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891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4891B1 KR101384891B1 KR1020070000127A KR20070000127A KR101384891B1 KR 101384891 B1 KR101384891 B1 KR 101384891B1 KR 1020070000127 A KR1020070000127 A KR 1020070000127A KR 20070000127 A KR20070000127 A KR 20070000127A KR 101384891 B1 KR101384891 B1 KR 1013848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path
- air
- air conditioner
- thermoelectric element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열전소자에 의해서 실내의 냉난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performing heating and cooling of a room by a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형을 이루며 동일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배리어에 의해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간과 다른 공간으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 상기 유로 상에 제공되는 송풍팬; 및 상기 유로 형성부에 제공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 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냉난방이 열전소자에 의해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냉난방을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가 없어도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shape, the inlet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same surface, the inner space is partitioned into a space different from the space in which the inlet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by a barrier; A flow path form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o form a flow path such that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flows to the discharge port; A blowing fan provided on the flow path;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the flow path forming unit to cool or he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s made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re is no effect of the indoor unit and outdoor unit for the existing air condition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he cost is reduced.
열전소자 Thermoelectric eleme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일부 열전소자가 작동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when some thermoelectric elements are op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모든 열전소자가 작동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when all the thermoelectric elements are op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케이싱 120 : 송풍팬101: casing 120: blowing fan
130 : 제 1 열전소자 유닛 140 : 제 2 열전소자 유닛130: first thermoelectric unit 140: second thermoelectric uni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열전소자에 의해서 실내의 냉난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performing heating and cooling of a room by a thermoelectric element.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각 또는 가열하며,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일련의 열교환 사이클에 의해서 공기를 조화시키도록 구성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sucks indoor air, heats the sucked air to cool or heat it, and discharges the cooled or heated air into the room. This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to condition the air by a series of heat exchange cycles.
상세히, 공기 조화기의 열교환사이클은 압축기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전환 밸브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heat exchange cycle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an indoor heat exchange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 expansion valve, and a switching valve.
상기 압축기는 열교환사이클을 순환하는 작동유체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그 내부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와 각각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또한, 상기 팽창 밸브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 또는 실외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작동 유체를 감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compressor serves to compress the working fluid circulating in the heat exchange cycle.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heat-exchange the indoor air or the outdoor air with the working fluid flowing therei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xpansion valve serves to depressurize the working fluid heat exchang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or the outdoor heat exchanger.
또한, 상기 전환 밸브는 공기 조화기의 동작모드에 따라서 열교환사이클을 순환하는 작동 유체의 방향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작동 유체가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The switching valve also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circulating in the heat exchange cyc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mode of the air conditioner. In other words, the working fluid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by the switching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압축-응축-팽창-증발이라는 일련의 열교환 사이클에 의해서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되므로,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압축기의 사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냉매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cooling or heating is performed by a series of heat exchange cycles called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y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the noise caused by the use of the compressor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and because the refrigerant must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the environment.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간 단한 구조에 의해서 실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nd heating the room by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작동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perating noise of a product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냉매의 사용 없이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실내의 냉난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ir conditioner that performs cooling and heating in a room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without using a refrigerant.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형을 이루며 동일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배리어에 의해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간과 다른 공간으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 상기 유로 상에 제공되는 송풍팬; 및 상기 유로 형성부에 제공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 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casing is formed in the inlet and the discharge port on the same surface, the inner space is partitioned into a space different from the space in which the inlet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by a barrier ; A flow path form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o form a flow path such that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flows to the discharge port; A blowing fan provided on the flow path;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provided in the flow path forming unit to cool or he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외형을 이루며 동일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배리어에 의해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간과 다른 공간으로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유로 형성부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1 유로;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배리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제 1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유로보다 더 긴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 2 유로; 상기 배리어와 상기 유로 형성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작동과, 상기 유로의 연통 여부를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의 정보에 따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ing that has an outer shape and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nd an inner space is partitioned into a space different from a space where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formed by a barrier; A flow path form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to form a flow path such that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flows to the discharge port;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flow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low path forming unit to the discharge port; A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flows, sele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low path by opening and closing the barrier to form a flow path longer than the first flow path,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 thermoelectric element mounted to the barrier and the flow path forming unit, respectively, to cool or he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whether the flow path is communicated according to information of a temperature sensing unit detecting an indoor temperature;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 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read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1)과,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리어(102)와, 상기 케이싱(101) 내부로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하는 흡입구 및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소자 유닛이 포함된다.1 and 2,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세히, 상기 케이싱(10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102)는 상기 케이싱(101)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 공간을 상하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In detail, the
