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822B1 -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assistance for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du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assistance for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dum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5822B1 KR101405822B1 KR1020120103363A KR20120103363A KR101405822B1 KR 101405822 B1 KR101405822 B1 KR 101405822B1 KR 1020120103363 A KR1020120103363 A KR 1020120103363A KR 20120103363 A KR20120103363 A KR 20120103363A KR 101405822 B1 KR101405822 B1 KR 101405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iting
- touch
- implementing
- effect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와 같은 터치기반 환경에서 사용하는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터치기반 단말장치에서 편집의 대상이 되는 객체(이하, '편집대상 객체')가 정작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해 가려져 편집에 방해받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재 편집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편집을 보조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 편집시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가려진 편집 대상물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집착오 경험을 줄일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즉, 편집 대상물이 작거나 얇은 사물에 대한 편집 시간 단축효과는 전체 문서 편집시간 단축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 불편이 개선되고 전체 편집시간이 단축됨으로써 터치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 편집 어플의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visual editing assistance for an editing application used in a touch-based environment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tablet PC.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 that an object to be edi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bject to be edited') is obstructed by a user's finger or a stylus pen and is disturbed in editing in a touch-based terminal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visually displaying the current editing situation to assist in edi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sual expression of an obscured object to be edited on a touch screen during editing is added in a touch-based portable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convenience of reducing a user's editing error experience. That i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editing time for a small or thin object to be edited provides an effect for shortening the overall editing time of the document, the in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entire editing time is shortened, And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와 같은 터치기반 환경에서 사용하는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터치기반 단말장치에서 편집의 대상이 되는 객체(이하, '편집대상 객체')가 정작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해 가려져 편집에 방해받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재 편집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편집을 보조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visual editing assistance for an editing application used in a touch-based environment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tablet PC.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 that an object to be edi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bject to be edited') is obstructed by a user's finger or a stylus pen and is disturbed in editing in a touch-based terminal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visually displaying the current editing situation to assist in editing.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와 같은 터치기반 단말장치는 사용자 UI를 위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컨텐츠나 문서내용에 관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인하는 동시에, 무언가 입력하려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을 활용하여 입력 조작을 시행한다. 입력 조작으로는 문자 입력, 객체 선택, 객체 이동, 문서 편집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중에서 특히 문서 편집에 관한 것이다.A touch-based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tablet PC has a touch screen for a user UI. A user confirms a display screen related to various contents or document contents through a touch screen, and performs an input operation using a finger on a touch screen in order to input something. Input operations include character input, object selection, object movement, document editing,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relates to document editing.
이러한 터치기반 단말장치는 입출력 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것이 특징인데 그로 인해 개인용컴퓨터(PC)나 노트북컴퓨터와 같이 입출력 장치가 분리된 방식에 비해 손가락을 이용해 문서를 편집할 때 화면이 가려지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문서 편집시에 크기가 작은 편집 대상물(예: 원, 직선 등)은 가려져서 정확한 편집이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있다.Such a touch-based termina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 output means is integrally provided.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input / output device is separated,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or a notebook computer,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n editing object (e.g., a circle, a straight line, etc.) having a small size at the time of editing a document is hidden, thereby making accurate editing difficult.
즉,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편집 대상물을 손가락으로 선택하였을 때, 특히 편집 대상물이 작은 경우에는 편집 대상물에서 사용자가 의도했던 지점이 정확하게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나아가 편집 대상물에 대해 편집조작(이동, 크기조정, 회전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의도가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확실하게 확인하기가 어렵다.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to be edited with the finger on the touch screen, particularly when the object to be edited is small, there is no way to check whether or not the point intended by the user is correctly selected in the object to be edited. Moving, resizing, rotating, etc.),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at the intention of the user is accurately reflected.
