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9681B1 -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 - Google Patents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681B1
KR101419681B1 KR1020097008287A KR20097008287A KR101419681B1 KR 101419681 B1 KR101419681 B1 KR 101419681B1 KR 1020097008287 A KR1020097008287 A KR 1020097008287A KR 20097008287 A KR20097008287 A KR 20097008287A KR 101419681 B1 KR101419681 B1 KR 101419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fluorescent
retroreflective
polymer matrix
dy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192A (ko
Inventor
광-쑤에 웨이
Original Assignee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6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 특성을 가지며 안전성 및 정보 신호체계와 같은 역반사 물품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품을 제공한다. 물품은 탁월한 전체 색 내구성을 나타내면서 또한 특정 채색 대한 공업적 표준에 의해 지시되는 색도 특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형광 필름층을 갖는다. 특정 분야에서, 물품은 역반사 특성을 구현하고 형광 황록색 신호체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FLUORESCENT POLYCARBONATE ARTICLES}
본 발명은, 형광 착색제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물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광안정화제의 사용 없이 탁월한 색 내구성을 갖는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형광 염료를 혼입시킨 물품은 신호체계, 자동차 표지판 및 도로 표지판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 및 안전성, 정보 보급, 가시성, 가시적 신호 및 빠른 탐지를 포함하는 많은 이유에 대해 높은 가시성이 요구되고 유익한 다른 분야에 대해 당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형광 재료의 특별한 밝은 외관이 새벽 및 먼지 하에서 특히 현저한 향상된 가시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분야에서는, 특정 색 표준 및/또는 특정 내구성 표준을 충족시키기고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종종, 형광 착색제를 함유하는 이들 중합체 시스템은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시트의 형태로 구조된다. 형광 착색제로 로딩된 이들 유형의 필름에 대한 특히 적합한 분야는 신호가 물품의 일차 기능인 용도와 관련되어 있다. 교통 안전성 및 정보 신호체계는 형광 착색제를 갖는 필름을 편입시켜서 신호체계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특정 유형의 신호체계는 장기간 옥외 내구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자외선이 착색제, 특히 형광 착색제를 분해시키는 것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일광 또는 자외(UV) 광의 다른 공급원에 노출될 경우에, 형광 착색제는 매우 신속하게 약화된다. 이는 특히, 형광색의 빠른 약화가 신호체계의 수명을 급격히 단축시키기 때문에 교통 및 도로 신호 분야에 대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역반사 시트와 같은 UV 형광 물품의 UV 광 내구성을 향상시키려는 과거의 노력은 형광층 위 또는 전방에 UV 광 스크리닝 층의 사용을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UV 광 스크리닝 층은 투명한 중합체 매트릭스 내로 UV 광 흡수 화합물을 용해시킨 후, 스크리닝 층을 형광색 층의 전방에 증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이들과 같은 시도는 종종 스크리닝 층 내의 UV 흡수제와 하부 착색층 내의 형광 염료 사이의 가능한 네거티브 상호작용을 고려하고/거나 해결하는 데에 실패하였다. UV 스크리닝은 옥외 내구성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의도되었지만, 수가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관심사는 이들 스크리닝 층의 UV 광 흡수 화합물이 시간에 따라 여과될 수 있거나 하부 형광층 내로 확산 또는 이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확산은 실제로 특정 경우에 형광 착색제의 약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형광 착색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다른 방법은 중합체 매트릭스 중의 형광 착색제와 조합하여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형(HALS 형)의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들 방법은 UV 광으로 인한 색 분해의 문제점을 해결하지만, 가시광에 의해 유발되는 색분해의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한다. 종종, 가시광은 형광 착색제에 대해 UV광보다 더 유해하다. 형광 착색제가 가시광에 민감한 경우, UV 안정화제 및/또는 UV 스크리닝 층의 사용은 가시광으로 인한 색분해에 대해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다.
