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4760B1 -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 Google Patents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760B1
KR101384760B1 KR1020130129242A KR20130129242A KR101384760B1 KR 101384760 B1 KR101384760 B1 KR 101384760B1 KR 1020130129242 A KR1020130129242 A KR 1020130129242A KR 20130129242 A KR20130129242 A KR 20130129242A KR 101384760 B1 KR101384760 B1 KR 10138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er
link
handle
gear
umbrell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빈
Original Assignee
김성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빈 filed Critical 김성빈
Priority to KR102013012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7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76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45B7/005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crank-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8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025/146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with a crank connected to a rop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은, 분할된 상부대와 하부대 사이에 4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링크부재 쪽에 설치되어 우산대가 일자형으로 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과, 하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에서 손잡이 내측으로 연결되는 선형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형부재가 감기는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선형부재가 와인더에 감기도록 하여 링크부재 및 상부대가 꺾이도록 조작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와인더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 측에 구속된 와인더를 해제시켜 선형부재가 와인더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해제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에 구비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우산의 중심 위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중심 위치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바람 등 외력에 대해서 충분한 지지력 및 완충력을 갖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구성 요소의 손상이 최소화된 상태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k member connected by a four-section link method between the divided upper and lower bases, and a return spring installed on the link member sid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straighten the umbrella stand. A handl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stand, a linear member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andle at one side of the link member, a winder rotatably provided at the inside of the handle to wind the linear member, and a rotational force to the winder. A rotating body for providing the linear member to be wound on the winder to bend the link member and the upper stand, a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winder and the winde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provided on the handle A stopper for limiting fre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winder provided on the handle to restrain the wind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lease mechanism for the mold member to be released from the winder, thereby enabling the center position operation of the umbrella simply by rotating the rotating body provided in the handle, the center position operation is made easier By having sufficient support and buffer against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used stably for a long time with the damage of components as a whole is minimized.

Description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본 발명은 비올 때 쓰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산대가 꺾일 수 있도록 하여 우산의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used when it rai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capable of adjusting the center position of the umbrella so that the umbrella stand can be folded.

우산은 비가 올 때에 펴서 손에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피할 수 있는 생활 도구이다.Umbrella is a living tool that can be opened when it rains to hold it in your hand and cover your head to avoid rain.

우산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우산 형태에 따라 장우산, 2단우산, 3단우산 등이 있고, 펼침 방법에 따라 수동우산, 자동우산이 있으며, 또한 캐노피 원단의 종류에 따라 투명우산, 천우산, 방수 우산 등이 있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umbrellas, depending on the type of umbrella, there are rain umbrellas, two-stage umbrellas, and three-stage umbrellas, and depending on the spreading method, there are manual umbrellas and automatic umbrellas. Waterproof umbrellas.

이러한 우산은 긴 우산대 위에 캐노피가 방사형으로 펼쳐진 구조의 특성상, 사용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편중된 상태로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우산이 한쪽으로 편중된 상태로 이용함에 따라 사용자를 중심으로 우산(우산대)이 위치된 반대쪽은 상대적으로 비를 막아주는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These umbrellas ar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canopy is radially unfolded on a long umbrella stand and is bias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user. However, as the umbrella is used to be biased to one side, the opposite side where the umbrella (umbrella stand) is positioned around the user is relatively inferior in the function of preventing rain.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1993-0008456에 개시된 '우산대 중심이동형 절첩우산', 등록특허 10-0402717에 개시된 '우산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등은 우산 사용시에 한쪽으로 편중됨에 따라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Umbrella stand-type folding umbrella'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1993-0008456, 'Umbrella stand moving device of Umbrella' disclosed in registered patent 10-0402717, etc. Are being proposed.

이 중에서 상기 등록특허 10-0402717에 개시된 기술(이하 '선행특허기술'이라 함)을 간단히 살펴보면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상기 등록특허 공보에 개시된 도면 중 하나를 그대로 첨부한 것이다.Among them,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a brief look at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No. 10-04027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patent technology'). For reference, Figure 1 is attached to one of the drawings disclosed in the patent publication as it is.

