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079B1 -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common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common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8079B1 KR101408079B1 KR1020140026264A KR20140026264A KR101408079B1 KR 101408079 B1 KR101408079 B1 KR 101408079B1 KR 1020140026264 A KR1020140026264 A KR 1020140026264A KR 20140026264 A KR20140026264 A KR 20140026264A KR 101408079 B1 KR101408079 B1 KR 101408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et
- frames per
- data
- unit
- transmission 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신호 데이터에 패킷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와, 생성된 패킷을 시간적으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패킷 다중화부와,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출력된 패킷의 데이터 비트를 순서대로 할당하여 가변 프레임을 생성하는 가변 프레임 생성부와,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생성된 가변 프레임을 가변 전송속도로 지상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패킷 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초당 프레임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 및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에서의 초당 프레임수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a public data link system are disclos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cke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acket by adding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video and signal data received from one or more sensors, a packet multiplexing unit for multiplexing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packets in time, A variable frame generation unit for assigning data bits of the output packet in order of a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to generate a variable frame, and a variable fram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generated variable frame at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to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variable transmission rate,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based on the amount of data output from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and controls the variable frame generating unit and the variable transmission rate transmitting unit to select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t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시정찰체계의 플랫폼에서 영상 및 신호탐지 센서가 획득한 영상 및 신호 데이터를 무선으로 지상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image and signal data acquired by an image and signal detection sensor in a platform of a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 to a terrest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공용데이터링크(CDL: Common Data Link)는 감시정찰 비행플랫폼에서 촬영한 영상정보와 탐지한 신호정보를 먼 거리에 떨어진 지상통신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적합하도록 개발된 통신방식 및 통신시스템으로 수십 ~ 최대 수백Mbps 고속의 전송속도를 수십 ~ 수백km의 장거리에 걸쳐 통신한다.Common Data Link (CDL) is 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developed for transmitting wirelessly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detected signal information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flight platform to a ground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a long distance away. The communication speed is up to several hundred Mbps and the transmission speed is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 km.
이러한 공용데이터링크(CDL: Common Data Link)는 군사, 전장환경, 소방, 교통, 의료, 환경감시, 빌딩제어, 홈네트워크 등 산업전반에서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응용될 수 있다. These common data links (CDLs)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fields from the industry to daily life, such as military, battlefield, fire, traffic, medical, environmental monitoring, building control and home network.
한편, 기존의 전통적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이하 통신장치)는 감시정찰 플랫폼의 여러 센서가 획득한 영상 및 신호 데이터를 받아 이를 다중화하여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 때 감시정찰에 사용되는 영상 및 신호 데이터는 지상통신장치에서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압축되지 않는 원 데이터 행태(Raw Data)로 송신하기 때문에 영상 및 신호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기존의 감시정찰 체계는 플랫폼에 탑재될 센서의 종류와 수량이 결정되면 모든 센서가 발생할 수 있는 최대의 데이터 량을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속도가 고정된 통신장치가 필요했다.Meanwhile, a data communic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common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receives image and signal data acquired by various sensors of a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platform, and multiplexes and generates frames. At this time, video and signal data used for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are transmitted as uncompressed raw data so that they can be analyzed precisely by terrestrial communication devices, so that the amount of data of video and signal data is always constant. Therefore, the conventional surveillance system requires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fixed transmission rate that can transmit the maximum amount of data that can be generated by all sensors once the type and quantity of sensors to be mounted on the platform are determined.
데이터 량이 다른 다수의 센서로부터 영상 및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통신장치는 무선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영상 및 신호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이 때 기존 통신장치에서는 센서에 따라 프레임 내에서의 데이터의 위치와 데이터 량이 고정적으로 할당되며 지상통신장치는 수신된 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위치와 량으로부터 어느 센서에서 발생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A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receives video and signal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having different amounts of data multiplexes video and signal data for transmission in a wireless link to form one frame. At this time, in the existing communication apparatus, the position and amount of data in the frame are fixedly allocated according to the sensor, and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apparatus can determine from which sensor the data is generated from the position and amount of data in the received frame.
