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839B1 - Multiple Inspection Apparatus for Multimedia Devices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Multiple Inspection Apparatus for Multimedia Devices of a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2839B1 KR101382839B1 KR1020080123353A KR20080123353A KR101382839B1 KR 101382839 B1 KR101382839 B1 KR 101382839B1 KR 1020080123353 A KR1020080123353 A KR 1020080123353A KR 20080123353 A KR20080123353 A KR 20080123353A KR 101382839 B1 KR101382839 B1 KR 1013828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s
- free
- vehicle
- module
- sound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2—Circuits for multi-testers, i.e. multimeters, e.g. for measuring voltage, current, or impedance at wil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7—Characterising or performance testing, e.g. of frequency respons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전에 저장된 음원 또는 설정된 멜로디를 핸즈프리, 카오디오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성신호 입력부로 출력할 수 있는 음원모듈; 차량의 핸즈프리용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의 음압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레벨미터; 및 차량의 시거잭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를 제공한다.
핸즈프리, 블루투스, AUX, USB, 레벨미터, 시거잭, 검사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sound source module capable of outputting a previously stored sound source or a predetermined melody to a voice signal input unit of a vehicle multimedia device including hands-free and car audio; A level meter capable of visually displaying a sound pressure level of the voice signal by receiving a voice signal input to the hands-free microphone for the vehicle; And a power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power from a cigar jack power source of the vehicle.
Handsfree, Bluetooth, AUX, USB, Level Meter, Cigar Jack, Insp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복합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구비된 유무선 핸즈프리, 카오디오 옥스(AUX) 입력단, USB 단자 등의 여러 멀티미디어 기기의 정상작동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inspection device for a multimedia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the multimedia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inspect the normal operation of various multimedia devices such as wired / wireless hands-free, car audio aux (AUX) input terminal, and a USB terminal. It relates to an inspection apparatus.
IT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차량 내에도 다양한 IT관련 전자기기들이 장착되기 시작한 이래로, 종래부터 사용해오던 단순히 라디오 청취나 테이프, 시디 등의 재생기능을 갖는 카오디오 수준을 넘어 다운로드 받은 디지털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나, 심지어는 액정화면을 갖추고 각종 동영상까지 재생가능한 다재다능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차량 장착이 점차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최근의 추세를 보면, 액정화면을 갖춘 고급형 멀티미디어 기기의 장착은 일부 고급차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지만, MP3 플레이어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연결해서 평소 집에서나 길거리에서 듣던 음악을 운전 중에 카오디오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옥스(AUX) 입력 기능을 갖춘 카오디오나, USB 메모리 또는 각종 플래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MP3 파일 등의 디지털 음원을 카오디오를 통해서 디코딩한 후 증폭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USB 단자를 갖춘 카오디오는 보다 저렴한 보급형 차량에도 널리 장착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현대인의 필수품인 휴대전화를 운전 중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핸즈프리 기기 역시 필요에 의해 또는 관련법규의 규제에 따라 거의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추세이며, 기존의 유선 핸즈프리에서 한발 더 나아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한 무선 핸즈프리까지도 일반화하는 추세에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various IT-related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installed in vehicles, and thus, digital sound sources that have been downloaded can be played beyond the standard of car audio with the functions of simply listening to radio, tape, and C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Vehicle mounting of multimedia devices that are present, or versatile multimedia devices that can play various videos with LCD screen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Recent trends show that the installation of high-end multimedia devices with LCD screens tends to be limited to some high-end cars.However, portable digital devices such as MP3 player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can be analog-connected and used at home or on the street. Decode and then amplify digital audio sources such as car audio with AUX input or MP3 files stored in USB memory or flash memory cards so that you can listen to music on the fly while driving. Car audio with a USB port for listening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in less expensive cars. In addition, hands-free devices that enable the safe use of mobile phones, which are essentials of modern people, are also increasingly necessary as required or regulated by relevant laws.In addition to the existing wired hands-free, Bluetooth-based wireless Even hands-free is becoming more common.
