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50B1 -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 Google Patents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6650B1 KR101446650B1 KR1020140027605A KR20140027605A KR101446650B1 KR 101446650 B1 KR101446650 B1 KR 101446650B1 KR 1020140027605 A KR1020140027605 A KR 1020140027605A KR 20140027605 A KR20140027605 A KR 20140027605A KR 101446650 B1 KR101446650 B1 KR 101446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wire
- bracket
- block
- sp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61B12/105—Acceleration devices or deceleration devices other than brak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짚라인에 탑승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도록 하는 짚라인의 트로이가 출발지에서 별도로 지지하지 않아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착지에서도 감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제1 지점과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의 제2 지점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이동하는 두 개의 휠과 양측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그 사이로 상기 휠의 양측 축이 관통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는 한 쌍의 댐퍼판을 구비하는 트롤리와, 제1 지점에서 고정하는 발사장치와, 제2 지점에서 도달할 때 밀착하는 캐치블록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닛으로 구성되는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발사장치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고 전방은 사각의 평단면을 가지는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과; 후방은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의 전방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전방은 개방되며, 전방 하단 중앙에서 후방으로 절개되는 제1 스토퍼 삽입홈과, 상기 제1 스토퍼 삽입홈의 후방에 수직 관통된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메인브라켓과; 상기 제1 메인브라켓의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하는 제1 휠과; 상단과 하단이 후방으로 수평절곡되는 제1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제1 가이드브라켓의 절곡된 상단과 하단 및 그 사이로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1 가이드브라켓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1 가이드핀과, 상단은 상기 제1 가이드브라켓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핸들과, 제1 스토퍼 삽입홈의 양측에서 내측 상부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 고정볼트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볼트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과, 하단은 상기 제1 핸들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좌우로 연장된 후 상부로 돌출되어 저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제1 볼트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 전방 모서리에는 진입하는 트롤리의 댐퍼판이 밀착하는 지점에 모따기된 제1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1 스토퍼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치블록은 와이어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고 후방은 사각의 평단면을 가지는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과; 전방은 상기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의 후방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후방은 개방되며, 후방 하단 중앙에서 전방으로 절개되는 제2 스토퍼 삽입홈과, 상기 제2 스토퍼 삽입홈의 전방에 수직 관통된 제2 가이드홀과, 상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개되는 한 쌍의 스프링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2 메인브라켓과; 상기 제2 메인브라켓의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하는 제2 휠과; 상단과 하단이 전방으로 수평절곡되는 제2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제2 가이드브라켓의 절곡된 상단과 하단 및 그 사이로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2 가이드브라켓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2 가이드핀과, 상단은 상기 제2 가이드브라켓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제2 핸들과, 제2 스토퍼 삽입홈의 양측에서 내측 상부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고정볼트와,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볼트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과, 하단은 상기 제2 핸들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좌우로 연장된 후 상부로 돌출되어 저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제2 볼트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 후방 모서리에는 진입하는 트롤리의 댐퍼판이 밀착하는 지점에 모따기된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2 스토퍼블록과; 일측 전면은 상기 스프링 삽입홈의 전방 상면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로 볼록한 곡선을 그리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발사장치브레이크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ching apparatus and a brake unit used in a zip line, in which a zip line of a zip line for allowing a passenger to be slid along a wire in a suspended state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It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accurate deceleration and increase stability.
A wire connected between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having a relatively low altitude; two wheels that ar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wire so as to rotat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oth sides are bent vertically downward, A trolley having a main bracket for rotating the main bracket and a pair of damper plate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racket; a launch device for fixing at a first point; and a catch block A launch device and a brake unit for use in a zip line comprising a brake unit comprising:
The launch device includes a first wire guide block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 front portion having a square flat cross-section; A first stopper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ear of the first wire guide block so as to surround and enclose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re guide block and open at the front and rearward at the center of the lower front end, A first main bracket having a hole; A first wheel mounted inside the first main bracket and positioned on the wire and closely rotating; The first guide bracket has a first guide bracket and a second guide bracket. The first guide bracket has a bent upper end and a lower end. The first guide bracket has a first guide hole, A first handle fixed to the first guide bracket at its upper end and extending downward vertically downwar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first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first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sideways,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extended laterally, and then protrudes upwar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mpression coil spring, A first bolt guide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pring fixing bolt is inserted is formed, and a first bolt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corner of the first spring fixing bolt, which is chamfered at a point where the damper plate of the trolley, It is composed of a first stopper block having a surface;
The catch block includes a second wire guide block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 rear portion having a square flat cross-section; A second stopper insertion groove which is formed in a front side of the second wire guide block and which is fixed to the rea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ire guide block and which is open at the rear side and which is cut forward at the center of the rear lower end, A second main bracket having a hole and a pair of spring insertion grooves cut forward from both upper ends; A second wheel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main bracket and positioned on the wire and closely rotating; A second guide bracket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horizontally bent forward and a second guide bracket fix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bracket through a second guide hole, A second handle fixed to the second guide bracket at its upper end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guide pins extended from the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stopper insertion groove to the inside upper portion, A second spring coil fixed to the second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laterally to the second handle, an upper portion extending laterally and then protruding upward, A second bolt guide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spring fixing bolt is inserted is formed, and a second bolt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rear corner of the second spring fixing bolt, The second stopper block having a surface and; And a pair of leaf springs fixed to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spring insertion groove and extending rearward and bent to form a convex curve. wi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짚라인에 탑승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도록 하는 짚라인의 트로이가 출발지에서 별도로 지지하지 않아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착지에서도 감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ch device and a brake unit used in a zip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ch device and a brake unit used in a zip l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ch device and a brake unit used in a zipline developed to maintain a steady deceleration rate and to improve stability by accurately decelerating a destination.
