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9633B1 -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 Google Patents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633B1
KR101429633B1 KR1020140035838A KR20140035838A KR101429633B1 KR 101429633 B1 KR101429633 B1 KR 101429633B1 KR 1020140035838 A KR1020140035838 A KR 1020140035838A KR 20140035838 A KR20140035838 A KR 20140035838A KR 101429633 B1 KR101429633 B1 KR 10142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lar cell
cell module
plate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정제
김지선
최훈주
김광현
박창섭
김지수
임종엽
황연희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Priority to KR1020140035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6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63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 solar cell module for a balcony handrail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 solar cell module for a handrail, which mounts the solar cell module on an outdoor handrail in a balcony, a veranda, a rooftop, etc., make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ossible even in an existing building and the like as well as a new building and makes installation and removal convenient and easy.

Description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난간용 태양정지모듈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코니나, 베란다, 옥상 등의 건물 옥외 난간에 태양전지모듈을 거치하여 신축 건물은 물론, 기존 건물 등에서도 태양광발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설치 및 해체가 편리하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발코니 난간의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 stop module mounting device for a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module capable of solar power generation not only in a new building, but also in an existing building by mounting a solar module on an outdoor railing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a veranda or a ro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a balcony rail which is convenient and easy to install and dismount.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은 태양전지(PV: Photovoltaic)를 이용하여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Generally,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a technique to produce electricity directly using photovoltaic (PV).

상기 태양전지는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각각이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을 띠는 2장의 반도체 박막으로 구성된다. The solar cell i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a photoelectric effect, and is composed of two semiconductor thin films each having a plus (+) and a minus (-) polarity.

또한, 다수의 태양전지 셀(cell)들은 직/병렬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고, 사용자는 이러한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olar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 parallel to generate a voltage and a current required by a user, and the user can use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은 다양한 응용분야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모듈을 지붕이나, 창호, 벽면 등의 건물 외관에 장착하여 자체적으로 전기를 발전하고, 그 발전된 전기를 건물에 활용하는 건물 일체화 태양광발전(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Such solar power generation has a variety of applications, but among them solar power modules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buildings such as roofs, windows, and walls, and electricity is generated by itself,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기존의 건물 일체화 태양광발전은 지붕, 벽, 그리고 창호 등의 건축자재형으로 개발되어 기존 건물에 적용하기 어렵고, 고가이며, 전문가에 의한 시공이 요구되는 등 높은 시공기술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integrated PV solar power generation has been developed as a building material type such as roof, wall, and window, which is difficult to apply to existing buildings, is expensive, and requires construction by experts.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88407호(2009.03.05.)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888407 (Ma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코니나, 베란다, 옥상 등의 건물 옥외 난간에 태양전지모듈을 거치하여 신축건물은 물론, 기존 건물 등에서도 태양광발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설치 및 해체가 편리하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cell module in which a solar cell module is mounted on a building outdoor ledge such as a balcony, a veranda or a roof, And to provide a solar cell module mounting device for a rail, which is convenient and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부가 가로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단봉을 포함하는 난간에 태양전지모듈을 거치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로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상부를 상기 상단봉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클램프; 및 상기 거치부의 하부를 상기 하단봉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 solar cell module on a railing including upper and lower bars having both ends extended transversely, ; An upper clamp detachably fix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o the upper end bar; And a lower clamp for detachably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o the lower end ba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부가 거치되는 하부프레임; 하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한편, 상,하 이동가능하게 조절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er frame o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is mounted; A low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and an upper end portion extending upwardly; An upper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coupling means for fixing the upper frame to the support frame and adjusting the upper frame to be movable up and dow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프레임은,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전판; 상기 하판의 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having both ends and both end portions, both side ends extending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solar cell module; A lower front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 front end of the lower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plate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프레임은,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전,후판; 상기 상부후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plate having both end portions and both end portions, both ends of which extend in both lateral directions of the solar cell module; An upper front and rear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thick plate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frame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판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과 상기 체결공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결합구;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속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구로부터 결속해제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며 위치조절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구에 결속됨에 따라 상,하 이동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ar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guide hole and the coupling hole; And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screwed to the engaging holes to engage the lower frame to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guide member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nd is fixe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and downward as the engagement member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l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클램프는, 상,하부를 가지며, 상기 상단봉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클램프; 상기 제1클램프와 대응되며, 상부가 상기 제1클램프의 상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제1클램프와의 사이로 상기 상단봉이 결속되는 상부결속공간을 형성하는 제2클램프; 및 상기 제1,2클램프의 하부를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lamp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first clamp being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end bar a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second clamp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amp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lamp so as to be rotatable upwardly and forming an upper binding space in which the upper rod is bound between the upper clamp and the first clamp; And a binding means for binding or unbind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2클램프는, 각각 상기 상단봉과 접하며, 상기 상부결속공간을 이루는 내측 표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거나, 방진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clam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clamps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rod and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upper binding space is provided with a non-slip protrusion or a dust-proof pa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클램프는, 상기 하단봉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후방에 위치되며, 그 지지판과의 사이로 상기 하단봉이 결속되는 하부결속공간을 형성하는 체결프레임; 및 상기 체결프레임을 상기 지지판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ower end bar and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a fastening frame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plate and forms a lower binding space in which the lower end bar is coupled with the support plate; And fixing means for unbonding or unbonding the fastening frame to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체결프레임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전,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가로판; 상기 한 쌍의 가로판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세로판; 및 상기 한 쌍의 가로판의 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결속되는 한 쌍의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transverse plates having front and rear end portion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end directions, and facing each other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 vertical plate connecting rear ends of the pair of transverse plates; And a pair of fastening plates extending outward from the front ends of the pair of transverse plates and bound to the support plate by the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하부클램프와 상기 거치부를 연결하며, 상기 난간으로부터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그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lower clamp and the mounting unit, and adjusting a tilt of the mounting unit from the railing to adjust a tilt of the solar cell modul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바; 전단부가 상기 제1연결바의 후단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의 전단부를 상기 제1연결바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having both ends,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frame; A second connecting bar having a front end movably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late; And moving means for fix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to the first connecting bar in a positionable manner.

