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48B1 -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 Google Patents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7948B1 KR101437948B1 KR1020130002122A KR20130002122A KR101437948B1 KR 101437948 B1 KR101437948 B1 KR 101437948B1 KR 1020130002122 A KR1020130002122 A KR 1020130002122A KR 20130002122 A KR20130002122 A KR 20130002122A KR 101437948 B1 KR101437948 B1 KR 1014379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harger
- mobile phone
- support
-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기에 축전지가 구비 되어 이동 중에 충전 시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갖추고 있다. 고정 커넥터를 갖는 축전지를 구비한 충전기는 핸드폰을 충전하면서 이동시 움직이지 않도록 양쪽 팔과 같이 핸드폰 지지대를 구비하고 있어 쉽게 삽입하고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다른 종류의 커넥터를 가진 전자기기들과 호환되도록 축전지로부터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보조 커넥터들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은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하면서 사용 중인 핸드폰의 배터리가 모두 방전된 경우 충전기에 장착된 커넥터를 통하여 충전기에 내장된 축전지를 연결하여 핸드폰 배터리에 직류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충전기의 핸드폰 지지대 위에 핸드폰을 삽입함으로써 충전기에 내장된 축전기가 자동으로 연결되어 핸드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is provided in a charger, and a connector is provided so that a mobile phone can be charged when charging. A charger having a battery with a fixe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cell phone support such as both arms so as not to move when the mobile phone is being charged while being charged, so that the charger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and is also compatible with other types of connectors And auxiliary connectors that can be powered and conne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having a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having a battery, in which when a battery of a mobile phone being used is discharged, a battery built in the charger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mounted on the charger, Or by inserting a cell phone on the cell phone support of the charger, the capacitor built in the charger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charge the cell phone battery.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하면서 사용 중인 핸드폰의 배터리가 모두 방전된 경우 충전기에 장착된 커넥터를 통하여 충전기에 내장된 축전지를 연결하여 핸드폰 배터리에 직류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을 가능하게 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having a battery, and when a battery in a mobile phone being used is discharged, a battery built in the charger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attached to the charger to supply DC power to the mobile phone battery. Or to charge the battery.
또한, 충전기의 핸드폰 지지대 위에 핸드폰을 삽입함으로써 충전기에 내장된 축전지가 자동으로 무선으로 연결되어 핸드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단자에 연결되어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lso, by inserting a cell phone on the cell phone support of the charger, the battery built in the charger is automatically connected wirelessly to charge the cell phone battery or to connect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terminal.
이동통신의 발전으로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현대인에게 있어 핸드폰은 중요한 생활 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는 휴대용이므로 독립전원으로서 축전지를 필요로 하며 또한 축전지는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mobile phones have been used as essential living necessities for modern people. However, since such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portable, And the battery is configured to be charged and used.
현재 이용되는 축전지(배터리)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이온전지가 있으며, 전지의 특성으로는 소형, 경량, 대용량, 긴 수명, 짧은 충전시간이 요구되고 있다.
Currently used batteries (batteries) ar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and lithium-ion batteries, and small, lightweight, large capacity, long life and short charging time are requir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그러나 근래에 들어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와 다양한 부가기능의 추가로 배터리도 자연스럽게 소형, 경량화 됨에 따라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부가기능의 추가로 사용자의 이용시간이 점차 증가됨에 따라 배터리의 소모량이 증가 되어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실제 통화 시 배터리의 용량부족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recently, miniaturization of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ddition of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have led to various problems as the battery is naturally small and lightweight. That is, as the use time of the user is gradually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the battery consumption is increased and the battery usage time is shortened.
