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5113B1 -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113B1
KR101445113B1 KR1020130143149A KR20130143149A KR101445113B1 KR 101445113 B1 KR101445113 B1 KR 101445113B1 KR 1020130143149 A KR1020130143149 A KR 1020130143149A KR 20130143149 A KR20130143149 A KR 20130143149A KR 101445113 B1 KR101445113 B1 KR 10144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witch
catheter
power
ste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순
Original Assignee
박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순 filed Critical 박선순
Priority to KR102013014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113B1/ko
Priority to PCT/KR2014/010649 priority patent/WO2015076515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5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with means for refilling of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9Range sublocal, e.g. between console and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M2230/06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30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50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증기흡입기는, 흡입부; 카토마이저; 스위치를 포함한 본체;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증기흡입기로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하나 이상으로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본체 사이에 조립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토마이저가 복수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VIRSATILE MULTI-FUNCTIONAL STEAM INHALER}
본 발명은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한 IT총화인 스마트폰과의 유비쿼터스적 공유 결합으로, 상호 사용편의와 활용을 극대화 시켜 기존 식음(eating and drinking)문화 일부를 흡입문화로 전화시킬 증기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기기적으로는, 조립식 카토마이저를 1개 내지 수개를 중층 조립해, 각각에 내장된 각기 다른 성분의 액상과 이들에 대응된 보일 온도를 제공하는 전력제어장치와 자연적 보일원리를 적용 제작한 무화기 구조체로 조립 카토마이저 각각의 액상을 완전무화 시켜 이들 무화증기를 조합해 흡입되게 함으로써, 기존의, 성분과 그 용매가 다르고 그 비등점이 천차만별인 액상을 하나의 조성물로, 그리고 하나의 가열온도로, 무차별 보일 비등시켜, 액상연소와 상이한 성분간의 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독극물 발생 및 맛 표현을 저해하는 불완전 불균질 무화를 야기한 기기의 한계를, 각각의 개별 또는 유사 용매와 각각의 비등점에 맞추어진 발열무화로, 흡입될 모든 성분의 액상을 완전 균질 무화 시켜 가장 이상적인 무화증기를 혼합 흡입하게 하고, 한편으로는 원하는 액상성분 카토마이저를 선택 조합해 사용 할 수 있게 되어 기기 자체의 활용을 광역화 함으로써, 담배 외에 커피, 차를 비롯한 향료, 나아가 약물 및 건강보조 식품에 이르는, 그 음용에 시·공의 제약이 따르는, 여러 분야의 성분섭취의 식음(eating and drinking) 문화를, 비만 걱정 없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폐의 신속한 성분흡수 능력으로, 그 풍미를 즐기면서도 건강을 향상시키는 증기흡입 문화로 대체되게 하는 것이며, IT적으로는, 증기흡입기 사용이, 사용자 건강과 흡입의 신 문화적 즐거움 증진을 목적 한 만큼, 그 사용은, 실시간 헬스케어 기능으로 점검·관리·제어되도록, IT의 총화인 스마트폰과 유비쿼터스(정보와 사물의 융합)화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은 그 활용 영역을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한 인류의 생체문화로 그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그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의 유비쿼터스화는, 증기흡입기에 장치된, 수동 연속 자동의 모든 모드에서 작동 가능한 스위치장치와 조립되는 각 카토마이저에 장치된 개별 전력제어장치, 그리고 정밀한 기기전체 및 조립 카토마이저 개별의 감지ㆍ제어 장치가,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에 내장된 다양한 방식으로 건강 체크를 수행하는 헬스케어 장치의 점검에 따라, 실시간 업데이트된 스마트폰 제공의 관련 어플리케이션 가이던스 및 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게 함으로써, 증기흡입기 사용자가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면서, 또는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최적의 증기흡입을 즐기게 하여, 새로운 흡입문화에서 인간의 질적인 행복을 증진 시킬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는, 현대문명의 IT총화인 스마트폰을, 새로운 흡입문화의 핵심 기기인 증기흡입기에 물리적, 심리적, 생체적으로 공유 결합시켜 하나의 기기로 하거나, 그 상호의 기능과 활용방식을 확장 연계해 그 활용범위와 기능을 초 고도화시킴으로써, 증기흡입기가 IT와 결합된 새로운 흡입문화 트랜드를 창출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기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은 증기흡입기에 다양한 용도의 액상 사용에 따른 기기와 사용자 관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 수행 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며, 증기흡입기는 첫째 스마트폰 사용상의 편의 증진을 위한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둘째, 새로운 흡입문화로 스마트폰의 IT기능을 고도로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은 물리적으로는 배터리의 공유결합으로 두 기기를 하나로 사용하는 간편과 편리성을 확보하는 것이고, 심리적으로는 두 기기자체가 가지는 중독성을 하나로 통합하여 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시킴으로써 중독의 부정적 이미지를 유용한 문화로 이끌자는 것이고, 생체적으로는, 많은 물질을 소비하는 식음문명의 일부를, 양 기기에 공통의 활용도를 가진 헬스케어기능을 기기 융합의 실질적 기능으로 부과해, 간편하고도 풍부하면서 신속한, 인간의 건강 증진과 안전이 보장된, 흡입의 피우는, 유비쿼터스화 한 스마트문명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이와 같은 두 기기의 공유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 기술은, 두 기기 공통의 필수 기능인 디스플레이 장치와 고용량의 배터리 성능, 그리고 발달된 헬스케어 점검창치 및, 이들 장치들에 대한 수용구조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창의 비치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어를 사용하면서 이를 손쉽게 장치 할 수 있는, 원통형을 기본으로 한 새로운 발명의 고용량의 배곰방대형 배터리와 전통적인 원통막대형 배터리를 채택하며, 헬스케어 점검장치로는 스마트폰의 고유기능 장치인 송수화장치 및 카메라에 건강검진 장치 기능을 부가해 활용하고, 필요기능장치는 추가하며, 블루투스 기능을 두 기기 유비쿼터스화의 기반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은, 증기흡입기 기능과 용도의 활용범위와 질을, 그리고 IT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기기의 결합(전화, 시계, MP3, 게임기, 카메라, 녹음기, 잔자악기, 비디오, 켐코더, pc 등)에 한정되었던 스마트폰의 기기융합방식을 헬스케어를 중심에 둔 생체용 기기(식음, 흡입용 기기)까지 그 융합을 확장한, 새로운 흡입문화 창출을 위한 것으로 기획된 초고도화 한 유비쿼터스 융합기기에 관한 것이다.
증기흡입기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카토마이저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카토마이저는 전자 담배 액상을 저장하는 액상저장부와 공급된 액상을 무화시키는 발열부를 포함한 심지를 가진 무화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런 증기흡입기의 대표적인 기기가 전자담배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존 장치구조의 카토마이저는 하나의 액상저장부에 각종향료와 니코틴 또는 향료 조합물로 조성된 복합 조성물을 하나의 용매인 그리세린과 프로필렌글리콜에 혼합하여 무화장치 심지로 흡수하여 발열부에 공급되게 하는데, 이때 니크롬선 등의 발열부 발열체는 하나의 전력량으로 지정된 전력이 공급되어 일괄된 한 등급의 제어되지 않은 온도에서, 복합조성물의 액상을 일방적으로 가열해 끓여 강제비등 무화 시킨다.
이렇게 구성향료마다 각각의 비등점과 적정한 용매가 다양한, 니코틴을 포함한 향료를, 그리세린과 플로필렌글리콜이라는 일률적인 하나의 용매에 한꺼번에 녹여 액상조성물을 만들고, 이런 액상조성물을 제어되지 않은 일정 등급의 고정된 온도 대에서 일방적으로 가열 무화 시킬 경우, 모든 조성물을 일괄 무화시키기 위해 각 조성물에 해당하는 비등온도에 비해 과도한 온도로 액상을 무화 시켜야 하고, 이럴 경우 필연적으로 상대적으로 저온의 비등점을 가진 성분은 연소되어 유해물질을 발생 할 수 있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고온의 비등점을 가진 조성물 성분 이하의 온도로 액상이 가열 될 경우, 이 온도에서도 충분히 비등하는 조성물의 비등 비산에 따라, 고 비등점 액상이 불완전무화 됨으로써 당해 조성물의 맛 표현을 구현하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향료는 크게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용성향료와 유화제를 사용하여 물에 타서 유화시킨 유화성 향료, 그리고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한 유용성 향료로 나눌 수 있는데, 이때 물의 비등점은 100℃에 불과하나 프로필렌글리콜의 비등등은 185~189℃로 물의 2배에 가깝고, 무화현상을 위해 중요한 글리세린의 비등점은 290℃에 달하며, 전자담배의 핵심인 니코틴의 비등점은 247℃인점을 감안 할 때, 그리고 대부분의 향료는 10℃에서도 기화하는 휘발성이 있고, 수용성 향료의 비등점이 80~150℃, 유용성의 경우에도 100~210℃에 이르는 천차만별의 비등점 차이가 있음을 감안 할 때, 이들 향료와 용매를 하나의 조성물로 구성해 하나의 제어되지 않은, 그것도 순간 발열온도가 900℃에 이르는 전열체로 제어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지정된 전력을 공급해 순간 가열 비등시키는 것은, 무화 증기의 안전성과 맛 표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실험상으로도, 그 비등점이 약 3배까지 차이가 있는, 물과 글리세린만을 혼합한 다음, 서서히 제어된 온도에서 이들을 가열 비등시킬 경우, 물은 글리세린에 앞서 비등되어 증발되고, 이어 한참 후에 온도가 상승된 연후에 글리세린만 비등되어 증발되는, 순차증발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은, 각 조성물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는 그 연소방지의 제어된 온도로 가열 할 경우 모든 조성물 각각의 성분이 동시에 혼합된 상태로 비등 증발하는 완전 및 규질무화가 불가능 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험의 현실은, 비등점 편차가 큰 각각의 향료 조성물로, 아무리 훌륭한 레시피를 만들어도, 기존의 기기에서 안전성까지 보장하며 무화 증기의 완전ㆍ균질 무화를 온전히 구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함을 물리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향료 및 약물 또는 니코틴 등의 전자적 무화를 통한 그 흡입을 목적으로 하는 기존 전자담배 및 증기흡입기의 그 사용목적에 알 맞는, 그 활용범위를 확대한 무화증기 발생 장치의 발명은 일부 시도된 바도 있다. 그 한 방식은 하나의 카토마이저에 세 개의 부분 카토마이저를 병렬로 내장시켜 이를 돌려 배터리와 물부리에 연결되게 해, 내장된 각각의 카토마이저 액상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을 각각의 발열부에서 일률적인 전원공급에 의해 무화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내장된 카토마이저 만으로 다양한 향료 조성물 각각을 구비하기 어렵고, 무엇보다도 각각의 내장된 부분 카토마이저는 고정되어 있어 그 교체가 어려울 뿐 아니라, 이로 인해 기기의 직경 등 그 크기가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 할 만큼 커져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고, 또한 일 예는 하나의 카토마이저에 두개의 액상저장부와 각각에 대한 전자식구동펌프를 두어, 선택된 액상조성물을 하나의 발열부로 폄핑해 무화시키는 방식(예를 든 방식으로 순수니코틴 조성물의 액상저장부와 향료만의 액상저장부를 별도로 두어 이를 선택적으로 발열부로 펌핑해 무화시키는 방식) 등이 있으나, 이 경우도 향료액상조성물 등의 선택에 한계가 있어 그 활용도가 극히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도, 구체적 예로, 하나의 기기에 담배액상, 커피액상, 비만치료액상, 비타민액상, 아로마테라피향료액상, 구강청결액상 등 다양한, 필요에 따른, 사용자가 꼭 챙겨야 할 액상을 저장부에 저장한 카토마이저를, 첨가향료 조성물을 저장한 카토마이저들과 함께 하나의 기기에 조립해, 필요한 부분만 전원을 연결, 저절해 생산된 증기를 흡입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기기만으로 휴대 가능하게 하는 편리성을 지닌 기기는, 현재로선 존재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배터리와 스위치본체, 그리고 물부리를 공동장치로 구성하면서 다양한 향료 및 약물 등의 조성물을 각각의 카토마이저에 구비해, 이들을 필요에 따라 독자적, 또는 혼합적으로, 직렬 조립 결합시켜 동시에 각각을 무화 시킨 다음, 하나의 통합된 증기로 흡입되게 함으로써, 그 어떤 다양한 향료 및 약물, 그리고 니코틴, 카페인, 다이어트 식욕 억제제(식물성 추출물인 수용성 후디아 등)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적절한 증기로 흡입하게 하는, 또는 대부분의 향료 등을 각각 독립적으로 증기흡입 할 수 있도록, 하나의 기본장치(배터리와 스위치본체 및 물부리)를 사용해 이에 조립 결합시켜 사용하게 하는, 또는 다종의 액상조성물을 각각 무화 시킬 수 있는 다수 개의 카토마이저를, 사용 용도에 부합되도록 선택하여 하나의 기기 구조체로 조립시켜 사용하거나 이를 수시 교체해 사용 할 수 있는, 그 활용의 한계를 무한히 확장시켜 사용 할 수 있는, 새로운 증기흡입기의 발명이 절실한 것이다.
이렇게, 기존의 전자담배 및 증기흡입기의 기능은, 하나로 조성된 복합조성물의 액상에, 성분 별 비등점에 관계없이, 제어되지 않은 일방적인 고열의 전열을, 통제나 관리되지 않은 채 가해 액상을 무화 시키는 지극히 단순한 기능장치에 치중함으로써, 기기 자체의 기능을 고도화 시키거나,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지 못하고, 나아가 증기흡입기의 활용도를 지극히 제한하여, 기기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전자담배로서의 자체 기능과 다양한 향료흡입 및 건강보조식품이나 약물흡입 등, 호흡기를 통한 다양한 다양 한 성분흡입을 위한 증기흡입기의 사용 용도 확장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함과 동시에 식음문화를 흡입문화로 새로이 발전시키고자 한 것이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의 하나이다.
