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613B1 - Dehumidified cooling system for district cooling with cooling,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 Google Patents
Dehumidified cooling system for district cooling with cooling,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6613B1 KR101436613B1 KR1020130129180A KR20130129180A KR101436613B1 KR 101436613 B1 KR101436613 B1 KR 101436613B1 KR 1020130129180 A KR1020130129180 A KR 1020130129180A KR 20130129180 A KR20130129180 A KR 20130129180A KR 101436613 B1 KR101436613 B1 KR 1014366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amper
- duct
- outside air
- exhau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습 냉방 장치와 댐퍼를 이용하여 냉방 운전과 환기 운전 및 가습 환기 운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에서의 냉방중에도 실내 공기질의 저하 없이 쾌적한 냉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하절기 외에는 환기 운전과 가습 환기 운전만으로 실내의 공기의 정화와 가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for cooling a room, a room, and a cooling system capable of cooling, ventilating and humidify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for a cooling The air conditioning and humidification of the room can be performed only by ventilation operation and humidifying ventilation operation except for the summer season, and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for the local cooling is possible. ≪ / RTI >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습 냉방 장치와 댐퍼를 이용하여 냉방 운전과 환기 운전 및 가습 환기 운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에서의 냉방중에도 실내 공기질의 저하 없이 쾌적한 냉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하절기 외에는 환기 운전과 가습 환기 운전만으로 실내의 공기의 정화와 가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for cooling a room, a room, and a cooling system capable of cooling, ventilating and humidify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for a cooling The air conditioning and humidification of the room can be performed only by ventilation operation and humidifying ventilation operation except for the summer season, and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for the local cooling is possible. ≪ / RTI >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시스템은 집단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업자가 다수의 개별 사용자에게 난방 및 급탕을 위해 배관을 통해 집단에너지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난방설비를 갖추는 개별난방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Generally, district heating system differs from individual heating system in which the user who supplies the collective energy supplies the collective energy through piping for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to a large number of individual users.
즉, 지역난방은 한 개의 도시 또는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주택, 상가, 사무실, 학교, 병원, 공장 등 각종 건물이 개별적으로 난방설비를 갖추지 않고, 대규모 열생산시설, 즉 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여 난방 및 급탕에 필요한 중온수(80~120℃)를 생산, 열수송관을 통해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집단에너지 공급방식 중 하나이다.In other words, district heating does not have individual heating facilities such as houses, commercial buildings, offices, schools, hospitals, factories, etc. in a single city or a certain area, and a large-scale heat production facility, that is, a cogeneration power plant, (80 ~ 120 ℃), which is needed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customers through the heat transfer pipe.
한편, 지역난방의 온수를 이용한 제습냉방 시스템이 개발되었다.On the other hand, dehumidification cooling system using hot water of district heating was developed.
상기 제습냉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1)과, 열교환기(3)와, 순환펌프(5)와, 열배관(7)과, 사용자 열교환기(9) 및 제습 냉방장치(100)로 구성된다.1,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system includes a
먼저, 열원(1)은 60~120℃의 온수를 생산한다. 여기에서, 열원(1)은 대규모 지역 난방이나 소규모 지역난방의 온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열병합 발전소, 열전용 보일러, 마이크로터빈, 소형 가스 엔진, 소형 가스터빈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여기에서 또한, 열원(1)에는 온수를 저장하는 축열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그리고, 열교환기(3)는 열원(1)로부터 생산된 온수를 열교환하여 전달한다.The heat exchanger (3) exchanges hot water produced from the heat source (1) with heat.
또한, 순환펌프(5)는 열교환기(3)에서 열교환된 온수를 순환시킨다.Further, the
또, 열배관(7)은 순환펌프(5)와 연결되어 열공급대상지역(A)까지 온수를 수송 및 회수한다.In addition, the heat pipe 7 is connected to the
한편, 사용자 열교환기(9)는 열공급대상지역(A)의 관리실 등에 설치되고, 열배관(5)과 연결되어 열배관(5)의 온수를 열공급대상지역(A)으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제습 냉방장치(100)는 열공급대상지역(A)의 각 세대로 인입되어 사용자 열교환기(9)와 연계된 온수 배관(P)에 연결되어 각 세대에 설치되고, 온수 배관(P1)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잠열부하를 처리하고, 제습된 공기 속에서 물을 증발시켜 공기 온도를 낮추어 냉방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제습 냉방장치(100)는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REC)를 사용하여 냉각을 수행하는데, 건채널과 습채널의 반복적인 구조로 건채널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습채널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습채널 표면에서 물이 증발되어 냉각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건채널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는 습도 증가없이 최대 이슬점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구조이다.The dehumidifying
