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935B1 - Packing box having dish structure - Google Patents
Packing box having dish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3935B1 KR101363935B1 KR20130043734A KR20130043734A KR101363935B1 KR 101363935 B1 KR101363935 B1 KR 101363935B1 KR 20130043734 A KR20130043734 A KR 20130043734A KR 20130043734 A KR20130043734 A KR 20130043734A KR 101363935 B1 KR101363935 B1 KR 101363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side walls
- walls
- bottom portion
- w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of variable capac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B65D5/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slot provided in an adjacent sid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상자를 변형시켜 접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having a dish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box having a dish structure which can be used for a dish by modifying a box used for packaging.
전형적인 박스는, 박스 내의 빈 공간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흔들림이나 충격으로 박스의 내용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의 제품 또는 물품을 견고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A typical box is sized to hold the entire product or article securely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ents of the box due to shaking or impact that may be caused by the void space in the box.
그러므로, 일반적인 박스는 좁은 공간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박스와 물품이 꼭 맞는 경우에는, 간단하고 편리하게 박스에 물품을 넣거나 또는 박스로부터 물품을 꺼내는 것이 곤란하다.Therefore, a general box has a narrow space, and therefore, when the box and the article are fitted to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easily and conveniently take the article into or out of the box.
또한, 일회용품은 음식물이나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박스로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데, 특히 햄버거나 피자와 같은 즉석 식품용 박스의 경우에는 박스가 재활용되지 않고 버려진다.In addition, disposable products are most commonly used as boxes for packaging food or food products, particularly for instant food boxes such as hamburgers and pizza boxes, which are not recycled but discarded.
예를 들어, 피자 조각의 경우, 해당 박스는 접시로 사용될 수 없다. 대신에, 피자 조각을 사람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정찬용 접시가 필요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iece of pizza, the box can not be used as a dish. Instead, in order to provide pizza pieces to people, an additional dinner plate is needed.
이렇게 인스턴트 음식을 담는데 사용되는 박스는 그 인스턴트 음식을 먹기 위해서 별도의 접시를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box used to hold the instant food had a problem that you need to use a separate plate to eat the instant food.
그리고, 대부분의 인스턴트 음식을 담는데 사용되는 박스는 그 박스 안에 들어가는 음식에 맞는 크기로 형성되어 박스에서 음식을 꺼내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box used to hold most of the instant food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take out the food from the box because it is formed in a size suitable for the food to be placed in the box.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포장용기에 담긴 음식을 먹기 위해 별도의 접시를 사용하지 않고 포장용기 자체를 변형시켜 접시로 사용할 수 있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plate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plate by deforming the packaging container itself without using a separate plate to eat food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There is this.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음식물이 담긴 포장박스에서 그 음식물을 원활하게 꺼낼 수 있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that can smoothly take out the food from the packaging box containing the food.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포장용도와 접시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providing a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that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for easy packaging and dish use.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다각형의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벽체를 이루는 측벽부(200); 상기 측벽부(20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는 날개부(300); 및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측벽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측벽부(200)가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한다.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210, 210')과, 상기 바닥부(100)의 다른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220, 220')을 포함한다.The
제1측벽(210, 21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 벽체를 이루는 내측벽(212, 212')과,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 벽체를 이루는 외측벽(214, 214')과,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6, 216')을 포함한다.First side walls (210, 210 '), the inner side wall (212, 212') and the inner side wall (212, 212) extending from 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1,2측벽(210, 210', 220, 220')의 각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이 접히면서 겹쳐져 생기는 공간에 삽입되거나 그 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는 고정편(410)과, 상기 측벽부(200)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고정편(410)이 진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420)을 포함한다.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부채꼴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의 내부에서 유동 되는 유동면(310)과, 상기 유동면(31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동면(310)의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면(320)을 포함한다.The
상기 고정편(410)은,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측벽부(200)의 접힌 내부 공간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된 후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홈(420)에 결합 된다.The
상기 바닥부(100)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양을 갖는다.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부채꼴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의 내부에서 유동 되는 유동면(310)과, 상기 제2측벽(220, 22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동면(310)과 상호 절개된 채로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는 절개면(330)을 포함한다.The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절개면(330)에 연장형성되는 체결편(430)과,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체결편(430)이 진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440)을 포함한다.The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각 변에서 연장형성되고, 한번 이상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게 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포장용기를 간편하게 변형시켜 접시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n use that can be used as a dish by simply modifying the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hold food.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포장박스에 담긴 음식물을 포장박스에서 원활하게 꺼낼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n use that can be taken out of the food box in the packaging box smoothly.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제작이 간편하고 포장용도와 접시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The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conomical effect that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as the production is easy and packaging purpose and dish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를 펼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되는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펼친 전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실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anded view of a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ackaging box embodiment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anded develop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implementation according to FIG. 5.