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76B1 - Sprocket roller and lamin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procket roller and lamin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6676B1 KR101446676B1 KR1020120133847A KR20120133847A KR101446676B1 KR 101446676 B1 KR101446676 B1 KR 101446676B1 KR 1020120133847 A KR1020120133847 A KR 1020120133847A KR 20120133847 A KR20120133847 A KR 20120133847A KR 101446676 B1 KR101446676 B1 KR 1014466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ocket
- roller body
- roller
- reference surface
- sprocket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스프로켓 롤러 및 스프로켓 롤러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장치가 제공된다. 스프로켓 롤러는 원통형상의 롤러본체와 스프로켓을 포함하며, 스프로켓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스프로켓의 중심으로부터 스프로켓 홈까지의 거리와 스프로켓의 중심으로부터 스프로켓까지의 거리의 평균은 상기 롤러 본체의 반지름보다 작다.A laminating apparatus is provided that includes a sprocket roller and a sprocket roller. The sprocket roller includes a cylindrical roller body and a sprocket. The sprocket has a plurality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average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procket to the sprocket groove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procket to the sprocket, Less than radius.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프로켓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사용되는 스프로켓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ocket roller and a laminat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rocket roller used in a film laminating process and a laminat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이란 테이프형 기재를 제단하지 않고 그대로 회전롤에서 풀어가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부품 생산라인에 도입되어 부품의 제조원가를 줄여 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롤투롤 방식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기재를 라미네이트 하기 위해,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고 가압 회전시키면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기재를 통과시키게 된다In general, the roll-to-roll method is a technique in which a tape-like base material is unwound from a rotary roll without being cut, and is introduced into a part production lin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rts. In order to laminate two or more substrates using this roll-to-roll method, a pair of rollers is provided and the substrate is pass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while being rotated under pressur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롤투롤 라미네이트는 기재간의 어긋남이 발생하고 누름압력의 오차에 따라 접합 품질이 불규칙하여 위치정렬이 필요한 고정밀 라미네이트가 어려웠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roll-to-roll laminate, misalignment of the substrates occurs and the quality of the joining is irregular due to the error of the pressing pressure, so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high-precision laminate requiring alignment.
또한, 위치정렬 향상을 위해 테이프형 기재의 가장자리에 스프로켓홀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로켓홀에 대응되는 스프로켓을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한 스프로켓 롤러가 개시되어 있지만, 누름압력의 오차에 따라 기재의 밀림현상으로 인해 여전히 정밀한 라미네이트 가공이 어려웠다. 또한,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기재가 손상되거나 스프로켓롤이 파손,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lthough sprocket rollers have been disclosed in which a sprocket hole is formed at the edge of a tape-like base material to improve positional alignment and sprockets corresponding to the sprocket holes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t was still difficult to precisely laminate. Further, when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se material is damaged or the sprocket roll is damaged or deformed.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압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고정밀 라미네이트가 가능한 스프로켓 롤러 및 라미네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rocket roller and a laminator apparatus capable of alleviating an impact due to pressing and capable of high-precision lamin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분해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프로켓 롤러 및 라미네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rocket roller and a laminator apparatus which are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maintai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는 탄성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롤러본체, 상기 롤러 본체의 두 밑면 중 적어도 일 단 상에 배치되는 스프로켓 부재 및 상기 스프로켓 부재의 둘레에 형성되는 단속적인 기준면,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로켓 및 기준면 으로부터 만입된 스프로켓 홈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ller comprising: a cylindrical roller body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a sprocket membe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wo bottom surfaces of the roller body; A sprocket protruding from the reference surface, and a sprocket groove recessed from the reference surface.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스프로켓 롤러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장치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min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procket roll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롤러본체가 탄성물질로 이루어지면, 롤러면이 가압되더라도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복원력이 있어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If the roller body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impact can be alleviated even if the roller surface is pressed, and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상기 스프로켓의 기준면부까지의 직경을 상기 롤러본체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롤러본체가 가압되었을 때, 스프로켓 기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reference surface portion of the sprocket is mad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d surface of the roller body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procket reference surface can be relaxed when the roller body is pressed.
