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117B1 - An appartus for cultivating the plants - Google Patents
An appartus for cultivating the pl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7117B1 KR101387117B1 KR1020120153691A KR20120153691A KR101387117B1 KR 101387117 B1 KR101387117 B1 KR 101387117B1 KR 1020120153691 A KR1020120153691 A KR 1020120153691A KR 20120153691 A KR20120153691 A KR 20120153691A KR 101387117 B1 KR101387117 B1 KR 1013871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ot body
- plant
- supply pipe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식물에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는 자동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식물 재배기는, 외부로부터 물 공급관(12)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물이 담기는 수조(11)와, 상기 수조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 내의 물의 수위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부표(14)와, 상기 부표에 연결되어 상기 부표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상기 물공급관(12)을 개폐시키는 물 공급 개폐기(13)로 이루어진 물 공급 장치(10);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물이 공급되는 하부의 물 공급관(22)과, 상부측에 식물에 영양제를 공급하기 위한 영양제 공급관(21)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부측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지지다리부(29)가 압출방식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된 화분 몸체(10); 및 상기 물 공급관의 통공(22a)에 삽입되어 상기 물 공급관의 물을 상기 화분 몸체의 내부 공간부(20a) 내의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흡수용 심지(8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plant grower in which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a plant without a manager supplying water regularly.
Another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ank 11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through a water supply pipe 12 and containing water, which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d rises or falls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device (10) comprising a buoy (14) and a water supply switch (13) connected to the buoy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ipe (12) as the buoy is raised or lowere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22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is supplied, the nutrient supply pipe 21 for supplying nutrients to the plant on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 le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so as to stably stand ( 29 is a pot body (10) formed integr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extrusion method; And a water absorption wick 8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a of the water supply pipe to supply water to the soil in the inner space portion 20a of the pot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식물에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는 자동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plant grower in which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a plant without a manager supplying water regularly.
식물, 특히 식용 작물과 화훼류를 재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노지에 작물을 직접 파종하거나 모종을 이식하여 작물을 수확하는 방법과, 시기에 관계없이 각종 작물이 시중에 공급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작물 재배법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There are many ways to grow plants, especially edible crops and flowers, but there are many ways to harvest crops by planting or transplanting seedlings directly into the field, and plastic houses that can be supplied by various crops regardless of the time. The crop growing method is the most widely known.
이중에 비닐하우스 재배법은 시기에 관계없이 각종 작물을 재배하여 수요자에게 신선한 상태의 작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그 사용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 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mong these, the vinyl house cultiva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supplying fresh crops to consumers by cultivating various crops regardless of time, and its use is spreading.
비닐하우스 재배법은 비닐하우스 내의 노지에 식물을 직접 파종하거나 정식하여 재배하는 방법과 인공 토양을 이용한 양액 재배법이 있다. 이중에 전자는 식물의 속성 및 청정 재배가 어렵기 때문에 후자의 방법이 보다 권장되고 있으나, 기존의 양액 재배법도 병충해가 확산되는 경우 농약 살포 이외에 특별한 대책이 없기 때문에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Green house cultivation methods include planting or formalizing cultivation of plants directly in the open field of the vinyl house, and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using artificial soil. In the former, the latter method is more recommended because of the difficult nature of plants and clean cultiva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nutrient solution method requires improvement because there are no special measures other than spraying pesticides when a pest spreads.
즉, 기존의 양액 재배법은 배지의 온도 조절을 위한 냉온수 공급용 파이프 등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등 재배 시설의 투자비가 많이 들고, 병충해 확산 방지를 위해 거의 밀폐된 공간에서 농약을 살포해야 하기때문에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nutrient cultivation method requires a separate investment pipe for supplying cold and hot wat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and requires a large amount of investment in the cultivation facility. It has the problem of harming your health.
