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371B1 - Easily pressure-controlled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Google Patents
Easily pressure-controlled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9371B1 KR101399371B1 KR1020130102448A KR20130102448A KR101399371B1 KR 101399371 B1 KR101399371 B1 KR 101399371B1 KR 1020130102448 A KR1020130102448 A KR 1020130102448A KR 20130102448 A KR20130102448 A KR 20130102448A KR 101399371 B1 KR101399371 B1 KR 101399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valve
- pressure
- reducing valve
- pressure redu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52 pri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1)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3); 상기 케이싱(3)의 일측에 형성된 급기구(17)를 통해 면체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동을 단속하는 감압밸브(5); 통기구(19)를 통해 상기 케이싱(3)의 양압공간(S)으로 출입되는 착용자의 호기와 흡기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다이어프램(7); 상기 다이어프램(7)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상기 감압밸브(5)를 개폐하는 링크조립체(9); 및 상기 링크조립체(9)를 지지하도록, 상기 감압밸브(5)를 둘러싸고 있는 밸브하우징(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압밸브(5)는 상기 급기구(17)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대한 내압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조립체(9)는, 상기 감압밸브(5)를 개폐하는 구동링크(11); 상기 구동링크(11)를 가압 또는 해제시키는 원동링크(13); 및 상기 구동링크(11)가 상기 밸브체(33)를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전동링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링크조립체에 의해 감압밸브을 개폐하므로, 감압밸브의 개도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감압밸브에 의한 감압 정도를 반력조절핸들에 의해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regulator (1)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which is easy to assemble, comprising a casing (3); A pressure reducing valve (5)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into the shear body through a feed mechanism (17)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ing (3); A diaphragm 7 which repeats contraction and expansion according to the wearer's exhalation and exhalation into and out of the positive pressure space S of the casing 3 through the vent 19; A link assembly (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in accordance with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diaphragm (7); And a valve housing (10) surround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so as to support the link assembly (9), wherein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The link assembly (9) includes a drive link (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A driven link 13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driving link 11; And an electric link (15) for allowing the drive link (11) to pressurize or release the valve body (33). Accordingly, since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link assembly, The degree of pressure reduction by the pressure reducing valve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현장이나 유독가스 살포지역에서 호흡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양압식 공기공급장치에서 압축공기탱크에서 면체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호흡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압력조절에 사용되는 감압밸브의 감압 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regulator for a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 regulator for a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ve pressure air supply device for protecting respiration at a fire scene or a toxic gas spraying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regulator for a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which can easily control the degree of pressure reduction of a pressure-reducing valve used for pressure control.
일반적으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 즉, 공기호흡기는 유해가스 및 분진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이나 광산갱내 맨홀과 같은 공기결핍현장, 그리고 화재현장 등의 인명구조원(소방대원)들이 작업현장에서 유독성 가스의 흡입을 방지하여 호흡을 보호하고자 사용되는 것으로, 면체 상에 급기밸브와 배기밸브를 형성하여 압축공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급기밸브를 통해 면체내부로 공급하며,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된 호기는 배기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Generally, the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ie, the air respirator, is designed to prevent poisonous gas from being produced at work sites such as industrial sites where air pollution occurs, air deficient sites such as mine manholes, Which is used to protect the respiration by preventing the suction of the compressed air, the air supply valve and the exhaust valve are formed on the sheave body to supply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to the inside of the shear body through the air supply valve, The exhalation un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exhaust gas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valve.
그런데, 이러한 공기공급장치는 급기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높은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압력조절기를 구비하는 바, 압력조절기의 감압밸브를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착용자를 보호한다.The air supply device is provided with a pressure regulator for relieving the high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valve. By regulating the amount of th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pressure regulator, Protect.
그 한 예로, 제10-0903409호로 등록된 호흡기용 공급밸브 어셈블리를 들 수 있는 바, 이 공급밸브 어셈블리(201)는 도 1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203), 양압로드(205), 양압시트(207), 양압바디(209), 및 양압누름대(2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케이싱(203)은 압력조절기(201)의 외체를 이루며, 양압로드(205)는 잠금버튼축(217)을 누를 때 그 일단이 양압누름대(211)를 들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또, 양압시트(207)는 내부에 양압밸브를 왕복운동하도록 수용한다. 또, 양압바디(209)는 양압시트(207)의 외주에 장착되어, 배기구에 대응하는 배기관로를 구비하며, 외측에 양압로드(205)가 걸리도록 걸림고리를 구비한다. 끝으로, 양압누름대(211)는 케이싱(203)과 다이어프램(213) 사이에 스프링(215)을 개재시켜 이 스프링(215)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One such example is the respiratory supply valve assembly, which is registered with No. 10-0903409. This
따라서 공급밸브(201)는 평상시 스프링(215)의 탄성에 의해 양압누름대(211)가 하강되어 이에 접촉되는 양압로드(205)를 누르게 됨으로써 양압로드(205)의 일단이 양압시트(207) 내측에 구비되는 양압밸브를 파이프(P)와 이격시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또한, 공급밸브(201)의 잠금버튼축(217)을 가압하면 양압로드(205)가 슬롯(219)을 통하여 회전하면서 양압로드(205)에 연결되는 양압누름대(211)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양압누름대(211)에 의해 유격이 방지되면서 그 일측에 양압밸브가 밀착되는 양압로드(205)는 그 일측에 밀착되는 잠금버튼축(217)의 압입 시 양압누름대(211)을 상승시키면서 경사접촉면이 회전되어 그 일측에 접촉되는 양압밸브에서 멀어지게 하려는 스프링 힘을 무력화시켜 양압밸브가 파이프에 밀착되고, 양압밸브의 분리밀착시 파이프(P)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한다.When the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공급밸브 어셈블리는 양압로드(205)의 경사접촉면과 양압로드(205)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켜 양압밸브와 파이프(P)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킴으로써 파이프(P)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어, 압축공기탱크에서 공급되는 고압 공기의 급기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supply valve assembly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a gap between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of the
또한, 스프링(215)을 지지하는 케이싱(203)이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강체에 의해 하나의 판재로 제작되므로, 양압누름대(211)에서 양압로드(205)를 거쳐 양압밸브를 파이프(P)에 밀착시키는 과정에 기계적인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이러한 결함에 대응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이외에도, 종래의 공급밸브는 공급밸브(201)를 개폐하는 양압누름대(211)의 밀폐력을 스프링(215)에 의해 발생시키는 바, 스프링(215)을 지지하는 케이싱(203)이나 다이어프램(213) 사이의 초기 설정거리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스프링(215)의 설정 탄발력 즉, 압축 설정량을 변경할 수 없고 따라서, 압축공기의 압력 등 사용조건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upply valve generates the sealing force of the positiv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공급밸브 어셈블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케이싱으로 둘러싸인 양압공간의 공기압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다이어프램의 왕복운동을 링크조립체를 통해 감압밸브로 전달함으로써, 감압밸브의 개도를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감압밸브의 잠금동작을 보다 편리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유사 시 링크조립체를 통해 외부에서도 즉각적으로 감압밸브의 개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upply valve assembl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iprocating motion of a diaphragm which repeats contraction and expansion according to the air pressure of a positive pressure space surrounded by a cas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can be more accurately and stably adjusted and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can be carried out more conveniently and reliably. And the like.
