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9137B1 - A Pop-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Shape Shift Pattern - Google Patents

A Pop-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Shape Shift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137B1
KR101439137B1 KR1020120145315A KR20120145315A KR101439137B1 KR 101439137 B1 KR101439137 B1 KR 101439137B1 KR 1020120145315 A KR1020120145315 A KR 1020120145315A KR 20120145315 A KR20120145315 A KR 20120145315A KR 101439137 B1 KR101439137 B1 KR 101439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input button
vehicle
pop
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6831A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137B1/en
Publication of KR2014007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13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 차량의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자동변속레버를 터치 인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로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팝업모터에 의하여 차량 콘솔의 외측으로 팝업되어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팝업모터는 차량의 시동시에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식변속레버의 부피를 저감하고, 차량 충돌시 변속레버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hift selector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ft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including an automatic shift lever including a touch recognition means; The pop-up motor is operated only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electronic shift lever and reducing the volume of the injury caused by the shift lever 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Description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A Pop-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Shape Shift Patter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 차량의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자동변속레버를 터치 인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로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팝업모터에 의하여 차량 콘솔의 외측으로 팝업되어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팝업모터는 차량의 시동시에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식변속레버의 부피를 저감하고, 차량 충돌시 변속레버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hift selector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ft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including an automatic shift lever including a touch recognition means; The pop-up motor is operated only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electronic shift lever and reducing the volume of the injury caused by the shift lever 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변속 레버는 기계식 변속레버와 전자식 변속레버가 있으며 최근 전자식 변속레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a shift lever provided in a vehicle for controlling a speed change stage of a vehicle includes a mechanical shift lever and an electronic shift lever, and the use of an electronic shift lever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그 중에서 상기 전자식 변속 레버의 경우는 차량 운전석 내부의 콘솔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콘솔의 상부로 레버가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쉽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기계식 변속 레버와 유사한 조작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손쉬운 변속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type shift lever, generally, the electronic shift lever is disposed on a console in a vehicle driver's seat, but a lever is protrud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sole to facilitate a user's operation. Such a configuration provides a feeling of operation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mechanical shift lever, thereby enabling a user to easily control the speed change gear.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의 일 예를 나타낸다.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type shift lever.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식 변속레버는 게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종래의 기계식 변속 레버의 변속패턴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로 하여금 레버 조작에 의하여 변속단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변속레버가 상부로 돌출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electronic type shift lever is formed by projecting the shift lever upward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speed change stage by operating the lever in the same manner as the shift pattern of the conventional mechanical type shift lever having a gate shap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nic type shift lever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는 종래의 기계식 변속레버 조작 방식과 유사하여 익숙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나, 이러한 동일한 조작감(레버를 앞뒤로 조작하는 방식임)은 전자식변속레버만의 특징적인 장점을 제공할 수 없다.- The conventional electronic type shift lever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type shift lever operating type, which enables familiar operation, but this same operational feeling (the way of operating the lever back and forth) can not provide the characteristic merit of the electronic type shift lever alone .

- 종래의 전자식 변속레버는 변속제어시 변속 레버가 각각의 변속단 위치로 이동해야 하므로 전자식 변속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며, 이는 차량 내부의 컵홀더 등의 수납공간 또는 필요한 버튼 기능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부족하게 하여 콘솔 레이아웃을 불리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electronic type shift lever has a large space occupied by the electronic shift lever since the shift lever must be moved to each shift position in the shift control. This is because it can accommodate a storage space such as a cup holder inside the vehicle or a necessary button fun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pace is insufficient and the console layout is disadvantageous.

- 종래의 전자식 변속레버는 운전자의 조작을 위하여 변속레버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차량 충돌에 의한 사고 발생시, 상기 변속레버에 운전자의 머리 등이 부딪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electronic type shift lever is dis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accident occurs due to a vehicle collision, the driver's head or the like may be hit by a driver so that a serious injury may be caused due to the shift lever protruding upward for operation of the driver.

