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190B1 - Stack guide - Google Patents
Stack gui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6190B1 KR101396190B1 KR1020120044410A KR20120044410A KR101396190B1 KR 101396190 B1 KR101396190 B1 KR 101396190B1 KR 1020120044410 A KR1020120044410 A KR 1020120044410A KR 20120044410 A KR20120044410 A KR 20120044410A KR 101396190 B1 KR101396190 B1 KR 1013961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stack
- main body
- banknotes
- paper mone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65H29/2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폐류 저장장치의 스택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류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택가이드가 소개된다.
이 스택가이드는 지폐류 저장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폐류의 스택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제공하는 본체와, 지폐류의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본체의 안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구획된 양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stack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paper moneys brought into the stack space of the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is introduced.
The stack guide protrudes from the guid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i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s, and a main body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nknote storing device and provides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stack of banknotes. And at least one guide uni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in the width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택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울어진 각도로 입금되는 지폐류를 균형이 유지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고, 본체와 푸쉬플레이트에 적재된 지폐류 사이에 스택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스택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 gu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ck guide capable of aligning paper moneys deposited at an oblique angle so as to maintain a balance, and capable of sufficiently securing a stack spa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paper moneys stacked on the push plate Stack guide.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류를 보관하는 리사이클 박스(recycle box) 및 리젝트 박스(reject box) 등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리사이클 박스는 동일한 사이즈의 지폐를 적재하여 보관하며, 리젝트 박스는 서로 다른 사이즈의 지폐를 적재하여 보관한다.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 recycle box and a reject box for storing bills are installed. Generally, recycle boxes store and store the same size of banknotes, and reject boxes store different sizes of banknotes.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리사이클박스(특허공개공보 10-2006-00134622호)"가 참고된다.As a related art related to this, "Recycle Box (Patent Document 10-2006-00134622)" is referred to.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리사이클박스는 상부 일측에 복수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출금수단(10)과 상부 타측에 복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입금수단(20)이 구비되는 입출금부와, 입금수단(20)에 의한 지폐류의 입금시에는 입금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강하고 출금수단(10)에 의한 지폐류의 출금시에는 픽업롤러(11)에 지폐류가 가압되도록 상승하는 푸쉬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스택부(5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6, the conventional recycle box includes a deposit and withdrawal unit provided with a deposit means 10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ers or the like and a deposit means 20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ers or the like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When the banknotes are deposited by the banknote storage unit 20, the banknote is lowered so as to secure the deposit space, and when the banknotes are withdrawn by the withdrawal means 10, the push-
여기서, 출금수단(10)은 푸쉬플레이트(40) 상면의 지폐류를 낱장 분리하는 픽업롤러(11), 낱장 분리된 지폐류를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12)와 게이트롤러(13), 출금롤러(12)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14), 출금되는 지폐류를 안내하는 출금가이드(15)로 구성된다.Here, the dispensing means 10 includes a pick-up roller 11 for separating the paper currenc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입금수단(20)은 지폐류를 내부로 인입하는 입금롤러(21), 이송력이 발생되도록 입금롤러(21)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핀치롤러(24), 입금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입금가이드(25), 지폐류 입금시 날개편(22a)이 입금되는 지폐류의 후단을 타격하여 후속적으로 유입되는 지폐류의 선단과 겹치지 않도록 하는 스택롤러(22), 입금수단(20)에 의한 지폐류의 입금시에는 지폐류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하향회전되고, 출금수단(1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지폐류가 출금수단(10)의 출금동작을 수행하는 롤러와 가압되도록 상향회전되는 스택가이드(30)로 구성된다.The depositing means 20 includes a depositing
즉, 리사이클박스는 지폐류 입금동작 수행시 푸쉬플레이트(40)가 하강하여 지폐류 입금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면, 입금되는 지폐류가 입금롤러(21)에 의해 확보된 공간으로 투입되어 푸쉬플레이트(40) 상면에 적재되는 한편, 스택가이드(30) 및 스택롤러(22)에 의해 지폐류의 투입적재가 보조되도록 하고, 지폐류 출금동작 수행시 푸쉬플레이트(40)가 상승하여 그 상면의 지폐류가 출금롤러(11)의 저단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적재되어 있던 지폐류가 낱장분리 및 출금되도록 한다.That is, in the recycle box, when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지폐류의 입금시 후 투입되는 지폐가 선 투입되어 있는 지폐의 모션띠 부분에 걸리게 되어, 스택 불량 및 분리 불량이 초래될 우려가 있고, 지폐류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적재되는 경우, 지폐류가 구겨질 수 있으며, 스택공간으로 투입되는 새로운 지폐가 기 구겨진 지폐류와 간섭되어 스택공간내에 원활하게 적재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the bill inserted after the depositing of the banknotes is caught by the motion band portion of the banknote to which the banknote is insert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ack