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8410B1 -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410B1
KR101398410B1 KR1020120062941A KR20120062941A KR101398410B1 KR 101398410 B1 KR101398410 B1 KR 101398410B1 KR 1020120062941 A KR1020120062941 A KR 1020120062941A KR 20120062941 A KR20120062941 A KR 20120062941A KR 101398410 B1 KR101398410 B1 KR 10139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rgeon
nucleic acid
omega
mixing
extra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476A (ko
Inventor
김종숙
Original Assignee
함양 지리산 영농조합법인
함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양 지리산 영농조합법인, 함양군 filed Critical 함양 지리산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2006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1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7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B2/72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2/788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으로서, 그 구성은 철갑상어와 핵산을 계량하는 원료계량 과정과; 계량된 원료를 40도에서 4시간동안 혼합하는 제1 혼합 과정과; 혼합된 원료를 100메시(mesh)로 여과하는 여과 과정과; 여과된 여과액에 남아있는 핵산을 제거하는 농축 과정과; 농축된 액에서 슬러지와 정제유를 혼합하는 제2 혼합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함양군청에서 지역 특화 품목으로 육성 중인 철갑상어를 상품화하기에 최적의 조건인 핵산 추출 조건에서 철갑상어의 오메가 3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METHOD FOR EXTRACTING OMEGA3 OF STURGEON ACCORDING TO NUCLEIC EXTRACTIVE CONDITIONS}
본 발명은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함양군청은 2003년부터 함양군의 지역 특화 품목을 육성하기 위하여 철갑상어를 특화품목으로 지정하여 양식하고 있다. 철갑상어는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릴 정도로, 백악기시대부터 현존하는 아주 오래된 종으로, 북반구의 중위도 이북(유럽, 아시아, 북미 등)에 분포하며, 26종(種: Species)이 알려지고 있으나, 현재 거의 전종이 멸종위기 내지는 멸종위기에 있는 종이다.
철갑상어는 생물분류학적으로 Acipenseridae과(科)에 속하는 어류이며, 속(屬: Genus)에는 Acipenser, Huso 등이 있으며, Sca-phirhychinidae과의 Schaphirhychus속도 철갑상어라 불리고 있으며 일반적인 영명은 스터젼(Sturgeon)이라고 불리며, 한국에선 고대로 철갑상어, 용상어, 칼상어, 철갑장군이라고 알려져 왔다.
어족(漁族)이 Chordata로 상어(shark)와 같기 때문에 상어라는 이름이 붙어 있기는 하지만, 사람을 공격하는 일반적인 상어(Elasmobranchi)와는 전혀 다른 연골 어류(Chondrostean fish)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소ㆍ중현 종의 경우 2m내외로 성장하고 체중은 10~60kg 이며, 대형종의 경우 6m까지 자라며 체중은 1톤을 넘는 경우도 있음. 수명은 소형종의 경우 35년 내외라고 알려져 있으며 중형종의 경우 75~120년, 대형종의 경우 170년 이상 된 철갑상어도 보고된 적이 있어 장수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성질이 매우 온순하고, 이빨이 없으며, 물 밑에 서식하면서 뾰족하고 널따란 입 주위에 있는 4개의 수염으로, 조개와 같은 갑각류, 작은 물고기 등을 감지하여 먹잇감으로 살고 연어와 같이 대부분의 종이 회귀성으로 산란기에 담수로 돌아와 산란을 한 후 생을 마치나, 처음부터 담수에서 자라고 생을 마치는 종도 있다.
철갑상어는 70%이상이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늘은 꼬리지느러미 부분에 약간의 편린만이 존재하고, 딱딱한 등껍질이 5열로 등에 씌워져 있으며, 한 개의 등지느러미, 두개의 측면지느러미, 두개의 배지느러미를 가지며, 또한 다른 어류에 비해 알을 많이 가지며, 염장한 알은 캐비아(Caviar)로써, 세계 3대 미식 중의 하나로 유명하다.
철갑상어는 전 세계적으로 2과 6속 26종이 서식하며, 분류학상 경골어류이나 연골을 가진 어류로 우리나라에는 3종이 출현하였으나, 근래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철갑상어는 바다에서 담수지역으로 강 하류에서 강 상류로 산란 회유를 하며, 주로 해양이나 기수지역에서 일생을 보낸다. 일부는 담수에 적응하여 순담수에서 일생을 보내는 종도 있다.