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상자를 변형시켜 접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 [특히, 날개부, 고정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box [particularly, the wing portion, the fixing portion] having a dish structure that can be used for the dish by modifying the box used for packaging as an example can of course be applied equally. Will be call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를 펼친 전개도이다.3 is an expanded view of a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다각형의 바닥부(100)를 갖는다.1 to 3, the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여기서, 상기 바닥부(100)는, 판 형태로 바닥면을 이루면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바닥부(100)는, 하면이 지면에 지지 되고 상면에는 음식물, 기구 등 다양한 수용대상물이 거치 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벽체를 이루는 측벽부(200)를 갖는다.In addition, the
상기 측벽부(20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는 날개부(300)를 갖는다.The
그리고,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측벽부(200)에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한다.And, it is form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이렇게,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측벽부(200)가 형성됨으로 인해 수용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since the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210, 210')을 갖는다.The
더불어,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다른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220, 2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진 채로 부분적으로 펼쳐지면서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종 방향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게 된다.The
즉, 상기 날개부(300)를 통해 상기 측벽부(200)의 종 방향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면서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기울어져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측벽부(200)의 제1측벽(210, 210')과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접시형태를 이룰 경우,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어 그 접시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fixing
더불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 벽체를 이루는 내측벽(212, 212')과,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 벽체를 이루는 외측벽(214, 214')과,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6, 216')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walls (210, 210 '), the inner wall (212, 212') and the inner wall (extending from the
여기서, 상기 측벽부(200)의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벽체를 이루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되,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고정면(216, 216')은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게 된다.Here, the first side walls (210, 210 ') and the second side walls (220, 220') of the
이때, 상기 고정면(216, 216')은,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접착제, 접착테이프 등의 다양한 접착물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도 1에서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이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공간에 완전하게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박스형태를 갖게 되고, 그 박스형태의 내부에 수용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the
도 2에서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겹쳐져서 형성되는 공간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고정부(400)에 의해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에 연결 고정되면,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기울어져 세워지게 되고,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측벽부(200)가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의 박스형태가 접시형태로 변형되어 접시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the
이를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내측벽(212, 212')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내측벽(212, 212')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바닥경계선(150, 150')이 형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외측벽(214, 214')이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내벽경계선(215, 215')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외측벽(214, 214')과 상기 고정면(216, 216')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고정면(216, 216')이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외벽경계선(217, 217')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outer wall (214, 214 ') and the fixing surface (216, 216') for guiding the fixing surface (216, 216 ') to be folded outward from the outer wall (214, 214') Outer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220, 220')과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측벽(220, 220')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바닥경계선(170, 170')이 형성된다.
The
한편,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1,2측벽(210, 210', 220, 220')이 상기 바닥부(100)에서 세워질 경우,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의 상하로 인접되는 경계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이 접히면서 겹쳐져 생기는 공간에 삽입되거나 그 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부채꼴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의 내부에서 유동 되는 유동면(310)과, 상기 유동면(31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동면(310)의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면(320)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유동면(310)은, 상기 제2측벽(220, 22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힘면(320)은, 상기 제1측벽(210, 210')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접힘면(320)과 제1측벽(210, 210')은 상호 절개된 채로 형성된다.Here, the
이를 위해, 상기 제2측벽(220, 220')과 상기 유동면(31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유동면(310)이 상기 제2측벽(220, 220')에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동경계선(315)가 형성된다.To this end, a flow that guides the
그리고, 상기 유동면(310)과 상기 접힘면(32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접힘면(320)이 상기 유동면(310)에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접힘경계선(325)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측벽부(200)의 종 방향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면서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특히,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는 고정편(410)과, 상기 측벽부(200)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고정편(410)이 진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420)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fixing
상기 고정편(410)은,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측벽부(200)의 접힌 내부 공간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된 후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홈(420)에 결합 된다.The fixing
이렇게, 상기 고정부(400)의 구성을 통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외 측으로 기울어진 채로 배치될 경우,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의 상하로 인접되는 경계면 사이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when the
결과적으로,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세워진 채로,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겹쳐져서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접시 형태를 이루게 된다.