기존 통신장치는 전송속도와 프레임 구조가 고정되기 때문에 일부 센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더라도 항상 최대의 전송속도로 전송되어 무선 주파수 대역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는 센서와 데이터 량이 동일한 센서로만 교체가 가능하고 데이터 량이 더 많은 고 해상도의 센서로 교체할 경우에는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고 변경된 프레임 구조에 맞게 통신장치를 개조하는 불편이 있다.
Existing communication apparatuses have a problem of wasting radio frequency bands because they are always transmitted at the maximum transmission speed even though it is not necessary to use some sensors because the transmission speed and the frame structure are fixed. In addition, when the sensor is replaced with a sensor having a data amount that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sensor, and the sensor is replaced with a high-resolution sensor having a larger data amoun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changing the frame structure and modifying the communicat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frame structure.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에 연결된 센서의 종류와 데이터 량에 따라서 통신장치를 개조하지 않고 프레임 구조와 전송속도를 변경할 수 있는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data of a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changing a frame structure and a transmission rate without modify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ype and data amount of a sensor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신호 데이터에 패킷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 다수의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패킷을 시간적으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패킷 다중화부와;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출력된 패킷의 데이터 비트를 순서대로 할당하여 가변 프레임을 생성하는 가변 프레임 생성부와;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생성된 가변 프레임을 가변 전송속도로 지상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와; 상기 패킷 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초당 프레임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 및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에서의 초당 프레임수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public data lin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cket generator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ackets by adding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video and signal data received from one or more sensors; A packet multiplexing unit for multiplexing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packets in time; A variable fram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ariable frame by sequentially allocating the data bits of the output packet with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variable frame at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to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t a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based on the amount of data output from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and controlling the variable frame generating unit and the variable transmission rate transmitting unit to select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t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에서 발생한 총 데이터 량보다 상기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에서의 전송속도가 높아서 상기 패킷 다중화부로부터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로 출력할 패킷의 데이터 비트가 없는 경우, 임의값을 생성하여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에 제공하는 임의값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transmission rate at the variable transmission rate transmission unit is higher than the total data amount generated at the sensor, and there is no data bit of a packet to be output from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to the variable frame generation unit, And an arbitrary value generator for providing the variable frame generator with a variable frame generat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 생성부가 생성한 다수의 패킷의 각 사용 유무를 결정하고, 상기 패킷 다중화부에서 상기 패킷 생성부에 의한 다수의 패킷과 상기 임의값 생성부에 의한 임의값을 다중화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of the plurality of packets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ion unit is use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to selec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ackets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ion unit, Is determin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킷 다중화부는,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로 출력되는 패킷의 전송속도를 상기 패킷 생성부로부터 상기 패킷 다중화부로 입력되는 총 데이터 량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acket multiplexer sets a transmission rate of a packet output to the variable frame generator to be higher than a total data amount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or to the packet multiplex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는, 프레임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초당 프레임 수를 변경하여 전송속도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frame gen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rate is determined by chang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while keeping the length of the frame the s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는, 최대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초당 최대 프레임 수를 포함하고, 초당 최대 프레임 수를 기초로 점진적 단계로 초당 프레임 수를 변경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frame generation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ximum number of frames per second corresponding to a maximum transmission rate, and to change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in an incremental step based on the maximum number of frames per seco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에서 선택되는 초당 프레임수는, 상기 센서의 전송속도의 총합보다 큰 초당 프레임수 중에서 가장 적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selected by the variable frame generator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which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transmission speeds of the senso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의 동작방법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신호 데이터에 패킷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 다수의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패킷을 시간적으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초당 프레임 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출력된 패킷의 데이터 비트를 순서대로 할당하여 가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생성된 가변 프레임을 가변 전송속도로 지상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in a public data link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plurality of packets by adding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video and signal data received from one or more sensors; Multiplexing the generated packets temporally and outputting the multiplexed packets; Determining a number of frames per second based on the amount of multiplexed and outputted data; Generating a variable frame by sequentially allocating the data bits of the output packet with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variable frame to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t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at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에 의하면, 연결된 센서의 종류와 데이터의 량에 따라 영상 및 신호 데이터의 비트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센서와 종류 및 데이터 량이 다른 센서로의 교체가 용이하다. 나아가, 초당 프레임 수를 단계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프레임의 전송속도와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t positions of the image and signal data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nected sensor and the amount of data, It is easy to replace with a sensor having a different data amount. Furtherm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rame transmission rate and the occupied bandwidth can be changed by selecting the frames per second in a stepwise manner.