한편, 상기 제습 냉방장치는 본출원인에 의해 국내 특허등록공보 10-0773434호(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로 출원되어 게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apparatus is filed and publish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3434 (dehumidification cooling apparatus for district heat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제 1필터(120)와, 현열교환기(130)와, 히팅 코일(140)과, 제습 휠(150)과, 배기 송풍기(160)와, 제 2필터(170)와, 급기 송풍기(180)와,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와, 직접 증발식 냉각기(200)로 구성된다.2, the local heating
먼저, 케이스(110)는 금속 재질의 사각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습채널(111)과 건채널(115)을 구획하도록 격벽(119)이 설치되고, 습채널(111)의 일단에 외기를 배기하도록 배기구(112)가 형성되고, 습채널(111)의 타단에 외기를 흡기하도록 외기 흡기구(113)가 형성되며, 건채널(115)의 일단에 공조 공간(conditioned space : CS)의 순환 공기를 흡기하도록 순환 공기 흡기구(116)가 형성되고, 건채널(115)의 타단에 공조 공간(CS)의 냉각 공기를 급기하도록 급기구(117)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케이스(110)의 건채널(115)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에서 2차 냉각시 발생되는 고온 공기를 배기하는 냉각기용 배기구(118)가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순환 공기 흡기구(116)로 흡기되는 순환 공기는 외기가 70% : 30%의 비율로 혼합되어 케이스(110) 내부가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한다.First, the
그리고, 제 1필터(120)는 케이스(110)의 습채널(111)중 외기 흡기구(113)와 현열교환기(130) 사이에 설치되는 흡기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한다. 여기에서, 제 1필터(120)는 항균 필터이고, 케이스(110)에서 교환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현열교환기(130)는 격벽(119)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31)에 의해 케이스(110)의 습채널(111)과 건채널(115) 내에서 회전되도록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외기 흡기구(113)를 통해 습채널(111)로 유입되는 외기와 건채널(115)로 유입되는 순환 공기를 상호 열교환시킨다. 여기에서, 현열교환기(130)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습 휠(150)을 통과하면서 제습된 순환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일차적인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알루미늄 등의 박판을 허니컴형상으로 형성한 디스크 형태이고, 현열교환기(130)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모터 및 벨트(도시 생략)가 구비된다.The
또, 히팅 코일(140)은 케이스(110)의 습채널(111) 내에서 현열교환기(130)의 후단과 배기구(112)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를 공급받아 습채널(111)을 통과하는 외기를 고온으로 변화시킨다. 여기에서, 히팅 코일(140)로 공급되는 온수는 열병합 발전소, 열전용 보일러, 마이크로터빈, 소형 가스 엔진, 소형 가스터빈, 가스 보일러, 기름 보일러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온수이고, 온수의 온도는 60~120℃ 이내이다.The
한편, 제습 휠(150)은 격벽(119)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51)에 의해 케이스(110)의 습채널(111)과 건채널(115) 내에서 회전되도록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히팅 코일(140)의 후단에 설치되어 건채널(115)의 순환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여 제습하고, 습채널(111)의 고온 외기로 흡착된 습기를 증발시켜 재생한다. 여기에서, 제습 휠(150)은 건식 흡착방식으로 순환 공기중의 습기를 흡착하도록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제올라이트(zeolite) 등의 흡착제를 담지한 허니컴(honeycomb)형상의 디스크 형태이고, 제습 휠(150)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모터 및 벨트(도시 생략)가 구비된다.The
그리고, 배기 송풍기(160)는 케이스(110)의 습채널(111)중 제습 휠(150)과 배기구(112) 사이에 설치되어 습채널(111) 내의 외기를 배기구(112)로 강제 배기시킨다.The
또한, 제 2필터(170)는 케이스(110)의 건채널(115)중 순환 공기 흡기구(116)와 제습 휠(150) 사이에 설치되어 순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한다. 여기에서, 제 2필터(170)는 항균 필터이고, 케이스(110)에서 교환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 급기 송풍기(180)는 케이스(110)의 건채널(115)중 제습 휠(150)과 현열교환기(130) 사이에 설치되어 건채널(115) 내의 순환 공기를 순환 공기 급기구(117)로 강제 급기시킨다.The
한편,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는 건채널(115) 내에서 순환 공기 급기구(117)와 현열교환기(130) 사이에 설치되고, 제습 휠(150)에 의해 제습되어 고온 건조해지고, 현열교환기(130)에 의해 열교환되어 냉각된 건채널(115)의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된 순환 공기를 케이스(110)의 급기구(117)로 급기하고, 냉각시 발생하는 고온 공기를 냉각기용 배기구(118)로 배기한다. 여기에서, 냉각기용 배기구(118)로 배기되는 고온 공기의 량은 순환 공기의 30%이다. 여기에서 또한,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는 내부적으로 별도의 건채널과 습채널의 반복적인 구조로 건채널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습채널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습채널 표면에서 물이 증발되어 냉각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건채널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는 습도 증가 없이 최대 이슬점온도까지 냉각시킨다.The regenerative
그리고, 직접 증발식 냉각기(10)는 케이스(110)의 건채널(115) 내에서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의 전단에 설치되어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로부터 급기되는 순환 공기를 2차 냉각시켜 케이스(110)의 급기구(117)를 통해 공조 공간(CS)으로 급기한다.The direct
국내의 신축 공동주택은 환기장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를 대피공간이나 발코니(베란다) 천정에 설치하여 기존 전기에어컨과 같은 냉방기기와 별도의 조절기를 통하여 독립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In Korea, new apartment buildings require ventilation system. Therefore, it is common to install ventilation system on the ceiling of the evacuation space or the balcony (veranda), so that independent control is possible through the air conditioner such as the existing electric air conditioner and the separate controller to be.
