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576B1 -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2576B1 KR101372576B1 KR1020130003112A KR20130003112A KR101372576B1 KR 101372576 B1 KR101372576 B1 KR 101372576B1 KR 1020130003112 A KR1020130003112 A KR 1020130003112A KR 20130003112 A KR20130003112 A KR 20130003112A KR 101372576 B1 KR101372576 B1 KR 1013725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ng
- backswing
- main shaft
- lever
- pract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20 rhythm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3 coating (rubb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34—Handles with the handle axis different from the main axis of the impl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5/00—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스윙 연습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스윙 연습시 백스윙의 정확도 유지, 골프채와 어깨와의 적정한 간격, 양손 그립 상태에서의 양팔의 배치상태, 백스윙의 속도, 스윙궤도의 유지와 피니쉬스윙의 정확도 등 다양한 스윙동작을 보다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동상태는 가이드레버(9)와 연결된 구동레버(8)가 연결부재(6)의 케이싱 속에서 고정핀(23)으로 축 설치됨으로써 본체샤프트(1)에 대해 90도로 개방되거나 본체샤프트(1)와 평행한 상태로 고정홀더(4) 측에 접혀지는 2단의 작동시스템을 유지하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swing practice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maintain the accuracy of the backswing during golf swing practice, the proper distance between the golf club and the shoulder, the arrangement of both arms in the grip state of both hands, the speed of the backswing, the maintenance of the swing trajectory It is to enable more effective and active practice of various swing movements such as accuracy of finish swing and finish swing.
The basic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rive lever (8) connected to the guide lever (9) is installed in the casing of the connecting member (6) by the fixing pin (23) is opened to the body shaft (1) by 90 degrees or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a configuration that maintains a two-stage operating system that is folded on the fixed holder 4 side in a state parallel to the shaft 1.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스윙 연습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스윙 연습시 백스윙의 정확도 유지, 골프채와 어깨와의 적정한 간격, 양손 그립상태에서의 양팔의 배치상태, 백스윙의 속도, 스윙궤도의 유지와 피니쉬스윙의 정확도 등 다양한 스윙동작을 보다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swing practice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maintain the accuracy of the backswing during golf swing practice, the proper distance between the golf club and the shoulder, the arrangement of both arms in the grip state of both hands, the speed of the backswing, the maintenance of the swing trajectory It is to enable more effective and active practice of various swing movements such as accuracy of finish swing and finish swing.
종래에는 골프스윙 연습기구로써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골프스윙 연습용 본체샤프트가 백스윙시 골프채와 어깨와의 적정한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부러진 형태의 가이드레버를 일체화된 굴곡 구조로 구성한 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된바 있으나, 이는 백스윙의 정지된 상태만을 숙련시키기 위한 단순한 용도로 밖에는 사용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널리 보편화되지 못하였다.Conventionally, as illustrated in FIG. 8, as the golf swing training mechanism, the main body of the golf swing training shaft is formed of an integrated bending structure with a guide lever having a curved shape for maintaining a proper distance between the golf club and the shoulder during the back swing. However, this is a simple use only for the purpose of skilled 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backswing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re is no use effect, it was not generally widely used.
바람직하기로는 백스윙의 정확한 동작에 연이어서 연속적인 스윙동작으로 백스윙과 다운스윙, 그리고 피니쉬스윙을 하나의 사이클로 연습하는 기구가 필요하나 이러한 입체적이고, 능률적인 골프스윙 연습기구는 전 세계적으로도 개발된 바가 없었다.
