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78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handover of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broadcasting service matching handover progra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handover of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broadcasting service matching handover program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8783B1 KR101378783B1 KR1020120020661A KR20120020661A KR101378783B1 KR 101378783 B1 KR101378783 B1 KR 101378783B1 KR 1020120020661 A KR1020120020661 A KR 1020120020661A KR 20120020661 A KR20120020661 A KR 20120020661A KR 101378783 B1 KR101378783 B1 KR 1013787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 twin
- broadcast
- main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UIKCRXUQCSUJS-ZLRZYOKSSA-N [1-[[[(2r,3s,4s,5r)-5-(4-amino-2-oxopyrimidin-1-yl)-3,4-dihydroxy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hydroxyphosphoryl]-1-hydroxyethyl]phosph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P(O)(=O)OP(O)(=O)C(O)(P(O)(O)=O)C)O[C@H]1N1C(=O)N=C(N)C=C1 HUIKCRXUQCSUJS-ZLRZYOKS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IUGDTDEQHIWAS-UHFFFAOYSA-N sodium;[3-[[3-[(2-bromoacetyl)amino]phenoxy]-hydroxyphosphoryl]oxy-5-(5-methyl-2,4-dioxopyrimidin-1-yl)oxolan-2-yl]methyl [3-[(2-bromoacetyl)amino]phenyl] 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O=C1NC(=O)C(C)=CN1C1OC(COP(O)(=O)OC=2C=C(NC(=O)CBr)C=CC=2)C(OP(O)(=O)OC=2C=C(NC(=O)CBr)C=CC=2)C1 WIUGDTDEQHIW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 환경에서 수신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던 서비스 채널의 수신가능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기존 지역에서의 기존 방송서비스와 신규 진입한 지역에서의 방송서비스 간의 방송 데이터를 정밀하게 정합하면서 방송서비스의 핸드오버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지역의 이탈 이벤트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끊김없이 방송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기술을 제공한다.In the mobil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environment, when a receiving terminal leaves a receiving area of a service channel currently being serviced,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ly matches broadcasting data between an existing broadcasting service in an existing region and a broadcasting service in a newly entered region. By providing a handover of the service, even if there is a departure event of the service area, the broadcast service matching handover technology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broadcasting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 환경에서 수신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던 서비스 채널의 수신가능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기존 지역에서의 기존 방송서비스와 신규 진입한 지역에서의 방송서비스 간의 방송 데이터를 정밀하게 정합하면서 방송서비스의 핸드오버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지역의 이탈 이벤트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끊김없이 방송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기술을 제공한다.
In the mobil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environment, when a receiving terminal leaves a receiving area of a service channel currently being serviced,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ly matches broadcasting data between an existing broadcasting service in an existing region and a broadcasting service in a newly entered region. By providing a handover of the service, even if there is a departure event of the service area, the broadcast service matching handover technology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broadcasting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일반적으로 방송서비스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또는 아날로그 라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송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서비스는 텔레비전을 비롯하여 휴대폰 또는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휴대 이동 방송서비스인 중국 이동 방송서비스(China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일본의 지상파 DMB 방식의 표준인 ISDB-T 방식, 유럽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 등으로 전세계적으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In general, the broadcasting service started from broadcasting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alog television or analog radio signals and has now reached the stage of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Thes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includ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which is used for mobile phones or vehicles, as well as television, China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a mobile mobile broadcasting service developed by China,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in Japan. ISDB-T, the DMB standard, and 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T), the European digital broadcasting standard,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around the world.
이러한 디지털 방송서비스에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과 같이 이동성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에서는 휴대폰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하기 위한 수신단말을 가지고 사용자가 언제나 어디서든 방송수신이 가능하다.Such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are premised on mobility, such as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In such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a user can always receive a broadcast anytime and anywhere with a receiving terminal for viewing or listening to a mobile phone or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하지만,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는 채널 설정 내지는 방송서비스 설정이 지역(권역)별로 개별적으로 규정되어 있기에, 그에 따라 수신단말이 이동중에 채널별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계속해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현재 방송서비스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수신단말은 일반적으로 서비스 지역의 이탈을 감지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당해 선택된 주파수의 채널만을 재생 시도한다.However, in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setting or broadcasting service setting is individually defined for each region (region), and thus, when the receiving terminal leaves the service region for each channel while mov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cannot be continuously received. That is, in the case of leaving the service area of the current broadcast service, the receiving terminal generally does not detect the departure of the service area and continuously tries to reproduce only the channel of the selected frequency.