이와 관련하여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배터리 수명이 크게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As the number of charging of the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increases, the battery life is greatly shorten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에는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전원공급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휴대의 불편함과 충전장치 내부 구성의 복잡성 등 기술적인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용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충전 대상물과 충전기가 하나로 세트화되어 있으면 다양한 외형과 크기를 가지는 모든 충전대상물의 축전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만능 충전기에 적용되기에는 곤란한 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8-025347호(이동전화기용 밧데리 충전장치, 1998.07.06.공개)에는 다양한 기종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축전지를 모두 충전시킬 수 있는 만능충전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또한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제3027605호 1996.5.29.등록)에는 휴대전화기용 축전지의 충전기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problems, there has been developed a mobile phone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a supplementary battery for replacing a battery built in a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However, But commercialization is still lacking due to various technical problems such as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Further, if the object to be charged and the charger are set to be one,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universal charger for charging the accumulators of all objects to be filled having various external shapes and size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025347 discloses a universal charger capable of charging all the accumulators of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terminals in the battery charging device for mobile phone, (No. 3027605 filed Feb. 29, 1996)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battery charger for a mobile phone.
본 발명에 따르면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는 내장된 축전지와 연결되어 있어 핸드폰이나 테블릿 PC 등을 커넥터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한 번에 바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들을 사용하면서 충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charger having a battery is connected to a built-in battery, so that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can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thereby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portable terminals connected at once.
종래의 충전 방법은 충전기와 보조 축전지(배터리)가 분리되어 있어 하나의 전원선으로부터 전자기기들을 충전 시 전자기기나 보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교체하여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으며 아이폰과 같이 보조 축전지(보조 배터리)를 교환할 수 없도록 설계된 내장형 기기들은 보조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어 코드에 연결하는 충전기를 휴대하여 외부활동 중에 코드가 있는 고정된 장소에서만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하다.
In the conventional charging method, since the charger and the auxiliary battery (batter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inconvenient to charge the electronic devices from one power line to check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auxiliary battery is completely charged, Built-in devices that are designed to be unable to replace the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re inconvenient because they can not replace the secondary battery and can carry the charger that connects to the cord, so that it can only be charged in a fixed location with a cord during external activity.
또한, 갈수록 핸드폰 게임이나 실시간 문자채팅이 이루어지고 있어 전자기기 사용시간이 대폭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전자기기 축전지의 짧은 수명은 (이용시간)은 사용자들에게 큰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In addition, cell phone games and real-time text chatting are increasingly taking place, and the use time of electronic devices is rapidly increasing.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충전기에 축전지가 같이 연결되어 있어 이동 중에 핸드폰 지지대 위에 핸드폰을 삽입하여 충전하거나 커넥터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갖추고 있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battery to a charger so that a mobile 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cell phone support during its movement and charged or connected to a connector.
고정 커넥터를 갖는 휴대용 충전기는 핸드폰을 충전하면서 이동시 움직이지 않도록 양쪽 팔과 같이 지지대를 가지고 있어 편리하게 핸드폰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다른 종류의 커넥터를 가진 전자기기들과 호환되도록 축전지로부터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보조 커넥터들을 갖추고 있다.
The portable charger having the fixed connector has a support such as both arms so as not to move when the mobile phone is charged while being charged, so that the portable phone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conveniently. Also, the portab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uxiliary connectors for receiving powe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휴대가 편리하면서도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에 축전지(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일반 상용전원을 연결하면 내장된 축전지가 충전되고 휴대용 충전기에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올려놓거나 커넥터를 연결하면 핸드폰이나 태블릿 PC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such a problem and has a built-in portable charger having a built-in battery in a portable charger that is convenient to carry. When a general commercial power source is connected, a built-in battery is charged and a cell phone, a tablet PC, When the connector is connected, you can charge the built-in battery in your cell phone or tablet PC.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를 휴대함으로써 이동 중에 충전기에 내장된 축전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커넥터를 연결하여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사용하게 하거나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By carrying the portable charger equipped with the battery, DC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built in the charger during the movement, and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use a cell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or to charge a cell phone or a tablet PC.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휴대가 편리하면서도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에 축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상용전원을 연결하면 내장된 축전지가 충전되고 휴대용 충전기의 핸드폰 지지대 위에 핸드폰 또는 태블릿 PC 등을 삽입하거나 커넥터를 연결하면 핸드폰이나 태블릿 PC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Portable charger with built-in battery is convenient for carrying, and built-in battery is built in. When commercial power is connected, built-in battery is charged. When you insert cell phone or tablet PC on the cell phone support of portable charger or connect connector, The built-in battery can be charged.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를 휴대함으로써 이동 중에 충전기에 내장된 축전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커넥터를 연결하여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축전지가 구비된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By carrying a portable charger equipped with a battery, it is possible to supply DC power from the battery built in the charger while moving and connect the connector to make it possible to use a cell phone or a tablet PC, or to charge a cell phone or a tablet PC Thereby providing a charger.