형광 물품의 형광 특성의 감소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른 요인은 형광 착색제의 여과, 형광 착색제 자체의 광 불안정성 및/또는 형광 착색제, 중합체 매트릭스, 첨가제 및/또는 중합체 중의 불순물 중에서의 네거티브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요약
본 발명에 따라, 목표 착색 요건을 실현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형광 착색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특히 가시광에 대해 광안정성인 물품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형광 필름층, 및 하나 이상의 벤조크산텐 염료 및 하나 이상의 벤조티아진 염료를 포함하는 형광 염료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물품은 선택된 형광 채색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형광 채색은 하기의 좌표에 의해 한정된 "x" 및 "y" 색도 좌표를 갖는 황록색이다: (x=0.387, y=0.610), (x=0.460, y=0.540), (x=0.421, y=0.486) 및 (x=0.368, y=0.539).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체 매트릭스, 및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하나 이상의 벤조크산텐 염료 및 하나 이상의 벤조티아진 염료를 포함하는 형광 염료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내구성 색 및/또는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물품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물품은 중합체 매트릭스에 대한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UV 흡수제의 첨가 없이 풍화에 대한 노출시에 색 및/또는 형광의 향상된 유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기술된 형광 물품을 포함하고 다수의 역반사 요소를 갖는 역반사 시트 재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역반사 시트 재료는 역반사 도로 신호체계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경우에 특별한 이용성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은 물품에 혼입되는 공지된 UV 광 스크리닝 층 및/또는 UV 광안정화제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향상된 형광 및 색 내구성을 나타낸다. UV 광 스크리닝 층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중합체 매트릭스 중의 형광 착색제의 촉진된 약화를 유발시킬 수 있는 스크리닝 층으로부터의 UV 광 흡수제의 여과 또는 UV 광 흡수제의 이행에 대해 어려움이 없다. 고내구성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이 바람직한 경우, UV 스크리닝 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벤조티아진 착색제 및 벤조크산텐 착색제의 배합물이 골고루 분산된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형광 물품이 제공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성분은 중합체 매트릭스를 생성시키는 제형(formulation)의 약 90 내지 약 99.99 중량%이다. 각각의 염료는 매트릭스 제형의 총중량의 약 0.01 내지 약 약 1.5 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염료는 약 0.02 내지 약 1.0 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중합체 매트릭스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유용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다우 케미칼 컴패니로부터 시판되는 칼리브레-302(Calibre-302)와 같은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매트릭스에 대한 착색제 시스템으로서, 2가지 특정 유형의 배합물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벤조크산텐형 및 벤조티아진형의 염료는 중합체 매트릭스 내로 배합되는 경우에 색 내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유용한 형광 벤조크산텐 염료는 데이클로 코포레이션(DayGlo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루모패스트 옐로우(Lumofast Yellow) D-150"로 시판되는 황록색 염료이다.
벤조티아진형의 염료는 황록색 형광 채색 및 색도를 제공하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유용한 벤조티아진 염료는 데이클로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시판되는 휴런 옐로우(Huron Yellow) D-417이다. 상기 염료와 벤조크산텐 황록색 염료의 조합은 황록색 시트에 대한 공업적 표준 내에 있는 채색 및 색도 값을 결과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물품의 형광 채색은 하기의 "x" 및 "y" 좌표에 의해 한정된 "x" 및 "y" 색도 좌표를 갖는 황록색이다: (x=0.387, y=0.610), (x=0.460, y=0.540), (x=0.421, y=0.486) 및 (x=0.368, y=0.539).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포함되는 경우, 염료는 탁월한 주간 발광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벤조크산텐 염료는 매트릭스 제형의 총중량으로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1.5 중량%의 범위, 약 0.02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 또는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벤조티아진 염료는 매트릭스 제형의 총중량으로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1.5 중량%의 범위, 약 0.01 내지 약 0.5 중량%의 범위 또는 약 0.01 내지 약 0.1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된다. 형과 염료의 중량 로딩은 특정 최종 사용을 위해 시트의 두께 및 바람직한 색도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역반사 물품은 일반적으로, 형광 염료가 물품의 역반사 작용이 현저히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투명성을 가져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반사 특성이 바람직한 경우, 마이크로프리즘형 입방체 모서리 요소 또는 유리 미소구체와 같은 역반사 시트 공업에서 널리 공지된 역반사 요소가 물품으로 고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구성에서, 다수의 마이크로프리즘형 입방체 모서리 요소는 형광층의 후방 표면으로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역반사 물품이 도로 신호체계로 제조되는 경우, 미래의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로부터의 광은 전면을 통해 구조 내로 들어가고, 역반사 요소를 통과하며, 자동차의 운전자로 다시 역반사된다.