선행특허기술의 우산대 중심 이동장치의 주요 특징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손잡이(10)와 결합되는 하부 우산대(20A)와, 우산살을 접힘/펼침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12)가 결합되는 상부 우산대(20B)로 분할되는 우산대; 길이가 서로 다른 제 1,2지지단(31,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2지지단(31,33)에는 힌지공(31A,33A)이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하부 우산대(20A)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재(30); 길이가 서로 다른 제 3,4지지단(41,4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3,4지지단(41,43)에는 힌지공(41A,43A)이 각각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상부 우산대(20B)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40); 양단이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1,3지지단(31,41)의 각 힌지공(31A,41A)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링크부재(50); 양단이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재(5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 2,4지지단(33,43)의 각 힌지공(33A,43A)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2링크부재(60);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하부 우산대(20A)의 내부와 손잡이(10)에 설치되는 괘해정부(80)로 이루어진다.The main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umbrella stand moving device of the prior ar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lower umbrella stand 20A is formed in a hollow and coupled with the handle 10, and folding / unfolding the umbrella Umbrella stand divided into an upper umbrella stand 20B to which the operation member 12 for coupling; First and second support ends 31 and 33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formed, respectively, hinge holes 31A and 33A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ends 31 and 33, respectively,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therein. A lower support member 30 having a lower end portion thereof coupled to the lower umbrella stand 20A; Third and fourth support ends 41 and 43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formed, respectively, and hinge holes 41A and 43A are formed in the third and fourth support ends 41 and 43, respectively, so that an upper end of the upper umbrella stand ( An upper support member 40 coupled to 20B); A first link member 50 whose both ends are coupled to each of the hinge holes 31A and 41A of the first and third support ends 31 and 41 by hinge pins; The second link member 60 is coupled to rotate at each of the hinge holes 33A and 43A of the second and fourth support ends 33 and 43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parallel to the first link member 50 by hinge pins. ; It consists of a ruler portion 80 which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lower umbrella stand 20A and the handle 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50.

특히,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일단부에 경사면(52)과 곡면(54)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2)과 곡면(54)에는 상기 제 1링크부재(50)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제 1멈춤홈(55A)과, 상기 제 1링크부재(50)가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제 2멈춤홈(55B)과, 상기 제 1멈춤홈(55A)과 제 2멈춤홈(55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링크부재(50)의 중심 이동정도를 세분화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 멈춤홈(55C)으로 이루어진 멈춤홈(55)이 각각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inclined surface 52 and the curved surface 54 are successively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50, and the first link member 50 is rotated on the inclined surface 52 and the curved surface 54. First stop groove 55A for fixing the entire state, the second stop groove 55B for fix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link member 50 is rotated, and the first stop groove 55A and the first stop groove 55A. The stop grooves 55 formed between the two stop grooves 55B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auxiliary stop grooves 55C for subdividing and fixing the center movement degree of the first link member 50 are respectively formed.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 1,2링크부재(50,60)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에서 상기 제 1,2,3,4지지단(31,33,41,43)에 간섭되어 정지되도록 걸림턱(56A,56B,66A,66B)이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괘해정부(80)는 일단이 상기 관통공(36)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10)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 우산대(20A)의 내부에 설치되는 걸림구(82)와, 상기 걸림구(82)의 일단이 관통공(36)을 통하여 상기 각 멈춤홈(55)에 삽입/이탈되도록 상기 걸림구(8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83)로 이루어진다.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50 and 60,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pport ends 31 and 33 may be rotated at an angle at which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50 and 60 is set. The locking jaws 56A, 56B, 66A, and 66B are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interfere with the 41 and 43, respectively, and the hooking portion 80 has one end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36 and the other end of the handle 10. ) The locking holes 82 installed in the lower umbrella stand 20A so as to be positioned therein, and one end of the locking holes 82 is inserted / detached into the respective stop grooves 55 through the through holes 36. It consists of an operating member (83) for moving the catching member 8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특허기술은, 괘해정부(80)의 버튼(84)을 작동시켜 걸림구(82)가 제 1링크부재(50)의 제 1멈춤홈(55A)과 제 2멈춤홈(55B)에 끼워져서, 우산대의 중심 이동 후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끼움 고정 구조는 바람 등 외력에 대한 지지 및 고정 구조가 취약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면 끼움 고정 부분이 손상되어 중심 위치 이동이 불가능해짐은 물론 중심 이동을 하지 않은 일자형으로 세운 상태의 이용도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82 of the ruler portion 80 is operated so that the fastener 82 is the first stop groove 55A and the second stop groove 55B of the first link member 50. It is to be fixed to the position after moving the center of the umbrella stand, but this fitting structure is not only weak support and fixing structure against external force such as wind, but also long time use, the fitting fixing part is damaged and the center position movement is Not only becomes im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without moving the center.

또한, 사용자가 직접 손잡이(10)를 잡은 상태에서 버튼(84)을 당기고, 작동부재(12)를 상하로 조작하면서 중심 이동위치를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중심 위치 이동의 조작도 상당히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pulls the button 84 directly while holding the handle 10, and operates the operating member 12 up and down, the center movement position must be adjusted so that the manipulation of the center position movement is also very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에 회전체를 구비하여 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우산의 중심 위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중심 위치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우산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having a rotating body on the handle to enable the center position operation of the umbrella simply by rotating the rotating body, the center position operation is made easi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rella capable of adjusting the center positio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ing an umbrella.