축전지가 구비된 충전기로써 내장된 축전지에 충전하여 휴대하면서 충전기의 핸드폰 지지대 위에 핸드폰을 삽입함으로써 내장된 축전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핸드폰, 태블릿 PC나 기타 전자기기 등도 호환적으로 커넥터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내장된 축전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 하고 있다.
It is a charger equipped with a battery. It can be charged by charging the built-in battery and charging the battery by supplying the DC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by inserting the cell phone on the cell phone support of the charger. Also, the cell phone, tablet PC, So that DC power can be supplied from a built-in battery.
또한, 축전지가 구비된 충전기로써 내장된 축전지에 충전하여 휴대하면서 충전기의 핸드폰 지지대 위에 핸드폰을 삽입함으로써 내장된 축전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회로를 통해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 하고 있다.
In addition, a charger equipped with a battery is provided to charge a built-in battery and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through a charging circuit by receiving a direct current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by inserting a cell phone into the cell phone support of the charger while carrying it. have.
또한, 핸드폰, 태블릿 PC나 기타 전자기기 등도 호환적으로 커넥터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내장된 축전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핸드폰이나 태블릿 PC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 하고 있다.
In addition, mobile phones, tablet PC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can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so that they can receive a DC power from a built-in battery to charge a battery built in a cell phone or a tablet PC.
또한, 충전기와 축전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용전원에 휴대용 충전기의 전원코드를 연결하면 내장된 축전지에 자동으로 충전되기 때문에 종래에 하나의 기기를 충전하다가 충전상태 여부를 파악한 후 다른 기기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harger and the battery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power cord of the portab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ource, the built-in battery is automatically charged. Therefore, The inconvenience can be solved.
도 1,2에 따른 본 발명은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코드(23)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내장된 축전지에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11)를 구비하며,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equipped with a battery, which receives AC power from a
상기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로(11)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축전지(10), A
상기 축전지(10)는 외부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 일단의 외측면에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11)가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 표시등(19)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타측 외측면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커넥터(13,14)가 구비 되며,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부가 구비 된다.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는 핸드폰의 내장된 배터리 또는 무선충전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가운데 홈(18)이 형성되고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핸드폰을 끼워 무선패드위에 놓여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패드(17)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25)가 배치되어 있고 핸드폰 지지커버에 형성된 화살표 방향(15)으로 핸드폰이 삽입된다.
A
상기 케이스 내측에는 핸드폰을 올려놓거나 보조배터리(17)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가운데 홈(18)이 형성되고 상기 홈 일측면에는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25)가 배치되어 있고 핸드폰 지지커버에 형성된 화살표 방향(15)으로 핸드폰 또는 보조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다.
A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핸드폰 지지커버(12)에는 복수 개의 지지핀(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핸드폰 삽입 또는 장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support pins 20 are formed on the mobile
다른 종류(사이즈)의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 다른 사이즈의 커넥터(13,14)를 구비하여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13, 14) of different sizes for charging mobile phones of different kinds (sizes). The portable charger
크기가 다른 종류(사이즈)의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 사이즈가 다른 커넥터(13,14)를 케이스 일측에 구비하여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할 수 있다.
In order to charge a mobile phone of a different size (size),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의 케이스 상부에 홈(18)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핸드폰을 올려놓아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보조배터리(17)를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 상부에 홈이 형성된다.