집라인(Zip line) 혹은 짚와이어(Zip wire)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이동 및 운송수단으로 사용되던 것을 레져스포츠의 용도로 활용하여 국내외에서 많이 설치되고 있다.Zip line or zip wire can be moved along the wire from high to low. It was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in the beginning, Is being installed.
초기에는 단순히 와이어를 고지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곳으로 연결한 후 휠이 달린 트롤리에 탑승자가 맨 밸트를 고정한 후 활강하는 것에서 시작하였으나 점차 고도차가 증가하고 활강 거리도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안전을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In the beginning, it started from simply connecting the wire from the highland to a relatively low place, and then the trolley with the wheel started to glide after fixing the man belt. However, as the altitude difference increases and the sliding distance increases, various safety measures are needed .
특히 집 라인의 일종으로 보통 아주 높은 고도에서 저지대로 1000m 이상의 긴 거리를 고속으로 활강하도록 하는 것은 스카이라인(Skyline)으로 전세계 유명관광지에서 설치된 지역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Especially, it is a kind of house line. It is Skyline, which is usually installed at famous sightseeing sites around the world, to make high-speed gliding at long distances of more than 1000m from a very high altitude to a lowland.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마지막 활강하여 도착하는 지점에서 속도가 지나치게 빠를 경우 골절 및 타박상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초기에는 느슨해진 와이어가 도착지에서는 하부로 쳐졌다가 상승하는 구간을 두어 속도가 줄어들도록 하였으나 탑승가에 따라 렌딩하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도착지에 미치지 못한 상태로 정지되어 공중에 매달리던 탑승자가 발생하거나 충분한 감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도착하면서 충격을 받는 경우가 발생하던 문제점이 있었다.The most troubling thing is that there is a risk of fracture and bruise if the speed is too fast at the point where the last glide arrives. In the beginning, the loosened wire is lowered at the destination, The landing position is not constant so that the passenger is stopped in a state not reaching the destin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ccupant who is running in the air is caught or the passenger is shocked upon arrival due to insufficient deceleration.
최근에는 도착지 직전에 트롤리가 도달하면 캐치블록과 충돌한 후 밀리면서 스프링이나 피스톤 등에 의한 완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으나 최초 트롤리와 캐치블록이 충돌하면서 캐치블록은 다시 트롤리와 이격되면서 뒤로 밀리다가 다시 접근하는 트롤리에 의하여 충돌하는 것이 반복되면서 제동을 위한 장치에 충격에 의하여 손상 우려가 많아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when the trolley arrives just before the arrival, it collides with the catch block and pushes it to the cushioning process by spring or piston to improve stability and reliability. However, when the first trolley catch block collides with the catch block,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braking device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impact of the braking device.
또한 최초 출발하기 전에 탑승자가 맨 밸트 혹은 하네스(harnesses)의 상태 또 트롤리와의 연결 상태를 꼼꼼하게 점검한 후 출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안전요원을 제외한 탑승자의 경우 안전요원의 점검을 마친 후 출발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긴장한 초보자의 경우 안전요원의 지시없이 활강하게 될 우려가 있어 출발시에 안전요원이 출발을 통제할 수단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It is also advisable for passengers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ir maneuvers or harnesses and their connection with the trolley before departing for the first time.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the passengers except the safety personnel start after checking the safety personnel. However, in the case of nervous beginners, there is a fear that they may slip without instructions from safety personne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트롤리가 출발하는 위치에서 와이어에 단순 매달린 상태가 아니라 안전요원 또는 탑승자가 작동해야만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발사장치를 구비하는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zip line having a launching device for allowing a safety agent or a passenger to depart only when the trolley starts, And to develop a launch device and a brake unit for use in a vehicle.