- 종래의 전자식 변속레버는 차량의 콘솔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좋지 않고, 또한, 운전자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 내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변속레버에 구비된 변속단 표시등 등의 인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 Since the conventional electronic type shift lever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nsole of the vehicle,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and is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river, so that the shift lever does not enter the field of view of the driver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 차량의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자동변속레버를 터치 인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로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팝업모터에 의하여 차량 콘솔의 외측으로 팝업되어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팝업모터는 차량의 시동시에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식변속레버의 부피를 저감하고, 차량 충돌시 변속레버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shift lever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in which the automatic shift lever includes a touch recognition means Wherein the pop-up motor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only when the vehicle is started, and the pop-up motor is operated only when the vehicle is star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that reduces the volume of the lever and prevents injury caused by the shift lever when the vehicle collid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차량 변속단의 갯수와 동일한 복수의 갯수로 구비되는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각각 차량 변속단 중 하나를 입력하도록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 중 하나가 입력되면 할당된 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connected to a control portion of an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being provided in a plurality of numbers equal to the number of vehicle speed change stages, An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gear stage input button units is input, the shift is made to the assigned gear stage.

또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기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은 상하로 이동되도록 차량의 콘솔 내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기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팝업모터;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 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기 팝업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의 콘솔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스프링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차량의 콘솔 내측으로 실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The substrate is fixed in the console of the vehicle to be moved up and down, and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The substrate is moved up and down A pop-up motor; And a spring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to provide a tensile force to the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speed change input button portions are protruded outside the console of the vehicle by driving the pop-up motor or are mounted inside the console of the vehicle by a tensile force provided by the spring portion .

또한, 상기 팝업모터는, 차량의 구동부와 연계하여 차량의 시동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p-up mo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p-up motor is driven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when the vehicle is started, in association with a drive unit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에 각각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D단에 해당하는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부에 배치되고, R단에 해당하는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include a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assigned to the P-step, R-step, N-step, D-step, M-step,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nd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또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에 각각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P단, R단, N단, D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원형으로 배치되되, 일측단에 배치된 상기 P단을 시작점으로 순차 배치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D단이 상단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M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P단, R단, N단, D단의 중심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단 및 -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기 M단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include a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assigned to the P-step, R-step, N-step, D-step, M-step, However,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s allocated to the R-stage, N-stage, and D-stage are arranged in a circle, and the D-stage is disposed at the top end of the P-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 assigned to the M stage is dispos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P stage, the R stage, the N stage, and the D stage having a circular shape, and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 assigned to the + Respectively.

또한, 차량의 시동버튼이 상기 P단과 D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start button of the vehicle is disposed between the P-stage and the D-stage.

또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터치인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lurality of speed-change stage input button units include touch recognition means.

또한,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의 입력시 상기 표시부가 발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emit light when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 is operated.

또한, 상기 표시부는, 최종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진 변속단입력버튼부의 표시부만 발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display unit of the speed-change stage input button unit to which the final input is performed is made to emit ligh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차량의 시동시에 팝업모터에 의하여 변속레버가 콘솔면의 외부로 팝업되어 돌출되고, 터치인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미감 향상과 동시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차량의 시동을 거는 운전자에 의해서만 변속레버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shift lever is popped up outside the console surface by the pop-up motor at the time of starting the vehicle and includes the touch recognition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as improving the feel of the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ift lever can be operated only by the driver who starts the vehicle.

또한, 변속단의 배치를 차량의 진행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즉, 차 D단은 상부에 배치하고, R단은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arrangement of the speed change stages is arrang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vehicle D end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R end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또한, 변속레버를 버튼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와 비교하여 차량의 내부 콘솔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시 변속레버에 의하여 운전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ift lev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it is not protruded from the internal console of the vehicl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so that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the driver from being injured by the shift lever have.