또한, 압축공기탱크에서 면체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호흡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감압밸브의 감압 정도를 압축공기의 압력 변화 등 사용 조건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압력조절기의 사용 안전성이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lso, by reducing the degree of depressurization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which maintains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tank to the apical body in a state suitable for breathing, by actively changing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according to the change of use conditions, It is aimed to improve safety and convenien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된 급기구를 통해 면체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동을 단속하는 감압밸브; 상기 감압밸브와 상기 케이싱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양압공간으로 출입되는 착용자의 호기와 흡기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감압밸브 측 수압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상기 감압밸브를 개폐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급기구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대한 내압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감압밸브의 일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감압밸브를 가압 또는 해제함으로써 상기 감압밸브를 개폐하는 구동링크; 일단이 상기 수압면에, 타단이 상기 구동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구동링크를 가압 또는 해제시키는 원동링크; 및 일단이 상기 원동링크에, 타단이 상기 구동링크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원동링크 사이에서 상기 감압밸브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원동링크의 왕복운동을 상기 구동링크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구동링크가 상기 밸브체를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전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를 제공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 pressure reducing valve mounted in the casing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eave through a supply mechanism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ing; A diaphragm mounted between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and repeatedly contracting and expanding in accordance with the wearer's breath and intake air entering and exiting the positive pressure space of the casing through a vent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And a link assembly connected to the pressure receiving surface on the pressure reducing valve side of the diaphragm to open and close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n accordance with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diaphragm, Wherein the link assembly is hing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opens or closes the pressure reducing valve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 driven link which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surface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drive link at the other end, and presses or releases the drive link while reciprocating according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diaphragm; And one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s mounted between the drive link and the driven link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prime lin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e link so tha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rime link is transmitted to the drive link, And an electric link for allowing the drive link to pressurize or release the valve body.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apparatus is easy to control the pressure reduction.
또한,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급기구에서 상기 통기구로 이어진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케이스; 상기 밸브케이스의 내주면 일측에 돌출된 밸브시트에 착탈되면서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체의 출구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밸브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무부하 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에 밀착되도록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상기 밸브체 반대쪽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밸브케이스의 하단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케이스를 따른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체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반력조절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 reducing valve may further include: a valve case forming a flow path from the air supply mechanism to the vent hole; A valve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while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valve seat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case; An elastic body disposed inside the valve case to support an outlet side of the valve body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valve body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seat when no load is applied; And a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mounted vertically movably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case so as to support the elastic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alve body and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by up and down movement along the valve case desirable.
또한, 상기 반력조절핸들은 외주면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클릭홈을 포함하며, 상기 감압밸브는 하단에서 상기 클릭홈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클릭홈에 스냅 결합되는 클릭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lick groove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click groove to be snap-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lick pole.
또한, 상기 반력조절핸들은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되, 복수의 거름공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관통된 거름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further includes a barrel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arrel being continuously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barrel hol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intervals.
또한,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밸브체의 수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압돌기와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수압돌기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돌기; 및 피벗 회동단에서 상기 전동링크의 작동단을 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동링크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를 피벗 회전시키는 걸림홈;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상기 구동링크의 피벗 회동단 부분은 종단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link may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hydraulic protrus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ydraulic protrusion of the valve body and press or release the hydraulic protrusion; And an engaging groove formed to engage with an operation end of the electric link at a pivot rotating end and pivotally rotating the driving link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electric link,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is bent in a longitudinal-axis L-shaped form.
또한, 상기 원동링크는, 한 쪽으로 열린 슬롯홈을 상기 다이어프램 수압면에 돌출된 걸림돌기에 끼워 상기 원동링크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연결하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에서 상기 감압밸브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감압밸브 외곽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다이어프램의 수축과 팽창에 따른 상기 원동링크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 상기 안내부의 외측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전동링크의 일단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안내부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전동링크를 작동시키는 파지부; 및 일단이 상기 감압밸브 일측에 걸려 고정된 귀환스프링의 타단을 걸어 고정함으로써,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원동링크가 상기 귀환스프링에 의해 당겨져 밸브개방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ng link may include a hook portion that connects the distal link and the diaphragm by sandwiching a slot groove opened to one side in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diaphragm hydraulic pressure surface; A pair of guide portions extending from the hook portion towar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to guid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riming link in accordance with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diaphragm; A grasp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ide of the guide portion to grasp one end of the electric link, thereby operating the electric link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a spring mounting portion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return spring fixedly hooked to one sid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by being engaged wit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so that the prime link is pulled by the return spring in a no- desirable.
또한, 상기 전동링크는, 피벗 회동단이 상기 파지부에 각각 파지되어, 상기 원동링크의 왕복운동에 따라 피벗 회전하는 피벗암; 상기 감압밸브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양단의 상기 피벗암이 피벗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피벗축; 및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피벗축 상에 돌출되어, 상기 피벗축의 회전과 함께 피벗 회전하면서 작동단으로서 상기 구동링크를 피벗 회전시키는 가압훅;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electric link may include a pivot arm that is pivotally pivoted to the grip portion and pivotally rotates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able link; A pivot shaft which is rotatably fix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rotates as the pivot arm at both ends pivotally rotates; And a pressing hook protruding on the pivot shaft so as to be fitted in the latching groove and pivo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pivot shaft to pivot the driving link as an operation end.
본 발명의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에 따르면, 착용자의 호흡에 따라 양압공간에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다이어프램의 왕복운동을 원동링크, 전동링크, 구동링크로 이어진 일련의 링크조립체에 의해 감압밸브로 전달하여 감압밸브의 개폐하므로, 다이어프램의 위치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압밸브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diaphragm, which repeats contraction and expansion in the positive pressure space according to the respiration of the wearer, The link assembly transfers the reduced pressure valve to the reduced pressure valve so that the opening of the reduced pressure valve can be more accurately and stably adjus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또한, 잠금버튼에 의해 조작하기가 용이하도록 링크조립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끝난 때 감압밸브를 쉽고 확실하게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 since the link assembly is disposed so as to be easily operated by the lock button, the decompression valve can be easily and reliably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at the end of use, and thus the ease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다이어프램과 인접한 케이싱 부분을 고탄력의 신축커버에 의해 대체하고 있으므로, 감압밸브의 동작을 개시하고자 할 때 착용자의 흡기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잡아내리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신축커버를 통해 직접 다이어프램을 내리눌려 신속하게 감압밸브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since the casing portion adjacent to the diaphragm is replaced by a high-elasticity stretchable cover, not only can the diaphragm be caught by the intake air of the wearer when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can be started quickly.
특히, 수시 착용자가 직접 신축커버를 눌러 순간적으로 감압밸브의 개도를 높임으로써, 압축공기의 잔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공기공급장치의 사용 안전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wearer can direct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mpressed air by increas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momentarily by pressing the extension cover directly,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safety of use of the air supply device.