그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어 터치 상태를 해제해야만 현재까지의 편집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사용자는 편집 대상물의 크기, 위치, 모양 등에 대해 어림짐작으로 편집을 진행하게 되므로 한번에 소망하는 형태로 편집 조작을 입력하지 못하여 여러번 반복해야 하고 그에 따라 편집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accurately confirm the editing state until the user releases the touch state by detaching the finger from the touch screen. In such a situation, the user is forced to edit the size, position, shape, and the like of the object to be edited, so that the user can not input the editing operation in a desired form at a time and must repeat it several times.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휴대단말의 영상 편집 방법 및 장치(특허출원 제10-2008-0087338호)1. Image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87338)
2.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 편집 방법(특허출원 제10-2002-0053471호)
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aracter editing method therefor (Patent Application No. 10-2002-0053471)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와 같은 터치기반 환경에서 사용하는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터치기반 단말장치에서 편집대상 객체가 정작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해 가려져 편집에 방해받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재 편집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편집을 보조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sual editing assistance technology for an editing application used in a touch-based environment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tablet PC. More 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based terminal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that visually displays the current editing state so as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the object to be edited is hindered by the user's finger, stylus pen, To provide editing assist.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은, 편집 어플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 편집대상 객체를 구현하는 제 1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편집대상 객체에 대한 편집 처리를 위해 편집대상 객체 상에서 최초 좌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그 터치된 최초의 좌표에 대해 확대아이콘(T2)을 구현하는 제 3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편집대상 객체에 대해 편집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따른 편집 효과를 편집대상 객체에 반영하면서 확대아이콘(T2)을 편집 효과와 연동하여 구현하는 제 4 단계; 시각화 구현모듈이 터치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visual editing assistant for a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implementing an editing object on an editing UI screen Ea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A second step of the visualization implementing module receiving a first coordinate touch input on an object to be edited for edit processing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edited; A third step of the visualization module implementing a magnification icon (T2) for the touched first coordinate; When an additional touch input for applying an editing effect to the editing object is received by the visualization implementing module, the enlarging icon (T2) is integrated with the editing effect while reflecting the editing effect according to the additional touch input to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편집 어플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 편집대상 객체가 구현됨에 따라 편집대상 객체에 대한 편집효과 적용을 위해 편집대상 객체 상에서 최초 좌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초기입력 대기수단(14a); 초기입력 대기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최초 터치 좌표값에 대응하여 확대아이콘(T2)의 구현을 개시하고, 터치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확대아이콘(T2)의 구현을 종료하는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 편집대상 객체에 대해 편집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따른 편집 효과를 편집대상 객체에 반영하면서 확대아이콘(T2)을 편집 효과와 연동하여 구현하는 편집효과 구현수단(14c);을 기능시키기 위한 터치기반 편집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bject to be edited is implemented on the editing UI screen Ea implemented on the touch screen by the editing applica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diting object to be edited An initial input waiting means (14a) for receiving a first coordinate touch input on an object; Enlarged icon implementation means (14b) for initiating the enlargement icon (T2)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ouch coordinate value provided from the initial input waiting means and terminating the enlargement icon (T2) upon receiving the touch end signal; An editing effect implementing means for implementing an enlarging icon (T2) in conjunction with an editing effect while reflecting an editing effect according to an additional touch input to an editing target object when an additional touch input for applying an editing effect to the editing object is received Based editing program for functioning the touch-based editing program.
본 발명에서 확대아이콘(T2)는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손가락 접촉면적보다 더 크게 구현되고, 미리 설정된 알파블렌딩이 적용된 반투명 상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largement icon T2 is realized to be larger than the finger contact area formed on the touch screen, and is implemented in a semi-transparent state to which the preset alpha blending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에서 제 3 단계는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이 확대아이콘(T2)에 대한 시각적 강조효과를 더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제 4 단계는 편집효과 구현수단(14c)이 확대아이콘(T2)에 대하여 편집 효과와 연동하면서 시각적 강조효과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hir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ifying icon implementing means 14b further implements a visual highlighting effect on the enlarging icon T2. In the fourth step, the editing effect implementing means 14c displays the enlarging icon T2 )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aintain the visual emphasis effect in conjunction with the editing effect.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 편집시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가려진 편집 대상물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집착오 경험을 줄일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sual expression of an obscured object to be edited on a touch screen during editing is added in a touch-based portable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convenience of reducing a user's editing error experience.
