 인출된 상기 줄(130)과 연결되어 줄(13)을 고정시키며, 상기 줄(130)과의 연결이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줄감김부(140)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줄(130)은 발사체(10)를 구속하고, 줄감김부(140)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회수되지 않도록 줄(130)의 일측이 고정되어야 한다. 이때, 고정부(150)가 상기 줄(130)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fixing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string 130 drawn out from the bobbin winding unit 140 to fix the string 13, and the connection with the string 130 can be released. Specifically, the string 130 drawn out from the bobbin section 140 should be fixed to one side of the bobbin 130 to restrain the projectile 10 and not be recovered by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bobbin section 140.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150 is formed to fix one side of the string 130.

한편, 발사시에는 발사체(10)의 구속이 해제되어야 하는데, 발사체(10)의 구속 해제 요청시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있는 상기 줄(130)이 줄감김부(140)로 회수될 수 있도록, 고정부(150)는 줄(130)을 고정시키도록 연결된 상기 줄(130)과의 연결이 해제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줄(130)이 줄감김부(140)로 회수되고, 튜브(110) 내부에서 발사체(10)가 발사되는 경로에는 아무런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발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launching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10 should be released, when the request for release of the projectile 10, the string 130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can be recovered to the bobbin winding unit 140. As such, the fixing part 150 is configured to be disconnectable from the string 130 connected to fix the string 130. Accordingly, the string 130 is recovered to the bobbin winder 140, and no interference occurs in the path from which the projectile 10 is launched in the tube 110, so that the launch may be stably performed.

구속부(12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10)의 외부에 하나가 설치되어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고,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2개 또는 3개가 설치되어 발사체(10)를 보다 안정적으로 튜브(11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튜브(110)에 설치되는 구속부(120)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고정시키는 발사체(10)에 따라 구속부(120)의 개수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one of the restraints 120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tube 110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and the two restraints 120 may be dispos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S. 1B and 1C. Alternatively, three may be installed to fix the projectile 10 more stably in the tube 110. The number of restraints 120 installed in the tube 110 is not limited, and the number of restraints 120 may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ojectile 10 to be fixed.

또한, 상기 홀(116)은 제1 및 제2 홀(112,1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112)은 줄감김부(140)로부터 인출된 상기 줄(130)을 튜브(110) 내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튜브(110)의 일측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le 116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holes 112 and 114. In detail, the first hole 11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ube 110 so that the string 130 drawn out from the bobbin winding 140 can be passed into the tube 110.

제2 홀(114)은 발사체(10)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기 줄(130)이 튜브(110) 외부로 통과되어, 고정부(1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튜브(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튜브(110) 내부와 외부로 통과되는 상기 줄(130)이, 줄감김부(140)와 고정부(150)에 의해 인출되고 회수되는 동작중에 서로 엉키거나 마찰이 발생하여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hole 11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tube 110 so that the string 130 that constrains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passes through the tub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50. Accordingly, the string 130 that passes through the tube 110 and the outside is entangled or rubbed with each other during the operation of being drawn out and recovered by the string winding unit 140 and the fixing unit 150. You can prevent it.

한편, 구속부(120)가 발사체(10)의 구속을 통제하는 제어부(미도시)와 하나의 신호라인으로 연결되어 구속부(12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줄감김부(140)와 고정부(1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사체(10)의 구속 해제 요청에 필요한 신호라인을 구속부(120)에 하나만 설치하여, 구속부(120)를 제어하는 신호에 대한 송수신 메커니즘의 설계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traint unit 120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10 in one signal lin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restraint unit 120 can be controlled,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140 and the fixing part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Accordingly, only one signal line required for the release request of the projectile 10 may be installed in the restraint part 120, thereby simplifying the design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mechanism for the signal controlling the restraint part 120.

이하, 줄감김부(14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obbin winding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100)에서 줄감김부(140)를 확대한 개념도이다. 2 is an enlarged conceptual view of the bobbin section 140 i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100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줄감김부(140)는 릴(reel)(142), 및 줄감김 고정부(14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bobbin unit 140 includes a reel 142 and a bobbin fixing unit 144.