또한, 트롤리가 도착지점에서 브레이크 유닛을 구성하는 캐치블록에 도달하였을 때 단순 충돌을 하지않고 충돌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velop a launch device and a brake unit for use in a zipline that enables a trolley to be engaged at the same time as a collision without a simple collision when reaching a catch block constituting a brake unit at an arrival poi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지점과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의 제2 지점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이동하는 두 개의 휠과 양측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그 사이로 상기 휠의 양측 축이 관통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는 한 쌍의 댐퍼판을 구비하는 트롤리와, 제1 지점에서 고정하는 발사장치와, 제2 지점에서 도달할 때 밀착하는 캐치블록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닛으로 구성되는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 harness including: a wire connected between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having a relatively low altitude; two wheels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wire, A trolley having a main bracket bent and rotated through both side shafts of the wheel and a pair of damper plate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racket, a launch device fixed at a first point, A launch device and a brake unit for use in a zip line comprising a brake unit including a catch block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hen reaching two points;
상기 발사장치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고 전방은 사각의 평단면을 가지는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과; 후방은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의 전방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전방은 개방되며, 전방 하단 중앙에서 후방으로 절개되는 제1 스토퍼 삽입홈과, 상기 제1 스토퍼 삽입홈의 후방에 수직 관통된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메인브라켓과; 상기 제1 메인브라켓의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하는 제1 휠과; 상단과 하단이 후방으로 수평절곡되는 제1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제1 가이드브라켓의 절곡된 상단과 하단 및 그 사이로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1 가이드브라켓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1 가이드핀과, 상단은 상기 제1 가이드브라켓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핸들과, 제1 스토퍼 삽입홈의 양측에서 내측 상부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 고정볼트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볼트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과, 하단은 상기 제1 핸들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좌우로 연장된 후 상부로 돌출되어 저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제1 볼트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 전방 모서리에는 진입하는 트롤리의 댐퍼판이 밀착하는 지점에 모따기된 제1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1 스토퍼블록으로 구성되고;The launch device includes a first wire guide block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 front portion having a square flat cross-section; A first stopper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ear of the first wire guide block so as to surround and enclose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first wire guide block and open at the front and rearward at the center of the lower front end, A first main bracket having a hole; A first wheel mounted inside the first main bracket and positioned on the wire and closely rotating; The first guide bracket has a first guide bracket and a second guide bracket. The first guide bracket has a bent upper end and a lower end. The first guide bracket has a first guide hole, A first handle fixed to the first guide bracket at its upper end and extending downward vertically downwar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first And a lower end fixed to the first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sideways,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extended laterally, and then protrudes upwar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mpression coil spring, A first bolt guide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pring fixing bolt is inserted is formed, and a first bolt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corner of the first spring fixing bolt, which is chamfered at a point where the damper plate of the trolley, It is composed of a first stopper block having a surface;
상기 캐치블록은 와이어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고 후방은 사각의 평단면을 가지는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과; 전방은 상기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의 후방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후방은 개방되며, 후방 하단 중앙에서 전방으로 절개되는 제2 스토퍼 삽입홈과, 상기 제2 스토퍼 삽입홈의 전방에 수직 관통된 제2 가이드홀과, 상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개되는 한 쌍의 스프링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2 메인브라켓과; 상기 제2 메인브라켓의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하는 제2 휠과; 상단과 하단이 전방으로 수평절곡되는 제2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제2 가이드브라켓의 절곡된 상단과 하단 및 그 사이로 제2 가이드홀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2 가이드브라켓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2 가이드핀과, 상단은 상기 제2 가이드브라켓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제2 핸들과, 제2 스토퍼 삽입홈의 양측에서 내측 상부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고정볼트와,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볼트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과, 하단은 상기 제2 핸들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좌우로 연장된 후 상부로 돌출되어 저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제2 볼트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 후방 모서리에는 진입하는 트롤리의 댐퍼판이 밀착하는 지점에 모따기된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2 스토퍼블록과; 일측 전면은 상기 스프링 삽입홈의 전방 상면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로 볼록한 곡선을 그리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tch block includes a second wire guide block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a rear portion having a square flat cross-section; A second stopper insertion groove which is formed in a front side of the second wire guide block and which is fixed to the rea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ire guide block and which is open at the rear side and which is cut forward at the center of the rear lower end, A second main bracket having a hole and a pair of spring insertion grooves cut forward from both upper ends; A second wheel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main bracket and positioned on the wire and closely rotating; A second guide bracket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horizontally bent forward and a second guide bracket fix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bracket through a second guide hole, A second handle fixed to the second guide bracket at its upper end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guide pins extended from the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stopper insertion groove to the inside upper portion, A second spring coil fixed to the second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laterally to the second handle, an upper portion extending laterally and then protruding upward, A second bolt guide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spring fixing bolt is inserted is formed, and a second bolt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rear corner of the second spring fixing bolt, The second stopper block having a surface and; And a pair of leaf springs fixed on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spring insertion groove and bent rearward to form a convex curve.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메인브라켓의 양측면에는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홈을 통하여 일면이 상기 제1 또는 제2 메인브라켓의 측면에 고정된 후 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각각 제1 및 제2 댐퍼 고정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댐퍼 고정브라켓의 트롤리의 댐퍼판과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댐퍼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in brackets extend in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brackets, respectively, with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brackets being fixed to th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brackets, And first and second damper fixing brackets, respectively, wherein first and second damper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surfaces of the trolley of the first and second damper fixing brackets facing the damper pl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롤리의 후방을 발사장치와 결합하여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트롤리가 이탈 활강하도록 함으로서 활강 전에 안전하게 탑승자와 밸트 및 트롤리의 연결상태를 점검한 후 활강할 수 있도록 하여 예기치 않은 활강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portion of the trolley is combined with the launch device to maintain the trolley in the untouched state, and the trolley is moved away from the trolley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handle to check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trolley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due to unexpected sliding.