한편, 스프로켓 부재와 롤러본체를 체결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을 경우 롤러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이상이 있는 부재만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constituting the sprocket member and the roller main body in a fastening manner, if any one of them is abnormal,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only the member having an abnormality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roller.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단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의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필름이 인입되고 반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의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m is fed and convey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sprock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sprocke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l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롤러(100)는 롤러본체(110), 및 롤러본체(110)의 적어도 일단에 체결된 스프로켓 부재(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롤러본체(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원통형상으로부터 도출되는 2개의 밑면은 롤러본체(110)의 일단 및 타단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상의 옆면은 롤러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The
롤러본체(110)는 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본체(11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본체(110)가 탄성물질로 이루어지면, 롤러면이 가압되더라도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복원력이 있어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The
롤러본체(110)의 일단에는 스프로켓 부재(120)가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롤러본체(110)의 일단과 타단에 스프로켓 부재(120)가 체결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어느 한편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롤러본체(110)와 스프로켓(120)의 체결은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예로서, 접착제 또는 점착제나 이들의 필름들이 예시될 수 있다. The
스프로켓 부재(120)는 롤러본체(110)의 일단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스프로켓 부재(120)는 전체적으로 볼 때, 실질적인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스프로켓 부재(120)의 둘레에는 복수의 스프로켓 및 스프로켓 홈이 형성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로켓 부재(120)의 외주면은 단속적인 기준면(1203),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로켓(1202) 및 기준면으로부터 만입된 스프로켓 홈(1201)을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prockets and sprocket grooves are formed around the
스프로켓 홈(1201)의 음각 형상 및 크기는 스프로켓(1202)의 양각 형상 및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로켓(1202)은 윗변이 밑변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스프로켓 홈(1201)은 그와 동일한 음각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사다리꼴은 2개의 경사선이 밑변과 이루는 내각이 상호 동일한 도형일 수 있다. The engraved shape and size of the
한편, 필름(F1, F2)과 같은 피가공물의 물성이나 두께 또는 피가공물에 형성된 스프로켓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스프로켓 홈(1201)과 스프로켓(1202)의 형상 및 크기는 변경이 가능하다.The shapes and sizes of the
스프로켓 홈(1201)과 스프로켓(1202)는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스프로켓 홈(1201)와 스프로켓(1202) 사이에는 기준면(1203)이 배치될 수 있다. 기준면(1203)은 스프로켓 홈(1201)와 스프로켓(1202)에 의해 단속적으로 형성되지만, 단속적인 기준면(1203)을 연장하여 연결하면, 실질적인 원형이 정의될 수 있다. The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준면(1203)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프로켓 홈(1201)와 스프로켓(1202)는 상호 인접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스프로켓 홈(1201)와 스프로켓(1202)의 기준이 되는 가상의 기준면이 존재함은 물론이고 가상의 기준면을 연장하여 연결하면 실질적인 원형이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롤러본체에 스프로켓이 체결된 상태에서, 스프로켓(1202)은 롤러본체(110)의 롤러면보다 돌출되지만, 기준면(1203)은 롤러본체의 롤러면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즉, 스프로켓의 기준면(1203)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로켓(1202)의 높이(d1)은 롤러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로켓(1202)의 높이(d2)보다 크다. 롤러면과 기준면(1203)의 상대적인 높이의 차이(w)는 롤러본체가 가압되었을 때, 스프로켓 기준면(1203)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는 롤투롤 라미네이트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The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roll-to-roll laminate apparatus or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필름이 인입되고 반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m is fed and convey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라미네이트 장치는 상호 인접 배치된 제1 스프로켓 롤러(100) 및 제2 스프로켓 롤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로켓 롤러(100) 및 제2 스프로켓 롤러(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프로켓 롤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상 제1 스프로켓 롤러, 제1 롤러본체, 제1 스프로켓 부재는 도 1 내지 도 3의 스프로켓 롤러, 롤러본체 및 스프로켓 부재와 동일 참조 부호로 지칭한다. 도면 부호 200은 제2 스프로켓 롤러이고, 210, 220은 각각 제2 롤러본체, 및 제2 스프로켓 부재를 지칭한다. 또한, 2201, 2202, 2203은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홈, 스프로켓, 기준면을 지칭한다. 4 and 5, the lamin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스프로켓 롤러(10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스프로켓 롤러(200)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제1 스프로켓 롤러(100)의 회전 속도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의 회전 각속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운영될 수 있다. The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의 회전 시, 그 접점에서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스프로켓 홈은(1202/1201)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홈/스프로켓(2201/2202)에 순차적으로 맞물린다. 즉,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의 접점에서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1202)이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홈(2201)에 삽입되고, 회전에 따라 이들이 접점을 벗어나면서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1202)이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홈(2201)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홈(1201)과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2202)이 접점에 배치되면서,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2202)가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홈(1201)에 삽입되고, 회전에 따라 이들은 상호 분리된다. 이러한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의 회전에 따라 반복된다. When the
도 6을 참조하면, 필름(F1, F2) 은 스프로켓 부재에 결합되어 접합면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인입될 수 있다. 인입된 필름은 스프로켓 부재의 접점에서 접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다. 필름의 접합면과 인입되는 필름이 이루는 각은 바람직하게는 약 70~90도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lms F1 and F2 may be coupled to the sprocket member and drawn in at an angle to the bonding surface. The drawn film can be bonded at the contact point of the sprocket member and trans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ngle between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lm and the incoming film may preferably be about 70 to 90 degrees.