릴(142)은 상기 릴(142)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줄(130)이 감길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줄(130)을 인출하려는 외력이 가해지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줄(130)이 릴(142)로부터 풀리면서 인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축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줄(130)이 상기 릴(142)에 감겨 회수될 있다. 릴(142)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통이 아닌 사각기둥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reel 142 is rotated about the axis of the reel 142 and is formed so that the rope 130 can be wou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draw the rope 130, the reel 142 is rotated about the axis of rotation and the rope ( As the 130 is released from the reel 142, the drawing is mad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tring 130 may be wound around the reel 142 and recovered by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rotating shaft. The reel 142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may also be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instead of a cylinder.

줄감김 고정부(144)는, 릴(142)로부터 풀려나온 상기 줄이 릴(142)로 감겨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줄(130)을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줄(130)을 인출하기 위해 작용되는 외력이 제거되어도 상기 줄(130)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감김 고정부(144)는 상기 줄(130)이 인출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줄(130)의 일부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줄(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의 도시에서, 줄감김 고정부(144)는 줄감김부(1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줄감김부(140)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bobbin fixing part 144 fixes the string 130 to prevent the string released from the reel 142 from being wound into the reel 142. Accordingly,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to pull out the string 130 is removed, the string 130 may be maintained in the drawn state. For example, the bobbin fixing part 144 may be installed on a path from which the string 130 is drawn, and may fix the string 130 by pressing a part of the string 130. In FIG. 2, the bobbin fixing part 144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inside the bobbin part 140, but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bobbin part 140.

또한, 줄감기 고정부(144)는 줄감김 스위치부(14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줄감김 스위치부(146)는, 발사체(10)의 구속을 통제하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줄의 이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도록, 줄감김 고정부(144)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발사체(10)의 구속시 줄감김부(140)로부터 인출되는 줄(130)이 발사체(10)의 구속에 필요한 만큼 인출이 완료되면 다시 줄감김부(140)로 감겨 회수되지 않도록, 상기 줄감김 스위치부(146)가 상기 인출된 줄(130)을 고정하도록 동작시키고, 발사체(10)의 구속 해제 요청시 상기 줄감김 스위치부(146)는, 상기 줄감김 고정부(144)가 인출된 상기 줄(130)을 다시 줄감김부(140)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동작시킨다. 줄감김 스위치부(1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줄감김부(140)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fixing part 144 may include a bobbin switch part 146. The bobbin switch 146 operates the bobbin fixing part 144 to receive or receive a signal from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10 to restrain or allow the movement of the string. For example, when the rope 130 is drawn out from the bobbin winding unit 140 when the projectile is restrained, the drawer 130 is not wound and recovered to the bobbin winding unit 140 when the drawing is completed as necessary to restrain the projectile 10. The bobbin switch unit 146 is operated to fix the drawn line 130, and when the release of the projectile 10 is requested, the bobbin switch unit 146 is pulled out by the bobbin fixing unit 144. The string 130 is operated to be recovered to the bobbin winding unit 140 again. The bobbin switch 146 may be formed to partially protrude to the bobbin 140 as shown.

한편, 줄감김부(140)는 상기 줄의 회수 여부를 감지하는 줄감김 감지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줄감김 감지부(148)는 릴(14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발사체(10)의 구속 해제 요청시, 상기 줄(130)은 상기 줄감김부(140)에 의해 줄감김부(140) 내부로 회수되도록 동작된다. 이때, 줄감김 감지부(148)는 릴(142)이 줄(130)의 회수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줄(130)의 회수 여부를 우선 감지한 후 발사체(10)의 발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줄감김부(140)에 의해 상기 줄(130)이 완전히 회수되지 않아 발사체(10)의 구속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체(10)가 발사될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Meanwhile, the bobbin winding unit 140 may include a bobbin sensing unit 148 for sensing whether the string is recovered. The stripe detector 148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el 142. Upon requesting release of the projectile 10, the string 130 is operated to be recovered into the bobbin section 140 by the bobbin section 140. At this time, the bobbin detecting unit 148 serves to detect whether the reel 142 has completed the recovery of the string 130. Accordingly, after detecting whether the string 130 is recovered first, the projectile 10 may be launched, and the string 130 may not be completely recovered by the bobbin winding 140 so that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10 may be restri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rojectile 10 can be launched in the unreleased state.