또한 본 발명은, 바람 등 외력에 대해서 충분한 지지력 및 완충력을 갖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구성 요소의 손상이 최소화된 상태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우산 중심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ufficient support and buffering force against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can be used stably for a long time in a state of minimizing the damage of components as a whole, and the center to be used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umbrella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adjustable umbrella.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은, 우산대가 상하로 분할된 상부대 및 하부대와, 상기 상부대와 하부대 사이에 4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 쪽에 설치되어 하부대를 중심으로 링크부재 및 상부대가 꺾인 상태에서 일자형으로 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하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에서 하부대를 통해 손잡이 내측으로 연결되는 선형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형부재가 감기는 와인더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고 상기 와인더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선형부재가 와인더에 감기도록 하여 링크부재 및 상부대가 꺾이도록 조작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와인더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 측에 구속된 와인더를 해제시켜 선형부재가 와인더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해제 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An umbrella capable of adjusting the center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upper stand and a lower stand having an umbrella stand divided up and down, and a link member connected in a four-section link manner between the upper stand and the lower stand. A return spring installed on the link member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expand in a straight line in a state where the link member and the upper stand are folded about the lower stand, a handl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and, and a lower stand on one side of the link member. A linear member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andle through the handle, and a winder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handle to wind the linear member, and provided to the handle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winder, thereby providing the linear member to the winder. Rotating body for manipulating the link member and the upper stand so as to be wound,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winder and the winder to rotate A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a force, a stopper provided on the handle to limit fre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linear member to be released from the winder by releasing the winder provided on the handle and bound to the rotating body. It is possibl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lease mechanism.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대 및 하부대는 분할된 부분이 계단형 모양으로 분할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일정 정도의 높이차를 갖도록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ink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divided into a stepped shape in which the divided portion, and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between the height of a certain degre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each so as to have a difference.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turn spring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상기 선형 부재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중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제1링크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near member is prefer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link located relatively higher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otary knob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상기 회전체는 한쪽 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체의 기어치와 접촉되어 회전체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한하도록 구성된다.The rotating body is formed with gear teeth on one side, and the stopper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gear teeth of the rotating body to allow the rotating body to rotate in one direction and to restrict the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중심에 연결된 제1축과, 제1축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와,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와, 제2기어의 중심에 연결된 제2축과, 상기 와인더의 중심에 결합되고 제2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와인더 축과, 상기 제2축과 와인더 축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a first gea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haft, a second gear meshed with the first gear, and a second shaft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econd gear.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winder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winder and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axis, and a worm gea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xis and the winder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상기 와인더 축에는 상기 와인더와 결합되는 와인더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와인더는 상기 와인더 축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와인더 기어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nder shaft is provided with a winder gear coupled to the winder, the wind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winder gear as i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winder shaft.

상기 해제 기구는 상기 손잡이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를 밀어서 상기 와인더 기어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제 버튼과, 상기 손잡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를 와인더 기어에 결합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lease mechanism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handle to release the pusher to separate the winder gear by pushing the winder, and provided inside the handl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couple the winder to the winder gear It is preferred to comprise an engagement spr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The main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clearly through examples such as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or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wherein In addition to the main problem sol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 sol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presented and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은, 손잡이에 구비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우산의 중심 위치 작동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capable of adjusting the center position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because the center position of the umbrella can be easily operated by simply rotating the rotating body provided in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은 선형부재를 이용하여 링크부재를 당기고, 회전체의 역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이 대향된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바람 등 외력에 대해서 충분한 지지력 및 완충력을 갖게 되어, 전체적으로 구성 요소의 손상 등이 최소화된 상태로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ll the link member using a linear member, because the return spring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opposite force in the state that the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is impossible to have a sufficient support and buffer force against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as a whole It also provides the effect that it can be used stably for a long time with minimized damage of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은, 회전체의 회전 정도에 따라 우산 중심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used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umbrella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도 1은 선행특허기술의 우산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의 우산대 및 손잡이 부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의 우산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의 우산대 및 손잡이 부분이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의 손잡이 부분이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의 손잡이에서, 우산의 중심 이동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45도 중심 위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90도 중심 위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중심 위치 이동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umbrella stand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umbrella stand and the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umbrella stand of an umbre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umbrella stand and the handle portion of the umbre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andle portion of an umbre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state of the center movement release state of the umbrella in the handle of the umbre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45 degree center position shift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90 degree center position shift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center position shift releas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손잡이가 구비된 우산대와, 이 우산대 상부에서 펼쳐져서 비를 막아주는 것으로 천 등으로 이루어진 캐노피(canopy)와, 우산대의 상단부에서 캐노피에 방사형 구조로 배치된 우산살과, 이 우산살과 우산대 사이에 연결되어 캐노피의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레더(spreader)로 구성된다.The umbre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mbrella stand provided with a handle, a canopy made of cloth or the like to spread out from the top of the umbrella stand, and an umbrella meat disposed in a radial structure in the canopy at the upper end of the umbrella stand, It is composed of a spreader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umbrella pole and the umbrella stand to allow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canopy.