마지막으로, 버튼형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변속레버는 종래의 자동변속레버와 비교하여 거의 돌출되지 않으며, 또한, 변속단의 변속이 변속단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변속레버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Finally, the shift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is hardly protrud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utomatic shift lever. Further, since the shifting of the speed change stage is performed by touching the speed change step button, the size of the shift lever is made small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it does not take up much space.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가 적용된 차량의 실내를 나타낸다.
도 5는 변속단입력부의 팝업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차량 시동시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변속단의 변경시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후진을 위한 R단 변속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전진을 위한 D단 변속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시동을 껐을 때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type shift lev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pop-up type electromagnetic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vehicle interior to which a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pop-up structure of the speed change stage input section.
Fig. 6 shows the operation steps of the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started.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ample of use at the time of changing the speed change stage.
9 shows an example of the R-speed shifting for the reverse.
Fig. 10 shows an example of D-speed shifting for forward movement.
Fig. 11 shows an example when the start is turned of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가 적용된 차량의 실내를 나타낸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having a G-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vehicle interior to which a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는 "G"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를 포함하는 변속레버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p-up type electronic type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hift lever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10 arranged in a "G"

그러나,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배치 및 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반드시 "G" 형태만으로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배치 역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rrangement and form of the speed-change input button unit 10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arranged in the "G" shape alone.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차량의 변속단을 구성하는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량 변속단의 갯수와 동일한 복수의 갯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입력에 의하여 변속단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speed change stage input button unit 10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peed as the number of the vehicle speed change stages so that the inputs of the P stage, R stage, N stage, D stage, M stage,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numbers. Each of the speed change input button portions 10 is connected to a control portion of th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vehicle so as to control the change of the speed change portion by the input of the speed change input button portion 1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공지의 터치인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운전자의 터치에 의하여 변속단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단을 누름으로써 입력이 이루어지는 공지의 어떠한 버튼 수단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 10 includes known touch recognition means. Therefore,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 10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gear position by a touch of a driv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known button means in which the input is made by pressing the top can be included.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차량이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차량 내부의 콘솔(100)의 내측으로 하강하여 차량 콘솔(100)의 미감을 해치지 않도록 구성되고, 차량의 시동이 이루어지면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변속단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When the vehicle is not driven, the gear range input button unit 10 is configured to descend to the inside of the console 100 inside the vehicle to prevent damage to the feel of the vehicle console 100. When the vehicle is started, So that the control of the speed ratio of the vehicle is made possible.

도 5는 이러한 상기 변속단입력부의 팝업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기판(20)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20)의 하부에 상기 기판(2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팝업모터(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팝업모터(3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모터가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이루어진 공지의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서는 상기 기판(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20)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비된다.5 shows a pop-up structure of the speed change stage input unit. To this end, the speed change stage input button unit 10 is disposed on a substrate 20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Up motor 3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substrate 20 is further provided. The pop-up motor 30 is a well known means for advancing or retracting the motor by a power source. In the pop-up type electronic type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raise the substrate 20.

따라서, 상기 팝업용모터는 차량의 구동부와 연계하도록 하여, 차량 시동시에 상기 팝업모터(30)가 작동하여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를 상승시켜 콘솔(100)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pop-up motor is linked with the driving por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pop-up motor 30 is operat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vehicle so that the speed-change input button portion 10 is raised and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onsole 100 .

한편,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의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가 차량 내부의 콘솔(100) 내측으로 하강하여 실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스프링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40)는 공지의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2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기판(20)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spring portions 40 are provided to allow the gear range input button portion 10 to be lowered and mounted inside the console 100 after the start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spring unit 40 includes a known tension spring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20 to provide a tensile force to the substrate 20.

