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76B1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Google Patents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7976B1 KR101437976B1 KR1020070131432A KR20070131432A KR101437976B1 KR 101437976 B1 KR101437976 B1 KR 101437976B1 KR 1020070131432 A KR1020070131432 A KR 1020070131432A KR 20070131432 A KR20070131432 A KR 20070131432A KR 101437976 B1 KR101437976 B1 KR 1014379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member
- slide
- elements
- portable terminal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과, 상기 슬라이딩이 일 방향으로 편향되게 하기 위한 자력 또는 탄성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자력유닛 및 탄성력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including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which are slidab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magnetic force unit and an elastic force unit which generate a magnetic force or an elastic force for deflecting the slide in one direction, And a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 개의 바디들을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for connecting two bodies relatively slidably.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hich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reception of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In an embodiment,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나아가, 단말기의 바디들 간의 상대 운동에서도 새로운 운동 형태를 제공하 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Furtherm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vide a new form of exercise in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bodies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e module of another typ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조작 시 그의 움직임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s movement step by step when operating the slide modul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과, 자력 유닛 및 탄성력 유닛을 포함한다.A sli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s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a magnetic force unit and an elastic force unit.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은 상대적인 슬라이딩 가능하게 서로에 대하여 결합 된다. 상기 자력 유닛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구간의 양 종료점들 중 일 지점으로 편향되도록 하는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일 지점에서 이탈 시에,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일 지점을 향해 편향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are relatively slidab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magnetic force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such that the second slide member is deflected to on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nd points of the sliding section. The elastic force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second slide member is biased toward the one point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is released from the one poi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력 유닛은 상기 양 종료점들에 인접하게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요소들과,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요소와 마주하는 제3 및 제4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3 요소들과 상기 제2 및 제4 요소들 각각에서 어느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 또는 상기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는 다른 자석을 포 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gnetic force unit comprises first and second elements respectively located adjacent to the positive end points, and second and third elements located respectively at opposite ends of the second slide member, And third and fourth elements facing each other. One of the first and third elements and the second and fourth elements, respectively, may be a magnet, and the other may include a magnet or other magnet arranged to generate attractive force with the magnet.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및 제4 요소들은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이루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이 슬라이드 모듈의 슬림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and fourth elements are located in a plane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plane formed by the second slide member from the viewpoint of slimming down the slide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탄성력 유닛은 상기 제3 및 제4 요소들을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일 지점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제1과 제3 요소들 또는 상기 제2와 제4 요소들이 서로 분리되기 전까지 일정 범위 내에서 인장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force unit may include a pair of springs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elements to both ends of the second slide member, respectively. Any one of the pair of springs may be tensioned within a certain range until the first and third elements or the second and fourth eleme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the second slide member is disengaged from the one point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 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2 바디에 결합 된다.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nd a slide module as described above that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in a slidable manner. The first slide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slide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요소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양 단부와 인접한 부분들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lements may be respectivel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lide member, or may be located at portions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first body.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주면에는 제거된 일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제거된 부분을 통해서는 상기 제1 바디에 장착된 일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ved portion is formed on a main surface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an element mounted on the first body can be protruded through the removed portion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과 함께 자력 유닛과 탄성력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 시에 자력뿐만 아니라 탄성력까지 발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이 2가지 종류의 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게 한다.The slid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magnetic force unit and the elastic force unit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so that not only the magnetic force but also the elastic force is exerted at the time of sliding, It can be influenced by the kind of force.