즉, 편집 대상물이 작거나 얇은 사물에 대한 편집 시간 단축효과는 전체 문서 편집시간 단축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 불편이 개선되고 전체 편집시간이 단축됨으로써 터치기반의 휴대단말기에서 편집 어플의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That i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editing time for a small or thin object to be edited provides an effect for shortening the overall editing time of the document, the in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entire editing time is shortened, And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터치기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집 어플에 시각적 편집보조 기술이 구현된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IG. 1 illustrates a touch-based terminal device i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visual editing assistance for a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2 to FIG.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UI screen in which a visual editing assistive technology is implemented in an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ing assistance for a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이 구현되기에 적합한 터치기반 단말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집 어플(13a)에 시각적 편집보조 기술이 구현된 UI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touch-based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터치기반 단말장치(10)는 터치스크린(11), 제어부(12), 시스템 메모리(13), 시각화 구현모듈(14), 저장부(15)를 포함한다. 이때, 시스템 메모리(13)에는 편집 어플(13a)가 로딩되어 실행되고, 시각화 구현모듈(14)은 초기입력 대기수단(14a),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 편집효과 구현수단(14c)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touch-based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1)을 통해 사용자가 편집 어플(13a)의 실행을 요청함에 따라 저장부(15)(예: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편집 어플(13a)을 시스템 메모리(13) 상으로 로딩한다. 편집 어플(13a)은 터치스크린(11)에 편집 UI 화면(Ea)을 초기 상태로 구현하는데, 예컨대 3×4 키보드 또는 쿼티키보드에 해당하는 입력 UI 화면(Ia)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편집 어플(13a)이 새로운 문서파일을 생성한 경우인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기존의 문서파일을 오픈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The
편집 어플(13a)은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된 편집 UI 화면(Ea) 또는 입력 UI 화면(Ia)에 대한 각종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문서 편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The editing application 13a controls the document editing to be performed in response to various types of user touch input to the editing UI screen Ea or the input UI screen Ia displayed on the
편집 어플(13a)은 터치스크린(11)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을 대기한다. 이때 편집추가 요소(T1)는 문서 편집에 사용되는 다양한 객체로 이루어지는데, 직선성분 객체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등과 같은 도형성분 요소, 그 밖에 기호 및 부정 형태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편집대상 객체의 집합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편집추가 요소(T1)로서 직선성분 요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편집 어플(13a)에서 가는 선(라인)을 추가하는 예로 들기로 한다.The editing application 13a waits for a user's request for the editing additional element T1 onto the editing UI screen Ea implemented in the
편집 어플(13a)은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편집추가 요소(T1)에 포함된 다수의 편집대상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편집대상 객체([도 3]의 직선성분 객체(Ob))를 편집 UI 화면(Ea) 상에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구현한 뒤, [도 1]에서 시각화 구현모듈(14)을 웨이크업(wake-up)한다.The editing application 13a selects the editing object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editing objects included in the editing additional element T1 reques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for the editing additional element T1, The linear component object Ob in FIG. 3) at a position designated by the user on the editing UI screen Ea and then wakes-up the
이에 따라 편집 조작을 본 발명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조하기 위해서 시각화 구현모듈(14)이 작동되며, 이하에서는 시각화 구현모듈(14)의 구성요소인 초기입력 대기수단(14a),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 편집효과 구현수단(14c)을 개별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Accordingly, the
초기입력 대기수단(14a)은 편집대상 객체(본 예의 경우 직선성분 객체(Ob))의 위치 변경 등 각종 편집 조작을 위해 터치스크린(11)상에 현재 구현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 상의 임의의 좌표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최초의 좌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The initial input waiting unit 14a is configured to wait for an editing target object (a linear component object Ob (Ob)) currently implemented on the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초기입력 대기수단(14a)으로 최초 터치 입력좌표를 제공받으면 그 최초의 터치입력 좌표에 대해 확대아이콘(T2)을 구현하는데([도 4] 참조), 이때 확대아이콘(T2)은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이루어지는 손가락 접촉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대아이콘(T2)을 손가락 접촉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편집 조작이 진행되는 상황을 손가락에 방해받지 않고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initial touch input coordinate is provided to the initial input waiting unit 14a, the enlargement icon implementing unit 14b implements the enlargement icon T2 for the first touch input coordinate (see FIG. 4) (T2) is formed larger than a finger contact area formed on the touch screen (11). By forming the enlargement icon T2 larger than the finger contact area, the user can identify the situation in which the editing operation is proceed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finger.
또한, 확대아이콘(T2)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알파블렌딩(α-blending)이 적용된 반투명 상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반투명의 구현을 통해 확대아이콘(T2)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편집대상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ification icon T2 is implemented in a semi-transparent state to which alpha blending is applied 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object to be edited can be confirm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object T2.