한편 기존의 전자담배의 경우, 전원 공급의 인가와 단전을 조작하는 스위치 작동을 수동과 자동으로 한정하고, 이 경우도 두 가지 모드를 하나의 기기에 구현하지 못하고 스위치 본체의 전자제어장치인 pcb를 배터리에 내장시킨 채, 수동과 자동 각각을 별개의 배터리로 하여 사용하고 있고, 자동 배터리 경우는, 미세한 작동을 요하는 장치의 구조상 잦은 고장으로 내구성에 한계가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인 상태이며, 연속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의 배터리는, 기존 무화기 구조체의 발열부를 제어 할 그 어떤 제어장치나 장치자체의 기능향상이 없어 그 채택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기존 전자담배 기기에서의 전원공급 모드 선택의 한계는 그 자체로 전자담배 기능을 광범위한 향료증기 흡입을 위한 증기흡입기로의 그 활용범위를 넓히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즉 하나의 기기로 사용되는 액상조성물의 성격에 따라 그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에도 다양한 모드의 전원공급 방식이 채택되어야 하는데, 기존 기기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일 예로, 몇 가지 성분으로 혼합된 액상조성물을 적정하게 무화시키기 위해서, 순간고열로 즉각 무화시키는 방식에는 자동방식이 적합(이 경우 공급전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야 함)하나, 약간의 임의성을 두기 위해서는 수동방식이 더 적합하다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약간의 저온에서 균질무화(각 성분이 각각의 비등온도에 도달해 성분 모두가 충분히 무화 된 경우)에 도달하기 위한 전력을 발열부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온도제어기를 장치하고 발열부 발열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연속모드가 적합 할 것이다. 그런데 기존 전자담배 기기는 이렇게 중요한 전원공급 방식을 하나의 모드로 한정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담배 기기가 포괄적인 향료흡입기로 그 기기 사용의 활용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그리고 본 발명처럼 하나의 조립된 단일 기기에 다양한 성분의 액상을 개별 및 혼합 무화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스위치 본체가, 사용하는 액상조성물의 성격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수동, 자동, 연속모드와 같이 모든 사용가능 한 모드를 선택해 사용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그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존 전자담배 기기의 스위치 작동 모드 선택범위 한정의 문제와 더불어, 지정된 전력의 공급 방식도 지극히 제한적 이여서, 액상 조성물의 완전 및 규질무화에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일 예로 기존의 전자담배 기기는 기본적으로는 배터리 자체 제작에서 지정된 전압을 일률적으로 사용하는 단순한 전력공급 체제를 갖거나, 이에 전압 등 전력조절기를 추가해 일방적인으로 조절된 전력을 오직 무화량에만 한정해 조작하도록 되어 있어, 액상조성물 각 성분에 알맞은 미세하고 정밀한 전력 제어 자체와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많은 무화 량을 얻기 위해 고전력으로 조절된 전력에, 이에 적정한 액상공급량이 제어 조절되지 않아, 그 무화증기 생산을 위한 고 전력 공급 자체가 액상연소로 이어져, 유해물질을 발생하게 함으로서 기기 사용의 안전성을 극히 저하하는 문제만 야기 할 뿐이고, 근본적으로 전력조절의 목적이 무엇을 위해 조절이란 제어의 개념으로 조절되어야 하는 것인지, 그 기본적인 합리적 이유나 목적 없이, 오직 무화 량에만 초점을 둔 전력제어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액상무화의 기본적인 목적과 이유가 다름아닌, 구성 성분의 연소 없는 완전한 비등 증발에 있음에도, 전력제어가 무화 량에만 맞추어 이루어 진다면, 그것도 액상공급이 전력제어에 상응되게 제어되어 충분히 적정한 액상 공급이 보장되지 못한 상태에서 무화 량을 높이기 위한 전력제어가 이루어 진다면, 이는 기기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전성을 해치는 역기능을 초래 할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전력조절에 동시에 연동된 적정한 액상공급 제어기능과 완전 균질 무화를 달성 할 적정하고 정밀한 전력제어 없이는, 전자담배 및 증기흡입기 그 자체의 성능 향상뿐 만이 아니라, 증기흡입기란 일반 향료 등 건강보조 및 약물흡입기로서의 그 활용영역을 고도화 하고 확장하는데 지극한 한계에 봉착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시 카토마저 구성장치의 핵심인 발열부의 무화장치로 돌아가, 이에 대한 기존 전자담배를 대표로 한 증기흡입기의 문제를 지적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기존 증기흡입기의 무화장치는 본 발명인의 여러 발명의 특허 등록 및 출원으로도 상당한 진전이 있었음을 감히 자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인의 모든 발명은 무화기의 완전 및 규질무화와 그 안전성 확보를 위해, 금속망 등 소재의 개발과 이를 통한 부가장치인 도가니, 온도제어 장치 및 금속망 자체의 설계를 통해, 또는 직드랍 및 압력무화 방식 등을 개발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사실 이들은 나름대로 기존 전자담배 및 증기흡입기의 문제와 한계를 해결하는 혁신적 발명들 이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모든 발명은 자연적인 액상 가열에 의한 완전 및 규질무화를 달성하는 방식이라기 보다는 신규 장치 발명에 따른 인위적 방식의 한계 극복이였다. 따라서 본건 발명은 인위적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추가적 장치의 발명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를 극복하여, 증기발생 원리의 핵심에 치중한 새로운 무화장치를 발명함으로써, 무화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인의 기본 발명뿐만이 아니라, 기존 무화장치의 한계를 온전히 극복 한 자연원리에 충실한 무화장치를 제시하고 한다.
한편, 기존의 전자담배와 증기흡입기가 그 활용범위와 기능을 확대 고도화 하기 이해서는, 그 활용도와 사용범위가 큰 주변 생활 기기들과의 윈윈적 기능의 공유 및 융합 결합을 확장 해야 하고,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중요함으로, 이에 대한 다각적인 발명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범위 확장을 위해 전자담배 및 증기흡입기의 고 용량 배터리 장착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기존 기기에서의 노력은 일부 있었다. 이러한 노력의 예들을 보면, 우선 니코틴을 액상 조성물의 핵심으로 한 전자담배의 경우, 전자담배의 사용횟수를 디지털표시 창에 표시하게 해, 사용자가 부지불식간 무한정으로 다량의 니코틴을 흡입하는 부작용을 방지하게 한다거나, 이러한 사용자의 사용량이나 사용습관, 그리고 사용목표량 등을 프로그램화 해 pc에 그 데이터를 입력시켜 사용자의 흡연습관을 관리함으로써 금연에 도움을 주고자 한 소프트웨어(특허등록번호 10-10981120000, 10-12675370000)가 장치된 전자담배 기기(실용신안등록번호 20-04667570000)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담배에서의 액상사용에 대한 관리방식의 경우, 그 사용량 관리는, 사용자가 액상저장용기만 확인(요즘은 거의 모든 전자담배의 액상저장부는 투명용기로 제작되어 사용량 확인이 가능함)하여도 그 흡입량을 알 수 있어 그다지 실용적이지 못하고, 후자의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의 전자담배 사용을 관리하는 경우는, 첫째, pc와 연동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흡연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둘째, 사용자가 전자담배 기기를 통해 니코틴을 흡입을 관리 하는 방식이, 단순히 전자담배 기기를 흡입하는 횟수에 한정해, 흡입하는 증기의 니코틴 농도가 정확하게 점검되지 않은 채, 사용자에게 허용되어야 할 니코틴의 허용량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준하여 실시간 관리되지도 않은 상태로, 단지 사용자 임의로 설정하거나 제조사가 임의로 설정한 사용횟수 제한만으로, 일정 흡입횟수에서 기기 사용을 차단하는, 비합리적 강제제어 방식으로 기기사용을 제어함으로서, 그 실질적이고 정확한 관리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와 같은 대표적인 전자담배 기기사용 관리를 위한 발명은 니코틴을 흡입하는 전자담배 기기 본연의 기능에 한정되어, 건강 보조 품이나 약물 등 모든 흡입가능 한 향료를 포함한 증기흡입기에 까지 확장 적용하는 데는 그 한계가 있고, 기존 전자담배 기기가 가지는 그 기기구조나 크기 자체에서 오는, 관리프로그램의 실시간 디스플레이의 한계는 극복해야 할 문제들인 것이다. 또한 기존의 전자담배 관리프로그램이나 기기의 장치는, 사용되는 액상이나, 기기 사용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감지 및 이를 통한 기기 사용의 제어 장치가 없어, 기기 사용의 안전성을 보장 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편, 전자담배기기의 활용 용도의 확장을 위해 기존의 특허등록번호 10-12500190000에서와 같이, 전자담배 기기에 게임기 등을 장치하는 방식은, 기기용도 확장의 한 방편 일 수 있으나 기기의 구조에서 보이는 그 디스플레이장치의 한계 등으로 실용적이라 할 수 없으며, 그 용도 확장이 전자담배나 증기흡입기 자체의 기능을 동시에 고도화 하지 못하는 단편적이고 부가적인 용도 확장에 지나지 않은 아쉬움이 있다..
또한 증기흡입기를 대표하는 기존의 전자담배는, 모든 휴대용기기가 그러 하듯이 그 분실의 위험이 크다. 이러한 분실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일부 발명은 사용기기가 사용자와 일정거리를 이격 할 경우 알람을 울리게 하는 방식 등을 발명한 바 있으나, 이 역시, 사용자가 전자담배 기기 외 사용자의 몸에 그 이격을 인식 송출 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별도 구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존 전자담배나 증기흡입기의 문제 극복이 아닌, 전자담배와 증기흡입기의 식음문화 일부의 대체 흡수 및 그 트랜드 창출을 위해, IT기술의 총화인 스마트폰과의 공유 융합 또는 연계란 창조적 발상은 시대적 요구이며, 나아가 IT기기만을 융합시켜 그 기기활용을 극대화함으로서 더 이상 그 외연 확장의 한계에 직면한 현대문명의 총화인 스마트폰은, IT가 아닌, 스마트한 증기만의 흡입으로 전통 식음문화에 파격적 혁신을 기 할 생체목적 기기로 부상한, 휴대하며 끓일 수 있는 기기인, 따라서 이 자체로 스마트 한 증기흡입기로 그 융합을 확장함으로써, 스스로의 그 활용 역영 확장의 한계에 달한 문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흡입문화를 주도 할 생체 기기인 본 발명의 증기흡입기로, 그 활용영역 확장이 발명되어야 함은 시대적 요구라 할 것이며, 이러한 스마트폰 활용의 확장이, 식음문화의 일부를 스마트한 흡입문화로 대체 가능하게 하는 증기흡입기와의 융합에 있어, 정보인 IT와 사물기기인 증기흡입기가 하나로 융합 기능하게 하는 유비쿼터스화를 실현 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 융합의 유비쿼터스화는, 기술적으로, 그리고 기능 및 실용성의 측면에서, 무엇보다도 인간 행복증진의 핵심인 건강관리의 측면에서, 두 기기의 융합 매개의 물리적 기능 장치는 헬스케어 장치가 되어야 하며, 이 헬스케어 장치는 그 자체가 엄청난 가이던스 및 관리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요구 한다는 점에서, 실시간 휴대하며 공간제약 없이 사용자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은, 그 프로그램 제공에 가장 적격한 기기이며, 또한 스마트폰은 물리적 기능장치로 헬스케어 감지장치의 내장 탑재가 가장 용이 해, 이들 헬스케어 감지장치로 사용자 건강정보나, 융합된 증기흡입기 사용에 대한 실시간 사용자 증기흡입 효과 등을 점검, 데이터베이스화 함과 더불어, 쉽게 탑재 할 수 있는 자체의 블루투스 기능으로 증기흡입기에 내장된 각종 감지장치와 교신해, 사용자의 기기사용에 따라 감지된 정보를 송출 받아, 이들 정보에 기반한 기기 사용에 대한 가이드와 제어를 직접 피드백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헬스케어 하에, 증기흡입기 사용의 효과와 효율이 극대화 되고 그 사용의 안전성이 보장되어, 두 기기 융합의 유비쿼터스화는 새로운, 실용적 흡입문화 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은, 전자담배에서 시작한 증기에 의한 일정성분의 폐로의 흡수를, 헬스케어 기능을 탑재 한 스마트폰에 융합된 증기흡입기로 광범위하게 확장시킴으로써, 전자담배를 니코틴을 증기로 흡입하기 위한 기기의 개념으로 개별화 하면서, 전자적으로 증기를 발생시켜 구강 및 폐로 흡수 할 수 있는 모든 향료, 건강식품, 약품 등으로 그 활용 용도를 극대화 하여, 위로 성분을 흡수하는 식음문화의 일부를, 폐로 성분을 흡수하는 흡입문화로 대체 발전시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그 기본이 되는 기기를 발명 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문화적 실현이 가능 할 그 기본적 근거는, 첫째, 인류는 음식을 섭취해 그 성분을 흡수하기 위해 끓여먹는 문화를 지닌 유일한 동물이고, 이는 음식문화의 보편적인 방식 이였으므로, 끓이는 방식에 있어 기존과 다른 또 다른 끓이는 방식에 의한 식용가능 한 물질에서의 생체로의 성분흡수는 보편적으로 타당 할 수 있다는 것이며, 둘째, 예전에는 가능하지 않았으나, 현대에 들어 끓이는 도구의 방식, 특히 전자담배를 대표로 하는 증기흡입기와 같은, 소형의 노에서 전자적으로 끓이는 방식의 발달은, 끓여먹는 음식 문화의 한계인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 동선 공간에 실시간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어 시간의 한계도 극복하고 있다는 것과, 셋째, 화학의 발달로 인체가 흡수해야 할 성분과 그 유용성이 대부분 밝혀져 있고, 나아가 그 성분들의 대부분은 추출한 물질로 공급 할 수 있어, 그 인체 흡수 방식을 다각화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며, 넷째, 인체의 폐는 미세하게 성분화 되어 있는 물질을 흡수 할 수 있으며, 그 흡수는 바로 혈액으로 공급 되므로 정맥주사와 같은 신속함이 있다는 것이고, 다섯째, 신체가 요하는 영양성분이나 기호식품에서의 필수성분(커피의 카페인, 담배의 니코틴, 각종 비타민, 탄수화물 및 물과 지방을 제외한 필수 아미노산 등 각종 영양소 등)은 소량의 흡수만으로도 신체에 충족된 양을 공급 할 수 있어, 음식으로 섭취해 장에서 흡수 시킬 경우 많은 양의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낭비되거나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를 극복 할 수 있다는 점, 여섯째, 향을 느끼는 것은 심리적 만족을 자극하는 것 이여서 핵심적 흡수 성분(예를 들어 담배의 니코틴이나 커피의 카페인)을 통제해 흡수시키면서 그 향만을 흡입한 것으로 그 만족도를 충족시킴으로써 건강을 지키면서 기호품을 맘껏 즐길 수 있다는 점, 여덟 번째, 음식의 경우 배가 부를 경우 더 즐겨 먹고 싶어도 먹을 수 없으나 향을 흡입하는 경우는 즐기고 싶은 향을 배가 불러도 즐길 수 있어 그 즐김에 한계가 적다는 점, 아홉째, 인류는 오랜 예전부터 대표적으로 담배를 통해 엄청나게 많은 물질을 태워서 연기로 폐에 공급해 흡수시켜온 경험으로 보아, 폐가 흡수 할 수 있는 미세한 물질의 성분은 대체로 제한이 없다는 사실(연기를 흡수 함으로써 다량의 독극물을 흡수해 건강을 해치게 한 것은 폐가 미세 물질성분을 흡수 한다는 사실과는 별도의 문제인 것이다.), 열 번째, 현재 IT의 총화인 스마트폰은 융합하고자 하는 기능장치들에 대해, 다양한 관리프로그램의 어플리게이션의 소프트웨어를 제공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융합될 기기와의 상호 상용편의 증진이 현실적일 경우, 기기간 물리적 결합에 그 기술적 한계가 적을 뿐 아니라, 블루투스기능으로 기기 융합의 공간적 제약이 적다는 점, 열 한번째, 스마트폰은 기존 기능에서 헬스케어 감지 장치들간의 많은 융합 사례를 가지고 있고,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기능장치 자체로도 헬스케어 감지장치 활용이 가능하고, 별개의 감지장치 또한 그 장착과 운영이 용이 하다는 점, 열 두번째, 음식의 재료인 식물 등의 추출물 성분을 흡입하는 증기흡입기는 그 흡입효과와 효율 및 안전성을 위해, 그 사용에 대한 가이드와 관리 및 제어가 필수적이고, 이러한 가이드와 관리 및 제어는 증기흡입기에 장치 할 수 있는 전력제어 및 증기에 대한 각종 감지기 장치. 