이처럼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를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일반화함에 따라 차량 제조사의 완성차 검사라인에서 필요로 하는 품질 검사용 장치도 그 종류나 개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완성차 검사라인의 작업자는 유선 핸즈프리 검사기, 옥스 검사기, USB 검사기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 각 기능을 검사할 때마다 검사장비를 바꿔가며 검사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되었다. 또한, 차량 제조사는 하나의 라인에서 다수의 차종을 혼합하여 생산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바, 이 경우 각 차종별로 선택사양이 다양하고 설사 동일 차종이라고 하더라도 등급별로 선택사양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유선 핸즈프리가 장착되는 차량과 무선 핸즈프리가 장착되는 차량이 동일한 완성차 검사라인에서 품질검사를 받게 되는 경우가 전혀 낯설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경우 그 다양한 선택사양에 따라 필요한 검사기기를 추가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품질검사 작업자의 번거로움과 소요되는 작업공수가 배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기기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검사기기의 보관이나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As such, as the mounting of various multimedia devices on a vehicle becomes common, the type and number of quality inspection devices required by a vehicle manufacturer's finished vehicle inspection line are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worker of the finished vehicle inspection line is provided with a wired hands-free inspector, an Oak inspector, a USB inspector, and the like, and suffered the inconvenience of performing the inspection by changing the inspection equipment each time the function is inspected. In addition, the vehicle manufacturer is not often produced by mixing a plurality of models in one line, in this case, there are many options for each type of car, even if the same type of car, there are a lot of options by grade. For example, it is not unfamiliar when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d handsfree and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handsfree are subjected to quality inspection in the same finished vehicle inspection line. In this case, since the necessary inspection equipmen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according to the various op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ouble of quality inspection workers and the required labor time are doubled.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inspection apparatuses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store or maintain the inspection apparatuses.
더욱이, 핸즈프리용 마이크나 스피커 같은 경우에는 휴대전화를 직접 연결한 후 전화를 걸어서 통화를 해보는 방법 말고는 그 성능을 제대로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고, 또한 최근 장착이 늘고 있는 추세인 무선(블루투스) 핸즈프리의 경우에도 마땅한 검사장비가 존재하지 않아, 단순히 육안에 의한 관능검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품질향샹을 통해 차량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판매 증대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차량 제조사의 희망에도 배치되는 것이었다.Moreover, in the case of hands-free microphones or speakers, there is no way to properly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phone except to connect the phone directly and make a phone call. In the case of hands-free, there is no proper inspection equipment, so many people simply rely on the visual sensory test, which is also placed in the hope of a vehicle manufacturer who wants to increase sales 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vehicle buyers through quality improvement. It was to b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검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품질검사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quality inspection by providing a composite inspection device that can simultaneously inspect a variety of multimedia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마땅한 검사장비가 존재하지 않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대해 적절한 품질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품질 향상과 고객만족도 증대에 이바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vehicl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providing an inspection apparatus that can perform a proper quality inspection for a vehicle multimedia device that does not exist in the prior 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사전에 저장된 음원 또는 설정된 멜로디를 핸즈프리, 카오디오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성신호 입력부로 출력할 수 있는 음원모듈; 차량의 핸즈프리용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의 음압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레벨미터; 및 차량의 시거잭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module capable of outputting a previously stored sound source or a predetermined melody to a voice signal input unit of a vehicle multimedia device including hands-free, car audio; A level meter capable of visually displaying a sound pressure level of the voice signal by receiving a voice signal input to the hands-free microphone for the vehicle; And a power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power from a cigar jack power sourc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는 차량의 시거잭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동안 점등되는 전원 표시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indicator lamp that is turned on while receiving power from the cigar jack powe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는 상기 음원모듈의 음성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멜로디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멜로디 스위치가 온(ON)되어 상기 음원모듈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점등되는 멜로디 표시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lody switch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audio signal of the sound source module, and also is turned on while the melody switch is turned on (ON) to output the sound signal of the sound source module A melody display lamp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무선 핸즈프리 기기와 통신하여 음성신호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핸즈프리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hands-free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signals and control signals by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hands-free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이때, 상기 무선 핸즈프리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핸즈프리 스위치와, 유선 핸즈프리 접속부를 통해 차량에 구비된 유선 핸즈프리 기기와 접속되어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유선 핸즈프리 모듈을 더 구비하여, 핸즈프리 스위치가 온(ON)된 때에는 무선 핸즈프리 모듈을 통해서만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핸즈프리 스위치가 오프(OFF)된 때에는 유선 핸즈프리 모듈을 통해서만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hands-free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hands-free module and a wired hands-free module which is connected to a wired hands-free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to transmit / receive voice signals and control signals through a wired hands-free connection unit. When it is turned on, the voice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only through the wireless handsfree module, and when the handsfree switch is OFF, the voice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only through the wired handsfree module. Can be.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는 상기 핸즈프리 스위치가 온되어 상기 무선 핸즈프리 모듈이 작동하는 동안 점등되는 핸즈프리 동작 표시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mposite multimedia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s-free operation display lamp which is turned on while the hands-fre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wireless hands-free module is operated.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는 상기 핸즈프리 스 위치가 오프되고 상기 멜로디 스위치가 온된 때에, 상기 음원모듈에서 출력되는 음원 또는 멜로디가 상기 유선 핸즈프리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ch that the sound source or melody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module is output through the wired hands free module when the hands free switch is off and the melody switch is turned on.