따라서,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는 상기 배리어(102)에 의해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하부 공간에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공기가 유동된다. Therefore, the inside of the
한편, 상기 배리어(102)의 하측 공간에는 상기 공간으로 흡입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로 형성부(103)가 제공된다. Meanwhile, a flow
상기 유로 형성부(103)는 상기 케이싱(101) 내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공기의 유동 경로가 대략 "ㄷ" 자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유로 형성부(103)에 의해서 형성되는 유로를 제 1 유로(105)라 한다. The flow
그리고, 상기 케이싱(101)의 일측 중간부에는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1)의 일측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유로(105)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12)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따라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흡입된 공기는 그 유로 내부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어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그리고, 상기 제 1 유로(105)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구(111)의 내측에는 공기가 강제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팬(120)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각 송풍팬(120)은 횡류팬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a
한편, 상기 배리어(102)에는 한 쌍의 댐퍼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댐퍼는 상기 제 1 유로(105) 상의 공기가 상측 공간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제 1 댐퍼(152)와, 상기 상측 공간부로 흡입된 공기가 다시 상기 제 1 유로(105)로 토출되도록, 상기 흡입구(111) 측에 위치되는 제 2 댐퍼(15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152, 154)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터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각 댐퍼(152, 154)가 개방되면, 상기 제 1 유로(105) 상의 공기는 상기 상측 공간부로 유입되고, 상기 상측 공간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구(111) 측에서 다시 상기 제 1 유로(105)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댐퍼(152, 154)의 개방에 의해서 상기 제 1 유로(105)와 별도의 유로가 형성되며, 이는 제 2 유로(106)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유로(106)는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싱(101)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므로, 순환 유로라고도 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여기서, 상기 댐퍼(152, 154)의 개방은 냉방시 실내 온도 온도가 높거나, 난방시 실내 온도 온도가 낮은 경우 이루어진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유로 형성부(103)에는 제 1 열전소자 유닛(130)이 제공되고, 상기 배리어(102)에는 제 2 열전소자 유닛(140)이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flow
상기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는 두 종류의 금속을 접촉시키고, 접합부로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인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는 전류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uses a Peltier effect, in which two kinds of metal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junction, where one terminal absorbs heat and the other terminal generates heat. .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maintain a desired temperatur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상세히, 상기 제 2 열전소자 유닛(140)은 상기 흡입구(111)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열전소자 유닛(130)은 상기 흡입구(111)의 타측에 가깝게 위치된다. In detail,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 1 열전소자 유닛(130)은 제 1 열전소자(132)와, 상기 제 1 열전소자(132)와 접촉되어 상기 제 1 열전소자(132)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열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 1 열교환 핀(134)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또한, 상기 제 2 열전소자 유닛(140)은 제 2 열전소자(142)와, 상기 제 1 열전소자(142)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열전소자(142)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열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 2 열교환 핀(144)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열전소자(132)는, 상기 토출구(112) 측에 위치되는 제 1 부재(132a)와 상기 제 1 부재(132a)와 접촉되며, 상기 흡입구(111) 측에 위치되는 제 2 부재(132b)가 포함된다. 즉,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 후에 상기 제 1 부재(132a)를 지난다. In more detail,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132a) 측에는 제 1 핀(134a)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부재(132b) 측에는 제 2 핀(134b)이 제공된다. A
반면, 상기 제 2 열전소자(142)는 상기 제 2 부재(132b)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 3 부재(142a)와 상기 제 3 부재(142a)와 접촉되며,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 상면을 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 4 부재(142b)가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 3 부재(142a) 측에는 제 3 핀(144a)이 제공되고, 상기 제 4 부재(142b) 측에는 제 4 핀(144b)이 제공된다. The
여기서, 상기 각 부재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방열부 또는 냉각부의 역할을 각각 하게 된다. Here, each member serves as a heat dissipation unit or a cooling uni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즉,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정방향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 1 부재(132a) 및 제 3 부재(142a)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부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 3 부재(132b) 및 제 4 부재(142b)는 열기를 발생시키는 방열부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핀(134a) 및 제 3 핀(144a)은 냉각핀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 3 핀(134b) 및 제 4 핀(144b)은 방열핀의 역할을 한다. That is, when forward current flows to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10)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220)와, 팬 등을 구동시키는 구동부(230)와,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열전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세히, 상기 온도 감지부(220)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In detail, the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서 상기 송풍팬(120) 및 댐퍼(152, 154)가 구동되도록 한다. The driving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 의해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 만이 작동되도록 한다. The
즉, 냉방시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만이 동작되도록 하고,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low during cooling, only the first
반면, 난방시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만이 동작되도록 하고,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high during heating, only the first
이 때,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가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각 댐퍼(152, 154)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유로(105)와 제 2 유로(106)가 연통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when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냉방 또는 난방 모드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즉, 냉방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전류가 정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고, 난방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132, 142)를 전류가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cooling mode is selected, the current flow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열전소자(132, 142)의 흡열 또는 방열 작용의 정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즉, 상기 냉방 또는 난방시 상기 열전소자(132, 142)로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실내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이 때,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로는 동일 크기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고 다른 크기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일부 열전소자가 작동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모든 열전소자가 작동되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when some thermoelectric elements are op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of air when all the thermoelectric elements are op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howing.