캐노피, 우산살, 스프레더는 공지된 구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의 예시는 생략하고,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부인 우산대를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한다.Canopy, umbrella, and spreader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a known configuration, so a description of them and examples of the drawings are omitt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the center of the umbrella stand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대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하로 분할된 상부대(110) 및 하부대(120)와, 이 상부대(110)와 하부대(120) 사이에 4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는 링크부재(130)와, 이 링크부재(130) 쪽에 설치되어 하부대(120)를 중심으로 링크부재(130) 및 상부대(110)가 꺾인 상태에서 일자형으로 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135)과, 상기 하부대(12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150)와, 상기 링크부재(130)의 일측에서 하부대(120) 내측을 통해 손잡이(150) 내측으로 연결되는 선형부재(140)와, 상기 손잡이(15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형부재(140)가 감기는 와인더(160)와, 이 와인더(16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선형부재(140)가 와인더(160)에 감기도록 하여 링크부재(130) 및 상부대(110)가 꺾이도록 조작하는 회전체(170)와, 이 회전체(170)에서 상기 와인더(160)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180)와, 상기 회전체(170)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75)와, 상기 손잡이(15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70) 측에 구속된 와인더(160)를 해제시켜 선형부재(140)가 와인더(160)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해제 기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4,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bases 110 and 120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s 110 and 120 The link member 130 is connected to the link method in the section 4 and the link member 13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ink member 130, the link member 130 and the upper stage 110 is unfolded in a state of being bent around the lower stage 120. Return spring 135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handle 15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base 120, and the handle 150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lower base 120 on one side of the link member 130 The linear member 140 connected to the inside, the winder 16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andle 150, the linear member 140 is wound, and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winder 160 Rotator 170 for manipulating the link member 130 and the upper base 110 to be bent by winding the linear member 140 to the winder 160, this rotation The transfer member 180 is connected between the winder 160 in the sieve 17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he stopper 175 to limit the fre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70, and the handle 1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lease mechanism 190 for releasing the winder 160 bound to the rotor 170 side to release the linear member 140 from the winder 160.

이와 같은 우산대의 상기 구성 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components of the umbrella stand is as follows.

상기 상부대(110)는 그 상단부에 우산의 캐노피 및 우산살이 연결된다. The upper stand 110 is connected to the canopy of the umbrella and the umbrella flesh to the upper end.

상기 하부대(120)는 그 하단부에 손잡이(150)가 설치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25, 126은 스프레더 연결링이 걸림 및 해제되도록 하는 누름체 및 스프링을 나타낸다.The lower stand 120 has a handle 15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In FIG. 4, reference numerals 125 and 126 denote pressing bodies and springs for allowing the spreader connection ring to be locked and released.

이러한 상부대(110) 및 하부대(120)는 통상의 우산대와 같이 중공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호 분할된 부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 모양으로 분할되어 구성된다.The upper stand 110 and the lower stand 120 is made of a hollow structure like a conventional umbrella stand, in particular, the mutually divided parts ar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stepped shape as shown in FIG.

상기 링크부재(130)는 제1링크(131) 및 제2링크(132)로 이루어지고, 이 두 링크(131,132)가 계단모양으로 분할된 상부대(110)와 하부대(120)에 각각 연결되어 4절 링크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The link member 130 is composed of a first link 131 and a second link 132, and the two links 131 and 132 are connected to the upper base 110 and the lower base 120, each of which is divided into steps. It is configured to have a section 4 link structure.

이에 따라 제1링크(131) 및 제2링크(132)는 전체 우산대에서 일정 정도의 높이차를 갖도록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평형 사변형 구조의 4절 링크를 이루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is connected to have a certain height difference in the entire umbrella stand is configured to form a four-section link of the overall equilibrium quadrangle structure.

또한 제1링크(131) 및 제2링크(132)는 그 양단부에 결합부(133)가 각각 돌출되게 연장되어 상부대(110)와 하부대(120)에 각각 링크핀(134)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are respectively extended to the coupling portion 133 protrudes at both ends thereof relative rotation to the link pin 134 on the upper stand 110 and the lower stand 120, respectively. It is preferred to be connected as possible.

