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4982B1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romation of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access gatewa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romation of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access gate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982B1
KR101394982B1 KR1020070112275A KR20070112275A KR101394982B1 KR 101394982 B1 KR101394982 B1 KR 101394982B1 KR 1020070112275 A KR1020070112275 A KR 1020070112275A KR 20070112275 A KR20070112275 A KR 20070112275A KR 101394982 B1 KR101394982 B1 KR 10139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6256A (en
Inventor
양회필
서태삼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82B1/en
Publication of KR2009004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2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8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고, 인증 허가 과금(AAA) 서버와 연동하여, AAA 서버로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지 않고,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AAA 또는 GGSN과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페이징을 통한 위치 정보 확인 방식에 비해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세스망과 페이징 자원의 추가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technology of a wireless access gateway-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delimiter informat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Receiving a location code response message including a location code by transmitting a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including delimiter information,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by querying a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LBSP)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th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firmed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AA or GGSN in the wireless access gateway without performing pag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compared with the method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ccess network and the paging resource.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AAA/GGSN, 위치 정보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access gateway, AAA / GGSN, lo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ROMATION OF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ACCESS GATEWAY}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gateway 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접속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데 적합한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gateway-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itable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by connecting with a wireless access gateway will b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들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고정된 유선망에 연결되는 구조를 지닌다. 제한된 무선망의 무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들이 사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유선망에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만 유선망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호(call)가 왔을 때 무선망에서 움직이는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General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nnected to a fixed wired networ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is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only when necessary so that the wireless bandwidth of the limited wireless network can be efficiently maintained and used by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accurately and efficiently grasping the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ing in a wireless network when a call is mad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위치 등록(location update)과 페이징(paging)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위치 등록이란 이동통신 단말이 망에게 현재 자신의 존재를 알림으로써 망이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로 호가 왔을 때 호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위치 등록이 너무 빈번하게 수행되면 유·무선망에서의 자원 낭비를 가져오게 되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수행하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로의 호가 오면 마지막으로 등록된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까운 위치의 셀들에게 폴링 시그널(polling signal)을 보내어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데 이것을 페이징이라고 한다. A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through location update and paging.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s the network of its present existence so that the network can manag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nect the call when a call is receiv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location registration is performed too frequently, it is wasted resources in the wired / wireless net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location registration only when necessary. When a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ccurs, A poll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called paging.

위치 등록 및 페이징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은 전원 온 상태이면, 자신의 현재 위치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통신망에 알리고, 이동통신망은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홈 위치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에 등록, 관리한다. 홈 위치등록기에 등록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는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담당하게 되는 기지국의 고유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망에서는 항시 이동통신 단말이 어느 기지국 범위(coverage)에 있는지 알고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inform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its current loc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wered 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bscrib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gisters and manag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in the home location register includes unique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to be in charg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lways known which base station cover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찾기 위한 페이징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paging method for searching for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2)과, 기지국 제어기(104), 이동통신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106)와, 위치 정보 제공 서버(108)를 포함한다. 기지국(102) 셀 내에 속해있는 이동통신 단말(100)은 전원 온한 상태에서 기지국(102)과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으므로, 이동통신 망 에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통신 단말(100)에 대한 위치 정보 확인을 요청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교환기(106)에서 기지국 제어기(104)로 이동통신 단말(100)에 대한 페이징을 요청하고, 기지국 제어기(104)에서는 기지국(102)을 포함하는 모든 제어 기지국들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102, a base station controller 104,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06,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8.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elonging to a cell of the base station 102 periodically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102 while the power is o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04 requests paging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06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04 and transmits the paging to all the control base stations including the base station 102 And transmits a paging request message.

이에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102)에서는 셀 내에 속한 이동통신 단말(100)에 대한 요청임을 인지하고, 이동통신 단말(100)과의 페이징 신호 송수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100)이 기지국(102)의 셀 내에 속해 있음을 이동통신 교환기(106)로 전달하고, 이동통신 교환기(106)에서는 위치정보 제공서버(106)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위치정보 제공서버(106)에서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로 이동통신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해 준다. Upon receiving the paging request message, the base station 102 recognizes that the request i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elonging to the cell and transmits the paging signal to and receives the paging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06 transfers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106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06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06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등록 횟수가 많아지면 페이징 비용을 줄일 수 있지만 위치 등록으로 인한 비용의 증가를 일으키고, 반대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등록 횟수가 적으면 이동통신 단말을 찾기 위해 페이징하는 셀의 수가 많아지므로 페이징 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페이징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100)이 속한 셀의 위치를 찾고,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기까지 어느 정도 딜레이(Delay)가 발생될 수 있다. Generally, if the location registration frequ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es, the cost of paging can be reduced, but the cost due to location registration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if the location registration frequ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mall, So that the paging cost is increased. When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firmed through the paging, the position of the cell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elongs is delayed to some extent until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May occur.