또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물을 주어야 함으로 노동력이 많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to plants, there is a problem that labor is consumed because water must be supplied manually by han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식물이 재배되는 화분에 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하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식물이 냉해를 입지 않도록 히터선에 의해 열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화분 몸체를 압출 방식에 의해 제작하여 제작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reduce the labor force by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the pot plant is automatically cultivated plants without supplying water manually by the manager, It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or that can continuously supply heat by a heater wire so as not to cause cold damage,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manufacturing the pot body by an extrusion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식물 재배기는, 외부로부터 물 공급관(12)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물이 담기는 수조(11)와, 상기 수조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 내의 물의 수위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부표(14)와, 상기 부표에 연결되어 상기 부표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상기 물공급관(12)을 개폐시키는 물 공급 개폐기(13)로 이루어진 물 공급 장치(10);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물이 공급되는 하부의 물 공급관(22)과, 상부측에 식물에 영양제를 공급하기 위한 영양제 공급관(21)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부측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지지다리부(29)가 압출방식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된 화분 몸체(10); 및 상기 물 공급관의 통공(22a)에 삽입되어 상기 물 공급관의 물을 상기 화분 몸체의 내부 공간부(20a) 내의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흡수용 심지(8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other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 몸체의 상측에는 덮개용 돌출부(24)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화분 몸체의 덮개용 돌출부에 체결되도록 양측에 걸림턱(34)이 길게 형성된 덮개(30)가 상기 화분 몸체에 체결되되, 상기 덮개(30)에는 식물이 올라오는 통로에 해당하는 구멍(32)이 다수개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 몸체의 하부에는 바퀴 삽입용 돌출턱(28)이 형성되고, 상기 바퀴 삽입용 돌출턱에 평탄형의 바퀴 지지대(42)를 삽입함으로써, 바퀴(40)를 상기 화분 몸체에 설치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lower part of the planter body is formed with a projection jaw fo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 몸체에는 상기 수조와 피스에 의해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체결용 돌출부(26)가 형성되되,상기 체결용 돌출부(26)의 단면은 일부분이 개방된 원 형상을 지닌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t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 몸체의 상측에는 덮개용 돌출부(24)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덮개용 돌출부(24)에는 다수개의 삽입용 구멍(24a)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용 구멍(24a)에 ∩자 형상의 넝쿨 유도용 연결대(50)가 삽입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 공급관의 측면에 형성되되 내부에 히터선이 삽입되는 히터선 삽입관(23)이 상기 화분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heater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재배기에 따르면, 수도 또는 물 저장조에 저장된 외부의 물은 물 공급 개폐기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조에 공급되고, 수조된 공급된 물은 수조와 연통되는 화분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물 공급관으로 공급되며, 물 공급관의 물은 물 흡수용 심지에 의해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식물에 직접 물을 주지 않더라도 식물에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water stored in the tap water or the water storage tank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water tank by the water supply switch, and the supplied water of the tank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of the pot body. It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formed at the bottom,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soil by the water absorption wick. Therefore, even if the worker does not directly water the plant,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lant, thereby reducing the labor force of the worker and thus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또한, 화분 몸체의 하부에는 열을 공급하는 히터선이 삽입되어 식물의 냉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여 화분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며, 화분 몸체를 압출방식으로 제작한 후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적당한 길이로 짤라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동일한 규격의 화분 몸체를 계속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 heater wire for supplying heat is inser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ot body to prevent coldening of the plant. The wheel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to move the pot freely. It can be cut and used to a suitable length by convenience, and can also be us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same size of the pot body produced by the extrusion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결합 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결합 후의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nt grow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grow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coupling of a plant grow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coupling of a plant grow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lant gr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결합된 후의 식물 재배기의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grower after being combin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물 공급 장치(10)과 화분 몸체(20)로 이루어진다. 1 and 2, the plant gr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물 공급 장치(10)는 수조(11)과, 물 공급관(12), 물 공급 개폐기(13) 및 부표(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물 공급관(12)은 수도와 직접 연결되거나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조로부터 수조(11)에 물이 공급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The
