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276B1 - Photoelectric fire det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Photoelectric fire detec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3276B1 KR101363276B1 KR1020120085531A KR20120085531A KR101363276B1 KR 101363276 B1 KR101363276 B1 KR 101363276B1 KR 1020120085531 A KR1020120085531 A KR 1020120085531A KR 20120085531 A KR20120085531 A KR 20120085531A KR 101363276 B1 KR101363276 B1 KR 1013632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value
- light
- sensitivity
- control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광전식 화재 감지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광전식 화재 감지기는 빛을 방사하는 발광소자;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의 산란에 의한 일부가 수신되는 수광소자; 수광소자에 의해 감지된 빛의 감도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광소자에 의한 현재 감도값과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전 감도값들을 이용하여 산출한 측정감도값을 화재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 및 제어모듈에 의해 화재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회분의 감도값, 일산화탄소의 측정값, 또는 거주자로부터의 신호 등을 이용하여, 비화재보 시에도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is disclosed.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which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received by scattering; A memory for storing a sensitivity value of light sens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comparing the measured sensitivity value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plurality of previous sensitivity values stored in the memory with a fire threshold value; And a sign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occurs by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lurality of sensitivity values, measured values of carbon monoxide, signals from residents,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fire detection error that detects a fire even in a non-fire re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화재감지 오류를 최소화기 위한 광전식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for minimizing the fire detection error.
일반적으로 화재경보시스템은 각 가정에 구비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관리사무실 등에 구비된 화재 수신기에서 즉시 경보를 발하게 된다. 만일, 화재 감지기가 화재가 아닌 조리 등으로 인해 발생된 연기도 화재로 인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면, 당해 세대는 물론 위층이나 인접세대에 경보가 울려 혼란을 야기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a fire detector provided in each home detects a fire, a fire alarm system immediately alerts a fire receiver provided in a management office receiving a signal. If the fire detector recognizes that the smoke generated by cooking, etc., is not a fire, it is also caused by a fire, an alarm may be generated not only in the household but also upstairs or in an adjacent household, causing confusion.
빛을 이용하여 연기를 감지하는 광전식 감지기에 내장된 발광소자에서는 일정주기로 빛을 발하는데, 발광소자와 90도 각도에 위치한 수광소자에서는 평상시 빛을 감지할 수가 없다. 그러나 화재로 인하여 연기가 암상자 내부로 침투되면 빛의 산란현상에 의하여 발광소자에서 발한 빛의 일부가 수광소자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인 화재 감지기는 이를 화재로 인식하고 즉시 경보를 발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연기, 수증기 또는 먼지 등에 의한 빛의 산란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비화재보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built into the photoelectric sensor that detects smoke by using light emits light at a certain period, but the light receiving device positioned at a 90 degree angle with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not detect light normally. However, when the smoke penetrates into the dark box due to the fire,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reaches the light receiving device due to the light scattering phenomenon. In this case, since a general fire detector recognizes this as a fire and immediately gives an alarm, it reacts sensitively to light scattering caused by smoke, water vapor, or dust that is generated temporarily, resulting in a non-fire compensation phenomen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화재보 시에도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광전식 화재 감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that can minimize the fire detection error to detect a fire even in the event of a non-fi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빛을 방사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의 산란에 의한 일부가 수신되는 수광소자;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감지된 빛의 감도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수광소자에 의한 현재 감도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전 감도값들을 이용하여 산출한 측정감도값을 화재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화재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광전식 화재 감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which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received by scattering; A memory for storing a sensitivity value of light sens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comparing a measured sensitivity value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ith a plurality of previous sensitivity values stored in the memory with a fire threshold value; And a sign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occurs by the control module.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 감도값에 따라 상기 이전 감도값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module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he previous sensitivity value according to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또한, 화재 감지기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센싱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스센싱모듈에 의한 가스센싱값에 상응하도록 상기 화재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The fire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 gas sensing module for detecting carbon monoxide, and the control module may set the fire threshold value to correspond to the gas sensing value by the gas sensing module.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가스센싱값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스센싱모듈에 의한 현재 가스센싱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전 가스센싱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된 측정가스센싱값을 미리 설정된 센싱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 sensing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control module presets the measured gas sensing value calculated by using the current gas sensing value by the gas sensing module and the plurality of previous gas sensing values stored in the memory. By comparing with the sensing threshold value, it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re has occurred.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광소자에 의한 현재 감도값에 상응하도록 상기 센싱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set the sensing threshold value to correspond to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또한,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화재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출력모듈; 및 외부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미리 설정된 보류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보류시간 내에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만 화재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larm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occurred by the control module; And a wireless receiver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module counts a preset hold time and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only when the wireless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hold time.