그리고 전자적 제어장치의 장착이 가능하다는 점, 열 두 번째, 현대의 블루투스기술에 기반한 정보와 사물기기의 융합인 유비쿼터스화에 대한 기술적 문제가 없다는 점, 열 세 번째, 헬스케어에 대한 스마트폰 기반의 실용적이며 대중적 상용화는 아직 이루어 지지 않은 상황에서, 성분의 흡수란 스마트한 흡입문화를 주도 할 증기흡입기는, 그 자체가 헬스케어에 기반되어야 하므로, 두 기기의 융합은 헬스케어의 유비쿼터스화에 대중적이고 실용적인 트랜드를 일으킬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이러한 근거들은, 바로 본건 발명과 같이 다양하게, 공간 제한 없이, 사용자 동선에 따라, 그리고 그 필요에 따라, 시간상의 제약도 없이, 실시간으로 원하는 성분의 증기를 끓일 수 있는, 이들 다양한 성분을 하나의 기기에서 흡입가능 하게 하는, 그것도 스마트폰에 융합되어 실시간 헬스케어 되는, 스마트한 증기흡입기의 구현을 가능 하게 할 것이며, 이렇게 유비쿼터스화 한 스마트폰 융합의 증기흡입기는, 위를 통해 성분을 흡수하게 하는 기존의 일부 식음(eating and drinking)문화를, 폐를 통해 물질의 성분을 신체로 흡수하게 하는, 흡입문화로 발전시켜, 인간의 삶을 보다 건강하고 행복하게 고양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폐는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고 체내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공기 교환기만으로 기능 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 입자로 공기 중에 포함되어 흡입되는 많은 성분들을 흡수해, 바로 피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현대에 들어서는 이러한 폐의 신속한 미세물질성분 흡수 능력을 이용한 약물 흡수 기기를 개발하고 있으나 약물투여의 핵심인 그 정확도를 높이기 어려워 답보 상태에 있고, 오랜 예전부터 폐로 흡입하여 그 성분의 효과를 보아온 것은, 지금까지도 담배가 그 대세로 지극히 한정적 이였다(일부 마약류에서도 오래 전부터 이용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함). 이러한 한계는, 비록 연소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유해물질(과학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연소되는 물질에서 유해물질이 발생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웠다.)에도 불구하고, 고체를 태워서 연기형태로 흡입하는 방식이 현실적으로 가장 실용적 이여서, 담배는 쉽게 그 이용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할 것이다. 하지만 증기를 내서 흡입하는 방식은 그 용기를 휴대 할 수 없는 과거에는 불가능 한 것 이여서 증기를 통한 향료 등의 흡입은 용이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최근에야 들어서 전자담배가 발명되면서, 니코틴을 글리세린에 녹여 끓일 경우 시각적인 무화 량이 확보되어, 잎담배로 흡수되는 니코틴 량 이상이 흡수와 연무의 포만감이 잎담배연기와 유사해 지면서, 건강에 치명상을 주는 태우는 방식의 연기를 흡입하는 담배는, 간단하고 휴대 가능한 전자식 노에서, 니코틴을 함유한 다량의 무화 량을 가진 그리세린을 기화시키는 현대적 방식의 전자담배로 그 대체가 이루어 지는 전환점에 서게 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인은 이러한 전자담배의 증기발생기능을 광범위하게 확장시켜, 니코틴을 폐로 흡수 하기 위한 태우는 방식의 잎담배 대체 제에서, 폐의 신속한 성분흡수 기능을 최대한 살려, 태우지 않아 독극물이 발생하지 않는 증기를 호흡하는 방식의 고기능 고 활용성의 증기발생흡입장치를 개발해, 신체에 유익하면서 식용 및 약물, 향료 문화를 변혁 할 수 있는 광범위한 증기흡입문화를 창출하고, 이를 현대문명의 대세 트랜드인 휴대폰에 융합시켜 그 기능 활용을 극대화 시키므로써, 새로운 흡입문화를 창출하기 위해 본 장치의 발명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부; 단층 또는 중층으로 조립된 개별전력조절의A,B형 카토마이저; 선택모드의 제2스위치 본체를 포함한 볼륨식 전압조절장치: 스마트폰 융합 또는 연계장치에 내장된 헬스케어 감지장치 및 곰방대형 또는 원통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증기흡입기로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A형과 B형 두 종류이며, 각 형의 카토마이저는 기본적으로, 스위치본체와의 조립시작 결합 부 카토마이저와, 중간 조립 부 카토마이저, 그리고 물부리와 결합되는 최종 조립 부 카토마이저로 나뉘어 지며, 각 카토마이저는, 풍미를 위한 향료나 이를 통한 아로마요법의 치료제 및 건강보조 품, 필수아미노산 및 미네랄, 비타민 등의 소량흡수로도 충족되는 영양소, 또는 증기흡입용 커피, 증기흡입용 다이어트 식욕억제재인 후디아 및 각종 흡입용 약물, 그리고 니코틴 조성물의 담배액상 등, 증기흡입으로 구강 및 폐에서 직접 흡수 할 수 있는 다양한 액상조성물을 각각의 저장용기에 저장하여 자체조절전력으로 개별무화 시킬 수 있는 다종으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개별 카토마이저는 사용자의 증기흡입 대상 조성물의 선택에 따라, 그 조립 개 수와 조립카토마이저 유형이 결정되는데, 이 유형은 A형, B형 또는 AㆍB 혼합형 3가지로 구성 조립될 수 있다.
이 유형별 조립에 있어서, A형만 결합 조립 할 경우, 이는 하단 카토마이저에서 발생한 증기가 상단의 발열부 심지를 일부 통과해 상단에서 발생한 무화증기를 배출시키며 혼합되는 방식 이여서, 그 혼합방식이 강력한 경우(혼합 향료 맛에 치중 할 경우)를 요할 때 선택되는 방식이고, B형만 결합 조립 하여 사용 할 경우는 하단에서 배출된 증기가 액상저장부에 마련된 증기배출 및 유입통로를 통해 상단 무화실로 유입되어 발생된 증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방식이므로, 약한 증기혼합 방식(개별 향료의 맛에 지중 할 경우)을 택할 경우에 사용되며, AㆍB 혼합형은 향료간 미세한 결합차이의 맛을 음미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용도로 니코틴을 중심으로 한 첨가향료를 흡입하고자 할 경우, 이 경우에는 조성물간 상호 강한 혼합 향과 맛 표현 및 타격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형 결합방식이 권장 할 만 하며, 이때 선택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는 카토마이저는, 니코틴 용액 카토마이저와 멘톨향 등 향료 카토마이저, 그리고 타격감을 주는 캡사이신 등의 식재료 추출물을 저장한 카토마이저를 기본적으로 조립 결합시킬 수 있는데, 이때 그 순서는 무화온도가 낮은 타격감 추추물을 하단에, 무화온도가 상대적으로 중간인 향료저장부 카토마이저는 중간에, 그리고 그리세린과 함께 조성되어 그 비등점이 가장 높은 니코틴 액상 저장부의 카토마이저는 최 상단 물부리와의 결합 부에 두어 조립할 경우, 이들 조성물들은 완전 및 규질 무화되어 흡입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니코틴 액상의 저장부를 가진 카토마이저의 부분전압조절장치의 스위치를 off할 경우, 타격감 추출물과 향료의 증기만을 흡입해 무 니코틴 끽연을 할 수 있으며, 그 조합은 선택 조립된 카토마이저 일부의 전원을 차단 하는 방식으로 그 선택의 폭을 가질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향료 저장부의 카토마이저나 타격감 추출물의 카토마이저를 다른 성분의 것으로 교체조립 하거나, 기존의 조립된 부분에 추가로 다른 성분 저장부를 가진 카토마이저를 중충결합해 사용함으로써 그 선택의 폭을 무한히 확장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커피를 증기로 흡입 하여 커피를 마시는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커피를 음용 할 경우 과도한 설탕 등 부재를 함께 음용해, 비만 등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사용 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카페인 커피나 무카페인 커피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향이 가미된 다양한 맛의 커피를 하나의 증기흡입기로 흡입 구연해, 커피 이용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카페인만의 액상용기를 가진 카토마이저와 기본적인 커피향을 가진 액상용기의 카토마이저, 그리고 커피가 볶아지는 상태에 따라 제각기 내는 향[과일 향/감귤 향(fruity/citrus), 견과류 냄새(nutty), 트리코카울론(Trichocaulon) 또는 후디아(Hoodia) 속의 식물추출물을 저장한 용기의 카토마이저를 조립해 사용하면서도, 먹지 않고도 마치 먹는 것과 같은 심리적 포만감을 주기 위해 빵이나 구은 고기향 등의 액상을 저장한 카토마이저와 결합해 사용 할 수 있고, 그 방식은 커피의 경우와 같은데, 이 경우 향의 자극과 풍부 한 무화 연무로 먹고 싶은 식품에 대한 심리적 만족을 향으로 충족하면서 식욕억제 추출물의 증기를 정맥주사와 같은 폐로 흡수해 신속히 식욕을 억제시킴으로써, 즐기는 다이어트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다양한 식품 향을 손쉽게 취할 수 있어 그 심리적 만족은 배가 되며, 이때 음식물 향은 오히려 식욕을 돋아 역효과를 낼 수 있다 할 수 있으나, 다이어트제가 식욕을 감퇴시키는 것이므로, 일정량의 식욕억제 제가 흡수되면 식욕이 억제 되, 기기 사용도중 일정시간이 지나면 음식 향을 즐기지 못하게 됨으로 그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어, 음식 향과 함께 흡입하는 다이어트제의 흡입효과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아로마요법 치료의 한 경우인, 유칼립투스 오일이나 그 추출물인 시니올은 호주 등에서 전통적으로 뜨거운 물에 이 오일을 떨어뜨려 그 증기를 호흡하는 방식으로 호흡계, 신경계, 피부 등 광범위한 부위의 치료(진통, 살균, 항염증, 항신경통, 항류머티즘, 방부, 항경련, 항바이러스, 수렴, 진정치유, 반흔형성, 울혈제거, 탈취, 이뇨, 거담, 해열, 혈당강화, 발적, 상처치료)에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식물추출 오일의 증기흡입 방식의 한 예로, 과학적으로 증기를 흡입 할 수 있게 발명된 본 기기에 적용 할 수 있으며, 여타의 아로마요법의 치료에 본건 발명의 증기흡입기의 사용은 그 치료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순하게는 물의 수증기를 흡입하게 하는 호흡기에 대한 직접적 가습기로도 그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여기에 본건 발명인이 출원번호 10-2013-0119840호로 출원한 음이온 발생장치까지 본건 발명에 부가 장치 할 경우 그 가습의 효과는 극대화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핵심성분을 풍미 있게 즐기며 흡입하기 위해 다양한 부재의 향을 곁 드리는 방식으로 본건 기기를 사용하는 방식과는 달리, 다양한 핵심 성분, 즉, 담배와 커피, 그리고 다이어트제나 구강청결제, 또는 비타민이나 건강보조제및 향료 등, 여러 종류의 액상조성물을 저장한 카토마이저를 하나의 기기로 조립해 사용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담배만 흡입하고자 하면, 나머지 카토마이저 개별 전원은 off시킨 채, 담배액상 카토마이저만 on상태로 두고 사용하고, 커피를 피우고자 하면, 담배와 같은 방식으로 기기를 작동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성분을 흡입하고자 하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면 되는데, 만약 기본 향을 쓰면서 각각의 주된 성분을 흡입하고 할 경우, 기본 향과 각각의 사용성분 카토마저를 함께 on으로 두고 사용하면 될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증기흡입기에 담배, 커피, 다어트제, 비타민, 건강보조품, 약물을 한꺼번에 지참하여 사용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 기기를 사용하는 장소가 바로 자신만을 위한 문화공간을 연출 할 수 있는 호사와 그 편리함을 동시에 만끽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카토마이저는 각각의 카토마이저 자체로 무화액상의 공급과 공급된 액상의 적정무화를 위한, 제어 조절 가능한 액상공급 심지와 이를 완전무화 시킬 수 있는 발열부 보일장치 및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 조절된 전력공급 장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액상심지에 있어, 제어 조절되어 공급되는 전력의 변량에 즉각 대응되는 액상을 자동으로 조절 공급 할, 다중 공기배출구(기압평형을 위해 액상통내로 유입된 공기가 심지의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위치에서 신속 배출되게 해 이에 상응하는 액상이 신속히 발열부로 흡수 공급되게 하는 핵심장치)가 설계된 불연망 심지를 발명해, 최소한 기본전력의 3배가지도 그 액상공급이 적정하게 자동제어 공급되게 하였고, 공급 전력에 상응하게 자동 공급 된 액상을, 그것도 기본 공급액상량의 3배 까지도, 비등액상의 비산 없이, 증기증발이 가능한 자연형 보일방식의 완전무화를 가능하게 하는 보일대류룸(액상이 열선에 접촉해 튀는 것이 아니라, 액체상태에서는 계속 대류하며 충분한 증발온도를 확보한 후 증발이 이루어 지도록, 그 대류작용이 가능하도록 확보된 공간)을 갖춘 발열부가 발명되어 있으며, 이렇게 변량된 액상을 완전무화 가능하게 한 발열부에 미세하게 조절된 전력을 공급 할 제2의 전력제어 조절기가 발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될 각각의 카토마이저가 그 자체적으로 전력을 미세하게 제어 공급하고, 이에 대응한 액상공급이 동시에 자동조절 공급되면서, 이렇게 공급된 전력과 액상을 발열부에서 자연보일방식으로 완전무화 시키는 완벽한 자체 제어의 개별 카토마이저에, 기기 전체적으로 제어되는 제1전력 조절장치에 의한 기본 전력이 조절되어 각 카토마이저에 병렬의 동일전압으로 공급되게 하고, 이 기본전력의 공급이 필요에 따라 수동, 자동, 연속의 선택모드로 스위칭 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기기로 다종의 카토마이저를 동시에 작동시키면서도, 그 무화 증기가 완전 및 균질 무화 되게 하여 그 맛 표현과 성분의 흡수가 최상에 이르도록 발명 된 것이 본건 발명의 특징이다.
