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8309B1 -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309B1
KR101438309B1 KR1020130021140A KR20130021140A KR101438309B1 KR 101438309 B1 KR101438309 B1 KR 101438309B1 KR 1020130021140 A KR1020130021140 A KR 1020130021140A KR 20130021140 A KR20130021140 A KR 20130021140A KR 101438309 B1 KR101438309 B1 KR 10143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hooking
seat
child
ho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창규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022/003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for restraining detai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어린이가 차량에 탑승하여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된 시트벨트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어린이의 하체부위를 타이트하게 구속하지 못하여 전방 충돌 시에는 하체의 전방 거동량을 제어하지 못하여 앞좌석시트에 부딪히고, 측면 충돌 시에는 좌,우 유동이 커서 신체가 사이드유리 부분이나 딱딱한 도어트림에 부딪치면서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트랙터(110)에서 어퍼앵커(120)를 통해 출입되는 웨빙(200)에는 버클(13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텅(140)이 이동되게 끼워지고, 웨빙(200)의 선단은 로워앵커(150)에 고정되어 3점식으로 착용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로워앵커(150)와 가까운 근거리에 위치되어 어린이 탑승자의 허리 일측면에 놓이도록 웨빙(200) 이면에 걸이공(211)이 구비되게 부착되는 걸이부(210)와; 시트쿠션(310)과 등받이(320)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챤넬(330)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선단이 시트쿠션(310)과 등받이(320)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걸이(400)와; 일단에는 상기 걸이부(210)의 걸이공(211)에 걸어 연결하는 걸고리부(5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고정걸이(400)에 걸 수 있도록 후크(520)가 구비되는 연결용 웨빙(500)이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착용시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하체부위를 타이트하게 구속할 수 있음에 따라 차량 충돌이 발생될 경우 어린이 하체부위의 상해치를 현저하게 줄여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adjusting position delic of seatbelt webbing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성인용 3점식 시트벨트를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착용한 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벨트로 하여금 어린이의 하체를 타이트하게 구속하여 차량 충돌 시 어린이의 상해치를 줄여 어린이의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차원을 구속하는 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의 구속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사고 시에 승차원을 구속하여 핸들이나 인스트루패널 등에 2차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원이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승차원 구속장치로는 시트벨트, 에어백 등이 있다.
상기의 시트벨트 종류로는 2점식벨트, 3점식벨트, 다이어고널벨트, 풀허네스식벨트 등이 있으며, 2점식 벨트는 허리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허리벨트(랩벨트)라고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어께벨트(숄더벨트)부분이 없기 때문에 충돌 시 상체 구속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승차원의 차외방출 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3점식벨트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따로 분리되어 철구조물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 3점식벨트와, 허리벨트와 어깨벨트 두가닥이 연속된 한 줄의 웨빙으로 구성되어 텅플레이트가 웨빙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립되는 연속 3점식 벨트가 있는데 착용자의 안전성을 볼 때 시트벨트는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고, 충돌 시의 승차원 보호성능이 뛰어나며 실용성도 높아 근래에는 뒷좌석의 경우에도 2점식 허리벨트 대신에 3점식 시트벨트(이하 시트벨트라 칭함)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시트벨트는 정상적인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착용상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도로에서 6세 미만의 유아는 보조 카시트를 장착하고 좌석 안전띠를 매도록 도로교통법으로 의무화 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 카시트에 앉을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한 6세 ~ 10세 미만의 어린이의 경우에는 특별한 안전장치 없이 조수석이나 뒷좌석에 그대로 앉아 성인용 시트벨트를 매고 있는 실정이다.
즉, 어린이가 차량에 탑승시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앞좌석보다는 뒷좌석에 앉게 되는데 어린이가 성인용 시트벨트를 착용게 되면 시트벨트가 어린이를 타이트하게 구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 충돌이 일어나게 되면 신체가 앞으로 쏠리면서 앞좌석시트에 부딪치게 되는데 상체 부분인 머리와 목부분은 주로 앞좌석시트의 헤드레스트에 부딪치고, 하체부위인 무릎이나 대퇴부는 주로 앞좌석시트의 시트백에 부딪치게 된다.