도 4를 참조하면, 냉방시 실내 온도가 낮거나, 난방시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만이 동작되고, 공기는 상기 제 1 유로(105) 내부 만을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댐퍼(152, 154)가 폐쇄되어 상기 제 2 유로(106)와 상기 제 1 유로(105)가 연통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room temperature at the time of cooling is low or the room temperature at the time of heating is high, only the first
상세히, 먼저 냉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값과 제 1 기준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감지된 온도값이 제 1 기준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열전소자(130)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In detail, when the cooling mode is first selected, the temperature is sensed by the
그리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서는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된다. 그리 고,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흡입된다. In addition, the blowing
이 때, 상기 제 1 열전소자(132)로는 전류가 정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1 부재(132a)는 흡열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부재(132b)는 방열 작용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a current flows in the first
그러면, 상기 제 1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흡입된 공기는 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방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2 부재(132b)가 냉각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핀(134a)과 접촉되어 저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Then, the air sucked into the
따라서,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cooling of the room is achieved by the low temperature air discharged.
여기서, 상기 방열부에서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132) 자체의 저항값이 상승하여 상기 열전소자(132)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어 적절한 냉각이 요구된다. In this case, when heat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heat dissipation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그리고, 상기 흡열부의 성능은 상기 방열부의 냉각 성능에 의존된다. 즉, 상기 방열부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흡열부의 성능이 향상된다. And the performance of the heat absorbing part depends on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heat radiating part. That is, as the cooling of the heat radiating part is performed smoothly, the performance of the heat absorbing part is improv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방열부의 기능을 하는 상기 제 2 부재(132b) 측을 먼저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부재(132a)가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부재(132b)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부재(132a)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반면, 난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값과 제 2 기준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감지된 온도값이 제 2 기준값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열전소자(130)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ing mode is selected, the temperature is sensed by the
그리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서는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풍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흡입된다. In addition, the blowing
이 때, 상기 제 1 열전소자(132)로는 전류가 역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2 부재(132b)는 흡열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부재(132a)는 방열 작용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current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그러면, 상기 제 1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2)로 흡입된 공기는 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방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2 핀(134b)를 지나면서 저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핀(134a)과 접촉되어 고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고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Then, the air sucked into the
따라서,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서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the heating of the room is achieved by the hot air discharged.
도 5를 참조하면, 냉방시 실내 온도가 높거나, 난방시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142)가 동시에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152, 154)는 개방되어 상기 제 2 유로(106)와 상기 제 1 유로(105)가 연통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high when cooling or the room temperature is low when heating, the first
먼저, 냉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값과 제 1 기준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감지된 온도값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142)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First, when the cooling mode is selected, the temperature is sensed by the
즉, 상기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 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실내의 온도를 충분히 낮춰야 하므로,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로 전류가 흘러 냉방 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ensed temperature value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indoor temperature must be sufficiently lowered, so that current flows to each of the
그리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서는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댐퍼(152, 154)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흡입된다. In addition, the
이 때,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142)로는 전류가 정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1 부재(132a) 및 제 3 부재(142a)는 흡열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부재(132b) 및 제 4 부재(142b)는 방열 작용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a current flow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first
그러면, 상기 제 1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흡입된 공기는 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먼저 흡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3 핀(144a)과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3 핀(144a)을 지나면서 저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제 2 핀(134b)을 지나면서 방열 작용을 하는 제 2 부재(132b)가 냉각되도록 한다. Then, the air sucked into the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열부의 성능은 방열부의 성능에 의존되는데,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방열부가 저온 상태의 공기에 의해서 냉각되므로, 상기 방열 부의 냉각 성능이 보다 향상되고, 이에 따라 상기 흡열부의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of the heat absorbing portion depends on the performance of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As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is cooled by air in a low temperature stat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is further improved, and thus the performance of the heat absorbing portion. This is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 공기 중의 일부는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핀(134a)과 접촉되어 저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따라서,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cooling of the room is achieved by the low temperature air discharged.