It is desirable to have a mechanism to practice the backswing, downswing, and finish swing in one cycle with continuous swing movements following the correct movement of the backswing. However, these three-dimensional, efficient golf swing exercises have been developed worldwide. There was no bar.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골프채의 클럽헤드 무게(웨이트)를 그대로 느끼면서 백스윙의 정확도를 유지하고, 백스윙에 연이어서 다운스윙과 피니쉬스윙을 실전에서와 같이 원활하게 연습할 수 있는 가이드레버 가변형 타입의 새로운 골프스윙 연습기구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s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ile maintaining the accuracy of the backswing while feeling the clubhead weight (weight) of the golf club, and guides that can be smoothly practiced downswing and finish swing as in practice after the backswing The new golf swing training device of the lever variable type was developed.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본체샤프트의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웨이트가 선단에 착설된 내부지지관을 슬라이딩 상태로 내장하여 후크핀과 걸림공에 의하여 노출길이가 조절되게 하고, 본체샤프트의 중간에는 연결부재를 고정하여 가이드레버가 연결된 구동레버를 연결부재 내에서 고정핀에 의해 90도 위치에서 개폐 지지되도록 구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the weight having a hollow portion inside the main body shaft is built in the inner support tube in the sliding state in the sliding state to adjust the exposure length by the hook pin and the engaging hole, in the middle of the main shaft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is configured to open and support the driving lever connected to the guide lever in a 90 ° position by the fixing pin in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연결부재의 저면에 슬라이드클립을 형성하여 본체샤프트에 고정된 고정클립에 슬라이드 식으로 착탈되게 결합하여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한다.
In addition, by forming a slide clip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clip fixed to the main shaft to be fixed by a fixing bolt.
본 발명의 골프스윙 연습기구는 어깨받침 기능을 가지는 가이드레버를 본체 샤프트에 고정 설치하지 않고 이를 가변형 타입으로 설치하여, 백스윙시에는 가이드레버가 어깨 부위에 지지(받침)작용을 하여 본체샤프트와 어깨 간의 적정한 간격유지 및 양손 그립상태에서의 양팔의 위치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연이어서 본체샤프트를 실제의 골프채(클럽)와 같이 샤프트 헤드의 무게를 적당히 느끼면서 다운스윙과 피니쉬스윙을 마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스윙궤도 전체를 실전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Golf swing practic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ariable type without the guide lever having a shoulder support fixed to the main shaft, the back lever during the back swing (support) acts 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body shaft and shoulder Maintain proper spacing of the liver and the position of both arms in the state of the two-hand grip to the most optimal state, followed by the downswing and the body shaft while feeling the weight of the shaft head moderately like a real golf club (club) It is to guide the finish swing so that you can practice the entire swing trajectory.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레버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레버가 접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내부지지관의 인출 전 상태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내부지지관의 인출 후 상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샤프트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동레버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8은 종래의 스윙연습기구의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lever fold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state cross-sectional view before withdrawal of the inner suppor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state cross-sectional view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ner suppor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shaf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driv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llustration of a conventional swing exercise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것으로, 외관구성은 골프스윙 연습을 위한 스윙 샤프트인 본체샤프트(1)에 위치가 가변형 타입으로 변화될 수 있는 가이드레버(9)를 결합한 착탈식 구조의 구동레버(8)로 이루어진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configuration is a drive lever of the removable structure coupled to the