한편, 근래에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이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의 GPS 모듈은 위성과의 통신으로 이동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기지국 범위보다 정확한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제공 할 수는 있으나, 이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GPS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에 한정될 수 있으므로 범용적인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has been popular. The GPS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communication with the satellite, However, in order to utilize such a service, the GPS module may be limi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GPS module.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 확인을 위해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페이징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교환기 및 기지국 정보를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페이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페이징을 통한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위치 확인 서비스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perform pag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exchanger and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rmed through the paging, the delay through the paging may occur, which may cause a delay in the location service. .

또한, 위치 확인이 요청된 각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함으로써, 접속(Access)망의 페이징 자원 사용을 증가 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paging resources are increased in the access network by performing paging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which a location check is requested.

이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of a wireless access gateway 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wireless access gateway to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 접속한 경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AAA 및 GGSN과의 연동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ireless access gateway-based mobile terminal capable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AAA and GGSN in a wireless access gateway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a wireless access gateway to check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 접속한 경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AAA 및 GGSN과의 연동을 통해 위치 코드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코드를 LBSP에 질의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무선 접속 게이트 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wireless access gatew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s the location code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AAA and the GGSN in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by querying the obtained location code with the LBSP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gateway 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는 과정과, AAA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AAA 서버로 상기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원 서버(Origin Server)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elimiter information to the AAA server, Receiving a location code response message including a location code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code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LBSP),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by query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LBSP) with the location code,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an origin ser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 헤더 내에 포함하여 상기 원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by includ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in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request head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구분자 정보는 IP 또는 단말 식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miter information is an IP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 코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속한 섹터정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정보 및 이동통신 교환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ode is secto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a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는 과정과, 패킷 관문 지원노드(GGSN)와 연동하여, 상기 GGSN으로 상기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원 서버(Origin Server)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A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delimiter informat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working with a packet gateway support node (GGSN) Receiving a location code response message including a location code by transmitting a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by query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LBSP) with the location code;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an origin serv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 헤더 내에 포함하여 상기 원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by includ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in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request head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구분자 정보는 IP 또는 단말 식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miter information is an IP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 코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속한 섹터정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정보 및 이동통신 교환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ode is secto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a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고, 인증 허가 과금(AAA)서버 연동하여, 상기 AAA 서버로 상기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원 서버(Origin Server)로 전송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연동하여 상기 구분자 정보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코드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상기 AAA 서버와,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코드를 계산하여 계산된 위치 확인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 웨이로 전송하는 상기 LBSP와,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위치 요청 시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원 서버 포함한다.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cooperation with an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charging (AAA) server, Receiving a location code by sending a request message,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by query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LBSP) with the received location code,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 wireless access gateway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an Origin Serv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hecking a location code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delimiter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wireless access gateway, To the AAA server, the lo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The LBSP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lo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nnection gateway and stor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for providing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when requesting a loc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serv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access gatewa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 서버는,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HTTP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request message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extract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header of the received HTTP request message .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구분자 정보는, IP 또는 단말 식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miter information is an IP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 코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속한 섹터정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정보 및 이동통신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ode includes secto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a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고,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와 연동하여, 상기 GGSN으로 상기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원 서버(Origin Server)로 전송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 식별번호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코드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상기 GGSN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코드를 계산하여 계산된 위치 확인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상기 LBSP와,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위치 요청 시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원 서버를 포함한다.The syste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it receives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locks with a packet gateway support node (GGSN), and transmits, to the GGSN, Receiving a location code by sending a request message,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by query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LBSP) with the received location code,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 wireless access gateway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an Origin Server, and a wireless access gateway for confirming a location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 cooperation with the wireless access gateway, The GGSN for transmitting to the gateway, and the GGSN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The LBSP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connection gateway and storing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and for providing the stored position information when requesting the posi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는, 상기 위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 헤더 내에 포함하여 상기 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access gateway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request header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 서버는,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HTTP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 server receives an HTTP request message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extract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header of the received HTTP request message.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구분자 정보는, IP 또는 단말 식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miter information is an IP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 코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속한 섹터정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정보 및 이동통신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ode includes secto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a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ffects obtained by representative ones of the disclosed invention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지 않고,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AAA 또는 GGSN과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페이징을 통한 위치 정보 확인 방식에 비해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세스망과 페이징 자원의 추가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AA or GGSN at the wireless access gateway without performing paging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compared to the posi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method and to prevent the additional use of the access network and paging resourc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 접속한 경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인증, 허가, 과금(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이하 AAA이라 한다) 서버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한다)와의 연동을 통해 위치 코드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이하 LBSP라 한다)에 질의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위 치 정보를 원서버(Origin Server)에 전송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wireless access gateway in order to check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a wireless access gateway,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GGSN), and acquires the location code from the 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Location Based Service). The 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Plat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LBSP), and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확인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210)은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 AAA/GGSN(214), LBSP(216), 원서버(218)를 포함한다. 2,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10 includes a wireless access gateway 212, an AAA / GGSN 214, an LBSP 216, and an origin server 218.