수조(11)는 외부로부터 물 공급관(12)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물이 담기는 부분이다. 수조(11)에는 물 공급 개폐기(13)와 부표(14)가 설치된다. The
부표(14)는 수조 내의 물의 수위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부분이며, 물 공급 개폐기(13)는 부표에 연결되어 부표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물공급관(12)을 개폐시키는 부분이다. The buoy 14 is a portion that rises or falls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and the
물 공급 장치(10)는 피스(70)에 의해서 화분 몸체(20)에 체결된다. 즉, 화분 몸체의 측면 및 하부측에는 상기 수조와 피스에 의해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체결용 돌출부(26)가 형성된다. 체결용 돌출부(26)의 단면은 일부분이 개방된 원 형상(도 3 및 도 4 참조)을 지니는 데, 이는 피스가 쉽게 삽입되도록 하며, 압출 제작 과정에서의 불량률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The
식물이 자라는 토양이 담기는 화분 몸체(12)는 상측에 영양제 공급관(21), 하측에 물 공급관(22), 히터선 삽입관(23), 및 지지다리부(29)가 압출 방식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된다. The
물 공급관(22)은 하부에 화분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물 공급관(22)은 수조와 연통되어 물이 항상 공급되는 부분이다. 물 공급관(2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화분 몸체의 내부 공간부(20a)와 연통되는 통공(22a)이 형성되는 데, 상기 통공(22a)에 물 흡수용 심지(80)가 삽입되어 물 공급관(22) 내부의 물이 물 흡수용 심지(80)를 통해 내부 공간부(20a)의 토양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도 4 참조)
물 공급관의 좌우에 형성되는 히터선 삽입관(23)은 내부에 히터선(60)을 삽입하여 화분에 열을 공급하여 식물이 냉해에 의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형성된다. The heater
화분 몸체 하부의 좌우 각각에 형성되는 지지다리부(29)는 화분 몸체가 바로 세워지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중앙의 물 공급관(22)과 히터선 삽입관(23)만이 형성될 경우에는 화분 몸체가 바로 서지 못하고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화분 몸체 하부의 좌우 각각에 지지다리부(29)가 형성된다.
화분 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영양제 공급관(21)은 식물에 필요한 영양제를 액상의 형태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영양제 공급관(21)은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21a)을 뚫어 액상의 영양제가 식물에 공급되도록 한다. The
영양제 공급관, 물공급관, 히터선 삽입관, 지지다리부를 일체로 압출 공정에 의해 제작한 후, 양쪽 측판을 부착하여 화분 몸체를 완성하게 된다. 통공 내지 구멍 등은 압출 공정으로 제작한 후에 드릴 등으로 뚫어 형성하게 된다. The nutrient supply pipe, the water supply pipe, the heater wire inserting tube, and the support leg are integrally manufactured by the extrusion process, and both side plates are attached to complete the pot body. Through-holes, holes, etc. are formed by drilling and the like after the extrusion process.
필요에 따라, 화분 몸체의 상부에 덮개(30)를 체결할 수 있다. 덮개(30)는 식물을 냉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종래에는 비닐을 전체적으로 덮은 후, 식물이 자라는 부분에 손으로 일일이 구멍을 직접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화분 몸체의 상측에 덮개용 돌출부(24)를 양측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덮개용 돌출부에 체결되도록 양측에 걸림턱(34)이 길게 형성된 덮개(30)를 상기 화분 몸체에 체결한다. 상기 덮개(30)에는 식물이 올라오는 통로에 해당하는 구멍(32)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종래의 비닐을 대체한 플라스틱제의 덮개를 화분 몸체에 간단한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If necessary, the
본 발명에서는 화분 몸체의 편리한 이동을 위해서 하부에 바퀴(40)을 설치할 수 있다. 즉,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 지지대(42)를 화분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 삽입용 돌출턱(28)에 삽입함으로써, 바퀴(40)를 화분 몸체에 설치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넝쿨식물은 줄기가 길쭉하여 곧게 서지 않고 다른 물건을 감거나 거기에 붙어서 자라는 식물을 말하는 데, 일명 '덩굴 식물'이라고도 한다. 종래 넝쿨식물을 화분에서 재배할 경우 높은 화분에 심어 넝쿨을 늘어뜨리거나 천정이나 벽에 화분을 메 달아 지상으로 늘어뜨리는 방식과, 넝쿨을 지상으로 자라게 하기 위해 철사나 대나무 등의 토양에 지지대를 세워 넝쿨을 지상으로 유도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A vine plant is a plant that grows with its stems elongated and does not stand upright, wound or attached to it. It is also called 'vine plant'. When vines are conventionally grown in pots, they are planted in high pots to hang the vines or hang the pots on the ceiling or walls and hang them to the ground. It is used to guide the vine to the ground.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에서 넝쿨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 화분 몸체의 상측 양쪽 측면의 덮개용 돌출부(24)에 다수개의 삽입용 구멍(24a)을 형성하고, ∩자 형상의 넝쿨 유도용 연결대(50)를 상기 삽입용 구멍(24a)에 삽입하여, 넝쿨 식물이 넝쿨 유도용 연결대(50)을 따라 자라도록 유도한다. In order to grow vine plants in the plant gr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화분 몸체의 물 공급관과 영양제 공급관의 끝단에는 연결용 관이 형성되며, 이 연결용 관에 연결용 튜브(90)에 연결되어, 화분 몸체는 계속해서 다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nutrient supply pipe of the potted body is connected to the tube is formed, connected to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결합 전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식물 재배기의 결합 후의 단면도로서 실제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coupling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the coupling of the plant cultivator shows a state in which the actual plant is grown.