defect and the separation failure are caused, The paper money can be crumpled and a new bill inserted into the stack space can not be smoothly stacked in the stack space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paper curr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기울어진 각도로 입금되는 지폐류를 균형있게 정렬할 수 있는 스택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ck guide capable of aligning banknotes deposited at an oblique angle in a balanced man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는, 지폐류 저장장치의 스택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류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택가이드에 있어서, 지폐류 저장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폐류의 스택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지폐류의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안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구획된 양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ck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bills transported into a stack space of a bills storage device, the stack guide being rotatably installed in the bills storage device, And a pair of guide projections projecting from the gu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same line perpendicular to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s, And at least one guide unit disposed on the guide member.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본체에서 스택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편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include a pair of guide pieces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ward the stack space, and guide roller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guide pieces.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본체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unit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widthwise center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units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유닛 중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유닛 간의 이격 거리(a1)는, 반입되는 지폐류의 폭(w)의 반값보다 작고, 지폐류 저장장치의 측벽에 인접한 가이드유닛과 측벽 사이의 이격 거리(a2)는, 반입되는 지폐류의 폭(w)의 반값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stance a1 between the pair of guide uni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guide units is smaller than half the width w of the paper money to be carried, The separation distance a2 between the side walls may be smaller than half the width w of the paper money to be carried.
또한, 상기 본체에는 지폐류의 반입방향을 따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간격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복수의 간격조절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간격조절홀에 고정될 수 있다.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eeding direction of the paper money, and the guide unit may be fixed to one of the spacing hole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pacing holes .
또한, 상기 본체에는 슬롯이 지폐류의 반입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고정부재에 의해 슬롯의 특정 위치에서 경사지게 고정되어, 스택가이드의 전체 길이와 가이드유닛의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guide unit is fixed at an inclined position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slot by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stack guide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guide unit can be adjusted hav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에 의하면, 한 쌍의 가이드유닛을 통해 지폐류의 좌,우측을 균형있게 정렬하여, 지폐류의 정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tack gu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nk notes can be aligned in a balanced manner through the pair of guide units, and the alignment of the bank notes can be well maintained.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와 푸쉬플레이트에 적재된 지폐류의 최상단 사이에 스택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스택공간으로 투입되는 지폐류와 기 적재되어 있던 지폐류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고, 지폐류 스택시 마찰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aper money to be input into the stack space and the paper currency stacked by ensuring the stack spa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uppermost end of the paper currency stacked on the push pl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rictional load can be minimized when stacking paper money.
도 1a는 지폐류 입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b는 지폐류가 좌측에서 기울어져 반입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의 가이드유닛에 의해 지폐류가 정렬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a는 내지 도 3b는 지폐류가 우측에서 기울어져 반입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의 가이드유닛에 의해 지폐류가 정렬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의 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유닛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스택가이드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본체와 가이드유닛을 조립한 구성도이다.
도 5c 내지 도 5d는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스택가이드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본체와 가이드유닛을 조립한 구성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사이클박스를 도시한 구성도.1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ck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positing bills.
1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ack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aligning banknotes by a guide unit of a stack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anknotes are inclined from the left side.
FIGS. 3A to 3B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ligning banknotes by a guide unit of a stack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banknotes are inclined rightward.