도 1은 일반적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된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general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ixed frame genera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of a general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frame structure genera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of a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감시정찰 플랫폼에서 다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 필요한 모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First, 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systems that need to wirelessly transmit data acquir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 a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platform.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여기서 설명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서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at i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provisional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yields.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hav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일반적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통신장치(20)는 감시정찰체계의 플랫폼에서 여러 센서들(10)이 획득한 영상 및 신호 데이터를 입력 퍼버들(21)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프레임 생성기(22)를 통해, 상기 수신된 영상 및 신호 데이터에 대한 프레임을 생성하여 다중화하고, 이를 고정 속도 송신기(24)에 출력하여, 지상 통신 장치에 전달하게 하였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general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The
이러한, 종래 통신장치(20)는 감시정찰체계에 사용되는 영상 및 신호 데이터는 지상 통신장치에서 수신하여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압축되지 않는 원 데이터(Raw Data) 행태로 송신하기 때문에, 영상 및 신호 데이터의 데이터 량이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종래 통신장치(20)는, 종래의 감시정찰체계의 플랫폼에 탑재되는 센서의 종류와 수량이 결정되면 모든 센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고정된 전송속도를 갖도록 구현되었다.Since the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일반적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된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In this connection, Fig. 2 shows the structure of a fixed frame genera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of a general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신장치(20)는 데이터 량이 다른 다수 센서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신호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형태인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때, 종래의 통신장치(20)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임은 각 비트의 위치마다 센서의 종류와 센서에서 발생한 데이터 비트의 수가 고정적으로 할당되며 지상통신장치는 수신된 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위치와 량으로부터 어느 센서에서 발생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통신장치의 전송속도는 초당 프레임 수와 매 프레임에 포함된 비트 수의 곱으로 나타내므로, 종래 통신장치(20)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의 구조와 데이터 비트의 수는 항상 고정적이므로 전송속도 또한 항상 일정하다. 그에 따라, 점유하는 무선 주파수대역도 항상 고정적이였다.Since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is represented by the product of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the number of bits included in each frame, the structure of the frame and the number of data bits generated by the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되는 프레임 구조가 고정적으로 할당되기 때문에, 종래 통신장치(20)의 운용 중에 일부의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여 불필요한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고정적으로 프레임 구조가 할당되어 지상 통신장치로 전송되므로, 점유 주파수대역이 낭비되었다. That is, since the generated frame structure is fixedly allocated as shown in FIG. 2, even if unnecessary data is input due to a failure in some sensors during operation of the
또한, 종래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에서 센서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센서와 데이터 량이 동일한 센서로만 교체가 가능하고, 사용하던 센서보다 데이터 량이 큰 센서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종래 통신장치(20)의 프레임 구조를 변경한 다음, 고정속도 전송기의 전송속도를 증가시키고, 점유 무선주파수 대역폭도 더 많이 할당해야 하는 작업들을 수행해야만 했다.Further,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sensor in the conventional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the sensor can be replaced only by a sensor having the same data amount as that of the existing sensor. In the case of replacing the sensor with a sensor having a larger data amount than the sensor used, After changing the frame structure of the
초기에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운용되는 시기에는 감시정찰체계의 플랫폼의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도 부족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무인감시정찰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감시정찰체계의 플랫폼이 필요하게 되었다. In the early days when the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was developed and operated, the frequency band of the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was not short because the number of platforms of the monitoring and reconnaissance system was not sufficient. However, recently, Accordingly, a platform for various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s has become necessary.