한편, 상기 스프로켓 부재(120, 220)는 금속 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같은 경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경성재질인 제1 스프로켓 부재(120)와 제2 스프로켓 부재(220)가 서로 맞물려서 회전할 경우 누름 압력이 인가된다. 이 때, 롤러본체(110, 210)는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름 압력이 완화되지만, 상기 스프로켓 부재(120, 220)는 경성이기 때문에 누름 압력이 완화 되지 않고 라미네이트 피가공물에 인가되므로 피가공물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피가공물이 밀려나는 현상으로 인해 위치정렬이 어긋나는 문제가 있다. When the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에서와 같이 스프로켓 부재의 기준면(1203, 2203)을 롤러본체(110, 220)의 외주면 보다 롤러 내측으로 더 낮게 형성하였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상술한 것처럼 제1 및 제2 스프로켓 부재의 기준면(1203, 2203)보다 제1 롤러본체(110) 및 제2 롤러본체(210)가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를 밀착시켜 제1 롤러본체(110) 및 제2 롤러본체(210)가 서로 맞닿게 하더라도, 제1 스프로켓의 기준면(1203)과 제2 스프로켓의 기준면(2203)은 서로 접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제1 스프로켓 부재의 기준면(1203)과 제2 스프로켓 부재의 기준면(2203)은 상호 마찰되거나 가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프로켓(120) 과 제2 스프로켓(220) 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Since the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를 더욱 강하게 밀착시키면, 제1 롤러본체(110)와 제2 롤러본체(210)는 탄성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점에서 서로 가압되어 부분적으로 제1 롤러본체(110) 및 제2 롤러본체(210)의 반지름이 작아질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접점에서는 기준면에 대한 제1 롤러본체(110) 및 제2 롤러본체(210)의 돌출 정도가 작아지거나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롤러본체(110) 및 제2 롤러본체(210)가 제1 스프로켓(120) 및 제2 스프로켓(220)의 기준면보다 돌출되지 않는다면, 제1 스프로켓 부재(120) 및 제2 스프로켓 부재(220)의 기준면이 상호 맞닿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1 롤러본체(110) 및 제2 롤러본체(210)의 탄성력 및 복원력이 작용하여, 제1 스프로켓 부재(120) 및 제2 스프로켓 부재(220) 상호간의 마찰이나 가압이 감소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The
한편, 제1 롤러본체(110)와 제2 롤러본체(210)가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면 그 자체의 변형 방지에도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라미네이션 공정의 진행 중에는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필름, 기판, 기재 또는 층들이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점에서 제1 롤러본체(110)와 제2 롤러본체(210)가 더욱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롤러본체(110)와 제2 롤러본체(210)가 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복원력에 의해 쉽게 원래의 형상을 복원할 수 있어 외형 변형이 감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여기서, 상기 제1 롤러본체(110)와 제2 롤러본체(210)의 거리는 작업조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누름 압력 또한 조절이 가능하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서 지칭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already described are referred to a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or simplifi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101)는 롤러본체의 양단에 샤프트(112)가 설치되어 있고, 스프로켓의 중앙부에 그에 상응하는 중공부(131)가 형성된 점이 도 2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샤프트(112)는 스프로켓 부재의 중공부(131)를 통해 삽입된다. 샤프트(112)에는 회전 구동 장치 등이 설치 될 수 있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또한, 롤러본체는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체결될 수 있다. Further, the roller body can be fastened with the shaft as a central axis.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프로켓 부재의 측면도들로서, 스프로켓 부재가 복수의 나사홀(132)을 포함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스프로켓 부재(122)는 나사홀(132)에 삽입되는 나사 또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롤러본체(110)의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gures 8 and 9 are side views of a sprocket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that the sprocket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eade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는 스프로켓 부재(121)의 외측에 사이드 롤(141)가 더 설치되어 있는 점이 도 8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사이드 롤(141)은 실질적인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롤러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라미네이션 공정의 진행 중에는 제1 스프로켓 롤러(100)와 제2 스프로켓 롤러(2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필름, 기판, 기재 또는 층들이 개재될 수 있는데 롤러면과 동일 높이를 가지는 사이드 롤(141)을 부착하는 경우 사이드 롤(141)이 필름, 기판, 기재 또는 층들의 가장자리를 롤러면과 동일한 압력으로 눌러줌으로써 필름, 기판, 기재 또는 층들이 보다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8 in that a
사이드 롤(141)은 롤러본체(111)의 일단에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롤러본체(111)의 일단과 타단에 사이드 롤이 체결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어느 한편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사이드 롤(141)의 체결은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예로서, 접착제 또는 접착제나 이들의 필름들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나사홀에 삽입되는 나사나 너트와 볼트의 결합에 의해서도 체결될 수 있다. 롤러본체의 양단에 샤프트(11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샤프트(112)가 삽입 될 수 있도록 사이드 롤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상기 샤프트(112)가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체결 될 수 있으며 샤프트(112)를 삽입한 후에 나사홀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사이드 롤(141)의 체결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될 수 도 있다. The side rolls 141 can be fastened to one end of the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롤러본체가 비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163) 및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173)을 포함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procket 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llustrates that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body may include a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 롤러(500)는 롤러면과 사이드 롤(142)의 외주면에 일정 두께의 코팅층(173)이 형성된 점이 도 11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Specifically, the sprocket roll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FIG. 11 in that a
