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378B1 - Device for separating roller shaft and roller shaft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separating roller shaft and roller shaft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0378B1 KR101390378B1 KR1020110115980A KR20110115980A KR101390378B1 KR 101390378 B1 KR101390378 B1 KR 101390378B1 KR 1020110115980 A KR1020110115980 A KR 1020110115980A KR 20110115980 A KR20110115980 A KR 20110115980A KR 101390378 B1 KR101390378 B1 KR 101390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shaft
- universal
- lower frame
- wire
- sepa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는, 유니버셜 페어리더(universal fairleader)의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기 위한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로서,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롤러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장치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nd its separating method are provided. The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for lifting a roller shaft of a universal fairleader, which is installed at the universal fairleader and has both ends to accommodate the roller shaft. A lower frame forming an open hollow portion; The upper frame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oller shaft through the hollow part, and the upper frame may include a wire for lifting the roller shaft and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Description
본 발명은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롤러 샤프트를 분리하기 위한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nd a sepa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nd a separating method for separating the roller shaft of the universal fairleader.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박을 해상 또는 항구에 계류(繫留)하기 위한 기계기구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기구들로는 예를 들어 닻(anchor), 앵커체인(anchor chain), 비트(bit)나 볼라드(bollard)와 같은 계선주(anchoring post), 양묘기(windlass), 페어리더(fairleader), 유니버셜 페어리더(universal fairleader) 등이 있다. In general, ships are equipped with mechanisms for mooring the ship at sea or in port. Such mechanisms include, for example, anchors, anchor chains, anchoring posts such as bits or bollards, windlass, fairleaders and universal fairleaders. (universal fairleader).
이들 중 유니버셜 페어리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측(舷側)에 마련해 놓은 금속구(金屬具)로서 계선로프가 잘 미끄러지도록 도르레, 즉 롤러(roller)가 달려 있다. 계선로프는 현측에 뚫어 놓은 이러한 금속구를 통과하게 된다.Among these, the universal fairlead is a metal ball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hip, as shown in Fig. 1, and a pulley, that is, a roller is attached so that the mooring rope slides well. The mooring rope passes through these metal balls drilled in the sheath.
이러한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롤러에는 계선로프가 권취되며, 이러한 계선로프를 통해 선박의 하중이 롤러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롤러가 고장 나는 경우가 많다.The mooring rope is wound around the roller of the universal fairleader, and the load of the ship acts on the roller through the mooring rope, which often causes the roller to fail.
종래에는 롤러를 수리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롤러 샤프트를 분리하거나 다시 설치하였으나, 인력으로 롤러 샤프트를 분리하기에는 롤러 샤프트의 하중이 너무 무거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중기를 이용하여 롤러 샤프트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작업현장에 기중기를 신속하게 투입하는 일이 만만치 않았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epair the roller, the operator removes or reinstalls the roller shaft directl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ad of the roller shaft is too heavy to separate the roller shaft by manpower. In addition, even when the roller shaft is separated using a crane, it is not easy to quickly put the crane on the work site.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식을 대체하여 보다 용이하게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롤러 샤프트를 분리 또는 설치 할 수 있는 장비나 방법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or a method that can replace or install the conventional shaft and the roller shaft of the universal fairlead more easi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니버셜 페어리더를 수리(maintenance)하기 위해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롤러 샤프트를 분리하는 작업 시 이러한 분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separating the same, which can facilitate such a separating operation in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roller shaft of the universal fairleader to maintain the universal fairlead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니버셜 페어리더(universal fairleader)의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기 위한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로서,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롤러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장치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for lifting a roller shaft of a universal fairleader, which is installed in the universal fairleader, and forms a hollow having both ends open to receive the roller shaft. Lower frame;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is provided,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comprises an upper frame having a wire connected to the roller shaft through the hollow portion and lifting the roller shaft and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
상기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는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와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universal fairleader and the lower frame and fixing the lower frame to the universal fairleader.