그런데 머리나 목이 부딪히는 헤드레스트는 보통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어 어느 정도의 충격흡수가 가능하나 무릎이나 대퇴부가 부딪치게 되는 시트백의 내부에는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충돌 시 변형되지 않도록 통상 강철로 된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어 시트백에 부딪힐 경우에는 무릎이나 대퇴부에 심각한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 에서와 같이 성인이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로워앵커(10)와 신체와의 거리(L)가 멀지 않아 하체를 타이트하게 구속하기 때문에 충돌시 신체의 유동이 크지 않아 신체의 상해치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것이나 도 2에서와 같이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착용할 경우에는 로워앵커(10)와 신체 사이의 거리(L)가 멀어지게 되어 하체를 타이트하게 구속하지 못하여 전방 충돌 시에는 하체의 전방 거동량을 제어하지 못하고, 앞좌석시트에 부딪히고, 측면 충돌 시에는 좌,우 유동이 커서 신체가 사이드유리 부분이나 딱딱한 도어트림에 부딪치면서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된 성인용 시트벨트를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착용한 상태에서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하체부위를 타이트하게 구속할 수 있음에 따라 차량 충돌이 발생될 경우 어린이 하체부위의 상해치를 현저하게 줄여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트랙터에서 어퍼앵커를 통해 출입되는 웨빙에는 버클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텅이 이동되게 끼워지고, 웨빙의 선단은 로워앵커에 고정되어 3점식으로 착용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로워앵커와 가까운 근거리에 위치되어 어린이 탑승자의 허리 일측면에 놓이도록 웨빙 이면에 걸이공이 구비되게 부착되는 걸이부;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챤넬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선단이 시트와 등받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걸이; 일단에는 상기 걸이부의 걸이공에 걸어 연결하는 걸고리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고정걸이에 걸 수 있도록 후크가 구비되는 연결용 웨빙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린이가 탑승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한 후 시트벨트에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어린이의 하체부위를 타이트하게 구속할 수 있음에 따라 차량 충돌 시 하체부위의 상해치를 줄여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성인이 안정적으로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종래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어린이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a,3b,3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조립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연결용 웨빙 양단에 걸고리부와 연결링을 조립하기 전이고, 도 3b는 연결용 웨빙 양단에 걸고리부와 연결링을 조립한 상태이고, 도 3c는 연결링에 후크를 조립한 상태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예시한 결합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벨트의 웨빙에 걸이부를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후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사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후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사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3b,3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조립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연결용 웨빙 양단에 걸고리부와 연결링을 조립하기 전이고, 도 3b는 연결용 웨빙 양단에 걸고리부와 연결링을 조립한 상태이며, 도 3c는 연결링에 후크를 조립한 상태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예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벨트의 웨빙에 걸이부를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후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사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후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사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트랙터(110)에서 어퍼앵커(120)를 통해 출입되는 웨빙(200)에는 버클(13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텅(140)이 이동되게 끼워지고, 웨빙(200)의 선단은 로워앵커(150)에 고정되어 3점식으로 착용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로워앵커(150)와 가까운 근거리에 위치되어 어린이 탑승자의 허리 일측면에 놓이도록 웨빙(200) 이면에 걸이공(211)이 구비되게 부착되는 걸이부(210)와; 시트쿠션(310)과 등받이(320)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챤넬(330)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선단이 시트쿠션(310)과 등받이(320)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걸이(400)와; 일단에는 상기 걸이부(210)의 걸이공(211)에 걸어 연결하는 걸고리부(5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고정걸이(400)에 걸 수 있도록 후크(520)가 구비되는 연결용 웨빙(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린이가 시트에 착석하여 리프랙터(110)에서 어퍼앵커(120)를 통해 출입되는 웨빙(200)을 당겨서 웨빙(200)에 설치된 텅(140)을 버클(130)에 끼워 어린이를 시트벨트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하체를 타이트하게 구속하여 어린이와 로워앵커(150)와의 횡방향 사이를 좁혀 차량 충돌 시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트의 시트쿠션(310)에 어린이가 착석하여 시트벨트를 착용 시 로워앵커(150)와 가까운 근거리에 위치되면서 어린이의 허리 일측면에 놓이는 웨빙(200)의 안쪽에 걸이공(211)이 구비되게 걸이부(210)를 설치한다.
여기서 걸이부(210)는 웨빙(200)과 같은 재질로 구비하여 걸이부(210)를 웨빙(200)에 덧대어 박음질하여 걸이부(210)를 웨빙(200)에 고정시키는 것이 보다 더 걸이부(2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걸이(400)를 구비하여 선단이 시트쿠션(310)과 등받이(320)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시트쿠션(310)과 등받이(320)사이의 내부에 설치된 챤넬(330)에 고정한다.
여기서 고정걸이(400)는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유아용 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이소픽스(ISOFAX)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에는 고정걸이(4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일단에는 걸고리부(5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후크(520)가 구비된 연결용 웨빙(500)을 구비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연결용 웨빙(500)의 타단에 연결링(530)을 구비하고, 그 연결링(530)에 후크(520)를 연결한다.