본 발명의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은, 폴리카보네이트 매트릭스에 사용되는 형광 염료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예기치 않게 우수한 형광 및 색 내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형광 및 색은 연장된 크세논 아크 노출 및 옥외 노출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낸다 하더라도, 폴리카보네이트 매트릭스 자체는 분해를 일으킬 수 있음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분해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매트릭스를 보호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물품은 임의적으로 커버 또는 캡 층을 포함한다. 캡 층은 폴리카보네이트 매트릭스에 대한 내마노성 및 향상된 내후성을 제공하는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레이트 캡 층은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위에 놓인다. 아크릴레이트 캡 층은 분해로부터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캡 층은 자체적으로 자외광의 흡수제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폴리아크릴레이트 매트릭스가 적합하다.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와 조합하여 사용되어 캡 층을 생성시킬 수 있다. 캡 층은 광안정화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형광 물품은 압출, 캘리더링 또는 캐스팅과 같은 널리 공지된 필름 제조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일정량의 중합체 매트릭스를 하나 이상의 벤조크산텐 염료 및 하나 이상의 벤조티아진 염료를 포함하는 형광 염료 배합물과 조합시키고 중합체 매트릭스를 형광 염료와 함께 사용하여 역반사 물품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여, 형광 역반사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형광 황록색 염료 배합물을 갖는 중합체 매트릭스는 역반산 시트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필름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널리 공지된 유리 비드화 또는 마이크로프리즘형 입방체 모서리 역반사 시트 구조 중 어느 하나 내로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는 마이크로프리즘형 입방체 모서리 역반사 시트의 형태로 존재한다. 마이크로프리즘형 입방체 모서리 역반사 시트로 제조하는 이러한 방법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478,769호, 제4,486,363호 및 제4,601,861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많은 다른 제조 방법이 존재함을 인지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황록색 형광 필름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층과 함께 사용되어 복합 역반사 물품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층은 이러한 시트 구조의 전방 표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역반사 시트(10)의 단면도를 도해한 것이다. 라인(90)은 시트(10)의 전방 표면에 들어가고 이에 의해 역반사되는 광선의 경로를 나타낸다. 황록색 형광색 층(12)은 이의 하나의 표면에서 직접 형성되는 역반사 입방체 모서리 요소(14)를 갖는다. 라인(90)은 시트(10)의 전방 표면에 들어가고 전방 표면을 통해 다시 입방체 모서리 요소(14)에 의해 역반사되는 광선의 경로를 나타낸다. 도 3은 임의의 캡 층(16)이 입방체 모서리 요소(14)가 내부에 형성된 표면의 반대면에 배치되고, 임의의 타이 층(18)이 캡 층(16)과 황록색 형광 층(12) 사이에 배치되는 대안적 실시예를 도해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역반사 시트(20)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해한 것이며, 여기에서, 라인(90)은 시트(20)의 전방 표면에 들어가고 이에 의해 역반사되는 광선의 경로를 나타낸다. 역반사 요소(24)는 무색일 수 있는 필름(21)의 표면에서 형성된다. 황록색 형광색 층(22)은 역반사 요소의 반대에 있는 필름(21)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임의적 캡 층(26)은 황록색 형광색 층(22)의 전방 표면상에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타이 층은 층(21)과 (22) 사이 또는 층(22)과 (26) 사이 또는 둘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광 황록색 필름을 혼입시킨 다른 다층 시트 구조는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형광색 필름은 또한 역반사 시트의 제조에서 페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역반사 요소는 미국 특허 제2,407,680호(파암퀴스트(Palmquist))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폐쇄 렌즈 역반사 시트 및 미국 특허 제3,190,178호(맥킨지(McKenzie))에 기술된 바와 같은 봉입 렌즈 역반사 시트와 같은 미소구체이다.