상기 리턴 스프링(135)은 상기 제1링크(131)와 제2링크(132) 사이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스프링은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장 탄성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여러 탄성 부재(예를 들면 고무 탄성재 등)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turn spring 135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The tension spring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iled spr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tension spring by using a variety of known elastic members (for example, rubber elastic materials) that provide a tensile elastic force.

도면부호 136은 제1링크(131) 및 제2링크(132)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135)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부를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136 denotes a spring fixing part which i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to fix both ends of the return spring 135.

한편, 제1링크(131) 및 제2링크(132)는 상호 마주하는 면이 상기 리턴 스프링(135)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partially or entirely open so that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can pass through the return spring 135.

상기 선형부재(140)는 인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높은 선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금속 와이어 또는 특수 합성 섬유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near member 14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wire rod having high durability against tensile force.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metal wire or a special synthetic fiber yarn.

이러한 선형부재(140)는 한쪽 끝단부가 상기 제1링크(131)와 제2링크(132) 중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제1링크(131)의 하측부에 연결되어 당김 작동시에 링크 회전이 일측 방향(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near member 140 has one end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link 131 positioned relatively higher among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so that the link rotation is one side during the pulling operation.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ble to be made smoothly in the direction (clockwise in the figure).

물론, 선형부재(140)의 타측은 상기 와인더(160)에 연결되어 감김 및 풀림이 가능하도록 되고, 그 중간부는 하부대(120) 내측에 구비된 롤러, 돌출 보스 등 가이드(123)에 의해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other side of the linear member 140 is connected to the winder 160 so that it can be wound and unwinded,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base 120 by the rollers, protrusion bosses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guide 123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allow a smooth movement.

상기 손잡이(150)는 그 내측에 상기 와인더(160), 회전체(170), 전달부재(180), 스토퍼(175), 해제 기구(190)가 설치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51은 손잡이(150)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17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노브를 나타낸다. 이 회전노브(151)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생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andle 150 has the winder 160, the rotating body 170, the transmission member 180, the stopper 175, the release mechanism 190 is installed inside. In FIG. 2, reference numeral 151 denotes a rotating knob installed under the handle 150 to rotate the rotating body 170. The rotary knob 151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nd may be omitted if necessary.

상기 와인더(160)는, 도 5를 참조하면,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와인더 축(16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형부재(140)의 감김 및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와인더(160)의 결합 구조 등에 대해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5, the winder 16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winder shaft 161,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is configured to be wound and unwound of the linear member 140.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winder 16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상기 회전체(170)는, 손잡이(150) 부분에 구비된 회전노브(151)를 회전시킬 때 그 안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ting body 17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rotated therein when rotating the rotary knob 151 provided in the handle 150.

즉,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150)의 하단부에는 회전체(17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원통형 구조의 회전노브(151)가 구비된다. 이 회전노브(151)는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확장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4에서와 같이 회전노브를 내측 통체와 외측 통체로 분리하여 상호 조립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referring to Figure 5,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50 is provided with a rotary knob 151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ng body 170. This rotary knob 151 can be configured to exten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150, as shown in Figure 2, if necessary, as shown in Figure 4 by separating the rotary knob into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them together.

이러한 회전노브(1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회전체(17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턱(15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ry knob 151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s shown in FIG. 5, and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jaw 152 is formed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rotating body 170.

다음, 상기 회전체(170)는 회전노브(151)에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제1축(181)과 나사(172)로 조립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rotating body 17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integrally rotated by assembling the first shaft 181 and the screw 172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otary knob 151.

여기서, 손잡이(150)와 회전노브(151)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175)와 회전체(170) 상대 위치를 잡아주는 중간체(155)가 구비된다. 이 중간체(155)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손잡이(150) 하부에 나사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상단부는 스토퍼(175)가 고정됨과 아울러 제1축(181)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중간체(155)의 하부는 회전체(170)의 플랜지부(171)가 걸리는 걸림부(156)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n intermediate body 155 is provided between the handle 150 and the rotary knob 151 to hold the stopper 175 and the rotating body 170 relative positions. The intermediate body 155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so that the screw 150 can be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50,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175 is fixed and the first shaft 181 to pass through It is composed.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body 155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locking portion 156 on which the flange portion 171 of the rotating body 170 is caught protrudes inward.

상기 스토퍼(175)는 회전체(170)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한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회전체(170)의 상측면에는 기어치(173)가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스토퍼(175)에는 상기 회전체(170)의 기어치(173)와 접촉되어 한쪽 방향으로는 걸리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는 걸리는 걸림부(176)가 길게 돌출되어 구성된다.The stopper 175 is configured to allow the rotating body 170 to rotate in one direction and to restrict the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which the gear teeth 17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body 170 The stopper 175 facing the tooth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stopper 175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ear tooth 173 of the rotating body 170 and is not caught in one direction but is caught in the other direction.