한편 상기의 고효율의 다중 제어조절 기능과 향상된 발열부 보일대류룸의 기능으로 이상적인 무화증기가 생산되어 흡입되는 단계에 이르러, 다시 한번 최종적인 제어단계를 갖게 되는데, 그것은 흡입 직전의 무화증기에 대한 흡입압 조절기에 의한 것이다. 이 기능은 발생된 무화증기에 대한 흡입 정도의 수월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월 할 수록 각 카토마이저 발열부에서 생산된 증기가 신속히 배출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그 배출속도가 제어된다는 것은 역으로 배출을 지연시킬 수 도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발생되는 순수한 액상증기에 외부공기의 포함 정도, 즉 그 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순수하게는 흡입할 무화증기량 자체를 조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출증기의 완전무화 정도까지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흡입압조절벨브를 약간만 열 경우, 상대적으로 흡입감이 빡빡해지면서, 발열부에서 생산된 증기는 쉬 배출되지 않아 더 가열되게 되어, 입자가 더 미세한 증기를 배출하게 되며 그 배출량도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외부공기 유입량이 적어, 배출증기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조절은 액상의 성분에 따라 천차만별 일 수 있다. 즉, 약물의 경우에는 폐에서의 효율적 흡수를 위해 발생증기의 입자가 더욱 미세해야 하고 그 농도도 커야 한다. 따라서 흡입압을 강하게 조절하는 것이 기본일 것이다. 한편 담배의 경우에는 연무에서 느끼는 포만감이 커야 하므로 많은 무화량을 위해 발생증기에 다량의 공기가 함유되어 그 농도가 낮은 경우가 선호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조절벨브를 많이 개방하여 흡입 압을 낮추어 사용하는 것이 유용 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발명은 기기본연의 고유기능인 그 하드웨어 측면에 관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흡입압 조절벨브는 무화량의 정도와 그 농도를 기본적으로 조절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절에 연동된 흡입증기의 농도감지 및 사용자의 시간대 별 누적 흡입횟수 감지에 따른, 각 성분의 정밀한 흡입양과 그 흡입형태에 대한 정보는 증기흡입기에 융합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폰 연계장치를 통한 공유된 사용자 휴대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가이던스 및 관리프로그램에 송출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되게 하고, 어플리케이션 가이던스의 가이드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임의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에 내장된 각종 헬스케어 체크 장치로, 그 흡입효과를 사용자 신체에 대한 체크로 측정하면, 이미 각 사용 카토마이저 감지 및 제어 장치와의 교신으로, 그 조립과 사용이 실시간 인지되어, 사용 액상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면서, 감지 및 체크된 모든 정보를 취합해 작동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금연을 위한 담배흡입이나 약물흡입, 그리고 다이어트 계획에 따른 다아어트제 흡입, 그리고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의 흡입 등을, 실시간 정밀하게 관리하여, 사용자가 적정량의 성분을 흡입 할 수 있도록 실시간 디스플레이어를 통해 가이드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의 기기 사용을 직접 제어하여, 사용자의 기기 사용을 통한 사용 성분의 흡입이, 사용자 건강이 관리 증진 되도록 하면서 그 사용의 즐거움을 극대화 하도록 운영된다.
상기의 증기흡입기 사용의 관리 체계를 위해, 본 발명은, 발생증기를 최종 흡입하며 그 흡입압을 조절하는 물부리에 상기의 감지 요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와 기기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유해물질 감지센서를 더블어 장치하고, 또한 조립된 개별 카토마이저의 사용 액상에 대한 정보와 그 사용의 인지를 송출하는 개별감지기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관리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는 전자제어기가 장치되며, 증기흡입기 사용 효과를 체크해 이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프로그램이 작동되게 하여, 사용자의 기기 사용을 실시간 가이드하고 제어되게 하는 헬스케어 체크 장치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에 내장 장치된다. 여기서 감지된 정보에 대한 관리처리는, 융합 또는 연계한 스마트폰에서 처리되도록, 그 관리장치를 스마트폰에 부가시킨 장치(스마트폰 고유기능에 추가시킨 기능)로 채택 하였고, 그 실시간 디스플레이는 플렉스블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배터리와 물리적으로 결합된 스마트폰 본체나 스마트폰 연계장치의 원주 외각에 내장 또는 외장 된 장치로 발명하였다.
상기의 증기흡입기에 대한 스마트폰의 공유 결합방식은,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를, 물리적으로 배터리를 매개하고, 기능적으로는 헬스케어장치를 매개해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기기로 융합된 새로운 기기를 창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스마트폰은 지금까지 IT만을 기반으로 한 대부분의 디지털기기를 부가기능으로 융합한 한계(현재 더 이상 융합시킬 수 있는 기능의 부족으로 그 활용범위 확장의 한계에 직면해 있음)를 극복하고, 또한 헬스케어의 진단장치 내장을 통해 아직까지 인간의 건강진단이 실시간 체크 관리되는, 유비쿼터화 한 건강진단 기능까지 확장해, IT가 아닌 새로운, 헬스케어를 기반한 생체기능의 증기흡입기를 융합시켜 새로운 문화를 창출 할 핵심 기기로 거듭 발전 할 수 있어, 작금의 스마트폰수요의 한계를 극복 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증기흡입기는 거대한 식음문화 일부를 흡입문화로 대체 발전시킴에 있어, 하드웨어적인 기기의 기능에 막강한 스마트폰이란 소프트웨어 장치의 기기를 융합시킴으로써, 풍부한 물질문명의 식음문화가 야기한 대표적인 비만문제로 제약된 그 섭취의 한계를 소량의 흡입으로도 그 풍미를 만끽 할 수 있어 비만의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는, 나아가 약물의 폐를 통한 흡수와 소량의 필수 영양성분의 폐를 통한 흡수, 그리고 기호식품의 폐를 통한 흡수, 그리고 이들 성분의 흡수 정도와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실시간 건강체크를, 증기흡입기 자체에 장치된 각종 감지 및 제어 장치와, 혈액 한 방울로, 사용중인 흡입 액상에 대한 혈중 농도 뿐만이 아니라, 각종 암 진단과 현대인에게 유용한 기초대사 및 갑상선, 간기능, 신장기능, 간염, 빈혈 등에 대한 정보를 진단 및 측정하는 체혈진단ㆍ혈당ㆍ농도 측정기, 심박 및 신체상태를 검진하는 청진기, 혈압측정기, 체온계, 검진카메라, 비만관리감지기를 갖춘 내장된 헬스케어 검진장치로 실시간 정밀 관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 기기사용의 안전성과 활용성 및 그 기능성을 고도화 시켜, 하나의 흡입문화 창출을 급진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융합방식이 아닌, 연계의 방식으로, 이 방식은 기본적으로 상기와 같은 효과가 모두 구현 되면서, 단지 두 기기를 물리적으로 별개로 소지해야 함이 다를 뿐인데, 이 경우 두 기기의 결합은 두 기기간 근거리 교신을 가능하게 하는 불루투스기능이 그 결합의 매개가 된다. 이 경우에 있어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현재 출시되고 있는 겔럭시 기어와 같이, 사용중이거나 휴대한 증기흡입기로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고 전화통화를 하고, 내장된 사진기로 사진을 찍어 그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 하거나, 스마트폰의 프로그램을 기기에 내장된 메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실행하거나 하는 등의,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그 보조장치로서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고, 스마트폰은 증기흡입기 물부리 흡입압조절밸브에 내장된 감지기 및 조립된 개별 카토마이저 감지 및 제어기로부터 송출된 성분 별 증기 량 흡입정보 등을 수신,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헬스케어 진단 장치에서 진단 및 측정된 정보와 통합해, 이들 정보를 관리프로그램에 따라 관리해,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성분 별 액상흡입에 관련한 매뉴얼된 가이드와 이에 따른 사용자 건강에 대한 가이드 등을 증기흡입기 배터리 및 연계장에 내장된 플레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실시간 제공(약물의 경우 섭취시간, 섭취량, 약효 등, 담배의 경우 적정 또는 목표 니코틴 흡입량, 커피의 경우 카페인 흡입량, 다이어트제의 경우 흡입량과 효과 및 음식물 섭취 열량, 등) 받아, 기기 사용의 효과와 효율성을 극대화 하게하고, 나아가 스마트폰의, 증기흡입기 기기 자체와 그 사용액상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가이드를 제공하는 어플레케이션(기기와 액상구매 안내, 사용자 니즈에 따른 적절한 액상성분 안내, 사용 액상에 부합한 음악제공 등)을 통해 기기 사용의 문화적 가치를 극대화 하는, 증기흡입기의 실시간 관리장치로서 부가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두 방식에서의 두 기기의 결합은, 물리적으로는 배터리와 헬스케어 검진·측정장치를 공유함으로써 이루어 지며, 심리적으로는 두 기기의 중독성과 고도의 사용자 니즈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두 기기의 동시 휴대와 상시 휴대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필연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두 기기의 융합 아닌 연계 방식에서,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는 기기간 이격의 정도에 따라 알람을 울리게 하여 상호 분실이나 상호휴대 누락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기기의 결합은 그 방식이 융합 공유든, 연계공유든 간에 두 기기에 필수적인 배터리와 진보적인 헬스케어 검진ㆍ측정 장치를 그 물리적 매개로 공유하고 있는데, 이 배터리는 주로 원통형으로, 이 경우의 원통형은 곰방대 형의 원통형과 막대형의 원통형 두 종류를 적용 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한 디스플레이를 원통 외각에 두루 마리로 말아 외장형으로 장치 하거나, 외장 내부에 디스플레이를 마는 내장방식으로 장치 할 수 있어 적은 부피의 원통장치로도 상당 폭의 디스플레이를 장착(디스플레이폭 = 내장장치 외경 × 3.14)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스마트폰을 융합 또는 연계방식으로 공유한, 본건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는, 사용자의 헬스케어를 근간에 두고, 식음문화 일부를 스마트한 흡입문화로 진화시키는 IT와 생체문화를 융합한, 신 문화의 트랜드를 일궈낼, 사물과정보의 융합이란 유비쿼터스를 실현할 혁신적 기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흡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카토마이저를 확대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심지 및 제1 발열부를 구성하는 가요성 불연 금속망의 형태를 예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압조절장치를 예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확대 도시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전압조절장치를 예시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제3 모드로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연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흡입기의 제2 카토마이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연계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스마트폰 연계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스마트폰 연계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흡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흡입기는 무화증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100); 무화증기를 생성하는 카토마이저(210, 700); 상기 카토마이저(210, 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400)를 포함한 본체부(300); 및 상기 카토마이저(210, 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흡입기는 카토마이저(210, 700)가 흡입부(100) 및 본체부(30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흡입부(100) 및 본체부(3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토마이저(210, 700)는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을 통해 카토마이저(210, 700)의 복수의 결합, 그리고 카토마이저(210, 700)를 흡입부(100) 및 본체부(300)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수단의 구조는 이하의 카토마이저(210, 700)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카토마이저는 A형(제1 형태: 이하, 제1 카토마이저라 지칭함.)(200) 및 B형(제2 형태: 이하, 제2 카토마이저라 지칭함.)(700)의 카토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태 및 제2 형태 각각의 카토마이저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제1 카토마이저에 대한 설명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카토마이저를 확대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카토마이저(200)는 제1 무화기하우징(210); 제1 액상통(220);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 제1 심지(241); 제1 발열부(242); 및 제1 액상통마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화기하우징(210)은 제1 액상통(220),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 제1 심지(241), 제1 발열부(242) 및 제1 액상통마개(250)를 수용하는 하우징이다. 일 예로, 제1 무화기하우징(210)은 원통형상일 수 있다.
제1 액상통(220)은 액상을 저장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1 액상통(220)은 제1 무화기하우징(210)의 내측의 일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액상통(22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 있고, 원통 내에는 액상이 저장된다. 이러한 제1 액상통(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수단은 상기 원통의 개방된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나사부(2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는 제1 카토마이저(200)를 복수로 결합할 때 서로 연결되는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전원연결에 이용될 수 있고, 외부공기 및 무화증기를 제1 발열부(242) 주변의 후술되는 제1 무화실(242a)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화실(242a)은 제1 액상통마개(250)의 설명 과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관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은 하단부가 제1 액상통(22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제1 액상통(2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액상통(2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액상통(22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의 하단부는 제1 카토마이저(200)가 복수로 연결되는 경우 아래에서 결합되는 추가의 제1 카토마이저(200)에 구성된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과 연결되어 서로 전원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는 외부공기 및 무화증기를 제1 무화실(242a)로 전달하기 위해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제1 기체유입구(231) 및 제1 기체배출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체유입구(231)는 제1 액상통(22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형성되고 이를 통해 외부공기 및 무화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기체배출구(232)는 제1 액상통(220) 내에 수용된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이는 제1 기체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증기가 제1 발열부(242) 주변의 제1 무화실(242a)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는 제1 보일룸(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일룸(233)은 제1 심지(241)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을 발열부의 가열로 원활히 끓일 수 있다. 제1 보일룸(233)은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 내에 위치하는 독립된 빈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일룸(233)은 제1 발열부(242)와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고, 제1 발열부(242)에 대응된 벽면(제1 무화기 중심부재의 외측면)이 제1 발열부(242)를 향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열부(242)로 공급된 액상은 가열되어 충분한 기화열을 얻을 경우 기화되지만, 기화되지 않은 채 끓는 액상은 제1 보일룸(233) 내로 유입되고, 제1 보일룸(233) 내로 유입된 액상은 대류 현상에 의해 충분한 비등열을 얻을 만큼 가열되면서 제1 발열부(242)와 순환소통 가열되며, 이에 의해 액상은 완전 무화될 수 있다.