도 5는 형광 필름이 어떻게 폐쇄 렌즈 역반사 시트 물품(30) 내로 혼입될 수 있는 지를 도해하는 것이다. 폐쇄 렌즈 역반사 시트는 당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초기 기술은 파암퀴스트의 미국 특허 제2,407,680호이다. 이 기술은 평평한 투명한 커버 필름을 갖는 시트 구조에 끼워진 유리 미소구체와 같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유리 미소구체(34)는 형광층(32) 사이에 끼워진다. 정반사층(37)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공되며; 예를 들어, 이는 진공 증착 알루미늄이다. 상기 폐쇄 렌즈 구조의 역반사 특성은 임의의 캡 층(36)을 통해, 형광층(32)을 통해, 미소구체 내로 그리고 이를 통해, 매체(38) 내로 그리고 이를 통해 그리고 반대로 통과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단순화된 2차원 진행 광선 경로에 의해 도해된다.
도 6은 형광 필름이 어떻게 봉입 렌즈 역반사 물품(40) 내로 혼입될 수 있는 지를 도해하는 것이다. 봉입 렌즈 시트 역반사 특징 및 구조는 당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유리 미소구체와 같은 단일 층은 렌즈가 기밀적으로 밀봉된 셀 내에 봉입될 정도로 결합제층에 대해 밀봉된 필름의 사용으로 결합제층에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도해된 실시예에서, 유리 미소구체(44)는 결합체층(48)에 끼워진다. 형광층(42)은 결합제층에 대해 밀봉되어 렌즈를 기밀적으로 밀봉시킨다. 임의의 캡 층(46)은 형광층(42) 위에 놓일 수 있다. 도해된 렌즈(44)는 이의 고유의 반사 표면(47)을 가져서 보여지는 진행되는 광경로에 의해 지시되는 패턴에 따라 반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광 황록색 역반사 시트는 고속도로 신호체계, 건축 작업 영역 장벽 또는 콘, 반사 테이프, 반사성 안전복, 도로 포장 표지기, 상용 그래픽용 반사 재료 등과 같은 물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각각 하나 이상의 벤조크산텐 염료와 하나 이상의 벤조티아진 염료의 황록색 염료 배합물이 내부에 혼입된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할 것이며, 여기에서 염료는 중합체 매트릭스 중에 가용성이며 생성된 형광 황록색 물품은 도 1에 도해된 영역 내에 있는 색도 좌표를 갖는다.
하기의 예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되며,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도 1은 황록색으로 규정된 색공간의 면적을 규정하는 색도 다이어그램.
도 2는 마이크로프리즘형 역반사 요소가 내부에 생성된 역반사 시트의 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형광층 상에 캡층을 갖는 역반사 시트의 대안적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맑은 마이크로프리즘형 역반사 요소 상에 착색된 필름을 갖는 역반사 시트의 대안적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형광 필름층이 폐쇄 렌즈 구조상에 배치된 폐쇄 렌즈 역반사 시트 재료의 단면도.
도 6은 형광 필름층이 봉합 렌즈 구조상에 배치된 봉합 렌즈 역반사 시트 재료의 단면도.