다음, 상기 전달부재(180)는, 상기 회전체(170)의 중심에서 스토퍼(175)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길게 연결된 제1축(181)과, 제1축(181)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182)와, 제1기어(182)에 치합되는 제2기어(183)와, 제2기어(183)의 중심에 연결된 제2축(184)과, 상기 와인더(160)의 중심에 결합되고 제2축(18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와인더 축(161)과, 상기 제2축(184)과 와인더 축(161)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기어(18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transmission member 180, the first shaft 181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stopper 175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17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shaft 181 A first gear 182, a second gear 183 meshed with the first gear 182, a second shaft 184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econd gear 183, and a center of the winder 160 A worm gear 185 coupled to the winder shaft 161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shaft 184 and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haft 184 and the winder shaft 161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여기서 제1기어(182)는 큰기어로, 제2기어(183)는 작은기어로 이루어져, 회전체(170)의 회전력을 크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웜기어(185)는 제2축(184)에 웜(186)이, 와인더 축(161)에 웜 휠(187)이 각각 구비되어 상호 치합되게 구성된다.Here, the first gear 182 is a large gear, the second gear 183 is made of a small gear,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transmit a larg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ody 170, the worm gear 185 is a second The worm 186 is provided on the shaft 184, and the worm wheel 187 is provided on the winder shaft 161, respectively.

도면에서 도면부호 188은 상기 제1축(181), 제2축(184) 등을 손잡이(1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나타낸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88 denotes a shaft support part rotatably supporting the first shaft 181, the second shaft 184, and the like in the handle 150.

한편, 상기 와인더 축(161)에는 웜 휠(187)과 함께 상기 와인더(160)와 결합되는 와인더 기어(162)가 구비되고, 상기 와인더(160)는 상기 와인더 축(161)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와인더 기어(162)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nder shaft 161 is provided with a winder gear 162 coupled to the winder 160 together with a worm wheel 187, the winder 160 is the winder shaft 161 It is configured to engage and disengage with the winder gear 162 as i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와인더(160)와 와인더 기어(162)는 상호 결합이 용이하게 되도록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 초기 부분이 콘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inder 160 and the winder gear 16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initial portion is formed in a conical structure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o facilitate mutual coupling.

다음, 상기 해제 기구(190)는 손잡이(190)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160)를 밀어서 상기 와인더 기어(162)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제 버튼(191)과, 손잡이(150)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160)를 와인더 기어(162)에 결합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 스프링(1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release mechanism 190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handle 190, the release button 191 to push the winder 160 to separate from the winder gear 162, the handle 150 in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spring (195)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couple the winder 160 to the winder gear 162.

여기서 해제 버튼(191)은 손잡이(150) 외부로 노출된 버튼부(192)와, 이 버튼부(192)의 하부 즉, 손잡이(150) 안쪽에서 와인더(160)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와인더(160)를 밀어주는 복수의 레그부(19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lease button 191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winder 160 from the button portion 19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15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192, that is, inside the handle 15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by the several leg part 193 which pushes 160.

도면부호 194는 해제 버튼(19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버튼 스프링이고, 이 버튼 스프링(194)은 와인더 축(16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프링판(197)에 지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94 is a button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release button 191, the button spring 194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a spring plate (197) rotatably supported relative to the winder shaft (161). .

도 6은 이와 같은 해제기구(19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6 shows an operating state of such a release mechanism 190.

한편, 결합 스프링(195)과 와인더(160) 사이에는 상대 회전이 용이하도록 와셔(196) 및 베어링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coupling spring 195 and the winder 160,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tructure such as a washer 196 and a bearing to facilitate relative rot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우산대를 갖는 우산에 대한 작동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structure for the umbrella having an umbrella stan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3에서와 같이 우산대가 수직 즉, 일자형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우산의 중심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150) 부분에 구비된 회전노브(151)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move the center of the umbrella while the umbrella stand is vertical, that is, in a straight shape, the rotary knob 151 provided in the handle 15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회전노브(151)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17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축(181), 제1기어(182), 제2기어(183), 제2축(184), 웜기어(185), 와인더 축(161), 와인더 기어(162)에 연속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와인더(160)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선형부재(140)가 와인더(160)에 감기면서, 이 선형부재(140)가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131)를 당기게 된다.When the rotary knob 151 is rotated, the rotating body 170 rotates, and accordingly, the first shaft 181, the first gear 182, the second gear 183, the second shaft 184, and the worm gear. 185, the winder 160 is rotated while the rotational force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winder shaft 161 and the winder gear 162, and the linear member 140 is wound around the winder 160, The first link 131 to which the linear member 140 is connected is pulled.