따라서 도 3a에서와 같이 우선 연결용 웨빙(500)의 일단은 걸고리부(510)에 끼워지게 하고, 타단은 연결링(530)에 끼워지게 한 다음 도 3b에서와 같이 연결용 웨빙(500)의 양단을 각각 박음질하여 걸고리부(510)와 연결링(530)이 연결용 웨빙(50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이후 도3c에서와 같이 후크(520)를 연결링(530)에 끼워 결합되게 하는데 연결링(530)의 내면 일단에는 걸림턱(522)이 구비된 링삽입부(5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크(520)를 연결링(530)에 끼워 연결링(530)의 일단이 링삽입부(521)에 위치되게 하면 연결링(530)은 걸림턱(522)에 의해 링삽입부(521)에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후크(520)를 연결링(530)에서 분리하기 전에는 후크(520)는 연결링(530)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처럼 연결용 웨빙(500)일단에는 걸고리부(510)가 고정되게 하고, 타단에는 연결링(530)과 후크(520)가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연결용 웨빙(500)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면 소비자는 평상시에는 연결용 웨빙(500)을 차량의 글로브박스나 시트 밑면의 언더트레이 등 수납공간에 보관하고 있다가 어린이가 탑승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어린이에게 시트벨트를 착용시킨 후 연결용 웨빙(500)을 꺼내 타단의 후크(520)를 고정걸이(400)에 걸어주고 일단의 걸고리부(510)를 웨빙(200)에 고정된 걸이부(210)에 걸어주게 되면 연결용 웨빙(500)이 웨빙(200)을 당겨 어린이의 신체가 시트벨트에 의해 하체가 완전히 구속되어 신체의 유동발생이 줄어들기 때문에 차량의 정면충돌이나 측면충돌이 발생되어도 하체의 이동을 구속하여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조절장치를 사용하고난 이후에는 고정걸이(400)를 걸이부(210)에서 분리하고 후크(520)는 고정걸이(400)에서 분리하여 연결용 웨빙(500)을 별도로 보관하면 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 리트렉터 120 : 어퍼앵커
130 : 버클 140 : 텅
150 : 로워앵커 200 : 웨빙
210 : 걸이부 211 : 걸이공
310 : 시트쿠션 320 : 등받이
330 : 챤넬 400 : 고정걸이
500 : 연결용 웨빙 510 : 걸고리부
520 : 후크 521 : 링삽입부
522 : 걸림턱 530 : 연결링

Claims (4)

  1. 리트랙터(110)에서 어퍼앵커(120)를 통해 출입되는 웨빙(200)에는 버클(13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텅(140)이 이동되게 끼워지고, 웨빙(200)의 선단은 로워앵커(150)에 고정되어 3점식으로 착용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로워앵커(150)와 가까운 근거리에 위치되어 어린이 탑승자의 허리 일측면에 놓이도록 웨빙(200) 이면에 걸이공(211)이 구비되게 부착되는 걸이부(210);
    시트쿠션(310)과 등받이(320)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챤넬(330)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선단이 시트쿠션(310)과 등받이(320)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걸이(400);
    일단에는 상기 걸이부(210)의 걸이공(211)에 걸어 연결하는 걸고리부(5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고정걸이(400)에 걸 수 있도록 후크(520)가 구비되는 연결용 웨빙(500);
    으로 구성되며 챤넬(330)과 고정걸이(400)는,
    유아용 카시트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차량에 구비되는 이소픽스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걸이부(210)는,
    웨빙(200)과 같은 재질로 구성하여 걸이부(210)를 웨빙(200)에 덧대어 박음질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용 웨빙(500)의 타단에는 후크(5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링(530)을 구비하고,
    후크(520)의 내면 일단에는 연결링(530)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턱(522)이 구비된 링삽입부(5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20130021140A 2013-02-27 2013-02-27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38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40A KR101438309B1 (ko) 2013-02-27 2013-02-27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40A KR101438309B1 (ko) 2013-02-27 2013-02-27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309B1 true KR101438309B1 (ko) 2014-09-04

Family

ID=5175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1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8309B1 (ko) 2013-02-27 2013-02-27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3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10Y1 (ko) * 1997-11-25 2000-05-01 정몽규 유아 보호용 4점식 시트벨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10Y1 (ko) * 1997-11-25 2000-05-01 정몽규 유아 보호용 4점식 시트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478B2 (en) Child safety seat with structural support
US8500196B2 (en) Child seat having a crush zone
US8348337B2 (en) Child safety seat with energy absorbing apparatus
US6846020B2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US20040140660A1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lap belt adjustment device
US9981629B2 (en) Child restraint system for use in vehicles
US7316451B2 (en) Wearable side impact protector
KR101716568B1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EP2847034B1 (en) Harness guard safety system
KR101304755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43830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US20160114760A1 (en) Safety harnesses
KR101304794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20036114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10130465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574442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CN105270216A (zh) 儿童安全座椅及其使用方法
KR100618087B1 (ko) 시트벨트 장치
GB2044074A (en) Kit for a safety restraining system for use in a vehicle
AU2022209313A1 (en) Top tether dampener
KR200267957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200303450Y1 (ko) 착용력이 우수한 일체형 안전벨트
KR200485361Y1 (ko) 착용이 편이하고 미관이 향상된 차량용 시트벨트
KR20060014838A (ko) 유아용 시트벨트 장치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