따라서 전기에어컨 또는 기타 냉방기를 이용한 냉방을 위해서는 환기장치와 별도로 추가의 냉방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실내기와 실외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냉매배관, 배수관, 전기선 등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설치가 번거롭고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use an electric air conditioner or other type of air conditioner, an additional air conditioner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ventilation device. Also, since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is troublesome and the installation space is occupied by the complexity of the refrigerant pipe, the drain pipe, and the electric wire.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방 장치는 냉방 장치로서의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가습과 난방이 불가능하여 저온저습인 가을철과 겨울철에 가습 및 난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 10-2001-0102493호(공기조화장치), 국내 공개특허 10-2002-0032617호(무급수 가습장치)가 출원되어 공개되었다.In addition, since such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only serves as a cool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humidify and heat the air conditioner in the fall and winter, which is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n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0102493 (air conditioner),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2-0032617 (unpaid air humidifying device).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본체 내부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는 구성으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is relatively increased due to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parate configuration is add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습 냉방 장치와 댐퍼를 이용하여 냉방 운전과 환기 운전 및 가습 환기 운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에서의 냉방중에도 실내 공기질의 저하 없이 쾌적한 냉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하절기 외에는 환기 운전과 가습 환기 운전만으로 실내의 공기의 정화와 가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perform both cooling operation and ventilation operation and humidification ventilation operation by using a dehumidification cooling device and a damp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humidification cooling system for cooling and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of a room, which enables air purification and humidification of the room by only ventilation operation and humidification ventilation operation other than the summer seas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함체 내에서 수직 격벽에 의해 건채널과, 습채널로 구획되고, 상기 건채널에 급기 송풍기와, 간접 증발 냉각기와, 증발기가 설치되며, 상기 습채널에 응축기와, 히팅 코일과, 배기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 격벽 하단에 제습 로터가 설치되며, 상기 함체에서 건채널 측에 형성되는 흡기구와, 급기구와, 냉각기용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함체에서 습채널 측에 배기구와, 외기 흡기구가 각각 형성되는 제습 냉방 장치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흡기구와 연계된 제 1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제 1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냉각기용 배기구와 연계된 제 2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기용 배기구를 개폐시키는 제 2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외기 흡기구와 연계된 제 3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제 3댐퍼와; 실내 공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제 3덕트에서 분기된 실내 공기 흡기 덕트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외기 흡기구로 흡기시키거나 차단하는 제 4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급기구와 연결된 제 4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건채널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 5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배기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덕트와 연결된 제 5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습채널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가습된 공기를 상기 제 4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 6댐퍼와; 상기 제 5덕트에서 분기된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습채널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가습된 공기를 외기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제 7댐퍼; 및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7댐퍼를 제어하여 냉방 운전과, 환기 운전 및 환기 가습 운전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denser, a heating coil, and an exhaust blower are installed in the wet channel, and the condenser, the heating coil, and the exhaust blower are installed in the wet channel. An exhaust port formed on the dry channel side, an air supply device, and an exhaust port for a cooler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vertical partition, respectively, and an exhaust port on the wet channel side and an outer air inlet port Respectively; A first damper installed in a first duct connected to an intake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A second damper installed in a second duct connected to a cooler exhaust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to open and close the exhaust port for the cooler; A third damper installed in a third duct connected to an outside air intake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to open and close the outside air intake port; A fourth damper installed in the indoor air intake duct which branches off from the third duct so as to intake indoor air and sucks or blocks indoor air to the outside air intake port of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apparatus; A fifth damper installed in a fourth duct connected to a supply mechanism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and supplying or blocking air of the dry channel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mechanism to the room;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ourth duct and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device, and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wet channel is supplied to or blocked from the room through the fourth duct A sixth damper; A seventh damper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branched from the fifth duct to discharge or block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wet channel to the outside ai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to seventh dampe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t by the user to perform cooling operation, ventilation operation, and ventilation / humidification operation.
여기에서, 상기 제 1덕트는 외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제 1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흡기구 사이에 외기 흡기 덕트가 구비된다.Here, the first duct is provided with an outside air intake duct between the first damper and the intake port of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apparatus so as to intake outside air.
여기에서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냉방 운전시 상기 제 1~3댐퍼와 제 5댐퍼 및 제 7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4댐퍼와 제 6댐퍼를 폐쇄시켜 실내 공기 일부와 외기 일부를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건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간접 증발 냉각기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증발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급기구를 통해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간접 증발 냉각기에서 증발 냉각된 공기의 나머지를 상기 냉각기용 배기구로 배출시키고, 외기를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습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히팅 코일과 제습 로터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와 배기 덕트를 통해 배출시킨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also opens the first to third dampers, the fifth damper and the seventh damper, and closes the fourth damper and the sixth damper, so that a part of the room air and a part of the outside air are passed throug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Cooled air passing through the dry channel through the indirect evaporative cooler and the evaporator and discharging part of the air evaporatively cooled in the indirect evaporative cooler to the cooler exhaust port An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wetting channel throug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and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duc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ing coil and the dehumidification rotor.
여기에서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환기 운전시 상기 제 1~3댐퍼와 제 6댐퍼를 폐쇄시키고, 상기 제 4, 5댐퍼와 제 7댐퍼를 개방시켜 외기를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건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제습 로터에 의해 전열 교환시킨 후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를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습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히팅 코일과 상기 제습 로터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습 로터를 재생시키도록 한 다음 상기 배기구와 배기 덕트를 통해 외기로 배출시킨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closes the first to third dampers and the sixth damper dur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opens the fourth and fifth dampers and the seventh damper, and causes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dry channel through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air is introduced into the wetting channel throug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to allow the indoor air to pass through the heating coil and the dehumidification rotor to regenerate the dehumidification roto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duct.