상기 고정판은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 내의 상기 롤러 샤프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곳에 외측으로 돌출된 개구부(opening)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may have an opening protruding outwar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shaft in the universal fairlead, and the lower frame may be fitted into the opening to be coupled.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래크 기어(rack gear)와;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어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래칫 손잡이(ratchet handle)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ing device includes a rack gear disposed slidab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wire; A pinion gear meshed with and connected to the rack gear; It may include a ratchet handle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inion gear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in one direction.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상기 래크 기어를 가이드하는 래크 기어 가이드(gu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n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ack gear guide for guiding the rack gear linearly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상기 롤러 샤프트의 단부에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는 상기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체결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A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roller shaft, and a fastening device fastened to 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re to lift the roller shaf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유니버셜 페어리더(universal fairleader)의 롤러 샤프트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부 프레임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중공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를 상기 롤러 샤프트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를 감아서 상기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eparating a roller shaft of a universal fairleader by using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lower frame on the universal fairleader ; Connecting the wire to the roller shaft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lower frame; Coupling the upper frame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Provided is a roller shaft separ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lifting the roller shaft by winding the wire using the winding device.
상기 롤러 샤프트 분리방법은, 상기 하부 프레임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부 프레임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ller shaft separ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stalling a fixing plate on the universal fairlead that fixes the lower frame to the universal fairlead before installing the lower frame on the universal fairlea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수리(maintenance)를 위해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롤러 샤프트를 유니버셜 페어리더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작업현장에 과도한 인력이나 장비를 투입할 필요 없이 롤러 샤프트 분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ller shaft of the universal fairleader is to be detached from the universal fairlead for maintenance of the universal fairlead, the roller shaft separation work is not necessary without putting excessive manpower or equipment in the workplac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도 1은 유니버셜 페어리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를 정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의 상부 프레임을 정면 및 측면에서 확대하여 바라본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롤러 샤프트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유니버셜 페어리더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롤러 샤프트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롤러샤프트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niversal fairlead.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of the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side.
4 and 5 are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frame of the roller shaft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and the sid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roller shaft of the universal fairleader by using the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roller shaft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universal fairlead using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separating the roller shaft using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nd its sepa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를 정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2 and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sid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는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 and 3, the roller
하부 프레임(110)은 롤러 샤프트(10)를 수용하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실린더(cylinder)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부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flange)가 하부 프레임(1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된 하부 프레임(110)의 플랜지에는 상부 프레임(120)의 대응하는 플랜지가 결합되게 되며, 이 경우 서로 대응되는 상기 두 플랜지는 예를 들어 볼트 및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하부 프레임(110)의 중공부는, 롤러 샤프트(10)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롤러 샤프트(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 프레임(110)의 횡단면은 롤러 샤프트(10)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hollow part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 하부 프레임(110)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부 프레임(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그 프레임 상에 와이어(130)와 권취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The
상부 프레임(120)은 예를 들어 박스 형태의 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4개의 측면들 중 일측면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렇게 일측면이 개방된 상부 프레임(120)은 그 개방된 일측면의 대향하는 내측면에 후술할 권취장치(140)가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권취장치(140)에는 후술할 와이어(130)가 권취(捲取)되어 있다.The