또한, 옥스 입력 접속부를 통해 차량에 구비된 카오디오의 옥스 입력단과 연결될 수 있는 옥스 입력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핸즈프리 스위치가 오프된 때에만, 상기 음원모듈에서 출력되는 음원 또는 멜로디가 상기 옥스 입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x input module that may be connected to an ax input terminal of a car audio provided in a vehicle through an ax input connection, and only when the hands-free switch is turned off, a sound source or a melody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module may be input to the ax input. Can be output through the module.
상기 옥스 입력 접속부와 유선 핸즈프리 접속부는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The oak input connector and the wired hands free connect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에서, 상기 레벨미터는 다수의 LED가 일정한 배열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the vehicular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meter may be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LEDs in a constant arrangement.
한편, 상기 무선 핸즈프리 모듈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hands-free module may be Bluetooth.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는 카오디오에 연결된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와 접속할 수 있는 USB 접속부를 포함하는 USB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mposite vehicle insp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multimedi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SB module including a USB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USB (Universal Serial Bus) terminal connected to the car audio.
이때 상기 USB 모듈은 음원이 저장된 음원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B module may include a sound source memory in which a sound source is stored.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는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며 상이한 2 이상의 전압으로 정전압 출력이 가능한 정전압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Lastly, the vehicular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stant voltage circuit unit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capable of outputting a constant voltage at two or more different voltages.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에 따르면, 품질검사 작업자 가 여러 검사장비를 바꿔가면서 검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작업자의 작업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품질검사 작업자의 공수를 절감함으로써 품질검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for a vehicle multimedi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lity inspection worker eliminates the trouble of inspecting by changing various inspection equipments,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s work and reducing the manpower of the quality inspection work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또한, 종래에 단순히 육안에 의한 관능검사에 의존하던 신종 멀티미디어 기기에 대한 적절한 품질 검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품질향상, 특히 고객이 느끼는 감성품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이로써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차량판매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enabling the appropriate quality inspection of the new multimedia device, which previously relyed on the sensory inspection by the naked eye, i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 vehicle, especially the emotional quality that the customer feels, thereby improv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vehicle. It can also contribute to increased sale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ular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가 연결되는 차량 내부 장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view showing the in-vehicle devices to which the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100)는 음원모듈(140),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 옥스 입력 모듈(130), USB 모듈(160), 레벨미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는 차량의 시거잭 전원(290)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180)를 또한 구비하며, 전원입력부(180)로 입력된 전원은 변동이 심한 차량전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전압회로부(170)를 거친 후 상기 각 모듈 등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hicle multimedia device
또한, 상기 여러 모듈과 레벨미터 등은 각각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전압이 상이하므로, 정전압 회로부(17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이한 전압으로 정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에는 각 모듈별로 공급되는 전압값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various modules, the level meter, and the lik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mmonly used in the art, the constant