상기 본체샤프트(1)의 상단에는 연질 합성수지제로 되는 그립(12)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중공부(3)를 갖는 웨이트(2)가 결합된다.A
상기 구성 중 가이드레버(9)는 스테인레스 또는 고강도 알미늄합금봉 등으로 구성되고, 그립(12)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스테인레스 관체로 구성된다.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본체샤프트(1)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작동되는 내부지지관(21)이 삽입되어 그 하단측에 웨이트(2)와 결착되며, 상단은 스토퍼링(22)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다시 내부지지관(21)의 내부에는 후크핀(17)이 탄지스프링(16) 외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이 후크핀(17)이 본체샤프트(1)의 중간에 천공한 수개의 걸림공(11)에 상호 결합되어 웨이트(2)부가 밖으로 빠져나와 내부지지관(21)의 노출 길이가 다단식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An
본체샤프트(1)의 중간위치에는 고정클립(5)이 용접식으로 부착되며, 이 고정클립(5)에는 구동레버(8)가 고정핀(23)으로 결합된 사각 연결부재(6)가 슬라이드 클립(7)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식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한다.In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main shaft (1), a fixing clip (5) is attached by welding, and the fixing clip (5) is a square connecting member (6), in which the drive lever (8) is coupled with the fixing pin (23), slides. The
또한 슬라이드클립(7)의 후방에는 고정볼트(15)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고정클립(5)이 본체샤프트(1) 측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6)의 전방에는 구동레버(8)의 전방에 고정한 결합편(81)이 상호 홀딩될 수 있도록 고정홀더(4)를 고정하여, 구동레버(8)가 전방으로 접혀졌을 시 고정홀더(4)에 결합편(81)이 결합되어 접힌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구동레버(8)의 내측단에는 스프링(19)에 탄지되는 스토퍼볼(18)을 내설하여, 이 스토퍼볼(18)이 연결부재(6)와 슬라이드클립(7) 측 대향위치에 천공한 스토퍼홈(20)에 지지되도록 하여, 구동레버(8)의 접힌상태와 펼친상태가 90도 각도에서 교대로 스토핑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a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작용효과 및 사용방법을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effect and method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동상태는 가이드레버(9)가 연결된 구동레버(8)가 연결부재(6)의 케이싱 속에서 고정핀(23)으로 축 설치됨으로써 본체샤프트(1)에 대해 90도로 개방되거나 본체샤프트(1)와 평행한 상태로 고정홀더(4) 측에 접혀지는 2단의 작동시스템을 유지하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The basic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rive lever (8) to which the guide lever (9) is connected is opened in the casing of the connecting member (6) by the fixing pin (23) to open the body shaft (1) by 90 degrees or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a configuration that maintains a two-stage operating system that is folded on the fixed
또한 이러한 2단 작동시 상기 스토퍼볼(18)이 90도 작동상태를 교대로 스토핑 지지시키는 구성이 또 다른 특징적 구성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wo-stage operation, the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스윙연습기구의 사용방법 및 작동기능을 도 7의 스윙동작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wing operation diagram of Figure 7 using the method and oper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wing practice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골프스윙 자세는 그립(12)의 정확한 클랩핑 후 스덴스 자세에서 일정 속도로 서서히 백스윙을 하여 적정높이의 백스윙 탑(back swing top)의 위치를 형성한 후, 부드럽게 다운스윙을 거쳐 스덴스 위치로 돌아왔다가 다시 팔로우스윙으로 연결하는 리드미컬한 스윙동작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좋은 스윙자세를 결정하는데에는 백스윙의 자세, 백스윙 탑에 이르렀을 때 골프채와 어깨 간의 거리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또한 어깨의 회전각도와 골프클럽 간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The golf swing posture is slowly backswing at a constant speed in the sudense posture after accurate clamping of the