먼저 이동통신 단말(200)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로서,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COMO사의 i-Mod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먼저 이동통신 시스템(210)의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에 접속을 수행한다.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includes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as an Internet access protocol, an MIE (Microsoft Internet Explorer) based on HTML using an HTTP protocol, The Interne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 browser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such as a device transport protocol (HDPT) and an i-mode of NTT DOCOMO. A connection is first made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10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인터넷 망과 같은 IP망과의 연동 기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왑 프록시(WAP Proxy) 서버 또는 왑(WAP) 게이트웨이가 될 수 있으며, 왑 프로토콜로 된 정보가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로 수신되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에서는 TCP/IP 기반의 HTTP 정보로 변경하여 인터넷 망으로 전송하며, 인터넷 망으로부터 전송되는 HTTP 메시지를 왑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이동통신 단말(200)로 전송한다.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supports an interworking function with an IP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network. For example,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may be a WAP Proxy server or a WAP gateway, and when information in the WAP protocol is received by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Converts the HTTP message based on the TCP / IP to the Internet network, converts the HTTP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Internet network to the WAP protocol, and transmits the HTTP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이와 같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이동통신 단말(200)과의 접속을 통 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200)과 위치 정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원 서버(218)간에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200)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로 전송한 구분자 정보로서, IP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인 MIN(Mobile Identity Number)/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를 토대로 AAA/GGSN(214)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200)에 대한 위치 코드를 확인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performs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performs an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origin server 218 performing the position information service do. At this time, as the delimit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for the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an IP (Mobile Identity Number) /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And confirms the location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cooperation with the AAA / GGSN 214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즉,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AAA/GGSN(214)과의 연동후에 AAA/GGSN(214)으로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때, 이동통신 단말(200)의 구분자 정보인 IP 또는 MIN/IMSI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에 AAA/GGSN(214)에서는 IP 또는 MIN/IMSI를 통해 확인된 이동통신 단말(200)의 위치 코드를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로 전송한다. That is,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transmits a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to the AAA / GGSN 214 after interworking with the AAA / GGSN 214. At this time,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P or MIN / IMSI information. The AAA / GGSN 214 transmits the location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dentified via IP or MIN / IMSI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이에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에서는 AAA/GGSN(214)을 통해 확인한 이동통신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코드를 통해 LBSP(216)로 위치정보 조회 요청을 질의 한다. 이후 LBSP(216)로부터 계산된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한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계산된 위치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요청 헤더(Request Header)에 포함하여 원 서버(218)로 전송한다.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then queries the LBSP 216 for a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through a location code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onfirmed via the AAA / GGSN 214.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which ha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LBSP 216, encodes the calculated loc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hypertext transport protocol (HTTP) (Request Header) to the origin server 218.

이때, HTTP 요청 헤더는 하기 (표 1)과 같은 ABNF(augmented Backus- Naur form)(RFC 2234) 폼을 준수한다. At this time, the HTTP request header conforms to the ABNF (augmented Backus-Naur form) (RFC 2234) form as shown in Table 1 below.