또한, 트롤리가 도착지점에서 브레이크 유닛을 구성하는 캐치블록에 도달하였을 때 완충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캐치블록과의 충돌로 인한 도착지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손상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when the trolley reaches the catch block constituting the brake unit at the arrival point, the brake system of the destination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catch bl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durability being deteriorat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장치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장치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치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와 캐치블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와 캐치블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정단면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4 are cross-sectional side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engagement and disconnection of the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are front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and disconnection of the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tch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of a trolley and a catch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2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bining a trolley and a catch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짚라인 중에서 최근에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점과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의 제2 지점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1)와, 상기 와이어(1)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이동하는 두 개의 휠(21)과 양측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그 사이로 상기 휠(21)의 양측 축이 관통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메인브라켓(22)과 상기 메인브라켓(22)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는 한 쌍의 댐퍼판(23)을 구비하는 트롤리(2)와, 제1 지점에서 고정하는 발사장치(3)와, 제2 지점에서 도달할 때 밀착하는 캐치블록(4)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닛으로 구성되는 종류의 것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이때 발사장치(3)는 출발지에서 트롤리(2)의 후방과 결합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활강 전에 안전하게 탑승자와 밸트 및 트롤리(2)의 연결상태 등을 점검한 후 탑승자 또는 안전요원의 조작에 의하여 분리되어 트롤리(2)가 활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기치 않은 활강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도착지에는 브레이크 유닛이 형성되는데 트롤리(2)가 도착지점에서 브레이크 유닛을 구성하는 캐치블록(4)에 도달하였을 때 단순 충돌이 아니라 결합하며 후방으로 밀리도록 하여 장치의 손상 및 내구성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캐치블록(4)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a brake unit is formed at the destination, and when the
여기서 짚스톱 연결케이블(47)은 캐치블록이 일정 거리까지만 뒤로 밀렸다가 돌아오도록 하는 것이며, 장치고정케이블(46)은 장치 즉 캐치블록(4)이 일정한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zip
이하 발사장치(3)와 캐치블록(4)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이하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장치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장치의 결합 및 분리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상기 발사장치(3)는 와이어(1)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고 전방은 사각의 평단면을 가지는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31)과; 후방은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31)의 전방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전방은 개방되며, 전방 하단 중앙에서 후방으로 절개되는 제1 스토퍼 삽입홈(321)과, 상기 제1 스토퍼 삽입홈(321)의 후방에 수직 관통된 제1 가이드홀(322)을 구비하는 제1 메인브라켓(32)과; 상기 제1 메인브라켓(32)의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1)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하는 제1 휠(33)과; 상단과 하단이 후방으로 수평절곡되는 제1 가이드브라켓(341)과, 상기 제1 가이드브라켓(341)의 절곡된 상단과 하단 및 그 사이로 제1 가이드홀(322)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1 가이드브라켓(341)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1 가이드핀(342)과, 상단은 상기 제1 가이드브라켓(341)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핸들(343)과, 제1 스토퍼 삽입홈(321)의 양측에서 내측 상부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 고정볼트(344)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볼트(344)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345)과, 하단은 상기 제1 핸들(343)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좌우로 연장된 후 상부로 돌출되어 저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볼트(344)가 삽입되는 제1 볼트 가이드홈(346)이 형성되고 상단 전방 모서리에는 진입하는 트롤리(2)의 댐퍼판(23)이 밀착하는 지점에 모따기된 제1 경사면(347)을 구비하는 제1 스토퍼블록(34)으로 구성됨을 나타내었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4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a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and disassembly of a laun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짚라인을 이용할 때 출발하기 전에 트롤리(2)를 와이어(1)에 설치하고 본원의 발사장치(3)에 후방을 결합 고정하는데 이때 댐퍼판(23)의 후방 하단이 제1 경사면(347)을 가압하여 제1 스토퍼블록(34)이 하강하면서 통과한 후 제1 압축코일스프링(34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제1 스토퍼블록(34)이 상승하면서 트롤리(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이후 탑승자의 밸트 상태를 점검하고 밸트를 트롤리(2)에 연결한 후 안전에 이상이 없을 경우 제1 핸들(343)을 내리면 제1 스토퍼블록(34)이 하강하면서 트롤리(2)가 이탈하는 것으로 초보자의 경우 안전요원의 지시 없이 트롤리(2)에 단순히 밸트가 연결된 상태에서 활강을 시도하다 보면 앞선 사람보다 빠른 속도로 진입하여 충돌하거나 밸트와 트롤리의 연결부 등 점검이 미진한 부분에 의하여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The
이때 본원에서는 트롤리(2)를 결합할 때 더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 메인브라켓(32)의 양측면에는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홈을 통하여 일면이 상기 제1 메인브라켓(32)의 측면에 고정된 후 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댐퍼 고정브라켓(323)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댐퍼 고정브라켓(323)의 트롤리(2)의 댐퍼판(23)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1 댐퍼(324)가 장착되도록 하여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정해진 정도만 삽입 결합되도록 하였다.