이러한 백스윙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종래에도 도 8과 같이 어깨받침 절곡부를 형성한 백스윙 자세 연습기구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는 골프클럽을 실전적으로 사용하는 현장감 있는 연습을 할 수 없고 다만 백스윙시 골프채와 어깨 간의 거리를 유지 안내하는 연습기구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such a backswing, a backswing posture exercise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which has formed a shoulder support bent portion as shown in FIG. 8, but it is not possible to practice realistically using a golf club.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be used only as a guide to maintain the distance.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상기 특징적인 구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샤프트(1)에 구동레버(8)를 착탈이 가능한 절첩식으로 연결하고 본체샤프트(1)의 하부에 실제 골프클럽과 동일한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웨이트(2)를 설치함으로써, 스윙 동작시 원심력을 부여하여 리드미컬한 스윙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백스윙에서부터 다운스윙, 팔로우스윙과 피니쉬스윙에 이르기까지 풀스윙동작을 동시에 연습 및 숙련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ocusing on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평상시에는 본체샤트프(1)의 고정홀더(4) 측에 구동레버(8)의 결합편(81)이 상호결합되어 구동레버(8)와 가이드레버(9)가 본체샤프트(1)에 접힌 상태가 되고, 연습시에는 구동레버(8)를 본체샤프트(1)로부터 90도로 전개시켜 사용한다. 이때 고정핀(23)에 회전지지되는 구동레버(8)는 내측단에 스토퍼볼(18)이 스프링(19)에 탄력지지되어 스토퍼홈(20)에 지지되므로 절첩상태와 90도 전개상태가 절도있게 구분 감지되며 90도 개방시에는 연결부재(6)의 걸림부(61)에 구동레버(8)가 지지되어 더 이상의 개방을 억제된다.Normally, the
본 발명의 골프스윙 연습기구를 사용하여 연습할 시 기본 스텐스 자세는 도 7의 A와 같이 구동레버(8)를 본체샤프트(1)로부터 90도 개방시키고, 본체샤프트(1) 내부에 수용된 내부지지관(21)을 사용자의 스텐스 신장 또는 기호에 맞도록 밖으로 적당히 뽑아내면 내부지지관(21)의 상측에 설치된 후크핀(17)이 탄지스프링(16)의 탄력으로 본체샤프트(1)의 대향 위치에 천공된 걸림공(11)에 걸려서 선단의 웨이트(2)가 실제의 클럽헤드의 위치와 길이 및 무게감을 가지게 되어 현장감 있는 골프클럽과 같이 스윙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된다.The basic stance posture when practicing using the golf swing exercis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의 A와 같은 스텐스 자세에서 어드레스 하였다가 B와 같은 중간 백스윙 방향으로 올려서 C와 같은 백스윙 탑에 이르게 될 때 구동레버(8)와 가이드레버(9)의 선단에 형성한 절곡부(10)가 어깨에 닿게 되면 연습자는 적당한 백스윙 탑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백스윙 자세의 정확성, 그립(12)과 양 어깨 간의 조화 등 최적의 백스윙 자세 어셈블리를 동시에 숙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bend formed at the tip of the
이와 같은 백스윙 자세에서 풀스윙을 개시하게 되는데 일정한 스윙속도로서 D와 같은 중간 다운스윙을 거쳐 E와 같은 스텐스 위치의 본격 스윙 및 F와 같은 팔로우스윙을 이어가면 가이드레버(9)의 무게가 갖는 원심력에 의해서 구동레버(8)는 고정핀(23)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여 결합편(81)이 본체샤프트(1) 측의 고정홀더(4)에 끼워져서 접힌 상태로 작용하게 된다.In this backswing position, the full swing is started. The constant swing speed is followed by the intermediate downswing of D, followed by the full swing of the stance position of E, and the following swing of F.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weight of the
이에 따라 E와 같은 스텐스스윙의 위치부터 F와 같은 팔로우스윙, G와 같은 피니쉬스윙을 할 시에는 90도로 개방된 구동레버(8)가 본체샤프트(1)에 접힌상태를 유지하므로 연습자는 가이드레버(9)의 방해를 받지 않고 실전적인 골프클럽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스윙연습을 동시에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follower swing like F, the finish swing like G, and the like, the
이때 본체샤프트(1)의 선단에 위치된 웨이트(2)는 실제의 골프클럽과 같은 무게감을 부여하여 전체 풀스윙을 보다 자연스럽고 리드미컬하게 실전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weight (2) located at the tip of the main shaft (1) is to give the same weight as the actual golf club can maintain the entire full swing more naturally and rhythmically.
풀스윙 동작이 끝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레버(8)가 고정홀더(4) 측에 지지되어 접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다시 백스윙에 돌아갈 때는 구동레버(8)를 손으로 회전시켜 90도의 위치로 전개한 다음 A와 같은 스덴스 위치를 정확히 유지한 다음 다시 전술한 백스윙동작으로 돌아가 연습을 반복하면 된다.After the full sw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A위치에서 B위치를 거쳐 C위치로 백스윙할 시 스윙속도가 너무 빠르게 되면 백스윙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적정한 백스윙 속도가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swing speed is too fast when the backswing from the A position to the B position to the C position, the accuracy of the back swing is reduced, so an appropriate back swing speed is desirable.