코팅층(173)은 일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코어(163)는 강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코팅층(173)은 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층(173)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탄성을 가진 재료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The
코팅층(173)이 탄성물질로 이루어지면, 롤러면이 가압되더라도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복원력이 있어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If the
탄성 코팅층(173)의 두께는 제한이 없으나 코팅층(173)이 형성되지 않은 코어(163)는 강도, 회전구동 등을 고려했을 때,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상기 사이드 롤에 형성되는 코팅층(183)의 두께는 롤러 본체에 형성되는 코팅층(17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 본체에 형성된 탄성 코팅층(173)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코팅층(183)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롤이 필름, 기판, 기재 또는 층들의 가장자리를 롤러면과 동일한 압력으로 눌러줌으로써 필름, 기판, 기재 또는 층들이 보다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hickness of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의 확대도이다. 15 is an enlarged view of a spr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로켓의 요철은 반원호 형상인 점이 도 2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Referring to FIG. 15, the spr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2 in that the concavity and convexity of the sprocket is semicircular.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로켓(120)의 둘레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로켓의 외주면은 단속적인 기준면,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로켓(1202a), 및 기준면(1203a)으로부터 만입된 스프로켓 홈(1201a)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ocket includes an intermittent reference surface, a
스프로켓 홈(1201a)의 음각 형상 및 크기는 스프로켓(1202a)의 양각 형상 및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로켓(1202a)는 반원호 형상이고, 스프로켓 홈(1201a)는 그와 동일한 음각 반원호 형상일 수 있다. 스프로켓 홈(1201a)와 스프로켓(1202a)는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스프로켓 홈(1201a)와 스프로켓(1202a) 사이에는 기준면(1203a)이 배치될 수 있다. 기준면(1203a)은 스프로켓 홈(1201a)와 스프로켓(1202a)에 의해 단속적으로 형성되지만, 단속적인 기준면(1203a)을 연장하여 연결하면, 실질적인 원형이 정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준면(1203a)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프로켓 홈(1201a)와 스프로켓(1202a)는 상호 인접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스프로켓 홈(1201a)와 스프로켓(1202a)의 기준이 되는 가상의 기준면이 존재함은 물론이고 가상의 기준면을 연장하여 연결하면 실질적인 원형이 될 수 있다. The engraved shape and siz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로켓의 형상을 반원호 형상으로 할 경우 스프로켓이 맞물리면서 돌아가면서 생기는 마찰을 완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rocket is formed into a semicircular shape, the friction generated when the sprocket rotates while being engaged can be allevia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200, 101, 102, 103: 스프로켓 롤러
110, 210, 113: 롤러 본체
120, 121, 220, 122: 스프로켓 부재
1201, 2201, 1201a: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홈
1202, 2202, 1202a: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1203, 2203,1203a: 스프로켓의 기준면부
112: 샤프트
132: 나사홀
143: 중공부
141, 142: 사이드 롤
163: 코어
173, 183: 탄성코팅층
F1, F2 : 필름100, 200, 101, 102, 103: sprocket rollers
110, 210 and 113:
120, 121, 220, 122: sprocket member
1201, 2201, 1201a: Sprocket groove of the sprocket member
1202, 2202, 1202a: sprocket member sprocket
1203, 2203, 1203a: Reference surface of the sprocket
112: shaft
132: screw hole
143:
141, 142: side roll
163: Core
173, 183: Elastic coating layer
F1, F2: Film
Claims (17)
상기 롤러 본체의 적어도 일단에 체결되고 외주면을 따라 스프로켓 홈과 스프로켓이 배치되는 스프로켓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로켓 부재이 외측에서 체결되며, 그 직경이 상기 롤러 본체의 직경과 동일하고, 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이드 롤을 더 포함하는 스프로켓 롤러.A cylindrical roller body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And
And a sprocket member fasten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roller body and having a sprocket groove and a sprocket dispos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herein the sprocket member further comprises a side roll which is fastened on the outside and whose diameter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roller body and which includes an elastic material.
상기 스프로켓 부재의 외주면은 단속적인 기준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준면은 상기 스프로켓 및 상기 스프로켓 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로켓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롤러 본체 단면의 반지름보다 작은 스프로켓 롤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ocket member further includes an intermittent reference surface,