한편, 종래에도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있던 단말이 당해 방송서비스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수신단말이 이를 감지하고 자체적으로 인접한 채널들을 검색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처럼 인접한 채널을 검색하는 경우 단말은 검색된 인접 채널의 신호 중 가장 먼저 검색된 채널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현재 사용자가 어떠한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있었는가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가용 또는 버스 등의 다양한 이동 수단을 통해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 다른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이 자체적으로 설정하는 방송서비스를 일차로 수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when a terminal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leaves the service area of the broadcast service, the receiving terminal detects this and searches for adjacent channels by itself. When searching for an adjacent channel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searched channel among the signals of the searched adjacent channel. That is, it does not consider what channel the user currently selects and receives. 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out of the service area to another service area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a car or a bus, the user first receives a broadcast service set by the terminal.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 또는 청취하고 있던 방송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서비스 지역을 벗어날 때마다 전체 채널을 검색하고, 그 검색된 채널들 중 자신이 원하는 채널을 선택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만일 사용자가 자가용을 운전하는 중이라면 이러한 문제는 사고를 야기시킬 수 있는 위험요소가 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user is not provided with the same service as the broadcast service he is watching or listening to,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arch the entire channel whenever the user leaves the service area and select the desired channel among the searched channels. If the user is driving a car, the problem may be a risk that may cause an accident.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 환경에서 수신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던 서비스 채널의 수신가능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기존 지역에서의 기존 방송서비스와 신규 진입한 지역에서의 방송서비스 간의 방송 데이터를 정밀하게 정합하면서 방송서비스의 핸드오버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지역의 이탈 이벤트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끊김없이 방송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cisely match broadcast data between an existing broadcast service in an existing area and a broadcast service in a newly entered area when a receiving terminal leaves a receiving area of a service channel currently being serviced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environment. By providing a handover of the broadcast service while providing an exit event of the service area, the user is to provide a broadcast service matching handover technology that allows the user to enjoy the broadcast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현재 서비스 지역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튜너와 인접 지역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튜너를 구비한 튜닝부(210)가 마련된 수신단말의 지역이동에 대응하여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저장부(252); 수신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위치검출부(253); 튜닝부(210)의 메인튜너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이하, '메인서비스')와 튜닝부(210)의 서브튜너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이하, '트윈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부(220); 버퍼부(220)에 저장된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의 방송 데이터의 정합 판단 정보를 제공하고,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에 대한 스위칭을 제공하는 정합부(231); 저장부(252)의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채널/서비스 정보와 위치검출부(253)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튜너에서 수신되는 메인서비스와 동일한 방송서비스인 트윈서비스를 수신단말의 인접 지역에서 식별하고, 그 식별된 트윈서비스를 서브튜너가 수신하도록 튜닝부(210)를 제어하며, 정합부(231)로부터 정합 판단 정보를 제공받아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버퍼부(220)를 제어하며, 수신단말의 서비스 지역 이탈이 검출되는 경우에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가 스위칭되도록 정합부(231)를 제어하는 핸드오버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uning unit 210 having a main tuner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of the current service area and a sub-tuner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of an adjacent area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 environment A
이때, 정합부(231)는 정합 판단 정보로서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타이밍 편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정합부(231)로부터 제공된 타이밍 편차 정보에 대응하도록 버퍼부(220)에서 트윈서비스에 대한 버퍼 포인터를 이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합부(231)는 버퍼 오버플로우 및 버퍼 언더플로우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버퍼 오버플로우와 버퍼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서 타이밍 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atching unit 231 provides information on timing deviation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as match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and the handover control unit 240 corresponds to the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tching unit 231. In step 220,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uffer pointer for the twin service. In particular, when the matching unit 231 determines that matching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is impossible due to the possibility of a buffer overflow and a buffer underflow, the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may be limited to the extent that the buffer overflow and the buffer underflow do not occur.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또한, 위치검출부(253)는 수신단말의 현재 서비스 지역 및 이동 방향에 따른 진입 예상 지역을 위치 정보로서 제공하고,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메인튜너의 메인서비스에 대한 트윈서비스를 위치검출부(253)로부터 제공되는 진입 예상 지역에서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252)는 디지털 방송에 대한 지역별 동일 방송서비스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트윈서비스를 식별할 때 제 2 데이터베이스를 더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메인튜너와 서브튜너를 구비한 수신단말의 지역이동에 대응하여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수신단말의 메인튜너를 제어하여 현재 서비스 지역으로부터 방송서비스(이하, '메인서비스')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수신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제 3 단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채널/서비스 정보와 위 추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서비스와 동일한 방송서비스(이하, '트윈서비스')를 수신단말의 인접 지역에서 식별하는 제 4 단계; 그 식별된 트윈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서브튜너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의 방송 데이터의 정합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로 정합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정합 판단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트윈서비스의 버퍼를 제어하는 제 7 단계; 수신단말의 서비스 지역 이탈이 검출되는 경우에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를 스위칭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tched handover of a broadcast service in response to local movement of a receiving terminal having a main tuner and a sub tuner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A first step of setting up a database for storing service information per region; Controlling a main tuner of a receiving terminal to receive a broadcast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in service”) from a current service area; Estimating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receiving terminal; A fourth step of identifying a broadcast service (hereinafter, 'twin service') identical to the main service in an adjacent area of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channel / servic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database and the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ing a subtuner to receive the identified twin servic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roadcast data of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are matched and generating match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as a result; A seventh step of controlling a buffer of the twin service so that matching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is made based on the match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And an eighth step of switching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when the departure of the service area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detected.