또한, 상기 하단봉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ower bar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ortion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단봉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보조클램프;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보조클램프와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clamps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end bar; A pair of auxiliary frames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a pair of auxiliary supporting bars connecting the pair of auxiliary clamps to the pair of auxiliary frame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바는, 각각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보조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지지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의 후단부와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바; 및 후단부가 상기 보조프레임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상기 제2지지바의 후단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ir of auxiliary support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having both ends and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A second support bar having both ends,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so as to be upwardly and downwardly pivotable; And a third support bar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and a fron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support bar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 및 해체가 편리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not only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simple structure, but also an easy and convenient effect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또한, 발코니나, 베란다, 옥상 등의 건물 옥외 난간에 태양전지모듈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신축 건물은 물론, 기존 건물 등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태양광발전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lar cell module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outdoor railing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a veranda, or a roof, electric energy can be generated and used by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n a new building as well as an existing building at a low cost .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에서 상부클램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에서 보강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solar cell module mounting device for a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ail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upper clamp in the railing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FIG. 6 are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 mounting device for a solar cell module for a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reinforcing part in a rail panel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이하 "거치장치"라 한다)(1)는 양단부가 가로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단봉(110,120)을 포함하는 난간(100)에 태양전지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로서,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이 거치되는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상부를 상기 상단봉(1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클램프(20) 및 상기 거치부(10)의 하부를 상기 하단봉(1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클램프(30)를 포함한다.1 to 7, a railing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un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rods 110 and 120 having both ends extended transversely (10) o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200) is mounted, an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 upper clamp 20 detachably fixing the rod 110 and a lower clamp 30 detachably fixing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 to the lower rod 120.

상기 난간(100)은 발코니나, 베란다, 옥상 등의 건물 옥외 난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handrail 100 can be understood as a building outdoor parapet such as a balcony, a veranda, or a roof.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발전하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후면 및 상,하,좌,우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를 이룬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olar cell module 200 has a known general shape for generating sunlight as electric energy. The solar cell module 2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front, rear, and upper, lower, left, It accomplishes.

