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990B1 - 고 인장강성을 가지는 합성인장부재, 이를 위한 격자구조판 및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고 인장강성을 가지는 합성인장부재, 이를 위한 격자구조판 및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4990B1 KR101394990B1 KR1020120140282A KR20120140282A KR101394990B1 KR 101394990 B1 KR101394990 B1 KR 101394990B1 KR 1020120140282 A KR1020120140282 A KR 1020120140282A KR 20120140282 A KR20120140282 A KR 20120140282A KR 101394990 B1 KR101394990 B1 KR 101394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tice structure
- hollow
- tensile
- bar
- inner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 인장강성을 가지는 합성인장부재는 인장하중 발생 시 외측에 위치하는 중공부재는 하중 작용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수축거동을 하게 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격자구조체는 팽창거동을 함으로써, 서로 상쇄시켜서 외부 인장하중에 대응하는 외측 강봉의 강성을 내측 격자구조체가 보존해주어 합성인장부재 전체의 인장강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인장부재의 내부 구성을 투시하여 보여주고 있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격자구조체를 만들게 되는 격자구조판의 2차원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격자구조판을 이루는 봉 유닛을 하나만 떼어내어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복수개의 봉 유닛이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복수개의 봉 유닛이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격자구조판에 종방향으로 인장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격자구조판이 변형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격자구조판을 감아서 통형상의 격자구조체를 만드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격자구조판을 결합하여 격자구조체를 만드는 또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격자구조체를 중공부재의 중공 내에 삽입 배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통형상 단면의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격자구조체를 서로 포갠 상태로 하나의 중공부재 내에 삽입 배치하는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복수개의 단면 크기를 가지는 중공부재를 중공 내부에 복수개로 포개서 설치하고, 포개진 중공부재 사이의 간격에 통형상의 격자구조체를 각각 삽입 배치하는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인장부재에 종방향으로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의 응력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2: 격자구조체
20: 봉 유닛
100: 합성인장부재
Claims (11)
- 인장하중에 저항하는 합성인장부재로서,
중공(11)을 가지는 중공부재(1)와; 상기 중공부재(1)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일체화되는 격자구조체(2)로 구성되며;
상기 격자구조체(2)는, 다수 개의 봉이 서로 회전가능한 회전절점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인장하중이 종방향으로 작용할 때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 대해 팽창을 하는 거동하는 음(-)의 포아송비를 가지는 격자구조판이 통형상 또는 기둥형상으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구조체(2)를 이루는 격자구조판은, 봉 유닛(20)이 복수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봉 유닛(20)은, 제1중앙 회전절점(23)에서 제1외측봉(21a)과 제2외측봉(21b)의 일단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2외측봉(21a, 21b)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1내측봉(22a)과 제2내측봉(22b)의 일단이 제2중앙 회전절점(24)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외측봉(21a)과 제1내측봉(22a)의 타단은 제1외측 회전절점(25)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외측봉(21b)과 제2내측봉(22b)의 타단은 제2외측 회전절점(26)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외측봉(21a, 21b)의 일단이 만나서 향하고 있는 방향과 제1, 2내측봉(22a, 22b)의 일단이 만나서 향하는 방향은 동일하게 종방향이 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종방향으로 후방의 봉 유닛(20)의 제1중앙 회전절점은 전방의 봉 유닛(20)의 제2중앙 회전절점이 되고, 횡방향으로 일측 봉 유닛의 제2외측 회전절점은 이웃하는 타측 봉 유닛의 제1외측 회전절점이 되도록, 복수개의 봉 유닛(20)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격자구조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구조체(2)를 통형상 단면 크기가 서로 다르게 복수개로 준비하여, 통형상 단면의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격자구조체(2)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하나의 중공부재(1) 내에 삽입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중공부재(2)가 중공 내부에 복수개로 포개서 설치되어 있고;