The firs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치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와 캐치블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와 캐치블록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상기 캐치블록(4)은 와이어(1)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고 후방은 사각의 평단면을 가지는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41)과; 전방은 상기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41)의 후방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후방은 개방되며, 후방 하단 중앙에서 전방으로 절개되는 제2 스토퍼 삽입홈(421)과, 상기 제2 스토퍼 삽입홈(421)의 전방에 수직 관통된 제2 가이드홀(422)과, 상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개되는 한 쌍의 스프링 삽입홈(423)을 구비하는 제2 메인브라켓(42)과; 상기 제2 메인브라켓(42)의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1)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하는 제2 휠(43)과; 상단과 하단이 전방으로 수평절곡되는 제2 가이드브라켓(441)과, 상기 제2 가이드브라켓(441)의 절곡된 상단과 하단 및 그 사이로 제2 가이드홀(422)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2 가이드브라켓(441)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2 가이드핀(442)과, 상단은 상기 제2 가이드브라켓(441)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제2 핸들(443)과, 제2 스토퍼 삽입홈(421)의 양측에서 내측 상부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고정볼트(444)와,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볼트(444)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445)과, 하단은 상기 제2 핸들(443)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좌우로 연장된 후 상부로 돌출되어 저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볼트(444)가 삽입되는 제2 볼트 가이드홈(446)이 형성되고 상단 후방 모서리에는 진입하는 트롤리(2)의 댐퍼판(23)이 밀착하는 지점에 모따기된 제2 경사면(447)을 구비하는 제2 스토퍼블록(44)과; 일측 전면은 상기 스프링 삽입홈(423)의 전방 상면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로 볼록한 곡선을 그리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4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tch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0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of a trolley and a catch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a trolley and a catch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원의 캐치블록(4)은 전술한 발사장치(3)와 상당부분이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발사장치(3)는 속도가 0에서 가속하는 용도이며 캐치블록(4)은 빠른 속도로 진입하는 트롤리(2)와 결합하기 위한 용도로 효과적인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강한 충격에 트롤리(2) 또는 캐치블록(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본원에서는 트롤리(2)가 도착지에 도착하여 캐치블록(4)과 충돌하면 하부의 제2 압축코일스프링(445)에 의하여 제2 스토퍼블록(44)은 하강하고 상부의 판스프링(45)의 절곡된 부분은 상부로 밀리면서 충격을 감소시킨 후 완전히 진입하면 다시 복원되는 구조를 가진다.When the
마지막으로 제2 메인브라켓(42)의 양측면에는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홈을 통하여 일면이 상기 제2 메인브라켓(42)의 측면에 고정된 후 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댐퍼 고정브라켓(424)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댐퍼 고정브라켓(424)의 트롤리(2)의 댐퍼판(23)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2 댐퍼(425)가 장착되도록 하여 댐퍼판(23)과 고무재질의 제2 댐퍼(425)가 부딪히면서 캐치블록(4)과 완전히 결합되는 것이다.Lastly, on both sides of the second
트롤리(2)와 캐치블록(4)은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운동에너지는 브레이크 유닛에 전달되게 되며 이는 후방의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점차 상쇄하는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후 트롤리의 분리과정은 전술한 예와 같다.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trolley is the same as the above example.