As a result, while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 실시 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ackaging box embodiment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일 실시 예로 상기 바닥부(100)이 사각형을 갖고,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측벽부(20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사각형의 박스 형태를 이루게 된다.1 to 3, referring to FIG. 4, as an example, the
이때,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측벽부(20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고정부(400)를 통해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측벽부(200) 내부에서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면,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지게 세워지면서 접시형태를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210, 210')을 갖는다.As mentioned above, the
더불어,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다른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220, 2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1측벽(210, 21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 벽체를 이루는 내측벽(212, 212')과,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 벽체를 이루는 외측벽(214, 214')과,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6, 216')을 포함한다.Here, the first side walls (210, 210 '), the inner side wall (212, 212') and the inner wall (extending from the
그리고,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진 채로 부분적으로 펼쳐지면서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종 방향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게 된다.And, 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부채꼴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의 내부에서 유동 되는 유동면(310)과, 상기 유동면(31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동면(310)의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면(320)을 포함한다.The
또한,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측벽부(200)에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ed portion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는 고정편(410)과,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고정편(410)이 진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420)을 포함한다.The fixing
여기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측벽부(200)의 제1측벽(210, 210')과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접시형태를 이룰 경우,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어 그 접시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fixing
이렇게 박스 형태가 접시형태를 이루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을 수직으로 세우고,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상기 외측벽(214, 214')을 접어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이 상호 겹쳐지고 그 겹쳐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Looking at the process of forming the box form a plate like this, the inner wall (212, 212 ') of the first side wall (210, 210') in the
그리고,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상기 고정면(216, 216')을 접어 상기 고정면(216, 216')이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맞닿도록 한다.The fixing surfaces 216 and 216 'are folded on the
여기서, 상기 고정면(216, 216')은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접착물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Here, the fixing
이와 동시에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제2측벽(220, 220')을 수직으로 세우고, 상기 제2측벽(220, 220')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날개부(300)의 상기 유동면(310)에서 상기 접힘면(320)을 내측으로 접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여기서, 상기 접힘면(320)은, 상기 유동면(310)에서 상기 접힘경계선(325)을 기준으로 접히게 되고, 상기 접힘면(32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유동면(310)의 외 측으로도 접힐 수 있다.Here, the
이때, 상기 유동면(310)은, 상기 제2측벽(220, 220')에서 상기 제1측벽(210, 210')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이어서, 상기 접힘면(320)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400)의 상기 고정편(410)이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홈(420)에 체결되도록 상기 유동면(310)을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사이 공간에서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fixing
이렇게 상기 고정편(410)이 상기 고정홈(420)에 체결되면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기울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접시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ixing
또한, 접시형태에서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박스형태를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되는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펼친 전개도이다.Figure 5 is an expanded develop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따른 실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shows an implementation according to FIG. 5.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다각형의 바닥부(100)를 갖는다.5 and 6, the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여기서, 상기 바닥부(100)는, 판 형태로 바닥면을 이루면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벽체를 이루는 측벽부(200)를 갖는다.In addition, the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210, 210')을 갖는다.The
더불어,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다른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220, 2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측벽부(20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는 날개부(300)를 갖는다.In addition, 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진 채로 부분적으로 펼쳐지면서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종 방향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측벽부(200)에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한다.And, it is form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측벽부(200)의 제1측벽(210, 210')과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접시형태를 이룰 경우,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어 그 접시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fixing
더불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 벽체를 이루는 내측벽(212, 212')과,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 벽체를 이루는 외측벽(214, 214')과,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6, 216')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walls (210, 210 '), the inner wall (212, 212') and the inner wall (extending from the
여기서, 상기 측벽부(200)의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종 방향으로 세워지되,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고정면(216, 216')은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게 된다.Here, the first side walls (210, 210 ') and the second side walls (220, 220') of the
이때, 상기 고정면(216, 216')은,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접착제, 접착테이프 등의 다양한 접착물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도 6에서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고정부(400)에 의해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에 연결 고정되면,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세워지게 되고, 접시형태를 갖으며 접시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As in the embodiment in FIG. 6, the
이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내측벽(212, 212')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내측벽(212, 212')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바닥경계선(150, 150')이 형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외측벽(214, 214')이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내벽경계선(215, 215')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외측벽(214, 214')과 상기 고정면(216, 216')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고정면(216, 216')이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외벽경계선(217, 217')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outer wall (214, 214 ') and the fixing surface (216, 216') for guiding the fixing surface (216, 216 ') to be folded outward from the outer wall (214, 214') Outer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220, 220')과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측벽(220, 220')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바닥경계선(170, 170')이 형성된다.