Wherein the reference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sprocket groove,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procket member to the reference surface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end surface of the roller body.
상기 롤러본체 또는 상기 사이드 롤은 비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스프로켓 롤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 body or the side roll includes a core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and an elastic coating lay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상기 스프로켓 부재는 경성재료로 구성되는 스프로켓 롤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ocket member is made of a hard material.
상기 스프로켓 홈과 스프로켓은 각각 사각추 형상이거나 또는 반원호 형상인 스프로켓 롤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ocket grooves and the sprockets are in the shape of a square or semicircular arc, respectively.
샤프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러본체와 상기 스프로켓 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체결되는 스프로켓 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haft,
Wherein the roller body and the sprocket member are coupled with the shaft as a central axis.
상기 스프로켓 부재의 외주면은 단속적인 기준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준면은 상기 스프로켓 및 상기 스프로켓 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로켓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기준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롤러 본체 단면의 반지름보다 작은 스프로켓 롤러.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ocket member further includes an intermittent reference surface,
Wherein the reference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sprocket groove,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procket member to the reference surface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end surface of the roller body.
상기 롤러본체 또는 상기 사이드 롤은 비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스프로켓 롤러.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ller body or the side roll includes a core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and an elastic coating lay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상기 스프로켓 부재는 경성재료로 구성되는 스프로켓 롤러.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procket member is made of a hard material.
상기 스프로켓 홈과 스프로켓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각추 형상이거나 또는 반원호 형상인 스프로켓 롤러.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procket groove and the sprocket are of a tetragonal shape or a semicircular shape.
상기 제1 스프로켓 롤러와 상호 인접 배치된 제2 스프로켓 롤러로서, 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제2 롤러본체와 상기 제2 롤러본체의 적어도 일단에 체결되고 외주면을 따라 스프로켓 홈과 스프로켓이 배치되는 제2 스프로켓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스프로켓 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과 스프로켓 홈은 상기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홈과 스프로켓에 각각 순차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외측에서 체결되며, 그 직경이 상기 제1 롤러 본체의 직경과 동일하고, 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사이드 롤; 및
상기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외측에서 체결되며, 그 직경이 상기 제2 롤러본체의 직경과 동일하고, 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사이드 롤을 더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장치.A first sprocket roller including a cylindrical first roller body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and a first sprocket member which is fasten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roller body and has a sprocket groove and a sprocke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procket roller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procket roller, the second sprocket roller having a cylindrical second roller body including a resilient material, and a sprocket groove and a sprocket disposed on at least one end of the second roller bod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econd sprocket roller including a second sprocket member; ≪ / RTI >
The sprocket and the sprocket grooves of the first sprocket member are sequentially engaged with the sprocket grooves and the sprocket of the second sprocket member,
A first side roll coupled to the first sprocket member at an outer side thereof and having a diameter equal to a diameter of the first roller body 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And
And a second side roll which is fastened at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sprocket member and whose diameter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roller body and which comprises an elastic material.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롤러본체와 상기 제1 스프로켓 부재 및 상기 제1 사이드 롤은 상기 제1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2 롤러본체와 상기 제2 스프로켓 부재 및 상기 제2 사이드 롤은 상기 제2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체결되는 라미네이트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Wherein the first roller body, the first sprocket member, and the first side roll are fastened with the first shaft as a center shaft, and the second roller body, the second sprocket member, 2 A laminate device fastened with a shaft as a central axis.