따라서, 차량의 시동시 상기 팝업모터(30)에 의하여 콘솔(10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스프링부(40)에 의하여 다시 차량의 콘솔(100) 내측으로 하강하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 speed change input button portion 10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onsole 100 by the pop-up motor 30 at the start of the vehicle is returned to the console of the vehicle by the spring portion 40 (100).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가 적용된 차량의 콘솔(100)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단을 표시하는 변속단 표시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공지의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nsole 100 of the vehicle to which the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provided with a shift stage display for indicating the shift stage, as shown in FIG. 3,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차량 시동시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다. FIG. 6 shows the operation steps of the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starting the vehicle.

도 6에 도시된 차량의 시동 버튼은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는 포함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시동버튼은 공지의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art button of the vehicle shown in Fig. 6 is not included in the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 button is a 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탑승 후 시동버튼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이루어지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가 콘솔(10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돌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모터(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6A,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starts the vehicle using the start button after the vehicle is mounted, as shown in FIG. 6B,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input button portions 10 are connected to the console 10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p-up motor 30 protrudes the input portion 10 of the speed-change stag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에 각각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P단, R단, N단, D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t the P-step, R-step, N-step, D-step, M-step, And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 assigned to the P-stage, R-stage, N-stage, and D-stage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이때,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일측단에 배치된 상기 P단을 시작점으로 순차 배치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D단이 상단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M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P단, R단, N단, D단의 중심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단 및 -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기 M단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10 are disposed sequentially at the P-end disposed at one end, and the D-end is disposed at the top, and the gear range input The button portion is dispos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P-stage, the R-stage, the N-stage, and the D-stage, which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s assigned to the + end and the -down end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

따라서, 도시된 G모양으로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배치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10 are arranged in the illustrated G shap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G형 배치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차량의 시동버튼과 함께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량의 시동버튼은 상기 P단과 D단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10 arranged in the G-type arrangement are disposed together with the start button of the vehicl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rt button of the vehicle is arranged between the P-stage and D-stag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공지의 터치인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known touch recognition unit.

따라서,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는 사용자의 손의 터치를 통하여 변속단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속단의 변경시에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상단부를 터치함으로써 입력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 10 can input the gear position through the touch of the user's hand. Preferably, when the gear position is changed, the upper end of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 10 So that input can be made by touching.

도 8은 이러한 변속단의 변경시의 사용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단으로부터 R단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도 8a), 또는 P단으로부터 D단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도 8b)에는 해당하는 변속단을 터치함으로써 손쉽게 변속을 할 수 있다.Fig. 8 shows an example of use at the time of changing the speed change stage. In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P-stage to the R-stage as shown in Fig. 8A (Fig. 8A) 8B), the shift can be easily performed by touching the corresponding gear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ㅁㅁ는 공지의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는 변속단의 입력이 이루어진 것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splay section including a known display means.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to allow the driver to easily recognize that the input of the gear range has been performed.

따라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입력시 해당 변속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가 발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진 변속단입력버튼부의 표시부만 발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운전자는 최종적으로 변환된 변속단을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Therefore,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gear position is emitted when 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s 10 are input. In this case, more preferably, only the display portion of the input portion of the speed change stage, which is finally input, can be made to emit light. Due to such a configuration,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finally converted speed range through the display portion.

도 9는 후진을 위한 R단 변속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이 어떠한 단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아래쪽으로 조작하여 R단을 터치하면 후진을 위한 R단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단 변속을 위하여 변속단입력버튼부(10)를 터치한 채로 슬라이드하여 R단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를 터치하여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9 shows an example of the R-speed change for reverse. As shown in FIG. 9, even if the driver's hand is located at any stage, the R-stage operation for reverse operation is performed by touching the R-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while touching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10 while sliding the gear position to touch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10 of the R-end for the single speed chang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R단의 변속 예에서,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는 R단을 아래쪽으로 배치하여 운전자는 항상 아래로 조작하면 R단 변속을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example of the R-stage shifting as described above, the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gnized as an R-speed shifting when the 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rroneous operation can be prevented.