한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감시정찰체계의 플랫폼들은 다른 감시정찰체계의 플랫폼들과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사용해야하고, 이러한 경우 탑재되어 있는 전체 센서 중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센서를 선택적으로 운용해야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센서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더라도, 초당 프레임 수와 각 프레임에서 센서별 데이터 비트의 위치가 고정적이기 때문에, 여전히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할 수가 없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the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is limited, the platforms of th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 should be divided into the platforms and the frequency bands of the other surveillance system. In this case, . ≪ / RTI > However, even when the sensor is selectively operated as above, the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can not be changed because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the position of data bits per sensor in each frame are fixed.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는,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신호 데이터에 패킷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 패킷을 생성하고, 다중화된 패킷의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초당 프레임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초당 프레임 수에 근거하여, 가변 프레임을 생성하고 가변 전송속도로 프레임을 지상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에 따라, 기존 센서와 데이터양이 다른 센서로의 교체가 용이하고, 초당 프레임수를 선택하여 전송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는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acket by adding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video and signal data received from sensors and generates a packet based on the data amount of the multiplexed packet. The number of frames is determined, a variable frame is generated based on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the frame is transmitted to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t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existing sensor with a sensor having a different amount of data, and to provide a common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in which the occupied bandwidth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elect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100)는 감시정찰을 수행하는 다양한 센서들(10)로부터 영상 및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 다음, 지상 통신 장치(200)에 감시정찰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장치(100)는 패킷 생성부(100)와, 패킷 다중화부(120)와,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와,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140)와, 제어부(150)를 포함한다.3, a
패킷 생성부(1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신호 데이터에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 다수의 패킷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킷 생성부(110)는, 센서들(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또는 신호 데이터의 헤더(head)부분에 데이터의 시작패턴, 센서 식별자, 패킷의 전체 길이 등과 같이, 지상통신장치(200)에서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부가정보를 추가하여 패킷을 생성한다. 즉, 생성된 패킷의 헤더에 추가된 식별 정보는 지상통신장치(200)에서 각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어느 센서가 송신했는지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The
한편, 패킷 생성부(110)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며, 센서들(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또는 신호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패킷으로 변환하지 않고 패킷 다중화부(120)로 출력하지도 않는다.The
패킷 다중화부(120)는, 생성된 패킷을 시간적으로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즉,패킷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패킷은 동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전송될 수 없으므로, 패킷 다중화부(120)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생성된 패킷을 시작적으로 다중화하여 순차적으로 정렬한다. The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킷 다중화부(120)는, 이하의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로 출력되는 초당 데이터 량을 상기 패킷 생성부(110)로부터 패킷 다중화부(120)로 입력되는 초당 데이터 량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패킷 다중화부(120)로 입력되는 데이터 량보다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로 출력되는 전송속도가 늦게 설정되면, 패킷 다중화부(120)에 입력된 패킷 데이터의 일부가 유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한편, 모든 센서들(10)로부터 입력되는 총 데이터의 량이 통신장치(100)의 전송속도보다 낮으면, 특정 시점에는 통신장치(100)로 보낼 센서의 영상 또는 신호 데이터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신호를 전송해야 하므로, 센서(10)의 데이터 대신에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total amount of data input from all the
이에, 상기 통신장치(100)는 센서(10)에서 발생한 총 데이터 량보다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140)에서의 전송속도가 높아서, 특정 시점에서 패킷 다중화부(120)로부터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로 출력할 패킷의 데이터 비트가 없는 경우에는, 임의값을 생성하여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장치(100)는 이러한 임의값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값 생성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패킷 다중화부(120)에 입력되는 데이터 양보다는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로 출력되는 전송속도가 높게 설정되면, 이 경우에는 패킷 다중화부(120)로부터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로 출력할 데이터가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시스템의 오류가 야기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rate output to the variabl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패킷 다중화부(120)가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로 출력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임의값 생성부(115)로부터 출력된 임의의 값(예, 비트 0, 1)을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에 출력하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또한,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는, 프레임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초당 프레임 수를 변경하여 전송속도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프레임의 길이가 변경되면 전송속도가 변경됨에 따라,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140)의 처리 방법이 매번 변경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variable