와이어(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 페어리더(1)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롤러 샤프트(10)를 인양하기 위한 부재로서, 그 일단부는 권취장치(140)의 후술할 래크 기어(rack gear, 142)에 연결되며, 그 타단부는 하부 프레임(110)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롤러 샤프트(10)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이때, 와이어(130)는 상부 프레임(120)에서 하부 프레임(110)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이렇게 일단부가 래크 기어(14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롤러 샤프트(10)에 연결된 와이어(130)를 이용함으로써, 권취장치(140)의 후술할 피니언 기어(pinion gear, 144)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치합되는 래크 기어(rack gear, 142)가 상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와이어(130)를 인양하게 되며, 와이어(130)의 타단부에 연결된 롤러 샤프트(10)도 유니버셜 페어리더(1)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양되게 된다.Thus, by using the
이러한 와이어(130)는 탄력이 없어 신축이 되지 않으면서도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체인이 사용될 수 있다.The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와이어(130)는 와이어(wire)뿐만 아니라 체인(chain), 케이블(cable), 로프(rope)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For reference, the
권취장치(140)는 이러한 와이어(130)를 감거나 푸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래크 기어(142)와 피니언 기어(144) 및 래칫 손잡이(ratchet handle, 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의 상부 프레임(120)을 정면 및 측면에서 확대하여 바라본 투시도이다.4 and 5 are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 기어(142)는 상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그 하단부에는 와이어(130)의 단부가 연결된다.4 and 5, the
이렇게 상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일정한 길이를 가진 래크 기어(142)에는 피니언 기어(144)가 치합(즉, 기어결합)되며, 이렇게 래크 기어(142)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치합된 피니언 기어(144)에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래크 기어(142)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며, 이렇게 외측으로 돌출연장된 피니언 기어(144)의 회전축에는 래칫 손잡이(14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14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래칫 손잡이(146)는 피니언 기어(144)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피니언 기어(144)의 회전을 구속하는 록커(rocker)가 구비된 장치로서, 공지된 외치(外齒) 래칫나 내치(內齒) 래칫 또는 마찰 래칫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이와 같이 피니언 기어(14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래칫 손잡이(146)를 이용하여 제자리 회전되도록 구성된 피니언 기어(144)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니언 기어(144)에 치합된 래크 기어(142)가 상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래크 기어(142)의 단부에 연결된 와이어(130)를 통해 와이어(130)에 연결된 롤러 샤프트(10)가 유니버셜 페어리더(1)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양될 수 있다.Thus, by rotating the
참고로, 래칫 손잡이(146)에는 피니언 기어(144)의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피니언 기어(144)의 회전축과 연동하는 회전방향 전환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러한 회전방향 전환부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돌림으로써 피니언 기어(144)의 회전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이러한 권취장치(140)는 상부 프레임(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보수 등을 감안하여 상부 프레임(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winding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장치(140)는 상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래크 기어(142)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래크 기어 가이드(guide, 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the winding
래크 기어 가이드(148)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가진 래크 기어(142)가 이동선로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 쌍의 홀더가 상기 이동선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4 and 5, the
이러한 홀더는 래크 기어(142)의 길이방향 측면부를 감쌀 수 있도록 예를 들어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래크 기어(142)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홀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Such a holder may have, for example, a cross section in the shape of “a” so as to wrap the longitudinal side portion of the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래크 기어 가이드(148)은 도시된 예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크 기어 가이드(148)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레일(rail)로 구성될 수 있으며, 래크 기어(142)는 이러한 한 쌍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한편, 롤러 샤프트(10)의 단부에는 와이어(130)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12)는 예를 들어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또한, 와이어(130)의 타단부에는 롤러 샤프트(10)를 유니버셜 페어리더(1)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2)에 체결되는 체결장치(132)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체결장치(132)는 예를 들어 양단부에 볼트 구멍이 형성된 반원형상의 고리와 상기 고리의 양쪽 볼트 구멍에 삽입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이외에도, 체결장치(132)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단부가 개방된 훅(hook)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는 고정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ller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롤러 샤프트(10)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50)은 하부 프레임(110)을 유니버셜 페어리더(1)에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상부와 하부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fixing
고정판(150)은, 유니버셜 페어리더(1) 내에 한 개 이상 구비된 롤러 샤프트(10)의 위치에 상응하여 그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한 개 이상의 개구부(opening, 152)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은 이러한 개구부(152)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즉,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의 크기나 형상을 매번 바꾸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유니버셜 페어리더(1)에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롤러 샤프트(10)의 개수와 그 위치에 상응하여 하나 이상의 개구부(152)를 구비한 고정판(150)을 이용함으로써, 규격화된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유니버셜 페어리더(1) 상에 설치할 수 있다.That is,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이 경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유니버셜 페어리더(1)에 적용될 수 있도록, 고정판(150)은 그 크기와 형상뿐만 아니라 고정판(150) 상에 구비된 개구부(152)의 개수와 위치 등도 다양할 수 있다.In this case, to be applied to the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롤러 샤프트(10)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롤러 샤프트(10)의 경우에도, 그 롤러 샤프트(10)의 위치에 상응하는 개구부(152)를 구비한 고정판(150)을 구비함으로써,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롤러 샤프트(10)를 유니버셜 페어리더(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even in the case of the