또한, 반력조절핸들의 조작을 통해 탄성체에 걸리는 초기 설정 탄발력 즉, 초기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탱크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감쇠시키는 감압밸브의 감압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축공기의 압력 변화 등 사용 조건의 변화에 대해 감압밸브의 감압력을 수시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압력조절기, 더 나아가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사용 안전성이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itial setting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that is, the initial compression amoun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the depressurizing pressur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that attenuates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tank can be easily adjusted . Therefore, since the depressurizing pressur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to the change of the use conditions such as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mpressed air,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pressure regulator, and furthermor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breathing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can be greatly improved.
더욱이, 탄성체의 설정 신축량을 조절하기 위해 반력조절핸들을 회전시킬 때, 반력조절핸들의 클릭홈이 스냅 결합된 밸브하우징의 클릭폴과 연속적으로 착탈을 반복하면서 클릭음을 발생시키므로, 반력조절핸들의 회전량 즉, 탄성체의 신축량을 청각을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when 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is rotated to adjust the setting amount of the elastic body, the click groove of 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repeatedly attaches and detaches with the click pole of the snap-fitted valve housing. The amount of rotation, that is,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auditory sense.
아울러, 반력조절핸들은 외주면 하단에 거름테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면체에서 통기구를 통해 케이싱 안으로 유입되는 착용자의 호기는 양압공간으로 통과시키지만, 호기에 동반되는 타액 등 이물질은 거름공을 통해 걸러낼 수 있으며 따라서, 청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 압력조절기의 유지보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is protru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earer's breath flowing into the casing through the vent hole in the sheave body passes through the positive pressure space, but foreign materials such as saliva accompanying the breath can be filtered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the pressure regulator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for example, the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satisfactorily.
도 1은 종래의 공기공급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종단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종단측면도.
도 5는 케이싱 덮개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감압밸브와 링크조립체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감압밸브와 링크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3에서 감압밸브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압력조절기의 종단정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감압밸브와 링크조립체의 사시도로, 감압밸브가 일부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감압밸브와 링크조립체의 사시도로, 감압밸브가 완전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압력조절기의 감압밸브와 링크조립체의 정면도로, 감압밸브가 완전 폐쇄된 상태의 도면.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supply valv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regulator of the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of the pressure regulator shown in Fig.
Figure 4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pressure regulator shown in Figure 2;
5 is a plan view of the pressure regulator shown in Fig. 2 with the casing lid removed.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link assembly shown in FIG. 3;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link assembly shown in FIG. 3; FIG.
FIG. 8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of the pressure regulator shown in FIG. 3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s maximally opened;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reducing valve and a link assembly of the pressure regulator shown in FIG. 2, wit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partially opened; FIG.
10 is a front view of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the link assembly of the pressure regulator shown in Fig. 2, in whic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s fully opened; Fig.
Fig. 12 is a front view of Fig. 11; Fig.
Fig. 13 is a front view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link assembly of the pressure regulator shown in Fig. 2, wit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fully closed;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압력조절기는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에 조립되어, 공기공급장치의 면체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싱(3), 감압밸브(5), 다이어프램(7), 및 링크조립체(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sheath of the air supply device assembled in the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As shown in FIG. 2 through FIG. 5, A
여기에서, 상기 케이싱(3)은 압력조절기(1)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체에 조립되는 기부(21)와, 이 기부(21) 위에 결합되는 덮개부(23), 그리고 기부(21) 일측에 삽입 설치되는 급기관 조립체(25)로 이루어진다. 2 to 5, the
이때, 기부(2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감압밸브(5) 뭉치를 동축 상으로 장착하도록 직경이 다른 2단 통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링크조립체(9)의 전동링크(15) 피벗축(99)에 돌출된 레버(105)와 마주하는 내주면 일측에 잠금버튼(107)이 관통 삽입된다. 또한, 기부(21)는 면체에 조립되는 도면 상 하단에 통기구(19)가 형성되며, 잠금버튼(107)과 대향하는 내주면 일측에 급기구(17)가 형성되어, 급기관 조립체(25)를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23)는 기부(21) 위에 밀봉 조립되어, 내부에 양압공간(S)을 형성하는 바, 돔 형태로 되어 있다.3 and 4, the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덮개부(23)는 그 정점 부분 즉, 중심부분에 신축커버(41)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덮개부(23)는 중앙에 조립공이 개구되며, 신축커버(4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공에 결합되어 양압공간(S)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7)과 마주보게 된다. 또한, 신축커버(41)는 고무 등과 같은 고탄력의 재질로 제작되므로, 덮개부(23) 즉, 케이싱(3)의 안팎으로 탄력적인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신축커버(41)는 도시된 것처럼 내측면 중앙에 신축돌기(43)가 돌출됨으로써, 공기공급장치의 면체를 착용한 사용자가 누를 때 수축되면서 신축돌기(43)에 의해 다이어프램(7)을 압박하고, 착용자에 의한 압박이 사라진 때 다이어프램(7)에 대한 압박을 해제한다.Particularly, the
상기 감압밸브(5)는 공기탱크와 같은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면체로 유입되기 전에 낮추는 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의 축선을 따라 통기구(19)로부터 다이어프램(7)을 향해 직립되도록 케이싱(3)의 양압공간(S)에 설치된다.The