예 각각에서 형광 물품 제형은, 중합체 수지와 형광 착색제를 용융 혼합한 후, 가열된 평압 프레스를 사용하여 약 6밀의 필름으로 전환시킴으로써, C.W. 브라벤더 플라스티-코오더 프레프-믹서(C.W. Brabender Plasti-Corder Prep-Mixer){뉴저지, 핵켄색의 C.W. 브라벤더 인스트루먼트, 인코포레이티드(C.W. Brabender Instrument, Inc.)에 의해 제조}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사용된 혼합 온도는 약 245 내지 260℃이다. 브라벤더 속도는 100rpm이고, 사용된 혼합 시간은 약 3 내지 6분이다. 전환된 필름을 널리 공지된 미세복제 방법에 의해 역반사 시트로 구조화시켰다.
역반사 샘플을 제조한 후에, 각각의 샘플을 크세논 아크 촉진 풍화 장치에 넣고, 색 측정값을 일상적으로 측정하였다. 크세논 아크 풍화를 위해 사용되는 시험 방법학은 ASTM G26-90, 섹션 1.3.1에 개요되어 있다. 붕규산염 내부 및 외수 필터를 사용하며, 방사선 조사 수준을 340 nm에서 0.35 W/㎡으로 설정하였다. D65 광원, 2o 관찰자 및 0/45 기하학적 구성을 사용하는 헌터 랩(Hunter Lab) LS6000 기기 상에서 색 측정을 하였다. 약화 정도 및 색 이동을 결정하기 위해, CIE △E 색차 인자를 촉진 풍화 노출 후의 색 측정값을 풍화 전에 이루어진 초기 측정값과 비교하기 위해 산출하였다. CIE △E 색차 인자에 대한 작은 값은 작은 색차를 나타낸다. 약 2 또는 3의 값은 사람의 눈으로는 거의 감지할 수 없다.
예 1
본 예는 바람직한 형광색이 2가지 형광 염료, 즉 벤조크산텐 및 벤조티아진 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를 배합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샘플 1-1은 폴리카보네이트와 0.2% 루모패스트 옐로우 D150 형광 황록색 염료의 배합물이다. 샘플 1-2는 폴리카보네이트와 0.05% 휴런 옐로우 D147 및 1.5%의 배합물이다. 샘플 1-3은 폴리카보네이트, 0.2% 루모패스트 옐로우 D150 및 0.05% 휴런 옐로우 D147의 배합물이다. 널리 공지된 엠보싱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원료 필름을 역반사 도로 신호 시트로 전환시켰다. 엠보싱 공정을 통해, 다수의 마이크로프리즘형 코너 입방형 요소를 형광 필름의 후방 표면 내로 직접 생성시켰다. 그 다음, 엠보싱된 필름상에 백색 후면 필름을 적층시켜 마무리된 역반사 시트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필름에 대한 생성된 색도 좌표 및 전체 발광 인자 Y(%)를 하기의 표 I 및 도 1에 기재하였다.
[표 I]
샘플 폴리카보네이트 중의 형광 염료 UVA x y z
1-1 D-150 0.3304 0.5021 80.15
1-2 D-417 0.4302 0.5417 83.90
1-3 D-150 및 D-417 0.4041 0.5458 83.83
표 I 및 도 1의 결과는 2가지 형광 염료와 배합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즉 폴리카보네이트/벤조크산텐/벤조티아진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역반사 시트의 전체 발광(Y) 및 색도가 색 공간 내측의 바람직한 위치로 조절될 수 있음을 도해한 것이다. 결과는 또한, 벤조크산텐 염료(루모패스트 D-150)와의 폴리카보네이트의 배합물이 그 자체로는 바람직한 전체 발광(Y) 및 색을 갖는 형광 황록색 역반사 시트를 생성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예 2
본 예는 형광 염료 배합물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내구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샘플 2-1은 폴리카보네이트와 0.06% 휴런 D-417의 배합물이다. 샘플 2-2는 폴리카보네이트, 0.2% 루모패스트 옐로우 D150 및 0.05% 휴런 옐로우 D147의 배합물이다.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투명 아크릴 필름을 착색 폴리카보네이트의 상부에 사용하였다. 촉진 풍화 결과를 하기의 표 II에 기재하였다.