1 : 와이어
2 : 트롤리
21 : 휠 22 : 메인브라켓
23 : 댐퍼판
3 : 발사장치
31 :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
32 : 제1 메인브라켓
321 : 제1 스토퍼 삽입홈 322 : 제1 가이드홀
323 : 제1 댐퍼 고정브라켓 324 : 제1 댐퍼
33 : 제1 휠
34 : 제1 스토퍼블록
341 : 제1 가이드브라켓 342 : 제1 가이드핀
343 : 제1 핸들 344 : 제1 스프링 고정볼트
345 : 제1 압축코일스프링 346 : 제1 볼트 가이드홈
347 : 제1 경사면
4 : 캐치블록
41 :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
42 : 제2 메인브라켓
421 : 제2 스토퍼 삽입홈 422 : 제2 가이드홀
423 : 스프링 삽입홈 424 : 제2 댐퍼 고정브라켓
425 : 제2 댐퍼
43 : 제2 휠
44 : 제2 스토퍼블록
441 : 제2 가이드브라켓 442 : 제2 가이드핀
443 : 제2 핸들 444 : 제2 스프링 고정볼트
445 : 제2 압축코일스프링 446 : 제2 볼트 가이드홈
447 : 제2 경사면
45 : 판스프링
46 : 장치고정케이블
47 : 짚스톱 연결케이블1: wire
2: Trolley
21: Wheel 22: Main Bracket
23: Damper plate
3: Launch device
31: first wire guide block
32: first main bracket
321: first stopper insertion groove 322: first guide hole
323: first damper fixing bracket 324: first damper
33: First wheel
34: first stopper block
341: first guide bracket 342: first guide pin
343: first handle 344: first spring fixing bolt
345: first compression coil spring 346: first bolt guide groove
347: First inclined surface
4: catch block
41: second wire guide block
42: Second main bracket
421: second stopper insertion groove 422: second guide hole
423: Spring insertion groove 424: Second damper fixing bracket
425: second damper
43: second wheel
44: second stopper block
441: second guide bracket 442: second guide pin
443: second handle 444: second spring fixing bolt
445: second compression coil spring 446: second bolt guide groove
447: second inclined surface
45: leaf spring
46: Device holding cable
47: Zip stop connecting cable
Claims (2)
상기 발사장치(3)는 와이어(1)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고 전방은 사각의 평단면을 가지는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31)과; 후방은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드블록(31)의 전방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전방은 개방되며, 전방 하단 중앙에서 후방으로 절개되는 제1 스토퍼 삽입홈(321)과, 상기 제1 스토퍼 삽입홈(321)의 후방에 수직 관통된 제1 가이드홀(322)을 구비하는 제1 메인브라켓(32)과; 상기 제1 메인브라켓(32)의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1)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하는 제1 휠(33)과; 상단과 하단이 후방으로 수평절곡되는 제1 가이드브라켓(341)과, 상기 제1 가이드브라켓(341)의 절곡된 상단과 하단 및 그 사이로 제1 가이드홀(322)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1 가이드브라켓(341)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1 가이드핀(342)과, 상단은 상기 제1 가이드브라켓(341)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핸들(343)과, 제1 스토퍼 삽입홈(321)의 양측에서 내측 상부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스프링 고정볼트(344)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볼트(344)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345)과, 하단은 상기 제1 핸들(343)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좌우로 연장된 후 상부로 돌출되어 저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볼트(344)가 삽입되는 제1 볼트 가이드홈(346)이 형성되고 상단 전방 모서리에는 진입하는 트롤리(2)의 댐퍼판(23)이 밀착하는 지점에 모따기된 제1 경사면(347)을 구비하는 제1 스토퍼블록(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치블록(4)은 와이어(1)가 관통되는 홀을 구비하고 후방은 사각의 평단면을 가지는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41)과; 전방은 상기 제2 와이어 가이드블록(41)의 후방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후방은 개방되며, 후방 하단 중앙에서 전방으로 절개되는 제2 스토퍼 삽입홈(421)과, 상기 제2 스토퍼 삽입홈(421)의 전방에 수직 관통된 제2 가이드홀(422)과, 상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개되는 한 쌍의 스프링 삽입홈(423)을 구비하는 제2 메인브라켓(42)과; 상기 제2 메인브라켓(42)의 내부에 장착되어 와이어(1)의 상부에 위치하여 밀착 회전하는 제2 휠(43)과; 상단과 하단이 전방으로 수평절곡되는 제2 가이드브라켓(441)과, 상기 제2 가이드브라켓(441)의 절곡된 상단과 하단 및 그 사이로 제2 가이드홀(422)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제2 가이드브라켓(441)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2 가이드핀(442)과, 상단은 상기 제2 가이드브라켓(441)에 고정되고 하단은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제2 핸들(443)과, 제2 스토퍼 삽입홈(421)의 양측에서 내측 상부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고정볼트(444)와,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볼트(444)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445)과, 하단은 상기 제2 핸들(443)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좌우로 연장된 후 상부로 돌출되어 저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볼트(444)가 삽입되는 제2 볼트 가이드홈(446)이 형성되고 상단 후방 모서리에는 진입하는 트롤리(2)의 댐퍼판(23)이 밀착하는 지점에 모따기된 제2 경사면(447)을 구비하는 제2 스토퍼블록(44)과; 일측 전면은 상기 스프링 삽입홈(423)의 전방 상면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로 볼록한 곡선을 그리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4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
A wire 1 connected between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at a relatively low altitude; two wheels 21 position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wire 1 and mov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trolley 2 having a main bracket 22 and a pair of damper plates 23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racket 22 so as to allow both side shafts of the wheel 21 to rotate therethrough, And a brake unit including a catcher block (3) fixed at a first point and a catch block (4) brought into close contact when reaching a second point, the launcher and the brake unit being used in a zip line,