또한, 감압밸브(5)는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3)의 일측에 형성된 급기구(17)를 통해 유입되어 통기구(19)를 통해 면체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동을 조정하되, 급기구(17)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누기 때는 개방될 수 있지만, 통기구(19) 쪽에서 걸리는 공기압에 의해서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감압밸브(5)를 개방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자체의 탄력에 의해 압축공기의 유로를 자동 감소시키고, 급기구(17) 측 공기압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기 전에는 스스로 크게 개방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된 감압밸브(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체(35)를 지지하는 반력조절핸들(37)이 밸브케이스(31)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므로, 탄성체(35)의 탄발력 즉, 밸브체(33)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대한 내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를 위해, 감압밸브(5)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케이스(31), 밸브체(33), 탄성체(35), 그리고 반력조절핸들(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밸브케이스(31)는 도 7에도 함께 도시된 것처럼, 2단의 원통 모양으로 되어, 급기구(17)에서 통기구(19)로 이어지는 유로를 형성하는데, 소직경부에는 밸브체(33)의 포핏(51)이, 대직경부에는 밸브체(33)의 헤드(53)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밸브케이스(31)는 도면 상 위쪽의 소직경부 벽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통기공(45)이 개구되는데, 각각의 통기공(45)은 밸브케이스(31)의 소직경부를 둘러싸는 밸브블럭(47)과, 이 밸브블럭(47)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바이패스 밸브 등 관체(49)를 통해 급기구(17)로 유체 연결된다. 또한, 밸브케이스(31)의 대직경부 내주면 입구에는 밸브체(33)의 헤드(53)를 안착시키기 위한 밸브시트(55)가 돌출되는 바, 밸브체(33)의 동작에 따라 헤드(53)와 착탈되면서 감압밸브(5)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조정한다. 또한, 밸브케이스(31)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직경부 일단 즉, 도면 상으로 상단 부분에 개구부(57)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밸브케이스(31)에 내장된 밸브체(33)를 외부에서 가압 또는 해제하여 감압밸브(5)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밸브케이스(31)는 소직경부를 둘러싸는 밸브블럭(47)과의 사이에 위 아래로 두 개의 밀봉링(59)이 감겨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3 to 7, the
상기 밸브체(33)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밸브케이스(31) 내부를 왕복운동하면서 밸브시트(55)에 착탈되어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즉, 밸브 유로의 개도를 조정하는 부분으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밸브케이스(31)의 소직경부에 삽입되는 포핏(51)과, 대직경부에 안착되는 헤드(53)로 이루어진다. 이때, 포핏(51)은 밸브케이스(31) 일단의 개구부(5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일측단에 수압돌기(61)가 돌출되며, 개구부(57)를 밀폐하기 위해 수압돌기(61) 바로 밑에 대직경의 플러그(63)가 형성된다. 이때, 플러그(63) 둘레에는 기밀을 위한 밀봉링(65)이 감긴다. As described above, the
포핏(51)의 플러그(63) 반대쪽에 결합되는 헤드(53)는 밸브시트(55)와 착탈되면서 감압밸브(5)의 밸브작용을 일으키는 부분으로, 밸브시트(55) 위에 포개질 수 있도록 대직경으로 되어 있으나, 그 반대쪽은 탄성체(35)를 끼울 수 있도록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이때, 헤드(53)의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사이에는 걸림턱(67)이 형성되어 소직경부에 끼워지는 중심 안내링(69)을 지지한다. 이 중심 안내링(69)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별모양으로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어 밸브케이스(31)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됨으로써, 밸브케이스(31)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밸브체(33)의 반경방향 요동을 억제한다. 한편, 밸브시트(55)에 접촉되는 헤드(53) 면에는 밸브시트(55)와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고무패킹과 같은 고탄력의 밀봉체(71)가 접착, 성형된다.The
상기 탄성체(35)는 위와 같은 밸브체(33)를 밸브폐쇄 방향으로 상시 가압하는 반발수단으로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케이스(31) 또는 밸브케이스(31)에 결합되어 연장된 반력조절핸들(37)과 밸브체(33) 사이에 설치된다. 즉, 탄성체(35)는 밸브케이스(31) 또는 반력조절핸들(37)의 내주면 상에 지지되어 도면 상 하단인 밸브체(33)의 출구 측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밸브폐쇄 시 밸브체(33)를 밸브시트(55)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탄성체(35)는 감압밸브(5)를 개방하는 외력이 제거되어 무부하 상태가 된 때, 밸브체(33)를 가압하는 링크조립체(9)의 귀환스프링(93)과 임의의 개방위치에서 힘의 균형을 이룬다. 이때, 탄성체(35)는 도시된 것처럼, 밸브체(33) 헤드(53)의 외경과 반력조절핸들(37)의 내경 간의 길이차를 감안하여 원뿔대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4, and 7, the
상기 반력조절핸들(37)은 탄성체(35)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밸브체(33)를 지지하는 탄성체(35)의 반대쪽 하단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반력조절핸들(37)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지지돌기(73)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반력조절핸들(37)은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해 밸브케이스(31)의 외주면 하단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밸브케이스(31)를 따라 상하 이동하여 탄성체(35)의 탄발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밸브케이스(31)의 외주면 하단에는 수나사부(36)가 가공되며, 반력조절핸들(37)의 내주면 상단에는 위 수나사부(36)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8)가 가공된다.3, 4, 6, and 7, the reaction
또한, 반력조절핸들(37)은 위와 같이 밸브케이스(31)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이동거리 즉, 회전량을 알 수 있도록 단속적으로 회전한다. 이를 위해, 반력조절핸들(37)은 외주면에 복수의 클릭홈(42)을, 밸브하우징(27)은 클릭폴(44;click pawl)을 각각 구비한다. 전술한 밸브하우징(27)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5)의 부품들 중 일부를 감싸는 부재인다. 즉, 밸브하우징(2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밸브케이스(31), 밸브체(33) 및 탄성체(35)를 감싸서 보호한다.When the reaction
여기에서, 먼저 클릭홈(42)은 클릭폴(44)에 걸려 반력조절핸들(37)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력조절핸들(37)의 외주면 상에서 감압밸브(5)의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함입되어,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열된다. 또한, 클릭폴(44)도 마찬가지로 반력조절핸들(37)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자체의 탄력에 의해 복수의 클릭홈(42)에 순차적으로 착탈을 반복하면서 일시적으로 반력조절핸들(37)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클릭폴(44)은 예컨대,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27)의 하단에서 클릭홈(42)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클릭폴(44)은 도 6에 명료하게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하나의 클릭홈(42)에 일시적으로 스냅 결합됨으로써, 반력조절핸들(37)을 단속적으로 회전시킨다.3, 6, and 7, the
아울러, 반력조절핸들(37)은 통기구(19)를 통해 감압밸브(5) 미착용 시 안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수단으로서 거름테(46)를 더 포함하는 바, 이 거름테(46)는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력조절핸들(37)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호기는 통과시키고, 타액 등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도록 복수의 거름공(48)이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관통된다.The reaction
상기 다이어프램(7)은 착용자의 호흡에 따른 케이싱(3) 내부의 양압변화를 감압밸브(5)의 작동원으로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5)와 케이싱(3) 특히, 덮개부(23)의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바, 통기구(19)를 통해 케이싱(3)의 양압공간(S)으로 출입되는 착용자의 호기와 흡기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함으로써, 수압면에 연결된 링크조립체(9)를 통해 감압밸브(5)를 동작시킨다. 3 and 4, the
이를 위해, 다이어프램(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이어프램(7)의 수축과 팽창을 가능하게 하도록 얇고 탄력있는 재질로 제작된 연성부(75)와, 연성부(75)의 수축과 팽창에 따른 다이어프램(7)의 움직임을 가감없이 기계적으로 링크조립체(9)에 전달하는 강체부(7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성부(75)는 도시된 것처럼, 테두리 부분이 케이싱(3) 내주면 즉, 기부(21)와 덮개부(23)의 경계부분에 물려 고정되어, 양압공간(S)에 걸리는 공기압에 따라 변형되는 바, 양압공간(S)의 공기압이 높아지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팽창하여 다이어프램(7)을 케이싱(3) 내주면으로 접근시키고, 반대로, 양압공간(S)의 공기압이 낮아지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수축하여 다이어프램(7)을 케이싱(3) 내주면에서 이격시킨다. 한편, 강체부(7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연성부(75)의 중심부에 일체로 둘러싸여 형성되는데, 양압공간(S)의 압력 변화에 대해서 변형되지 않도록 강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강체부(77)는 수압면에 돌출된 T자형 걸림돌기(78)에 의해 원동링크(13)에 연결되어 다이어프램(7)의 수축 팽창에 따라 원동링크(13)를 왕복운동시킨다. 즉, 강체부(77)는 다이어프램(7)이 수축할 때 링크조립체(9)를 내리누르고, 다이어프램(7)이 팽창할 때 링크조립체(9)를 들어올림으로써 다이어프램(7)의 움직임을 그대로 링크조립체(9)에 전달한다. 따라서, 연성부(75)에 의해 수축 팽창하는 다이어프램(7)은 강체부(77)에 의해 링크조립체(9)를 승강시켜 감압밸브(5)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다이어프램(7)은 도 3에 A로 표시된 것처럼, 연성부(75)나 강체부(77) 구분없이 모두 신축커버(41)를 향한 양압공간(S) 외부면이 내학성 필름커버(108)로 피복되어 있다.3 and 4, the