본 발명은 웨이트(2)의 선단에 중공부(3)를 천공하여 이 천공부(3)가 웨이트(2)의 고속회전시 휘슬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백스윙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상기 중공부(3)가 휘슬음을 발하게 되어 연습자에게 백스윙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것을 경고하는 기능을 부여하므로 휘슬소리가 들리지 않는 상태로서의 적당한 백스윙 속도를 유지하는 정확한 백스윙 연습을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으로서 구동레버(8)의 결합편(81)이 고정홀더(4)에 접촉될 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결합편(81)의 접촉면에 완충 수단인 인조고무 피막을 피복할 수 있다.As a configuration that is not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 impact when the engaging
또한 내부지지관(21)이 본체샤프트(1) 내에서 슬라이드될 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본체샤프트(1)의 하단에 연질수지로 된 완충링(13)을 결합하고 또한 웨이트(2)의 내측에는 고정링(14)을 끼워 상기 완충링(13)과의 마찰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 impact when the
그리고 상기 구동레버(8)가 고정되는 연결부재(6)는 본체샤프트(1)에 고정된 고정클립(5)에서 슬라이드클립(7)이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되고, 고정볼트(15)에 의해 고정지지되므로 필요시 고정볼트(15)를 풀어서 연결부재(6)를 완전히 분해하면 본체샤프트(1) 단독으로 풀스윙 연습을 할 수가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가이드레버(9)가 달린 구동레버(8)를 분리하여 본체샤프트(1) 만으로 스윙연습을 할 수가 있고, 백스윙동작 연습시는 상기 연결부재(6)에 의해 가이드레버(9)와 구동레버(8)를 결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백스윙 병행연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nd the connec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웨이트(2)를 갖는 내부지지관(21)이 슬라이드 식으로 노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본체샤프트(1)에 어깨 가이드레버(9)를 가지는 구동레버(8)를 힌지장치인 연결부재(6) 측에 가변식으로 연결구성하므로써 골프연습 스윙에 있어서 정확한 백스윙 자세의 연습과 백스윙에 이은 다운스윙, 팔로우스윙, 피니쉬스윙에 이르는 종합적인 풀스윙 연습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골프스윙 연습기구로써 그 산업적 효과가 매우 현저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inges the
1: 본체샤프트 2: 웨이트 3: 중공부
4: 고정홀더 5: 고정클립 6: 연결부재
7: 슬라이드클립 8: 구동레버 81: 결합편
9: 가이드레버 10: 절곡부 11: 걸림공
12: 그립(Grip) 13: 완충링 14: 고정링
15: 고정볼트 16: 탄지스프링 17: 후크핀
18: 스토퍼볼 19: 스프링 20: 스토퍼홈
21: 내부지지관 22: 스토퍼링 23: 고정핀1: body shaft 2: weight 3: hollow part
4: fixing holder 5: fixing clip 6: connecting member
7: Slide clip 8: Drive lever 81: Coupling piece
9: guide lever 10: bent portion 11: hook hole
12: grip 13: buffer ring 14: retaining ring
15: Fixing bolt 16: Tanger spring 17: Hook pin
18: Stopper Ball 19: Spring 20: Stopper Groove
21: internal support pipe 22: stopper ring 23: fixing pin
Claims (3)
본체샤프트(1)의 내부에는 중공부(3)를 가지는 웨이트(2)가 선단에 착설된 내부지지관(21)을 슬라이딩 상태로 내장하여 후크핀(17)과 걸림공(11)에 의하여 노출길이가 조절되게 하고,
본체샤프트(1)의 중간에는 연결부재(6)를 고정하여 가이드레버(9)가 연결된 구동레버(8)를 연결부재(6) 내에서 고정핀(23)에 의해 90도 위치에서 개폐 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구.
In constructing the golf swing exercise mechanism,
Inside the main shaft 1, the weight 2 having the hollow part 3 is built into the inner support tube 21 mounted at the tip in a sliding state, and is exposed by the hook pin 17 and the locking hole 11. To adjust the length,
The connecting member 6 is fixed to the middle of the main shaft 1 so that the driving lever 8 to which the guide lever 9 is connected can be opened and closed at 90 degrees by the fixing pin 23 in the connecting member 6. Golf swing practice mechanism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연결부재(6)의 저면에 슬라이드클립(7)을 형성하여 본체샤프트(1)에 고정된 고정클립(5)에 슬라이드 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볼트(15)에 의해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구.
The method of claim 1,
Forming a slide clip (7)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6) is coupled to the fixed clip (5) fixed to the body shaft (1) by a golf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the fixing bolt (15) Swing exercise equipment.