여기에서 또, 상기 컨트롤러는 가습 환기 운전시 상기 제 1댐퍼와 제 5댐퍼를 폐쇄시키고, 상기 제 2~4댐퍼와 제 6, 7댐퍼를 개방시켜 외기를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건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제습 로터에 의해 수분을 공급시킨 다음 상기 냉각기용 배기구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 일부와 외기 일부를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습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히팅 코일과 제습 로터를 통과하면서 가열 가습된 공기 일부를 상기 배기구와 제 4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시키고, 가열 가습된 공기 나머지를 상기 배기구와 배기 덕트를 통해 외기로 배출시킨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closes the first damper and the fifth damper during the humidifying ventilation operation, opens the second to fourth dampers and the sixth and seventh dampers, and flows the outside air into the dry channel through the intake port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to the exhaust port of the cooler. A part of the room air and a part of the outside air are introduced into the wet channel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port to pass through the heating coil and the dehumidification rotor, Is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fourth duct, and the heated and humidified air remaind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duct.
여기에서 또,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시 운전시 상기 제 1~4댐퍼와 제 6, 7댐퍼의 개방도를 설정 습도에 맞춰 10~100%로 개방시킨다.Here, the controller opens the opening degrees of the first to fourth damper and the sixth and seventh damper to 10 to 100% in accordance with the set humidity during operation during oper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에 따르면, 제습 냉방 장치와 댐퍼를 이용하여 냉방 운전과 환기 운전 및 가습 환기 운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에서의 냉방중에도 실내 공기질의 저하 없이 쾌적한 냉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하절기 외에는 환기 운전과 가습 환기 운전만으로 실내의 공기의 정화와 가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system for cooling and ventilating and humidifying the area can be performed both the cooling operation and the ventilation operation and the humidification ventilation operation by using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device and the damper, The indoor air can be cleaned and humidified only by the ventilation operation and the humidifying ventilation operation other than the summer season.
도 1은 일반적인 지역난방의 온수를 이용한 제습냉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의 각 운전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humidification cooling system using hot water of general district heatin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for district heating.
FIG. 3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for a district cooling system capable of cooling,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each ope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area,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for cooling and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요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humidifying cooling system for a district cooling system capable of cooling,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200)은, 제습 냉방 장치(210)와, 제 1댐퍼(220)와, 제 2댐퍼(230)와, 제 3댐퍼(240)와, 제 4댐퍼(250)와, 제 5댐퍼(260)와, 제 6댐퍼(270)와, 제 7댐퍼(280)와, 컨트롤러(290)로 구성된다.3, a
먼저, 제습 냉방 장치(210)는 함체(211) 내에서 수직 격벽(212)에 의해 건채널(CH1)과, 습채널(CH2)로 구획되고, 건채널(CH1)에 하단에서 상단으로 순차적으로 급기 송풍기(213)와, 간접 증발 냉각기(214)와, 증발기(215)가 설치되며, 습채널(CH2)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응축기(216)와, 히팅 코일(217)과, 배기 송풍기(218)가 설치되고, 수직 격벽(212) 하단에 제습 로터(219)가 설치되며, 함체(211)에서 건채널(CH1) 측에 형성되는 흡기구(A1)와, 급기구(A2)와, 냉각기용 배기구(A3)가 각각 형성되고, 함체(211)에서 습채널(CH2) 측에 배기구(A4)와, 외기 흡기구(A5)가 각각 형성된다.
First, the
그리고, 제 1댐퍼(220)는 제습 냉방 장치(210)의 흡기구(A1)와 연계된 제 1덕트(221)에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컨트롤러(290)의 제어에 의해 흡기구(A1)를 개폐시킨다. 이때, 제 1덕트(221)에는 외기를 흡기하도록 제 1댐퍼(220)와 제습 냉방 장치(210)의 흡기구(A1) 사이에 외기 흡기 덕트(223)가 구비된다.
The
또한, 제 2댐퍼(230)는 제습 냉방 장치(210)의 냉각기용 배기구(A3)와 연계된 제 2덕트(231)에 설치되어 컨트롤러(290)의 제어에 의해 냉각기용 배기구(A3)를 개폐시킨다. 여기에서, 제 2덕트(231)의 끝단은 외기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실외측에 위치한다.
The
또, 제 3댐퍼(240)는 제습 냉방 장치(210)의 외기 흡기구(A5)와 연계된 제 3덕트(241)에 설치되어 컨트롤러(290)의 제어에 의해 외기 흡기구(A5)를 개폐시킨다. 여기에서, 제 3덕트(241)의 끝단은 외기가 유입되도록 실외측에 위치한다.
The
또, 제 4댐퍼(250)는 실내 공기를 흡기하도록 제 3덕트(241)에서 분기된 실내 공기 흡기 덕트(251)에 설치되어 컨트롤러(290)의 제어에 의해 실내 공기를 제습 냉방 장치(210)의 외기 흡기구(A5)로 흡기시키거나 차단한다. 여기에서, 실내 공기 흡기 덕트(251)의 끝단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실내측에 위치한다.
The
또, 제 5댐퍼(260)는 제습 냉방 장치(210)의 급기구(A2)와 연결된 제 4덕트(261)에 설치되어 컨트롤러(290)의 제어에 의해 급기구(A2)를 통해 배출되는 건채널(CH1)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The
계속해서, 제 6댐퍼(270)는 제습 냉방 장치(210)의 배기구(A4)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제 4덕트(261)와 연결된 제 5덕트(271)에 설치되어 컨트롤러(290)의 제어에 의해 습채널(CH2)의 배기구(A4)에서 배출되는 가습된 공기를 제 5덕트(271)와 제 4덕트(261)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The
이어서, 제 7댐퍼(280)는 제 5덕트(271)에서 분기된 배기 덕트(281)에 설치되어 컨트롤러(290)의 제어에 의해 습채널(CH2)의 배기구(A4)에서 배출되는 가습된 공기를 외기로 배출하거나 차단한다.