The
한편,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1,2측벽(210, 210', 220, 220')의 각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이 접히면서 겹쳐져 생기는 공간에 삽입되거나 그 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부채꼴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의 내부에서 유동 되는 유동면(310)과, 상기 제2측벽(220, 22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동면(310)과 상호 절개된 채로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는 절개면(330)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유동면(310)은, 상기 제2측벽(220, 220')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절개면(330) 또한, 상기 유동면(310)과 나란하게 상호 절개된 채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측벽(220, 220')에서 연장형성된다.Here, the
이를 위해, 상기 유동면(310)과 상기 절개면(330)의 형성부위에는 상기 절개면(330)이 상기 제1측벽(210, 210')의 내부로 별도로 진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절개선(335)이 형성된다.To this end, an incision line which is cut in such a manner that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측벽부(200)의 종 방향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면서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측벽부(200)는 전체적으로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특히,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절개면(330)에 연장형성되는 체결편(430)과,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체결편(430)이 진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440)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fixing
상기 체결편(430)은,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접힌 내부 공간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된 후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홈(440)에 결합 된다.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홈(440)은, 상기 내측벽(212, 212')에 사선으로 천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430)은, 상기 절개면(330)에서 접히면서 상기 체결홈(440)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440)에 체결되게 된다.Preferably, the
이렇게, 상기 고정부(400)의 구성을 통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진 채로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상기 제2측벽(220, 220')의 상하 경계면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특히, 상기 절개면(330)과 상기 체결편(430)은,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의 내면과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utting
이때, 상기 절개면(330)은, 상기 내측벽(212, 212')의 내면과 밀착된 채로 배치되고, 상기 체결편(430)이 상기 체결홈(440)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벽(212, 212')의 외부에서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접힌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면서, 상기 체결편(430)이 상기 체결홈(440)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측벽부(200)의 제1측벽(210, 210')과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접시형태를 이룰 경우,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어 그 접시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ixing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세워진 채로,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접혀지면서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접시 형태를 이루게 된다.