FIGS. 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guide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stack gu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main body and a guide unit are assembled such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stack guide is shortened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FIGS. 5C to 5D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body and a guide unit are assembled such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stack guide becomes long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cycle box;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지폐류 입금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1A is a view showing a stack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positing bills.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100)는, 반입되는 지폐류(500)를 안내하는 본체(110)와, 지폐류(500)의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유닛(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기울어져 반입되는 지폐류(500)를 지폐류(500)의 반입 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정렬시킬 수 있고, 본체(110)와 푸쉬플레이트(4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1A, a
구체적으로, 본체(110)는 리사이클박스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한 구조로, 지폐류(500)의 입금시 하향 회전되어 지폐류(500)를 스택공간으로 안내하고, 지폐류(500)의 반출시 지폐류(500)가 출금동작을 수행하는 롤러에 가압될 수 있도록 상향 회전된다.Specifically, the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폐류(500)는 본체(110)의 하면을 따라 스택 위치, 즉 푸쉬플레이트(40)의 상부로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의 하면은 지폐류(500)를 스택 위치로 안내하는 것이므로 안내면이라고 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스택가이드가 동일한 사이즈의 지폐를 저장하는 리사이클박스와 같은 지폐류 저장장치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택가이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지폐류를 저장하는 리젝트박스와 같은 지폐류 저장장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ck guide is provided in a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such as a recycle box storing paper money of the same size. However,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uch as a reject box, for storing a bill.
이 본체(110)의 회전 중심에서 먼 단부측, 예컨대 본체(110)의 회전 단부측에는 스토퍼(200)에 의해 상하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복수의 가이드유닛(120)이 장착된다. A plurality of
참고로, 도 1a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부호로서, 입금롤러(21), 스택롤러(22), 날개편(22a), 핀치롤러(24), 입금가이드(25), 푸쉬플레이트(40) 및 스택부(50)가 있으며, 이들 구성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입금롤러(21), 스택롤러(22), 날개편(22a), 핀치롤러(24), 입금가이드(25), 푸쉬플레이트(40) 및 스택부(50)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다. 1 (a), reference numerals which are not described in the drawing include the depositing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의 사시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B is an enlarged view of a perspective view of a stack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유닛(120)은 본체(110)의 안내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지폐류(500)의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위치된다. As shown in FIG. 1B, the plurality of
예컨대, 이 복수의 가이드유닛(120)은 지폐류(500)의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지폐류(500)가 기울어진 상태로 반입되더라도, 지폐류(500)의 선단측 모시리를 반입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정렬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since the plurality of
아울러, 이 복수의 가이드유닛(120)은 본체(110)를 푸쉬플레이트(40)에 적재된 지폐류(500)의 최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본체(110)를 따라 스택공간으로 투입되는 지폐가 기 적재되어 있던 지폐에 간섭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가이드유닛(120)이 본체(110)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가이드유닛(120)이 푸쉬플레이트(40)에 스택된 지폐류(500)의 최상단 지폐류(500)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본체(110)가 스택된 지폐류(5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유닛(120)에 의해 마련된 이격 공간에는 지폐류(500)가 본체(110)의 안내면을 따라 새로 반입되므로, 새로 반입된 지폐류(500)는 푸쉬플레이트(40)에 적재되어 있던 최상단 지폐류(500)의 모션띠에 간섭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since the
이러한 가이드유닛(120)은 가이드편(121)과 가이드롤러(1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가이드편(121)은 본체(110)의 안내면에서 스택공간을 향해 하향 돌출되는 구조로, 가이드롤러(122)의 회전축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가이드편(121a)과 제 2 가이드편(121b)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롤러(122)는 제 1 가이드편(121a)과 제 2 가이드편(121b)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축을 매개로 가이드편(1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롤러(12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유닛(12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가이드편(121) 및 가이드롤러(122)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구조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편(121)의 하단면에 저마찰 소재(표면이 매끄러운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저마찰면(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편(121)에 의한 지폐류(500)의 안내시 지폐류(500)와 가이드편(121) 사이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the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이드유닛(120)은 본체(110)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복수의 가이드유닛(120)이 한 쌍의 가이드유닛(120)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 한 쌍의 가이드유닛(120)은 기울어져 반입되는 지폐류(500)를 균일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도 2a 내지 2b는 지폐류가 좌측에서 기울어져 반입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의 가이드유닛에 의해 지폐류가 정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는 내지 도 3b는 지폐류가 우측에서 기울어져 반입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의 가이드유닛에 의해 지폐류가 정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S. 2A and 2B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ligning banknotes by a guide unit of a stack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nknotes are inclined from the left side. FIGS. 3A to 3B are cross- The guide unit of the stack gu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igns the banknotes when the guide unit is inclined from the right side.