상기 링크조립체(9)는 다이어프램(7)의 수축 팽창에 따라 발생되는 왕복운동을 감압밸브(5)의 동작으로 전환시켜 주는 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5)와 다이어프램(7)의 수압면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다이어프램(7)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동작하여 감압밸브(5)의 개도를 조정한다.3 to 7, the
이를 위해, 링크조립체(9)는 도시된 것처럼, 구동링크(11), 원동링크(13), 및 전동링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구동링크(11)는 직접적으로 감압밸브(5)를 동작시키는 링크체로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감압밸브(5)의 일측에 즉, 감압밸브(5)를 둘러싸는 밸브하우징(27)의 밸브체(33) 노출 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링크(11)는 전동링크(15)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힌지축(79)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여 밸브체(33)를 가압 또는 해제하며, 가압 시 감압밸브(5)의 개도를 높이고, 해제 시 개도를 낮춘다. To this end, the
이때, 구동링크(11)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축(79) 반대쪽의 피벗 회동단 부분이 종단면 ㄱ자 형태로 절곡되는 바, 케이싱(3) 즉, 기부(21)의 내경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구동링크(11)의 모먼트 팔 길이를 늘리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구동링크(11)는 밸브체(33)를 직접 가압하는 가압돌기(81)와, 전동링크(15)가 걸리는 걸림홈(83)을 포함하는데, 이 가압돌기(8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33)의 수압돌기(6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압돌기(61)와 접촉하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가압돌기(8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밸브 폐쇄위치에서는 수압돌기(61)와 접촉만 하고 있는 해제 상태이나, 도 8에 도시된 밸브 개방위치에서는 수압돌기(61)를 가압하여 밸브체(33)를 내리누른다. 이때, 가압돌기(81)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링크(11)의 몸체와 별체로 된 셋스크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구동링크(11)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홈(83)은 구동링크(11)의 피벗 회동단에 전동링크(15)의 작동단 즉, 가압훅(101)을 걸기 위한 부분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11)의 직각으로 절곡된 회동단을 U자 형태로 절결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구동링크(11)는 전동링크(15)의 피벗 회전 동작에 따라 가압훅(101)에 의해 가압 또는 해제됨으로써, 가압돌기(81)에 의해 감압밸브(5)의 개도를 조정한다.3 and 7, the pivotal rotation end portion of the
또한, 원동링크(13)는 수축 팽창에 따른 다이어프램(7)의 승강을 링크조립체(9)의 동작으로 매개하는 링크체로서, 일단이 다이어프램(7)의 수압면에, 타단이 전동링크(15)를 통해 구동링크(11)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원동링크(13)는 다이어프램(7)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함께 왕복운동하면서 전동링크(15)를 통해 구동링크(11)를 가압 또는 해제한다. 이를 위해 원동링크(13)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85), 안내부(87), 파지부(89), 및 스프링 거치부(9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걸이부(85)는 원동링크(13)와 다이어프램(7)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것처럼, 중간에 한 쪽으로 열린 슬롯홈(86)이 형성된 ㄷ자 모양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걸이부(85)는 다이어프램(7) 수압면에서 돌출된 T자형 걸림돌기(78)에 끼워져 원동링크(13)와 다이어프램(7)을 연결한다. 또한, 안내부(87)는 다이어프램(7)에 의한 원동링크(13)의 승강을 안내하는 부분으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걸이부(85)의 양측단에서 쌍을 이루어 감압밸브(5)를 향해 연장됨으로써 감압밸브(5)의 외곽에 즉, 밸브하우징(27) 외면에 끼워진다. 따라서, 안내부(87)는 다이어프램(7)의 수축과 팽창에 따른 원동링크(13)의 왕복운동을 안내한다. 또한, 파지부(89)는 전동링크(15)의 일단을 파지하는 부분으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안내부(87) 외측면에 위아래로 돌출되어 중간에 파지홈(90)을 형성한다. 따라서, 파지부(89)는 파지홈(90)에 끼워진 전동링크(15)의 피벗암(97)을 파지함으로써 안내부(87)의 왕복운동에 따라 전동링크(15)를 피벗 회전시킨다. 끝으로, 스프링 거치부(91)는 무부하 상태에서 링크조립체(9)를 밸브 개방위치에 유지시키는 귀환스프링(93)을 걸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내부(87) 외측면의 파지부(89) 위쪽에 돌출된다. 따라서 스프링 거치부(91)는 감압밸브(5) 일측에 즉, 밸브하우징(27)의 스프링고리(95)에 하단이 고정된 귀환스프링(93)의 상단을 걸어 고정한다. 따라서, 귀환스프링(93)은 부하가 없는 초기 상태에서 스프링 거치부(91)를 통해 원동링크(13)를 감압밸브(5)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감압밸브(5)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The
상기 전동링크(15)는 다이어프램(7)에 의한 원동링크(13)의 왕복운동을 구동링크(11)에 전달하는 링크체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11)와 원동링크(13) 사이에서 감압밸브(5) 일측에 즉, 밸브하우징(27) 외곽에 장착된다. 따라서, 전동링크(15)는 도 9 및 도 10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피벗암(97)의 피벗 회동단이 원동링크(13)의 파지홈(90)에 끼워져 고정되며, 그 반대쪽의 피벗축(99) 상에 돌출된 가압훅(101)에 의해 구동링크(11)의 걸림홈(83)을 가압 또는 해제하여 구동링크(11)가 밸브체(33)를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한다.The
이를 위해, 전동링크(15)는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피벗암(97), 피벗축(99), 및 가압훅(101)으로 구성된다. 이때, 피벗암(97)은 원동링크(13)의 왕복운동에 의해 전동링크(15)를 피벗 회전시키는 바, 도시된 것처럼 피벗축(99)의 양단에서 감압밸브(5) 쪽으로 연장되어 피벗 회동단이 파지부(89)의 파지홈(90)에 끼워져 구속된다. 따라서, 피벗암(97)은 원동링크(13)의 왕복운동에 따라 피벗축(99)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게 된다. 또한, 피벗축(99)은 전동링크(15)를 피벗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도 3, 도 5,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5)의 외곽에 즉, 밸브하우징(27) 일측단의 힌지홈(10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피벗축(99)은 피벗암(97)이 피벗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가압훅(101)을 피벗 회전시킨다. 끝으로, 가압훅(101)은 전동링크(15)의 작동단으로서,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11)의 걸림홈(83)에 끼워지도록 피벗축(99) 외주면 상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가압훅(101)은 피벗축(99)의 회전과 함께 피벗 회전하면서 걸림홈(83)을 가압 또는 해제하여 구동링크(11)를 피벗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To this end, the
한편, 본 발명의 압력조절기(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장치의 사용이 종료된 때 또는 유사 시에 감압밸브(5)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밸브 잠금구조를 더 포함하는 바, 이 밸브 잠금구조는 도시된 것처럼, 전동링크(15)를 잠금위치에 구속하는 잠금돌기(103)와, 링크조립체(9)의 전동링크(15)에 형성된 레버(105)와, 이 레버(105)를 누르도록 되어 있는 잠금버튼(107)으로 이루어진다.3 and 5, the
여기에서, 잠금돌기(103)는 링크조립체(9)의 전동링크(15)를 밸브 잠금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5)의 외곽 즉, 밸브하우징(27) 양측면에 돌출된다. 따라서, 잠금돌기(103)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전동링크(15)의 피벗암(97) 회동단이 스냅식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원동링크(13)를 밸브 폐쇄위치에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원동링크(13)를 잡아당기는 귀환스프링(93)의 인장탄력은 모두 잠금돌기(103)와 피벗암(97) 사이에 걸린다. 따라서, 밸브체(33)는 구동링크(11)에 의한 구속을 전혀 받지 않고, 탄성체(35)에 의해 최대한 밸브시트(55)에 가압되며, 비로소 감압밸브(5)는 잠금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잠금돌기(103)는 피벗암(97)과의 스냅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피벗암(97) 접촉면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105)는 전동링크(15)의 피벗축(99)을 가압훅(10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축(99)에서 잠금버튼(107)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길게 돌출된다. 