제1 심지(241)는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을 둘러싸도록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 둘레에 설치되고 일부분이 제1 액상통(220) 내로 삽입되도록 제1 액상통(2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심지(241)는 제1 액상통(220) 내에 저장된 액상을 제1 발열부(242)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발열부(242)는 제1 심지(241)로부터 공급된 액상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발열부(242)는 제1 심지(241)의 제1 액상통(220) 내부로 삽입된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심지 및 제1 발열부를 구성하는 가요성 불연 금속망의 형태를 예시한다.
이러한 제1 심지(241) 및 제1 발열부(242)는 도 3에 도시된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은 그 자체만으로, 또는 천연 및 합성섬유재의 천, 또는 불연의 면포와 겹쳐진 후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린 채로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린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을 펼친 상태에서, 펼쳐진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의 종방향으로 공기유입통로(240a)가 형성되며, 펼쳐진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의 횡방향으로는 공기배출통로(24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통로(240a)는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을 두루마리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두루마리 형상의 축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공기배출통로(240b)는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을 두루마리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두루마리 형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의 일측에는 제1 전극(240c)이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일측에는 제2 전극(240d)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제1 발열부(242)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불연 금속망(240)을 이용하는 경우, 공기유입통로(240a) 및 공기배출통로(240b)를 통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되므로 제1 발열부(242)로의 액상 공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액상통마개(250)는 제1 액상통(220)을 밀폐하고 제1 발열부(242)를 통해 발생된 무화증기를 가둘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액상통마개(25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액상통마개(250)는 제1 액상통(22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제1 무화기하우징(2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액상통마개(250)는 제1 카토마이저(200)가 복수로 결합되는 경우, 제1 액상통마개(250)의 아래에 위치한 제1 액상통(220)을 밀폐할 수 있고, 상기 아래에 위치한 제1 액상통(2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액상통마개(250)에는 결합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결합수단은 제1 액상통마개(25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나사부(2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나사부(251)는 제1 카토마이저(210가 복수로 결합되는 경우 아래에 위치한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제1 나사부(2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액상통마개(250)의 내측에는 상기 아래에 위치한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제1 발열부(242)가 위치할 수 있고, 제1 발열부(242) 주변에는 상기 무화증기를 가둘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은 제1 무화실(242a)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압조절장치를 예시한다.
한편, 제1 카토마이저(200)는 제1 전압조절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조절장치(260)는 제1 카토마이저(200)가 복수로 조립되는 경우 조립된 다른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제1 발열부(242)로 인가되는 전압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 전압조절장치(260)는 제1 액상통마개(25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제1 액상통마개(25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링이 제1 액상통마개(250)의 외측면에 자유롭게 결합되기 위해 링의 일측에는 체결홈(261b)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홈(261b)은 링이 제1 액상통마개(250)의 축방향을 따라 제1 액상통마개(250)에 외측면에 결합될 때 후술하는 전극돌기(252)가 통과하는 홈일 수 있고, 이를 위해 체결홈(261b)은 링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261)은 제1 액상통마개(250)의 외측면에 접하는 면에 상기 링(26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홈들(261a)을 형성할 수 있다.
홈들(261a)에 접하도록 가변저항(322)이 설치될 수 있고, 홈들(261a)의 일부는 온(ON)/오프(OFF)를 위한 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의 일측에는 다수의 제1 카토마이저(200)가 결합될 때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에 개별 조절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을 병렬 연결하는 병렬연결선(261c)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전압조절장치(260)가 결합된 제1 액상통마개(250)의 외측면의 일측에는 상기 홈들(261a)에 체결되는 전극돌기(2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압조절장치(260)를 이용한 전압조절은, 상기 링을 제1 액상통마개(25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전극돌기(252)가 홈들(261a) 내에 결합되는 위치가 변경되고, 이때 각 홈들(261a) 내에 위치한 가변저항에 의해 전압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발열부(24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시키기 위해서는 전극돌기(252)를 온 기능의 홈 내에 위치시키고, 제1 발열부(24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해서는 전극돌기(252)를 오프 기능의 홈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카토마이저(200)가 복수로 결합된 경우,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를 선택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압조절장치(260) 및 전극돌기(252)의 구성에 의해, 전압조절을 위한 가변저항을 포함한 링은 착탈이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압 조절값을 가진 링을 결합시켜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카토마이저에 대한 설명
제2 카토마이저의 무화기 구조체는, 제1 카토마이저와 기본적으로는 대부분의 기능장치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 작동방식도 동일 하지만, 무화기구조체의 발열부에서 생산한 증기 배출과 이 증기 배출을 위해 유입 시키야 할 외주공기나 하단 카토마이저에서 생산된 증기의 유입방식 만을 달리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특징은 제 1 카토마이저 무화기구조체에서 그 기능을 담당한 관 형태의 제1 무화기 중심부재가 제 2 카토마이저에서는 봉 형태의 제2 무화기 중심부재로 대체됨에 따라, 제1 무화기 중심부재에 의한 외부공기 및 증기 유입, 그리고 배출기능 장치는, 제2 카토마이저의 액상통마개 하단에 형성된 공기ㆍ증기유입구로 대체되어, 발열부에서 생산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외부공기 또는 증기가 당해 카토마이저 무화기틀의 공기 및 증기유입부를 통과해 무화실로 유입되며, 여기서 유입된 외부공기나 하단 카토마이저에서 생산된 증기는 당해 카토마이저 발열부에서 생산된 증기와 혼합되어 액상통마개 상단에 형성된 공기유입ㆍ증기배출구를 통해 상단 카토마이저의 액상저장부에 형성된 공기 및 증기 유입ㆍ배출통로를 통해 상단카토마이저에 다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액상통마개의 외장에 장치된 제1전압조절기는 제 1 카토마이저의 그것과 모든 기능장치 및 작동이 동일하다.
제2 카토마이저(700)는 제1 카토마이저(200)와 교체 사용되거나 제1 카토마이저(200)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흡입기의 제2 카토마이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카토마이저(700)는 제2 무화기하우징(710); 제2 액상통(720); 제2 무화기 중심부재(730); 제2 심지(741); 제2 발열부(742); 제2 액상통마개(750); 및 제1 카토마이저(200)와 동일한 제1 전압조절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화기 중심부재(730)는 제2 보일룸(73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카토마이저(700)가 복수로 결합될 때 제2 발열부(742)의 주변에는 제2 무화실(7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카토마이저(700)는 제2 무화기 중심부재(730)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봉 형태이며, 제2 카토마이저(700) 내로 공급되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해 제2 액상통마개(750)의 일측에 제2 기체유입구(751)가 형성되고, 제2 액상통(720)의 일측에 제2 기체배출구(721)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카토마이저(200)와 동일 및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제2 카토마이저(700)는 외부공기의 유입이 제2 무화기 중심부재(730)을 통하지 않고 제2 기체유입구(751)를 통해 유입되어 외부공기가 제2 발열부(742) 주변의 제2 무화실(742a)로 확산 되어 제2 발열부(742)를 통해 기화된 무화증기와 혼합되는 약한 증기 혼합 방식 형태이므로 제1 카토마이저(200)에 비해 약한 농도의 무화증기를 흡입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제 2 카토마이저 만으로 결합된 증기흡입기는, 제 1 카토마이저가 결합 조립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단 카토마이저에서 생산 배출한 증기와 상단 카토마이저에서 생상 배출한 증기와의 혼합을 약하게 하여, 각 성분의 맛을 독립적으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이 경우의 조합은 기호식품보다는 하나의 약리 성분을 정확히 흡입해야 하는 약물이나, 영양소로 조성된 액상조성물의 증기를 흡입해야 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제 1 및 제 2 카토마이저를 혼합해 하나의 증기흡입기로 조립해 사용 할 경우에는 기호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 액상조성물의 증기를 흡입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카토마이저에 개별적으로, 그 비등점을 기준으로 용매가 유사한 액상조성물을 그에 적합하게 제어된 전력으로 증기를 생산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혼합 흡입하게 하면서, 그 증기의 혼합 강도에 있어서도 정도의 차를 둘 수 있도록 신규 발명된 본건 조립식 멀티카토마이저는, 액상조성물의 증기생산에 이어, 연소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는 절대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완전무화와 동시에 모든 성분간 균질무화를 달성하는, 가장 자연스런 방식으로 가장 적정하게 무화 증기를 생산 흡입하게 하는, 그 기기 사용의 활용범위를 극대화 할 수 있어, 식음문화의 상당부분을 흡입문화로 대체시킬 고 효율 및 고 효과적 증기흡입기인 것이며, 바로 이런 기기의 시·공 제약 없는 고도화된 휴대 가능한 멀티형 증기생산 능력이 스마트폰의 IT기능을 완벽히 결합시켜, 스마트폰이 생체기기에 융합되게 하는, 사물기기와 정보를 융합한 유비쿼터스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체부에 대한 설명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확대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300)는 본체부하우징(310); 스위치(400); 제2 전압조절장치(320); 제1 전원인가수단(330); 및 제2 전원인가수단(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하우징(310)은 배터리(500) 및 제1 카토마이저(200)와 결합되고, 배터리(500)에 마련된 제1 전원접점(510)과 연결되어 배터리(500)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전원 및 마이너스전원 중 하나를 제1 카토마이저(200) 및 제2 카토마이저(700)로 인가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부하우징(310)은 원통 형상일 수 있고, 배터리의 전원이 제1 카토마이저(200) 및 제2 카토마이저(700)로 인가 가능하도록 금속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하우징(310)을 통해 제1 카토마이저(200) 및 제2 카토마이저(700)로 인가되는 전원은, 예를 들면, 플러스전원일 수 있다.
스위치(400)는 제1 전원인가수단(330)이 위치하여 있는 방향을 향해 있는 제1 단자(410) 및 배터리(500)가 위치하여 있는 방향을 향해 있는 제2 단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400)는 일부분이 본체부하우징(3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본체부하우징(310) 내측에 위치한 부분은 스프링(4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일 수 있다. 스프링(430)은 본체부하우징(310) 내부로 눌린 스위치(400)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전압조절장치를 예시한다.
제2 전압조절장치(320)는 제1 카토마이저(200) 및 제2 카토마이저(700)로 인가되는 최초 전압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배터리(500) 및 상기 스위치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터리(500) 및 스위치(4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2 전압조절장치(320)는 원형의 플레이트부(321), 원형의 플레이트부(321)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접점돌기(323) 및 제2 접점돌기(324)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의 플레이트부(321)는 제1 접점돌기(323) 및 제2 접점돌기(324)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다수의 단자홈(321a)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단자홈(321a)에는 가변저항(322)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수의 단자홈(321a)들은 배터리(500)에 대향되어 배터리(500)에 마련된 제2 전원접점(52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접점돌기(323) 및 제2 접점돌기(324)는 스위치(400)에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고, 스위치(400)의 누름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압조절장치(32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배터리(500)의 제2 전원접점(520)과 접촉될 수 있는데, 배터리(500)는 본체부(300)에 회전가능 하게 결합되고, 이에 의해 배터리(500)는 회전하여 제2 전원접점(520)이 가변저항(322)에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된 전력을 제1 카토마이저(200) 및 제2 카토마이저(700)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원인가수단(330)은 본체부하우징(310) 내에 설치되고, 스위치(400)가 배터리(500)에 마련된 제2 전원접점(520)과 연결될 때 배터리(500)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전원 및 마이너스전원 중 나머지 하나를 제1 카토마이저(200)로 인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원인가수단(330)을 통해 제1 카토마이저(200)로 인가되는 전원은 마이너스전원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원인가수단(330)은 제1 전극관(331) 및 제1 스프링(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관(331)은 본체부하우징(310)의 축방향에 평행하도록 본체부하우징(3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관(331)은 평상시 그리고 스위치(400)가 제1 압력 및 제2 압력으로 눌리는 경우 스위치(400)의 제1 단자(4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스프링(332)은 제1 전극관(331) 둘레에 설치되고, 제1 전극관(331)을 배터리(50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을 보유할 수 있다.
제2 전원인가수단(340)은 스위치(400)의 누름 방향으로 제1 전원인가수단(330)과 이웃하도록 본체부하우징(310) 내에 설치되고, 스위치(400)가 제2 전원접점(520)과 연결될 때 배터리(500)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전원 및 마이너스전원 중 상기 나머지 하나를 상기 제1 카토마이저(200) 및 제2 카토마이저(700)로 인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원인가수단(340)을 통해 제1 카토마이저(200) 및 제2 카토마이저(700)로 인가되는 전원은 마이너스전원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원인가수단(340)은 실린더(341); 제2 전극관(343); 피스톤(342); 및 제2 스프링(34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41)는 본체부하우징(310)에 설치되고, 피스톤(342)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제2 전극관(343)은 실린더(341)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되고, 하단부가 스위치(400)를 향해 돌출되도록 실린더(341)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관(343)은 제3 압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단자와 접촉될 수 있다.
피스톤(342)은 하단부가 제2 전극관(343) 내로 삽입된 상태로 실린더(341)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상단부는 본체부(300)에 결합된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 및 제2 무화기 중심부재(730)의 하단부에 대향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342)은 실린더(341) 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제2 스프링(344)은 제2 전극관(343)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실린더(341) 및 피스톤(342)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피스톤(342)을 제2 전극관(343)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프링(344)은 상승된 피스톤(342)을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부(300)는 제1 전원인가수단(330)을 통해 제1 카토마이저(200)로 배터리(500)의 마이너스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카토마이저(200)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1 공기통로(300a) 및 제2 전원인가수단(340)을 통해 제1 카토마이저(200)로 마이너스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카토마이저(200)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2 공기통로(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통로(300a)는 본체부하우징(310)에 관통된 제1 공기구멍(310a) 및 실린더(341)에 관통된 제2 공기구멍(341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기통로(300a)는 평상시 및 제1 전극관(331)이 스위치(400)의 제1 단자(410)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개방되어 제1 공기통로(300a)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1 전극관(331)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1 카토마이저(20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공기통로(300a)의 개방된 상태는 도 5 잘 나타나 있다.
제2 공기통로(300b)는 본체부하우징(310)에서 제1 공기구멍(310a) 아래에 형성된 제3 공기구멍(310b) 및 실린더(341)에서 제2 공기구멍(341a) 아래에 형성된 제4 공기구멍(34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기통로(300b)는 평상시 제1 전극관(331)에 의해 막혀있고, 스위치(400)의 제1 단자(410)가 제2 전극관(343)에 접촉된 상태로 될 때, 제1 전극관(331)이 제1 스프링(332)에 의해 하강되는 것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제2 공기통로(300b)의 개방된 상태는 도 7에 잘 나타나 있다.