나아가,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그 구현된 확대아이콘(T2)에 대해 시각적 강조효과를 더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각적 강조효과로는 색상변화 효과, 크기변화 효과, 모양변화 효과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시각적 강조효과의 일 예로서 깜박임(flickering) 효과를 처리한다.Furthermore, the enlargement icon implementing means 14b preferably further implements a visual highlighting effect on the implemented enlargement icon T2. Such visual highlighting effects include color change effect, size change effect, shape change effect, and the like. In this specification, flickering effect is handled as an example of a visual highlight effect.
여기서 깜박임 효과를 화면 상에 처리하기 위해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작동시키며, [도 3]에 나타낸 예에서와 같이 편집대상 객체가 직선성분 객체(Ob)인 경우에는, 먼저 [도 4]와 같이 직선성분 객체(Ob)의 한쪽 끝점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선성분 객체(Ob)의 한쪽 끝 좌표를 선택하면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직선성분 객체(Ob)의 한쪽 끝 좌표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직선성분 객체(Ob)와 동일한 색상의 투명 처리된 확대아이콘(T2)에서 한쪽 끝 좌표를 중심으로 손가락보다 큰 모양으로 깜박거림이 반복 구현되도록 한다.In order to process the flicker effect on the screen, the enlargement icon embodying means 14b activates the software timer. If the object to be edited is a linear component object Ob,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If the user selects one end coordinate of the straight line component object Ob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one end point of the straight line component object Ob as shown in FIG. In order to show that one end coordinate is selected, a transparent enlarged icon (T2) of the same color as the linear component object (Ob) is repeatedly flickered in a larger shape than the finger around one end coordinate.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그 입력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 상에서의 최초의 터치입력 좌표를 중심으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에 대한 편집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터치 입력을 대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그 일 예로서 직선성분 객체(Ob)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1)을 제어한다.The enlargement icon implementing means 14b applies the editing effect on the editing target object (straight line component object Ob) around the first touch input coordinate on the input editing object (straight line component object Ob) And waits for an additional touch input. In this example, the
편집효과 구현수단(14c)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최초 좌표로부터 최종 변경 좌표로의 드래그 완료 시점까지 편집대상 객체에 편집 효과를 반영하는데, 그와 동시에 확대아이콘(T2)에 대해서도 편집 효과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한다([도 5] 참조). 이때, 확대아이콘(T2)에 대한 시각적 강조효과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치를 변경하는 편집에 대해 설명하나,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에 대한 다양한 편집 조작, 예컨대 자르기, 확대, 회전 등에 대해서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editing effect implementing means 14c reflects the editing effect on the editing target object from the initial coordinate to the end point of dragging from the initial coordinate to the final changing coordinate as the user receives the drag input. At the same time, To implement a display screen (see FIG. 5).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continuously maintain a visual emphasis effect on the enlargement icon T2.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diting for changing the position is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various editing operations such as cutting, enlarging, rotating, and the like for the object to be edited (straight line component object Ob) can do.
한편,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드래그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터치종료 신호가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수신되면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한다([도 6] 참조). 즉, 본 실시예에서 편집대상 객체인 직선성분 객체(Ob)을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변경한 후에 손을 떼어내면, 확대아이콘 구현수단(14b)은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end signal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the drag input is received from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중복된 설명을 제외하고,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ing assistance for a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redundant descrip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7, a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ing assistance for a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a process.
먼저,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11)을 통해 사용자의 저장부(15)에 설치된 편집 어플(13a)에 대한 실행 요청에 따라 편집 어플(13a)을 시스템 메모리 상으로 로딩한다(S11).First, the
단계(S11a) 이후, 편집 어플(13a)은 실행되어 터치스크린(11)에 편집 UI 화면(Ea)을 초기 상태로 구현한다(S12).After step S11a, the editing application 13a is executed to implement the editing UI screen Ea in the initial state on the touch screen 11 (S12).
단계(S12) 이후, 편집 어플(13a)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 상의 편집 UI 화면(Ea) 또는 입력 UI 화면(Ia)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문서 편집이 수행되도록 한다(S13).After step S12, the editing application 13a causes the editing of the document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n the editing UI screen Ea or the input UI screen Ia on the
단계(S13) 이후 또는 단계(S13)와 함께, 편집 어플(13a)은 터치스크린(11)에 구현된 편집 UI 화면(Ea) 상으로의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을 대기한다(S14).After the step S13 or after the step S13, the editing application 13a waits for a user's request for the editing additional element T1 onto the editing UI screen Ea implemented in the touch screen 11 (S14).