[표 II]
샘플
염료
표시된 기간(시간)에서 노출된 샘플의 △E
500 1000 1500 2000 3000 4000 5000
2-1 D-417 2.55 9.89 12.26 --- --- --- ---
2-2 D-417 및 D-150 0.79 4.05 4.60 8.54 9.81 10.87 13.18
표 II의 결과는 형광 염료 배합물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 형광 황록색 폴리카보네이트가 단일 염료 D-417의 형광 특성보다 형광 특성의 내구성을 급격하게 개선시킴을 예시한다.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의 다양한 변형이 본 명세서에 의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발명이 첨부된 청구의 범위 내에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을 포함하며, 이들의 비현실적 변동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형광 착색제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물품, 더욱 상세하게는, 광안정화제의 사용 없이 탁월한 색 내구성을 갖는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형광 필름층을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필름층은,
    중합체 매트릭스의 90 중량% 내지 99.99 중량%의 범위의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체 매트릭스와;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의 중량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벤조크산텐 염료(benzoxanthene dye) 0.01 중량% 내지 1.5 중량%와 하나 이상의 벤조티아진 염료(benzothiazine dye) 0.01 중량%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형광 염료의 배합물(blend);
    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의 선택된 상기 형광 채색은 좌표 (x=0.387, y=0.610), (x=0.460, y=0.540), (x=0.421, y=0.486) 및 (x=0.368, y=0.539)에 의해 한정된 "x" 및 "y" 색도 좌표를 갖는 형광 황록색이며, 상기 물품은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UV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고 풍화에 노출시 색 및/또는 형광의 향상된 유지를 나타내는 물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름층은 그 표면에 배치된 다수의 역반사 요소를 갖는, 물품.
  5. 제 1항에 있어서, 제 2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층은 그 표면에 다수의 역반사 요소를 갖는, 물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요소는 마이크로프리즘형 요소인, 물품.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요소는 봉입 렌즈 역반사 구조를 제공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물품.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요소는 폐쇄 렌즈 구조를 제공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물품.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요소는 마이크로프리즘형 요소인, 물품.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요소는 봉입 렌즈 역반사 구조를 제공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물품.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사 요소는 폐쇄 렌즈 구조를 제공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물품.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신호체계(signage)인, 물품.
  13.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필름층 위에 놓인 캡 층 중합체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층은 아크릴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물품.
  14. 삭제
  15. 삭제
  16. 하나 이상의 내구성 색 및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물품으로서,
    중합체 매트릭스의 90 중량% 내지 99.99 중량%의 범위의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체 매트릭스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위에 놓인 아크릴 캡층;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벤조크산텐 염료 0.01 중량% 내지 1.5 중량%와 하나 이상의 벤조티아진 염료 0.01 중량%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형광 염료의 배합물;
    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은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에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UV 광차단층 또는 UV 광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풍화에 노출시 형광 채색의 향상된 유지를 나타내는, 물품.
