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55B1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Google Patents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7055B1 KR101377055B1 KR1020130118632A KR20130118632A KR101377055B1 KR 101377055 B1 KR101377055 B1 KR 101377055B1 KR 1020130118632 A KR1020130118632 A KR 1020130118632A KR 20130118632 A KR20130118632 A KR 20130118632A KR 101377055 B1 KR101377055 B1 KR 101377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lifting
- hybrid
- body portion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편리하게 인양 및 하역되되,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인양벨트; 및 중앙부가 상기 각 인양벨트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각 인양벨트의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이브리드벨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Conveniently lifted and unloaded in a variety of working environments, so as to improve the work safety during lifting and unloading,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contents therein, the storage space selectively A container bag compris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 opening, the container bag comprising: a plurality of lifting belts conn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center portion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each of the lifting belts, and a plurality of hybrid belts having both ends spaced apart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lifting belt and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편리하게 인양 및 하역되되,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bag that is conveniently lifted and unloaded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the work safety is impro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during lifting and unloading.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내용물을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내용물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general, the container bag is also referred to as a FIBC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 big bag, a bulk bag, an industrial bag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contents such as grain or synthetic resin materials As a bag, a flexible material is used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contents.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운반되고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bag contains contents of about 500 to 2000 Kg of chemical, mineral, grain, synthetic resin powder material, cement, and the like, and a crane, a hoist, Of the lifting equipment, stored in a warehouse or carried on a truck.
여기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의 경우에 두개의 고리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백을 인양하며, 지게차나 리프트 지그의 경우에는 네개의 고리를 사용하여 인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Here, in the case of a crane or hoist, two container hooks are used to lift a container bag, and in the case of a forklift or lift jig, it is common to lift a container bag using four hooks.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ntainer bag.
도 1a 내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백은 로프인양방식(100)과 벨트인양방식(200)으로 구분된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conventional container bag is divided into a
여기서, 도 1a를 참조하면, 로프인양방식의 컨테이너백(100)은 컨테이너백 몸체(1)의 상부측에 로프(3)가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로프슬리브(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로프슬리브(2)에 삽입되어 상기 로프슬리브(2)의 단부로 노출된 로프(3)를 인양장비에 걸어 인양하게 된다. Here, referring to Figure 1a, the rope
그러나, 종래의 로프인양방식 컨테이너백(100)은 컨테이너백의 인양시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로프슬리브(2)의 단부로 집중되어 부분적인 파열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ope lifting
또한, 컨테이너백(100)의 몸체(1) 상부측에 로프(3)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진 로프슬리브(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1)에 고강도의 원단을 덧대고, 관통부를 가지도록 접어 재봉하고 로프(3)를 삽입하여 결속하는 단계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a rope sleeve (2) having a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rope (3)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1) of the container bag (100), a high-strength fabric is applied to the body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and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step of folding and sewing the penetrating part and inserting the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벨트인양방식의 컨테이너백(200)은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용물이 충진되는 본체(4)의 모서리부(5)에서 좌우 양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벨트(6)의 양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벨트(6)에 인양장비를 걸어 인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1b, the belt
그러나, 상기 컨테이너백(200)은 인양시 벨트(6)의 단부와 본체(4)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하중이 집중되므로 결합부분(7)의 재봉간격과 재봉강도에 따라 재봉선이 ?어져 벨트(6)가 뜯기거나, 상기 벨트(6)가 부착된 부분의 본체(4)가 찢어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load is concentrated to the portion where the end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인양 중인 컨테이너백(200)의 낙하로 인해 수납된 내용물이 손상되거나 외부로 유실되어 심각한 경제적인 손상을 발생시키고 낙하되는 컨테이너백(200)으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Accordingly, the contents of the