단계(S14) 이후, 편집 어플(13a)은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After step S14, the editing application 13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user's request for the edit additional element T1 (S15).
단계(S15)의 판단에 따라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는 단계(S13)으로 회귀하여 편집 어플(13a)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 상의 편집 UI 화면(Ea) 또는 입력 UI 화면(Ia)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문서 편집이 수행되도록 한다. 반대로, 단계(S15)의 판단에 따라 편집추가 요소(T1)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편집 어플(13a)은 편집추가 요소(T1)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편집대상 객체([도 3]의 직선성분 객체(Ob))를 편집 UI 화면(Ea) 상에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구현한다(S16).The editing application 13a returns to the step S13 so that the editing application screen 13a displays the editing UI screen Ea on the
단계(S16) 이후, 편집 어플(13a)은 터치기반 단말장치(10)의 시각화 구현모듈(14)을 웨이크업한다(S17).After the step S16, the editing application 13a wakes up the
단계(S17)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의 위치변경을 위해 터치스크린(11)상에 구현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 상의 임의의 좌표에 대한 최초의 좌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S18).After the step S17, the
단계(S18)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단계(S18)에서 터치된 최초의 좌표에 대한 확대아이콘(T2)을 구현 후, 바람직하게는 시각적 강조효과, 예컨대 깜박임 효과를 처리한다(S19).After step S18, the
단계(S19)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단계(S18)에서 입력된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에서 최초로 터치된 좌표를 변경하려는 변경 좌표로의 드래그 입력에 대한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의 수신을 대기한다(S20).After step S19, the
단계(S20)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제공됨에 따라 최초의 좌표로부터 변경 좌표로의 드래그 완료 시점까지 편집대상 객체(직선성분 객체(Ob))에 대한 위치 변경을 처리하는데, 그동안 확대아이콘(T2)은 지속적으로 표시하고, 바람직하게는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깜박임 효과도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한다(S21).After step S20, the
단계(S21) 이후, 시각화 구현모듈(14)은 드래그 완료를 나타내는 터치종료 신호가 터치스크린(11)으로부터 수신되면,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한다(S22).
After the step S21, th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터치기반 단말장치
11 : 터치스크린
12 : 제어부
13 : 시스템 메모리
13a : 편집 어플
14 : 시각화 구현모듈
14a : 초기입력 대기수단
14b : 확대아이콘 구현수단
14c : 편집효과 구현수단
15 : 저장부10: Touch-based terminal device
11: Touch screen
12:
13: System memory
13a: Edit application
14: visualization implementation module
14a: initial input waiting means
14b: Enlargement icon implementation means
14c: means of implementing editing effects
15:
Claims (8)
시각화 구현모듈이 상기 편집대상 객체에 대한 편집 처리를 위해 상기 편집대상 객체 상에서 최초 좌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시각화 구현모듈이 상기 터치된 최초의 좌표에 대해 확대아이콘(T2)을 구현하는 제 3 단계;
상기 시각화 구현모듈이 상기 편집대상 객체에 대해 편집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추가적인 터치 입력에 따른 편집 효과를 상기 편집대상 객체에 반영하면서 상기 확대아이콘(T2)을 상기 편집 효과와 연동하여 구현하는 제 4 단계;
상기 시각화 구현모듈이 터치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확대아이콘(T2)에 대한 구현을 종료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A first step of implementing an editing object on an editing UI screen (Ea) implemented by a editing application on a touch screen;
A second step of the visualization module receiving a first coordinate touch input on the editing object for editing processing on the editing object;
A third step of the visualization implementing module implementing an enlargement icon (T2) for the first touched coordinates;
Wherein when the visualization implementing module receives an additional touch input for applying an editing effect to the editing object, the visualization implementing module reflects the editing effect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touch input to the editing object, A fourth step of implementing the method in cooperation with the fourth step;
A fifth step of termina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enlargement icon (T2) when the visualization implementing module receives the touch end signal;
And providing a visual editing assistant for a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
상기 확대아이콘(T2)는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손가락 접촉면적보다 더 크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ification icon (T2) is implemented to be larger than a finger contact area formed on a touch screen.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확대아이콘(T2)에 대한 시각적 강조효과를 더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확대아이콘(T2)에 대하여 상기 편집 효과와 연동하면서 상기 시각적 강조효과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third step is configured to further implement a visual highlighting effect on the enlargement icon (T2)
Wherein the fourth step maintains the visual highlighting effect in conjunction with the editing effect on the enlargement icon (T2).