또한, 잠금버튼(107)은 착용자가 감압밸브(5)를 잠금위치로 전환하거나, 유사 시 임의로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 버튼으로서,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바, 케이싱(3)에 관통된 버튼공(109)에 삽입되어, 눌렸을 때 케이싱(3) 안으로 들어가 레버(105)를 가압하는 버튼축(111), 이 버튼축(111)의 외곽을 둘러싸는 버튼커버(113), 및 누르는 힘이 사라진 때 버튼축(111)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축스프링(11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잠금버튼(107)은 착용자가 케이싱(3) 안으로 밀어 넣은 때 버튼축(111)에 의해 레버(105)를 가압함으로써, 전동링크(15)의 피벗축(99)을 회전시켜 구동링크(11)의 걸림홈(83)을 가압하는 가압훅(101)의 구속을 해제한다.Here, the locking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압력조절기(1)가 적용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 착용 시 최초 압력조절기(1)는 도 8,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조립체(9)의 구동링크(11)가 귀환스프링(93)의 인장력에 의해 밸브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즉, 원동링크(13)는 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환스프링(93)에 의해 도면 상 아래쪽으로 당겨지고, 피벗암(97)이 원동링크(13)의 파지홈(90)에 파지된 전동링크(15)도 피벗축(99)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가압훅(101)도 피벗 회전하면서 구동링크(11)의 걸림홈(83)을 내리누른다. 따라서, 구동링크(11)도 피벗 회전하게 되고, 구동링크(11)의 가압돌기(81)가 밸브체(33)의 수압돌기(61)를 내리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밸브체(33)가 밀려 내려가면서, 밸브체(33)의 헤드(53)가 밸브시트(55)에서 이격됨으로써 감압밸브(1)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원동링크(13)에 연결된 다이어프램(7)도 함께 내려와 도면 상 하단위치 즉, 하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device to which the
이 상태에서, 착용 후 최초로 착용자의 호흡이 이루어지면서 착용자가 내뱉은 호기는 통기구(19)를 통해 케이싱(3) 내부의 양압공간(S)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양압공간(S)의 공기압은 높아지고, 높아진 공기압으로 인해 다이어프램(7)은 팽창하며, 감압밸브(5)는 점차 개도를 낮추게 된다. 즉, 다이어프램(7)의 팽창은 원동링크(13)의 상승을 가져온다. 원동링크(13)의 상승에 따라 전동링크(15)의 피벗암(97)도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한다. 따라서, 피벗암(97)과 일체로 되어 있는 가압훅(101)도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하며, 회전한 만큼 걸림홈(83)에 대한 구속도 줄어든다. 이에 따라, 탄성체(35)의 압축반력을 받고 있는 밸브체(33)가 가압돌기(81)를 밀어 올린다. 따라서, 구동링크(11)는 힌지축(79)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상 반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하며, 걸림홈(83)이 가압훅(101)에 걸린 때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감압밸브(5)는 양압공간(S)의 공기압이 최대로 된 때, 밸브 개도를 최소로 낮춰 호기 시 급기구(17)를 통한 압축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한다. In this state, breathing of the wearer is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after wearing, and the breath exhaled by the wearer flows into the positive pressure space (S) inside the casing (3) through the vent hole (19). As a result, the air pressure in the positive pressure space S increases, the
그러나, 반대로 착용자가 흡기를 빨아들이면, 양압공간(S)의 공기압은 낮아지고, 다이어프램(7)은 수축하며, 감압밸브(5)는 점차 개도를 높이게 된다. 즉, 다이어프램(7)의 수축은 원동링크(13)의 하강을 가져오고, 원동링크(13)의 하강으로 인해 전동링크(15)의 피벗암(97)은 도면 상 반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가압훅(101)이 구동링크(11)의 걸림홈(83)을 내리눌려 구동링크(11)를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시키면, 가압돌기(81)가 밸브체(33)를 누름으로써 탄성체(35)를 압축하면서 감압밸브(5)의 개도를 다시 높이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wearer sucks in the intake air, the air pressure of the positive pressure space S is lowered,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조절기(1)에 의하면, 급기구(17)를 통해 압축공기통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호흡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공기공급장치의 사용이 끝난 때, 잠금버튼(107)을 누르면, 버튼축(111)이 안으로 밀려들어가면서 도 10 또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버튼(107) 쪽으로 돌출된 레버(105)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전동링크(15)는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하게 되고, 피벗암(97)에 의해 원동링크(13)를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상사점까지 최대로 밀어올린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7)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양압공간(S)의 압력에 무관하게 최대로 즉, 상사점까지 상승한다. 이때, 전동링크(15)의 피벗암(97)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돌기(103)를 넘어 스냅 지지되므로, 원동링크(13)를 잡아 내리는 귀환스프링(93)의 인장탄력을 모두 지탱한다. 따라서, 귀환스프링(93)의 저항을 받지 않는 밸브체(33)는 탄성체(35)에 의해 최대로 밸브시트(55)에 가압되며, 비로소 감압밸브(5)는 잠금상태에 놓이게 된다. 반대로, 잠금상태에서 공기공급장치를 재사용할 때는 착용 후 깊은 들숨으로 다이어프램(7)을 수축함으로써 또는 신축커버(41)를 눌러 신축돌기(43)에 의해 다이어프램(7)을 직접 가압함으로써, 원동링크(13)를 끌어당겨 피벗암(97)이 잠금돌기(103)로부터 스냅 해제되도록 하면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본 발명의 압력조절기(1)는 감압밸브(5)의 개폐 세기 즉, 밸브시트(55)에 가압되는 밸브체(33)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압밸브(5)는 급기구(17)를 통해 압축공기통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대한 내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탄성체(35)의 압축 설정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서 반력조절핸들(37)을 풀어 하강시키면, 밸브체(33)의 헤드(53)와 반력조절핸들(37)의 지지돌기(73)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탄성체(35)의 압축량은 줄어들고, 따라서 탄성체(35)의 탄발력도 그만큼 감소한다. 반대로, 반력조절핸들(37)을 감아 상승시키면, 밸브체(33)의 헤드(53)와 반력조절핸들(37)의 지지돌기(73)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탄성체(35)의 압축량은 늘어나고, 그만큼 탄성체(35)의 탄발력은 증대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반력조절핸들(37)의 조작을 통해 탄성체(35)의 설정 신축량을 조절하여, 밸브체(33)의 밸브시트(55)에 대한 가압력 즉, 감압밸브(5)의 감압 정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The
이와 동시에, 반력조절핸들(37)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에 복수의 클릭홈(42)이 가공되어 있고, 이 클릭홈(42)에는 밸브하우징(27)에서 연장된 클릭폴(44)이 어느 하나에 스냅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탄성체(35)의 탄발력을 조절하기 위해 반력조절핸들(37)을 감거나 풀 때, 클릭홈(42)과 클릭폴(44)이 스냅 결합의 착탈에 따라 연속해서 클릭음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각만으로도 탄성체(35)의 신축량 즉, 탄발력을 변화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6, a plurality of
아울러, 반력조절핸들(3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의 통기구(19)와 인접한 하단 부분에 거름테(46)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면체로부터 착용자의 호기가 케이싱(3) 안으로 유입될 때, 복수의 거름공(48)을 통해서 호기의 이동은 허용하되, 착용 전 외부로부터 들어온 이물질은 걸러내도록 되어 있다.6, the reaction
1 : 압력조절기 3 : 케이싱
5 : 감압밸브 7 : 다이어프램
9 : 링크조립체 11 : 구동링크
13 : 원동링크 15 : 전동링크
17 : 급기구 19 : 통기구
27 : 밸브하우징 31 : 밸브케이스
33 : 밸브체 35 : 탄성체
41 : 신축커버 42 : 클릭홈
43 : 신축돌기 44 : 클릭폴
46 : 거름테 48 : 거름공
55 : 밸브시트 61 : 수압돌기
81 : 가압돌기 83 : 걸림홈
93 : 귀환스프링 97 : 피벗암
99 : 피벗축 101 : 가압훅
103 : 잠금돌기 105 : 레버
107 : 잠금버튼 108 : 내학성 필름커버 1: Pressure regulator 3: Casing
5: Reducing valve 7: Diaphragm
9: link assembly 11: drive link
13: Prong link 15: Electric link
17: feed mechanism 19: vents
27: valve housing 31: valve case
33: valve body 35: elastic body
41: stretch cover 42: click groove
43: elongated projection 44: click pole
46: Filters 48: Filters
55: valve seat 61: hydraulic protrusion
81: pressing projection 83: engaging groove
93: return spring 97: pivot arm
99: pivot shaft 101: pressure hook
103: locking projection 105: lever
107: Lock Button 108: My Academic Film Cover
Claims (6)
상기 케이싱(3) 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3)의 일측에 형성된 급기구(17)를 통해 면체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동을 단속하는 감압밸브(5);