KR1020097008287A 2006-10-23 2007-08-13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 Active KR101419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51,786 US7674515B2 (en) 2006-10-23 2006-10-23 Fluorescent polycarbonate articles
US11/551,786 2006-10-23
PCT/US2007/075781 WO2008051650A1 (en) 2006-10-23 2007-08-13 Fluorescent polycarbonate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192A KR20090082192A (ko) 2009-07-29
KR101419681B1 true KR101419681B1 (ko) 2014-07-17

Family

ID=3881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287A Active KR101419681B1 (ko) 2006-10-23 2007-08-13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74515B2 (ko)
EP (1) EP2079791B1 (ko)
JP (1) JP4923279B2 (ko)
KR (1) KR101419681B1 (ko)
CN (1) CN101553527B (ko)
AT (1) ATE453682T1 (ko)
AU (1) AU2007309354B2 (ko)
BR (1) BRPI0717402B1 (ko)
DE (1) DE602007004131D1 (ko)
RU (1) RU2009117647A (ko)
WO (1) WO2008051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17833B1 (pt) * 2005-10-27 2018-03-13 Avery Dennison Company Artigo fluorescente, e, artigo retrorreflexivo amarelo fluorescente
KR101994709B1 (ko) 2013-04-17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 자기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 및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2716167B1 (ko) * 2019-08-05 2024-10-15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재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4594B1 (en) * 2000-11-09 2003-02-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Fluorescent polymeric articles having screening layer formed from U.V. light absorbing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7680A (en) * 1945-03-02 1946-09-17 Minnesota Mining & Mfg Reflex light reflector
US3190178A (en) * 1961-06-29 1965-06-22 Minnesota Mining & Mfg Reflex-reflecting sheeting
US4478769A (en) * 1982-09-30 1984-10-23 Amerace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an embossing tool with an optically precise pattern
US4486363A (en) * 1982-09-30 1984-12-04 Amerac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mbossing a precision optical pattern in a resinous sheet
US4601861A (en) * 1982-09-30 1986-07-22 Amerac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mbossing a precision optical pattern in a resinous sheet or laminate
ZA918849B (en) * 1990-12-06 1992-08-26 Minnesota Mining & Mfg Articles exhibiting durable fluorescence
US5691846A (en) * 1993-10-20 1997-11-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ltra-flexibl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composite sheeting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318867B1 (en) * 1993-10-20 2001-1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formable cube 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US5614286A (en) * 1993-10-20 1997-03-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formable cube 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US5450235A (en) * 1993-10-20 1995-09-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exible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KR100431164B1 (ko) * 1994-11-28 2004-09-16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착색내구성및/또는형광내구성이우수한제품
US5672643A (en) * 1995-09-29 1997-09-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uorescent dye blends
US5920429A (en) * 1995-09-29 1999-07-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uorescent dye blends
CA2480526C (en) * 2002-04-30 2010-10-05 Avery Dennison Corporation Fluorescent articles having multiple film layers
US7264880B2 (en) * 2002-04-30 2007-09-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Fluorescent articles having multiple film lay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4594B1 (en) * 2000-11-09 2003-02-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Fluorescent polymeric articles having screening layer formed from U.V. light absorbing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309354B2 (en) 2012-05-03
KR20090082192A (ko) 2009-07-29
CN101553527A (zh) 2009-10-07
WO2008051650A1 (en) 2008-05-02
EP2079791A1 (en) 2009-07-22
BRPI0717402A8 (pt) 2018-05-02
ATE453682T1 (de) 2010-01-15
CN101553527B (zh) 2011-11-16
US20080095987A1 (en) 2008-04-24
AU2007309354A1 (en) 2008-05-02
RU2009117647A (ru) 2010-11-27
BRPI0717402A2 (pt) 2013-11-12
EP2079791B1 (en) 2009-12-30
DE602007004131D1 (de) 2010-02-11
BRPI0717402B1 (pt) 2018-05-29
JP2010507691A (ja) 2010-03-11
JP4923279B2 (ja) 2012-04-25
US7674515B2 (en)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5805C (en) Articles exhibiting durable color and/or fluorescent properties
CA2319155C (en) Extended life fluorescence polyvinyl chloride sheeting
RU2299231C2 (ru) Флуоресц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имеющие множество пленочных слоев
RU2569672C2 (ru) Прочные флуоресцентные изделия, имеющие многочисленные пленочные слои
KR101323406B1 (ko) 복수 층을 구비하는 형광 물품
KR101419681B1 (ko) 형광 폴리카보네이트 물품
WO2000047407A1 (en) Extended life fluorescence polyvinyl chloride she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