한편, 누운 상태의 컨테이너백(200)을 바로 세워 인양하는 경우, 컨테이너백(200)의 배치 및 적재 상태로 인해 네 모서리의 벨트 혹은 로프에 인양장비를 걸기 힘든 경우, 그리고 인양장비 중 벨트 혹은 로프를 걸 수 있는 인양지그가 2개인 경우 등 컨테이너백을 하역 혹은 적재하는 작업 중에는 다양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때, 사각형상으로 구비된 컨테이너백(200)의 네 모서리로 균등하게 힘이 가해지지 못하고, 백의 하중이 지면과 맞닿은 두 모서리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 등 일측으로 쏠려 집중되므로 상기 로프슬리브(2)의 단부나 벨트가 결합된 부분(7)의 본체(4)가 더욱 쉽게 손상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force is not evenly appli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더욱이, 지게차를 사용한 하역시에는 팔레트에 컨테이너백(100,200)을 이단으로 쌓고, 컨테이너백(100,200)이 적층된 상태의 팔레트를 운반하여야 하므로 운반 중 상측에 적재된 컨테이너백(100,200)이 전도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켰다.Moreover, when unloading using a forklift, container bags (100,200) are stacked in two stages on pallets, and container bags (100,200) must be transported in a stacked state, so that the container bags (100,200) loa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re transferred to safety. Problems occurred such as an accident or delayed work.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편리하게 인양 및 하역되되, 인양 및 하역시 작업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 problem to provide a container bag that is conveniently lifted and unloaded in a variety of working environment, the work safety is impro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during lifting and unloading.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배치된 인양벨트; 및 중앙부가 상기 각 인양벨트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각 인양벨트의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이브리드벨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bag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contents therein, and an inlet and outlet for selectively opening the storage space, along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lifting belt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center portion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each of the lifting belts, and a plurality of hybrid belts having both ends spaced apart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lifting belt and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
여기서,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의 일단부측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측과 교차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one end side of each hybrid belt is preferably arranged to cross the other end side of the other hybrid belt disposed adjacent.
그리고,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의 일단부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측이 교차 배치된 부분의 상측에는 보강덮개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덮개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하이브리드벨트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reinforcing cover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a portion in which the other end side of the other hybrid belts arranged adjacent to one end side of each hybrid belt is arranged crosswise, and the reinforcing cover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hybrid belt. It is preferable to sew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상기 몸체부는 사각 기둥으로 구비되되, 상기 각 인양벨트는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일면 중앙 상측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일면과 인접한 타면 중앙 상측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square pillar, each lifting belt is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body portion, each hybrid belt one end is coupled to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other end is adjacent to the one surface The other sid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entral upper side.
이때,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의 일단부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측에는 양단부측을 구속하여 인양하도록 양단부측을 연결하는 고리로 형성된 보조인양벨트가 구비되되, 상기 인양벨트에는 인양시 내측에 삽입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의 상측을 구속하여 가이드하도록 상기 각 인양벨트의 양단부측을 연결하는 가이드벨트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hybrid belt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side of each of the hybrid bel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lifting belt formed of a ring connecting the both end side to restrain both ends side to lift, the lifting belt inside the lifting belt It is preferable that guide belts are connect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lifting belts to restrain and guide the upper side of the hybrid belt inserted therein.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ution,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하이브리드벨트는 중앙부가 인양벨트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인양시 인양벨트와 몸체부의 결합부분에 걸려 함께 인양되므로 백의 하중이 인양벨트 및 하이브리드벨트에 각각 분산되어 지지될 수 있어 각 벨트와 몸체부의 연결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전체적인 허용적재하중이 증가될 수 있다. First, the hybrid belt is dispos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passes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lifting belt and is caught together by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ifting belt and the body part when lifting, so that the load of the bag can be distributed and supported by the lifting belt and the hybrid belt, respectively. Preventing tearing due to concentrated load 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body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and increase the overall allowable load.
둘째, 상기 하이브리드벨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와 교차 배치되어 인양시 백의 하중을 몸체부 각면에 결합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로 분산하여 백의 외면을 균일하게 조여주며 지지하므로 일부 벨트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아 다양한 인양장비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인양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Second, the hybrid belt is disposed to cross the other hybrid belt disposed adjacent to distribute the load of the bag to the other hybrid belt coupled to each side of the body at the time of lifting evenly tighten and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so the load is not concentrated on some belts As it can be lifted stably in response to various lifting equipment,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셋째, 상기 하이브리드벨트는 인양시 몸체부 각면 중앙을 상측으로 당겨 지지하므로 백의 하면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팔레트 등의 지지부재가 없더라도 2개 내지 4개의 인양벨트를 포오크리프트에 직접 걸어 운반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며, 팔레트의 부피감소로 적재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ird, the hybrid belt is supported by pulling the center of each side of the body portion at the time of lifting,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g can be distributed to carry two to four lifting belts directly on the forklift even without a supporting member such as a pallet. Since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the load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pallet.