도 10은 전진을 위한 D단 변속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이 어떠한 단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위쪽으로 조작하여 D단을 터치하면 전진을 위한 D단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단 변속을 위하여 변속단입력버튼부(10)를 터치한 채로 슬라이드하여 D단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를 터치하여 조작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10 shows an example of a D-speed shift for forward movement. As shown in the figure, even if the driver's hand is located at any stage, the D-stage operation for advancing is performed by touching the D-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sliding operation while touching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10 for the single-speed shift, and to operate by touching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10 of the D-posi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D단의 변속 예에서,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는 D단을 위쪽으로 배치하여 운전자는 항상 위쪽으로 조작하면 D단 변속을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shift example of the D-stage, the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D-stage is disposed at the upper side so that the driver can always recognize that the 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rroneous operation can be prevented.

도 11은 시동을 껐을 때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1 shows an example when the start is turned off.

운전자가 운전을 마치고 시동버튼을 누름으로써 시동을 끄게 되면(도 11a), 상기 팝업모터(30)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되고, 상기 팝업모터(30)는 구동을 정지하여 상기 기판(20)으로 가하는 힘이 더이상 제공되지 않는다.11A), the power supplied to the pop-up motor 30 is cut off, and the pop-up motor 30 stops driving to stop the driving of the pop-up motor 30 to the substrate 20 The force to apply is no longer provided.

따라서, 상기 기판(20)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스프링부(40)에 의하여 상기 기판(20)은 다시 하강하고, 상기 콘솔(100)의 내측으로 실장되도록 이루어진다(도 11b).
Accordingly, the substrate 20 is lowered again by the spring portion 40 that provides a tensile force to the substrate 20, an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nsole 100 (FIG. 11B).

이상으로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op-u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 specif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변속단입력버튼부 20: 기판
30: 팝업모터 40: 스프링부
100: 콘솔
10: gear range input button unit 20:
30: pop-up motor 40: spring portion
100: Console

Claims (9)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차량 변속단의 갯수와 동일한 복수의 갯수로 구비되는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각각 차량 변속단 중 하나를 입력하도록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 중 하나가 입력되면 할당된 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기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은 상하로 이동되도록 차량의 콘솔 내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기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팝업모터;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기 팝업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의 콘솔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스프링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차량의 콘솔 내측으로 실장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에 각각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P단, R단, N단, D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원형으로 배치되되, 일측단에 배치된 상기 P단을 시작점으로 순차 배치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D단이 상단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M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P단, R단, N단, D단의 중심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단 및 -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기 M단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In an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nd a plurality of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s connected to a control portion of an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vehicle and provided in a plurality of numbers equal to the number of vehicle gear stages,
Wherein the plurality of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s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input one of the vehicle speed change stages,
Wherein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is input, the shift is made to the assigned gear position,
The plurality of speed change input button portions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The substrate is fixed within the console of the vehicle to be moved up and down,
A pop-up motor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the pop-up motor moving the substrate up and down according to application of power; And
And a spr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to provide a tensile force to the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speed change input button portions are protruded outside the console of the vehicle by driving the pop-up motor or are mounted inside the console of the vehicle by a tensile force provided by the spring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include a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assigned to the P-step, R-step, N-step, D-step, M-step,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s allocated to the P-stage, R-stage, N-stage and D-stage are arranged in a circle, and are sequentially arranged at the P-stage disposed at one end, under,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 assigned to the M-stage is disposed at a center position of the P-stage, the R-stage, the N-stage, and the D-
And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s assigned to the + end and the -down end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th stage. The pop-up type electromagnetic type automatic shift lever having the G-type shift patter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모터는,
차량의 구동부와 연계하여 차량의 시동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p-
Wherein the power-on state of the pop-up type electromagnetic type automatic shift lever has a G-type shift pattern in association with a driving portion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에 각각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D단에 해당하는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부에 배치되고,
R단에 해당하는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gear stage input button units
And a gear position input button portion assigned to the P, R, N, D, M, +, and - stages, which are the gear positions of the vehicle,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stage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gear stage input butt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stage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Claim 7] The pop-up type electromagnetic type automatic shift lever of claim 1,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버튼이 상기 P단과 D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art button of the vehicle is disposed between the P-end and the D-end of the pop-up type electromagnetic automatic shift le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터치인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gear stage input button units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type shift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의 입력시 상기 표시부가 발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ed change stage input button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emit light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gear position input button uni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최종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진 변속단입력버튼부의 표시부만 발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unit includes:
Where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display unit of the speed change step input button unit, which is finally input, emits light.
KR1020120145315A 2012-12-13 2012-12-13 A Pop-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Shape Shift Pattern Expired - Fee Related KR101439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315A KR101439137B1 (en) 2012-12-13 2012-12-13 A Pop-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Shape Shift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315A KR101439137B1 (en) 2012-12-13 2012-12-13 A Pop-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Shape Shift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831A KR20140076831A (en) 2014-06-23
KR101439137B1 true KR101439137B1 (en) 2014-09-11