또한, 상기 보류시간은 상기 측정감도값에 상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ing time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measurement sensitivity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회분의 감도값, 일산화탄소의 측정값, 또는 거주자로부터의 신호 등을 이용하여, 비화재보 시에도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lurality of sensitivity values, measured values of carbon monoxide, signals from residents,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fire detection error that detects a fire even in a non-fire report.
도 1은 일반적인 광전식 화재 감지기에서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함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식 화재 감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식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싱을 이용한 광전식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도값 및 일산화탄소 센싱값이 화재판단에 이용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류 시간을 이용한 화재 감지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in a general photoelectric fire detector.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fire detection procedure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e detection procedure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using gas sen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smoke sensitivity value and the carbon monoxide sensing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fire determina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e detection procedure using a hold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일반적인 광전식 화재 감지기에서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구조를 도시함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식 화재 감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in a general photoelectric fire detector,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먼저 참조하면, 광전식 화재 감지기는 빛을 방사하는 발광소자(10)와 그 빛이 연기에 의해 산란되는 경우에 산란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20)를 포함한다.Referring first to FIG. 1,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includes a
수광소자(20)에 빛이 감지되는 경우 연기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됨으로써, 화재가 감지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화재 감지기는 요리에 의한 연기 또는 먼지에 의해서도 빛이 산란되는 경우에도 화재에 의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불필요한 화재 경보를 발생하게 되는 경우를 초래한다.When light is sensed on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화재 감지기(100)는 발광소자(10), 수광소자(20), 신호출력모듈(30), 메모리(40) 및 제어모듈(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showing a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the
메모리(40)에는 수광소자(20)에 의해 감지된 빛의 감도값이 저장된다. 즉, 주기적으로 발광소자(10)는 빛을 방사하고, 수광소자(20)는 그에 따른 빛을 감지하여 그 감도값을 생성하는데, 생성된 감도값은 메모리(40)에 저장된다.The
제어모듈(50)은 수광소자(20)에 의한 측정된 현재의 감도값(이하 현재 감도값)과 메모리(40)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전 감도값들을 이용하여 측정감도값을 산출하고, 그 측정감도값을 화재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The
측정감도값은 현재 감도값과 이전 감도값들의 합산값 또는 평균값일 수 있다. 쉽게 말해, 한번의 감도값으로 화재여부가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개수의 축적된 감도값의 합산값 또는 평균값이 미리 설정된 화재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가 확인됨으로써 화재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다. The measurement sensitivity value may be a sum or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and the previous sensitivity values. In other words, it is not determined whether a fire is determined by a single sensitivity value, but whether or not a fire is determined by checking whether a sum or an average value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accumulated sensitivity values exceeds a preset fire threshold value.
신호출력모듈(30)은 제어모듈(50)에 의해 화재로 판단된 경우 화재신호를 화재 수신기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화재 수신기는 관리실 등의 중앙에 위치하여, 각 세대에 구비된 화재 감지기(100)로부터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싸이렌 또는 안내방송 등을 통해 화재경보를 발하는 장치이다.
Th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100)에서의 화재 감지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e detection procedure i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식 화재 감지기(100)의 화재 감지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e detection procedur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화재 감지기(100)는 수광소자(20)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면(S310), 측정된 감도값을 메모리(40)에 저장한다(S320).Referring to FIG. 3, when smoke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20 (S310), the
화재 감지기(100)는 최근 n(2이상의 자연수)회분에 따른 감도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330). 즉, 화재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현재 감도값만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회 측정된 각 감도값들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n값은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바뀔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 감도값에 상응하도록 n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재 감도값이 클수록 n의 값은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쉬운 예를 하나 들자면, 현재 감도값이 10이하이면 n=2, 10이상 20이하이면 n=3, 20이상이면 n=4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된다.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감도값들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도값들의 합산값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평균값 또는 합산값들을 측정감도값이라 칭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 of the average value of the sensitivity values has been exemplifi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um of the sensitivity values may be used. Hereinafter, the above average or summation values will be referred to as measurement sensitivity values.