A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의 케이스 상부에 홈(18)이 형성되어 충전 가능한 핸드폰을 상기 홈에 삽입하여 휴대 중에 핸드폰 지지를 위한 핸드폰 지지커버(12)의 지지핀이 케이스 상부에 형성된 지지홈에 결합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A groove (18)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of the portable charger equipped with a battery so that a rechargeable cell phon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support pin of the cell phone support cover (12)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상기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31)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축전지(30)를 구비하며,And a battery (30) f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charger (31)
상기 축전지(30)는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 일단의 외측면에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31)가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 표시등(39)이 설치된다.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핸드폰 지지대(32)가 구비되며,A
상기 핸드폰 지지대(32)는 레일홈(37)과 지지부(38)를 구비하여 레일홈과 고정대(35) 사이에 볼트(36)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볼트에 형성된 70˚∼80˚ 각도를 갖는 나사와 조절기(34)를 통해 핸드폰 지지대(32)가 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핸드폰 지지대(3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The mobile
상기 핸드폰 지지대(32)는 레일홈(37)과 지지부(38)를 구비하여 레일홈과 고정대(35) 사이에 볼트(36)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볼트에 70˚∼ 80˚ 각도를 갖는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에 결합된 조절기(34)를 좌우로 돌리면 핸드폰 지지대(32)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움직이게 되어 좌우에 설치된 핸드폰 지지대(32)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mobile
크기가 서로 다른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 사이즈가 다른 커넥터(13,14)를 구비하여 핸드폰에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핸드폰 지지대(32)에 핸드폰을 삽입하게 되면 고정커넥터(33)가 연결되어 충전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charge mobile phones having different sizes, the
상기 핸드폰 지지대(32)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좌우로 움직여 핸드폰을 고정하면 지지대의 탄성력에 의해 더욱더 견고하게 핸드폰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mobile
본 발명은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내장된 축전지에 충전하여 휴대하면서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다른 전자기기에 직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으며 핸드폰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나 기타 전자기기 등도 호환적으로 사용하도록 커넥터를 구비 하고 있어서 사용에 편리하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equipped with a battery, which can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a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charging the battery, and supplying DC power to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are also provided with connectors for use in a compatible manner, so that they are convenient to use.
또한, 내장된 축전지를 충전하여 이동시 핸드폰이나 테블릿 PC 등에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charged or charged by connecting a power source through a connector to a cell phone or a tablet PC when the battery is charged.
또한, 축전지와 충전기가 일체형으로 되어 상용 전원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내장된 축전지가 충전되기 때문에 종래에 하나의 기기를 충전하다가 충전 여부를 파악한 후 기기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and the charger are integrally formed and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the built-in battery is automatically char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replacing the device after charging one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is char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에 축전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에 축전지가 분해되어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에 축전지가 결합되고 핸드폰 지지대를 갖추어 핸드폰 충전시 고정되도록 구성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전체적인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attery is coupled to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attery is coupled to the battery charger,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rt are omitted.
본 발명은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하고 다니다가 사용 중인 핸드폰의 배터리가 모두 방전된 경우 휴대용 충전기에 장착된 커넥터를 통하여 휴대용 충전기에 내장된 축전지에 연결하여 핸드폰에 직류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핸드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having a battery, and when a battery in a mobile phone being used is discharged, the battery charger is connected to a battery built in a portable charger through a connector attached to the portable charger to supply DC power to the mobile phone A portable charger having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phone battery.
또한 휴대용 충전기의 핸드폰 지지대 사이에 핸드폰을 삽입하여 휴대용 충전기에 내장된 축전지의 직류 전원을 커넥터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핸드폰 또는 태블릿 PC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charger equipped with a battery so that a battery of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can be charged by inserting a cell phone between the cell phone support of the portable charger and connecting the DC power of the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charger through the connec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에 축전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attery is coupled to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가 분해되어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에 축전지가 결합되고 핸드폰 지지대가 구비된 사시도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충전기의 구성도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코드(23)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내장된 축전지에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11)를 구비하며,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having a battery. The battery charger includes a battery charger, which receives AC power from the
상기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축전지(10), A battery (10) f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charger,
상기 축전지는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 일단의 외측면에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11)가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 표시등(19)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타측의 외측면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커넥터(13,14)가 구비 되며,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부가 구비 된다.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는 핸드폰을 삽입할 수 있는 가운데 홈(18)이 형성되고 핸드폰지지 커버에 형성된 화살표 방향(15)으로 핸드폰이 삽입되면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17)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25)가 배치되어 있다.