Family

ID=5112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3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9137B1 (en) 2012-12-13 2012-12-13 A Pop-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Shape Shift Pat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1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1201B2 (en) 2015-07-02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541B1 (en) * 2015-04-14 2016-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lectronic compact shift lever
KR101662548B1 (en) * 2015-05-08 2016-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way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oin lever
WO2017041852A1 (en) * 2015-09-11 2017-03-16 Kongsberg Automotive Ab Shift-by-wire input unit for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KR20220026072A (en) 2020-08-25 2022-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Gear shift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BW type electronic transmi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675A (en) * 1993-08-20 1995-02-28 Honda Motor Co Ltd Automatic car controls
JP2006160098A (en) 2004-12-08 2006-06-22 Mazda Motor Corp Speed change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JP2011230771A (en) * 2011-08-26 2011-11-17 Tokai Rika Co Ltd Shift device
KR20120006422A (en) * 2010-07-12 2012-01-18 강용구 Automotive Button Automatic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675A (en) * 1993-08-20 1995-02-28 Honda Motor Co Ltd Automatic car controls
JP2006160098A (en) 2004-12-08 2006-06-22 Mazda Motor Corp Speed change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KR20120006422A (en) * 2010-07-12 2012-01-18 강용구 Automotive Button Automatic Transmission
JP2011230771A (en) * 2011-08-26 2011-11-17 Tokai Rika Co Ltd Shif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1201B2 (en) 2015-07-02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831A (en) 201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137B1 (en) A Pop-up Type Electronic Shift Lever Having A G-Shape Shift Pattern
JP5921234B2 (en) Vehicle shift device
US9694677B2 (en) Vehicle having a gearshift element arranged on the steering wheel
KR101410664B1 (en) Smart Touch Type Electronic Auto Shift Lever
CA2875921C (en) Shift device for vehicle
US9772031B2 (en) Shifter assembly including display and actuation for driver control
US7028575B2 (en) Transmission shifting mechanism
KR101511561B1 (en) Smart Touch Type Electronic Auto Shift Lever
CN111306289B (en)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US20130091971A1 (en)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488371B1 (en) Roulette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KR102238050B1 (en) Button type electronic shift lever system
KR20140128625A (en) Smart Touch Type Electronic Auto Shift Lever
KR101499224B1 (en) Folding fan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oin lever
KR101410663B1 (en) Electronic shift apparatus
KR101982859B1 (en) Rotating-type electronic shift lever
KR102418379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382694B1 (en) Sliding Pop Up type Shift Lever Device
JP5943477B2 (en) Vehicle shift device
KR101499222B1 (en) Button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1490B1 (en) A transmission controller with button
KR20170072472A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20160097739A (en)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capable of controlling position
KR20150113618A (en)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vehicle
JP2021062699A (en) Vehicular gear shift op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9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