With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는, 다각형의 바닥부(100)를 갖는다.Looking at Figure 7, the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벽체를 이루는 측벽부(200)를 갖는다.In addition, the
상기 측벽부(20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는 날개부(300)를 갖는다.The
그리고,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측벽부(200)에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한다.And, it is form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이렇게,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측벽부(200)가 형성됨으로 인해 수용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since the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210, 210')을 갖는다.The
더불어,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다른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220, 2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결과적으로, 상기 제1측벽(210, 210')은, 상기 바닥부(100)의 마주보는 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의 상기 제1측벽(210, 210')이 형성되는 다른 마주보는 변에 연장형성되게 된다.As a result, the
이러한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상기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의 변에서 한번 이상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게 된다.Th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진 채로 부분적으로 펼쳐지면서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종 방향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게 된다.The
즉, 상기 날개부(300)를 통해 상기 측벽부(200)의 종 방향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면서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의 외측으로 기울어져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측벽부(200)의 제1측벽(210, 210')과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접시형태를 이룰 경우,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어 그 접시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fixing
더불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 벽체를 이루는 내측벽(212, 212')과,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 벽체를 이루는 외측벽(214, 214')과,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6, 216')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walls (210, 210 '), the inner wall (212, 212') and the inner wall (extending from the
상기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 벽체를 이루는 제2내측벽(222, 222')과, 상기 제2내측벽(222, 22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 벽체를 이루는 제2외측벽(224, 224')과, 상기 제2외측벽(224, 224')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면(226, 226')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측벽부(200)의 상기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벽체를 이루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되,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고정면(216, 216')은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게 되고, 상기 제2고정면(226, 226')은 상기 고정면(216, 216')의 하면에 고정되게 된다.Here, the first side walls (210, 210 ') and the second side walls (220, 220') of the
이때, 상기 고정면(216, 216')과 상기 제2고정면(226, 226')이 상기 바닥면(100)의 하면에 접착고정되는 순서는, 상기 고정면(216, 216')이 상기 바닥면(100)의 하면에 접착된 후 상기 제2고정면(226, 226')이 상기 고정면(216, 216')의 하면에 접착고정되거나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접착고정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case, the fixing
이때, 상기 고정면(216, 216')과 상기 제2고정면(226, 226')은,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접착제, 접착테이프 등의 다양한 접착물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상기 바닥부(100)와 상기 내측벽(212, 212')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내측벽(212, 212')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바닥경계선(150, 150')이 형성된다.The first
그리고,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외측벽(214, 214')이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내벽경계선(215, 215')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외측벽(214, 214')과 상기 고정면(216, 216')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고정면(216, 216')이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외벽경계선(217, 217')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outer wall (214, 214 ') and the fixing surface (216, 216') for guiding the fixing surface (216, 216 ') to be folded outward from the outer wall (214, 214') Outer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상기 제2내측벽(222, 222')과 상기 바닥부(10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내측벽(222, 222')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바닥경계선(170, 170')이 형성된다.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2내측벽(222, 222')과 상기 제2외측벽(224, 224')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외측벽(224, 224')이 상기 제2내측벽(222, 222')에서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내벽경계선(225, 225')이 형성된다.The second
또한, 상기 제2외측벽(224, 224')과 상기 제2고정면(226, 226')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고정면(226, 226')이 상기 제2외측벽(224, 224')에서 외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외벽경계선(227, 227')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surfaces 226 and 226 'are connected to the second
결과적으로, 상기 제1측벽(210, 210')의 상기 내측벽(212, 212')과 상기 외측벽(214, 214')이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날개부(300)가 원활하게 진입 또는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닥부(100)에서 상기 측벽부(200)가 세워지면서 전체적으로 박스형태 또는 접시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더불어, 상기 제2측벽(220, 220')의 상기 제1내측벽(222, 222')과 상기 제2외측벽(224, 224')이 겹쳐지면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바닥부(100) 벽체의 강도가 높아지면서 그 박스형태 또는 접시형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그리고, 제1측벽(210, 210')과 제2측벽(220. 22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날개부(300)의 설명과, 상기 측벽부(200)의 제1측벽(210, 210')과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접시 형태를 이룰 경우,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어 그 접시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에 대한 설명과, 상기 측벽부(200)와 상기 날개부(300) 및 상기 고정부(400)에 연결에 따른 동작설명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포장용기를 간편하게 변형시켜 접시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orm the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hold the food to obtain the use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plate.
그리고, 포장박스에 담긴 음식물을 포장박스에서 원활하게 꺼낼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n the use of the food in the packaging box can be smoothly taken out of the packaging box.