또한,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는, 최대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초당 최대 프레임 수를 포함하고, 초당 최대 프레임 수를 기초로 하여 점진적 단계로 초당 프레임 수를 변경함으로써, 전송속도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종래의 통신장치(20, 도1)가 초당 프레임 수와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 비트 수의 곱인 전송속도가 고정된 것과 달리, 본 발명의 통신장치(100)는 초당 프레임 수를 여러 단계로 조정함으로서, 전송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Unlike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device 20 (FIG. 1) in which the transmission rate, which is the product of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the number of data bits contained in the frame, is fixed, the
이때, 초기의 초당 프레임 수는, 실제 사용 중인 센서(10)가 영상 및 신호 데이터에 식별 정보(또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여 만든 패킷의 총 데이터 양보다 크게 설정한다. 그리고 초당 프레임 수를 단계적으로 조정한다. 예를 들어,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 한 프레임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초당 발생하는 프레임의 수를 변경하여 전송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itial number of frames per second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total data amount of the packet that the
즉,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는 통신장치(100)의 최대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초당 최대 프레임 수를 포함하고, 최대 프레임 수의 1/2, 1/3, 2/5 등과 같이 여러 단계로 초당 프레임수를 변경하여서, 전송속도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초당 프레임수는 N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이 N의 값을 여러 단계 중의 하나로 선택하여, 전송속도를 변경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점유하는 주파수 대역폭도 변경할 수 있다.That is, the variable
이때,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에서 선택되는 초당 프레임 수는,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센서(10)의 전송속도의 총합보다 큰 초당 프레임 수 중에서 가장 적은 값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초당 프레임 수의 결정은 제어부(15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selected by the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140)는,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가변 프레임을 가변 전송속도로 지상통신장치(200)에 전송한다. 즉, 상기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140)는, 많은 센서가 동시에 운용되어 높은 전송속도가 필요할 경우, 또는 일부 센서만 운용되어서 요구되는 전송속도가 낮은 경우, 그에 따라 가변된 전송속도로 프레임을 전송한다. The variable transmission
또한, 가변 속도 송신부(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선택된 초당 프레임 수와 프레임 데이터 비트 수의 곱인 전송속도로,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로부터 출력인 데이터 비트(0, 1)를 무선링크에 적합한 통신신호로 변조한 다음, 지상 통신 장치(200)로 송신한다. 이때, 변조된 무선신호는 주파수 대역폭을 차지하는 통신방식에 따라서 점유 대역폭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동일한 통신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송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의 가변 속도 송신기부(140) 의해 송신되는 무선신호는 초당 프레임 수에 따라 전송속도가 가변되고, 그에 따라 점유하는 주파수 대역폭도 가변된다.The variable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패킷 다중화부(1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초당 프레임 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를 제공하여,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와 상기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140)가 제어부(150)에 의해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패킷 생성부(110)가 생성한 다수의 패킷의 각 사용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센서(100)의 사용 유무와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모든 운용되는 센서의 전송속도의 총 합을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패킷 다중화부(120)에서 상기 패킷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패킷과 그리고 임의값 생성부(115)에 의한 임의값을 다중화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frame structure genera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of a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들(10)로부터 입력된 영상 또는 신호 데이터는, 각각 식별 정보가 추가된 패킷들로 변환된다(110_A).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영상 또는 신호 데이터가 없으면, 임의값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패킷들은 추가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센서의 종류와 데이터 량에 따라, 센서의 데이터 비트 위치가 가변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130_A). 이때, 가변 프레임 생성부(130)에서 생성하는 프레임의 수(#N)은 상기 패킷 다중화부(1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제어부가 결정한다. As shown in FIG. 4, the image or signal data input from the
한편,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100, 도 3)는 먼저, 하나 이상의 센서들(10, 도 3)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신호 데이터에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서, 다수의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510). 그리고, 생성된 패킷을 시간적으로 다중화하여 출력한다(S520). 5, a communication device 100 (FIG. 3) of a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transmits the image and signal data received from one or more sensors 10 (FIG. 3)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ed, and a step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packets is performed (S510). Then, the generated packets are temporally multiplexed and output (S520).