  Location-Info = "X-SKT-Location-Info"
  X-SKT-Location-Info = Location-Value
  Location-Value = 1*500 CHAR
Location-Info = "X-SKT-Location-Info"
X-SKT-Location-Info = Location-Value
Location-Value = 1 * 500 CHAR

AAA/GGSN(214)은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와 라디우스(RADIUS: 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와 디아미터(Diameter) 방식으로의 연동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200)의 네트워크 및 무선 인터넷의 접속을 위한 IP할당, MIN/IMSI, 위치 정보 관리를 수행한다. The AAA / GGSN 214 is connected to the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Internet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and a RADIUS (Diameter) IP allocation for connection, MIN / IMSI, and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단순히 모뎀 포트를 제공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불법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해야 하고, 가입자의 권한 레벨을 부여하고 검증해야 하며, 과금 및 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다. Specifically, mobile telecommunication operators should not only provide modem ports in wired /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but should prevent unauthorized use of services, grant and verify subscriber rights level, establish billing and resource planning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network usage.

이에 AAA는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NAS: Network Attached Storage)와 연동하여 가입자에 대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인증, 권한 부여, 과금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라디우스/디아미터 프로토콜 기반의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내부구조를 갖는 고성능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IWF(Interworking Function)/GGSN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들과 연동하여 가입자에 대한 세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CIS(Client Identity Server) 기능을 제공한다. Therefore, AAA is stable based on RADIUS / DIAMETER protocol that systematically provides secure and reliable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billing to subscribers in cooperation with various network equipment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in wired /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nd performs a high performance server function with an expandable internal structure. In addition, it provides CIS (Client Identity Server) function that systematically provides session information to subscribers in cooperation with network equipment such as IWF (Interworking Function) / GGSN in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GGSN은 외부망과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에서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패킷 데이터가 GGSN을 통해 무선 인터넷망으로 송수신되는 것이다. The GGSN acts as an external network and a gateway, through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That is, the packet data transmitted or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 received to / from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GGSN.

그리고 GGSN에서도 라디우스/디아미터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와 연동을 수행한다. The GGSN also performs interworking with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through a RADIUS / DIMM protocol.

이와 같이 AAA/GGSN(214)은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가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 IP 또는 MIN/IMSI를 통해 GGSN에서 관리하는 위치 코드를 위치 코드 응답 메시지로서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로 전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AAA / GGSN 214 transmits a location code managed by the GGSN through the IP or MIN / IMSI transmitted by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included in the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as a location code response message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

그리고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가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200)의 IP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IP를 할당하고, 할당된 이동통신 단말(200)에 대한 IP와 MIN/IMSI를 통하여 위치 정보 관리를 수행한다. Then, an IP for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is allocated through the I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provided by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s performed through IP and MIN / IMSI for the assig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

이때,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와 AAA/GGSN(214)간의 연동을 위해서는 라디우스/디아미터 방식으로 연동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interwork between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and the AAA / GGSN 214, interworking is performed in a radios /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AAA/GGSN(214)과의 연동을 통하여 위치 코드를 확인한다. 이때, 위치 코드는 이동통신 망의 노드 정보로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200)이 위치한 곳의 섹터정보, 기지국 및 기지국제어기 정보와, 이동통신 교환기정보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identifies the location code by interworking with the AAA / GGSN 214. At this time, the location code includes nod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ctor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LBSP(216)는 LBS를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공통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서비스의 효율성, 안정성, 신속성은 물론 가입자의 사생활을 보장한다. The LBSP (216) is a platform that provide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functions for LBS, and provides common components tha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It provides efficiency, stability, do.

여기서 LBS란, 무선 인터넷의 특징인 개인화와 이동성이 결합된 위치기반 서비스로서, 이동통신 단말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휴대용 사용자기기 및 이동통신망과 IT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위치정보 기반의 시스템 및 서비스를 말한다. 이와 같은 위치기정보 기반 서비스는 고객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정보뿐만 아니라 운전 편의 정보와, 대중교통정보, 경로 탐색 및 설정을 수행하는 교통정보와,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적, 개인 위치 정보, 분실된 단말기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정보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정보제공에 활용될 수 있다. Here, the LBS is a location-based service that combines personalization and mobility, which is a feature of the wireless Internet, and is a comprehensive service utilizing a mobile user equipment capable of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system and ser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based service includes not only product information but also driving convenience information,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for performing route search and setting, location track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for tracking lost terminals, and so on.

이와 같은 LBS 기능을 수행하는 LBSP(216)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코드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200)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에 계산된 위치확인 정보를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에게 제공한다. The LBSP 216 performing the LBS function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location code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Information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원 서버(218)는 해당 자원이 보관되어 있거나, 자원을 생성할 수 있는 서버로서, 본 발명에서는 위치 기반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로부터 HTTP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HTTP 메시지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2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망 가입자에게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The origin server 218 is a server that stores the resource or can generate resourc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 server 218 performs a service based on location, and when receiving an HTTP message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Extracts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bscriber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확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heck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200)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에 접속하는 경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에서는 302단계에서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200)을 통해 IP 또는 MIN/IMSI를 확인한다. 3,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esses the radio access gateway 212 in step 300, the radio access gateway 212 transmits an IP or MIN / IMSI.