상기 거치장치(1)는 상기 거치부(10)가 건물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난간(1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은 후면이 상기 거치부(10)를 향하고, 전면이 외측 즉, 태양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10)에 거치된다.The mounting device 1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railing 100 such that the mounting portion 10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solar cell module 200 has a rear surface facing the mounting portion 10 , And the front surfa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0 so as to face the outside, that is, toward the sun.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하부가 거치되는 하부프레임(11), 하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 및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프레임(13)을 포함한다.The mounting portion 10 includes a lower frame 11 o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is mounted, a lower frame portion 11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1, And an upper frame 13 mov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2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상기 하부프레임(11)은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11a), 상기 하판(11a)의 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전판(11b), 상기 하판(11a)의 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2)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부후판(11c)을 포함한다.The lower frame 11 includes a lower plate 11a having both end portions and both end portions and both ends of which extend in the both side directions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The lower frame 11 extends upward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wer plate 11a, And a lower plate 11c extending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plate 11a a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12. The lower plate 11b is formed with a lower plate 11b.

상기 하부프레임(11)은 상기 하판(11a) 및 상기 하부전,후판(11b,11c)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부가 개구되는'ㄷ'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은 하부가 그 하부프레임(1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The lower frame 11 is formed in a 'C' shape in which the lower plate 11a and the lower front and rear plates 11b and 11c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is drawn into the lower frame 11.

상기 지지프레임(12)은 하단부에 상기 하부프레임(11)이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상부프레임(13)이 연결되는 지지바(12a) 및 상기 지지바(12a)의 양측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바(12c)를 포함한다.The support frame 12 includes a support bar 12a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1 at a lower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3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upport bar 12b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12a And a pair of side bars 12c.

상기 상부프레임(13)은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판(11a)과 대향되는 상판(13a), 상기 상판(13a)의 양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전,후판(13b,13c), 상기 상부후판(13c)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13d)을 포함한다.The upper frame 13 includes upper and lower ends 13a and 13a which are opposit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3a and 13a An upper upper plate 13b and a lower plate 13c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13c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13c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frame 12 And a connection plate 13d.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상부프레임(13)을 상기 지지프레임(12)에 고정하는 한편, 상,하 이동가능하게 조절하는 결합수단(14)을 포함한다.The mounting portion 10 includes a coupling means 14 for fixing the upper frame 13 to the support frame 12 and adjusting the upper frame 13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결합수단(14)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등의 복수의 결합구(14a)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14a)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등의 복수의 결합부재(14b)를 포함한다.The engaging means 14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14a such as a bolt for forming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14b such as a nut screwed on the engaging member 14a, ).

이를 위해, 상기 연결판(13d)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공(13e)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은 상기 지지바(12a)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공(13e)과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공(12c)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guide holes 13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late 13d and the support frame 12 is formed in the support bar 12a with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13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c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상기 상부프레임(13)은 상기 지지프레임(1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판(13d)의 양측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13f)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frame 13 includes a pair of side plates 13f extending rearward from opposite side ends of the connecting plate 13d so as not to move outward while being moved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upport frame 12 .

상기 한 쌍의 측판(13f)은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양측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바(12b)와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side plates 13f are preferably bent rear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support frame 12 and adjacent to the pair of side bars 12b.

상기 상부프레임(13)은 상기 결합구(14a)가 상기 가이드공(13e)과 상기 체결공(12c)을 통과한 상태에서 그 결합구(14a)에 상기 결합부재(14b)가 결속됨으로 인해 상기 지지프레임(12)에 고정된다.The coupling member 14b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4a of the upper frame 13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hole 14a passes through the guide hole 13e and the coupling hole 12c, And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2.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3)은 상기 결합부재(14b)를 풀림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13e)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결합수단(14)은 각각 상기 상,하부프레임(13,11)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된 상태에서 결속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을 상기 상,하부프레임(13,11) 사이에 결속한다.The upper frame 13 is movabl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guide hole 13e as the engaging member 14b is loosened and the engaging means 14 is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frames 13 and 11 , The solar cell module 200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3 and 11 in accordance with the binding.

이는,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크기에 따른 상기 상,하부프레임(13,11)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에 용이하게 대처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3 and 1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so as to easily cope with the solar cell module 200 having various sizes. .

상기 상부클램프(20)는 상,하부를 가지며 상기 상단봉(110)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바(12b)의 상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클램프(21), 상기 제1클램프(21)와 상호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클램프(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제1클램프(21)와의 사이로 상기 상단봉(110)가 결속되는 상부결속공간(20a)을 형성하는 제2클램프(22) 및 상기 제1,2클램프(21,22)를 상기 상단봉(110)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는 결속수단(23)을 포함한다.The upper clamp 20 includes a first clamp 21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being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rod 110 a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bars 12b, And an upper binding space 20a having a shape symmetrical to the first clamp 21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lamp 21 and coupled with the upper rod 110 between the first clamp 21 and the first clamp 21, And a binding means 23 for binding or unbinding 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to or from the upper rod 110.