화재 감지기(100)는 측정감도값이 미리 설정된 화재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40), 초과하는 경우엔 많은 연기의 양이 지속적으로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한다(S350).The
이와 달리, 화재 감지기(100)는 측정감도값이 화재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엔 요리에 의한 연기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적은 양의 빛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비화재로서 처리한다(S360).On the contrary, when the measured sensitivity value exceeds the fire threshold value, the
지금까지는 수광소자(20)에 의한 빛의 감도값만을 이용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시에 발생되는 불완전연소가스에 따른 일산화탄소(CO)의 센싱여부를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Until now,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whether a fire is performed using only a sensitivity value of light by the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싱을 이용한 광전식 화재 감지기(100)의 화재 감지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도값 및 일산화탄소 센싱값이 화재판단에 이용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4를 먼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100)는 가스센싱모듈(60), 경보출력모듈(70) 및 무선수신부(8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first to FIG. 4, the
가스센싱모듈(60)은 화재에 따라 발생하는 불완전연소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공기중의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며, 감지된 센싱값은 메모리(40)에 저장된다. 현재에도 일산화탄소측정기 등이 판매되고 있으므로, 일산화탄소의 측정 방식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50)은 가스센싱모듈(60)에 의해 측정된 가스센싱값을 화재여부 판단에 이용한다. 일례에 따르면, 제어모듈(50)은 가스센싱모듈(60)에 의한 가스센싱값에 상응하도록 화재임계값을 설정한다. 다시 말해, 제어모듈(50)은 가스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수광소자(20)에 의한 측정감도값과 비교되는 화재임계값의 크기를 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스센싱값이 클수록 화재 가능성이 높다 할 수 있으므로, 화재임계값은 작아질 수 있다.The
가스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화재 감지기(100)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고(S510), 감지된 가스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임계값을 설정한다(S520). 마찬가지로 측정된 가스센싱값은 메모리(40)에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fire is performed using a gas sensing value, the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기(100)는 수광소자(20)에 의한 n회분의 감도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측정감도값과 위에서 설정된 화재임계값을 서로 비교한다(S530).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만일 측정감도값이 화재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화재 감지기(100)는 비화재로 처리한다.If the measured sensitivity value is smaller than the fire threshold value, the
이와 달리 측정감도값이 화재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재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물론,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측정감도값이 화재임계값을 넘는 경우 화재발생으로 처리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산화탄소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 화재발생 여부가 판단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asured sensitivity value exceeds the fire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ire occurrence possibility exists. Of course, if the measured sensitivity value exceeds the fire threshold value a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3, it may be treated as a fire occurrence. In this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a final fire occurs us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carbon monoxide.
이에 따라, 화재 감지기(100)는 최근 m(2이상의 자연수) 회분의 측정가스센싱값을 산출한다(S540). 즉, 수광소자(20)에 의한 감도값들을 이용하여 측정감도값이 산출되듯이, m 회분 측정된 가스센싱값들을 이용하여 그 평균값 또는 합산값과 같은 측정가스센싱값이 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m값도 상기한 n값과 마찬가지로 현재 가스센싱값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화재 감지기(100)는 측정가스센싱값이 센싱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S550), 그 결과에 따라 비화재로 처리하거나(S570), 또는 화재발생으로 처리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한다(S560). The
여기서, 상기한 센싱임계값은 고정된 값일 수 있으며, 또는 수광소자(20)에 의한 현재 감도값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감도값이 낮을수록 센싱임계값은 높아질 수 있으며, 물론 상황에 따라 반대로 설정될 수도 있다.Here, the sensing threshold value may be a fixed value or may be dynamically set according to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by the
연기에 대한 감도값과 일산화탄소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화재여부가 판단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수광소자(20)에 의해 측정된 연기에 대한 4회분의 감도값과 가스센싱모듈(60)에 의해 측정된 일산화탄소 검출 여부(일정 수치(예를 들어 3) 이상의 센싱값을 가진 경우 검출로 판단될 수 있음)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여부가 판단된다.Referring to FIG. 6, which shows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a fire is determined using a sensitivity value for smoke and a sensing value of carbon monoxide, the gas sensitivity module and the gas sensitivity module for the four times of the smoke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device 20 ( It is determined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using the carbon monoxide detection measured in (60) (which may be determined as a detection when a sensing value of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3 or more) is detected).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화재 감지기(100)의 경보출력모듈(70)은 제어모듈(50)에 의해 화재발생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모듈(50)은 연기의 감지 또는 일산화탄소의 감지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경보출력모듈(70)을 통해 경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경보출력모듈(70)은 스피커로 구현되어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램프로 구현되어 빨간색의 빛을 방출한다.Referring back to FIG. 4, when the alarm output module 70 of the