The launch device (3) comprises a first wire guide block (31)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1) penetrates and a square cross section at the front; A first stopper insertion groove 321 which is opened and closed at a front lower end center of the first wire guide block 31, a first stopper insertion groove 321, A first main bracket 32 having a first guide hole 322 vertically penetrating rearward of the first main bracket 32; A first wheel 33 mounted in the first main bracket 32 and position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1 so as to closely rotate; A first guide bracket 341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horizontally bent rearward and a first guide hole 322 passing through the bent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bracket 341, A first guide pin 342 fixed to the first guide bracket 341 at its upper end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bracket 341; A pair of first spring fixing bolts 344 mounted so as to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topper insertion groove 321 to the inside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air of first spring fixing bolts 344 fixed to the first compression coil 351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pring fixing bolt 344, A spring 345 and a low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343 in a laterally rotatable manner, the upper portion of which extends laterally and laterally protrudes upward, and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inserted with the first spring fixing bolt 344 1 bolt guide grooves 346 are formed and the upper front edge is entered Is composed of a first stopper block (34)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347 is chamfered at the point, which is close the damper plate (23) of the trolley (2);
The catch block (4) includes a second wire guide block (41)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1) passes, and a rear portion having a square flat cross section; A second stopper inserting groove 421 which is open at the rear and which is opened at the center of the rear lower end of the second wire guide block 41; A second main bracket 42 having a second guide hole 422 penetrating vertically in front of the first main bracket 422 and a pair of spring insertion grooves 423 cut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top; A second wheel 43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main bracket 42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re 1 so as to closely rotate; A second guide bracket 441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horizontally bent forward and a second guide hole 422 passing through the bent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bracket 441, A second guide pin 442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guide bracket 441 at its upper end and a second handle 443 which is vertically downwardly exten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bracket 441, A pair of second spring fixing bolts 444 mounted so as to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stopper insertion groove 421 to the insid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fixing bolt 444 and a second compression coil 444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pring fixing bolt 444, A spring 445 and a low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andle 443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445 protrudes to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spring fixing bolt 444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thereof. Two bolt guide grooves 446 are formed and at the upper rear corner, The second stopper block 44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447 chamfered at the point of the damper plate (23) of the trolley (2) is in close contact with; And a pair of leaf springs (45) fixed to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spring insertion groove (423) and extending rearward and bent to form a convex curve. And a brake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27605A KR101446650B1 (en) | 2014-03-10 | 2014-03-10 |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27605A KR101446650B1 (en) | 2014-03-10 | 2014-03-10 |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46650B1 true KR101446650B1 (en) | 2014-10-06 |
Family
ID=519963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27605A Active KR101446650B1 (en) | 2014-03-10 | 2014-03-10 |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46650B1 (en) |
Cited B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5940B1 (en) | 2015-12-23 | 2016-07-05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The apparatus for a leisure downhill sports |
| KR101770650B1 (en) | 2016-03-16 | 2017-08-25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The safety system for Zip-line |
| KR101793201B1 (en) | 2017-05-11 | 2017-11-06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The launcher for a zip-line |
| KR102302630B1 (en) * | 2021-05-26 | 2021-09-14 | 김정수 | Ziptrek system with harness withdrawl device |
| WO2022187637A3 (en) * | 2021-03-05 | 2022-10-13 | The Estate Of Donald A. Hackett | Emergency arrest device for zip-lining |
| KR102485931B1 (en) | 2022-07-14 | 2023-01-09 | 주식회사 더챌린지 | Trolley structure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
| KR102494286B1 (en) | 2022-08-17 | 2023-02-0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Supply system for skywalk reports |
| KR102508660B1 (en) | 2022-07-14 | 2023-03-09 | 주식회사 더챌린지 | Trolley break apparatus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