산란 시기는 소하성으로 봄과 여름철 수온이 올라가는 시기에 이루어지며 강의 상류에 돌과 자갈 또는 자갈과 모래가 있는 곳으로 산소가 풍부하고 유속이 빠른 곳에서 산란을 하며, 매년 산란하지 않으나 일생에 몇 번 산란한다. 알은 침성 점착란으로 크기는 종에 따라 다르나 보통 지름 2~4mm이다.
철갑상어의 자원은 주로 러시아의 카스피해를 중심으로 분포, 어획되고 있으며, 세계 90%가 이곳에서 생산되고 있다. 철갑상어의 뛰어난 경제적 가치 때문에 양식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속간 종간 교배에 의한 잡종 철갑상어가 생산되고 있다. 철갑상어(Acipenser sinensis)는 4억 5천년~3억5천년 전(데본기)에 기원된 어종으로 Acipenseridae과(科)에 속하고, 북반구의 중위도 이북 지역에 넓게 분포하며 27종(種: Species)이 알려지고 있으나, 현재 거의 전종이 멸종 위기 내지는 멸종위협 종이다. 어족(魚族)이 Chordata로 상어(Shark)와 같기 때문에 상어라는 이름이 붙어있기는 하지만, 사람을 공격하는 일반적인 상어(Elasmobranchi)와는 전혀 다른 연골 어류(Chondrostean fish)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WTO 출범과 FTA 발효에 따라 세계 농수산물이 무한경쟁 시대에 돌입함으로서 농수산물의 개방화와 국제경쟁체제에서 생존 할 수 있는 가장 능동적인 대체방안의 하나가 고부가가치의 농수산물을 지역특화 품목으로 육성함과 더불어 이들 농수산물의 기능을 이용한 건강지향적 가공식품의 개발 및 상품화를 과학적으로 검정하여 국내ㆍ외 시장에 많이 보급ㅇ확산시켜 우리 농산물의 안정적 수급체계 구축과 농수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는 것이 최적의 대안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함양군이 미곡농업 중심에서 탈피하여 고소득ㆍ고기능성 농수산물 중심 농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2002년부터 추진 중인 철갑상어 양식 사업은 매우 유망한 품목으로서 향후 양식업체(디노빌 영어조합법인)의 안정적인 수익보장 및 양식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의 가공 상품화가 선결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함양 철갑상어를 관내 식품가공업체인 함양지리산영농조합법인에서 전량 구매하여 기능성식품으로 산업화 하면 양식규모의 확대를 통한 소득증대와 상품화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에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노력의 일환으로 철갑상어의 타겟 기능성 물질의 추출 조건 확립과 그 성분을 분석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개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 때, 철갑상어의 여러 유용한 성분 중, 가장 유용한 성분 중의 하나로서, 리놀렌산(Linolenic acid), EPA(Eosine Penteonic Acid), DHA(Docosa Hexaenoic Acid) 등과 같은 오메가 3계 지방산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들 물질은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개선시켜 각종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고, 특히 DHA는 두뇌와 망막의 구성 성분으로써 학습 능력 증진과 사고력 향상에 유용하다.
따라서, 함양군의 양식업체에서 양식한 철갑상어의 캐비어를 제거한 부산물을 기능성 식품으로 고부가 가치화를 실현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로서, 오메가 3를 여러 가지 추출 조건에서 추출하여 보았다.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을 위한 제1 방법으로서, 열수추출 조건에서의 추출 방법을 진행하여 보았다. 철갑상어(4.1kg)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무게 대비 15배의 물을 더하여 추출시간 5시간 이후부터 0.6% Brix를 유지하여 2시간 더 추출하여 pH8.89, 0.6% Brix 인 추출액 값을 얻었다. 즉, 열수추출 조건에서 시료량은 4.1kg, 물 61.5L, 추출물의 양은 67L, Brix는 0.6으로서, 수율은 89.3%가 된다.