더불어, 제작이 간편하고 포장용도와 접시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obtain an economic effect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for packaging and dish us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바닥부 150, 150' : 제1바닥경계선
170, 170' : 제2바닥경계선
200 : 측벽부 210, 210' : 제1측벽
212, 212' : 내측벽 214, 214' : 외측벽
215, 215' : 내벽경계선 216, 216' : 고정면
217, 217' : 외벽경계선
220, 220' : 제2측벽
300 : 날개부 310 : 유동면
315 : 유동경계선
320 : 접힘면 325 : 접힘경계선
330 : 절개면 335 : 절개선
400 : 고정부 410 : 고정편
420 : 고정홈 430 : 체결편
440 : 체결홈100:
170, 170 ': Second floor boundary line
200:
212, 212 ':
215, 215 ': Inner
217, 217 ': outer wall boundary
220, 220 ': second side wall
300: wing 310: flow surface
315: flow boundary line
320: folding surface 325: folding boundary line
330: incision side 335: incision line
400: fixing part 410: fixing piece
420: fixing groove 430: fastening piece
440: fastening groove
Claims (11)
상기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벽체를 이루는 측벽부(200);
상기 측벽부(20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부(200)의 각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는 날개부(300); 및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측벽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측벽부(200)가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측벽부(200)가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날개부(300)에 형성되는 고정편(410)과,
상기 측벽부(200)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고정편(410)이 진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420)을 포함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
Polygonal bottom part 100;
A side wall portion 200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100 to form a wall in the bottom portion 100;
A wing portion 300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portion 200 to connect corner portions of the side wall portion 200 to form a form in which the side wall portion 200 extends outwardly from the bottom portion 100; And
Is formed on the wing portion 300 and the side wall portion 200, so that the wing portion 300 and the side wall portion 200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he side wall portion 200 is the bottom portion 100 Including a fixing part 400 to be fixed in the unfolded outward state,
The fixing part (400)
A fixing piece 410 formed on the wing part 300,
It includes a fixing groove 420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200 to be fixed after the fixing piece 410 is entered
Packing box with dish structure.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210, 210')과,
상기 바닥부(100)의 다른 양측으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다른 측벽을 이루는 제2측벽(220, 220')을 포함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wall portion 200,
First side walls (210, 210 ') forming a side wall at the bottom portion 100 while being extended to face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00,
Packing box provided with a plate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side wall (220, 220 ') extending to face the other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00 to form another side wall in the bottom portion (100).
제1측벽(210, 210')은,
상기 바닥부(100)에서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내측 벽체를 이루는 내측벽(212, 212')과,
상기 내측벽(212, 212')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에서 외측 벽체를 이루는 외측벽(214, 214')과,
상기 외측벽(214, 214')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6, 216')을 포함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되는 포장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ide walls 210, 210 ',
Inner walls 212 and 212 ′ extending from the bottom part 100 to form an inner wall at the bottom part 100, and
Outer walls 214 and 214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s 212 and 212' to form an outer wall at the bottom portion 100;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outer wall (214, 214 ') including a fixed surface (216, 216')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100).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1,2측벽(210, 210', 220, 220')의 각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이 접히면서 겹쳐져 생기는 공간에 삽입되거나 그 공간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g portion 300,
The second side walls 220 and 220 'are formed to extend between the corner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210, 210', 220 and 220 'so that the first side walls 210 and 210' are folded. Packing box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is formed in the overlapping space or withdrawn from the space.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부채꼴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의 내부에서 유동 되는 유동면(310)과,
상기 유동면(31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동면(310)의 내측으로 접히는 접힘면(320)을 포함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되는 포장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g portion 300,
A flow surface 310 extending in the shape of a fan on the second side walls 220 and 220 'and flowing inside the first side walls 210 and 210';
The packing box is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flow surface 310 and includes a folding surface 320 folded inwardly of the flow surface (310).
상기 고정편(410)은,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측벽부(200)의 접힌 내부 공간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된 후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홈(420)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되는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iece 410,
Packing box is provided with a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420 so as to be fixed after partially withdrawn from the folded inner space of the side wall portion 200.
상기 바닥부(100)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되는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art (100)
Packing box provided with a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any one selected from triangle, rectangle, pentagon, hexagon, octagon.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제2측벽(220, 220')에 부채꼴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의 내부에서 유동 되는 유동면(310)과,
상기 제2측벽(220, 220')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유동면(310)과 상호 절개된 채로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체결되는 절개면(330)을 포함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되는 포장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g portion 300,
A flow surface 310 extending in the shape of a fan on the second side walls 220 and 220 'and flowing inside the first side walls 210 and 210';
A plate structure including an incision surface 330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walls 220 and 220 'and formed to be incised with the flow surface 310 and fastened to the first side walls 210 and 210'. Packaging box is provided.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절개면(330)에 연장형성되는 체결편(430)과,
상기 제1측벽(210, 210')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체결편(430)이 진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홈(440)을 포함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9,
The fixing part (400)
A fastening piece 430 extending to the incision surface 330;
The packing box is provided with a dish structure including a fastening groove 440 formed in the first side wall (210, 210 ') to be fixed after entering the fastening piece (430).