The
한편, 컨트롤러(290)는 사용자가 운전 모드 선택에 따라 냉방 운전시 냉방 운전시 제 1~3댐퍼(220~240)와 제 5댐퍼(260) 및 제 7댐퍼(280)를 개방시키고, 제 4댐퍼(250)와 제 6댐퍼(270)를 폐쇄시켜 실내 공기 일부와 외기 일부를 외기 흡기구(A5)를 통해 건채널(CH1)로 유입시켜 간접 증발 냉각기(214)와 증발기(215)를 통과하면서 증발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급기구(A2)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간접 증발 냉각기(214)에서 증발 냉각된 공기의 나머지를 냉각기용 배기구(A3)로 배출시키고, 외기를 외기 흡기구(A5)를 통해 습채널(CH2)로 유입시켜 히팅 코일(217)과 제습 로터(219)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공기를 배기구(A4)와 배기 덕트(281)를 통해 외기로 배출시킨다.The
여기에서, 컨트롤러(290)는 사용자가 운전 모드 선택에 따라 환기 운전시 제 1~3댐퍼(220~240)와 제 6댐퍼(270)를 폐쇄시키고, 제 4, 5댐퍼(250, 260)와 제 7댐퍼(280)를 개방시켜 외기를 흡기구(A1)를 통해 건채널(CH1)로 유입시켜 제습 로터(219)에 의해 전열 교환시킨 후 급기구(A2)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를 외기 흡기구(A5)를 통해 습채널(CH2)로 유입시켜 히팅 코일(217)과 제습 로터(219)를 통과시키면서 재습 로터(219)를 재생시키도록 한 다음 배기구(A4)와 배기 덕트(281)를 통해 외기, 즉 대기로 배출시킨다.The
여기에서 또한, 컨트롤러(290)는 사용자가 운전 모드 선택에 따라 가습 환기 운전시 제 1댐퍼(220)와 제 5댐퍼(260)를 폐쇄시키고, 제 2~4댐퍼(230~250)와 제 6, 7댐퍼(270, 280)를 개방시켜 외기를 흡기구(A1)를 통해 건채널(CH1)로 유입시켜 제습 로터(219)에 의해 수분을 공급시킨 다음 냉각기용 배기구(A3)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 일부와 외기 일부를 외기 흡기구(A5)를 통해 습채널(CH2)로 유입시켜 응축기(216), 히팅 코일(217) 및 제습 로터(219)를 통과시키면서 가열 가습된 공기 일부를 배기구(A4)와 제 4덕트(261)를 통해 실내로 공급시키고, 가열 가습된 공기 나머지를 배기구(A4)와 배기 덕트(281)를 통해 외기, 즉 대기로 배출시킨다.The
여기에서 또, 컨트롤러(290)는 운전시 설정습도에 맞춰 제 1~4댐퍼(220~250)와 제 6, 7댐퍼(270. 280)의 개방도를 10~100% 범위내에서 조정한다.
Here,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역냉방을 위한 환기겸용 제습냉방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ual dehumidification cooling system for the multi-housing area coo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의 각 운전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FIGS. 4 to 6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each ope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area,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냉방 운전》"Cooling operation"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전 모드 선택에 따라 냉방 운전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90)는 제 1~3댐퍼(220~240)와 제 5댐퍼(260) 및 제 7댐퍼(280)를 개방시키고, 제 4댐퍼(250)와 제 6댐퍼(270)를 폐쇄시킨다. 이때, 건채널(CH1)의 급기 송풍기(213)와, 간접 증발 냉각기(214)와, 증발기(215)와, 습채널(CH2)의 응축기(216)와, 배기 송풍기(218) 및 제습 로터(219)가 모두 동작되고, 히팅 코일(217)에는 지역 난방 온수가 공급된다.4, when the user selects the coo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the
그러면, 제 1댐퍼(220)가 일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70%)가 제 1덕트(221)를 통해 흡기구(A1)로 유입되고, 외기(30%)가 외기 흡기 덕트(223)를 통해 흡기구(A1)로 유입된 후 건채널(CH1)의 제습 로터(219)를 거쳐 습기를 빼앗겨 건공기로 변환되고, 유입된 혼합공기 100% 중에서 70%는 간접 증발 냉각기(214)를 지나 건공기상태로 냉각이 되어 증발기(215)를 거쳐 급기구(A2)를 통해 배출되고, 급기구(A2)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 5댐퍼(260)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4덕트(261)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를 냉각시킨다.Since the
또한, 제 2댐퍼(230)가 일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간접 증발 냉각기(214)에서 증발 냉각된 공기(30%)가 냉각기용 배기구(A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since the
이와 동시에, 제 3댐퍼(240)가 개방되어 있고, 제 4댐퍼(250)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에 필요한 외기(100%)가 제 3덕트(241)를 통해 외기 흡기구(A5)로 유입된 후 습채널(CH2)의 응축기(216)를 거쳐 온도가 상승되고, 지역난방수(또는 온수)가 공급되는 히팅 코일(217)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더욱 상승된 다음 제습 로터(219)를 통과하면서 이를 재생, 즉 건조시킨 후 배기구(A4)를 통해 배출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계속해서, 제 6댐퍼(270)가 폐쇄되고, 제 7댐퍼(280)가 개방되기 때문에 배기구(A4)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 5덕트(271)와 배기 덕트(281)를 통해 외기로 모두 배출된다.