상기 2 종류의 힘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휘됨에 따라서는,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 시 상기 슬라이딩 동작의 구간들이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As the two types of forces complement each other, the sections of the sliding operation can be smoothly connected during operation of the slide module.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슬라이딩 조작할 때 보다 부드러운 동작에 따른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한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slide module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ser can feel a smoother motion than when sliding the user.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 및 20)는 통칭하여 본체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 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ommunication mod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 casing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 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The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 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The
제2 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제1 음향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commands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 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s, the
상기 제1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제2 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 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하부 커버(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또한, 하부 커버(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32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33 that slidably couples the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하부 커버(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하부 커버(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하부 커버(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도 3은 도 2의 슬라이드 모듈(33)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참조번호 100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33 of FI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lide module will be referred to as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모듈(100)은 상대적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110 및 120)을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 부재(110)는 제2 슬라이드 부재(120) 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슬라이드 부재들(110 및 120)은 대체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면, 이들의 양단부에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레일부(111 또는 121)가 형성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110)의 일 부분에는 일정 부분이 제거된 제거부(115)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제2 슬라이드 부재(120)는 제1 슬라이드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부에 인접한 지점들(종료점들, end points)을 경계로 하는 슬라이딩 구간 내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The
이러한 제2 슬라이드 부재(120)의 슬라이딩 중에, 제2 슬라이드 부재(120)가 상기 종료점들 중 일 지점으로 편향되게(bias) 하기 위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유닛(130)이 제공된다.During the sliding of the
상기 자력 유닛(130)은 제1 슬라이드 부재(110)의 양단부 또는 종료점들에 인접하게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요소들(131 및 132)과, 제2 슬라이드 부재(120)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3 및 제4 요소들(133 및 134)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제1 요소(131)는 제3 요소(133)와 대응되는 짝을 이루고, 제2 요소(132)는 제4 요소(134)와 대응되는 짝을 이룬다. 위와 같은 짝들에 있어서, 어느 하나가 자석이라면, 다른 하나는 그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관계에 있는 자성체 또는 다른 자석이다.In this embodiment, the
제3 및 제4 요소들(133 및 134)이 제2 슬라이드 부재(120)가 이루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된다면, 다시 말해서 전자가 후자와 병렬적으로 배치된다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들(110 및 120) 사이에 슬라이드 모듈의 반자동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스프링 등을 배치하는 경우보다 슬라이드 모듈(100)의 슬림화에 유리하다.If the third and
상기 자력 유닛(130)에 더하여, 상기 슬라이딩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유닛(140)이 추가로 구비된다. 탄성력 유닛(140)은 제2 슬라이드 부재(120)가 상기 일 지점에서 이탈하려는 과정에서 제2 슬라이드 부재(120)가 상기 일 지점을 향해 편향되게 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o the
본 실시예에서, 탄성력 유닛(140)은 제3 요소(133)와 제2 슬라이드 부재(120)를 연결하는 제1 스프링(141)과, 제4 요소(134)와 제2 슬라이드 부재(120)를 연결하는 제2 스프링(14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프링(141 및 142)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의 동작 방식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도 3에서는, 제1 요소(131)가 제3 요소(133)와 자기적으로 결합 됨에 따라, 제2 슬라이드 부재(120)가 제1 슬라이드 부재(110)의 양 종료점들 중 일 지점에 위치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In Figure 3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2 슬라이드 부재(120)가 양 종료점들 중 다른 지점을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제1 스프링(141)이 늘어나게 된다. 제1 스프링(141)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120)는 원래의 위치로 편향되려 하기에, 제2 슬라이드 부재(120)가 진행되려는 방향에 대해서는 탄성적인 저항력이 작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as the
제1 스프링(141)의 변형에도 불구 하고, 일정 수준까지 제1 요소(131)와 제3 요소(133) 사이에는 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요소(131)와 제3 요소(133) 간의 결합이 유지된다. A magnetic force acts between the
도 5를 참조하면, 제2 슬라이드 부재(120)가 이동되게 하는 힘이 제1 요소(131)와 제3 요소(133) 사이의 자력을 넘어섬에 따라, 제1 요소(131)와 제3 요소(133)가 서로에게서 분리된다.Referring to FIG. 5, as the force for moving the
다시 말해서, 제2 슬라이드 부재(120)를 이동시켜도 제1 요소(131)와 제3 요소(133)가 일시에 분리되지 않고 제1 스프링(141)의 탄성력이 일정 수준까지 작용한 후에나 분리되게 된다.In other words, even if the
그에 의해, 제2 슬라이드 부재(120)를 이동시킬 때, 일차적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고, 이차적으로 자력이 작용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제2 슬라이드 부재(120)를 슬라이딩 시킬 때, 탄성력이 자력으로 부드럽게 전이되는 느낌을 얻을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제3 요소(133)는 제1 스프링(141)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슬라이드 부재(120)에 다시 밀착되게 된다. 또한, 제4 요소(134)가 제2 요소(132)와 가까워짐에 따라, 이들 사이에는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The
도 6을 참조하면, 제4 요소(134)와 제2 요소(132)간의 자기적 인력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20)의 이동에 따른 관성에 의해, 사용자가 더 이상 제2 슬라이드 부재(120)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제2 슬라이드 부재(120)는 도 6과 같이 다른 종료점에 위치하게 된다. 6, the magnetic attraction between the
상기 다른 종료점에서, 제4 요소(134)는 제2 요소(132)와 자기적으로 결합 된 상태이다. 제3 요소(133)는 제1 스프링(141)에 의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120)의 일 단부에 밀착된다. At the other end point, the
도 6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의 변환되는 과정은 앞서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state of FIG. 6 to the state of FIG. 3 will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도 7은 단말기에 슬라이드 모듈(100)이 결합 된 구체적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or showing a concrete state in which the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슬라이드 부재(110)은 제1 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의 주면에 결합 된다. 제2 슬라이드 부재(120)는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 이스(21)에 결합 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제1 슬라이드 부재(110)와 제2 슬라이드 부재(120) 사이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대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 바디(10)는 제2 바디(20)에 대하여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relative movement of the
나아가, 제1 슬라이드 부재(110)에 제거부(115)가 형성됨에 따라, 제1 바디(10) 내부에 배치되는 일 부품(E)은 제거부(115)를 통해 일정 수준 돌출된 채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부품(E)이 제1 바디(10)의 두께를 결정하는 부품이라면, 그의 일 부분이 외부로 돌출하게 됨에 따라 제1 바디(10)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the
도 8은 도 7의 일 변형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7. FIG.