상기 측벽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각 변에서 연장형성되고, 한번 이상 접히면서 상기 바닥부(100)에서 측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구조가 구비된 포장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wall portion 200,
Formed from each side of the bottom portion 100, the packing box with a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the side wall at the bottom portion 100 while folding at least once.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43734A KR101363935B1 (en) | 2013-04-19 | 2013-04-19 | Packing box having dish structure |
| PCT/KR2014/002456 WO2014171641A1 (en) | 2013-04-19 | 2014-03-24 | Packaging box integrated with dish structure |
| US14/250,368 US20140312106A1 (en) | 2013-04-19 | 2014-04-10 | Packing box having dish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43734A KR101363935B1 (en) | 2013-04-19 | 2013-04-19 | Packing box having dish structur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63935B1 true KR101363935B1 (en) | 2014-02-19 |
Family
ID=5027121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3004373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3935B1 (en) | 2013-04-19 | 2013-04-19 | Packing box having dish structure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40312106A1 (en) |
| KR (1) | KR101363935B1 (en) |
| WO (1) | WO2014171641A1 (en) |
Cited B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054478A1 (en) * | 2014-10-02 | 2016-04-0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 Carton for food product |
| WO2016073676A1 (en) * | 2014-11-07 | 2016-05-12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 Tray for holding a food product |
| US10232973B2 (en) | 2014-11-07 | 2019-03-19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for holding a food product |
| US11827430B2 (en) | 2020-11-06 | 2023-11-28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for food products |
| USD1042122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20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16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Carton |
| USD1042121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19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h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17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18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4494S1 (en) | 2021-05-27 | 2024-10-01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62459S1 (en) | 2021-05-27 | 2025-02-18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GB201205243D0 (en) | 2012-03-26 | 2012-05-09 | Kraft Foods R & D Inc |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
| GB2511560B (en) | 2013-03-07 | 2018-11-14 | Mondelez Uk R&D Ltd |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
| GB2511559B (en) | 2013-03-07 | 2018-11-14 | Mondelez Uk R&D Ltd |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
| WO2019209166A1 (en) * | 2018-04-23 | 2019-10-31 | Tria Pte. Ltd. | Food tray |
| WO2021059512A1 (en) * | 2019-09-27 | 2021-04-01 | 有限会社音吉 | Article receiving box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17067Y1 (en) | 2000-10-25 | 2001-03-15 | 최덕환 | Multi-purpose box |
| KR200345536Y1 (en) * | 2003-12-22 | 2004-03-24 | 정용권 | construction paperware |
| KR20080004157U (en) * | 2007-03-22 | 2008-09-25 | 고범준 | Packing box, functional case, container |
| KR101057823B1 (en) | 2010-11-29 | 2011-08-19 | (주)오비트 | Folding Containers & Instant Food |
Family Cites Families (1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826962A (en) * | 1930-02-26 | 1931-10-13 | Alexander T Spare | Folding box |
| US2663487A (en) * | 1948-04-17 | 1953-12-22 | Richard E Paige | Expansible carton and detachable cover |
| US2793802A (en) * | 1953-04-07 | 1957-05-28 | Arvey Corp | Combined shipping and display box |
| US3425543A (en) * | 1964-10-13 | 1969-02-04 | Allen Davies & Co Ltd | Packaged tray of articles |
| US3373923A (en) * | 1966-08-12 | 1968-03-19 | Union Camp Corp | Expandable tray carton |
| CH607628A5 (en) * | 1976-03-26 | 1978-09-29 | Toni Casutt | |
| US4111306A (en) * | 1977-05-18 | 1978-09-05 |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 Self-contained baking tray carton |
| JPS5512495U (en) * | 1978-07-13 | 1980-01-26 | ||
| US4295599A (en) * | 1980-05-16 | 1981-10-20 | John D. Locatelli | File box |
| US4317536A (en) * | 1980-10-28 | 1982-03-02 |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 Two-piece container |