음원모듈(140)은 사전에 저장된 음원 또는 사전에 설정된 멜로디를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 옥스 입력 모듈(130) 등을 통하여 차량 내부에 장착된 핸즈프리 기기나 카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의 음성신호 입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사전에 저장된 음원이란 녹음 후 디지털 미디어 파일로 변환되어 음원모듈(140) 내에 저장된 음원을 말하고, 사전에 설정된 멜로디란 사전에 설정된 규칙에 따라 전자적으로 합성될 수 있는 소정의 멜로디를 말한다.The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은 유선 핸즈프리 접속부(113)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와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의 정상작동여부를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는 음원모듈(140)에서 출력된 음원 또는 멜로디이다. 한편, 차량 내부의 마이크(270)로 입력된 음성신호는 차량 내부의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를 통해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의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로 입력된 후 레벨미터(150)로 전달된다.The wired hands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은 무선을 통하여 차량 내부의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와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의 정상작동여부를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 차량 내부의 마이크(270)로 입 력된 음성신호는 차량 내부의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를 통해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의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로 수신된 후 레벨미터(150)로 전달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의 일구현예(도 2)에서는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의 경우 음성신호 송신기능을 포함시키지 아니하였으나,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음성신호 송신기능을 부가하여 음원모듈(140)에서 출력된 음원 또는 멜로디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최근 차량에 장착되는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가 대부분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이므로,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 역시 이러한 블루투스 전송규격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블루투스 무선기기들은 음성신호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전에 기기 상호간에 접속과정인 소위 페어링(pairing)을 거쳐야 하는데, 차량에 장착되는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의 경우 카오디오(240)와 연계되거나 기타 차량 내부의 화상표시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계되어 화면을 통해 페어링 과정 및 페어링 완료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에 의한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의 검사 역시 이러한 페어링이 완료된 후 실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Since the wireless hands-
도 1b에는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와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가 함께 차량에 구비되어 각각 마이크(270) 및 스피커(280)와 연결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 뿐 아니라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의 검사에도 사용가능한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차량 내에는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 또는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 중 하나만이 장착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FIG. 1B, the wired hands-
레벨미터(150)는 입력된 음성신호의 음압레벨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레벨미터(150)의 전원은 정전압회로부(170)로부터 공급받고 음성신호는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 또는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에 있어서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 또는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차량 내에 구비된 마이크(270)를 통해 입력되어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 또는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를 통해 전달된 음성신호이다. 따라서, 레벨미터(15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270)와 유무선 핸즈프리 기기(210, 220)의 작동여부를 검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정 레벨의 음압이 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마이크(270) 또는 유무선 핸즈프리 기기(210, 220)의 작동상태가 정상적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또한 검사할 수 있다. 레벨미터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에서는 레벨IC(155)에 의해 구동되는 디지털 방식 레벨미터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의 일구현예에서는 다수의 LED를 일렬로 나란히 배치한 형태의 레벨미터를 사용하였으나, LED의 배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옥스 입력 모듈(130)은 옥스 입력 접속부(133)를 통해 차량 내부에 장착된 카오디오(240)의 옥스 입력단(230)에 연결됨으로써 옥스 입력단(230)의 정상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카오디오(240)의 전원을 켜고 재생모드를 옥스(AUX)로 전환한 상태에서 음원모듈(140)로부터의 음원 또는 멜로디를 옥스 입 력단(230)으로 출력하여 음원 또는 멜로디가 자동차 스피커(280)를 통해 정상적으로 재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옥스 입력단(230)의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b에서 자동차 스피커(280)는 핸즈프리 기기들(210, 220)과 카오디오(240)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차종에 따라 핸즈프리 기기용 스피커와 카오디오용 스피커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The
USB 모듈(160)은 MP3 파일이나 WAV 파일 등의 디지털 미디어 파일을 직접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카오디오(240)에 장착된 USB 단자(260)의 정상작동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USB 모듈(160)은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의 USB 접속부(163)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USB 단자(260)와 연결되며, 카오디오의 전원을 켜고 재생모드를 디지털 미디어 파일 재생모드로 전환한 후에 음원데이터를 USB 단자(260)로 전송하여 그 음원이 스피커(280)를 통해 정상적으로 재생되는지 확인함으로써, USB 단자(260)의 정상작동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USB 모듈(160)은 차량의 USB 단자(26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의 정전압회로부(170)와 연결되지 않아도 작동가능하나,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위하여 정전압회로부(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USB 모듈(160)은 음원메모리(165)를 내장하여 디지털 미디어 파일, 즉 음원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을 통하여 외부에서 음원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의 일 구현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의 일 구현예의 외관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lex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ure 2 is an exter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구현예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100)의 외관만을 