이때, 제 6 단계의 정합 판단 정보는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타이밍 편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7 단계의 버퍼 제어는 타이밍 편차 정보에 대응하도록 트윈서비스에 대한 버퍼 포인터를 이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6 단계는 버퍼 오버플로우 및 버퍼 언더플로우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버퍼 오버플로우와 버퍼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서 타이밍 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단계는 수신단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른 진입 예상 지역을 위치 정보로서 제공하고, 제 4 단계는 메인서비스에 대한 트윈서비스를 제 3 단계에서 제공되는 진입 예상 지역에서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match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sixth step is configured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timing deviation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and the buffer control of the seventh step moves the buffer pointer for the twin service to correspond to the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In particular, the sixth step is to generate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that the buffer overflow and the buffer underflow do not occur when it is determined that matching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is impossible due to the possibility of buffer overflow and buffer underflow. It is desirable to. In addition, the third step is to provide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entry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ourth step is to identify the twin service for the main service in the expected entry area provided in the third step.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예: TDMB, CMMB, ISDB-T, DVB-T)에서 차량으로 여러 지역을 넘나드는 동안에 정교하게 정합된 방송서비스 핸드오버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지역 이탈 및 신규 진입 이벤트가 계속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시청중인 방송서비스를 끊김없이 즐길 수 있어 사용자 편이를 제고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해 이동형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area departure and a new entry event are provided by providing a precisely matched broadcast service handover while moving across multiple areas by vehicle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eg, TDMB, CMMB, ISDB-T, DVB-T). Despite the fact that the user continues to enjoy the broadcasting service that the user can enjoy without interruption, while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xpand the service area of the mobile digital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서로 상이한 두 지역(지역 A, B)에서의 지상파 DMB 서비스의 입수가능한 컨텐츠 정보를 정리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정합 핸드오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interna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ummarizing available content information of terrestrial DMB services in two different regions (regions A and B). FIG.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tched handover process for mobile digital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 대한 부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균등 또는 확장은 도면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hereto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exemplifi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KBS 방송을 송신하는 서버와 MBC 방송을 송신하는 서버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방송 서버에서 이들을 모두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개별 방송(예: KBS, MBC)을 송신하는 서버도 여러 개의 서버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First, the digital broadcasting providing server 10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The digital broadcasting providing server 1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erver or a plurality of servers. For example, a server for transmitting a KBS broadcast and a server for transmitting an MBC broadcast may be separately provided, or a single broadcast server may manage all of them. In addition, a server for transmitting individual broadcasts (eg, KBS, MBC) may also be composed of several server devices.
또한 지역에 따라서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는 동일 방송사라도 서로 다른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에서 전체의 지역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커버하여 KBS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대전/충청권 지역을 커버하는 KBS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서로 다른 서버가 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에서 하나의 방송 전체를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region, the digital broadcasting providing server 10 may operate different servers even from the same broadcaster, and may manage the entire region collectively in one digital broadcasting providing server 10. For example, a server providing the KBS broadcasting service covering Seoul and Gyeonggi area and a server providing the KBS broadcasting service covering the Daejeon / Chungcheong area may be different servers, or a single server may cover an entire broadcast. It can also be managed.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든 방송이 하나의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것처럼 도시하였다. 그러나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10)를 지역 또는 방송사들의 수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방송 서버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서버의 개수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지상파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에 관련된 항목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항에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broadcasts are shown as being provided through one digital broadcast providing server 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digital broadcast providing server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number of broadcast servers according to the region or the number of broadcasters. As described above, specific matters related to the number of broadcast servers are related to the design of a system for providing terrestrial digital services,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limit these matters.
제 1 방송 네트워크(20)와 제 2 방송 네트워크(30)는 지역에 따라 방송서비스의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방송 네트워크(20)가 대한민국의 서울과 경기 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하나의 네트워크라면, 제 2 방송 네트워크(30)는 대한민국의 대전과 충청권을 커버하기 위한 하나의 네트워크이다. The first broadcast network 20 and the second broadcast network 30 represent a network for delivering contents of a broadcast service according to a region. For example, if the first broadcast network 20 is one network for covering Seoul and Gyeonggi, South Korea, the second broadcast network 30 is one network for covering Daejeon and Chungcheong, Korea.
따라서 제 1 방송 네트워크(20)의 하위에는 각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를 그 중 하나의 예로 설정하였다. 또한 제 2 방송 네트워크(30)의 하위에도 각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제 2 디지털방송 송신기(50)를 그 중 하나의 예로 설정하였음에 유의하기로 하자.Accordingly,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providing respective broadcast service contents may exist below the first broadcast network 20. In FIG. 1, the first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40 is set as one of them.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providing respective broadcast service contents may exist below the second broadcast network 30. In FIG. 1, the second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50 is set as one of them. Let's do it.
이처럼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와 제 2 디지털방송 송신기(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지역을 커버하는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을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 내지 관련 장비들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40 and the second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50 are base stations or related equipment for transmitting broadcast service contents covering different regions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이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의 영역에서 디지털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은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서 검색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가 대한민국의 수도권 지역인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커버하는 디지털방송 송신기라 가정하면,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은 [도 3]과 같은 종류의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100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in such a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receives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contents in the region of the first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40. In this case,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rvice searched for in its desired area.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40 is a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covering Seoul and Gyeonggi, which are the metropolitan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100 is the type of broadcast service content as shown in FIG. Can be received.