| JPH038578Y2 (en) * | 1985-11-14 | 1991-03-04 | ||
| GB2304329B (en) * | 1995-08-23 | 1999-04-07 | Field Group Plc | Containers |
| GB2306944B (en) * | 1995-11-06 | 1999-06-09 | Smith David S Packaging | A container |
| ATE278615T1 (en) * | 2000-07-03 | 2004-10-15 | Swatch Group Man Serv Ag | BOX WITH LID AND FRONT FLAP MADE FROM A ONE-PIECE BLANK WITHOUT ADHESION |
| KR200451003Y1 (en) * | 2008-04-10 | 2010-11-16 | 현대종합물산 주식회사 | Packing box |
| US8690045B2 (en) * | 2011-03-07 | 2014-04-08 | Jae Hyuck JANG | Spreadable box |
| KR101102365B1 (en) * | 2011-10-07 | 2012-01-03 | (주)메가크리에이트 | Egg Packing Box |
-
2013
- 2013-04-19 KR KR20130043734A patent/KR1013639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3-24 WO PCT/KR2014/002456 patent/WO201417164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4-10 US US14/250,368 patent/US2014031210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17067Y1 (en) | 2000-10-25 | 2001-03-15 | 최덕환 | Multi-purpose box |
| KR200345536Y1 (en) * | 2003-12-22 | 2004-03-24 | 정용권 | construction paperware |
| KR20080004157U (en) * | 2007-03-22 | 2008-09-25 | 고범준 | Packing box, functional case, container |
| KR101057823B1 (en) | 2010-11-29 | 2011-08-19 | (주)오비트 | Folding Containers & Instant Food |
Cited B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054478A1 (en) * | 2014-10-02 | 2016-04-0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 Carton for food product |
| WO2016073676A1 (en) * | 2014-11-07 | 2016-05-12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 Tray for holding a food product |
| US10232973B2 (en) | 2014-11-07 | 2019-03-19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for holding a food product |
| US10336500B2 (en) | 2014-11-07 | 2019-07-02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for holding a food product |
| US11827430B2 (en) | 2020-11-06 | 2023-11-28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for food products |
| US11952181B2 (en) | 2020-11-06 | 2024-04-09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Carton for food products |
| USD1042122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20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16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Carton |
| USD1042121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19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h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17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2118S1 (en) | 2021-05-27 | 2024-09-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44494S1 (en) | 2021-05-27 | 2024-10-01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 USD1062459S1 (en) | 2021-05-27 | 2025-02-18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Tra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4171641A1 (en) | 2014-10-23 |
| US20140312106A1 (en) | 2014-10-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63935B1 (en) | Packing box having dish structure | |
| US10669062B2 (en) | Eye shield dispenser | |
| US9474389B2 (en) | Corrugated hutch | |
| US11440282B2 (en) | Instant set-up bulk container | |
| USD778723S1 (en) | Blood lines carton | |
| KR101568928B1 (en) | A box for packaging the goods and a folding method for the same | |
| TWM506794U (en) | Package box | |
| KR101395621B1 (en) | Spreadable box | |
| US20130105563A1 (en) | Foldable container | |
| CL2019003276A1 (en) | Cardboard box and cardboard box template. | |
| JP5466069B2 (en) | Packaging case | |
| KR20130001200U (en) | It is absolutely slide folding structure of a packing box performed to older brothers | |
| JP5987706B2 (en) | Storage box | |
| KR101681226B1 (en) | Polyhedron box | |
| US20160168845A1 (en) | Ready-to-assemble house | |
| KR20160050199A (en) | Many purposes paper courage | |
| ITUB20154636A1 (en) | Food container convertible into a double tray. | |
| KR20170009600A (en) | Packing box | |
| KR101380222B1 (en) | Packing boxes and the using method a handle having been built in | |
| USD758842S1 (en) | Collapsible container | |
| JP2019089580A (en) | Storage container | |
| KR20100010208U (en) | Folder-type cake fastener | |
| KR20140122855A (en) | Beverage carton having opening tap | |
| TWM494767U (en) | Package box | |
| CN106005653A (en) | Skin-care product packaging box integrating transporting function and showing fun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2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