이하, 고정부(150)에 대하여 도 3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x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100)에서 고정부(150)를 확대한 개념도.3 is an enlarged conceptual view of the fixing part 150 i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1A.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150)는, 줄 고정부(152), 및 신호수신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xing unit 150 may include a string fixing unit 152 and a signal receiving unit 154.

줄 고정부(150)는 발사체(10)를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발사체(10)를 감싸는 상기 줄(130)과 연결되어 상기 줄(130)을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줄(130)의 고정은 줄 고정부(152)에 연결되는 줄(130)의 일측을 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줄 고정부(152)는 고정부(15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고정부(150)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string fixing part 150 is connected to the string 130 surrounding the projectile 10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to fix the string 130. For example, the fixing of the string 130 may be made in the form of pressing one side of the string 130 connected to the string fixing part 152. In addition, although the row fixing part 152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inside the fixing part 150, the fixing part 152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fixing part 150.

신호수신부(154)는 발사체(10)의 구속을 통제하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고정부(150)에 고정된 상기 줄(130)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줄 고정부(152)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발사시 발사체(10)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줄(130)이 줄감김부(140)에 의해 상기 줄감김부(140) 내부로 회수되어야 한다. The signal receiver 154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10 and operates the string fixing part 152 to release the connection of the string 130 fixed to the fixing part 150. . Specifically, in order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10 during launching, the string 130 should be recovered into the bobbin section 140 by the bobbin section 140.

이때, 신호수신부(154)가 해제 요청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으면, 신호수신부(154)는 줄 고정부(152)에 연결된 상기 줄(130)과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줄 고정부(152)를 동작시키고, 줄 고정부(152)가 줄(130)의 연결을 해제함에 따라, 줄감김부(140)에 의해 줄(130)이 회수되어 상기 발사체(10)의 구속이 해제된다. 신호수신부(154)는 고정부(15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고정부(150)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ignal receiver 154 receives a signal for the release request from the controller, the signal receiver 154 may release the connection with the rope 130 connected to the rope fixing part 152. In operation, and as the rope fixing part 152 releases the connection of the rope 130, the rope 130 is recovered by the bobbin winding 140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10. Although the signal receiver 154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inside the fixing unit 150, the signal receiving unit 154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fixing unit 150.

한편, 줄 고정부(152)는 줄 고정부(152)에 고정된 상기 줄(130)이 절단됨에 따라, 상기 줄(130)과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줄 고정부(152)에 의해, 줄 고정부(152)에 연결되어 고정된 줄(130)의 일부가 절단되면, 줄감김부(140)로부터 인출된 상기 줄(130)을 고정하는 외력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줄감김부(140)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줄(130)이 회수되어 상기 발사체(1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ring fixing part 152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string 130 as the string 130 fixed to the string fixing part 152 is cut. Specifically, when a part of the rope 130 connected to the rope fixing part 152 and cut by the rope fixing part 152 is cut, an external force for fixing the rope 130 drawn out from the bobbin winding part 140. As a result, the string 130 may be recovered by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bobbin section 140, thereby restraining the projectile 10 from being restrained.