이후 304단계에서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라디우스 또는 디아미터 방식으로 AAA/GGSN(214)과 연동하여 AAA/GGSN(214)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200)의 IP 또는 MIN/IMSI를 통하여 위치 코드를 전달받는다. 이에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306단계에서 LBSP(216)에 AAA/GGSN(214)로부터 전달받은 이동통신 단말(200) 위치 코드를 질의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200)의 위치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에서는 전달받은 위치확인 정보에 대한 인코딩을 수행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In step 304,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communicates with the AAA / GGSN 214 via the IP or MIN / IMSI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used in the AAA / GGSN 214 in a RADIUS or DIMM Receive the location code.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receives the lo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by inquiring the location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ceived from the AAA / GGSN 214 in the LBSP 216 in step 306 , And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encodes the received lo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이에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는 308단계에서 인코딩한 위치 정보를 HTTP 헤더에 포함하여 원서버(218)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원서버(218)에서는 210단계에서 원서버에서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212)로부터 HTTP 헤더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200)에 대한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encoded in step 308 to the origin server 218 in the HTTP header. In step 210, the origin server 218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TTP header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2 in the origin server 210,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무선 접속 게이트웨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 접속한 경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AAA 및 GGSN과의 연동을 통해 위치 코드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코드를 LBSP에 질의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위치 정보를 원서버에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wireless connection gateway to confirm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a wireless access gateway, Acquires the location code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GGSN,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by inquiring the acquired location code to the LBSP, and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확인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지 않고,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에서 AAA 또는 GGSN과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페이징을 통한 위치 정보 확인 방식에 비해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세스망과 페이징 자원의 추가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것에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confirm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erform pag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AA or GGSN in the wireless access gatew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fi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compar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method using paging, and is suitable for preventing further use of the access network and paging resources.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확인 방식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확인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identifying a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확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checking proced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200 : 이동통신 단말         210 : 이동통신 시스템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12 :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214 : AAA or GGSN 212: wireless access gateway 214: AAA or GGSN