도시한 것이므로, 앞서 설명한 음원 모듈(140),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 옥스 입력 모듈(130), USB 모듈(160), 정전압회로부(170) 등의 구성요소는 모두 내부에 내장되어 도시되지 아니하였다.Since the embodiment shows only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multimedia device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는 차량의 시거잭 전원(290)과 연결되는 전원입력부(180)를 구비하며, 전원입력부(180)가 시거잭 전원(290)과 연결되어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전원 표시램프(18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표시램프(181)는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차량의 시거잭 전원(29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또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음원모듈(140)의 음성신호(음원 또는 멜로디)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멜로디 스위치(145)를 구비하여 음원모듈(140)의 음성신호 출력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고, 멜로디 스위치(145)가 온되어 음원모듈(140)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멜로디 표시램프(141)가 구비됨으로써 음원모듈(140)의 음성신호 출력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핸즈프리 스위치(125)와, 핸즈프리 스위치(125)에 의해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이 온(ON)되어 작동하는 동안에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핸즈프리 동작 표시램프(121)가 또한 구비된다. 핸즈프리 스위치(125)는 단순히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을 온/오프 제어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에 의한 다수 멀티미디어 기기 검사시에 착오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즈프리 스위치(125)를 온으로 한 때에는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만이 작동하도록 하고, 핸즈프리 스위치(125)를 오프로 한 때에는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을 제외한 장치들, 즉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이나 옥스 입력 모듈(130) 등이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의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가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핸즈프리 스위치(125)를 온으로 하여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의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의 전원을 켜면 무선 핸즈프리 모듈(120)이 자동으로 페어링을 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ands-
차량의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와 접속하기 위한 유선 핸즈프리 접속부(113), 옥스 입력단(230)과 접속하기 위한 옥스 입력 접속부(133), 및 USB 단자(260)와 접속하기 위한 USB 접속부(163)는, 비록 도 2에는 하나의 구성요소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다수의 커넥터에 의하거나 또는 하나의 커넥터에 연결가능한 복합케이블 형식으로 하여 상호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차의 멀티미디어 기기 품질검사시에, 유선 핸즈프리 기기, 옥스 입력단, USB 단자 등에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를 연결해가면서 검사하기보다는 이들 각 장치에 접속하는 모든 케이블을 다 연결한 상태에서 차량 내의 장치 및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의 조작만으로 연결된 모든 멀티미디어 기기의 정상작동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품질검사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A wired
한편, 본 구현예에서 레벨미터(15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다른 형태로 LED를 배열하는 것도 가 능하며, LED 외의 다른 시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의 보관 및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걸이(19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에 의한 유무선 핸즈프리와 옥스 입력단 검사과정을 설명하겠다.Finally,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wired / wireless hands-free and ox input stage inspection process by the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블루투스 방식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 검사시에는 먼저 본 발명의 복합검사장치(100)를 차량의 시거잭 전원(290)에 연결하고 전원 표시램프(181)의 점등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카오디오(240)를 페어링 모드(pairing mode)로 설정한 후 복합검사장치(100)의 핸즈프리 스위치(125)를 온으로 하면, 카오디오(2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페어링 과정이 표시된다. 페어링이 완료된 후 차량의 핸즈프리용 마이크(270)에 음성을 입력하는 동시에 복합검사장치(100)의 레벨미터(150)를 확인하여 무선 핸즈프리 기기(220)와 핸즈프리용 마이크(270)의 정상작동 여부를 검사한다. 다음으로 핸즈프리 스위치(125)를 오프로 함으로써 검사는 종료된다.When the Bluetooth wireless hands-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를 검사할 때에는 먼저 복합검사장치(100)를 시거잭 전원(290)에 연결하고 전원 표시램프(181)의 점등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유선 핸즈프리 접속부(113)와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를 핸즈프리 케이블(도시되지 않음)로 연결한다. 이때 핸즈프리 스위치(125)는 오프로 되어 있어야 하며, 만약 온으로 되어 있으면 오프로 해준다. 이어서 차량의 핸즈프리 작동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 핸즈프리 작동 제어신호를 유선 핸즈프리 모듈(110)로 출력한 후, 핸즈 프리용 마이크(270)에 음성을 입력하는 동시에 복합검사장치(100)의 레벨미터(150)를 확인하여 유선 핸즈프리 기기(210)와 핸즈프리용 마이크(270)의 정상작동 여부를 검사한다. 다음으로, 복합검사장치(100)의 멜로디 스위치(145)를 온으로 하고, 멜로디 표시램프(141)가 점등된 것을 확인한 후, 차량 스피커(280)에서 음원 또는 멜로디가 출력되는지 확인함으로써 검사는 종료된다.When inspecting the wired hands-
옥스 입력단 검사시에는, 먼저 복합검사장치(100)를 시거잭 전원(290)에 연결하고 전원 표시램프(181)의 점등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복합검사장치(100)의 옥스 입력 접속부(133)와 차량의 옥스 입력단(230)을 옥스 케이블(도시되지 않음)로 연결한다. 이때 핸즈프리 스위치(125)는 오프로 되어 있어야 한다. 카오디오(240)의 모드를 옥스 모드(AUX Mode)로 설정한 후, 복합검사장치(100)의 멜로디 스위치(145)를 온으로 하고, 멜로디 표시램프(141)가 점등된 것을 확인한 후에 차량 스피커(280)에서 음원 또는 멜로디가 출력되는지 확인함으로써 검사는 종료된다.At the time of the oak input stage inspection, first, the
이상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상기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 변경,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오로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While the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below.