[도 3]에는 대한민국의 영역 A(서울/경기 지역)와 영역 B(대전/충청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서비스 컨텐츠들에 대한 채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일 구현예로서 해당 서비스의 주파수 대역과 서비스 라벨(Serv Label) 서비스ID(Service ID), 서브채널 아이디(Shbch ID), 서비스 타입(Serv Type), 비트레이트(BitRate) 등을 함께 도시하고 있다. 영역 A와 영역 B를 대비하여 살펴보면, 예컨대 YTN 서비스의 경우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는 183.008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YTN'이라는 서비스 라벨으로 서비스되지만, 대전/충청권에서는 202.736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CJB-m YTN'이라는 서비스 라벨으로 제공된다.FIG. 3 shows channel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on broadcast service contents that can be received in area A (Seoul / Gyeonggi area) and area B (Daejeon / Chungcheong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frequency band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a service label (Serv Label), a service ID (Service ID), a subchannel ID (Shbch ID), a service type (Serv Type), and a bit rate are shown together. In contrast to Zone A and Zone B, for example, the YTN service is serviced with a service label of 'YTN' in the frequency band of 183.008 MHz in Seoul and Gyeonggi, but in the Daejeon / Chungcheong area 'CJB-m' in the frequency band of 202.736 MHz. YTN 'service label.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이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의 지역에 포함되어 [도 2]에 도시한 서비스들 중 하나의 서비스 예를 들어 서비스 라벨의 YTN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청취하고 있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리적으로 이동하여 제 2 디지털방송 송신기(50)의 지역으로 진입하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는 서로 상이한 앙상블과 상이한 주파수 등을 사용하게 된다.It is assumed that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100 is included in the region of the first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40 to listen to one of the services shown in FIG. 2, for example, YTN broadcasting service contents of the service label. . At this time, when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100 moves geographically and enters the region of the secon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50, as shown in FIG. 1, broadcast contents provided from different reg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ifferent frequencies may be used.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수신단말(100)은 예컨대 YTN 서비스를 시청하다가 제 1 디지털방송 송신기(40)의 지역(서울 및 경기)을 벗어나 제 2 디지털방송 송신기(50)의 지역(대전/충청권)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아예 방송서비스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인접한 채널(199.280 MHz)인 MBC11 FM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특히,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고 신규 진입하는 동안에는 일시적으로 수신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나오지 않게 되고, 새로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도 이전에 시청하던 것과는 대부분 상이한 것으로 설정되기 마련이다.Accordingly, the receiv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 example, watches the YTN service and then moves out of the region (Seoul and Gyeonggi) of the first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40 to the region of the second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50 (Daejeon / Chungcheong). In the case of entering, it does not receive a broadcast service at all, or receives a signal of MBC11 FM, which is the nearest channel (199.280 MHz), as shown in FIG. In particular, while leaving the service area and entering a new entry temporarily, the display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does not come out temporarily, and newly received broadcast contents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those previously viewed.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 수신단말(100)은 서비스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영역 A → 영역 B)에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튜너에서 입력되는 정보들을 토대로 비교 분석하여 양 영역에서 동일한 방송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방송서비스로 자연스럽게 연동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정합 제어(matching control)을 정교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서는 끊김없이(seamless) 방송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However,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tuners so as to correspond appropriately even when moving a service area (area A to area B), and compares them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each tuner. If the same broadcast service exists in both areas by analyzing, it is controlled to link with the corresponding broadcast service naturall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at a user continuously receives a seamless broadcast service by providing matching control in such a case.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2] 및 [도 4]을 참조하여 더 살펴보기로 하자.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functional interna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튜닝부(210)는 기본적으로 안테나(ANT)를 통해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버퍼부(22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튜닝부(210)가 2 개의 튜너, 즉 제 1 튜너(211)와 제 2 튜너(212)를 구비한다. 이러한 튜닝부(210)는 핸드오버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튜닝부(210)는 모두 동일한 안테나(ANT)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안테나(ANT)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 안테나(ANT)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The tuning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receives a broadcast service content through an antenna ANT, converts it into a baseband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buffer unit 2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ing unit 210 includes two tuners, that is, the first tuner 211 and the