상기 감압밸브(5)와 상기 케이싱(3) 내주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3)의 타측에 형성된 통기구(19)를 통해 상기 케이싱(3)의 양압공간(S)으로 출입되는 착용자의 호기와 흡기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다이어프램(7); 및
상기 다이어프램(7)의 상기 감압밸브(5) 측 수압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어프램(7)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상기 감압밸브(5)를 개폐하는 링크조립체(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감압밸브(5)는 상기 급기구(17)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대한 내압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감압밸브(5)는,
상기 급기구(17)에서 상기 통기구(19)로 이어진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케이스(31);
상기 밸브케이스(31)의 내주면 일측에 돌출된 밸브시트(55)에 착탈되면서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33);
상기 밸브체(33)의 출구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밸브케이스(31) 내부에 배치되어, 무부하 시 상기 밸브체(33)를 상기 밸브시트(55)에 밀착되도록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35); 및
상기 탄성체(35)를 상기 밸브체(33) 반대쪽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밸브케이스(31)의 하단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케이스(31)를 따른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체(35)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반력조절핸들(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A casing (3) constituting an outer body;
A pressure reducing valve (5) mounted in the casing (3)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into the shear body through a feed mechanism (17)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ing (3);
A pressure gauge of the wearer which is mounted between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3 and enters and exits into the positive pressure space S of the casing 3 through the vent hole 19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3 And a diaphragm (7) for repeat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according to intake air; And
And a link assembly 9 connected to the pressure receiving surface of the diaphragm 7 on the sid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in accordance with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diaphragm 7 ,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mechanism 17,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A valve case (31) for forming a flow path from the air supply mechanism (17) to the air vent (19);
A valve body (3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while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valve seat (55)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case (31);
An elastic body 35 disposed inside the valve case 31 so as to support the outlet side of the valve body 33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valve body 33 against the valve seat 55 when no load is applied; And
The valve body 31 is movably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valve case 31 so as to support the elastic body 35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alve body 33, And a reaction force adjustment handle (37) for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ure regulator.
상기 반력조절핸들(37)은 외주면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클릭홈(42)을 포함하며,
상기 감압밸브(5)는 상기 클릭홈(42)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클릭홈(42)에 스냅 결합되는 클릭폴(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37 includes a plurality of click grooves 42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includes a click pole (44) extending toward the click groove (42) and snap-engaged with the one click groove (42) Supply pressure regulator.
상기 반력조절핸들(37)은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되, 복수의 거름공(48)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관통된 거름테(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ction force adjusting handle (37) further comprises a barrel (46)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a plurality of the operating holes (48) are continuously penetr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intervals therebetween. Pressure regulator for easy respiratory protection air supply.
상기 링크조립체(9)는,
상기 감압밸브(5)의 일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감압밸브를 가압 또는 해제함으로써 상기 감압밸브(5)를 개폐하는 구동링크(11);
일단이 상기 수압면에, 타단이 상기 구동링크(1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이어프램(7)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구동링크(11)를 가압 또는 해제시키는 원동링크(13); 및
일단이 상기 원동링크(13)에, 타단이 상기 구동링크(11)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링크(11)와 상기 원동링크(13) 사이에서 상기 감압밸브(5)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원동링크(13)의 왕복운동을 상기 구동링크(11)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구동링크(11)가 상기 밸브체(33)를 가압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전동링크(1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링크(11)는,
상기 밸브체(33)의 수압돌기(6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압돌기(61)와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수압돌기(61)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돌기(81); 및
피벗 회동단에서 상기 전동링크(15)의 작동단을 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동링크(15)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11)를 피벗 회전시키는 걸림홈(83);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홈(83)이 형성된 상기 구동링크(11)의 피벗 회동단 부분은 종단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ink assembly (9)
A drive link 11 hing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to open or close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3)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driving link (11) while being recipr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diaphragm (7),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pressure receiving surface,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link (11);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between the driving link (11) and the driven link (13) such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link (1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link And an electric link (15) for transmit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rime link (13) to the drive link (11) so that the drive link (11) presses or releases the valve element (33)
The drive link (11)
A pressing protrusion 81 protruding to come in contact with the hydraulic protrusion 6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ydraulic protrusion 61 of the valve body 33 and pressing or releasing the hydraulic protrusion 61; And
And an engagement groove (83) formed to engage the operation end of the electric link (15) at a pivot pivotal end and pivotally rotating the drive link (11)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link (15)
Wherein the pivotal rotation end portion of the driving link (11) having the latching groove (83) is bent in a longitudinally bent line shape.