한편,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 공기 중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106)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볼 때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4 핀(144b)과 접촉되어 상기 제 4 부재(142b)가 냉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4 부재(142b)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구(111) 측에서 상기 제 1 유로(105)로 토출된다. Meanwhile, another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한편, 난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온도 감지부(220)에서 온도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감지된 온도값과 제 2 기준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감지된 온도값이 제 2 기준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즉, 상기 감지된 온도값이 상기 제 2 기준값 이하가 되는 경우 실내의 온도를 충분히 높여주어야 하므로, 상기 각 열전소자(132, 142)로 전류가 흘러 난방 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Meanwhile, when the heating mode is selected, the temperature is sensed by the
그리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서는 상기 송풍팬(120)이 회전되고, 상기 댐퍼(152, 154)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공기가 흡입된다. In addition, the
이 때, 상기 제 1 열전소자(132) 및 제 2 열전소자(142)로는 전류가 역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2 부재(132b) 및 제 4 부재(142b)는 흡열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부재(132a) 및 제 3 부재(142a)는 방열 작용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current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first
그러면, 상기 제 1 흡입구(111)를 통하여 상기 제 1 유로(105)로 흡입된 공기는 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먼저 방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3 핀(144a)과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제 3 부재(142a)는 냉각되고, 상기 고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상태의 공기는 흡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재(132b)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일부는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핀(134a)과 접촉되어 고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고온 상태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Then, the air sucked into the
이 때, 상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방열 작용을 하는 상기 제 3 부재(142a)를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나므로, 상기 제 2 부재(132b) 만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 보다 상기 제 3 부재(142b)를 먼저 통과한 후 제 2 부재(132b)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더 높다. At this time, the air sucked through the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기가 상기 제 1 부재(132b)를 통과하므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게 되어 실내의 난방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since the air having a high temperature passes through the
한편, 상기 제 2 부재(132b)를 지난 공기 중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유로(106)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볼 때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4 핀(144b)을 통과한 후에 상기 흡입구(111) 측에서 상기 제 1 유로(105)로 토출된다. Meanwhile, another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열전소자가 구비되고, 실내 온도 부하에 따라 상기 각 열전소자의 작동이 제어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and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load so that the cooling or heating of the room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and quickly.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냉난방이 열전소자에 의해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냉난방을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가 없어도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since the indoor air-conditioning is made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re is no effect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for the existing air-condition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he cost is reduced.
또한, 열전소자에 의해서 실내 냉난방이 수행됨에 따라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압축기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refrigerant that adversely affects the environment as the indoor heating and cooling is perform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s the compressor is not used,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removed.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00127A KR101384891B1 (en) | 2007-01-02 | 2007-01-02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00127A KR101384891B1 (en) | 2007-01-02 | 2007-01-02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63561A KR20080063561A (en) | 2008-07-07 |
| KR101384891B1 true KR101384891B1 (en) | 2014-04-16 |
Family
ID=3981520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001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4891B1 (en) | 2007-01-02 | 2007-01-02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848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05640B1 (en) * | 2020-01-15 | 2020-05-29 | 김희태 | Heating air freshener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57798A (en) * | 1999-12-23 | 2001-07-05 | 구자홍 | An air-conditioner for cooling and heating the personal environment |
-
2007
- 2007-01-02 KR KR1020070000127A patent/KR1013848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057798A (en) * | 1999-12-23 | 2001-07-05 | 구자홍 | An air-conditioner for cooling and heating the personal environm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63561A (en) | 2008-07-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9838968B (en) | Refrigerator with a door | |
| JP2012030699A5 (en) | ||
| KR100704143B1 (en) | Heat exchange ventilator for both heating and coolin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
| CN210638189U (en) | Air supply unit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 KR20080063576A (en) |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 |
| KR20110004208A (en) | Automotive air condition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 KR101800374B1 (en) | cooling apparatus using thermal element combines integrated water block | |
| KR101384891B1 (en) | Air conditioner | |
| KR100823965B1 (en) | Cooling and heating unit with radiator | |
| JP2014009827A (en) | Air conditioner | |
| KR101384833B1 (en) | Air conditioner | |
| KR100867766B1 (en) | Air conditioning unit using waste heat | |
| KR20080062512A (en) | Air conditioner | |
| KR102066694B1 (en) | An engine-driven heat pump system | |
| JP6039871B2 (en) | Air conditioner | |
| KR100625263B1 (en) | Air conditioning unit with small air conditioning room and heat exchanger | |
| KR20230022634A (en) | Storehouse incorporated with air conditioner | |
| KR20080063565A (en) | Combined air conditioner | |
| KR200153175Y1 (en) |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 |
| KR100941095B1 (en)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 |
| JP2022047416A5 (en) | ||
| KR101169346B1 (en) | Air conditioner system of air circulation preheating and inner change defrosting mode | |
| KR100457661B1 (en) |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pparatus for both heating and cooling | |
| JP4581897B2 (en) | Heat pump type hot air heater | |
| KR100519331B1 (en) | cooling and heating system with ventilating room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4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