여기서, 철갑상어 추출액 중에서 오메가 3계 지방산, 예컨대 리놀렌산, DHA, EPA, 셀레늄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리놀렌산 15.20mg/g, DHA 10.58mg/g, EPA 2.61mg/g, 셀레늄 3.74mg/g이었다. 이와 같이, 제1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액의 검사성적서가 도 1a에 나타난다.
제2 방법으로서, 철갑상어를 통째로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방법을 진행하여 보았다. 철갑상어를 통째로 4kg 동결건조한 무게는 0.41kg이었다. 이로서 동결 건조 수율은 9.8%임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철갑상어 추출액 중에서 오메가 3계 지방산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리놀렌산 0.13mg/g, DHA 0.34mg/g, EPA 0.52mg/g, 셀레늄 1.37mg/g이었다. 이와 같이, 제2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액의 검사성적서가 도 1b에 나타난다.
제3 방법으로서, 효소분해 추출 조건에서의 추출을 진행하여 보았다. 효소분해 추출 방법은, 먼저 철갑상어, 효소, 정제수를 투입량에 맞도록 계량하는 과정, 각 원료를 기기에 넣어 55도에서 90분 동안 효소분해하는 과정, 효소분해 종료 후 생강을 넣고 95도까지 가열하는 과정, 60mesh로 여과하는 과정, 및 여과액을 50brix로 농축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경우, 철갑상어의 추출액량은 1641ml에 11.40brix였고, 농축액량은 274.01g에 50brix였다.
여기서, 철갑상어 추출액 중에서 오메가 3계 지방산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리놀렌산 1.62mg/g, DHA 17.4mg/g, EPA 10.89mg/g, 셀레늄 0.52mg/g이었다. 이와 같이, 제3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액의 검사성적서가 도 1c에 나타난다.
전술한 세 가지 방법에 따른 철갑상어 추출액 중 오메가 3계 지방산의 성분들은 하기되는 본원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서의 오메가 3계 지방산보다 적은 양이었다.
따라서, 철갑상어 추출물을 이용한 상품화를 위하여, 특히 오메가 3을 높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하기되는 본원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함양군청에서 지역 특화 품목으로 육성 중인 철갑상어를 상품화하기 위하여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갑상어의 캐비어를 제거한 부산물을 기능성 식품으로서 고부가 가치화를 실현하기 위한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갑상어의 유용한 성분 중 오메가 3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갑상어에서 추출되는 오메가 3계 지방산인 리놀렌산, DHA, EPA, 셀레늄을 높게 추출할 수 있는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갑상어에서 추출되는 오메가 3가 잘 보존되고, 특히 미생물학적으로 추출물의 보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은, 철갑상어와 핵산을 계량하는 원료계량 과정과; 상기 계량된 원료를 40도에서 4시간동안 혼합하는 제1 혼합 과정과; 상기 혼합된 원료를 100메시(mesh)로 여과하는 여과 과정과; 상기 여과된 여과액에 남아있는 핵산을 제거하는 농축 과정과; 상기 농축된 액에서 슬러지와 정제유를 혼합하는 제2 혼합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제유는 철갑상어를 핵산을 용매로 일정조건에서 추출 여과한 후 추출액에서 핵산을 제거한 후 남은 지용성 물질을 말하며, 상기 슬러지는 철갑상어 정제유 제조시 여과과정에서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 물질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의 상기 원료계량 과정은, 상기 철갑상어와 핵산의 배합 비율을 16.67%와 83.33%로 하고, 투입량을 800.16g과 3999.84g으로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함양군청에서 지역 특화 품목으로 육성 중인 철갑상어를 상품화하기에 최적의 조건인 핵산 추출 조건에서 철갑상어의 오메가 3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철갑상어의 캐비어를 제거한 부산물을 기능성 식품으로서 고부가 가치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철갑상어의 유용한 성분 중 오메가 3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고, 특히 오메가 3계 지방산인 리놀렌산, DHA, EPA 을 높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철갑상어에서 추출되는 오메가 3가 잘 보존되고, 특히 미생물학적으로 추출물의 보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알아보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액을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분석한 성분 검사 성적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액을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분석한 성분 검사 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액을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분석한 성분 검사 성적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은 먼저, 철갑상어와 핵산을 계량하는 원료계량 과정을 진행한다(S1). 여기서, 철갑상어와 핵산의 배합 비율을 16.67%와 83.33%로 하고, 투입량을 800.16g과 3999.84g으로 한다.