A
상기 케이스 상부 가운데에는 핸드폰을 삽입할 수 있는 홈(18)이 형성되고 핸드폰 지지커버(12)에 형성된 화살표 방향(15)으로 핸드폰이 삽입되거나 보조배터리가 삽입되면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17) 또는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25)가 배치되어 있다.
A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핸드폰 지지커버(12)에는 복수 개의 지지핀(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핸드폰 삽입 또는 장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support pins 20 are formed on the mobile
크기가 서로 다른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 사이즈가 다른 커넥터(13,14)를 축전지가 내장된 케이스 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13, 14) having different sizes ar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a case having a built-in battery for charging mobile phones having different sizes. The portable charger
크기가 서로 다른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 사이즈가 다른 커넥터(13,14)를 축전지가 내장된 케이스 일측에 구비하여 핸드폰에 연결함으로써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할 수 있다.
In order to charge mobile phones having different sizes,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의 케이스 상부에 홈(18)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핸드폰을 올려놓아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보조배터리(17)를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다.
A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의 케이스 상부에 홈(18)이 형성되어 충전 가능한 핸드폰을 상기 홈에 삽입하여 휴대 중에 핸드폰 지지를 위한 핸드폰 지지커버(12)의 지지핀(20)이 케이스 상부에 형성된 지지홈(21)에 결합되어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A
상기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31)로부터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축전지(30)를 구비하며, 상기 축전지는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 일단의 외측면에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31)가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 표시등(39)이 설치된다.
DC converter and a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핸드폰 지지대(32)가 구비되며,A
상기 핸드폰 지지대(32)는 레일홈(37)과 지지부(38)를 구비하여 레일홈과 고정대(35) 사이에 볼트(36)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볼트에 형성된 70˚∼80˚ 각도를 갖는 나사와 조절기(34)를 통해 핸드폰 지지대(32)가 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핸드폰 지지대(3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The mobile
상기 핸드폰 지지대(32)는 레일홈(37)과 지지부(38)를 구비하여 레일홈과 고정대(35) 사이에 볼트(36)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볼트에 70˚∼ 80˚ 각도를 갖는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에 결합된 조절기(34)를 좌우로 돌리면 핸드폰 지지대(32)가 볼트에 형성된 나사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움직이게 되어 핸드폰 지지대(3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The mobile
다른 종류(사이즈)의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 다른 사이즈의 커넥터(13,14)를 구비하여 핸드폰에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핸드폰 지지대(32)에 핸드폰을 삽입하게 되면 고정커넥터(33)가 연결되어 충전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a mobile phone with a
상기 핸드폰 지지대(32)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좌우로 움직여 핸드폰을 삽입하면 지지대의 탄성력에 의해 더욱더 견고하게 핸드폰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mobile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삭제 또는 구성의 부가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축전지(케이스 내장) 11: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
12: 커버 13,14: 커넥터
15: 화살표 17: 보조 배터리 또는 무선충전패드
18: 가운데 홈 19: 충전상태 표시등
20: 지지핀 21: 지지홈
22: 연결장치 23: 전원코드
24: 구멍 25: 단자
30: 축전지 31: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
32: 핸드폰 지지대 33: 고정 커넥터
34: 조절기 35: 고정대
36: 볼트 37: 레일홈
38: 지지부 39: 충전표시등
40: 연결부 41: 상용전원 10: Battery (Built-in case) 11: AC / DC converter and charger
12:
15: Arrow 17: Auxiliary battery or wireless charging pad
18: Center groove 19: Charging status indicator
20: support pin 21: support groove
22: connection device 23: power cord
24: hole 25: terminal
30: Battery 31: AC / DC converter and charger
32: Cell phone support 33: Fixed connector
34: regulator 35:
36: Bolt 37: Rail groove
38: Support part 39: Charging indicator
40: connection 41: commercial power source
Claims (7)
상기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내장된 축전지(10),
상기 축전지는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 일단의 외측면에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11)가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 표시등(19)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타측의 외측면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커넥터(13,14)가 구비 되며,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홈(18)이 형성되고 상기 홈 일측면에는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25)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에는 핸드폰 지지커버(12)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핀(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지지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핸드폰 지지커버(12)에는 복수 개의 지지핀(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핸드폰 삽입 또는 장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harger having a battery and includes an AC / DC converter and a charger (11) including a charging circuit that receives an AC power from a power cord (23) and converts the applied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nd outputs a DC voltage ),