본 발명에서 튜닝부(210)는 제 1 튜너(211)와 제 2 튜너(212)를 구비하는데, 이는 메인튜너와 서브튜너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메인튜너는 수신단말(100)이 현재 속하고 있는 서비스 지역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고, 서브튜너는 현재 서비스 지역과 인접하는 주변의 서비스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 1 튜너(211)와 제 2 튜너(212)가 메인튜너와 서브튜너의 역할을 고정적으로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번갈아가면서 메인튜너와 서브튜너의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제 1 튜너(211)가 메인튜너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 2 튜너(212)가 서브튜너의 역할을 담당하는 상황을 가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ing unit 210 includes a first tuner 211 and a
따라서 제 1 튜너(211)는 현재 서비스 지역에서의 방송서비스 컨텐츠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제 2 튜너(212)는 현재 방송서비스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 인접하는 주변 서비스 영역에 대한 주파수 대역을 탐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경우라면 제 2 튜너(212)는 그와 인접하는 서비스 지역인 대전/충청권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강원 지역으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그 서비스 지역에 대한 신호 수신을 수행한다. 즉, 해당 지역 외의 지역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first tuner 211 receives the signal of the broadcast service content in the current service area and converts it into a baseband signal, and the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역 A에서 YTN 방송서비스는 183.008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YTN DMB'라는 앙상블 라벨과 'YTN'이라는 서비스 라벨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한편, 영역 B를 살펴보면 202.736 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TBJ u'라는 앙상블 라벨과 'CJB-m YTN'이라는 서비스 라벨로 제공되는 방송서비스가 발견되는데, 영역 B의 'CJB-m YTN' 방송서비스는 영역 A의 'YTN' 방송서비스와 동일한 컨텐츠일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사용자가 영역 A에서 'YTN' 방송서비스를 시청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제 1 튜너(211)는 'YTN' 방송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편이상 이를 '메인서비스'라고 부른다. 또한, 제 2 튜너(212)는 영역 B에 대해 'CJB-m YTN' 방송서비스를 수신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편이상 '트윈서비스'라고 부른다.Referring to FIG. 3, in the region A, the YTN broadcasting service is serviced by an ensemble label of 'YTN DMB' and a service label of 'YTN' in the frequency band of 183.008 MHz. On the other hand, in area B, a broadcasting service provided with an ensemble label of 'TBJ u' and a service label of 'CJB-m YTN' is found in a frequency band of 202.736 MHz. The broadcasting service of 'CJB-m YTN' of area B is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is the same as the 'YTN' broadcasting service in the area A. Assuming that the user is currently watching the 'YTN' broadcast service in the area A, the first tuner 211 is receiving the 'YTN' broadcast service, which is referred to herein as the 'main service'. In addition, the
버퍼부(220)는 튜닝부(210)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앞서 튜닝부(210)의 제 1 튜너(211)와 제 2 튜너(212)에 대응하도록 제 1 버퍼(221)와 제 2 버퍼(222)를 구비한다. 제 1 버퍼(221)는 제 1 튜너(211)에서 수신된 메인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임시 저장하며, 제 2 버퍼(222)는 제 2 튜너(212)에서 수신된 트윈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임시 저장한다.The buffer unit 220 is a componen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ata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provided by the tuning unit 210. The buffer unit 220 corresponds to the first tuner 211 and the
정합부(231)는 제 1 버퍼(221)과 제 2 버퍼(22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 데이터의 정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역이동에 대응하여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튜너(211)(즉, 메인튜너)에서 메인서비스를 수신하는 한편, 제 2 튜너(212)(즉, 서브튜너)에서는 인접 지역에 대해 트윈서비스를 수신한다. 정합부(231)는 제 1 버퍼(221)로부터 전달되는 메인서비스의 방송데이터와 제 2 버퍼(222)로부터 전달되는 트윈서비스의 방송데이터를 비교하여 정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matching unit 231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data received from the
동일한 컨텐츠라 하더라도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에는 시간 차가 존재하는데, 후술하는 바에 따라 버퍼부(220)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그러한 시간차를 해소하고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를 정합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것이다. 만일 정합이 가능한 경우라면 정합부(231)는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타이밍 편차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핸드오버 제어부(240)로 제공한다. 즉,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에 시간적으로 누가 얼마나 앞서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반대로 시간 차가 너무 커서 이를 해소하려고 하다가는 버퍼부(230)에서 오버플로우나 언더플로우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경우라면 정합부(231)는 정합이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아니면 버퍼 오버플로우나 버퍼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서 타이밍 편차 정보를 생성하여 핸드오버 제어부(240)로 제공한다. 한편,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타이밍 편차는 방송데이터의 비트스트림 헤더에 포함된 정보(예: 타임스탬프, 전용 필드)로부터 판단할 수 있으며, 다른 수단, 예컨대 픽쳐(프레임)에 대한 식별자를 인식한다거나 아니면 I-픽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제로 디코딩하여 비교함으로써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Even for the same content,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for various reasons. As described below, the control of the buffer unit 220 eliminates the time differen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can be matched. . If the matching is possible, the matching unit 231 generates information on timing deviation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and provides it to the handover control unit 240. In other words, it provides information on who is ahead of time and how much between main service and twin service. On the contrary, if there is a risk that overflow or underflow occurs in the buffer unit 230 while trying to solve the time difference because it is too large, the matching unit 231 provides informa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match, or otherwise buffer overflow or buffer under.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handover controller 240 as long as no flow occurs. Meanwhile, the timing deviation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may be determined from information (eg, a time stamp and a dedicated field) included in the bitstream header of the broadcast data, and may recognize an identifier for another means, for example, a picture (frame). 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by actually decoding and comparing some or all of the I-pictures.