다음으로, 계량된 원료를 40도에서 4시간동안 혼합하는 제1 혼합 과정을 진행한다(S3).
이어서, 혼합된 원료를 100메시(mesh)로 여과하는 여과 과정을 진행하고(S5), 여과된 여과액에 남아있는 핵산을 제거하는 농축 과정을 진행한다(S7).
다음으로, 농축된 액에서 슬러지와 정제유를 혼합하는 제2 혼합 과정을 진행하여 추출액이 나온다(S9).
본 발명으로 추출한 철갑상어의 추출액 중에서 오메가 3계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리놀렌산 3.51mg/g, DHA(Docosa Hexaenoic Acid) 24.90mg/g, EPA(Eosine Penteonic Acid) 15.31mg/g, 셀레늄 0.34mg/g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액의 검사성적서가 도 3에 나타난다.
전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실험한 세 가지 추출 방법과 본원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에 따른 철갑상어 추출액의 오메가 3계 지방산의 성분을 분석한 표가 하기의 [표 1]에 나타난다.
시험 항목 열수추출 동결건조 효소분해 추출 핵산추출
리놀렌산 15.20 0.13 1.62 3.51
DHA 10.58 0.34 17.4 24.90
EPA 2.61 0.52 10.89 15.31
셀레늄 3.74 1.37 0.52 0.34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종래의 세 가지 방법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에서 오메가 3계 지방산이 높게 추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오메가 3계 지방산 중, EPA와 DHA는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서, EPA는 혈액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개선시키고, 혈류촉진작용을 하는 등 심혈관계 관련 질병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고, DHA는 두뇌와 망막의 구성성분이므로 학습능력 향상과 시력향상에 유효한 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철갑상어의 경우에는 EPA와 DHA가 풍부할 뿐 아니라 필수지방산의 함량도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
전술한 [표 1]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철갑상어의 오메가 3계 지방산을 타겟으로 하는 기능성 제품은 철갑상어를 열수추출, 동결건조, 효소분해 추출하는 것 보다는 핵산 추출로 분석했을 때 EPA와 DHA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많이 추출된다. 따라서, 핵산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EPA와 DHA의 오메가 3계 지방산을 활용하여 2차 상품화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보존성을 위한 미생물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철갑상어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보존성 실험을 위해 사용한 시료로서, 본 실험연구에 사용한 식염은 비교용 시약 소금(Merck kga A, Darmstadt, Germany)을 사용하였고, 죽염은 함양에 위치한 주)인산가에서 생산한 9회 죽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실험에 사용된 배지는 Leuria bertani (LB)broth로 Becton Dickeson (sparks, Md, USA)에서 구입하였고 agar는 Merck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약용 소금과 죽염 시료를 10mg의 3차 증류수에 30% 염도(w/v)로 각각 용해하여 실온에서 1000mg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한 다음 다양한 염도(w/v)의 LB agar고체 및 broth 액체배지를 만들어 일반 미생물 군에 대한 시료의 항균 및 살균작용의 검사에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4개의 균주 중 Escherichia.coli는 ATCC에서 분양 받았고, Enterococcus faecalis, Pseudomonas aeroginosa , staphylococcus aureus는 B 대학병원 미생물학 교실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미생물에 대한 측정은 시료의 살균효능을 검토하는 실험으로 3회 반복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각 미생물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도산 구균에 대한 다양한 농도 소금류의 세균적 효과(Bactericidal effect of various salts concentration (w/v) against a Staphylococcus aureus)
Salt s 5% 6% 7% 8% 9% 10% 15% 16% 20%
Reagent
salt(merck)
3+ 3+ 2+ 2+ 1+ 1+ 0 0 0 0
Salt + sturgeon
fluid
3+ 2+ 2+ 2+ 2+ 2+ 2+ 1+ 0 0
Bamboo salt + sturgeon fluid 3+ 2+ 1+ 1+ 1+ 0 0 0 0 0
녹농균에 대한 다양한 농도 소금류의 세균적 효과(Bactericidal effect of various salts concentration (w/v) against a Pseudomonas aeruginous)
Salt s 5% 6% 7% 8% 9% 10% 15% 16% 20%
Reagent
salt(merck)
3+ 3+ 2+ 2+ 1+ 1+ 0 0 0 0
Salt + sturgeon
fluid
3+ 2+ 2+ 1+ 0 0 0 0 0 0
Bamboo salt + sturgeon fluid 3+ 1+ 0 0 0 0 0 0 0 0
장내 세균에 대한 다양한 농도 소금류의 세균적 효과(Bactericidal effect of various salts concentration (w/v) against a Enterococcus facials)
Salt s 5% 6% 7% 8% 9% 10% 15% 16% 20%