A built-in battery (10) f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charger,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charger 11 ar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case, and a charging status indicator 19 for confirm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 plurality of connectors (13, 14)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the plurality of connectors are provided with connecting portions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case,
A groove (18) for inserting a battery or an auxiliary battery incorporated in a mobile phon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a terminal (25) for charging a battery or an auxiliary battery built in a mobile phon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oove,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2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ins 20 formed on the cellphone support cover 12 and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21 are formed on the cellphone support cover 12, And a hole (2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in (20) so that a mobile phone can be inserted or mounted. The portable charger
The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ors (13, 14) of different sizes ar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a case having a built-in battery for charging mobile phones of different sizes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의 케이스 상부에 홈(18)이 형성되어 핸드폰을 올려놓아 핸드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보조 배터리(17)를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oove (18) is formed in an upper part of a case of a portable charger provided with a battery so that a built-in battery can be charged or a supplementary battery (17) can be charged by placing a cell phone Portable charger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의 케이스 상부에 홈(18)이 형성되어 충전 가능한 핸드폰을 상기 홈에 올려놓아 휴대 중에 핸드폰 지지를 위한 핸드폰 지지커버(12)의 지지핀이 케이스 상부에 형성된 지지홈(21)에 결합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3,
A groove 18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of the portable charger provided with the battery so that the chargeable cell phone is placed on the groove so that the support pin of the cell phone support cover 12 for supporting the cell phone during carrying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21 The portable charger is equipped with a battery,
전원코드(23)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내장된 축전지에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31)를 구비하며,
상기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31)로부터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축전지(30)를 구비하며,
상기 축전지는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 일단의 외측면에는 교류/직류변환기 및 충전기(31)가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 표시등(39)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드폰 지지대(32)가 구비되며,
상기 핸드폰 지지대는 레일홈(37)과 지지부(38)를 구비하여 레일홈과 고정대(35) 사이에 볼트(36)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볼트에 70˚∼ 80˚ 각도를 갖는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에 결합된 조절기(34)를 좌우로 돌리면 핸드폰 지지대(32)가 볼트에 형성된 나사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의 외측면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커넥터(13,14)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To a portable charger equipped with a battery
An AC / DC converter and a charger 31 including a charging circuit so that the AC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cord 23 is converted into a DC voltage and the DC voltage outputted is charged into the built-in battery In addition,
And a battery (30) for receiving and charging a DC voltage from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charger (31)
The AC / DC converter and the charger 31 ar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case, and a charging status indicator 39 for confirming the charging status of the battery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a cell phone support 32 capable of adjusting its width,
The mobile phone support base includes a rail groove 37 and a support portion 38. A bolt 36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rail groove and the fixing base 35 and a screw having an angle of 70 to 80 degrees is formed in the bolt, When the adjuster (34) coupled to the screw is turned to the left or right, the cell phone support (32) is configured to move while moving left and right by a screw formed in the bolt,
Wherein a plurality of connectors (13, 14)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ase, and a connection portion (40) is provided so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ors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se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nector (13, 14) of another size is provided for charging a mobile phone of a different type (size) and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o charge the mobile 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into the mobile phone support,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harge the portable charger