상기 상부클램프(20)는 상기 제1클램프(21)가 상기 상단봉(110)의 전면부를 감싸며, 상기 제2클램프(22)가 상기 상단봉(110)의 후면부를 감싸고, 상기 결속수단(23)의 체결에 의해 그 상단봉(110)에 결속되는 형태를 이룬다.The upper clamp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lamp 21 covers a front portion of the upper rod 110 and the second clamp 22 surrounds a rear portion of the upper rod 110. The binding means 23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rod 11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rod 110.

상기 제1,2클램프(21,22)는 각각 상기 상단봉(110)과 접하며 상기 상부결속공간(20a)을 이루는 내측 표면에 미끄럼방지돌기(24)가 형성되거나, 방진패드(25)가 구비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is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24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inding space 20a, .

상기 미끄럼방지돌기(24)는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진패드(25)는 상기 제1,2클램프(21,22)가 상기 상단봉(110)와 접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난간(100)의 파손을 방지한다.The anti-slip protuberance 24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and the vibration pad 25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ail 22, which may be generat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rod 110,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battery 100.

상기 제1,2클램프(21,22)는 상부가 힌지결합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결속수단(23)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형태를 이룬다.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are hinged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결속수단(23)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클램프(21,22)의 하부를 통과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결속구(23a)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23a)에 나사결합되는 너트 등의 단수 또는 복수의 결속부재(23b)를 포함한다.The binding means 23 is formed with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binding ports 23a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and a thread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23b such as a nut screwed to the coupling member 23a.

상기 상부클램프(20)는 상기 제1,2클램프(21,22)가 결속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2클램프(22)가 상기 제1클램프(21)로부터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된 후, 상기 상단봉(110)에 결합된다. The upper clamp 2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lamp 2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are disengaged, And is coupled to the upper rod 110.

이때에는, 상기 상부클램프(20)는 상기 지지프레임(12)으로부터 상,하 회동되면서 적정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upper clamp 20 can be rotat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upport frame 12 to correct an appropriate posture.

상기 제1,2클램프(21,22)가 상기 상단봉(110)에 결합되면, 상기 결속수단(23)을 조절하여 그 제1,2클램프(21,22)가 그 상단봉(110)에 결속되도록 하여 그 상단봉(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are coupled to the upper rod 110, the first and second clamps 21 and 22 are coupled to the upper rod 110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upper rod 110.

이에 의해, 상기 거치부(10)는 상부가 상기 난간(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되는 과정을 통해 그 난간(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handrail 100,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handrail 100 through an opposite process.

상기 하부클램프(30)는 상기 하단봉(120)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거치부(10)에 연결되는 지지판(31) 및 상기 지지판(31)의 후방에 위치되며, 그 지지판(31)과의 사이로 상기 하단봉(120)이 결속되는 하부결속공간(32a)을 형성하는 체결프레임(32) 및 상기 체결프레임(32)을 상기 지지판(31)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는 고정수단(33)을 포함한다.The lower clamp 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 bar 120 and is support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plate 31 and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0, A fastening frame 32 for forming a lower binding space 32a to which the lower bar 120 is bound and a fastening means 33 for fastening or unbonding the fastening frame 32 to the support plate 31 .

상기 지지판(31)은 상,하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 형태를 이룬다.The support plate 31 has upper, lower and both ends and has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ends.

상기 체결프레임(32)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전,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가로판(34), 상기 한 쌍의 가로판(34)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세로판(35) 및 상기 한 쌍의 가로판(34)의 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33)에 의해 상기 지지판(3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체결판(36)을 포함한다.The fastening frame 32 includes a pair of transverse plates 34 having front and rear ends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nd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a pair of fastening plates 36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ront ends of the pair of transverse plates 34 and fastened to the support plate 31 by the fastening means 33 ).