Since the
《환기 운전》"Ventilation operation"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전 모드 선택에 따라 환기 운전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90)는 제 1~3댐퍼(220~240)와 제 6댐퍼(270)를 폐쇄시키고, 제 4, 5댐퍼(250, 260)와 제 7댐퍼(280)를 개방시킨다.5, when the user selects the ventil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operation mode, the
이때, 건채널(CH1)의 급기 송풍기(213)와, 습채널(CH2)의 배기 송풍기(218) 및 제습 로터(219)만이 동작되고, 히팅 코일(217)에는 지역 난방 온수가 공급된다.At this time, only the
그러면, 제 1댐퍼(220)와 제 2댐퍼(230)가 폐쇄되기 때문에 외기(100%)가 외기 흡기 덕트(223)를 통해 흡기구(A1)로 유입된 후 건채널(CH1)을 통과하면서 제습 로터(219)에 의해 습채널(CH2)로 흡기된 실내 공기와 전열 교환된 후 급기구(A2)를 통해 배출된다.Since the
그리고, 급기구(A2)에서 배출되는 전열 교환된 외기(100%)는 제 5댐퍼(260)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4덕트(261)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Since the
또한, 제 3댐퍼(240)는 폐쇄되고, 제 4댐퍼(240)가 개방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100%)가 흡기 덕트(251)를 통해 외기 흡기구(A5)에서 흡기되어 습채널(CH2)을 통과한 후 배기구(A4)를 통해 모두 배출된다.Since the
계속해서, 제 6댐퍼(270)가 폐쇄되고, 제 7댐퍼(280)가 개방되기 때문에 배기구(A4)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 5덕트(271)와 배기 덕트(281)를 통해 외기로 모두 배출된다.Since the
따라서, 실내에는 외기가 공급되고, 실내 공기는 대기로 배출되기 때문에 환기가 이루어진다.
Therefore,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room air is vented to the atmosphere.
《가습 환기 운전》"Humidification ventilation operation"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전 모드 선택에 따라 가습 환기 운전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90)는 제 1댐퍼(220)와 제 5댐퍼(260)를 폐쇄시키고, 제 2~4댐퍼(230~250)와 제 6, 7댐퍼(270, 280)를 개방시킨다. 특히 컨트롤러(290)는 제 3, 4댐퍼(240~250)와 제 6, 7댐퍼(270, 280)의 개폐도를 설정습도에 맞춰 제 1~4댐퍼(220~250)와 제 6, 7댐퍼(270. 280)의 개방도를 10~100% 범위내에서 조정한다.6, when the user selects the humidifying ventil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operation mode, the
이때, 건채널(CH1)의 급기 송풍기(213)와, 습채널(CH2)의 배기 송풍기(218) 및 제습 로터(219)만이 동작되고, 히팅 코일(217)에는 지역 난방 온수가 공급된다.At this time, only the
그리고, 제 1댐퍼(220)가 폐쇄되어 있고, 제 2댐퍼(230)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100%)가 외기 흡기 덕트(223)를 통해 흡기구(A1)로 유입된 후 건채널(CH1)을 통과하면서 제습 로터(219)에 의해 수분을 공급시킨 다음 냉각기용 배기구(A3)를 통해 외기로 모두 배출된다.Since the
또한, 제 3댐퍼(240)와 제 4댐퍼(250)가 각각 일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10~100%)가 흡기 덕트(251)로 유입되고, 외기(10~100%)가 제 3덕트(241)로 유입되며, 이들이 혼합되어 외기 흡기구(A5)로 유입된 후 습채널(CH2)의 응축기(216)를 거쳐 온도가 상승되고, 지역난방수(또는 온수)가 공급되는 히팅 코일(217)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더욱 상승된 다음 제습 로터(219)를 통과하면서 이를 재생, 즉 건조시킨 후 배기구(A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습 로터(219)를 통과한 공기에는 수분이 포함, 즉 가습이 이루어지고, 온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난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계속해서, 배기구(A4)에서 배출된 공기중 일부(10~100%)는 제 6댐퍼(270)가 일부 개방되어 때문에 제 5덕트(271)로 유입되어 이와 연결된 제 4덕트(261)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A part of the air (10 to 100%)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A4 flows into the
그리고, 배기구(A4)에서 배출된 공기중 나머지(10~100%)는 제 7댐퍼(280)가 일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덕트(281)를 통해 외기, 즉 대기로 배출된다.Since the
따라서, 실내에는 실내 공기와 외가가 혼합된 후 가습이 이루어진 공기가 공급되고, 실내 공기의 일부를 대기로 배출되기 때문에 환기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humidified air is supplied to the room after the room air and the outside air are mixed, and ventilation is performed because a part of the room air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210 : 제습 냉방 장치 211 : 함체
212 : 수직 격벽 213 : 급기 송풍기
214 : 간접 증발 냉각기 215 : 증발기
216 : 응축기 217 : 히팅 코일
218 : 배기 송풍기 219 : 제습 로터
220~280 : 제 1~7댐퍼 290 : 컨트롤러
CH1 : 건채널 CH2 : 습채널210: Dehumidification cooling device 211: Enclosure
212: Vertical partition 213: Supply blower
214: indirect evaporation cooler 215: evaporator
216: condenser 217: heating coil
218: exhaust blower 219: dehumidification rotor
220 to 280: first to seventh damper 290: controller
CH1: Gun channel CH2: Wet channel
Claims (6)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흡기구와 연계된 제 1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제 1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냉각기용 배기구와 연계된 제 2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기용 배기구를 개폐시키는 제 2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외기 흡기구와 연계된 제 3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제 3댐퍼와;
실내 공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제 3덕트에서 분기된 실내 공기 흡기 덕트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외기 흡기구로 흡기시키거나 차단하는 제 4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급기구와 연결된 제 4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건채널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 5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배기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덕트와 연결된 제 5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습채널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가습된 공기를 상기 제 4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 6댐퍼와;
상기 제 5덕트에서 분기된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습채널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가습된 공기를 외기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제 7댐퍼; 및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7댐퍼를 제어하여 냉방 운전과, 환기 운전 및 환기 가습 운전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And a condenser, a heating coil, and an exhaust blower are installed in the wet channel, and the condenser, the heating coil, and the exhaust blower are installed in the wet channel. An exhaust port formed on the dry channel side, an air supply device, and an exhaust port for a cooler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vertical partition, respectively, and an exhaust port on the wet channel side and an outer air inlet port Respectively;