제1링크(131)가 회전함에 따라 제2링크(132)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대(120)가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링크(131,132)가 회전함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상부대(110)의 중심이 이동하면서 우산의 캐노피 부분의 중심이 전체적으로 이동하게 된다.As the first link 131 rotates, the second link 132 also rotates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as the two links 131 and 132 rot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base 120 is vertically positioned, as shown in FIG. 7. As the center of the upper stand 110 is moved, the center of the canopy portion of the umbrella moves as a whole.

이때, 상부대(110)의 중심 이동은 상기 회전노브(151) 및 회전체(170)의 회전량만큼 이동하는데, 최대 이동의 바람직한 범위는 도 8에서와 같이 제1링크(131) 및 제2링크(132)가 하부대(120) 및 상부대(110)와 90도를 이루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링크(131), 제2링크(132)와 하부대(120), 상부대(110)의 상호 연결 부분에는 90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서로 걸리면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enter movement of the upper base 110 is moved by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tary knob 151 and the rotor 170, the preferred range of the maximum movement is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link 132 is configured to move to a position forming 90 degrees with the lower stand 120 and the upper stand 110. To this end, when the first link 131, the second link 132 and the lower portion 120, the interconnect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10 is rotated more than 90 degrees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event rotation any more. .

이와 같이 상부대(110)의 중심이 이동한 상태(도 7 또는 도 8의 상태)에서 회전노브(151) 및 회전체(170)를 멈추게 되면, 스토퍼(175)에 의해 회전체(170)가 반대로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부대(110)의 중심 이동은 그대로 유지된다.As such, when the rotation knob 151 and the rotor 170 are stopped in the state where the center of the upper stand 110 is moved (the state of FIG. 7 or 8), the rotor 170 is stopped by the stopper 175. Since it does not rotate on the contrary, the center movement of the upper stand 110 is maintained as it is.

반대로, 상부대(110)의 중심 이동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해제 버튼(191)을 누르면 된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release the center movement of the upper stage 110, the release button 191 may be pressed.

해제 버튼(191)을 누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와인더(160)가 와인더 기어(162)에서 분리되면서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이때 제1링크(131)와 제2링크(132) 사이에 연결된 리턴 스프링(135)의 복원력에 의해 선형부재(140)가 풀리게 되고, 도 9에서와 같이 제1링크(131) 및 제2링크(132)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상부대(110)가 하부대(120)와 일직선이 되는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release button 191 is pressed, as shown in FIG. 6, the winder 160 is freed from the winder gear 162 to be rotated freely,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The linear member 140 is relea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135, and as shown in FIG. 9, the first link 131 and the second link 132 are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base 110 is lowered. It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in line with 120.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상 비올 때 사용하는 우산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우산과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양산, 파라솔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n umbrella used for raining has been describ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 상부대 120 : 하부대
130 : 링크부재 135 : 리턴 스프링
140 : 선형부재 150 : 손잡이
160 : 와인더 170 : 회전체
175 : 스토퍼 180 : 전달부재
190 : 해제 기구
110: upper stage 120: lower stage
130: link member 135: return spring
140: linear member 150: handle
160: winder 170: rotating body
175: stopper 180: transmission member
190: release mechanism

Claims (9)