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류(500)가 본체(110)의 안내면을 따라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반입되면, 기울어진 지폐류(500)의 선단 좌측부가 한 쌍의 가이드유닛(120) 중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에 접촉되면서 홀딩된다. 이때, 지폐류(500)가 지속적으로 반입되면,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과의 접촉부분을 중심으로 해당 지폐류(500)를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모멘트가 발생되고, 그 결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류(500)가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폐류(500)의 선단 우측부가 본체(110)의 우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에 접촉되면서, 지폐류(500)의 선단 측이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2A, when th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류(500)가 본체(110)의 안내면을 따라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반입되면, 기울어진 지폐류(500)의 선단 우측부가 한 쌍의 가이드유닛(120) 중 우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에 접촉되면서 홀딩된다. 이때, 지폐류(500)가 지속적으로 반입되면, 우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과의 접촉부분을 중심으로 해당 지폐류(500)를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모멘트가 발생되고, 그 결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류(500)가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폐류(500)의 선단 좌측부가 본체(110)의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에 접촉되면서, 지폐류(500)의 선단 측이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3A, when the
이때, 지폐류(500)가 복수의 가이드유닛(120) 간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가이드유닛(120)과 측벽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가이드유닛(120) 중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유닛(120) 간의 이격 거리(a1)는, 반입되는 지폐류(500)의 폭(w)의 반값보다 작게 설계되고, 지폐류 저장장치의 측벽에 인접한 가이드유닛(120)과 측벽 사이의 이격 거리(a2)는, 반입되는 지폐류(500)의 폭(w)의 반값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한편, 스택가이드(1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유닛(120)은 지폐류(500)의 반입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의 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유닛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A and 4B are views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guide unit installed in a main body of a stack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간격조절홀(111)이 형성되고, 가이드유닛(120)은 복수의 간격조절홀(11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간격조절홀(111)에 고정볼트(미도시)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4A to 4B, the
이때, 가이드유닛(120)의 기단은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본체(110)의 간격조절홀(111)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가이드유닛(1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본체(110)와 푸쉬플레이트(40) 사이의 공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base end of the
본체(110)와 가이드유닛(120)의 결합구조를 도면과 같이 변형시킬 수 있는데, 이를 테면 본체(110)에 다수의 간격조절홀(111)을 천공하고, 상기 가이드유닛(120)의 고정위치를 간격조절홀(111)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본체(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지폐류(500)의 권종마다 설계를 달리할 필요없이 하나의 부재를 가지고 길이 조절을 통해 모든 지폐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할 수도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또한, 가이드유닛(120)을 간격조절구멍(104)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이드유닛(120)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간(A)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도록 가변시킬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vary the size of the space A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도 5a 내지 도 5b는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스택가이드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본체와 가이드유닛을 조립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c 내지 도 5d는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스택가이드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본체와 가이드유닛을 조립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body and a guide unit assembled such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stack guide is shortened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FIGS. 5C to 5D are views showing an entire length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guide unit are assembled.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본체(110)에는 슬롯(11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유닛(120)은 슬롯(11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유닛(120)의 일단부는 본체(110)를 푸쉬플레이트(40)에 적재된 지폐류(500)의 최상단에 접촉될 수 있고 가이드유닛(120)의 타측부는 본체(110)의 슬롯(11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5A to 5D,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a