A first damper installed in a first duct connected to an intake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to open and close the intake port;
A second damper installed in a second duct connected to a cooler exhaust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to open and close the exhaust port for the cooler;
A third damper installed in a third duct connected to an outside air intake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to open and close the outside air intake port;
A fourth damper installed in the indoor air intake duct which branches off from the third duct so as to intake indoor air and sucks or blocks indoor air to the outside air intake port of the dehumidification cooling apparatus;
A fifth damper installed in a fourth duct connected to a supply mechanism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and supplying or blocking air of the dry channel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mechanism to the room;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ourth duct and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device, and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wet channel is supplied to or blocked from the room through the fourth duct A sixth damper;
A seventh damper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branched from the fifth duct to discharge or block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wet channel to the outside air;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to seventh damp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t by the user to perform cooling operation, ventilation operation, and ventilation / humidifying opera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system.
상기 제 1덕트는,
외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제 1댐퍼와 상기 제습 냉방 장치의 흡기구 사이에 외기 흡기 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uct,
Wherein the outdoor air intake duc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amper and the intake port of the dehumidifying cooling apparatus so as to absorb outside air.
상기 컨트롤러는,
냉방 운전시 상기 제 1~3댐퍼와 제 5댐퍼 및 제 7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4댐퍼와 제 6댐퍼를 폐쇄시켜 실내 공기 일부와 외기 일부를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건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간접 증발 냉각기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증발 냉각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급기구를 통해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간접 증발 냉각기에서 증발 냉각된 공기의 나머지를 상기 냉각기용 배기구로 배출시키고, 외기를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습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히팅 코일과 제습 로터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와 배기 덕트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comprising:
The first to third dampers, the fifth damper and the seventh damper are opened and the fourth damper and the sixth damper are closed to allow a part of the room air and a part of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dry channel throug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Cooling the evaporated and cooled air through the air supply device, discharging a part of the air evaporatively cooled through the indirect evaporation cooler and the evaporator through the air supply device, discharging the remaining air evaporatively cooled by the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device to the air outlet for the cooler, Wherein the 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humidifying channel and passes through the heating coil and the humidifying rotor to discharge the humidified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duct.
상기 컨트롤러는,
환기 운전시 상기 제 1~3댐퍼와 제 6댐퍼를 폐쇄시키고, 상기 제 4, 5댐퍼와 제 7댐퍼를 개방시켜 외기를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건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제습 로터에 의해 전열 교환시킨 후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를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습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히팅 코일과 상기 제습 로터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습 로터를 재생시키도록 한 다음 상기 배기구와 배기 덕트를 통해 외기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comprising:
Dur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the first to third dampers and the sixth damper are closed, the fourth and fifth dampers and the seventh damper are opene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dry channel through the intake port, and the whole heat is exchanged by the dehumidification rotor And then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wet channel throug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to allow the dehumidification rotor to be re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ing coil and the dehumidification rotor. Then,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duc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unit.