216 : LBSP                  218 : Origin Server216: LBSP 218: Origin Server

Claims (20)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는 과정과, Receiving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인증 허가 과금(AAA)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AAA 서버로 상기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Receiving a location code response message including a location code by transmitting a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elimiter information to the AAA server in cooperation with an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AAA) server; 상기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by query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LBSP) with the location code;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the received lo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원 서버(Origin Server)로 전송하는 과정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방법은, The method comprises: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 헤더 내에 포함하여 상기 원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And transmitting the cre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by includ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in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분자 정보는,The delimiter information includes: IP 또는 단말 식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IP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위치 코드는, Wherein the position code comprises: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속한 섹터정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정보 및 이동통신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방법.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secto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는 과정과, Receiving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와 연동하여, 상기 GGSN으로 상기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Receiving a location code response message including a location code by transmitting a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elimiter information to the GGSN in cooperation with a packet gateway support node (GGSN) 상기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by query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LBSP) with the location code;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the received lo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원 서버(Origin Server)로 전송하는 과정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방법은, The method comprises: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 헤더 내에 포함하여 상기 원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And transmitting the cre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rigin server by includ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in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구분자 정보는,The delimiter information includes: IP 또는 단말 식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방법. IP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위치 코드는, Wherein the position code comprises: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속한 섹터정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정보 및 이동통신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방법.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secto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고, 인증 허가 과금(AAA)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AAA 서버로 상기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원 서버(Origin Server)로 전송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it receives the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a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elimiter information to the AAA server in cooper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charging (AAA) server, Based location service platform (LBSP) to receive the location code, to receive the location code, to receive the location code,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the received location code,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연동하여 상기 구분자 정보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코드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상기 AAA 서버와, An AAA server for checking the location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delimiter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radio access gateway and transmitting the confirmed location code to the radio access gateway,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코드를 계산하여 계산된 위치 확인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상기 LBSP와, The LBSP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위치 요청 시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원 서버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stored, and when the loc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는, The wireless access gateway includes: 상기 위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 헤더 내에 포함하여 상기 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rigin server by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 hypertext transmission protocol (HTTP) request header.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는,The wireless access gateway includes: 왑 프록시(WAP Proxy)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Wherein the WAP proxy server is a WAP proxy server. 제 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원 서버는,The origin server,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HTTP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Receiving the HTTP request message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extracting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received HTTP request message. 제 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구분자 정보는,The delimiter information includes: IP 또는 단말 식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IP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위치 코드는, Wherein the position code comprises: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속한 섹터정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정보 및 이동통신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secto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구분자 정보를 전달받고,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와 연동하여, 상기 GGSN으로 상기 구분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코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코드를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 질의하여 위치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 확인 정보를 인코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원 서버(Origin Server)로 전송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it receives the delimit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a location cod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elimiter information to the GGSN in cooperation with the packet gateway support node (GGSN) (LBSP) to receive the location code,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n origin server,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 식별번호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코드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상기 GGSN과, A GGSN for confirming a location code of a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 cooperation with the radio access gateway and transmitting the confirmed location code to the radio access gateway;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코드를 계산하여 계산된 위치 확인 정보를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상기 LBSP와, The LBSP for calculating the lo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access gateway,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위치 요청 시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원 서버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when requesting a loc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는, The wireless access gateway includes: 상기 위치 정보를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요청 헤더 내에 포함하여 상기 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rigin server by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 hypertext transmission protocol (HTTP) request header. 제 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는,The wireless access gateway includes: 왑 프록시(WAP Proxy)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Wherein the WAP proxy server is a WAP proxy server. 제 15항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원 서버는,The origin server, 상기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로부터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HTTP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Receiving the HTTP request message from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extracting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received HTTP request message. 제 15항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구분자 정보는,The delimiter information includes: IP 또는 단말 식별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IP or a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5항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위치 코드는, Wherein the position code comprises: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속한 섹터정보,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정보 및 이동통신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게이트웨이 기반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 생성 시스템.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sector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base station, base station controller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information.
KR1020070112275A 2007-11-05 2007-11-05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romation of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access gateway Active KR101394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275A KR101394982B1 (en) 2007-11-05 2007-11-05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romation of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access gate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275A KR101394982B1 (en) 2007-11-05 2007-11-05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romation of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access gate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256A KR20090046256A (en) 2009-05-11
KR101394982B1 true KR101394982B1 (en) 2014-05-14

Family

ID=4085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275A Active KR101394982B1 (en) 2007-11-05 2007-11-05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romation of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access gate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579B1 (en) 2005-06-29 2006-1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KR20070020657A (en) * 2005-08-16 2007-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ositioning method of GPS-supporting terminal in LPS system
KR20070027010A (en) * 2005-08-29 2007-03-09 유엔젤주식회사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method and location based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26925A (en) * 2005-08-27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rminal location service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LA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579B1 (en) 2005-06-29 2006-1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KR20070020657A (en) * 2005-08-16 2007-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ositioning method of GPS-supporting terminal in LPS system
KR20070026925A (en) * 2005-08-27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rminal location service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LAN
KR20070027010A (en) * 2005-08-29 2007-03-09 유엔젤주식회사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method and location based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256A (en)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2912C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handling of location services independent of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906957B (en) User Plane Location Based Services Using Message Tunneling to Support Roaming
US7308237B2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rovisioning of a service, over a user plane connection
US8831606B2 (en) Mobile terminal registration method in a radio network
US7221940B2 (en) Server on wireless network communicates with terminal on cellular network
US7321778B2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JP2006505223A (en)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bscriber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04507973A (en) Generic WLAN architecture
CN101361392A (en) Terminal state discovery during secure user plane location location
CN115022806B (en) Terminal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US20050107100A1 (en) Method of modifying parameters of user terminal, radio system and user terminal
EP2359610B1 (en) Providing access to a gprs network
WO2007101389A1 (en)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locating mobile terminal
CN102413453A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equipment user number
US2006010982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ervice data t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ers
CN102045717B (en) System, method and relevant equipment for acquiring user identifier in data service
US201101836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change of area event
EP1931165B1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services in WiMAX network
DK1379053T3 (en) Procedure for transferring a user ID password pair and wireless network
KR1013949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location infromation of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access gateway
US10015729B2 (en) Providing access to a GPRS network
KR20060113239A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 Ⅰ-WLAN
KR1003884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ynamic IP Address to ISP Subscriber Mobile Terminal Visiting 3rd Generation GPRS Network
KR200200587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on IMT-2000
KR1006787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dynamic IP address from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