Reagent
salt(merck)
3+ 2+ 2+ 2+ 1+ 0 0 0 0 0
Salt +sturgeon
fluid
3+ 2+ 2+ 1+ 0 0 0 0 0 0
Bamboo salt + sturgeon fluid 3+ 2+ 1+ 0 0 0 0 0 0 0
대장균에 대한 다양한 농도 소금류의 세균적 효과(Bactericidal effect of various salts concentration (w/v) against a Escherichia coli)
Salt s 5% 6% 7% 8% 9% 10% 15% 16% 20%
Reagent
salt(merck)
3+ 2+ 2+ 2+ 1+ 1+ 0 0 0 0
Salt + sturgeon
fluid
3+ 2+ 2+ 1+ 1+ 0 0 0 0 0
Bamboo salt + sturgeon fluid 3+ 1+ 0 0 0 0 0 0 0 0
고체배지에서 다양한 농도 소금류에 대해서 균이 소멸되는 최저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various salts against bacteria on solid agar media(%w/v))
Intestinal Bacteria Salt (%) Salt + sturgeon fluid (%) Bamboo salt(%) +
sturgen fluid
Escherichia coli 10 8 6
Pseudomonas
aeruginous
10 8 6
Staphylococcuc
aureus
10 16 9
Enterococcus facials 9 8 7
전술한 표들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장균에서는 천일염과 철갑상어 추출액 5% 염도에서 살균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여 염도 8%에서는 균이 완전히 소멸되었고, 죽염과 철갑상어 추출액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5%에서 소멸되기 시작하여 6%에서 완전히 소멸 되었다.
포도산 구균은 천일염과 철갑상어추출액 8%에서 살균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여 16%에서 완전히 소멸되었다. 죽염과 철갑상어추출액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5%에서 균이 사멸하기 시작하여 9%에서는 균이 완전히 사멸함을 알 수 있었다.
녹농균은 천일염과 철갑상어추출액을 혼합한 배지 5%에서 살균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여 8%에서 완전히 소멸되었고 죽염과 철갑상어 추출액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5%에서 살균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여 6%에서 완전히 소멸되었다.
장내 세균은 천일염과 철갑상어 추출액을 혼합한 배지 5%에서 살균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여 8%에서 균은 소멸 되었고, 죽염과 철갑상어 추출액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5%에서 살균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여 7%에서 완전히 소멸되었다.
일반 미생물에 대한 천일염과 철갑상어 추출액을 혼합한 배지, 죽염에 철갑상어 추출액을 혼합했을 때의 항균 살균작용에 대한 연구결과를 고찰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다.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 3계 지방산인 EPA와 DHA은 산화하기 쉬운 특징이 있다. 따라서 오메가 3계 지방산을 타겟으로 한 철갑상어 추출물의 보존성을 위한 미생물적 안정성을 위한 실험에서 죽염 6%, 천일염 8%가 첨가하면 오메가 3계 지방산인 EPA와 DHA의 산화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죽염은 여러 가지 질환에 효과가 있고, 주로 소화제나 해독제, 염증 및 궤양, 외상 그리고 출혈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6% 죽염에 철갑상어 추출물을 혼합하여 배양하였을 때 미생물에 훨씬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생물의 균주는 천일염과 철갑상어 추출물 보다는 죽염에 철갑상어 추출물을 혼합하였을 때 더 우수한 증식 억제효과와 살균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철갑상어와 핵산을 계량하는 원료계량 과정과;
    상기 계량된 원료를 40도에서 4시간동안 혼합하는 제1 혼합 과정과;
    상기 혼합된 원료를 100메시(mesh)로 여과하는 여과 과정과;
    상기 여과된 여과액에 남아있는 핵산을 제거하는 농축 과정과;
    상기 농축된 액에서 철갑상어를 핵산을 용매로 일정조건에서 추출 여과한 후 추출액에서 핵산을 제거한 후 남은 지용성 물질인 정제유와, 철갑상어 정제유 제조시 여과 과정에서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 물질인 슬러지를 혼합하는 제2 혼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계량 과정은,
    상기 철갑상어와 핵산의 배합 비율을 16.67%와 83.33%로 하고, 투입량을 800.16g과 3999.84g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KR1020120062941A 2012-06-13 2012-06-13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9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941A KR101398410B1 (ko) 2012-06-13 2012-06-13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941A KR101398410B1 (ko) 2012-06-13 2012-06-13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476A KR20130139476A (ko) 2013-12-23
KR101398410B1 true KR101398410B1 (ko) 2014-05-27

Family