이하,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구속부(120)의 다른 설치 예들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ther installation examples of the restrainer 120 for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100)에서 2개의 구속부(120)에 서로 줄이 연결되어 발사체(10)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이고, 도 4b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100)에서 4개의 구속부(120)에 서로 줄(130)이 연결되어 발사체(10)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이동 구속장치(100)에서 튜브(110)의 단면이 사각형일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4A is a concept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e is connected to two restrainers 120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in the movement restraint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1A, and FIG. 4B is shown in FIG. 1A.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rings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100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and FIG. 4C illustrates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illustrated in FIG. 4B. In (10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tube 110 is a square.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구속부(120)는 튜브(110)의 외부에 2개 이상 설치되어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이때, 튜브(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속부(120)의 줄감김부(140)로부터 인출된 상기 줄(130)은, 튜브(11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구속부(120)의 고정부(150)에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줄(130)이 하나의 구속부(120)에서 인출 및 고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줄(130)이 발사체(10)를 감싸는 구간이 줄어들어, 발사체(10)의 구속 해제 요청시 줄감김부(140)가 상기 줄(130)을 회수하는 동작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줄(130)의 엉킴이 발생될 가능성도 낮아질 수 있다.4A and 4B, two or more restraints 12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tube 110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In this case, the string 130 drawn out from the bobbin section 140 of the restraining unit 12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ube 110 is a fixed part of the restraining unit 12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110. By being connected to and fixed to 150,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may be restricted. Accordingly, as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the string 130 is drawn out and fixed by one restraint unit 120, the section in which the string 130 surrounds the projectile 10 is reduced, when requesting the release of the projectile 10. An operation of collecting the string 130 by the bobbin winding unit 140 may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the possibility of entanglement of the string 130 may be lowered.

한편, 도 4c를 참조하면, 발사체(10)가 장입되는 튜브(110)의 형상이 사각형일 경우, 사각형 튜브(110)의 외면에 각각 구속부(120)를 설치하고,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상기 줄(130)을 구속부(120) 사이에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사각형 튜브(110) 내에서 상기 발사체(10)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C, when the shape of the tube 110 into which the projectile 10 is charged is a quadrangular shape, the restricting portions 1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tube 110, and FIGS. 4A and 4B.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string 130 between the restraints 12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10 may be restrained in the rectangular tube 110.

또한, 구속부(120)에 연결되는 상기 줄(130)은 상기 튜브(110)와 마주보는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줄(130)의 연결은 상기 튜브(110)와 마주보지 않는 다른 일측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ring 130 is connected to the restraint portion 120 is shown as being connected to one side facing the tube 110, the connection of the string 130 is not facing the tube 110 other It may be connected through one side.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됨은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파악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비교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수준에서 변형, 부가, 삭제, 치환 가능한 발명 등 모든 균등한 수준의 발명에 대하여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equivalents of inventions, such as inventions that can be modified, added, deleted, or replace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t belongs to the scope is self-evident.

100 : 이동 구속장치 110 : 튜브
120 : 구속부 130 : 줄
140 : 줄감김부 150 : 고정부
100: movement restraint device 110: tube
120: restraint 130: string
140: stripped portion 150: fixed portion

Claims (7)