또한, 정합부(231)는 제 1 버퍼(221)로부터 제공되는 방송데이터와 제 2 버퍼(222)로부터 제공되는 방송데이터 간에 스위칭을 제공하여 그 선택된 방송데이터만 디코더부(232)로 제공한다. 정합부(231)가 어떠한 방송데이터를 선택할 것인지는 핸드오버 제어부(240)가 제어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수신단말(100)이 지역이동을 통해 서비스 지역 이탈을 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수신하는 방송서비스가 더이상 사용 불가하므로 핸드오버 제어부(240)가 미리 트윈서비스로 준비해둔 방송데이터로 스위칭을 한다. 일단 이렇게 스위칭을 하게 되면 이전의 트윈서비스가 메인서비스로 변경되고 이전에 트윈서비스를 수신하던 제 2 튜너(212)가 메인튜너로 된다. 반면, 스위칭 이전의 메인서비스는 삭제되거나 임시 트윈서비스로 되면서 점차로 새롭게 트윈서비스를 탐색하며, 또한 스위칭 이전에 메인서비스를 수신하던 제 1 튜너(211)는 서브튜너로 된다.In addition, the matching unit 231 provides a switching between the broadcast data provided from the
디코더부(232)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복호한다. 디코더부(232)는 내부에 하나의 코덱을 가질 수도, 서로 다른 2개의 코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오디오 코덱과 비디오 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을 별개의 칩셋으로 구현할 수 있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오디오 코덱과 비디오 코덱이 일체로 구현된 단일 칩셋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디코더부(232)에서 생성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SPK)로 출력되며, 비디오 신호는 화면 제공부(233)로 출력된다.The
화면 제공부(233)는 사용자에게 이동형 디지털 방송서비스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LCD, 브라운관, LED 패널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Th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1)는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키 매트릭스 형태, 키패드 형태, 터치 패드 형태, 음성인식 모듈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The
위치 검출부(253)는 수신단말(1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GPS 등과 같이 정확한 위치측정 모듈을 구비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방송신호의 수신강도 체크나 TPEG 신호 분석 등을 통해 수신단말(100)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사용자의 음성은 인식하는 등의 방법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외부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추가로, 위치 검출부(253)는 수신단말(100)이 현재 속해있는 서비스 지역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이동중인 방향에 관한 정보를 통해 진입예상 지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중인 방향에 관한 정보는 GPS 모듈을 통해 얻을 수도 있고 나침반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위치 검출부(253)가 진입예상 지역을 알려주면 서브튜너가 트윈서비스를 검색하는 것이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저장부(252)는 디지털 방송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 1 데이터베이스(DB-1)와 제 2 데이터베이스(DB-2)를 구비한다. 먼저, 제 1 데이터베이스(DB-1)는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데, 예컨대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은 각종의 정보가 해당된다. 제 2 데이터베이스(DB-2)는 디지털 방송에 대한 지역별 동일 방송서비스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한다. 즉, 디지털 방송 컨텐츠 별로 지역별로 어떠한 방송서비스에 해당되는지 미리 정리하여 매핑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서비스에 대응되는 트윈서비스를 식별해야 하는데, 제 2 데이터베이스(DB-2)가 구비된 경우에는 이러한 식별과정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데이터베이스(DB-2)가 없는 경우에는 제 1 데이터베이스(DB-1)로부터 트윈서비스를 식별해야 하는데, 앙상블 라벨과 서비스 라벨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거나 서비스 ID의 하위 8비트를 참조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윈서비스 식별과정은 후술하는 핸드오버 제어부(2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수신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메인서비스에 대한 트윈서비스를 식별하고, 튜닝부(210)의 제 1 튜너(211)와 제 2 튜너(212)를 제어하여 상이한 서비스 지역에서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정합부(231)로부터 정합 판단 정보를 제공받아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버퍼부(220)를 제어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합부(231)로부터 타이밍 편차 정보를 제공받고, 이에 대응하도록 버퍼부(220)에서 트윈서비스에 대한 버퍼 포인터를 이동 제어한다. 이는 트윈서비스에 대한 재생시점을 조금 당기거나 아니면 조금 늦추거나 함으로써 메인서비스와의 재생 타이밍을 최대한 정합하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이후에 스위칭을 하더라도 사용자가 전혀 그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The handover control unit 24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00. In particular, it identifies a twin service for the main service and controls the first tuner 211 and the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디지털 방송에 대한 정합 핸드오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므로, [도 4]를 참조해서는 개략적인 프로세싱 흐름만 살펴보기로 한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tching handover process for mobile digital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only a schematic processing flo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을 참조하면, 먼저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S300)단계에서 수신단말(100)의 메인튜너(211)를 제어하여 현재 서비스 지역으로부터 방송서비스(메인서비스)를 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4, first, the handover controller 240 controls the main tuner 211 of the receiving terminal 100 in step S300 to receive a broadcast service (main service) from the current service area.
이어서, 수신단말(100)이 현재 속해 있는 서비스 지역 부근의 인접 지역에 대해서 예컨대 미리 마련해둔 제 1 데이터베이스(DB-1)를 참조하여 채널/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S302), 이러한 채널/서비스 정보와 수신단말(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서비스와 동일한 방송서비스(트윈서비스)를 수신단말(100)의 인접 지역에서 식별한다(S304).Subsequently, the receiver terminal 100 acquires channel / servi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neighboring area near the service area to which the reception terminal 100 currently belongs, for example, by referring to the first database DB-1 prepared in advance (S302). And the same broadcast service (twin service) as the main service is identified in the adjacent area of the receiving terminal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00 (S304).
그리고 나서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그 식별된 트윈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서브튜너(212)를 제어한다.The handover control unit 240 then controls the
이후에, 수신단말(100)이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면(S308), 정합부(231)를 통해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가 정합이 가능한지를 살펴(S310), 만일 정합이 가능하다면 이전에 수신하던 방송서비스(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데이터 정합을 수행한다(S312). 이때, 데이터 정합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지역 이탈이 검출된 이후에 수행할 수도 있고, 미리미리 데이터 정합을 해두었을 수도 있다. 이 두가지 방식은 각자 장단점이 있으므로 구현 환경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Thereafter, if the receiving terminal 100 detects whether it leaves the service area (S308), the matching unit 231 determines whether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can be matched (S310), and if matching is possible, Data matching between the broadcast servic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which has been received, is performed (S312). In this case, the process of performing data ma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the departure of the service area is detected as shown in FIG. 4, or the data matching may be performed in advance. Both approaches have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o you can choose one depending on your implementation.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데이터 정합이 완료되면 방송서비스를 스위칭하여 트윈서비스가 디코더부(232)로 제공되어 화면 제공부(233)로 제공된다. 즉, 트윈서비스가 메인서비스로 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스위칭 이전에 서브튜너였던 제 2 튜너(212)가 메인튜너로 되고, 스위칭 이전에 메인튜너였던 제 1 튜너(211)는 서브튜너로 된다.