ID=4998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9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8410B1 (ko) 2012-06-13 2012-06-13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10540D0 (en) * 2015-06-16 2015-07-29 Shah Caviar Ltd Roe sack presentation for caviar produ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2196B2 (ja) * 1995-07-04 2004-03-29 サントリー株式会社 オメガ6系・オメガ3系不飽和脂肪酸のバランス調節剤を配合してなる食品組成物
KR20090045929A (ko) * 2006-08-29 2009-05-08 마텍 바이오싸이언스스 코포레이션 유아용 조제유에서 DPA(n-6) 오일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2196B2 (ja) * 1995-07-04 2004-03-29 サントリー株式会社 オメガ6系・オメガ3系不飽和脂肪酸のバランス調節剤を配合してなる食品組成物
KR20090045929A (ko) * 2006-08-29 2009-05-08 마텍 바이오싸이언스스 코포레이션 유아용 조제유에서 DPA(n-6) 오일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476A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 et al. Lipid nutritional quality of marine and freshwater bivalves and their aquaculture potential
Mansour et al. Aquatic plants and aquatic animals in the context of sustainability: Cultivation techniques, integration, and blue revolution
Bolton et al. Why grow Ulva? Its potential role in the future of aquaculture
Wikfors et al. Impact of algal research in aquaculture
Kim Handbook of marine macroalgae: biotechnology and applied phycology
Zanchett et al. Cyanobacteria and cyanotoxins: from impacts on aquatic ecosystems and human health to anticarcinogenic effects
Carmichael et al. Diseases related to freshwater blue-green algal toxins, and control measures
Apandi et al. Microalgal biomass production through phycoremediation of fresh market wastewater and potential applications as aquaculture feeds
Becker Microalgae for aquaculture: nutritional aspects
Xu et al. Inhibitory activity of a novel antibacterial peptide AMPNT-6 from Bacillus subtilis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in shrimp
Carvalho et al. Review of marine algae as source of bioactive metabolites: A marine biotechnology approach
Raposo et al. Jellyfish as food: A narrative review
Yunes Cyanobacterial toxins
Lothmann et al. Potential of innovative marine aquaculture techniques to close nutrient cycles
Zmora et al. Microalga for aquaculture: practical implications
De Viçose et al. Larval settlement, early growth and survival of Haliotis tuberculata coccinea using several algal cues
CN106797999A (zh) 一种植物源复合保鲜剂及其制法和在对虾保鲜中的用途
KR101709169B1 (ko) 혼합생약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어류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509161A (ja) 生物活性動物用飼料中における古細菌、その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前記組成物を用いる方法
Chen et al. Red swamp crayfish (Procambarus clarkii) as a growing food sourc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comprehensive research and utilization
Sirikwa et al. A review of biology and applications of Chaetomorpha linum (Müller) Kützing in global aquaculture
Davies et al. Proximate Composition of Edible Parts of Shellfishes from Okpoka Creeks in Rivers State, Nigeria
KR101398410B1 (ko) 핵산 추출 조건에 의한 철갑상어의 오메가 3 추출 방법
García-Bueno et al. Can the European abalone Haliotis tuberculata survive on an invasive algae? A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introduced Grateloupia turuturu and the native Palmaria palmata, for the commercial European abalone industry
Delbare et al. Rearing E uropean brown shrimp (C rangon crangon, L innaeus 1758): a review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for aqua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5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51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