즉, 본체(110)의 슬롯(112)은 본체(110)의 회전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슬롯(112)에는 가이드유닛(120)이 고정부재(123)를 매개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일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23)는 통상의 나사볼트가 사용되고, 가이드유닛(120)에는 나사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유닛(120)은 본체(110)의 슬롯(1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면서 나사볼트를 통해 슬롯(112)의 특정 위치에서 경사지게 고정되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가이드유닛(120)은 지폐류(500)의 반입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 각도 경사 배치가 가능한 기술적인 사상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가이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ack gu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지폐류(500)의 입금을 위해, 본체(110)는 회전 중심에서 하향 회전되고, 지폐류(500), 입금롤러(21) 및 스택롤러(22)는 오버랩(Overlap) 되어 지폐류(500)의 선단이 본체(110)의 안내면을 따라 스택공간 내에 위치한 푸쉬플레이트(40)로 반입된다.The
이때, 도 2a 내지 도 2b에서 보듯이, 지폐류(500)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스택공간 내에 위치한 푸쉬플레이트(40)로 반입되면, 기울어진 지폐류(500)의 선단 좌측부는 본체(110)의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에 접촉되면서 홀딩되고, 이 상태에서 입금롤러(21) 및 스택롤러(22)에 의한 푸쉬력이 지폐류(500)에 작용되면, 지폐류(500)의 선단 우측부는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모멘트가 발생되면서 본체(110)의 우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에 접촉되고, 지폐류(500)의 선단 측에 대한 균형있는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when the
아울러, 도 3a 내지 도 3b에서 보듯이, 지폐류(500)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스택공간 내에 위치한 푸쉬플레이트(40)로 반입되면, 기울어진 지폐류(500)의 선단 타측부는 본체(110)의 우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에 접촉되면서 홀딩되고, 이후, 입금롤러(21) 및 스택롤러(22)에 의한 푸쉬력이 지폐류(500)에 지속적으로 작용되면, 지폐류(500)의 선단 좌측부는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모멘트가 발생되면서 본체(110)의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유닛(120)에 접촉되고, 지폐류(500)의 선단 측에 대해 전체적인 정렬이 균형을 이룰 수 있다.3A and 3B, when the
이후, 푸쉬플레이트(40)에 지폐류가 스택되고, 가이드유닛(120)이 푸쉬플레이트(40)에 스택된 지폐류(500)의 최상단 지폐류(500)를 가압하게 되면, 가이드유닛(120)에 의해 마련된 이격 공간으로, 새로 반입된 지폐류(500)가 본체(110)의 안내면을 따라 새로 반입되므로, 이 지폐류(500)는 푸쉬플레이트(40)에 적재되어 있던 최상단 지폐류(500)의 모션띠에 간섭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이드유닛을 통해 지폐류의 좌,우측을 균형있게 정렬하여, 지폐류의 정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본체와 푸쉬플레이트에 적재된 지폐류의 최상단 사이에 스택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스택공간으로 투입되는 지폐류와 기 적재되어 있던 지폐류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고, 지폐류 스택시 마찰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per money flows are aligned in a balanced manner through the pair of guide units, the alignment of the paper moneys can be maintained well,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stack space between the stacked space and the paper currency stacked in the stack space and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aper currency stacked in the stack space and the frictional load during stacking of banknotes.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1 :입금롤러 22 :스택롤러
22a :날개편 24 :핀치롤러
25 :입금가이드 40 :푸쉬플레이트
50 :스택부 100 :스택가이드
110 :본체 111 :간격조절홀
112 :슬롯 120 :가이드유닛
200 :스토퍼21: Deposit roller 22: Stack roller
22a: Day reorganization 24: Pinch roller
25: Deposit guide 40: Push plate
50: stack unit 100: stack guide
110: main body 111: interval adjusting hole
112: Slot 120: Guide unit
200: Stopper
Claims (7)
지폐류 저장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폐류의 스택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지폐류의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안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구획된 양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지폐류의 반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간격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복수의 간격조절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간격조절홀에 고정되는 스택가이드.
A stack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banknotes to be carried into a stack space of a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A body rotatably installed in the paper money storage device and providing a guide surface for guiding a stack of paper money; And
And at least one guide unit protruding from a guid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same line perpendicular to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s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arrying direction of paper moneys, and the guide unit is fixed to one of the spacing hole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pacing holes.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본체에서 스택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편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편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스택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unit includes a pair of guide pieces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ward the stack space, and a guide roller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guide pieces.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본체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스택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unit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widthwise center of the main body.
상기 가이드유닛은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스택가이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unit is symmetrically disposed.
상기 복수의 가이드유닛 중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유닛 간의 이격 거리(a1)는, 반입되는 지폐류의 폭(w)의 반값보다 작고, 지폐류 저장장치의 측벽에 인접한 가이드유닛과 측벽 사이의 이격 거리(a2)는, 반입되는 지폐류의 폭(w)의 반값보다 작은 스택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a1 between the pair of guide uni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guide units is smaller than half the width w of the paper money to be carried, Is smaller than half the width (w) of the paper money to be carried.