넷째, 상기 하이브리드벨트의 보강덮개는 벨트와 몸체부의 결합부분에 가해지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하중을 재봉선을 따라 분산하므로 벨트와 몸체부, 그리고 벨트 상호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상기 인양벨트에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로 분산되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Fourth, since the reinforcement cover of the hybrid belt distributes the load of the container bag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elt and the body portion along the seam, the belt and the body portion, and improv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elts to be distributed from the lifting belt to the hybrid belt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load to be made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하이브리드벨트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부분 투영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사시도.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ntainer ba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roj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ybrid belt in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에서 하이브리드벨트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부분 투영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측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rojection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hybrid belt in the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of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300)은 몸체부(10), 투입구(20), 배출구(30), 인양벨트(40), 그리고 하이브리드벨트(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분체류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하고, 내용물을 수납할 때는 정해진 공간에 많은 량의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외형 변형이 용이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 2 to 4, the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300)은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하여 컨테이너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방수성이 있는 비닐류 등으로 제작된 내피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몸체부(10)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는 일체형의 시트로 구비되고 양측단부를 연결함에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백(300)은 컨테이너나 물류 창고 등에 보관되거나 운송될 때 각 백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하고 보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각 기둥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이 분체류인 경우에는 내피에 포장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투입구(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10)의 하측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ontent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When the contents are powders, the content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n a state of being packaged in the endothelium.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물론, 상기 몸체부(10)가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투입구(20) 및 상기 배출구(30)는 일체로 구비된 원통의 상단 및 하단의 개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하는 원형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 시트의 중심측에 상기 몸체부(10)의 단면보다 작은 직경의 홀을 형성하여 상기 홀에 원형의 관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투입구(20) 및 상기 배출구(3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when the
한편, 상기 인양벨트(4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인양벨트(40)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 둘레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양벨트(4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개 연결되되, 각 인양벨트(40)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세히, 상기 각 인양벨트(40)는 합성수지 재질의 벨트로 구비되어 벨트의 중앙부(41)를 접어 고리 형태를 형성하고,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는 상기 몸체부(10)에 봉제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each
물론, 상기 인양벨트(40)는 상기 몸체부(10)에 직접 봉제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에 보강부재(42)가 덧대어져 재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42)는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인양벨트(40)와 일체로 재봉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상세히, 상기 보강부재(42)는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를 커버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인양벨트(40)의 양단부와 접하고, 타측은 상기 몸체부(10)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42)는 다이아몬드 봉제방법 및 지그재그 봉제방법 중 어느 하나로 재봉될 수 있다. In detail, the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42)의 재봉시 재봉선은 상기 보강부재(42)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인양벨트(40),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42)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보강부재(42)의 타측에서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보강부재(42)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And, when sewing the reinforcing
이로 인해, 상기 인양벨트(40)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부분에 가해지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중이 재봉선을 따라 상기 보강부재(42)로 분산되어 상기 인양벨트(40)의 인장력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load of the