한편, 흡입부(100)는 내부에 흡입압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압조절부(120)는 흡입부본체(1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하부면은 개방되고 상부면 및 하부면이 반원형상인 원통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입부(100)를 통해 무화증기의 흡입압을 조절하기 위해 흡입부(100)를 회전시키면 흡입압조절부(120)의 상면에 대응하는 흡입구(110a)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카토마이저(200)가 다수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 1을 참조하여 제1 카토마이저(200)가 다수 결합된 상태에서의 무화증기의 생성 및 흡입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위치(400)를 조작하여 제1 카토마이저들(20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 배터리(500)를 통해 제1 카토마이저들(200)에 공급된 전원을 통해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 내의 제1 발열부들(242)은 발열되어 제1 심지들(241)을 통해 공급된 액상은 제1 발열부들(242)을 통해 가열된다. 이때, 제1 발열부들(242)에 대응된 각각의 제1 보일룸들(233)로 가열된 액상이 유입되고 보일룸을 통해 소통되는 액상은 대류 현상에 의해 충분한 비등열을 얻을 때 까지 재 가열된다. 따라서, 제1 발열부들(242)로 공급된 액상은 완전 무화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에서 생성된 무화증기는 상층에 위치하는 제1 카토마이저(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층의 제1 카토마이저(200) 내에서 생성된 무화증기와 혼합 및 재차 무화되고, 이러한 과정은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 내에서 반복되어 더욱 효과적인 완전 무화가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 내에서 혼합된 무화증기는 최종적으로 흡입부(100)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흡입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제2 전압조절장치(320)를 통해 제1 카토마이저들(200) 전체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제1 전압조절장치(260)를 통해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제1 발열부들(242)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제1 액상통들(220) 내에 저장된 액상의 종류에 맞게 전압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각각의 제1 액상통(220) 내에 저장된 액상의 종류에 따른 최적화된 액상의 맛을 구현하기 위한 전압으로 액상을 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 중 일부를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제1 전압조절장치(260)를 이용하여 제1 카토마이저(200)의 일부를 오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사용하고자 하는 액상이 저장된 제1 카토마이저(200)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카토마이저(200)를 복수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제1 카토마이저(200)에는 서로 다른 액상이 저장될 수 있다.
액상의 종류에는, 예를 들면, 담배액상 조성물, 커피액상 조성물, 아로마액상 조성물, 영양소액상 조성물, 약초액상 조성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커피액상 조성물은 커피의 고유향 및 커피의 부가향 등을 가진 커피액상을 이용한 조성물일 수 있다.
아로마액상 조성물은 치료용의 유칼립투스(Eucalyptus), 시네올(Cineol), 프로폴리스(Propolice), 팔마로사(Palmarosa), 버가못(Bergamot) 등의 아로마액상을 이용한 조성물일 수 있다.
영양소액상 조성물은 필수아미노산, 미네랄, 부가향 등의 영양소액상을 이용한 조성물일 수 있다.
약초액상 조성물은 각종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한 약초액상을 이용한 조성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흡입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스위치(400)의 조작에 의해 각종 모드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모드로의 사용
제1 모드는 수동모드이다. 수동모드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른 상태를 유지한 채로 흡입부(100)를 통해 무화증기를 흡입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스위치(400)를 제1 압력으로 누를 수 있다. 제1 압력은 스위치(400)의 제2 단자(420)가 제1 접점돌기(323)에 단순히 접촉되고, 스위치(400)의 제1 단자(410)는 제1 전극관(331)에 접하여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스위치(400)를 누른 압력이다.
이러한 제1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무화증기를 흡입하고자 할 때 상기 제1 압력으로 스위치(400)를 누른 상태로 흡입부(100)를 통해 무화증기를 흡입하고, 흡입이 멈춘 상태에서는 스위치(400)로부터 손을 떼어서 제1 카토마이저(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러한 제1 모드에서 제1 카토마이저(200) 내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제1 공기통로(300a)를 통해 공급된다.
*제2 모드로의 사용
제2 모드는 연속모드이다. 연속모드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1회만 가볍게 눌러서 흡입부(100)를 통해 무화증기를 흡입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스위치(400)를 제2 압력으로 누를 수 있다. 제2 압력은 스위치(400)의 제2 단자(420)가 제1 접점돌기(323)에 물리고, 스위치(400)의 제1 단자(410)는 제1 전극관(331)에 접하여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스위치(400)를 누른 압력이다.
이러한 제2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무화증기를 흡입하고자 할 때 스위치를 상기 제2 압력으로 스위치(400)를 누르면 스위치(400)를 통해 제1 카토마이저(200)로 전원이 계속하여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반복적으로 흡입부(100)를 통해 무화증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의 반복적인 무화증기의 흡입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 스위치(400)를 다시 누르면 스위치(400)는 제3 스프링(430)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 카토마이저(2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러한 제2 모드에서 제1 카토마이저(200) 내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제1 공기통로(300a)를 통해 공급된다.
*제3 모드로의 사용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제3 모드로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3 모드는 자동모드이다. 자동모드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1회 깊게 누른 후 흡입부(100)를 통해 무화증기를 흡입할 때는 제1 카토마이저(200)로 전원이 인가되고, 무화증기의 흡입을 멈추면 제1 카토마이저(200)로 공급된 전원이 차단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스위치(400)를 제3 압력으로 누를 수 있다. 제3 압력은 스위치(400)의 제2 단자(420)가 제2 접점돌기(324)에 물리고, 스위치(400)의 제1 단자(410)는 제2 전극관(343)에 물린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스위치(400)를 누른 압력이다.
이러한 제3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무화증기를 흡입하고자 할 때 상기 제3 압력으로 스위치(400)를 누르면 스위치(400)의 제1 단자(410)는 제1 전극관(331)의 위치를 지나서 제2 전극관(343)에 물리게 되고, 이때 도 7과 같이 제1 전극관(331)은 제1 스프링(332)에 의해 하강되어 제1 공기통로(300a)는 폐쇄하고 제2 공기통로(300b)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부(100)를 통해 무화증기를 흡입할 때는 제2 공기통로(300b)를 통해 외부공기가 실린더(341) 내로 유입되어 유입된 외부공기의 압력으로 피스톤(342)은 상승하여 피스톤(342)의 상단부가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과 대응되어 전원이 공급되므로 액상의 기화 및 무화증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가 무화증기의 흡입을 멈추면 피스톤(342)은 제2 스프링(344)에 의해 복귀되어 제1 카토마이저(200)의 제1 무화기 중심부재(23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400)의 조작을 통해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의 전환은 증기흡입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공유 스마트폰융합 및 스마트폰연계 장치 · 내장헬스케어 장치 기능과 작동에 대한 설명
배터리공유 스마트폰융합 및 스마트폰연계 장치 · 내장헬스케어장치는, 물리적으로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의 전원공급장치인 배터리를 공유하여 각각의 기능을 달리하면서도 하나의 기기로 융합된 새로운 형태와 기능의 융합 체 이거나,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가 물리적으로 각각 독립된 개체로서 별개의 기기 이면서도,증기흡입기 배터리 부분에 내장된 스마트연계장치하드웨어의 블루투스기능에 의해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가 상호 교신하여, 스마트폰은 증기흡입기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그 편의성을 증진하고, 증기흡입기는 증기흡입기의 개별조립된 카토마이저에 외장 장치된 제2전압조절기에 연계된 사용감지·제어장치 및 물부리에 내장된 사용정보·유해물질감지기에서 감지한 정보와 스마트연계장치하드웨어의 제어 하에 작동하는 의 각종 헬스케어 검진·특정장치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탑재 된 블루투스 장치 교신으로 스마트폰에 송출하면, 스마트폰은 송출받은 이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에 근거해, 이들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프로그램에 따른 증기흡입기의 제어나 사용자 가이던스를, 다시 스마트폰 연계장치로 피드백 송출함으로써, 각 카토마이저의 사용감지 및 제어장치에 의해 그 사용이 제어되거나, 보조디스플레이 또는 메인디스플레이어에 디스플레이 시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증기흡입기 사용과 자신의 건강 및 약효 등을 체크하게 하고 제어(적정 액상 사용량, 발열부 과열이나 유해물질 발견, 과공급 되는 전력 등에 따른 직접적인 기기사용 통제 등) 받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기기사용의 보장 하에, 기기에서의 액상성분 흡입이 사용자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철저히 관리되게 하는, 고도로 유비쿼터스(사물과 정보의 융합)화된 헬스케어 기능을 스마트폰으로 부터 제공받게 된다.
상기의 구체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간 작동을 설명하면, 현재 증기흡입기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자담배의 경우, 우선 담배의 경우는 각 액상조성물의 증기 조합이 강해야 그 맛 표현에 유리하므로, 제 1 카토마이저 만의 조립 결합형 증기흡입기를 사용하기로 선택 하면, 그 조립은, 비슷한 비등점을 가진, 가장 높은 비등점290℃의 용매 글리세린과 비등점247℃의 니코틴 성분을 한 액상조성물로 한 니코틴액상을 보유 카토마이저를 끝 단에 조립 하고, 비등점189℃의 용매 플로필렌글리콜과 비등점204℃의 유용성 멘톨향 액상조성물을 그 하단에 조립한 다음, 연이어 다시, 멘톨향 카토마이저 하단에 타격감을 맛보기 위해 휘발성이지만 유용성인 캡사이신 성분 액상의 조성을 위해 비등점189℃의 용매 플로필렌글리콜과 휘발성인 캡사이신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비등점100℃의 물을 혼합(그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기로 함)한 캡사이신 액상조성물을 저장한 카토마이저를 조립 결합하고, 마지막으로 최 하단이자 시작점에는, 비등점80~150℃의 수용성 정향 중 선택된 향료를 비등점100℃의 물과 혼합한 액상조성물을 보유한 카토마이저를 마지막으로 선택해, 스위치본체에 조립 결합시켜, 전자담배 용도로서 증기흡입기 조립을 완료하였다면, 조립된 각 카토마이저의 사용감지·제어장치의 사용감지기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 하드웨어와의 블루투스기능의 교신으로 각각의 조립을 인식시켜 그 조립 조합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및 가이던스 프로그램이 작동되도록 자동으로 그 준비가 이루어진 상태가 되고, 이때 가이던스는, 사용자가 조립된 각 카토마이저 중 직접 사용하고 한 카토마이저의 스위치의 on, off상태를 확인하고, 또한 사용자가 헬스케어 진단·측정장치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통해 사용자 건강정보의 입력여하에 따라 사용 할 전자담배 증기흡입기 전체의 액상소모량과 각 카토마이저 액상의 적정흡입량 제시와 이에 알맞은 전체 사용전력 및 각 파트 별 카토마이저 사용전력을 제시하면, 사용자는 스위치본체의 스위치모드 선택과 제2 전압조절장치(320)를 조작해 공급될 전력을 설정한 후, 각 카토마이저의 제1 전압조절장치(260)로 각각에 공급 될 전력을 설정하여, 버튼 조작을 시작으로 물부리를 통한 생산된 증기의 흡입으로 그 사용을 즐기면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수동 모드(여유를 가지고 전자담배를 즐기고자 할 경우)로 스위치본체(제2스위치)의 모드를 선택하고, 전체 1회 흡입 액상 소모량을 10㎕로 하고, 가동되는 카토마이저로, 니코틴조성물 카토마이저와 멘톨향카토마이저, 그리고 타격감을 위한 캡사이신조성물액상을 보유한 카토마이저 만을 가동해 사용하고자 한다면, 메인디스플레이어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던스는, 예를 들어, 통상 액상 10㎕를 4~5초의 시간에 완전 무화 시키기 위한 전력으로 8w의 전력이 필요하므로, 제1전압 조절장치의 공급 전력이 8w가 되도록 그 전압이4v, 전류2A 값을 지시 할 것이고, 이렇게 지정된 기본 전력에 대해 가이던스는 다시, 최고 비등점을 가진 글리세린을 용매로 한 니코틴 액상조성물을 보유한 최 상단의 당해 카토마이저에 공급될 전력이4w가 되게 하여 1회 4㎕의 액상이 무화되도록 그 전압조절을 지시 할 것이고, 다음으로 멘톨향 조성물의 당해 카토마이저에는 3w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지시해 4㎕의 멘톨향액상이 무화되도록 할 것이며, 그 다음으로 타격감을 위한 캡사이신 조성물의 당해 카토마이저에는 1w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지시해 2㎕의 캡사이신액상이 무화되도록 지시 할 것(상기의 액상조성물들에 대한 전력 소모량은 그 액상조성물의 비등점에 비례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즉 비등점290℃ 니코틴조성물 1㎕당 소모전력은1w, 비등점204℃ 멘톨향료는 1㎕당 0.75w, 비등점100~185℃ 캡사이신조성물 액상은 1㎕당 0.5w의 전력이 요구되어, 비등점이 낮을수록 소모전력도 비례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당해 액상의 비등점과 그 소모량에 맞춰 공급되는 적정전력은 액상의 연소를 방지하면서, 완전 균질무화를 달성 할 수 있다 할 것이다.)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하기 위해 선택 해 둔 각 카토마이저의 제1 전압조절장치(260)의 전압을 조작해 두고, 버튼의 수동조작과 함께 물부리로 각각의 카토마이저 무화기구조체에서 생산한 무화증기를 혼합 흡입해 사용하면 될 것이다(상기의 가이던스는 일률적이지 않고, 실시간 체크되는 사용자의 건강상태, 취향, 분위기, 조합 향, 그리고 사용자 의지 등에 따라 천차만별로 제시 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던스는 이 제품의 제조 판매 회사에 의해, 생산 되는 제품과 관리되는 고객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항상 업그레이드된 버전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것으로, 사용자에 맞춤 된 천차만별의 지시 값이 제공된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증기흡입기를 전자담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조립될 각 카토마이저들이 선택되어, 사용감지·제어장치의 블루투스기능의 교신과 헬스케어 감지·측정 장치를 통한 사용자 건강정보 인지를 기본으로, 융합 및 연계된 스마트폰의 사용가이던스 및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됨에 따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어의 인터페이스로, 전력공급장치들에 대한 적정액상의 완전 및 균질무화를 위한 공급전력이 선택, 가이드되어,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과 동시에 물부리흡입으로 그 무화증기의 흡입 사용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흡입되는 증기의 맛에 따라 자신에게 더 적절할 맛과 사용효과와 편의를 위해 인위적으로 물부리 내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압조절밸브를 조작해 증기의 농도와 흡입압을 조절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카토마이저 액상조성물에 대한 무화량도 제1 전압조절장치(260) 조작링의 조작으로 공급전력을 조절해, 무화량을 조절 할 수 있는데, 이때의 변화된 전력공급량과 이에 따른 액상의 소모량은 제1 감지부(253)를 통해 감지되어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하드웨어에 그 정보가 송출되고, 이 정보는 가이던스 및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관리프로그램을 작동시켜 기기 사용을 관리함과 동시에, 이 기본정보를 기본으로, 물부리 사용정보·유해물질감지 기능의 제2 감지부(130)로부터 송출되어 온 흡입증기의 농도와 사용시간에 연동된 사용횟수체크를 통한 각 카토마이저에서 생산된 무화증기의 실질적 흡입량을 체크하고, 한편으로는 유해물질검출여부를 감지해, 특히 사용자의 사용을 제한해야 하는 니코틴 흡입량이 가이던스에 책정되어 있는 적정수준 이상을 초과해 흡입 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관리프로그램은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하드웨어로 하여금 해당 카토마이저의 제어장치에, 그 전원공급 차단 신호를 송출해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당해 카토마이저의 니코틴액상의 증기만 생산되지 않은 채, 사용자는 나머지 무화증기의 흡입은 계속 흡입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해 허용량 이상의 니코틴을 더 흡입 할 수 있는지 확인해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에 내장된 체혈진단·혈당·농도측정기를 통한 혈중 니코틴 농도를 측정 하거나, 청진기를 사용자의 가슴 심장부위에 대서 그 심박수 등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의 관리프로그램이 체크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당시 건강에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일시적으로 니코틴 흡입의 한도를 늘려주어, 니코틴보유 카토마이저에 전원이 다시 공급되도록 제어장치의 전력제어를 해지하여 다시 니코틴 증기를 생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다시 흡입하게 하고, 이렇게 허용된 범위 이상으로 사용자가 더 많은 량을 흡입 할 경우,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니코틴보유 카토마이저의 사용이 차단되게 할 수 있고, 한편으로, 기기의 사용도중, 카토마이저 중 어느 한 부위에서든 전력이 과다 등의 원인으로 액상연소가 발생해, 유해물질이 발생 할 경우, 이는 물부리 유해물질감지기능의 제2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고,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600)에 그 정보가 송출되면, 일단 당해 카토마이저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액상소모에 따른 액상부족에 따른 연소에 의한 유해물질 발생의 경우에는 액상보충신호를, 과다전력공급에 따른 연소에 의한 유해물질 발생의 경우에는 적정전력조절 신호를, 그리고 액상 자체에 함유된 유해물질에 의한 유해증기가 발생 될 경우에는 기기자체 사용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하여, 가이던스에 기 제시되어 있는 유해물질 일 경우, 그리고 그 대처법이 가이드 되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시한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가 유해물질이 없는 무화증기를 흡입 할 수 있도록 그 대처방안을 제시해, 문제 하결하에 증기흡입기를 사용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대처 가이드가 없을 경우, 해당 유해물질 정보는 제조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송출되어, 유해물질이 액상 제조과정에서 발생 되 액상이 오염되었을 경우, 제조회사는 제조 공정을 개선 개발해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 부주의에 따라 유해물질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새로운 유해물질에 대한 대처 가이던스를 어플리케이션에 업그레이드시켜 사용자가 대처하게 할 수 있게 하면 된다.).