상기 확대아이콘(T2)는 미리 설정된 알파블렌딩이 적용된 반투명 상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기반 편집 어플을 위한 시각적 편집보조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nlargement icon (T2) is implemented in a semi-transparent state with pre-set alpha blending appli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03363A KR101405822B1 (en) | 2012-09-18 | 2012-09-18 |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assistance for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dum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03363A KR101405822B1 (en) | 2012-09-18 | 2012-09-18 |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assistance for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dum for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36798A KR20140036798A (en) | 2014-03-26 |
| KR101405822B1 true KR101405822B1 (en) | 2014-06-11 |
Family
ID=5064597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033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5822B1 (en) | 2012-09-18 | 2012-09-18 |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assistance for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dum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0582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20332B1 (en) * | 2017-01-06 | 2018-11-20 | 김찬기 | The method for editing character on a smart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the smart device thereof |
| US20240231577A1 (en) * | 2021-04-29 | 2024-07-11 | Kinemaster Corporation | Content edit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fine adjustment control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40821A (en) * | 2004-07-30 | 2007-04-17 | 애플 컴퓨터, 인크. | A user interface method, a method of scrolling through media items, a method performed on a user-operated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and a touch screen, a method performed on a computing device having a display and a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a computing system, a computing device, Computer Implementation Method and Computer Implementation Method for Starting Floating Control by Touch Sensing Device |
| KR100727195B1 (en) | 2000-04-14 | 2007-06-13 | 픽셀 (리서치) 리미티드 |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document processing |
| KR20090050109A (en) * | 2004-07-30 | 2009-05-19 | 애플 인크. |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ouch-sensitive input devices |
| KR101168705B1 (en) | 2009-02-18 | 2012-08-02 | 김기미 | Customized and intellectual symbol, icon internet information searching system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P-based information terminal |
-
2012
- 2012-09-18 KR KR1020120103363A patent/KR10140582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27195B1 (en) | 2000-04-14 | 2007-06-13 | 픽셀 (리서치) 리미티드 |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document processing |
| KR20070040821A (en) * | 2004-07-30 | 2007-04-17 | 애플 컴퓨터, 인크. | A user interface method, a method of scrolling through media items, a method performed on a user-operated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and a touch screen, a method performed on a computing device having a display and a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a computing system, a computing device, Computer Implementation Method and Computer Implementation Method for Starting Floating Control by Touch Sensing Device |
| KR20090050109A (en) * | 2004-07-30 | 2009-05-19 | 애플 인크. |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ouch-sensitive input devices |
| KR101168705B1 (en) | 2009-02-18 | 2012-08-02 | 김기미 | Customized and intellectual symbol, icon internet information searching system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P-based information termin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36798A (en) | 2014-03-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301126B2 (en) | Ic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 |
| US1148742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selection and editing based on gesture-based touch inputs received in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 |
| KR101919645B1 (en) | Explicit touch selection and cursor placement | |
| US9766723B2 (en) |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hover over stylus control functionality | |
| KR101329584B1 (en) | Multi-touch method of providing text block edit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
| US10521248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anaging applications | |
| EP2717149A2 (en) | Display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different pointers according to attributes of a hovering input position | |
| US20140145945A1 (en) | Touch-based input control method | |
| US9134903B2 (en) | Content selecting technique for touch screen UI | |
| JP2012058857A (en) | Information processor, op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 US20140040797A1 (en) | Widge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 |
| US8866854B2 (en) | Consolidated orthogonal guide creation | |
| US20140181737A1 (en) |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 WO2016183912A1 (en) | Menu layout arrangement method and apparatus | |
| US20140245197A1 (en) | Duplicating graphical widgets | |
| KR101405822B1 (en) | Method of providing visual edit-assistance for touch-based editing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dum for the same | |
| US20140380188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 KR20160053545A (en) | Method for inputting command editing object in word processor | |
| CN114518821A (en) | Application ic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2016004419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object at plurality of objects o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 |
| KR20160010993A (en) | Object edit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 |
| KR10144420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document format through touch-screen | |
| KR101998470B1 (en) | To enter a command for zooming, reducing, and mov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
| CN114415883A (en) | User interface interac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KR2015010739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nic document's merg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6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60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