한편,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는 중앙부(41)가 상기 각 인양벨트(40)의 내측을 통과하여 배치되되, 양단부(52,53)가 상기 각 인양벨트(40)의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10) 외면에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세히, 상기 인양벨트(40)는 중앙부(41)가 접히고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됨에 따라 고리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고리의 내측으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가 통과하여 배치된다. In detail, the lifting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의 단부(52)는 하나의 인양벨트(40a)와 다른 인양벨트(4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10)와 결합되고,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의 중앙부(51)는 상기 인양벨트(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는 상기 인양벨트(40)를 당겨 인양할 때 중앙부(51)가 상기 인양벨트(40)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부분에 걸려 구속됨에 따라 함께 인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로 인해, 상기 인양벨트(40)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부분에 가해지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중이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를 따라 상기 몸체부(10)와 결합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의 양단부(52,53)로 분산되어 지지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load of the
즉,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중이 각 인양벨트(40)와 몸체부(10)가 연결된 부분뿐만 아니라 각 하이브리드벨트(50)와 몸체부(10)가 연결된 부분으로 분산되므로 몸체부(10)의 찢어짐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허용적재하중이 증가될 수 있다. That is, the load of the
또한, 각 인양벨트(40)에 균일한 하중에 가해지지 않고 상기 인양벨트(40) 중 일부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를 통해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부분으로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load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lifting
이에 따라, 각 벨트(40,50)와 몸체부(10)의 결합이 손상되거나 상기 몸체부(10) 자체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백(300)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나 작업 지연을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coupling of each of the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는 사각 기둥으로 구비되되, 내측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10)는 단일 시트의 양측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몸체부(10)의 상하측의 개구부에 사각 단면을 가진 시트(13)를 결합하여 사각 기둥으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2, the
또한, 네장 시트를 결합하여 사각 기둥 형상의 몸체부(10)를 형성하고 상하측의 개구에 사각 단면을 가진 시트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상하측에 결합된 시트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투입구(20) 및 배출구(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rectangular
한편, 상기 각 인양벨트(40)는 상기 몸체부(10)의 각 모서리(14)에 결합되며, 상기 각 하이브리브벨트(50)는 일단부(52)가 상기 몸체부(10)의 일면(11) 중앙 상측부에 결합되고, 타단부(53)가 상기 일면(11)과 인접한 타면(12) 중앙 상측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lifting
상세히, 상기 각 인양벨트(40)는 합성수지 재질의 벨트로 구비되되 벨트의 중앙부(41)를 구부려 고리 형태를 형성하고,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모서리(14)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벨트(40)의 중앙부(41)에 형성된 고리를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 인양장비에 걸어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인양할 수 있다. In detail, each of the lifting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는 일단부(52)가 상기 몸체부(10)의 일면(11) 중앙 상측부에 결합되고, 중앙부(51)가 상기 인양벨트(40)의 중앙부(41)에 형성된 고리 내측을 통과하여 배치되며, 타단부(53)가 상기 몸체부(10)의 타면(12) 중앙 상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이때,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의 중앙부(51)는 상기 인양벨트(40)가 인양장비에 걸려 인양되면, 상기 인양벨트(40)와 상기 몸체부(10)가 결합된 결합부분에 걸려 함께 인양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분에 걸리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중이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로 분산되고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와 상기 몸체부(10)과 결합된 부분으로 분산 지지되어 상기 인양벨트(40)의 인장력이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50a)의 일단부(52)측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50b)의 타단부(55)측과 교차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교차된다는 말은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50a)의 일단부(52)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50b)의 타단부(55)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한점에서 만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2 to 3, one
상세히,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a)의 일단부(52)측은 상기 몸체부(10)의 일면(11) 중앙 상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부(52)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50b)의 타단부(55)측은 상기 몸체부(10)의 일면(11) 중앙 상측부에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a)의 일단부(52)측과 교차 배치되어 결합된다. In detail, one
그리고,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a)의 타단부(53)측은 상기 몸체부(10)의 타면(12) 중앙 상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타단부(53)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또다른 하이브리드벨트(50c)의 일단부측은 타면(12) 중앙 상측부에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a)의 타단부(53)측과 교차 배치되어 결합된다. And, the
이처럼,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50)의 각 단부는 상기 몸체부(10)의 각면 중앙 상측부에 결합되되, 인접한 하이브리드벨트의 각 단부와 교차 배치되어 결합된다.As such, each end of each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인양시 상기 인양벨트(40)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를 따라 각 하이브리드벨트(50)가 결합된 각면 중앙 상측부로 분산되고, 교차 배치되어 결합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를 따라 타면으로 분산 지지되므로 각 인양벨트(40)의 인장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ad applied to the lifting