| KR102562477B1 (en) | 2023-01-25 | 2023-08-02 | 주식회사 더챌린지 | Trolley structure including motor |
| KR102616812B1 (en) | 2023-05-31 | 2023-12-21 | 주식회사 더챌린지 | Apparatus for protecting tree and safety net structure |
| KR20240007633A (en) | 2023-12-07 | 2024-01-1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Rail mobile object for rail |
| KR20250087384A (en) | 2023-12-07 | 2025-06-1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Rail mobile object for waste rail |
| KR20250094037A (en) | 2023-12-18 | 2025-06-25 | 주식회사 더챌린지 | Trolley structure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027134A1 (en) | 2004-07-02 | 2006-02-09 | Ziptrek Ecotours, Inc. | Zipline braking and motion-arrest system |
| KR20130015577A (en) * | 2011-08-04 | 2013-02-14 | 고두정 | Trolley locker and apparatus for moving trolley locker |
| KR200466606Y1 (en) | 2011-12-06 | 2013-04-25 | 와바다다 주식회사 | Arrival guidance system for an air descent experience ride |
| KR101316563B1 (en) | 2009-11-27 | 2013-10-15 | 스카이라인집라인 글로벌 엘엘씨 | Zipline trolley system |
-
2014
- 2014-03-10 KR KR1020140027605A patent/KR1014466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027134A1 (en) | 2004-07-02 | 2006-02-09 | Ziptrek Ecotours, Inc. | Zipline braking and motion-arrest system |
| KR101316563B1 (en) | 2009-11-27 | 2013-10-15 | 스카이라인집라인 글로벌 엘엘씨 | Zipline trolley system |
| KR20130015577A (en) * | 2011-08-04 | 2013-02-14 | 고두정 | Trolley locker and apparatus for moving trolley locker |
| KR200466606Y1 (en) | 2011-12-06 | 2013-04-25 | 와바다다 주식회사 | Arrival guidance system for an air descent experience ride |
Cited By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5940B1 (en) | 2015-12-23 | 2016-07-05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The apparatus for a leisure downhill sports |
| KR101770650B1 (en) | 2016-03-16 | 2017-08-25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The safety system for Zip-line |
| KR101793201B1 (en) | 2017-05-11 | 2017-11-06 |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 The launcher for a zip-line |
| US11807283B2 (en) | 2021-03-05 | 2023-11-07 | Donald Andrew HACKETT | Emergency arrest device for zip-lining |
| WO2022187637A3 (en) * | 2021-03-05 | 2022-10-13 | The Estate Of Donald A. Hackett | Emergency arrest device for zip-lining |
| KR102302630B1 (en) * | 2021-05-26 | 2021-09-14 | 김정수 | Ziptrek system with harness withdrawl device |
| KR102508660B1 (en) | 2022-07-14 | 2023-03-09 | 주식회사 더챌린지 | Trolley break apparatus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
| KR102485931B1 (en) | 2022-07-14 | 2023-01-09 | 주식회사 더챌린지 | Trolley structure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
| KR102494286B1 (en) | 2022-08-17 | 2023-02-0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Supply system for skywalk reports |
| KR102562477B1 (en) | 2023-01-25 | 2023-08-02 | 주식회사 더챌린지 | Trolley structure including motor |
| KR102616812B1 (en) | 2023-05-31 | 2023-12-21 | 주식회사 더챌린지 | Apparatus for protecting tree and safety net structure |
| KR20240007633A (en) | 2023-12-07 | 2024-01-1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Rail mobile object for rail |
| KR20250087384A (en) | 2023-12-07 | 2025-06-16 | 주식회사 더챌린지 | Rail mobile object for waste rail |
| KR20250094037A (en) | 2023-12-18 | 2025-06-25 | 주식회사 더챌린지 | Trolley structure for descending leisure sport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46650B1 (en) | The luncher and brake unit for a zip line | |
| AU2008203229B2 (en) | Protection System | |
| KR101770650B1 (en) | The safety system for Zip-line | |
| US8621918B2 (en) | Test device comprising a receiving device for a vehicle mock-up and method for testing a test vehicle using a test device | |
| US20160272225A1 (en) | In-line brake | |
| RU2576674C2 (en) | Automotive shock absorber | |
| CN111252264B (en) | Unmanned aerial vehicle emitter | |
| CN106320223B (en) | An escape vehicle control device | |
| CN107792112B (en) | Railway Freight Car Pulling Gear Components | |
| CN104670185A (en) | Recoiling type anti-collision buffer device and vehicle | |
| CN204548004U (en) | A kind of separation type anticollision car | |
| CN108883341B (en) | Connection structure for articulated vehicles | |
| US9709121B2 (en) | Twin wire bending kinetic energy attenuation system | |
| CN109292106B (en) | Short-distance boosting separation system | |
| KR101835101B1 (en) |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end | |
| CN100395160C (en) | Movable runway for plane landing | |
| CN109356026A (en) | A kind of highway bridge anticollision device, collision-prevention device | |
| CN104015755A (en) | Mine car inclined roadway double-stopper automatic car arrester | |
| CN204399063U (en) | A kind of cash transit carrier being provided with multistage protection bumper/spoiler | |
| CN107380475B (en) | Spring bolt structure suitabl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electromagnetism is launched | |
| US20140292045A1 (en) | Mechanism for Increasing the Distance Traveled During a Forceful Change in Velocity | |
| US3191890A (en) | Arresting systems | |
| CN106891851A (en) | Safety belt buffer | |
| CN114212257A (en) | A safety auxiliary device for forced landing of an aircraft | |
| CN212766201U (en) | Escape equipment of air-rail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