이와 같이, 생성된 패킷이 다중화되면, 통신장치(100)의 제어부(150, 도 3)는 다중화되어 출력되는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프레임의 초당 프레임 수를 결정한다(S530). 계속해서, 상기 통신장치(100)는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출력된 패킷의 데이터 비트를 순서대로 할당하여서 가변 프레임을 생성한다(S540). 그런 다음,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생성된 가변 프레임을 가변 전송속도로 지상 통신 장치(200, 도 3)에 전송한다.When the generated packets are multiplexed, the controller 150 (Fig. 3)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용데이터링크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에 의하면, 연결된 센서의 종류와 데이터의 량에 따라 영상 및 신호 데이터의 프레임 내에서의 데이터 위치와 데이터 량을 변경할 수 있고 센서들이 발생한 데이터 량의 총합에 맞는 최적의 전송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장치를 개조하지 않고도 종류와 데이터 량이 다른 센서로 교체가 가능하고 실제 사용되는 센서의 데이터 량에 맞는 전송속도를 선택함으로써 무선 주파수 대역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public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osition and the data amount in the frame of the video and the signal data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nected sensor and the amount of data It is possible to select an optimum transmission rate which can be changed and which is suitable for the sum of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by the senso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ensor of a different type and amount of data without modify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avoid wasting the radio frequency band by selecting a transmiss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data amount of an actually used senso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매체(예, 단말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 단말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in various forms. Further,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software program that can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terminal internal memory, flash memory, hard disk, etc.) and executed by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with embedded codes or instructions.
Claims (8)
상기 생성된 패킷을 시간적으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패킷 다중화부;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출력된 패킷의 데이터 비트를 순서대로 할당하여 가변 프레임을 생성하는 가변 프레임 생성부;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생성된 가변 프레임을 가변 전송속도로 지상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 및
상기 패킷 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초당 프레임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 및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에서의 초당 프레임수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A packe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packets by adding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video and signal data received from one or more sensors;
A packet multiplexing unit for multiplexing the generated packets in time;
A variable fram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ariable frame by sequentially allocating the data bits of the output packet with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variable frame at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to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t a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based on the amount of data output from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and controlling the variable frame generating unit and the variable transmission rate transmitting unit to select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t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ublic data link system.
상기 센서에서 발생한 총 데이터 량보다 상기 가변 전송속도 송신부에서의 전송속도가 높아서 상기 패킷 다중화부로부터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로 출력할 패킷의 데이터 비트가 없는 경우,
임의값을 생성하여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에 제공하는 임의값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ransmission rate in the variable transmission rate transmission unit is higher than the total data amount generated in the sensor and there is no data bit of a packet to be output from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to the variable frame generation unit,
And an arbitrary value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rbitrary value and providing the arbitrary value to the variable frame genera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 생성부가 생성한 다수의 패킷의 각 사용 유무를 결정하고, 상기 패킷 다중화부에서 상기 패킷 생성부에 의한 다수의 패킷과 상기 임의값 생성부에 의한 임의값을 다중화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of the plurality of packets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ing unit is used and determines a sequence of multiplexing a plurality of packets by the packet generating unit and an arbitrary value by the random value generating unit in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Of the data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ublic data link system.
상기 패킷 다중화부는,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로 출력되는 패킷의 전송속도를 상기 패킷 생성부로부터 상기 패킷 다중화부로 입력되는 총 데이터 량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transmission rate of a packet output to the variable frame generation unit is set to be higher than the total amount of data input from the packet generation unit to the packet multiplexing unit.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는,
프레임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초당 프레임 수를 변경하여 전송속도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Wherein the transmission rate is determined by chang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while maintaining the same length of the frame.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는,
최대 전송속도에 해당하는 초당 최대 프레임 수를 포함하고, 초당 최대 프레임 수를 기초로 점진적 단계로 초당 프레임 수를 변경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ariable-
The maximum number of frames per second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transmission rate, and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is changed in an incremental step based on the maximum number of frames per second.