상기 체결프레임(32)은 상기 한 쌍의 가로판(34)이 상기 세로판(35)의 상,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체결판(36)이 상기 한 쌍의 가로판(34)의 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면서 일체를 이룰 수 있다.The fastening frame 32 is formed such that the pair of transverse plates 34 are bent for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ransverse plate 35 and the pair of transverse plates 36 is connected to the pair of transverse Can be integrally formed while being bent out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plate (34).

상기 고정수단(33)은 각각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등의 복수의 고정구(33a)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33a)에 나사결합되는 너트 등의 복수의 고정부재(33b)를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33 includes a plurality of fixtures 33a such as bolt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33b such as nuts threaded on the fixture 33a, .

상가 하부클램프(30)는 상기 고정수단(33)의 결속 또는 결속해제에 따라 상기 하단봉(120)에 고정 설치되거나, 그 하단봉(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lower clamps 30 may be fixed to the lower rod 120 or separated from the lower rod 120 according to the binding or disengagement of the fixing means 33.

이때, 상기 거치장치(1)는 상기 하부클램프(30)와 상기 거치부(10)를 연결하며, 상기 난간(100)으로부터 상기 거치부(1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그 거치부(10)에 거치되는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연결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ounting device 1 connects the lower clamp 30 and the mounting part 10, and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mounting part 10 from the handrail 100, And a connection unit 40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mounted solar cell module 200.

상기 연결부(4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바(12b)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바(41), 전단부가 상기 제1연결바(41)의 후단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지지판(31)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42) 및 상기 제2연결바(42)의 전단부를 상기 제1연결바(41)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동수단(43)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portion 4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41 having both ends and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bars 12b, A second connecting bar 42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bar 41 such that i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has a rea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late 31 and a second connecting bar 42 connecting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42 to the first And a moving means (43) for movably fixing the connecting bar (41).

상기 제1연결바(41)는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위치조절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바(42)는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위치조절공(42a)이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bar 4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s 4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4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A position adjusting hole 42a is formed.

상기 이동수단(43)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등의 단수 또는 복수의 이동구(43a)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구(43a)에 나사결합되는 너트 등의 단수 또는 복수의 이동부재(43b)를 포함한다.The moving means 43 includes a single or a plurality of moving tools 43a such as bolts for forming threa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reads such as nuts threaded on the moving tool 43a And a moving member 43b.

상기 이동수단(43)은 상기 복수의 제1위치조절공(41a) 중 어느 하나의 제1위치조절공과 상기 복수의 제2위치조절공(42a) 중 어느 하나의 제2위치조절공을 체결하여 상기 제1연결바(41)에 상기 제2연결바(42)의 전단부를 위치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The moving means 43 is configured to fasten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 adjusting holes 41a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osition adjusting holes 42a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42 is position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41.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제2연결바(42)의 전단부가 상기 제1연결바(4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바(41)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제2연결바(42)의 후단부까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한다.As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4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ar 41, the connecting part 40 is moved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41 to the second connecting bar 41,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ar 42 to the rear end portion is variably adjusted.

상기 제1,2연결바(41,42)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거치부(10)의 하부와 상기 난간(100)과 이격거리가 동시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상부클램프(20)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며, 그 회동에 의해 상기 태양광전지모듈(200)의 기울기가 조절된다.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41 and 42 is variably controll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part 10 and the railway 100 is shortened or distant from the mounting part 10, Is rotated upward and downward about the upper clamp 20, and the inclina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is adjusted by the rotation.

이로 인해, 상기 거치장치(1)는 계절 등에 따른 태양광의 입사각 등에 맞추어 상기 연결부(40)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기울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unting device 1 can variabl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by adjusting the connecting portion 40 in accordance with the incident angle of sunlight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eason and the like.

한편, 상기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봉(120)에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보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the railing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50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on the lower rods 120 .

상기 보강부(50)는 상기 하단봉(1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보조클램프(51),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52) 및 상기 한 쌍의 보조클램프(51) 및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52)을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지지바(53)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part 50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clamps 51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rods 120, a pair of auxiliary frames 52 supporting both lower sides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And a pair of auxiliary supporting bars (53) connecting the pair of auxiliary clamps (51) and the pair of auxiliary frames (52).