우산대가 상하로 분할된 상부대 및 하부대와, 상기 상부대와 하부대 사이에 4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 쪽에 설치되어 하부대를 중심으로 링크부재 및 상부대가 꺾인 상태에서 일자형으로 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하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에서 하부대를 통해 손잡이 내측으로 연결되는 선형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형부재가 감기는 와인더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고 상기 와인더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선형부재가 와인더에 감기도록 하여 링크부재 및 상부대가 꺾이도록 조작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와인더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 측에 구속된 와인더를 해제시켜 선형부재가 와인더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해제 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Umbrella stand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bases, the link member is connected in a four-section link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s, and the link member and the upper bas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ink member is bent A return spring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straighten in the form, a handl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portion, a linear member connect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handle through the lower portion at one side of the link member, and rotatably inside the handle. A winder provided with a linear member wound around the rotor, a rotating body provided on the handle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winder so that the linear member is wound around the winder, and the link member and the upper stand are operated to be bent; A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winders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at the winder, and provided at the handle to allow fre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Restriction stopper and the central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ease mechanism provided on the handle to release the winder constrained on the rotor side to release the linear member from the wi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대 및 하부대는 분할된 부분이 계단형 모양으로 분할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일정 정도의 높이차를 갖도록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The upper stand and the lower stand is divided into a stepped shape divided into, the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a certain height difference therebetwee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사이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return spring is a tensio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형 부재는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 중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제1링크의 일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linear memb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link positioned relatively higher amo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knob to rotate the rota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umbrella adjustabl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한쪽 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체의 기어치와 접촉되어 회전체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rotating body has a gear tooth formed on one side,
And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gear teeth of the rotating body to allow the rotating body to rotate in one direction and to restrict the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중심에 연결된 제1축과, 제1축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1기어와,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와, 제2기어의 중심에 연결된 제2축과, 상기 와인더의 중심에 결합되고 제2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와인더 축과, 상기 제2축과 와인더 축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기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first shaft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a first gea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haft, a second gear meshed with the first gear, and a second shaft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econd gear. And a winder shaft coupled to a center of the winder and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second shaft, and a worm gea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haft and the winder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2 umbrellas availab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와인더 축에는 상기 와인더와 결합되는 와인더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와인더는 상기 와인더 축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와인더 기어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The method of claim 7,
The winder shaft is provided with a winder gear coupled to the winder, the winder is adjusted to the center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winder gear axially moving on the winder shaft 2 umbrellas availabl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는 상기 손잡이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를 밀어서 상기 와인더 기어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제 버튼과, 상기 손잡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더를 와인더 기어에 결합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elease mechanism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handle to release the pusher to separate the winder gear by pushing the winder, and provided inside the handl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couple the winder to the winder gear Central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coupling spring.
KR1020130129242A 2013-10-29 2013-10-29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47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242A KR101384760B1 (en) 2013-10-29 2013-10-29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242A KR101384760B1 (en) 2013-10-29 2013-10-29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760B1 true KR101384760B1 (en) 2014-04-17

Family

ID=5065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2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4760B1 (en) 2013-10-29 2013-10-29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7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4502A (en) * 2019-02-02 2020-08-20 秀親 明石 Umbrella middle rod and umbrella
KR20210013940A (en) 2019-07-29 2021-02-08 김영준 Top Tilted Umbrell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013U (en) * 1987-05-29 1988-12-05
KR930008456Y1 (en) * 1991-08-10 1993-12-22 김영택 Stick for umbrella
JP3005836U (en) * 1994-01-26 1995-01-17 隆司 横山 An umbrella with a head near the bottom of the center of the umbrella
KR100402717B1 (en) * 2002-11-07 2003-10-30 Jin Su Yoon Shifting device of shaft center of umbrell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013U (en) * 1987-05-29 1988-12-05
KR930008456Y1 (en) * 1991-08-10 1993-12-22 김영택 Stick for umbrella
JP3005836U (en) * 1994-01-26 1995-01-17 隆司 横山 An umbrella with a head near the bottom of the center of the umbrella
KR100402717B1 (en) * 2002-11-07 2003-10-30 Jin Su Yoon Shifting device of shaft center of umbrell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4502A (en) * 2019-02-02 2020-08-20 秀親 明石 Umbrella middle rod and umbrella
KR20210013940A (en) 2019-07-29 2021-02-08 김영준 Top Tilted Umbrell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8368B2 (en) umbrella
US8534304B1 (en) Tiltable sunshade
US6622741B2 (en) Automatic bending-angle changing structure for umbrella
CN210581325U (en) Umbrella
US9615637B1 (en) Umbrella with orientation adjustable canopy in a tilt position
US8505564B2 (en) Automatic folding/unfolding umbrella
US10028557B1 (en) Automatic reverse multi-folding umbrella
US12317977B2 (en) Tilt mechanisms and actuators for umbrellas
US20110126870A1 (en) Auto Bending Structure of Sunshade
WO2006136066A1 (en) A top fix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emicircular tent framework
US8522805B2 (en)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KR101325570B1 (en) Perfectly automatic umbrella
KR200372631Y1 (en) Tent frame
KR101384760B1 (en) Center position adjustable umbrella
RU2442513C1 (en) Blocking device for automatic umbrella
KR200440972Y1 (en) Folding pole for automatic tent
US6591848B2 (en) Ratchet based control device of large-sized parasol
JP3238921U (en) Double-acting locking tent frame structure
KR101012349B1 (en) Unfoldable and collapsible auto umbrella
CN102197908B (en) Anti-bounce device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arachute
CN211882577U (en) cantilever umbrella
KR102776932B1 (en) Folding type parasol
JP2014233617A (en) Automatic umbrella-cloth winding umbrella
KR102550888B1 (en) Automatic umbrella
KR200454808Y1 (en) Medium stand control unit of umbrella (parasol) which can be folded automat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4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40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