또한, 각 인양벨트(40)에 균일한 하중에 가해지지 않고 상기 인양벨트(40) 중 일부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를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각면 중앙으로 분산되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load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lifting
더욱이, 포오크리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운반하고 보관할 때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팔레트에 올려 운반하지 않더라도 상기 인양벨트(40)가 상기 몸체부의(10) 각 모서리(14)를 인양하며,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가 상기 몸체부(10)의 각면 중앙부를 상측으로 당겨 지지하므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면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 지지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이에 따라, 팔레트 등의 지지부재가 없더라도 2개 내지 4개의 인양벨트(40)를 직접 포오크리프트에 걸어 운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레트의 부피를 줄여 적재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re is no supporting member such as a pallet, the two to four lifting
또한,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네 모서리(14)에 구비된 각 인양벨트(40)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일면에 배치된 두개의 인양벨트(40a,40b)만 사용하더라도 상기 몸체부(10)의 각면 중앙에서 교차되어 결합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로 하중을 분산하여 백의 외면을 균일하게 조여주며 지지하므로 일부 벨트에 하중에 집중되지 않아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안전성과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ithout using all of the lifting
이에 따라, 호이스트 등 2개의 인양벨트(40)로 상기 컨테이너백(300)을 인양하는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벨트(40)가 몸체부(10)에서 분리되거나 몸체부(10)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 없이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인양장비에 활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using the equipment for lifting the
한편,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50)의 일단부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측이 교차 배치된 부분의 상측에는 보강덮개(54)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덮개(54)는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강덮개(54)는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 그리고 보강덮개(54)가 순차적으로 덧대어진 상태에서 동시에 재봉된다.On the other hand, the
물론,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는 상기 몸체부(10)에 직접 봉제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50)가 교차된 부분에 보강덮개(54)가 덧대어져 재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Of course, the
여기서, 상기 보강덮개(54)는 상기 몸체부(10), 하이브리드벨트의 일단부(52),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55)가 순차적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그 상측에 덧대어져 일체로 재봉될 수 있다. Here, the
상세히, 상기 보강덮개(54)는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가 교차된 부분을 커버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일측은 상기 교차된 부분과 접하고, 타측은 상기 몸체부(10)와 직접 접하게 된다. In detail, the
이때, 상기 보강덮개(54)는 지그재그 봉제방법으로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그재그 봉제방법은 재봉선(56)이 보강덮개(54)의 내측에서 일측 테두리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되고, 타측 테두리 방향으로 상향하는 대각선을 그리도록 형성됨을 반복하며 지그재그로 타측 테두리까지 촘촘하게 상기 보강덮개(54)의 전면을 재봉하는 방법을 말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이에 따라, 상기 보강덮개(54)의 재봉선(56)은 상기 보강부재(54)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 그리고 상기 보강덮개(54)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보강덮개(54)의 타측에서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보강덮개(54)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로 인해,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부분에 가해지는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중이 재봉선(56)을 따라 상기 보강덮개(54)로 분산되므로 벨트(50)와 몸체부(10), 그리고 벨트(50) 상호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상기 인양벨트(40)에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로 분산되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us, the load of th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50a)의 일단부(52)측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50b)의 타단부(55)측과 30~60°의 사이각(b)을 이루도록 교차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4, one
상세히,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50)는 상기 인양벨트(40)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부분에 구속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a)의 중앙부(51)에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a)의 단부(52)로의 기울기(a)가 수평선(c)을 기준으로 15~30°를 이루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each
이때, 상기 기울기(a)가 15°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인양벨트(40)의 인양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의 중앙부(51)에 상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가 상호 교차된 부분에서 모서리 방향으로 수평으로 당기는 힘으로만 작용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각면 중앙측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nclination (a) is less than 15 °, the force applied upwards to the
또한, 상기 기울기(a)가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양벨트(40)의 인양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의 중앙부(51)에서 상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가 상호 교차된 부분에서 상기 몸체부(10)의 각면 중앙측을 상측으로 인양하는 힘으로만 작용하게 되어, 다른 하이브리드벨트(50b)로 하중을 분산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 exceeds 30 °, the force applied upward from the