화분 몸체의 내부 공간부(20a)에는 식물이 자라는 토양이 충진된다. The
물 흡수용 심지(80)는 물 공급관(22)의 통공(22a)에 삽입되어 물 공급관의 물을 화분 몸체의 내부 공간부(20a) 내의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물 흡수용 심지(80)는 화분 몸체의 물 공급관과 화분 몸체의 내부 공간부(20a)에 걸쳐 삽입되어 물 공급관의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otherwis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물 공급 장치 11: 수조
12: 물공급관 13: 물 공급 개폐기
14: 부표
20: 화분몸체 20a: 내부 공간부
21: 영양제 공급관 21a: 통공
22: 물 공급관 22a: 통공
23: 히터선 삽입관
24: 덮개용 돌출부 24a: 삽입용 구멍
25: 걸림턱
26: 체결용 돌출부
28: 바퀴 삽입용 돌출턱
29: 지지다리부
30: 덮개 32: 구멍
34: 걸림턱
40: 바퀴 42: 바퀴 지지대
50: 넝쿨 유도용 연결대 60: 히터선
70: 피스 80: 물 흡수용 심지
90: 연결용 튜브10: water supply unit 11: water tank
12: water supply line 13: water supply switch
14: Buoy
20:
21:
22:
23: heater wire insertion tube
24: cover
25: hanging chin
26: fastening protrusion
28: Protruding jaw for wheel insertion
29: support leg
30: cover 32: hole
34: jamming jaw
40: wheel 42: wheel support
50: vine induction connecting rod 60: heater wire
70: piece 80: water absorption wick
90: connection tube
Claims (6)
외부로부터 물 공급관(12)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물이 담기는 수조(11)와, 상기 수조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 내의 물의 수위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부표(14)와, 상기 부표에 연결되어 상기 부표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상기 물공급관(12)을 개폐시키는 물 공급 개폐기(13)로 이루어진 물 공급 장치(10);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물이 공급되는 하부의 물 공급관(22)과, 상부측에 식물에 영양제를 공급하기 위한 영양제 공급관(21)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부측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지지다리부(29)가 압출방식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된 화분 몸체(10); 및
상기 물 공급관의 통공(22a)에 삽입되어 상기 물 공급관의 물을 상기 화분 몸체의 내부 공간부(20a) 내의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 흡수용 심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In the plant growing season
A water tank 11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2 and containing water, a buoy 14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nd rising or falling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connected to the buoy A water supply device 10 including a water supply switch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12 as the buoy is raised or lowere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22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tank is supplied, the nutrient supply pipe 21 for supplying nutrients to the plant on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 le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so as to stably stand ( 29 is a pot body (10) formed integr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extrusion method; And
A water absorption wick (8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a)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supplying water to the soil in the inner space portion (20a) of the pot body; Planter.
상기 화분 몸체의 상측에는 덮개용 돌출부(24)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화분 몸체의 덮개용 돌출부에 체결되도록 양측에 걸림턱(34)이 길게 형성된 덮개(30)가 상기 화분 몸체에 체결되되,
상기 덮개(30)에는 식물이 올라오는 통로에 해당하는 구멍(32)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protrusions 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t body, respectively,
The cover 30 is formed to have a long locking jaw 34 on both sides to be fastened to the cover projecting portion of the pot body is fastened to the pot body,
Plan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32)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through the plant.
상기 화분 몸체의 상측에는 덮개용 돌출부(24)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덮개용 돌출부(24)에는 다수개의 삽입용 구멍(24a)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용 구멍(24a)에 ∩자 형상의 넝쿨 유도용 연결대(5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protrusions 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t body, respectively,
The cover protrusion 2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4a,
Plan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slot (24a) of the vine-shaped vine guide guide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4a).