또한 일례에 따르면, 화재 감지기(100)는 연기의 감지 또는 일산화탄소의 감지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곧바로 화재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을 지연시킨 후 화재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무선수신부(80)는 외부로부터 특정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기능하는데, 제어모듈(50)은 화재발생으로 판단 시 미리 설정된 보류 시간(예를 들어, 10초) 내에 무선수신부(80)에 의해 상기한 특정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화재발생으로 판단된 것이 잘못된 판단인 것으로 인식하여 화재판단을 오류처리한다. 쉽게 말해, 화재 감지기(100)는 화재발생으로 판단되면 경보음을 출력하고, 경보음을 듣게된 거주자가 화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보류 시간 내에 특정한 무선신호(예를 들어, 무선 리모트컨트롤러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신호 등)를 송출하면, 해당 화재발생 판단은 오류처리되는 것이다.According to one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using the detection of smoke or the detection of carbon monoxide,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류 시간을 이용한 화재 감지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e detection procedure using a hold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화재 감지기(100)는 연기(및 일산화탄소)의 감지에 따라 화재발생으로 인식되면(S710), 경보를 출력하고(S720), 보류 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S730). 여기서, 보류 시간은 고정된 값일 수 있으며, 또는 측정감지값의 크기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감지값이 클수록 보류 시간은 작아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화재 감지기(100)는 특정 장치(다른 예를 들자면, 벽 등에 설치되는 버튼식 장치 등)로부터 방출되는 무선신호가 보류 시간 내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40, S750),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화재발생 인식을 오류로 인식하여 비화재로서 처리한다(S770).The
이와 달리, 보류 시간이 경과하도록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화재 감자기는 화재발생으로 최종 결정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한다(S760).
On the contrary, if the radio signal is not received so that the hold time elapses, the fire potato is finally determined to generate a fire and outputs a fire signal (S76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 발광소자 20 : 수광소자
30 : 신호출력모듈 40 : 메모리
50 : 제어모듈 60 : 가스센싱모듈
70 : 경보출력모듈 80 : 무선수신부
100 : 화재 감지기10 light emitting
30: signal output module 40: memory
50: control module 60: gas sensing module
70: alarm output module 80: wireless receiver
100: fire detector
Claims (7)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의 산란에 의한 일부가 수신되는 수광소자;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센싱모듈;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감지된 빛의 감도값 및 상기 가스센싱모듈에 의한 가스센싱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가스센싱모듈에 의한 가스센싱값에 상응하도록 화재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수광소자에 의한 현재 감도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전 감도값들을 이용하여 산출한 측정감도값을 상기 화재임계값과 비교한 결과와, 상기 가스센싱모듈에 의한 현재 가스센싱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전 가스센싱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된 측정가스센싱값을 미리 설정된 센싱임계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화재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광전식 화재 감지기.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which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received by scattering;
Gas sensing module for detecting carbon monoxide;
A memory for storing a sensitivity value of light sens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gas sensing value by the gas sensing module;
The fire threshold value is set to correspond to the gas sensing value by the gas sensing module, and the measured sensitivity value calculated by using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plurality of previous sensitivity values stored in the memory is the fire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with the measured gas sensing value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gas sensing value and the plurality of previous gas sensing values stored in the memory by the gas sensing module and the preset sensing threshold value fire occurs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occurs by the control module,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comprising a sign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signal.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 감도값에 따라 상기 이전 감도값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 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previous sensitivity values according to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수광소자에 의한 현재 감도값에 상응하도록 상기 센싱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 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is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sensing threshold to correspond to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빛의 산란에 의한 일부가 수신되는 수광소자;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감지된 빛의 감도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수광소자에 의한 현재 감도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전 감도값들을 이용하여 산출한 측정감도값을 화재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화재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화재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출력모듈; 및
외부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미리 설정된 보류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보류시간 내에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만 화재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 감지기.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which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received by scattering;
A memory for storing a sensitivity value of light sens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comparing a measured sensitivity value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sensitivity valu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ith a plurality of previous sensitivity values stored in the memory with a fire threshold value;
A sign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occurs by the control module;
An alarm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occurs by the control module; And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rol module counts a preset hold time and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only when the radio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the hold time.