상기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외주면은 단속적인 제1 기준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면은 상기 제1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및 스프로켓 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로켓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롤러본체 단면의 반지름보다 작고, 상기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외주면은 단속적인 제2 기준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기준면은 상기 제2 스프로켓 부재의 스프로켓 및 스프로켓 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로켓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기준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롤러본체 단면의 반지름보다 작은 라미네이트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procket member further includes an intermittent first reference surface, the first reference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sprocket groove of the first sprocket member, and the first reference surface is located between the center of the sprocket member and the first reference surface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sprocket grooves of the second sprocket member, and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sprocket grooves of the second sprocket member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procket member to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first roller body cross section.
상기 제1 롤러본체, 제1 사이드 롤, 제2 롤러본체 또는 제2 사이드 롤은 비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roller body, the first side roll, the second roller body or the second side roll comprises a core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and an elastic coating lay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33847A KR101446676B1 (en) | 2012-11-23 | 2012-11-23 | Sprocket roller and lamin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33847A KR101446676B1 (en) | 2012-11-23 | 2012-11-23 | Sprocket roller and lamin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66911A KR20140066911A (en) | 2014-06-03 |
| KR101446676B1 true KR101446676B1 (en) | 2014-10-02 |
Family
ID=5112341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338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6676B1 (en) | 2012-11-23 | 2012-11-23 | Sprocket roller and lamin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46676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130732A (en) * | 1999-11-02 | 2001-05-15 | Hisayoshi Kadoya | Roller for trans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oller |
| KR101020480B1 (en) * | 2010-02-05 | 2011-03-08 | 민 석 이 | Adhesion Laminating Roller |
-
2012
- 2012-11-23 KR KR1020120133847A patent/KR1014466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130732A (en) * | 1999-11-02 | 2001-05-15 | Hisayoshi Kadoya | Roller for trans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oller |
| KR101020480B1 (en) * | 2010-02-05 | 2011-03-08 | 민 석 이 | Adhesion Laminating Roll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66911A (en) | 2014-06-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391752B2 (en) | Film stripping device and film stripping method | |
| WO2014035697A1 (en) | Microstructure film | |
| JP2011026195A5 (en) | ||
| CN105518976A (en) | Rotors of permanent magnet rotating electrical machines | |
| TW201527841A (en) | System for laminating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unit using the same | |
| CN202163902U (en) | Substrate transfer equipment | |
| JP6163377B2 (en) | Foreign matter removal method from film laminate, film laminate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apparatus. | |
| KR101446676B1 (en) | Sprocket roller and lamin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 WO2017163568A1 (en) | Protective film-provided glass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package | |
| CN105799300A (en) | Lamination apparatus for flexible displayer and l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TW201300850A (en) |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isplay panel and continuous manufacturing system of optical display panel | |
| JP2017226089A (en) | Pressing roller | |
| KR101860597B1 (en) | Knife edg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same | |
| US9350273B2 (en) | Piez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having a stress applying member | |
| KR101625094B1 (en) | Lightweight stainless steel pipe rollers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roller | |
| JP6133377B2 (en) | Substrate rotation alignment device (APPARATUSFORALIGNINGROTATIONOFSUBSTRATE) | |
| US9359161B2 (en) | Interleaving element for a roll of glass substrate | |
| TWI639547B (en) | Guiding roller and conveying device comprising several rollers | |
| KR101291457B1 (en) | Frames using multi patterned wrapping sheet and its producing method | |
| KR101583702B1 (en) | Laminating equipment with improved process efficiency and Manufacturing system for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
| TWM597717U (en) | Quick-release brush wheel | |
| JP2018185505A (en) | Laminating device | |
| KR20250049193A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 |
| KR101433313B1 (en) | Roller replaceable type hemming tool | |
| KR20130100670A (en) | Roller hemming too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9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