이하, 기호식품액상, 치료약물액상, 비만관리액상, 건강보조품액상 등, 여타 액상들의 증기흡입을 위한 증기흡입기 사용의 구체적 실시 예에 따른, 증기흡입기와 연계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 그리고 이들에 내장된 헬스케어장치의 각각의 건강체크 장치에 의한 사용자 건강상태 체크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가이던스 및 관리프로그램 작동에 따른 증기흡입기 제어의 기본작동 모두는, 상기 담배액상 사용 방식과 동일 한 과정으로 작동 되고, 단지 그 가이던스 및 관리프로그램에 의한 기기사용의 제어는 선택 사용되는 액상의 성분에 따라, 그리고 그 조합에 따라 그 구체적 내용이 다름은 명백하며, 나아가 제어의 정밀함과 엄격함도 다를 뿐 아니라, 증기흡입기가 생산하여 흡입하게 되는 액상성분을 구강흡입하여 폐에서 그 성분을 흡수하는 방식은 정맥주사와 같이 신속하게 흡수 성분의 효과를 사용자 신체에 전달하는 것 이므로, 상황에 따라 증기흡입기 사용에 따른 사용자 건강체크에 이용되는 헬스케어 각 측정장치의 사용과 측정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건강에 실시간으로 적용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그 개별적 측정장치의 사용은, 폐에서 흡수되는 액상 별 성분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천차만별 다르다 할 것이며, 이러한 헬스케어 측정장치의 사용은 어플리케이션 관리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가이던스에 따라 사용하면 될 것이며, 보다 정밀한 사용자 건강정보는 사용자의 의료기관을 통한 건강검진 정보나 진료기록을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관리프로그램에 입력하면, 이 정보를 취합한 통합된 가이드가 제시 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증기흡입기의 사용에 대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가이던스와 관리프로그램으로도 자신의 건강관리에 의문이 생기고 문제가 있다고 여기면, 그간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사용자 건강정보를 기본 근거로, 제조회사가 지정해 주거나 사용자가 예약해 둔 사전 주치의와의 실시간 스마트폰 화상 통화를 통해, 주치의의 지시에 따라, 기기에 내장된 헬스케어 측정장치로 사용자 자신의 건강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치의가 확인 하도록 하면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상담 받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즉각적인 처방전도 수신 받아, 사용하고 있는 액상 성분의 추가적 사용이나 중지 및, 즉각적인 별도의 약물구입과 사용, 또는 제2 진료에 대한 처방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현재 한국에서의 온라인 진료는 시행되고 있지 않으나 그 법제화가 진행 중에 있음. 따라서 현재로선, 온라인 상의 주치의 상담은 제조회사의 사업목적에 따라서만 가능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증기흡입기와 스마트폰이 융합된 하나의 기기 일 경우, 배터리본체는 스마트폰인 것이고, 이 기기의 스마트폰을 위주한 사용은, 증기흡입기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스마트폰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증기흡입기와 스마트폰이 연계되었을 경우에는, 스마트폰 연계장치로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별도의 스마트폰에 대해 연계장치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기능인, 스마트폰 송수화기능과 카메라기능, 그리고 디스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고도 실행하게 하는, 그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이 연계장치를 통해,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는 일정간격 이격알람기능에 의해 상호 기기 휴대의 일체성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배터리 공유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는 헬스케어진단·측정장치를 내장하고 있는데, 청진기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의 송수화기 장치와 그 기본기능을 겸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청진기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자는 이 기능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가이던스의 가이드에 따라 자신의 증기흡입기 사용에 따른 흡입 성분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와 효율성을 스스로 점검 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사용하고 있는 증기흡입기에 대한 각종의 즉각적인 제어와 별도의 사용안내를 실시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진기로 점검 할 수 있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실시간 체크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상시 관찰되는 상태에서의 사용자 건강 유지를 가이드 받을 수 있으며, 체온기는, 사용자의 건강에 특별한 이상이 있거나, 이상을 느낄 경우, 자신의 체온을 측정할 신체부위에 이 체온기를 대고 체온을 측정해, 이 또한 상기 청진기 점검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해, 이 체온정보와 관련된 증기흡입기 사용에 대한 제어와 안내, 및 일반적인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관리 받을 수 있으며, 혈압측정블루투스·비만관리감지기는, 본건 기기와 관련해 제작된 블루투스기능의 휴대용 혈압측정기를 통한 사용자의 혈압측정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베이스화 하는데, 이 경우도 청진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증기흡입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 가이던스의 가이드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체크 의지에 따라, 사용하고 있는 당해 흡입 액상성분에 대한 효과 등의 확인과 그 사용에 대한 프로그램의 제어를 받을 수 있고, 일반적인 점검을 받고자 할 경우에도, 체크한 혈압 등의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건강을 관리 받을 수 있으며, 비만관리감지기는 혈압측정기와 필요에 따라 병행 사용되어, 우선 사용자가 증기흡입기를 통해 후디아 등의 식물 추출물의 식욕억제제 성분의 액상을 증기로 흡입해 자신의 비만관리를 하는 과정에서, 기기 사용 상태에서 식욕억제 액상의 어플리케이션 관리프로그램 하에서의 사용 제어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신체부위의 사용자 비만도를 자가 체크함으로써, 이 정보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프로그램은, 실시간 사용자의 비만 도에 따라 적정하게 가이드 되어, 증기흡입기를 통한 비만 억제재 흡입 양을 제어하게 하고, 또한, 이 비만측정기는, 걷기 등 사용자의 운동량을 실시간 측정해 사용자의 시간대 별 칼로리 소모량을 자동 데이터화 하게 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비만관련 가이던스의 가이드에 따라 입력한 시간대별 음식섭취 데이터와 비교하고, 가이던스 가이드에 따라 측정된 혈압 등의 정보를 종합해, 비만억제제 사용량 및 적정 섭취음식 칼로리 량과 적정운동량에 대한 가이드를 실시간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관련된 증기흡입기 사용을 제어하게 하며, 체혈진단·혈당·농도측정기는, 본 발명 진단 측정기 중 가장 정밀하고 광범위하며 유용한 헬스케어 진단·측정 장치로, 이 장치는 사용자의 체혈된 혈액 한 방울로 현대인에게 유용한 기초대사 및 갑상선, 간기능, 신장기능, 간염, 빈혈, ·뇨 등과 각종 암까지도 검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혈중에 흡수되어 있는 액상성분의 농도를 측정 할 수 있어, 정확한 액상성분의 흡수량과 그 흡수 액상의 신체효과를 가장 정밀하게 검진 체크 할 수 있는 장치이며, 특히 본 발명의 증기흡입기의 액상성분은 폐로 흡수되어 즉각 혈액의 농도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약물액상 흡입의 경우, 그 정확한 흡입량이 정밀하게 체크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혈액에 반영된 흡입 액상 성분에 대한 농도 측정 기능은 가장 중대한 기능이라 하겠으며, 당뇨측정의 경우는, 사용자 옵션에 의해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당뇨를 가진 사용자가, 기기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자신의 당뇨질환 관련 항을 만들고 이에 자신의 진료기록을 입력하여 특별관리 프로그램이 작동되게 한 후, 인슐린 등 약물 처방에 근거한 약물을 증기흡입기를 통해 폐로 흡수시킬 경우, 이는 상기에서 일 예로 든 담배의 니코틴 흡입에 대한 기기의 제어기능 작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 가이던스의 가이드에 따라 프로그램 된 약물을 흡입하면, 그 증기흡입기의 농도와 흡입횟수의 감지로, 이 감지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정보화 되어 사용자의 기기 사용과 기기 자체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어 및 사용가이드를 위해 사용자의 혈당이 측정되어 그 정보가 프로그램에 입력되어야 하는데, 그 측정은 측정기의 혈당측정기능에 의해 측정되며, 그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관리프로그램에 데이터베이스화 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시간 업데이트 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당뇨관련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기기사용에 의한 약물흡입 정도와 기기의 작동 제어를 받아, 당뇨약물의 증기흡입기를 이용한 폐로의 흡수 효과와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할 것이며, 일반적인 스마트폰에서의 사진기 기능을 하면서도, 헬스케어장치로서도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카메라는, 시각(안색, 동공, 혓바닥, 신체 이상부위, 변상태, 오줌 상태 등)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전반을 체크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증기흡입기로 흡수하는 각종 성분에 대한 섭취효과에 대해 확인 할 수 있고, 이 또한 청진기에서와 같이, 공유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가이던스의 가이드와 관리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게 해, 사용자의 기기사용 가이드 및 제어가, 사용자의 실시간 신체 건강을 반영한 환경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증기흡입기 사용이 사용자 건강을 안정적으로 증진시키는 편리하고도 필수 불가결한 도구가 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헬스케어장치는, 사용자의 증기흡입기에 대한 적정사용과 그 실시간 제어,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전반적인 실시간 건강관리에 대한 체크기능으로, 스마트폰의 IT정보기술을 생체흡입문화를 대표하는 증기흡입기에 융합시킴에 있어, 실시간 사용자의 정확한 건강체크 관리환경을 조성하는데, 이는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의 기기적 결합을 인간 건강을 중심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인간 행복증진의 핵심인 헬스케어가 IT와 생체문화 융합의 중심기능으로, 편리하게 그리고 현실적으로 융합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인간 행복증진에 획기적으로 기여 할, IT와 생체기기가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유비쿼터스화 될 수 있는 그 실용적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할 것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연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폰 연계장치(600)는 스마트폰과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감지부(253) 및 제2 감지부(130)를 통해 측정 및 감지된 각종 정보, 그리고 사용자의 건강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폰 연계장치(600)는 제어부(601), 보조디스플레이(602), 메인디스플레이(603), 송수신부(604), 청진기(605), 진단카메라(606), 체온기(607), 혈압측정정보입력부(608), 비만관리감지기(609), 체혈진단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1)는 스마트폰 연계장치(600)가 스마트폰과 연계되어 구동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고, 보조디스플레이(602), 메인디스플레이(603), 송수신부(604), 청진기(605), 진단카메라(606), 체온기(607), 혈압측정정보입력부(608), 비만관리감지기(609), 체혈진단기(6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디스플레이(602)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연계장치(600)의 작동정보 및 증기흡입기 매뉴얼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인디스플레이(603)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연계장치(600)의 구동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송수신부(604)는 스마트폰 연계장치(600)로 입력된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 연계장치(60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청진기(605)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 등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진단카메라(606)는 사용자의 안색, 동공, 혓바닥, 신체 이상부위 등을 촬영하여 진단할 수 있다.
체온기(607)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혈압측정정보입력부(608)는 외부의 혈압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혈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비만관리감지기(609)는 사용자의 음식 섭취를 통한 칼로리 측정 등의 비만 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 및 측정할 수 있다.
체혈진단기(610)는 사용자의 혈액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연계장치(600)는 청진기(605), 진단카메라(606), 체온기(607), 혈압측정정보입력부(608), 비만관리감지기(609), 체혈진단기(610)를 통해 진단 및 측정된 정보들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연계장치(600)는, 자체에 헬스케어장치를 내장하고 자체 배터리를 전원으로 전원으로 사용해 구동하면서, 이 배터리는 다시 +전원단자및베터리체결날개(510)가 증기흡입기 스위본체하우징의 배터리체결걸이(310a)에 결합됨으로써, 증기흡입기에도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본체에 의해 증기흡입기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렇게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헬스케어장치를 증기흡입기와 물리적으로 공유결합시키고 있는 배터리본체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헬스케어장치와 하나의 몸체가 되어, 그 형태상, 곰방대형을 A형으로 하고(도 1 및 도 10 참고), 원통스틱형을 B형으로 하여(도 11a 및 도 11b 참고) 두 기기를 공유결합 시키고 있으며, 이들 배터리 공유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ㆍ헬스케어장치는 이들 기기 원통의 몸체 외각 원주에 내장 또는 외장 한 메인디스플레이 장치를 플렉서블 한 디스플레이를 일 예로 장치하여 이들 디스플레이를 도 10 및 도 11b와 같이 펼치거나 뽑아 펼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할 수 있고, 보조디스플레이 경우, A곰방대형은 기기 상단 외각 중앙에 위치하고, B원통스틱형은 원통의 원주외각 노출부위에 위치해, 시작 창과 기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인터페이스하게 한다.