When data matching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is completed, the broadcasting service is switched to provide the twin service to th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디지털방송 제공 서버
20, 30 : 방송 네트워크
40, 50 : 디지털방송 송신기
100 : 디지털방송 수신단말
ANT : 안테나
210 : 튜닝부
211 : 제 1 튜너
212 : 제 2 튜너
220 : 버퍼부
221 : 제 1 버퍼
222 : 제 2 버퍼
231 : 정합부
232 : 디코더부
233 : 화면 제공부
SPK : 스피커
240 : 제어부
251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52 : 저장부
253 : 위치검출부10: digital broadcasting providing server
20, 30: broadcasting network
40, 50: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100: digital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T: Antenna
210: tuning unit
211: first tuner
212: second tuner
220: buffer unit
221: first buffer
222: second buffer
231: matching part
232: decoder
233: screen provider
SPK: Speaker
240:
251: user interface unit
252: storage unit
253 position detection unit
Claims (10)
상기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저장부(252);
상기 수신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위치검출부(253);
상기 튜닝부(210)의 메인튜너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이하, '메인서비스')와 상기 튜닝부(210)의 서브튜너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이하, '트윈서비스')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부(220);
상기 버퍼부(220)에 저장된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의 방송 데이터에 대해 타이밍 편차 정보를 포함하는 정합 판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에 대한 스위칭을 제공하는 정합부(231);
상기 저장부(252)의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채널/서비스 정보와 상기 위치검출부(253)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튜너에서 수신되는 메인서비스와 동일한 방송서비스인 트윈서비스를 상기 수신단말의 인접 지역에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트윈서비스를 상기 서브튜너가 수신하도록 상기 튜닝부(210)를 제어하며, 상기 정합부(231)로부터 정합 판단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타이밍 편차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퍼부(220)에서 상기 트윈서비스에 대한 버퍼 포인터를 이동 제어하여 상기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버퍼부(220)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단말의 서비스 지역 이탈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가 스위칭되도록 정합부(231)를 제어하는 핸드오버 제어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a tuning unit 210 having a main tuner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in a current service area and a subtuner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in an adjacent area is provided to cope with local movement of a receiving terminal.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atched handover,
A storage unit 252 having a first database for storing channel / service inform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for each region;
A position detector 253 for estim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Broadcast data of a digital broadcast signal (hereinafter, 'main service') provided from the main tuner of the tuning unit 210 and a digital broadcast signal (hereinafter, 'twin service') provided from a sub-tuner of the tuning unit 210. A buffer unit 220 for storing the;
A matching unit 231 for providing match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on the broadcasting data of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stored in the buffer unit 220 and providing switching for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Receiving the twin service which is the same broadcast service as the main service received by the main tuner based on the channel / servi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database of the storage unit 252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ocation detector 253. Identify the neighboring area of the terminal, control the tuning unit 210 to receive the identified twin service by the subtuner, and receive match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atching unit 231 to correspond to the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When the buffer unit 220 controls the buffer unit 220 to match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by moving and controlling the buffer pointer for the twin service, and when the service area devi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detected. A handover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the matching unit 231 to switch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Apparatus for providing a matched handover of a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comprising a.
상기 정합부(231)는 버퍼 오버플로우 및 버퍼 언더플로우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상기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버퍼 오버플로우와 버퍼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서 상기 타이밍 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atching unit 231 determines that matching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is impossible due to the possibility of a buffer overflow and a buffer underflow, the timing deviation is limited so long as the buffer overflow and the buffer underflow do not occur. Apparatus for providing a matched handover of a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information.
상기 위치검출부(253)는 상기 수신단말의 현재 서비스 지역 및 이동 방향에 따른 진입 예상 지역을 상기 위치 정보로서 제공하고,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상기 메인튜너의 메인서비스에 대한 상기 트윈서비스를 상기 위치검출부(253)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진입 예상 지역에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location detection unit 253 provides an entry expected area according to a current service area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handover control unit 240 identifies the twin service for the main service of the main tuner in the entry predicted area provided by the location detector 253, and a matching hand of a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Device for providing overs.
상기 저장부(252)는 상기 디지털 방송에 대한 지역별 동일 방송서비스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240)는 상기 트윈서비스를 식별할 때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를 더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torage unit 252 further includes a second database for storing a mapping table for the same broadcast service for each region of the digital broadcast.
The handover control unit (240)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atched handover of a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based on the second database when identifying the twin service.