발사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와 통하도록 일측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튜브; 및
상기 발사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며, 상기 발사체의 발사시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튜브의 외부에 설치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에 장입된 상기 발사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발사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줄;
상기 줄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사체를 구속하기 위해 외부로 인출된 상기 줄을 감아 회수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줄감기부; 및
상기 줄감김부에서 인출된 상기 줄과 연결되어 상기 줄을 고정시키며, 상기 발사체의 구속 해제 요청시 상기 줄을 상기 줄감김부로 회수시키도록 상기 줄과의 연결이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구속장치.
A tube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o receive a projectile, the tube having at least one hole passing through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And
Constrains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and includes a restraint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ube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side the tube when the projectile is launched,
The restraining portion
A lin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jectile through the hole to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projectile loaded into the tube;
A bobbin winding unit formed to receive the bobbin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wind up and recover the bobbin drawn out to restrain the projectile; And
And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string drawn out from the bobbin winding part to fix the string, and the connection with the string being releasable to recover the string to the bobbin winding part when the projectile release request is made. Moving restrai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김부는,
상기 줄을 자동으로 감도록 회전축에 탄성력이 작용하는 릴(reel); 및
상기 릴로부터 풀려나온 상기 줄이 상기 릴로 감겨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줄을 고정시키는 줄감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구속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bbin section,
A reel having an elastic force acting on the rotating shaft to automatically wind the string; And
And a bobbin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tring so as to prevent the string released from the reel from being wound into the re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김 고정부는, 상기 발사체의 구속을 통제하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줄의 이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도록 동작시키는 줄감김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구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bbin fixing unit comprises a bobbin switch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to operate to restrain or allow the movement of the st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줄감김부는, 상기 릴에 연결되고, 상기 발사체의 구속 해제 요청시, 상기 릴이 상기 줄의 회수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줄감김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구속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bobbin winding unit is connected to the reel, the movement restraint device comprising a bobbin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reel has completed the recovery of the string, when requesting the release of the project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사체를 감싸는 상기 줄과 연결되어 상기 줄을 고정시키는 줄 고정부; 및
상기 발사체의 구속을 통제하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줄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줄 고정부를 동작시키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구속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unit includes:
A string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string surrounding the projectile to fix the string;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straint of the projectile, moving res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 signal receiving unit for operating the string fixing unit to release the connection of the string fixed to the fix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줄 고정부는 상기 줄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줄이 절단됨에 따라, 상기 줄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구속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tring fixing part is disconnected from the string as the string fixed to the string fixing part is c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가 상기 제어부와 하나의 신호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줄감김부와 상기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구속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traint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one signal lin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restraint un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bobbin unit and the fixing unit are integrally formed.










KR1020130127836A 2013-10-25 2013-10-25 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Active KR101343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836A KR101343532B1 (en) 2013-10-25 2013-10-25 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836A KR101343532B1 (en) 2013-10-25 2013-10-25 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532B1 true KR101343532B1 (en) 2013-12-20

Family

ID=4998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836A Active KR101343532B1 (en) 2013-10-25 2013-10-25 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53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39B1 (en) 2008-08-29 2010-12-07 국방과학연구소 Missile Release Device
KR101106904B1 (en) 2009-12-03 2012-01-25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ojectile restrai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39B1 (en) 2008-08-29 2010-12-07 국방과학연구소 Missile Release Device
KR101106904B1 (en) 2009-12-03 2012-01-25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ojectile restra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34704C (en) Home-delivered article loading device for drone
CN105209708B (en) A kind of fall arrest system of the tether system including for safety rope
US11577807B2 (en) Deployable underwater device
KR101343532B1 (en) Apparatus having moving restrict device
KR101165672B1 (en) Lunching and retrival apparatus of underwater vehicle
KR101561163B1 (en) Docking station system for underwater vehicle
KR20110024058A (en) Cable reel
CN113677597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ecuring of aerostat to receiving structure
CN205872513U (en) Unmanned aerial vehicle jettison device
KR20190045537A (en) Wiring apparatus with drone and the method thereof
US7156042B2 (en) Device for unwinding a wire providing data transmission of any type between two mobile elements operating in a fluid
CN214669577U (en) Sonar array release device
US20020112656A1 (en) Torpedo mounted dispenser for a coil of flex hose and control wire
US20170029077A1 (en) System comprising a dead weight and equipment on a trolling line having automated releases and retrievals and implementation method
CA28029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derwater cable deployment
KR100396445B1 (en) Device for laying a cable
EP0545986A1 (en) A method to operate with a wire-guided, in air or water, movable vehicle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08263593A (en) Lock set is tethered at for captive balloon
JP3144596U (en) rig
KR102389733B1 (en) Unmanned messenger rope wiring devices, unmanned messenger rope wiring methods, unmanned messenger rope wiring system and unmanned messenger rope wiring system management method
JP6248640B2 (en) Spring hole structure and mounting device
CN219194251U (en) Cable drum power supply device of bridge crane
RU2021120938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TTACHING OF AIR STAT TO RECEIVING STRUCTURE
JP2005214582A (en) Flying object guidance device
Mizuguch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Drum Type Space Tether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