상기 보류시간은 상기 측정감도값에 상응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 감지기.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holding time is set to correspond to the measurement sensitivity valu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5531A KR101363276B1 (en) | 2012-08-06 | 2012-08-06 | Photoelectric fire detec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5531A KR101363276B1 (en) | 2012-08-06 | 2012-08-06 | Photoelectric fire detecting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63276B1 true KR101363276B1 (en) | 2014-02-13 |
Family
ID=5027103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855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3276B1 (en) | 2012-08-06 | 2012-08-06 | Photoelectric fire detec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63276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53418B1 (en) | 2018-09-20 | 2019-12-06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
| KR102508926B1 (en) | 2022-06-09 | 2023-03-14 | (주)전원테크 | Fi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manage the lifespan of photoelectric fire detectors |
| US11747270B2 (en) | 2020-11-23 | 2023-09-0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Fire det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dual optical wavelength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96276A (en) * | 1994-04-27 | 1995-11-10 | Nohmi Bosai Ltd | Photoelectric fire sensor |
| JPH08335296A (en) * | 1995-02-21 | 1996-12-17 | Pittway Corp | Fire sensor and apparatus containing non-fire sensor |
| KR20100037539A (en) * | 2008-10-01 | 2010-04-09 |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 Photoelectric smoke sensor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531A patent/KR1013632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96276A (en) * | 1994-04-27 | 1995-11-10 | Nohmi Bosai Ltd | Photoelectric fire sensor |
| JPH08335296A (en) * | 1995-02-21 | 1996-12-17 | Pittway Corp | Fire sensor and apparatus containing non-fire sensor |
| KR20100037539A (en) * | 2008-10-01 | 2010-04-09 |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 Photoelectric smoke sensor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53418B1 (en) | 2018-09-20 | 2019-12-06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dual sensors |
| US11747270B2 (en) | 2020-11-23 | 2023-09-0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Fire det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dual optical wavelength |
| KR102508926B1 (en) | 2022-06-09 | 2023-03-14 | (주)전원테크 | Fi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manage the lifespan of photoelectric fire detector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024141B2 (en) | Smoke device and smoke detection circuit | |
| US10366590B2 (en) | Smoke detector for event classifica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 EP1540615B1 (en) | Detector with ambient photon sensor and other sensors | |
| US10234388B2 (en) | System for determining abnormality in a monitored area | |
| US9082275B2 (en) | Alarm device for alerting hazardous conditions | |
| JP5432271B2 (en) | smoke detector | |
| KR10172511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Fire Based on Detection of Sound Field Variation | |
| US10019891B1 (en) | Smoke detector for distinguishing between an alarm condition and a nuisance condition | |
| KR101832337B1 (en) | Earthquake detection system of building | |
| KR101363276B1 (en) | Photoelectric fire detecting device | |
| JP4724397B2 (en) | Alarm device | |
| KR101447528B1 (en) | Fire alarm controlling device using CCTV and system thereof | |
| TW200641335A (en) | Flame detector | |
| KR20180061091A (en) | Earthquake detection system of building using sensor | |
| KR101933670B1 (en) | Earthquake detection system constructed in building works | |
| KR20150107130A (en) | The device for detecting fire | |
| KR20150094447A (en) | Stand-alone smoke sensor for transmitting alarm signal by wireless, system including same, and method thereof | |
| KR101669031B1 (en) | Stand-alone air quality sensor for transmitting alarm signal by wireless and system including same | |
| KR101356672B1 (en) | Alarm controlling device of apartment and alarm system thereof | |
| JP5134295B2 (en) | Fire / non-fire discrimination device, fire / non-fire discrimination method and fire alarm | |
| KR100891722B1 (en) | Flame Detector for Fire and Combustion Detection | |
| JP2005250986A (en) | Fire sensor | |
| JP2010198406A (en) | House fire alarm | |
| CN112634575B (en) | Self-adaptive smoke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particle concentration | |
| JP2013069160A (en) | Fire sens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20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