The portable charg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obile phone support base (3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can support the mobile phone firm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bas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02122A KR101437948B1 (en) | 2013-01-08 | 2013-01-08 |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02122A KR101437948B1 (en) | 2013-01-08 | 2013-01-08 |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89972A KR20140089972A (en) | 2014-07-16 |
| KR101437948B1 true KR101437948B1 (en) | 2014-09-12 |
Family
ID=5173785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021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7948B1 (en) | 2013-01-08 | 2013-01-08 |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37948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75778B1 (en) * | 2017-09-21 | 2018-07-06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troage device for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of console for car |
| KR20190033336A (en) * | 2017-09-21 | 2019-03-29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troage device for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of console for ca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793727B2 (en) | 2014-10-10 | 2017-10-17 | Samsung-Electro-Mechanics Co., Ltd. |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
| KR101659215B1 (en) * | 2014-10-10 | 2016-09-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Wireless charger |
| CN105576725B (en) * | 2014-10-15 | 2018-03-16 |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 Backup power supply device, battery assembly thereof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92633B1 (en) * | 2015-08-26 | 2017-01-03 | 장홍인 | charger |
| KR101968092B1 (en) * | 2016-12-30 | 2019-04-11 | 에스엘 주식회사 |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136327A (en) * | 2010-06-14 | 2011-12-21 | (주)펀셀 | Portable terminal auxiliary power supply that can be attached to the protective case |
| KR20120087025A (en) * | 2011-01-27 | 2012-08-06 |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 Mobile device recharging and mounting apparatus |
-
2013
- 2013-01-08 KR KR1020130002122A patent/KR1014379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136327A (en) * | 2010-06-14 | 2011-12-21 | (주)펀셀 | Portable terminal auxiliary power supply that can be attached to the protective case |
| KR20120087025A (en) * | 2011-01-27 | 2012-08-06 |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 Mobile device recharging and mounting apparatus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75778B1 (en) * | 2017-09-21 | 2018-07-06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troage device for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of console for car |
| KR20190033336A (en) * | 2017-09-21 | 2019-03-29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troage device for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of console for car |
| KR101976430B1 (en) | 2017-09-21 | 2019-05-10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troage device for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of console for car |
| US10868433B2 (en) | 2017-09-21 | 2020-12-15 | Seoyon E-Hwa Co., Ltd. |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storage device of console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89972A (en) | 2014-07-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37948B1 (en) | Portable charging equipment with battery | |
| KR101356309B1 (en) |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Using Variable Chargeable Battery | |
| EP2685542B1 (en) | Mobile charger | |
| US20080231225A1 (en) |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and clothing assembly having the same | |
| KR101290890B1 (en) |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
| US20120196658A1 (en) |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ith Exchangeable Battery Cell | |
| KR101945842B1 (en) | Auxiliary battery attached mobile terminal | |
| CN103855763A (en) | Base and tablet personal computer | |
| KR101982507B1 (en) | Auxiliary battery module of variable capacity type | |
| CN221531012U (en) | Treasured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harge | |
| CN209748765U (en) | With supporting receiver that charges that uses of bluetooth headset | |
| CN102157969B (en) | Portable charge device | |
| KR200478882Y1 (en) | Portable power pack | |
| KR101290321B1 (en) | Battery have USB Port and Charge Circuit | |
| CN202931002U (en) | Portable charging device | |
| CN104505884A (en) | Chewing gum type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 |
| KR20150106296A (en) | Auxliary battery for mobile device | |
| CN214958907U (en) | Vertical wireless charging support | |
| CN211556886U (en) | Bluetooth headset of battery can freely change box that charges | |
| CN210608618U (en) | Simple charging seat | |
| CN210838370U (en) | A reverse charging OBD device | |
| CN211046525U (en) | Bandage type multifunctional intelligent battery charger | |
| KR20170138120A (en) | Supplementary battery for Bluetooth mobile phone | |
| KR200372446Y1 (en) | TTA standard battery charging system | |
| KR101631014B1 (en) | Divisible storage cel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83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