포개진 중공부재(2) 사이의 간격에 통형상의 격자구조체(2)가 각각 삽입 배치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격자구조체(2)가 중공부재(1)의 중공(1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11) 내에 결합재(3)가 채워져서, 상기 격자구조체(2)가 결합재(3) 내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격자구조체(2), 결합재(3) 및 중공부재(1)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
- 인장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으로서,
다수 개의 봉이 서로 회전가능한 회전절점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인장하중이 종방향을 작용할 때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 대해 팽창을 하는 거동하는 음의 포아송비를 가지는 격자구조판을 제작하고;
상기 격자구조판을 통형상 또는 기둥형상이 되도록 성형하여 격자구조체(2)를 제작하고;
중공(11)을 가지는 중공부재(1)의 중공 내부에 상기 격자구조체(2)를 배치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 제6항에 있어서,
봉 유닛(20)을 복수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격자구조체(2)를 이루는 격자구조판을 제작하되
상기 봉 유닛(20)은 제1중앙 회전절점(23)에서 제1외측봉(21a)과 제2외측봉(21b)의 일단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2외측봉(21a, 21b)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1내측봉(22a)과 제2내측봉(22b)의 일단이 제2중앙 회전절점(24)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외측봉(21a)과 제1내측봉(22a)의 타단은 제1외측 회전절점(25)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외측봉(21b)과 제2내측봉(22b)의 타단은 제2외측 회전절점(26)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외측봉(21a, 21b)의 일단이 만나서 향하고 있는 방향과 제1, 2내측봉(22a, 22b)의 일단이 만나서 향하는 방향은 동일하게 종방향이 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종방향으로 후방의 봉 유닛(20)의 제1중앙 회전절점은 전방의 봉 유닛(20)의 제2중앙 회전절점이 되고, 횡방향으로 일측 봉 유닛의 제2외측 회전절점은 이웃하는 타측 봉 유닛의 제1외측 회전절점이 되도록, 복수개의 봉 유닛(2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하여 격자구조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통형상 단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상기 격자구조체(2)를 제작하여, 통형상 단면의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격자구조체(2)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하나의 중공부재(1) 내에 삽입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단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중공부재(2)를 중공 내부에 복수개로 포개어 설치하고;
포개진 중공부재(2) 사이의 간격에 통형상의 격자구조체(2)를 각각 삽입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격자구조체(2)를 중공부재(1)의 중공(11) 내에 삽입한 후, 상기 중공(11) 내에 결합재(3)를 채워서, 상기 격자구조체(2)가 결합재(3) 내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격자구조체(2), 결합재(3) 및 중공부재(1)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 봉 유닛(20)이 복수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봉 유닛(20)은 제1중앙 회전절점(23)에서 제1외측봉(21a)과 제2외측봉(21b)의 일단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2외측봉(21a, 21b)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1내측봉(22a)과 제2내측봉(22b)의 일단이 제2중앙 회전절점(24)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외측봉(21a)과 제1내측봉(22a)의 타단은 제1외측 회전절점(25)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외측봉(21b)과 제2내측봉(22b)의 타단은 제2외측 회전절점(26)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외측봉(21a, 21b)의 일단이 만나서 향하고 있는 방향과 제1, 2내측봉(22a, 22b)의 일단이 만나서 향하는 방향은 동일하게 종방향이 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종방향으로 후방의 봉 유닛(20)의 제1중앙 회전절점은 전방의 봉 유닛(20)의 제2중앙 회전절점이 되고, 횡방향으로 일측 봉 유닛의 제2외측 회전절점은 이웃하는 타측 봉 유닛의 제1외측 회전절점이 되도록, 복수개의 봉 유닛(20)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20121744 | 2012-10-31 | ||
| KR1020120121744 | 2012-10-31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55894A KR20140055894A (ko) | 2014-05-09 |
| KR101394990B1 true KR101394990B1 (ko) | 2014-05-14 |
Family