상기 변형예에 따르면, 제1 요소(131') 및 제2 요소(132')는 제1 슬라이드 부재(110)가 아닌 제1 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요소(131') 및 제2 요소(132')는 각각 제1 슬라이드 부재(110)의 양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리어 케이스(12)의 주면과 일치하도록(flush with)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the first element 131 'and the second element 132' may be disposed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 type shown in Fig. 1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folder type and a swing type.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41), 조작부(16,23,24), 영상 입력부(15,28), 음향입력부(25), 디스플레이 부(13), 음향 출력부(14,31), 센싱유닛(46), 인터페이스(26), 방송 수신 모듈(45), 메모리(44), 전원공급부(27),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9,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무선 통신 모듈(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43)를 포함한다.The
조작부(16,23,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40)에 제공한다. 조작부(16,23,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영상 입력부(15,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5,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음향 입력부(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음향 출력부(14,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The
센싱 유닛(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인터페이스(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메모리(44)는 제어부(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방송 수신 모듈(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31),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확대 사시도.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of Figure 2;
도 4는 도 3의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제1 요소와 제3 요소가 분리되기 직전의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immediately before the first and third elements are separated as the second slide member of Figure 3 moves.
도 5는 도 4의 제2 슬라이드 부재가 더 이동함에 따라, 제1 요소와 제3 요소가 분리되고 제2 요소와 제4 요소가 자기적 인력을 발생시키려는 상태의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with the first and third elements separated and the second and fourth elements trying to generate magnetic attraction as the second slide member of Figure 4 moves further.
도 6은 도 5의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추가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요소와 제4 요소가 자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module with the second and fourth elements engaged by magnetic attraction as the second slide member of Figure 5 is further moved.
도 7은 단말기에 슬라이드 모듈이 결합된 구체적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or showing a specific state in which a slide module is coupled to a terminal. FIG.
도 8은 도 7의 일 변형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7;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31432A KR101437976B1 (en) | 2007-12-14 | 2007-12-14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31432A KR101437976B1 (en) | 2007-12-14 | 2007-12-14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63905A KR20090063905A (en) | 2009-06-18 |
| KR101437976B1 true KR101437976B1 (en) | 2014-09-15 |
Family
ID=4099279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314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7976B1 (en) | 2007-12-14 | 2007-12-14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37976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76816Y1 (en) * | 2004-12-09 | 2005-03-10 | 이근주 | Slide type Module of cellular phone |
-
2007
- 2007-12-14 KR KR1020070131432A patent/KR1014379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76816Y1 (en) * | 2004-12-09 | 2005-03-10 | 이근주 | Slide type Module of cellular pho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63905A (en) | 2009-06-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29913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 KR101427264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728387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566281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 KR101441919B1 (en) |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 |
| KR101604703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 KR100983728B1 (en) | Handheld terminal | |
| KR101437976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 KR101545571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474430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595347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 KR101442543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474449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427275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513621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545594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513304B1 (en) |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 |
| KR101595358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587136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474435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570378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545572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 |
| KR101474444B1 (en) | Portable terminal | |
| KR101587134B1 (en) | Mobile terminal | |
| KR101413472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83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