도 1a은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의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가 연결되는 차량 내부 장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B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vehicle devices to which the composite multimedia insp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A is connected.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기 복합검사장치의 일 구현예의 외관도이다.Figure 2 is an exter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multimedia device composit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23353A KR101382839B1 (en) | 2008-12-05 | 2008-12-05 | Multiple Inspection Apparatus for Multimedia Devices of a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123353A KR101382839B1 (en) | 2008-12-05 | 2008-12-05 | Multiple Inspection Apparatus for Multimedia Devices of a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64758A KR20100064758A (en) | 2010-06-15 |
| KR101382839B1 true KR101382839B1 (en) | 2014-04-10 |
Family
ID=4236431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1233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2839B1 (en) | 2008-12-05 | 2008-12-05 | Multiple Inspection Apparatus for Multimedia Devices of a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8283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42987B1 (en) | 2014-04-25 | 2015-08-12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terminal |
| KR102173989B1 (en) * | 2014-05-30 | 2020-11-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of AVN system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016985A (en) | 2003-06-23 | 2005-01-20 | Nissan Motor Co Ltd |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
| KR100488722B1 (en) | 2002-11-28 | 2005-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andsfree system test device |
| KR20070015691A (en) * | 2005-08-01 | 2007-02-06 | 장성인 | Cassette adapter with sound level meta function by LED |
-
2008
- 2008-12-05 KR KR1020080123353A patent/KR1013828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88722B1 (en) | 2002-11-28 | 2005-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andsfree system test device |
| JP2005016985A (en) | 2003-06-23 | 2005-01-20 | Nissan Motor Co Ltd |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
| KR20070015691A (en) * | 2005-08-01 | 2007-02-06 | 장성인 | Cassette adapter with sound level meta function by LE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64758A (en) | 2010-06-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87203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test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 inputs to a vehicle computer | |
| US20150042881A1 (en) | Electronic adapter unit for selectively modifying audio or video data for use with an output device | |
| JP2015520875A (en) | Connection matching method and apparatus | |
| CN104602968B (en) |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 |
| KR101250120B1 (en) | O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 |
| JP2015106920A (en) | System for wireless interaction test between voice signal reproduction system and mobile phone,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omponent | |
| CN103716465A (en) | Two-mobile-terminal mutual testing method and system | |
| US1055480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noises with wireless transducer | |
| KR101382839B1 (en) | Multiple Inspection Apparatus for Multimedia Devices of a Vehicle | |
| US9838146B2 (en) | Apparatus for labeling inputs of an audio mixing console system | |
| KR101500177B1 (en) | Audio system of vehicle | |
| KR10197732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output | |
| KR101640055B1 (en) | Terminal, audio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vehicle | |
| US2015009857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noises | |
| CN107025912A (en) | Audio play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based on bluetooth | |
| KR101723748B1 (en) | Sound change apparatus of turn signal cluster in car and method thereof | |
| EP1930870A1 (en) | Content data reproduction system and program for realizing the content data reproduction system | |
| JP4321133B2 (en) |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 |
| KR100776720B1 (en) | Automotive multi-terminal assembly with wireless handsfree | |
| CN113821187B (en) |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udio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KR20170033696A (en) |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nectivity of bluetooth | |
| CN107204793B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 |
| JP2018157480A (en) |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program | |
| JP2003204491A (en) | Display device | |
| WO2005090126A1 (en) | Audio device interface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4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40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