ID=5088745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402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4990B1 (ko) | 2012-10-31 | 2012-12-05 | 고 인장강성을 가지는 합성인장부재, 이를 위한 격자구조판 및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949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66317B1 (ko) * | 2016-06-13 | 2018-06-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격자 지지체를 이용한 보강구조를 가지는 기둥구조물 |
| US11230971B1 (en) * | 2020-10-19 | 2022-01-25 | General Electric Company | Unit cell structures including stiffening patterns |
| KR102563951B1 (ko) * | 2021-04-27 | 2023-08-07 | 오순옥 | 보강장치가 구비된 중공형 부재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331838A (ja) * | 1992-06-03 | 1993-12-14 | Shimizu Corp | 補強構造体の施工方法 |
| JPH11210161A (ja) * | 1998-01-24 | 1999-08-03 | Takenaka Komuten Co Ltd | せん断補強用展開型シザースリンク及び該シザースリンクを使う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部材のせん断補強方法 |
| KR20090039500A (ko) * | 2007-10-18 | 2009-04-22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3차원 트러스 타입 다공질 재료의 보강재를 구비한 구조물및 그 제조 방법 |
| JP2012067582A (ja) * | 2010-08-23 | 2012-04-05 | Hokukon Co Ltd | 貯水槽の補強構造 |
-
2012
- 2012-12-05 KR KR1020120140282A patent/KR10139499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331838A (ja) * | 1992-06-03 | 1993-12-14 | Shimizu Corp | 補強構造体の施工方法 |
| JPH11210161A (ja) * | 1998-01-24 | 1999-08-03 | Takenaka Komuten Co Ltd | せん断補強用展開型シザースリンク及び該シザースリンクを使う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部材のせん断補強方法 |
| KR20090039500A (ko) * | 2007-10-18 | 2009-04-22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3차원 트러스 타입 다공질 재료의 보강재를 구비한 구조물및 그 제조 방법 |
| JP2012067582A (ja) * | 2010-08-23 | 2012-04-05 | Hokukon Co Ltd | 貯水槽の補強構造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55894A (ko) | 2014-05-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462334B2 (ja) | 座屈拘束ブレースとそれに用いる芯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 CN107849845B (zh) | 网格结构及其生产装置和方法 | |
| KR101394990B1 (ko) | 고 인장강성을 가지는 합성인장부재, 이를 위한 격자구조판 및 합성인장부재의 제작방법 | |
| JP2012012881A (ja) | 建物の耐震構造 | |
| KR101394989B1 (ko) |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 이를 위한 격자구조체 및 합성보강재의 제작방법 | |
| KR101459648B1 (ko) | 격자구조체를 이용한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충격보호 구조물 | |
| JP6567965B2 (ja) | PCa床版の継手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 |
| JP5579582B2 (ja) | 座屈補剛ブレースの接合方法及び座屈補剛ブレース | |
| KR101882386B1 (ko) | 이중 횡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보강 공법 | |
| KR101490812B1 (ko) |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후프 일체형 선조립 골조 | |
| CN104040086A (zh) | 用于混凝土的钢筋结构 | |
| KR101459647B1 (ko) | 상이한 강성의 내외측봉으로 이루어져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를 이루는 격자구조체, 이를 이용한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 및 이러한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의 제작방법 | |
| KR20160137705A (ko) | Cft기둥의 합성거더 접합구조 | |
| JP7373039B2 (ja) | 構造体の施工方法及び組立構造体の組立て方法 | |
| CN206957320U (zh) | 含有l型耗能元件的屈曲约束支撑及建筑物 | |
| JP2020183643A (ja) | 配筋構造 | |
| KR101866317B1 (ko) | 격자 지지체를 이용한 보강구조를 가지는 기둥구조물 | |
| JP6568724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 | |
| TWM621077U (zh) | 耐震結構柱及其雙核心鋼筋結構 | |
| JP2017155510A (ja) | 柱梁接合部構造 | |
| JP2006233548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 | |
| JP5680328B2 (ja) | コンクリート集成材及びその構築方法 | |
| JP3939686B2 (ja) | 型枠パネル及びそれを使用した建築用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製の基礎 | |
| JP4379733B2 (ja) |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 |
| JP6184738B2 (ja) |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構造及びその補強構築方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5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