상기 가변 프레임 생성부에서 선택되는 초당 프레임수는, 상기 센서의 전송속도의 총합보다 큰 초당 프레임수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selected by the variable frame generation unit i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which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transmission speeds of the sensors.
상기 생성된 패킷을 시간적으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시간적으로 다중화되어 출력된 패킷의 데이터 량에 근거하여 초당 프레임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출력된 패킷의 데이터 비트를 순서대로 할당하여 가변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초당 프레임수로, 상기 생성된 가변 프레임을 가변 전송속도로 지상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데이터링크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의 동작방법.Generating packets by adding pa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video and signal data received from one or more sensors;
Multiplexing the generated packets temporally and outputting the multiplexed packets;
Determining a number of frames per second based on the amount of data of the temporally multiplexed and outputted packet;
Generating a variable frame by sequentially allocating the data bits of the output packet with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variable frame at a variable transmission rate to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t the determined number of frames per secon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26264A KR101408079B1 (en) | 2014-03-05 | 2014-03-05 |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common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26264A KR101408079B1 (en) | 2014-03-05 | 2014-03-05 |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common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08079B1 true KR101408079B1 (en) | 2014-06-17 |
Family
ID=5113306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26264A Active KR101408079B1 (en) | 2014-03-05 | 2014-03-05 |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common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08079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22147A (en) * | 2017-08-25 | 2019-03-06 | 국방과학연구소 | Common data link system having multi-port and network configuration using virtual interface |
| KR20210083821A (en) * | 2019-12-27 | 2021-07-07 | 한국전력공사 | Data transfer-processing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76436A (en) * | 2011-12-28 | 2013-07-08 | 국방과학연구소 | Communi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
-
2014
- 2014-03-05 KR KR1020140026264A patent/KR1014080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76436A (en) * | 2011-12-28 | 2013-07-08 | 국방과학연구소 | Communi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22147A (en) * | 2017-08-25 | 2019-03-06 | 국방과학연구소 | Common data link system having multi-port and network configuration using virtual interface |
| KR101955986B1 (en) | 2017-08-25 | 2019-03-11 | 국방과학연구소 | Common data link system having multi-port and network configuration using virtual interface |
| KR20210083821A (en) * | 2019-12-27 | 2021-07-07 | 한국전력공사 | Data transfer-processing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
| KR102797128B1 (en) * | 2019-12-27 | 2025-04-18 | 한국전력공사 | Data transfer-processing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9459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ompressed picture according to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events | |
| US9699099B2 (en) |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 |
| MX2019015103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data channel and apparatus therefor. | |
| US10314107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 |
| US10542095B2 (en) | Synchronization measurement system, synchronization measurement method, controller, sensor unit, synchronous signal generation unit, synchronous signal transfer unit, and program | |
| US20100045422A1 (en) | Sensor network system enables highly-reliable transmission/reception of control command and efficient band | |
| EP2690869B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 |
| EP2272237B1 (en) |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 |
| PH12019502757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 KR20070098915A (en) | Synchronization method and receiving device | |
| KR101408079B1 (en) |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common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
| US9723302B2 (en) |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video processing quality | |
| US11451940B2 (en) | Data transmission termina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 JP2007036627A5 (en) | ||
| US9716550B2 (en) | Dimming method, dimming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US20110188498A1 (en) | Packet transmission device,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stored o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 |
| US11882498B2 (en) | Remote control device, mov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CN114902813B (en) | Operation control node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 |
| US10772010B2 (en) |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ording medium | |
| US9350910B2 (en) | Operation device, imaging device, and remote imaging system | |
| US20160044664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CN102624612A (en) |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device for aggregate media protocol data unit (A-mpdu) messages | |
| CN102348105A (en) | Digital Video Surveillance Device | |
| KR101688647B1 (en) | Modem bonding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and low latency transmission at mobile network | |
| TW202324962A (en) | Methods and systems of segment splitting across fram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