즉,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수직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고정판(150)을 미리 준비한 다음 상기 고정판(150)을 그 수직면에 고정시킨 후,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의 하부 프레임(110)을 상기 고정판(150)의 개구부(152)에 끼움으로써,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를 유니버셜 페어리더(1)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That is, after preparing the fixing
이와 같이 보수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복수의 고정판(150)을 구비함으로써, 롤러 샤프트(10)를 유니버셜 페어리더(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를 이용하여 롤러 샤프트(10)를 유니버셜 페어리더(1)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6 and 8, a method of separating the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를 이용하여 롤러 샤프트(10)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parating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방법은,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롤러 샤프트(10)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하부 프레임(110)을 유니버셜 페어리더(1)에 설치하는 단계(S110); 하부 프레임(110)의 중공부를 통해 와이어(130)를 롤러 샤프트(10)에 연결하는 단계(S120); 상부 프레임(120)을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S130); 및 권취장치(140)를 이용하여 와이어(130)를 감아서 롤러 샤프트(10)를 인양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roller shaft sepa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separating the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 샤프트 분리방법은, 하부 프레임(110)을 유니버셜 페어리더(1)에 설치하는 단계(S110) 이전에, 하부 프레임(110)을 유니버셜 페어리더(1)에 고정시키는 고정판(150)을 유니버셜 페어리더(1)에 설치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roller shaft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즉,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을 설치하기 이전에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상부에 고정판(150)을 먼저 설치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6, before the
다음으로, 도 6의 중앙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0)을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S110). Next, as shown in the center side of FIG. 6, the
다음으로, 하부 프레임(110)의 중공부를 통해 와이어(130)의 체결장치(132)를 롤러 샤프트(10)의 연결부(12)에 연결할 수 있다(S120).Next, the
다음으로, 상부 프레임(120)을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S130). Next, the
마지막으로,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장치(140)를 이용하여 와이어(130)를 감아서 롤러 샤프트(10)를 유니버셜 페어리더(1)로부터 인양할 수 있다(S140).Finally,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6,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롤러를 수리(maintenance)하기 위해 유니버셜 페어리더(1)의 롤러 샤프트(10)를 유니버셜 페어리더(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작업현장에 과도한 인력이나 장비를 투입할 필요 없이 롤러 샤프트(10) 분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롤러 샤프트(10)를 유니버셜 페어리더(1) 내로 다시 설치하고자 할 때는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유니버셜 페어리더 10: 롤러 샤프트
100: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110: 하부 프레임
120: 상부 프레임 130: 와이어
132: 체결장치 140: 권취장치
142: 래크 기어 144: 피니언 기어
146: 래칫 손잡이 148: 래크 기어 가이드
150: 고정판 152: 개구부1: Universal Fairlead 10: Roller Shaft
100: roller shaft separator 110: lower frame
120: upper frame 130: wire
132: fastening device 140: winding device
142: rack gear 144: pinion gear
146: ratchet handle 148: rack gear guide
150: fixing plate 152: opening
Claims (8)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롤러 샤프트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권취장치를 구비한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는 상기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도록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체결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A roller shaft separating device for separating the roller shaft of the universal fairleader,
A lower frame installed at the universal fairlead and forming a hollow having both ends open to receive the roller shaft; And
An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roller shaft through the hollow portion, and having a wire for lifting the roller shaft and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The end of the wire is a roller shaft sepa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device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o lift the roller shaft.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와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x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universal fairleader and the lower frame and fixing the lower frame to the universal fairleader.
상기 고정판은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 내의 상기 롤러 샤프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곳에 외측으로 돌출된 개구부(opening)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plate has an opening projecting out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shaft in the universal fairlead,
The lower frame is roller shaft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opening.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래크 기어(rack gear)와;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래칫 손잡이(ratchet handle)를 포함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ing device is
A rack gear slidab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wire;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a ratchet handle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pinion gear to rotate the pinion gear in one direction.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상기 래크 기어를 가이드하는 래크 기어 가이드(guide)를 더 포함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inding device is
And a rack gear guide for guiding the rack gear linearly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상기 하부 프레임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중공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를 상기 롤러 샤프트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를 감아서 상기 롤러 샤프트를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방법.
A method of separating a roller shaft of a universal fairleader by using the roller shaf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Installing the lower frame on the universal fairlead;
Connecting the wire to the roller shaft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lower frame;
Coupling the upper frame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nd
And lifting the roller shaft by winding the wire using the winding device.