즉,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50a)의 일단부(52)과 다른 하이브리드벨트(50b)의 타단부(55)측이 30~60°의 사이각(b)을 이루도록 상기 인양벨트(40)와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부분에 구속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a)의 중앙부(51)에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a)의 단부(52)로의 기울기(a)가 지면을 기준으로 15~30°를 이루도록 배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That is, the lifting
이에 따라, 상기 하이브리드벨트(50)는 상기 인양벨트(40)의 인양시 상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전달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각면 중앙측을 상측으로 인양하되 다른 하이브리드벨트(50)로 원활하게 힘을 전달하여 상기 컨테이너백(3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이브리드벨트(150)에 보조인양벨트(170)가 결합되고, 상기 인양벨트(140)에 가이드벨트(16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150)의 일단부(151)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152)측에는 양단부(151,152)측을 구속하여 인양하도록 양단부(151,152)측을 연결하는 고리로 형성된 보조인양벨트(1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both ends 151 and 152 are constrained to lift both
그리고, 상기 인양벨트(140)에는 인양시 내측에 삽입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150)의 상측을 구속하여 가이드하도록 상기 각 인양벨트(140)의 양단부측을 연결하는 가이드벨트(160)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fting
상세히, 상기 보조인양벨트(170)는 한쌍의 하이브리드벨트(150)가 교차 결합된 부분의 상측 부분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인양벨트(170)는 상기 보조인양벨트(170)가 배치된 부분의 하이브리브벨트(151,152)를 연결하여 일측의 하이브리드벨트(151)로 전달된 힘이 교차 결합된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인양벨트(170)를 통해 타측의 하이브리드벨트(152)로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이에 따라, 상기 인양벨트(140)의 인양시 가해진 힘이 각 하이브리드벨트(150)로 전달되어 분산되며, 힘이 각 하이브리드벨트(150)로 전달될 때 각 하이브리드벨트(150)가 교차 결합된 부분과 상기 보조인양벨트(170)로 분산되므로 교차 결합된 부분의 몸체부(11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orce applied during the lifting of the lifting
한편, 네 모서리에 배치된 인양벨트(140)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대각 배치된 두개소의 인양벨트(140)를 인양하는 경우에 일 모서리에 배치된 인양벨트(140)에 가해진 힘은 상기 모서리와 인접한 면에 배치된 하이브리드벨트(150)로 전달되어 분산 지지 된다. On the other hand, without lifting the lifting
이때, 인양되지 않는 두개소의 인양벨트(140)에 위치된 상기 가이드벨트(160)는 상기 인양벨트(140)에서 분산된 힘에 의해 당겨지는 하이브리드벨트(150)에 의해 상측으로 인양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처럼, 또한, 상기 가이드벨트(160)는 상기 하이브리드벨트(150)의 상측 이동을 구속하여, 상기 하이브리드벨트(150)가 상측으로 인양될 때 인양되지 않는 상기 인양벨트(140)를 인양하며, 인양되지 않는 상기 인양벨트(140)와 상기 몸체부(110)가 결합된 부분으로 힘을 분산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백의 하중이 일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백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효과적인 하중 분산이 가능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파손 없이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다.As such, the
이처럼, 각 모서리에 배치된 인양벨트(140) 중에서 일부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몸체부(110)를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인양장비에 대응하여 손쉽게 인양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such, even if some of the lifting
또한, 컨테이너백(400)의 보관 및 적재상태에 따라 인양장비에 결속하기 쉬운 인양벨트(140)에 걸어 인양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and loading state of the
더욱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인양벨트(140) 중 일부가 인양장비에 제대로 결속되지 않더라도 몸체부(110)가 찢어지거나 벨트 결합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Moreover, even if some of the lift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300,400: 컨테이너백 1: 몸체
2: 로프슬리브 3: 로프
4: 본체 6: 벨트
10,110: 몸체부 20: 투입구
30: 배출구 40,140: 인양벨트
42: 보강부재 50,150: 하이브리드벨트
54: 보강덮개 160: 가이드벨트
170: 보조인양벨트100,200,300,400: Container bag 1: Body
2: rope sleeve 3: rope
4: body 6: belt
10, 110: body 20: inlet
30:
42: reinforcing
54: reinforcement cover 160: guide belt
170: auxiliary lifting belt
Claims (5)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인양벨트; 및
중앙부가 상기 각 인양벨트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각 인양벨트의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이브리드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의 일단부측은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측과 교차 배치되고,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의 일단부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측이 교차 배치된 부분의 상측에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하이브리드벨트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재봉되는 보강덮개가 구비되는 컨테이너백.In the container bag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contents therein, and an inlet and outlet for selectively opening the storage space,
A plurality of lifting belts conn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central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each lifting belt, both ends are spaced apar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lifting belt comprises a plurality of hybrid belt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ne end side of each hybrid belt is arranged intersecting with the other end side of the other hybrid belt disposed adjacent, and the upper sid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other hybrid belt arranged adjacent to one end side of each hybrid belt The container bag i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cover that is sewn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hybrid belt.