상기 컨트롤러는,
가습 환기 운전시 상기 제 1댐퍼와 제 5댐퍼를 폐쇄시키고, 상기 제 2~4댐퍼와 제 6, 7댐퍼를 개방시켜 외기를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건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제습 로터에 의해 수분을 공급시킨 다음 상기 냉각기용 배기구로 배출시키고, 실내 공기 일부와 외기 일부를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습채널로 유입시켜 상기 히팅 코일과 제습 로터를 통과하면서 가열 가습된 공기 일부를 상기 배기구와 제 4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시키고, 가열 가습된 공기 나머지를 상기 배기구와 배기 덕트를 통해 외기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comprising:
The first damper and the fifth damper are closed at the time of humidifying ventilation operation and the second to fourth damper and the sixth and seventh damper are opened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dry channel through the intake port, A part of the indoor air and a part of the outside air are introduced into the wetting channel throug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and a part of the air heated and 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ing coil and the dehumidifying rotor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fourth duct And discharging the remainder of the heated and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duct, wherein the dehumidifying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duct to the outside air.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시 상기 제 1~4댐퍼와 제 6, 7댐퍼의 개방도를 설정 습도에 맞춰 10~100%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comprising:
Wherein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to fourth damper and the sixth and seventh damper is opened to 10 to 100% in accordance with the set humidity at the time of ope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29180A KR101436613B1 (en) | 2013-10-29 | 2013-10-29 | Dehumidified cooling system for district cooling with cooling,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29180A KR101436613B1 (en) | 2013-10-29 | 2013-10-29 | Dehumidified cooling system for district cooling with cooling,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36613B1 true KR101436613B1 (en) | 2014-11-05 |
Family
ID=522889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29180A Active KR101436613B1 (en) | 2013-10-29 | 2013-10-29 | Dehumidified cooling system for district cooling with cooling,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36613B1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64791B1 (en) * | 2015-11-18 | 2016-10-12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conditioner capable of ventilation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 WO2017086680A1 (en) * | 2015-11-18 | 2017-05-26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cooling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WO2017086679A1 (en) * | 2015-11-18 | 2017-05-26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heating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190905B1 (en) * | 2020-02-03 | 2020-12-15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
| CN112484280A (en) * | 2019-09-11 | 2021-03-12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duct system,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duct system |
| KR102327078B1 (en) * | 2021-03-08 | 2021-11-17 | 주식회사 에어라클 | Multipurpos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220126121A (en) * | 2021-03-08 | 2022-09-15 | 주식회사 에어라클 | Multipurpose Heat Exchanger comprising Pre-heat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2691344B1 (en) * | 2023-05-03 | 2024-08-05 | 서선화 | A system for controlling complex indoor environment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243140A (en) * | 1996-03-05 | 1997-09-16 | Kajima Corp | Secondary side system of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
| KR100773434B1 (en) * | 2007-02-01 | 2007-11-05 | 한국지역난방공사 | De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for district heating |
| KR100773435B1 (en) * | 2007-02-01 | 2007-11-05 | 한국지역난방공사 | De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for district heating |
-
2013
- 2013-10-29 KR KR1020130129180A patent/KR1014366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243140A (en) * | 1996-03-05 | 1997-09-16 | Kajima Corp | Secondary side system of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
| KR100773434B1 (en) * | 2007-02-01 | 2007-11-05 | 한국지역난방공사 | De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for district heating |
| KR100773435B1 (en) * | 2007-02-01 | 2007-11-05 | 한국지역난방공사 | Dehumidification air conditioner for district heating |
| JP2009530585A (en) * | 2007-02-01 | 2009-08-27 | コリア ディストリクト ヒーティ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 Dehumidifying and cooling system for district heating |
Cited B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775059B2 (en) | 2015-11-18 | 2020-09-15 | Kyungdong Navien Co., Ltd. | Air conditioning capable of controlling ventilation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10948202B2 (en) | 2015-11-18 | 2021-03-16 | Kyungdong Navien Co., Ltd. |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heating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WO2017086680A1 (en) * | 2015-11-18 | 2017-05-26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cooling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WO2017086679A1 (en) * | 2015-11-18 | 2017-05-26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heating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1749194B1 (en) * | 2015-11-18 | 2017-06-20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1782839B1 (en) * | 2015-11-18 | 2017-10-23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 WO2017086677A1 (en) * | 2015-11-18 | 2017-05-26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ventilation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10823437B2 (en) | 2015-11-18 | 2020-11-03 | Kyungdong Navien Co., Ltd. | Air conditioner capable of controlling cooling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1664791B1 (en) * | 2015-11-18 | 2016-10-12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conditioner capable of ventilation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 CN112484280A (en) * | 2019-09-11 | 2021-03-12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duct system,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duct system |
| KR102190905B1 (en) * | 2020-02-03 | 2020-12-15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Air Conditioner |
| KR102327078B1 (en) * | 2021-03-08 | 2021-11-17 | 주식회사 에어라클 | Multipurpos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220126121A (en) * | 2021-03-08 | 2022-09-15 | 주식회사 에어라클 | Multipurpose Heat Exchanger comprising Pre-heat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2461052B1 (en) | 2021-03-08 | 2022-10-31 | 주식회사 에어라클 | Multipurpose Heat Exchanger comprising Pre-heat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2691344B1 (en) * | 2023-05-03 | 2024-08-05 | 서선화 | A system for controlling complex indoor environ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36613B1 (en) | Dehumidified cooling system for district cooling with cooling, ventilation and humidification | |
| KR102124364B1 (en) | A 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 |
| JP5417213B2 (en) |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type external air conditioning system | |
| KR101749194B1 (en) | Air-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
| KR101174556B1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 KR101664791B1 (en) | Air-conditioner capable of ventilation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
| JP5862266B2 (en) | Ventilation system | |
| KR20170061729A (en) | Air-conditioner capable of cooling and humidity control and the method thereof | |
| KR101363941B1 (en) | Stand type dehumidified cooling system with ventilation for apartment building district cooling | |
| JP4729409B2 (en) | Desiccant ventilation system | |
| US20140318369A1 (en) | Dehumidificat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 |
| KR20200092221A (en) | An air conditioning system | |
| KR20190024396A (en) |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of | |
| KR20160110770A (en) | desiccant cooling operation | |
| KR20190024268A (en) | Air conditioner | |
| KR101392456B1 (en) | Ceiling stationary dehumidifying cool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district cooling | |
| JP4230038B2 (en) | Dehumidifying air conditioner | |
| JP4466306B2 (en) | Ventilator and building | |
| KR100707440B1 (en) | humidifier | |
| KR102190905B1 (en) | Air Conditioner | |
| WO2006035824A1 (en) | Ventilator and building | |
| JP2011191036A (en) | Desiccant air conditioner | |
| KR101361099B1 (en) | Dehumidified cooling system with ventilation for apartment building district cooling | |
| CN104089341A (en) | Indoor air conditioning device | |
| JP2002162083A (en) | Ventilating humidity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