상기 디지털 방송에 대한 채널/서비스 정보를 지역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신단말의 메인튜너를 제어하여 현재 서비스 지역으로부터 방송서비스(이하, '메인서비스')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수신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채널/서비스 정보와 상기 추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서비스와 동일한 방송서비스(이하, '트윈서비스')를 상기 수신단말의 인접 지역에서 식별하는 제 4 단계;
상기 식별된 트윈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상기 서브튜너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상기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의 방송 데이터의 정합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로 타이밍 편차 정보를 포함하는 정합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상기 타이밍 편차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퍼부(220)에서 상기 트윈서비스에 대한 버퍼 포인터를 이동 제어하여 상기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트윈서비스의 버퍼를 제어하는 제 7 단계;
상기 수신단말의 서비스 지역 이탈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를 스위칭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matched handover of a broadcast service in response to local movement of a receiving terminal having a main tuner and a sub tuner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A first step of setting a database for storing channel / service information for the digital broadcasting by region;
A second step of controlling a main tuner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receive a broadcast service (hereinafter, 'main service') from a current service area;
Estim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 fourth step of identifying a broadcast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win service') as the main service in an adjacent reg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channel / servic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atabase and the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Controlling the subtuner to receive the identified twin service;
A six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match broadcast data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and as a result, generating match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A seventh step of controlling the buffer of the twin service to match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by moving and controlling a buffer pointer for the twin service in the buffer unit 220 to correspond to the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An eighth step of switching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when the service area devi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detected;
Method for providing a matched handover of a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comprising a.
상기 제 6 단계는 버퍼 오버플로우 및 버퍼 언더플로우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상기 메인서비스와 트윈서비스 간의 정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버퍼 오버플로우와 버퍼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서 상기 타이밍 편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ixth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matching between the main service and the twin service is impossible due to the possibility of a buffer overflow and a buffer underflow, the timing devi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unless buffer overflow and buffer underflow occur. A method for providing a matched handover of a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generating.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수신단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른 진입 예상 지역을 상기 위치 정보로서 제공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메인서비스에 대한 상기 트윈서비스를 상기 제 3 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진입 예상 지역에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third step may be provid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estimated area of entry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fourth step is to identify the twin service for the main service in the entry prediction area provided in the third step, the method for providing a matched handover of a broadcast service in a mobil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0661A KR101378783B1 (en) | 2012-02-28 | 2012-02-2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handover of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broadcasting service matching handover program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0661A KR101378783B1 (en) | 2012-02-28 | 2012-02-2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handover of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broadcasting service matching handover program for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98826A KR20130098826A (en) | 2013-09-05 |
| KR101378783B1 true KR101378783B1 (en) | 2014-03-27 |
Family
ID=4945055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20661A Active KR101378783B1 (en) | 2012-02-28 | 2012-02-2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handover of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broadcasting service matching handover program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7878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96589B1 (en) * | 2023-01-17 | 2025-04-17 | 주식회사 효림엑스이 |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updating radio frequency during vehicle driving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13186A (en) * | 2006-08-07 | 2008-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Handover Device and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KR20080035196A (en) * | 2006-10-18 | 2008-04-23 | 김종부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with Service Frequency Change Function |
| KR20090076705A (en) * | 2008-01-09 | 2009-07-1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UE performing handover in mobile digital broadcasting |
| KR20100055745A (en) * | 2008-11-18 | 2010-05-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mb service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base on position information, cont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
-
2012
- 2012-02-28 KR KR1020120020661A patent/KR1013787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13186A (en) * | 2006-08-07 | 2008-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Handover Device and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KR20080035196A (en) * | 2006-10-18 | 2008-04-23 | 김종부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with Service Frequency Change Function |
| KR20090076705A (en) * | 2008-01-09 | 2009-07-1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UE performing handover in mobile digital broadcasting |
| KR20100055745A (en) * | 2008-11-18 | 2010-05-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mb service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base on position information, cont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98826A (en) | 2013-09-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049799B2 (en) |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 |
| US7475418B2 (en)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cating programs after relocation | |
| JP4386934B2 (en) |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 |
| JP4176519B2 (en) |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 US6925289B2 (en) | Broadcast receiver and channel scanning method | |
| US7801479B2 (en) |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n a weak electromagnetic field reg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 |
| US8521236B2 (en) |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mobile broadcast services and channel control method therefor | |
| JP5205831B2 (en) |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 KR10137878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tching handover of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broadcasting service matching handover program for the same | |
| US20050278752A1 (en) | Automatic tuning system for a mobile DVB-T receiver | |
| KR100693653B1 (en) | How to Implement Service Map When Tuning Channels to Terrestrial DMW Receiver | |
| KR100845523B1 (en)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with Service Frequency Change Function | |
| KR10130493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inking broadcasting service of neighbor-channels in mobi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broadcasting service auto-linking program for the same | |
| KR100772652B1 (en) | High speed channel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 |
| KR101325833B1 (en) | Broadcasting receive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080043038A (en) | Handover Device and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 |
| JP2008136069A (en) | Automatic channel switching system | |
| KR101759964B1 (en) | Method of providing Audio/Video seamless handover of TDMB broadcasting | |
| KR100987001B1 (en) | A broadcas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visually display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a DM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a broadcas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0737096B1 (en) | Channel Search Method in DMC Receiver | |
| KR100745252B1 (en) | Selective reception method of program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
| KR100979563B1 (en)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andover Method and System Us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by Region | |
| JP2004336093A (en) | Broadcast receiver | |
| KR100921010B1 (en) |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VD) channel search metho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VD) receiver,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 |
| KR100739738B1 (en) |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receiving device having dual display and receiving device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