도 12 및 도 13은 스마트폰 연계장치의 또 다른 형태들을 예시한다.
도 12를 보면 곰방대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직접 스마트폰과 연계된 상태에서 전화기로 이용도 가능하고 카메라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과 유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도 12에서 보는 것처럼 통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1010, 1011), 외부 디스플레이부(1020); 카메라(1030); 및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10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3에서는 원통형의 형상을 나타내며 역시 통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1110, 1111), 외부 디스플레이부(1120); 카메라(1130); 및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114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증기흡입기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600)와 연계하여 증기흡입기의 사용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1 감지부(253), 제2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부(253)는 제1 액상통(2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추가의 제1 카토마이저(200)의 조립 여부 및 사용정보를 감지 및 측정하고, 감지 및 측정된 정보는 스마트폰 연계장치(6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감지부(253)를 통해 감지 및 측정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적정 액상 사용량, 제1 발열부(242)의 과열, 및 전압 공급량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제2 감지부(130)는 흡입부(100)에 설치되어 흡입부(100)를 통해 흡입되는 무화증기의 양 및 농도의 측정, 그리고 상기 흡입부 내의 유해물질의 감지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측정 및 감지된 정보는 스마트폰 연계장치(6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감지부(253) 및 제2 감지부(130)를 통해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연계장치(600)로 입력되는 증기흡입기의 사용정보를 제공하여 증기흡입기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과 증기흡입기가 하나의 몸체로 융합 결합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 연계장치는 스마트폰 내 별도의 한 기능 장치로 내장되고, 상기 헬스케어 진단 측정장치 또한 스마트폰 기기 내에 내장 장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0)

  1. 삭제
  2. 흡입부; 하나 이상의 카토마이저; 스위치를 포함한 본체;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증기흡입기로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무화기 하우징, 액상통 및 액상통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카토마이저는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본체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복수개의 카토마이저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 수단을 통해 하단 카토마이저와 상단 카토마이저가 결합되고,
    상기 카토마이저의 제1 형태로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조립되는 상단 카토마이저 및 하단 카토마이저에 전력을 인가하게 하는 전원의 단자를 상호 연결되게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무화기 하우징;
    상기 무화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조립되는 상단 카토마이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수단이 포함된 액상통;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관 형태이고, 상기 관의 일부분이 상기 액상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액상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액상통 내에 위치하며, 상단 및 하단에 조립 결합된 카토마이저에 상호 전력을 인가하게 하는 전원의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전원 결합 수단이 포함된 무화기 중심부재;
    상기 무화기 중심부재를 둘러싸며 일부분이 상기 액상통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액상통 내에 위치하는 심지;
    상기 심지의 액상통 내로 삽입된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발열부;
    상기 액상통의 아래에 위치되고, 조립되는 하단 카토마이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하단 카토마이저의 액상통을 막을 수 있는 액상통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3. 흡입부; 하나 이상의 카토마이저; 스위치를 포함한 본체;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증기흡입기로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무화기 하우징, 액상통 및 액상통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카토마이저는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본체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복수개의 카토마이저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 수단을 통해 하단 카토마이저와 상단 카토마이저가 결합되고,
    상기 카토마이저의 제2 형태로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조립되는 상단 카토마이저 및 하단 카토마이저에 전력을 인가하게 하는 전원의 단자를 상호 연결되게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무화기하우징;
    상기 무화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조립되는 상단 카토마이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수단이 포함된 액상통;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상기 봉의 일부분이 상기 액상통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액상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액상통 내에 위치하며, 상단 및 하단에 조립 결합되는 카토마이저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인가하게 하는 전원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무화기 중심부재;
    상기 무화기 중심부재를 둘러싸며 일부분이 상기 액상통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액상통 내에 위치하는 심지;
    상기 심지의 액상통 내로 삽입된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발열부;
    상기 액상통의 아래에 위치되고, 조립될 하단 카토마이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면서, 상기 액상통 내에 설치되어 하단 카토마이저의 액상통을 막을 수 있는 액상통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상기 액상통마개에 결합되며 전원 인가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전압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조절장치는 상기 카토마이저가 복수로 조립되는 경우 조립된 다른 카토마이저의 발열부로 인가되는 전압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조절장치는 상기 액상통마개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액상통마개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링은 상기 액상통마개의 외측면에 접하는 면에 상기 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홈들의 내측에는 가변저항이 설치되고,
    상기 가변저항을 포함한 링은 다양한 가변저항값을 가진 교체 조립형이며,
    상기 액상통마개의 외측면의 일측에는 상기 홈들에 체결되는 전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 중심부재는 상기 무화기 중심부재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제1 기체유입구 및 제1 기체배출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카토마이저가 결합된 경우 상기 제1 기체유입구로는, 하단 카토마이저에서 무화가 일어날 경우에는 무화된 증기가 유입되고 하단 카토마이저에서 무화가 일어나지 아니할 경우에는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제1 기체배출구로는 상기 제1 기체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단 카토마이저로부터 유입된 공기 또는 무화된 증기가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9. 삭제
  10. 삭제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카토마이저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에 마련된 제1 전원접점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전원 및 마이너스전원 중 하나를 상기 카토마이저로 인가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배터리에 마련된 제2 전원접점과 연결될 때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전원 및 마이너스전원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카토마이저로 인가하는 제1 전원인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 내측을 향해 눌리면 상기 제2 전원접점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스위치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스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전압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 및 상기 제2 전압조절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압조절장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가 눌린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는 회전하여 상기 제2 전원접점이 상기 가변저항에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1차적으로 조절된 전력을 상기 카토마이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이 위치하여 있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1 단자 및 상기 배터리가 위치하여 있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압조절장치는 상기 제2 단자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접점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평상시 그리고 상기 제1 압력 및 상기 제1 압력보다 큰 제2 압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는 평상시 상기 제1 접점돌기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압력 및 상기 제2 압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접점돌기와 접촉되고,
    상기 제1 압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증기흡입기는 제1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제2 압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증기흡입기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제1 전극관; 및
    상기 제1 전극관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극관을 상기 배터리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을 보유한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제1 전극관을 통해 형성된 제1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관은 평상시 그리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압력 및 상기 제2 압력으로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단자와 접촉되고, 이때 상기 제1 공기통로는 외부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2 전원인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인가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누름 방향으로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과 이웃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2 전원접점과 연결될 때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전원 및 마이너스전원 중 상기 나머지 하나를 상기 카토마이저로 인가하며,
    상기 제2 전압조절장치는 상기 스위치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스위치의 누름 방향으로 상기 제1 접점돌기와 이웃하는 제2 접점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2 압력보다 큰 제3 압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전원인가수단과는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전원인가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접점돌기와 접촉되고,
    상기 제3 압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증기흡입기는 제3 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인가수단은,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에 관통 설치된 제2 전극관;
    일단부가 상기 제2 전극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된 피스톤;
    상기 제2 전극관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실린더 및 상기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제2 전극관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을 보유한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된 카토마이저의 무화기 중심부재의 일부는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를 통해 형성된 제2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관은 상기 제3 압력으로 상기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1 단자와 접촉되고, 이때 상기 제1 전극관은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 공기통로가 폐쇄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 공기통로는 외부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며,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제2 공기통로를 통해 상기 실린더 내로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은 상승하고, 이때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된 상기 무화기 중심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피스톤의 타단부는 상기 무화기 중심부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16. 삭제
  17. 흡입부; 하나 이상의 카토마이저; 스위치를 포함한 본체;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증기흡입기로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무화기 하우징, 액상통 및 액상통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카토마이저는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본체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복수개의 카토마이저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 수단을 통해 하단 카토마이저와 상단 카토마이저가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토마이저로의 전원의 공급은 상기 스위치를 포함한 본체에서 수동, 연속, 자동으로 조작되어 선택된 모드의 전원이 공급되며,
    스위치의 수동과 연속 및 자동 모드의 선택은,
    두 개의 외부공기 유입구 사이의 분리막을 사이에 관통 연결된 슬라이딩 작동하는 공기유도 피스톤에 의해 두 개의 외부 공기 유입구를 일부 봉쇄, 일부 통기되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흡입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30143149A 2013-11-22 2013-11-22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4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149A KR101445113B1 (ko) 2013-11-22 2013-11-22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PCT/KR2014/010649 WO2015076515A1 (ko) 2013-11-22 2014-11-07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149A KR101445113B1 (ko) 2013-11-22 2013-11-22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113B1 true KR101445113B1 (ko) 2014-10-01

Family

ID=5199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1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5113B1 (ko) 2013-11-22 2013-11-22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5113B1 (ko)
WO (1) WO201507651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770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멀티 카트리지 타입 전자 담배 장치
KR101756725B1 (ko) * 2015-04-21 2017-07-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접촉식 멀티 카트리지 타입 전자 담배 장치
KR20180135046A (ko) * 2016-04-27 2018-12-19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향미 흡인기용 카트리지 및 향미 흡인기
KR20200064994A (ko) * 2017-10-06 2020-06-0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시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217185B1 (ko) 2020-09-04 2021-02-18 (주)바이오클라우드 액상 물질 기화장치
KR102279507B1 (ko) 2020-10-29 2021-07-20 (주)바이오클라우드 일회용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4367008A (zh) * 2022-01-28 2022-04-19 中国人民解放军北部战区总医院 一种口腔颌面外科护理用喷药装置
KR20230010831A (ko) * 2016-09-28 2023-01-19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소비 전환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11930854B2 (en) 2018-07-19 2024-03-19 Kt&G Corporation Electronic vaporizer that is couplable to a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13819A1 (en) * 2016-12-16 2018-06-2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8176487A1 (zh) * 2017-04-01 2018-10-04 常州聚为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烟控制系统、方法、电子烟及可穿戴电子设备
US10575562B2 (en) * 2017-06-30 2020-03-03 Rai Strategic Holdings, Inc. Smoking article for identifying an attribute of an aerosol-generating element for adaptive power output and an associated method
DE102017123866A1 (de) * 2017-10-13 2019-04-18 Hauni Maschinenbau Gmbh Inhalator, insbesondere elektronisches Zigarettenprodukt
DE102017123867A1 (de) 2017-10-13 2019-04-18 Hauni Maschinenbau Gmbh Inhalator, insbesondere elektronisches Zigarettenprodukt, und Computerprogrammprodukt
GB201812060D0 (en) * 2018-07-24 2018-09-05 Nicoventures Trading Ltd A control module for a modular aerosol generating device, a module for a modula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 modular aerosol generating device
JP7262099B2 (ja) * 2018-12-26 2023-04-21 株式会社サンメディカル技術研究所 血液ポンプコントローラ及び補助人工心臓システム
CN111184261A (zh) * 2020-03-05 2020-05-22 深圳市中芯创达科技有限公司 一种理疗电子烟
CA3170468A1 (en) * 2020-05-28 2021-12-02 Claude Zominy Consumable article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421A (ja) * 2003-08-11 2005-03-10 Seiko Epson Corp 電子吸入装置
KR200453400Y1 (ko) * 2010-11-29 2011-04-28 (주)잔티코리아 전자담배
KR101281269B1 (ko) * 2012-02-28 2013-07-03 박선순 차등 발열부 및 도가니를 포함한 전자 담배 무화기 구조체
KR101300381B1 (ko) * 2012-04-26 2013-08-29 박선순 전자 담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40Y1 (ko) * 2011-09-27 2011-12-15 김충민 전자담배용 무화기 일체형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421A (ja) * 2003-08-11 2005-03-10 Seiko Epson Corp 電子吸入装置
KR200453400Y1 (ko) * 2010-11-29 2011-04-28 (주)잔티코리아 전자담배
KR101281269B1 (ko) * 2012-02-28 2013-07-03 박선순 차등 발열부 및 도가니를 포함한 전자 담배 무화기 구조체
KR101300381B1 (ko) * 2012-04-26 2013-08-29 박선순 전자 담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770A (ko) *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멀티 카트리지 타입 전자 담배 장치
KR101691984B1 (ko) * 2015-03-20 2017-0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멀티 카트리지 타입 전자 담배 장치
KR101756725B1 (ko) * 2015-04-21 2017-07-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접촉식 멀티 카트리지 타입 전자 담배 장치
KR102225226B1 (ko) 2016-04-27 2021-03-0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향미 흡인기용 카트리지 및 향미 흡인기
KR20180135046A (ko) * 2016-04-27 2018-12-19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향미 흡인기용 카트리지 및 향미 흡인기
KR20230010831A (ko) * 2016-09-28 2023-01-19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소비 전환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747172B1 (ko) 2016-09-28 2024-12-2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소비 전환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00064994A (ko) * 2017-10-06 2020-06-0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시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662919B1 (ko) 2017-10-06 2024-05-0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시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US11930854B2 (en) 2018-07-19 2024-03-19 Kt&G Corporation Electronic vaporizer that is couplable to an electronic device
KR102217185B1 (ko) 2020-09-04 2021-02-18 (주)바이오클라우드 액상 물질 기화장치
KR102279507B1 (ko) 2020-10-29 2021-07-20 (주)바이오클라우드 일회용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4367008A (zh) * 2022-01-28 2022-04-19 中国人民解放军北部战区总医院 一种口腔颌面外科护理用喷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6515A1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113B1 (ko) 스마트폰을 공유결합한 조립형 멀티카토마이저를 가진 헬스케어 다용도 다기능 증기흡입기
US10925319B2 (en) Vaporization device
US20230405243A1 (en) Pulmonary delivery devices
US20250108573A1 (en) Cartridge for vaporizer device
JP7202290B2 (ja) 交換式ウィックおよびヒータ組立体を有するエアロゾル送達装置
CN113163867B (zh) 电子烟
EP3102266B1 (en) Pulmonary delivery devices
EP4094794A1 (en) Airflow management for vaporizer device
JP7171723B2 (ja) 肺送達デバイス
US20170304563A1 (en) Inha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TW202025928A (zh) 電子煙
CN105050434A (zh) 用于使液体汽化的装置和方法
AU2016268775A1 (en) Vaporizer apparatus for compressed tablet and loose fill plant source materials
WO2016019353A1 (en) Electronic cigarettes, cartridges, and inhalable formulations of medicinal cannabis compounds, an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GB2524856A (en) Pulmonary delivery devices
US20220015437A1 (en) E-cigarette
WO2010063286A2 (en) A hand-held inhaler
HK40053041A (en) Airflow management for vaporiz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9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92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