상기 한 쌍의 보조클램프(51)는 상기 하부클램프(3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52)은 상기 하부프레임(11)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air of auxiliary clamps 51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clamp 30. The pair of auxiliary frames 52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frame 11, It will be omitted.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바(53)는 각각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보조프레임(52)에 연결되는 제1지지바(54),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54)의 후단부와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바(55) 및 후단부가 상기 보조프레임(52)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상기 제2지지바(55)의 후단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지지바(56)를 포함한다.The pair of auxiliary supporting bars 53 has a first supporting bar 54 having both ends and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52, A second support bar 55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54 in a rotatable manner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52, And a third support bar 56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support bar 55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보강부(50)는 상기 제3지지바(56)의 전단부를 상기 제2지지바(55)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보조이동수단(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5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moving means 57 for fix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hird supporting bar 56 to the second supporting bar 55 in a positionable manner.

상기 보조이동수단(57)은 상기 이동수단(43)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auxiliary moving means 57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oving means 4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로 인해, 상기 거치장치(1)는 상기 보강부(50)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모듈(200)의 하부 양측을 상기 난간(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태양전지모듈(200)이 가지는 하중은 물론, 풍력에 견딜 수 있다.
The mounting device 1 can stably support both sides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on the railing 100 by the reinforcing part 50 so that the solar cell module 200 The load can withstand the wind as well as the loa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applied to a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a railing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치장치 10 : 거치부
11 : 하부프레임 11a : 하판
11b : 하부전판 11c : 하부후판
12 : 지지프레임 12a : 지지바
12b : 측면바 12c : 체결공
13 : 상부프레임 14 : 결합수단
14b : 결합부재 20 : 상부클램프
21 : 제1클램프 22 : 제2클램프
23 : 결속수단 30 : 하부클램프
31 : 지지판 32 : 체결프레임
33 : 고정수단 40 : 연결부
41 : 제1연결바 42 : 제2연결바
43 : 이동수단 50 : 보강부
51 : 보조클램프 52 : 보조프레임
53 : 보조지지바 54 : 제1지지바
55 : 제2지지바 56 : 제3지지바
57 : 보조이동수단 100 : 난간
110 : 상단봉 120 : 하단봉
200 : 태양전지모듈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Mounting device 10: Mounting part
11: lower frame 11a: lower plate
11b: lower front plate 11c:
12: Support frame 12a: Support bar
12b: side bar 12c: fastening hole
13: upper frame 14: engaging means
14b: engaging member 20: upper clamp
21: first clamp 22: second clamp
23: binding means 30: lower clamp
31: support plate 32: fastening frame
33: fixing means 40:
41: first connecting bar 42: second connecting bar
43: moving means 50: reinforcing portion
51: Auxiliary clamp 52: Auxiliary frame
53: auxiliary supporting bar 54: first supporting bar
55: second support bar 56: third support bar
57: auxiliary moving means 100: railings
110: upper rods 120: lower rods
200: solar cell module

Claims (14)