상기 몸체부는 사각 기둥으로 구비되되,
상기 각 인양벨트는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일면 중앙 상측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일면과 인접한 타면 중앙 상측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square pillar,
Each lifting belt is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body portion,
Each of the hybrid belts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central upper side of the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one surface.
상기 각 하이브리드벨트의 일단부측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하이브리드벨트의 타단부측에는 양단부측을 구속하여 인양하도록 양단부측을 연결하는 고리로 형성된 보조인양벨트가 구비되되,
상기 인양벨트에는 인양시 내측에 삽입된 상기 하이브리드벨트의 상측을 구속하여 가이드하도록 상기 각 인양벨트의 양단부측을 연결하는 가이드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other hybrid belt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side of each hybrid bel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lifting belt formed of a ring connecting both end sides to restrain both end sides to lift,
The lifting belt is a container bag,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guide belt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lifting belt to guide the restraint of the upper side of the hybrid belt inserted into the inside when lift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18632A KR101377055B1 (en) | 2013-10-04 | 2013-10-04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18632A KR101377055B1 (en) | 2013-10-04 | 2013-10-04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77055B1 true KR101377055B1 (en) | 2014-03-25 |
Family
ID=5064931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18632A Active KR101377055B1 (en) | 2013-10-04 | 2013-10-04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77055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59114B1 (en) * | 2014-08-06 | 2014-11-12 | 최용덕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multistage hyrid belt |
| KR101966970B1 (en) * | 2018-10-17 | 2019-04-08 | 최용덕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KR102018501B1 (en) | 2019-05-21 | 2019-09-05 | 박영숙 | Bulk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
-
2013
- 2013-10-04 KR KR1020130118632A patent/KR101377055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59114B1 (en) * | 2014-08-06 | 2014-11-12 | 최용덕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multistage hyrid belt |
| KR101966970B1 (en) * | 2018-10-17 | 2019-04-08 | 최용덕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KR102018501B1 (en) | 2019-05-21 | 2019-09-05 | 박영숙 | Bulk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365345B2 (en) | Method of lifting a load using a bag coupled to a lifting sling | |
| KR101922377B1 (en) | Baffle type container bag | |
| KR101874264B1 (en) | Container bag | |
| KR101696884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 KR101459113B1 (en) | container bag | |
| JP2013544715A (en) | Wire confinement structure including container and bag | |
| JP4959850B1 (en) | Flexible container bag | |
| KR101377055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 KR101966970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 JPH11334786A (en) | Carrying bag for heavy lifting equipment such as crane and forklift, and its use method | |
| KR101459114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multistage hyrid belt | |
| KR101609339B1 (en) | A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 |
| US20140154045A1 (en) | Flexible freight bag and method of transferring cargo using the same | |
| KR101803470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overlap-structured container bag and the container bag by the method | |
| JP2002225977A (en) | Flexible container | |
| EP3643642A1 (en) | Packaging bag | |
| KR102426062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 US20210198011A1 (en) |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 |
| JP3153193U (en) | Carrying bag for lifting equipment | |
| JP2020026279A (en) | Package suspension tool and cargo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 |
| JP3240001U (en) | Carrying bag for lifting equipment | |
| GB2488228A (en) | Flexible container | |
| WO2009027989A1 (en) | Builder's bags | |
| KR20130001244U (en) | Mesh for transport | |
| JP2560237Y2 (en) | Load suspender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0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