본체샤프트(1)에는 고정홀더(4)를 설치하여 구동레버(8)에 고정한 결합편(81)이 상호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 연습기구.The method of claim 1,
Golf swing practic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shaft 81 is fixed to the drive lever (8) by the fixing holder (4) is installed on the main shaft (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03112A KR101372576B1 (en) | 2013-01-10 | 2013-01-10 |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03112A KR101372576B1 (en) | 2013-01-10 | 2013-01-10 |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72576B1 true KR101372576B1 (en) | 2014-03-13 |
Family
ID=506482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03112A Active KR101372576B1 (en) | 2013-01-10 | 2013-01-10 |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72576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7203091A1 (en) * | 2016-05-24 | 2017-11-30 | Lime Hook Oy | Golf aide with tactile indicator |
| KR102501851B1 (en) * | 2022-05-12 | 2023-02-21 | (주)태상 | Fitness equipmen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846143A (en) * | 1995-01-31 | 1998-12-08 | Golf Inventions Pty Ltd. | Golfing aid |
| US20020094879A1 (en) | 2001-01-17 | 2002-07-18 | Dawson Dennis W. | Golf swing practice device and method of use |
| US20070275788A1 (en) | 2006-05-24 | 2007-11-29 | Delpine James F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
| US20120277019A1 (en) | 2011-04-27 | 2012-11-01 | Miller Christopher J | Apparatus and method to practice golf swing |
-
2013
- 2013-01-10 KR KR1020130003112A patent/KR1013725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846143A (en) * | 1995-01-31 | 1998-12-08 | Golf Inventions Pty Ltd. | Golfing aid |
| US20020094879A1 (en) | 2001-01-17 | 2002-07-18 | Dawson Dennis W. | Golf swing practice device and method of use |
| US20070275788A1 (en) | 2006-05-24 | 2007-11-29 | Delpine James F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
| US20120277019A1 (en) | 2011-04-27 | 2012-11-01 | Miller Christopher J | Apparatus and method to practice golf swing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7203091A1 (en) * | 2016-05-24 | 2017-11-30 | Lime Hook Oy | Golf aide with tactile indicator |
| US10744388B2 (en) | 2016-05-24 | 2020-08-18 | Lime Hook Oy | Golf aide with tactile indicator |
| KR102501851B1 (en) * | 2022-05-12 | 2023-02-21 | (주)태상 | Fitness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2004512911A (en) | Batting swing training machine and method | |
| KR101359481B1 (en) | A swing training device of a golf | |
| US5405139A (en) | Golf swing improvement device | |
| US6371863B1 (en)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
| KR101372576B1 (en) |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 |
| KR101212883B1 (en) | Golf training device | |
| KR101568981B1 (en) | Martial arts training machine for power measurement | |
| US7846035B2 (en) | Golf swing exercising/train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 |
| JP3198684U (en) | Golf practice aids | |
| KR101868749B1 (en) | One-handed, ground-type centrifugal swing golf practice equipment | |
| JP6228930B2 (en) | Golf swing practice equipment | |
| KR101353671B1 (en) |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 |
| KR20100000975U (en) | Golf swing exercise equipment using piece | |
| KR20200040631A (en) | Hand-carry the golf swing trainer for impact and release | |
| KR101781892B1 (en) | Golf Swing Training Equipments | |
| KR20160099228A (en) | Golf club for exercise swing | |
| KR200467311Y1 (en) | An assistant device of rotation movement for golf training | |
| JP2010179081A (en) | Golf swing practice tool | |
| CN222400172U (en) | Golf push rod exercise sling | |
| RU149642U1 (en) | TENNIS SIMULATOR NOZZLE AND TENNIS SIMULATOR (OPTIONS) | |
| US11717736B2 (en) | Golf training apparatus | |
| IT201800009585A1 (en) | DEVICE FOR EXERCISING AN IMPACT MOVEMENT BETWEEN A RACKET AND A BALL | |
| JP6716640B2 (en) | Hitting bat | |
| KR100764096B1 (en) | Swing Practice Golf Club | |
| KR102299396B1 (en) | Golf club that offers elastic spring force in the grip par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