양단부가 가로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단봉을 포함하는 난간에 태양전지모듈을 거치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로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상부를 상기 상단봉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부클램프; 및
상기 거치부의 하부를 상기 하단봉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부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클램프는,
상,하부를 가지며, 상기 상단봉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클램프;
상기 제1클램프와 대응되며, 상부가 상기 제1클램프의 상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제1클램프와의 사이로 상기 상단봉이 결속되는 상부결속공간을 형성하는 제2클램프; 및
상기 제1,2클램프의 하부를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1. A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 solar cell module in a railing including upper and lower rods having both ends extended transversely,
A mounting part o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is mounted;
An upper clamp detachably fix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o the upper end bar; And
And a lower clamp detachably fixing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o the lower end bar,
Wherein the upper clamp comprises:
A first clamp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first clamp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end bar a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 second clamp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amp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lamp so as to be rotatable upwardly and forming an upper binding space in which the upper rod is bound between the upper clamp and the first clamp; And
And a binding means for binding or unbind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부가 거치되는 하부프레임;
하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한편, 상,하 이동가능하게 조절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lower frame o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is mounted;
A low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and an upper end portion extending upwardly;
An upper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Further comprising coupling means for fixing the upper frame to the support frame and adjusting the upper frame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전판;
상기 하판의 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wer frame comprises:
A bottom plate having both end portions and both end portions, both ends of which extend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solar cell module;
A lower front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 front end of the lower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lower plate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전,후판;
상기 상부후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frame comprises:
An upper plate having both end portions and both end portions, both end portions extending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solar cell module;
An upper front and rear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a connecting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thick plate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frame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과 상기 체결공으로 인입되는 복수의 결합구;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속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구로부터 결속해제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며 위치조절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구에 결속됨에 따라 상,하 이동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connecting plate,
A plurality of guide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are formed,
Wherei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being drawn into the guide hole and the fastening hole; And
And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screwed to the engaging holes to engage the lower frame with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upper frame comprises:
The coupling member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s the coupling member is disengaged from the coupling hole,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s the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memb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클램프는,
각각 상기 상단봉과 접하며, 상기 상부결속공간을 이루는 내측 표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거나,
방진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lamps,
Each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rod,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binding space is formed with a non-slip protrusion,
And a dustproof pad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램프는,
상기 하단봉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후방에 위치되며, 그 지지판과의 사이로 상기 하단봉이 결속되는 하부결속공간을 형성하는 체결프레임; 및
상기 체결프레임을 상기 지지판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clamp,
A support plat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ower end bar and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A fastening frame locat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plate and forming a lower fastening space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lower end rod; And
And fixing means for fixing or unbinding the fastening frame to the support pla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전,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가로판;
상기 한 쌍의 가로판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세로판; 및
상기 한 쌍의 가로판의 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결속되는 한 쌍의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astening frame
A pair of transverse plates having front and rear ends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nd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 vertical plate connecting rear ends of the pair of transverse plates; And
And a pair of fastening plates extending outward from a front end of the pair of transverse plates and bound to the support plate by the fastening mean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램프와 상기 거치부를 연결하며, 상기 난간으로부터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그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clamp and the mounting portion and adjusting a tilt of the mounting portion from the railing to adjust a tilt of the solar cell modul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바;
전단부가 상기 제1연결바의 후단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의 전단부를 상기 제1연결바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connection bar having opposite ends and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second connecting bar having a front end movably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late; And
And moving means for fixing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to the first connecting bar in a positionable manner.
제 1항 내지 제5항,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봉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7 to 1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portion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in the lower ba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하단봉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보조클램프;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보조클램프와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inforcing portion
A pair of auxiliary clamps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rod;
A pair of auxiliary frames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And a pair of auxiliary supporting bars connecting the pair of auxiliary clamps to the pair of auxiliary frame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바는,
각각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보조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지지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의 후단부와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바; 및
후단부가 상기 보조프레임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상기 제2지지바의 후단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태양전지모듈 거치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air of auxiliary support bars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first support bar having both ends,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subframe;
A second support bar having both ends, extending in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so as to be upwardly and downwardly pivotable; And
And a third support bar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frame and having a front end movably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bar.
KR1020140035838A 2014-03-27 2014-03-27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Active KR101429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38A KR101429633B1 (en) 2014-03-27 2014-03-27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38A KR101429633B1 (en) 2014-03-27 2014-03-27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633B1 true KR101429633B1 (en) 2014-09-24