상기 원동링크(13)는,
한 쪽으로 열린 슬롯홈(86)을 상기 다이어프램(7) 수압면에 돌출된 걸림돌기(78)에 끼워 상기 원동링크(13)와 상기 다이어프램(7)을 연결하는 걸이부(85);
상기 걸이부(85)에서 상기 감압밸브(5)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감압밸브(5) 외곽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다이어프램(7)의 수축과 팽창에 따른 상기 원동링크(13)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87);
상기 안내부(87)의 외측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전동링크(15)의 일단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안내부(87)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전동링크(15)를 작동시키는 파지부(89); 및
일단이 상기 감압밸브(5) 일측에 걸려 고정된 귀환스프링(93)의 타단을 걸어 고정함으로써,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원동링크(13)가 상기 귀환스프링(93)에 의해 당겨져 밸브개방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거치부(9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The method of claim 4,
The prime link (13)
A hook portion 85 which engages the slot groove 86 opened to one side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78 protruding from the pressure receiving surface of the diaphragm 7 to connect the distal link 13 and the diaphragm 7;
The diaphragm 7 extends from the hooking portion 85 towar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and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so tha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distal link 13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diaphragm 7 A pair of guide portions 87 for guiding;
A grip portion 89 protruding outside the guide portion 87 and gripping one end of the electric link 15 to operate the electric link 15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guide portion 87; And
And the other end of the return spring 93 fixed at one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is fixed by being hooked so as to be pulled by the return spring 93 in the no-load state to be held at the valve- And a spring mounting portion (91) for mounting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on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상기 전동링크(15)는,
피벗 회동단이 상기 파지부(89)에 각각 파지되어, 상기 원동링크(13)의 왕복운동에 따라 피벗 회전하는 피벗암(97);
상기 감압밸브(5)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양단의 상기 피벗암(97)이 피벗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피벗축(99); 및
상기 걸림홈(83)에 끼워지도록 상기 피벗축(99) 상에 돌출되어, 상기 피벗축(99)의 회전과 함께 피벗 회전하면서 작동단으로서 상기 구동링크(11)를 피벗 회전시키는 가압훅(10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조절이 용이한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압력조절기.The method of claim 5,
The electric link (15)
A pivot arm 97 which is held by the grip portion 89 and pivotally rotates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distal link 13;
A pivot shaft 99 rotatably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5 and rotating as the pivot arm 97 at both ends pivotally rotates; And
A pressing hook 101 projecting on the pivot shaft 99 so as to be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83 and pivoting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pivot shaft 99 to pivot the driving link 11 as an operation end,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which is easy to control the pressure reduction.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02448A KR101399371B1 (en) | 2013-08-28 | 2013-08-28 | Easily pressure-controlled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 PCT/KR2014/008014 WO2015030496A1 (en) | 2013-08-28 | 2014-08-28 | Pressure adjuster having easy pressure reduction control for respirator |
| CN201480048510.4A CN105555367B (en) | 2013-08-28 | 2014-08-28 | Pressure regulator for respirator that easily adjusts decompres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02448A KR101399371B1 (en) | 2013-08-28 | 2013-08-28 | Easily pressure-controlled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99371B1 true KR101399371B1 (en) | 2014-05-27 |
Family
ID=508952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02448A Active KR101399371B1 (en) | 2013-08-28 | 2013-08-28 | Easily pressure-controlled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99371B1 (en) |
| CN (1) | CN105555367B (en) |
| WO (1) | WO201503049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185723B2 (en) * | 2018-12-19 | 2021-11-30 | Msa Technology, Llc | Bypass knob for breathing apparatus pressure regulato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54899Y1 (en) * | 1997-02-26 | 1999-08-16 | 김종기 | Structure of exhaust valve for air respirator which can switch to intake and exhaust state |
| KR101051765B1 (en) * | 2009-01-30 | 2011-07-26 | 주식회사 산청 | Supply Valve for Respiratory |
| US8025053B1 (en) * | 2003-06-26 | 2011-09-27 |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 Pressure regulator assembly |
| US20120240936A1 (en) * | 2008-04-14 | 2012-09-27 | Next Generation Services | Mouthpiece Supply Valve Control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787416A (en) * | 1986-02-17 | 1988-11-29 | Chuang Rong Chao | Regulator means for automatically shutting pipeline passage off during pressure reducing failure |
| CN2041571U (en) * | 1988-12-14 | 1989-07-26 | 抚顺煤矿安全仪器厂 | Multi-functional combined reducer for breathing apparatus |
| NO176078C (en) * | 1991-08-29 | 1995-01-25 | Ottestad Nils T | Pressure control unit for supplying a pressure fluid from alternative supply lines |
| CN101298890B (en) * | 2008-03-04 | 2012-01-04 | 浙江沃尔达铜业有限公司 | Adjustable compression release valve |
-
2013
- 2013-08-28 KR KR1020130102448A patent/KR101399371B1/en active Active
-
2014
- 2014-08-28 CN CN201480048510.4A patent/CN105555367B/en active Active
- 2014-08-28 WO PCT/KR2014/008014 patent/WO201503049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54899Y1 (en) * | 1997-02-26 | 1999-08-16 | 김종기 | Structure of exhaust valve for air respirator which can switch to intake and exhaust state |
| US8025053B1 (en) * | 2003-06-26 | 2011-09-27 |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 Pressure regulator assembly |
| US20120240936A1 (en) * | 2008-04-14 | 2012-09-27 | Next Generation Services | Mouthpiece Supply Valve Control System |
| KR101051765B1 (en) * | 2009-01-30 | 2011-07-26 | 주식회사 산청 | Supply Valve for Respirator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5555367A (en) | 2016-05-04 |
| WO2015030496A1 (en) | 2015-03-05 |
| CN105555367B (en) | 2019-01-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U2007241149B2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breathing apparatus in multiple modes | |
| US8196581B2 (en) | Mouthpiece supply valve | |
| KR101399370B1 (en) |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
| KR101777666B1 (en) | Air compressor apparatus | |
| US11497945B2 (en) | Pressure regulator assembly and bypass assembly for a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 |
| KR101371432B1 (en) |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having a bypass structure | |
| GB1559382A (en) | Tracheal suction pump | |
| KR101399371B1 (en) | Easily pressure-controlled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
| KR101440426B1 (en) | Easily Assembled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
| KR102250203B1 (en) | Demand valve of air respirator | |
| KR101443268B1 (en) |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having a Screw Type Bypass Structure | |
| KR101426049B1 (en) |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having an adjustible respiratory responsibility | |
| US20220080231A1 (en) | Dual Mode Breathing Apparatus | |
| JP6286258B2 (en) | Volatilization container | |
| US20240207658A1 (en) | Lung demand regulator | |
| KR200331194Y1 (en) | Oxygen mask | |
| RU2286819C1 (en) | Air supplying apparatus for supplying of air into self-rescuer's veil | |
| KR200300747Y1 (en) | Pressure controller of power sprayer | |
| RU2555562C2 (en) | Breathing apparatus | |
| JP3120357U (en) | Fluid pressure type sole pressure device | |
| KR20160038536A (en) | Breathing device for emergenc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