상기 하부 프레임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부 프레임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을 상기 유니버셜 페어리더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롤러 샤프트 분리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Prior to installing the lower frame on the universal fairlead,
And installing a fixing plate on the universal fairlead to fix the lower frame to the universal fairlea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15980A KR101390378B1 (en) | 2011-11-08 | 2011-11-08 | Device for separating roller shaft and roller shaft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15980A KR101390378B1 (en) | 2011-11-08 | 2011-11-08 | Device for separating roller shaft and roller shaft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50755A KR20130050755A (en) | 2013-05-16 |
| KR101390378B1 true KR101390378B1 (en) | 2014-04-30 |
Family
ID=4866103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159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0378B1 (en) | 2011-11-08 | 2011-11-08 | Device for separating roller shaft and roller shaft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9037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151234A (en) * | 2015-10-08 | 2015-12-16 | 宁波市鄞州发辉机械科技有限公司 | Pole lifting device of positioning po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149936A (en) * | 2014-07-29 | 2014-11-19 | 巢湖市银环航标有限公司 | Omnibearing universal fairleader |
| KR101970009B1 (en) * | 2016-11-15 | 2019-08-13 | 욱일산업주식회사 | Piercing desorption unit insert of the Bushing mold |
| CN106495041A (en) * | 2016-12-03 | 2017-03-15 |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hawser rolling guide ring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92692U (en) * | 1983-11-30 | 1985-06-2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mooring hardware |
| KR880001713Y1 (en) * | 1985-02-02 | 1988-05-06 | 조동호 | Winding Device of Impregnated Paper for Shattle Manufacturing |
| KR20030006912A (en) * | 2001-07-17 | 2003-01-23 |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쇼카이 | Pipeline for conveying feed |
| US20090184299A1 (en) * | 2008-01-18 | 2009-07-23 | Res-Q-Jack, Inc. | Adjustable lifting and stabilization rescue strut system |
-
2011
- 2011-11-08 KR KR1020110115980A patent/KR1013903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092692U (en) * | 1983-11-30 | 1985-06-2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mooring hardware |
| KR880001713Y1 (en) * | 1985-02-02 | 1988-05-06 | 조동호 | Winding Device of Impregnated Paper for Shattle Manufacturing |
| KR20030006912A (en) * | 2001-07-17 | 2003-01-23 |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쇼카이 | Pipeline for conveying feed |
| US20090184299A1 (en) * | 2008-01-18 | 2009-07-23 | Res-Q-Jack, Inc. | Adjustable lifting and stabilization rescue strut system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151234A (en) * | 2015-10-08 | 2015-12-16 | 宁波市鄞州发辉机械科技有限公司 | Pole lifting device of positioning po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50755A (en) | 2013-05-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FI118534B (en) | A method for replacing a lift hoisting rope and a traction device arrangement for changing | |
| US7686282B2 (en) | Handle-operated brake/release mechanism for a cable drum winch | |
| KR101390378B1 (en) | Device for separating roller shaft and roller shaft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
| FI119320B (en) | Line feed device for mounting, replacing and / or retracting the carrier line in an elevator | |
| JP634841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nsioning a chain, in particular a mooring leg | |
| CN104520943A (en) | Cask transport assembly | |
| KR101372457B1 (en) | Stand for wire rope reel | |
| KR100918662B1 (en) | Chain stopper | |
| JP2009133139A (en) | Derrick for steel tower assembly / disassembly and removal method | |
| CN104010937A (en) | Installation for anchoring a floating platform to the ground | |
| CN105401532B (en) | Device for replacing traction friction type anchoring hanger rod and method for replacing steel tube arch bridge hanger rod by using device | |
| CN111300661B (en) | Diamond wire saw convenient to cut large-scale cement pipe | |
| JP2011172448A (en) | Device for preventing guide rope from dropping down, and method for stretching guide rope | |
| CN104192746A (en) | Hand-cranking hoisting device fixed to electric pole | |
| KR101837986B1 (en) | A tiedown apparatus for automobile of ship | |
| CN204714410U (en) | Tower crane amplitude variation rope tightening device | |
| CN116239059B (en) | Crown block lifting device | |
| CN109808836B (en) | A ship mooring device | |
| CN102485588B (en) | Cable release device for underwater salvage | |
| KR101824859B1 (en) | Chain compressor for ship adjusting height of dog-bar | |
| US1359818A (en) | Flag-support | |
| CN211444511U (en) | Tower crane cable auxiliary device | |
| CN210736147U (en) | Pile turning device for offshore equipment | |
| RU92576U1 (en) | CRACKING DEVICE FOR SUPPORTS FROM STEEL PIPES OF ELECTRIC TRANSMISSION LINES | |
| CN212447960U (en) | A collapsible railing for a marine lashing platfor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4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