지폐류 저장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폐류의 스택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지폐류의 반입 방향에 대해 수직인 동일 선상에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안내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구획된 양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슬롯이 지폐류의 반입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고정부재에 의해 슬롯의 특정 위치에서 경사지게 고정되어, 스택가이드의 전체 길이와 가이드유닛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스택가이드.A stack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banknotes to be carried into a stack space of a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A body rotatably installed in the paper money storage device and providing a guide surface for guiding a stack of paper money; And
And at least one guide unit protruding from a guid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same line perpendicular to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s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Wherein a slot is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extend along a carrying direction of paper money and the guide unit is fixed at an inclined position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slot by a fixing member so that the entire length of the stack guide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guide unit are adjus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44410A KR101396190B1 (en) | 2012-04-27 | 2012-04-27 | Stack gui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44410A KR101396190B1 (en) | 2012-04-27 | 2012-04-27 | Stack guid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121320A KR20130121320A (en) | 2013-11-06 |
| KR101396190B1 true KR101396190B1 (en) | 2014-05-20 |
Family
ID=498515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444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6190B1 (en) | 2012-04-27 | 2012-04-27 | Stack guid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96190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111211A (en) | 2017-03-31 | 2018-10-11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A banknote cassette for recieving/dispensing various kinds of banknotes with gap roll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85800B1 (en) * | 2016-01-26 | 2023-01-06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Medium stack apparatus and cassette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447606B1 (en) * | 2020-11-16 | 2022-09-26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Stack guide device for banknote storag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10346A (en) | 2002-06-12 | 2004-01-15 | Hitachi Ltd | Paper sheet transport device, paper sheet storage unit, bill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
| JP2006021860A (en) * | 2004-07-07 | 2006-01-26 |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Paper sheet stacking and separating device |
| JP2006163917A (en) * | 2004-12-08 | 2006-06-22 |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
| KR100984533B1 (en) | 2007-07-09 | 2010-10-01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Paper sheet accumulator |
-
2012
- 2012-04-27 KR KR1020120044410A patent/KR1013961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10346A (en) | 2002-06-12 | 2004-01-15 | Hitachi Ltd | Paper sheet transport device, paper sheet storage unit, bill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
| JP2006021860A (en) * | 2004-07-07 | 2006-01-26 |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Paper sheet stacking and separating device |
| JP2006163917A (en) * | 2004-12-08 | 2006-06-22 |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
| KR100984533B1 (en) | 2007-07-09 | 2010-10-01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Paper sheet accumulato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111211A (en) | 2017-03-31 | 2018-10-11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A banknote cassette for recieving/dispensing various kinds of banknotes with gap roll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121320A (en) | 2013-11-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26917B1 (en) | Stack roller rotation prevention device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
| JP5274999B2 (en) | Banknote handling equipment | |
| EP3211609B1 (en) | Multi-banknote cassette with movable stopper and banknote stacking method thereof | |
| US9873584B2 (en) | Medium stack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US9947182B2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KR101396190B1 (en) | Stack guide | |
| KR101671523B1 (en) | Collecting Device of Paper Money of Various Kinds for Cassette Box | |
| KR20180075762A (en) |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edium | |
| KR20140017870A (en) |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 |
| JP5770387B2 (en) |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 |
| JP5898041B2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with transport unit | |
| KR101508792B1 (en) | Sheet feed route module in ATM | |
| JP2010013221A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 |
| JP2010052884A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 |
| JP5632093B2 (en) |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 |
| KR102303715B1 (en) | A banknote cassette for recieving/dispensing various kinds of banknotes with gap roller | |
| JP5369348B2 (en) | Reflux-type banknote storage apparatus and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 |
| JP7712604B2 (en) | Paper handling equipment | |
| KR101750932B1 (en) | Apparatus for storing bill | |
| JP6363290B2 (en) | Paper sheet storage device and paper sheet handling device | |
| KR101440856B1 (en) | Media feeder | |
| KR20170044944A (en) | Escrow apparatus | |
| KR101637576B1 (en) | Damping device for guide a paper money in A.T.M | |
| KR20080002034A (en) | Banknote Separator Overlap Adjuster | |
| KR20130140420A (en) | Stack guid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5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