Family

ID=5175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838A Active KR101429633B1 (en) 2014-03-27 2014-03-27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633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515A (en)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에너지발전연구소 Sunbeam panel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n veranda
KR101625149B1 (en) * 2015-07-30 2016-05-27 주식회사 케이디솔라 Fix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assembly for balcony fence
KR101669495B1 (en) * 2015-07-27 2016-10-26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Solar Power Generation
KR101674041B1 (en) * 2015-07-27 2016-11-08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Assembled with Small Solar Modules
KR101674817B1 (en) * 2015-07-10 2016-11-09 서정수 Porch solar system installation
KR101683785B1 (en) * 2016-08-01 2016-12-09 (주) 더베스트이앤씨 Apparatus for monitor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nergy
JP2017055506A (en) * 2015-09-08 2017-03-16 元旦ビューティ工業株式会社 Solar cell unit
KR101721073B1 (en) * 2016-06-27 2017-03-29 해드림협동조합 Sunlight Support
KR101885537B1 (en) * 2017-03-06 2018-08-06 해드림협동조합 Sunlight Support
KR20200116240A (en) * 2019-04-01 2020-10-12 오은정 Support bracket of solar cell panel
KR102323600B1 (en) * 2021-07-14 2021-11-10 (주)디딤디앤씨 Handrail structure with integrated solar power generation devivce
EP3944490A1 (en) 2020-07-24 2022-01-26 Mark Schammel Holding device for reversibly fixing a solar module
CN114260851A (en) * 2021-12-23 2022-04-01 江苏福明太阳能有限公司 Frame assembling machine for solar panel machi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49U (en) * 1993-06-02 1995-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Solar cell device
KR20110011152A (en) * 2009-07-28 2011-02-08 김태섭 Sunshade system that controls the concentration of sunlight and the inflow of sunlight
KR101045065B1 (en) * 2009-10-09 2011-06-28 남성기전 주식회사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49U (en) * 1993-06-02 1995-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Solar cell device
KR20110011152A (en) * 2009-07-28 2011-02-08 김태섭 Sunshade system that controls the concentration of sunlight and the inflow of sunlight
KR101045065B1 (en) * 2009-10-09 2011-06-28 남성기전 주식회사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cluding sam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495B1 (en) * 2014-08-22 2016-09-29 주식회사 코레드 Sunbeam panel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n veranda
KR20160023515A (en)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에너지발전연구소 Sunbeam panel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n veranda
KR101674817B1 (en) * 2015-07-10 2016-11-09 서정수 Porch solar system installation
KR101669495B1 (en) * 2015-07-27 2016-10-26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Solar Power Generation
KR101674041B1 (en) * 2015-07-27 2016-11-08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Assembled with Small Solar Modules
KR101625149B1 (en) * 2015-07-30 2016-05-27 주식회사 케이디솔라 Fix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assembly for balcony fence
JP2017055506A (en) * 2015-09-08 2017-03-16 元旦ビューティ工業株式会社 Solar cell unit
KR101721073B1 (en) * 2016-06-27 2017-03-29 해드림협동조합 Sunlight Support
KR101683785B1 (en) * 2016-08-01 2016-12-09 (주) 더베스트이앤씨 Apparatus for monitor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nergy
KR101885537B1 (en) * 2017-03-06 2018-08-06 해드림협동조합 Sunlight Support
KR20200116240A (en) * 2019-04-01 2020-10-12 오은정 Support bracket of solar cell panel
KR102225549B1 (en) * 2019-04-01 2021-03-08 오은정 Support bracket of solar cell panel
EP3944490A1 (en) 2020-07-24 2022-01-26 Mark Schammel Holding device for reversibly fixing a solar module
AT17925U1 (en) * 2020-07-24 2023-08-15 Schammel Mark Holding device for detachably fastening a solar module
EP3944490B1 (en) * 2020-07-24 2024-03-06 SOLAR-HOOK GmbH Holding device for reversibly fixing a solar module
KR102323600B1 (en) * 2021-07-14 2021-11-10 (주)디딤디앤씨 Handrail structure with integrated solar power generation devivce
CN114260851A (en) * 2021-12-23 2022-04-01 江苏福明太阳能有限公司 Frame assembling machine for solar panel machining
CN114260851B (en) * 2021-12-23 2024-05-14 江苏福明太阳能有限公司 Frame mounting machine for solar panel proc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633B1 (en)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US12132439B2 (en) Clamps for solar system
US9416992B2 (en) End clamps for solar systems
US9498854B2 (en) Anchor for solar module
KR101733976B1 (en) Solar cell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n veranda
US9551510B2 (en) Slider clip and photovoltaic structure mounting system
US9193014B2 (en) Anchor for solar module
US9976297B2 (en) Anchor for solar module
JP4125338B2 (en)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JP5838308B2 (en) Solar cell module and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JP5273909B2 (en) Solar power plant
KR101097975B1 (en) Fixture of PV Module
JP3155587U (en) Solar cell device mount
JP2779134B2 (en) Roof-mounted solar cell device
KR101282899B1 (en) Solar panel fixation apparatus controllable angle
KR101237231B1 (en) Appratus for adjusting the angle of a solar panel in the roof of a building
KR101090318B1 (en) Assembly for PV Module Installation
US20130119211A1 (en) Photovoltaic module mounting system
JP4078399B2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solar cell module
JP5899439B2 (en) Solar cell module and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JP2009293374A (en) Structure for mounting solar cell module onto folded plate roof
KR102207802B1 (en) Stand-alone parking lot can photovoltaic generate
JP2014084587A (en) Structure for moun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JP2016067153A (en)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method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JP2001060711A (en) Solar cell modul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