상기 화분 몸체의 하부에는 바퀴 삽입용 돌출턱(28)이 형성되고,
상기 바퀴 삽입용 돌출턱에 평탄형의 바퀴 지지대(42)를 삽입함으로써, 바퀴(40)를 상기 화분 몸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part of the pot body is formed with a projection jaw for wheel insertion 28,
Plant inser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40) is installed on the pot body by inserting the wheel support (42) of the flat type into the projection jaw for inserting the wheel.
상기 화분 몸체에는 상기 수조와 피스에 의해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체결용 돌출부(26)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용 돌출부(26)의 단면은 일부분이 개방된 원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식물 재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t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26 to be fastened by the water tank and the piece,
Cross sec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26) is a plan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ircular shape with a portion open.
상기 물 공급관의 측면에 형성되되 내부에 히터선이 삽입되는 히터선 삽입관(23)이 상기 화분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n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er wire insertion tube 2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but the heater wire is inserted into the pot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53691A KR101387117B1 (en) | 2012-12-26 | 2012-12-26 | An appartus for cultivating the pl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53691A KR101387117B1 (en) | 2012-12-26 | 2012-12-26 | An appartus for cultivating the plant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87117B1 true KR101387117B1 (en) | 2014-04-21 |
Family
ID=5065819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536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7117B1 (en) | 2012-12-26 | 2012-12-26 | An appartus for cultivating the plan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8711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34393A (en) | 2018-05-25 | 2019-12-04 | 최규철 | Hydroponics Ginseng cultivation devic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178927A (en) * | 1996-12-20 | 1998-07-07 | Nagasak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 Bench cultivation system |
| JP3133512U (en) * | 2007-05-01 | 2007-07-12 | 有限会社アソシエ | Plant cultivation planter |
| JP2010068735A (en) * | 2008-09-17 | 2010-04-02 | Kesao Sakizaki | Automatically watering planter |
-
2012
- 2012-12-26 KR KR1020120153691A patent/KR1013871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178927A (en) * | 1996-12-20 | 1998-07-07 | Nagasak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 Bench cultivation system |
| JP3133512U (en) * | 2007-05-01 | 2007-07-12 | 有限会社アソシエ | Plant cultivation planter |
| JP2010068735A (en) * | 2008-09-17 | 2010-04-02 | Kesao Sakizaki | Automatically watering plante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134393A (en) | 2018-05-25 | 2019-12-04 | 최규철 | Hydroponics Ginseng cultiva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4041375B (en) | Grape seedling-cultivating method | |
| KR20150130898A (en) | Appliance for the production of seedings | |
| KR101637227B1 (en) | cultivating facilities USING pot for strawberry and cultivating methods | |
| US11793128B2 (en) | Irrigation apparatus | |
| US8112937B1 (en) | Natural growth terrarium planter | |
| US20210092909A1 (en) | Plant care tubes and method for using plant care tubes | |
| KR101387117B1 (en) | An appartus for cultivating the plants | |
| KR102205570B1 (en) | Root plant hydroponic cultivation sheet | |
| KR200477741Y1 (en) | Device for growing crops of multi-layer | |
| JP6170291B2 (en) | Automatic watering equipment | |
| CN202819215U (en) | Domestic vegetables-planting machine | |
| KR101380567B1 (en) |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 |
| CN214758149U (en) | Horticulture is with formula socket that sinks | |
| KR200450678Y1 (en) | Rotary Multistage Cultivator | |
| JP5981494B2 (en) | Plant cultivation universal pot and storage tray | |
| KR20140004927U (en) | Plants Cultivation Vessel | |
| JP3262724B2 (en) | Cultivation equipment | |
| KR20020032504A (en) |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 |
| JP2007151528A (en) | Soil container for vine plant cultivation and materials for transporting tailoring | |
| KR200427154Y1 (en) | Cultivation vessels and cultivation ports | |
| KR20030021657A (en) | Culture receptacle for nutriculture | |
| CN214282371U (en) | Nursery stock breeding device | |
| KR20160064910A (en) | Pots for raising ginseng | |
| KR102045705B1 (en) | plant cultivation manager for transplant capable fo rearing activation | |
| KR20120055025A (en) | Vegetable garden po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4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