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642B1 - tool damage detector of machine tool - Google Patents
tool damage detector of machine to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0642B1 KR101440642B1 KR1020090071137A KR20090071137A KR101440642B1 KR 101440642 B1 KR101440642 B1 KR 101440642B1 KR 1020090071137 A KR1020090071137 A KR 1020090071137A KR 20090071137 A KR20090071137 A KR 20090071137A KR 101440642 B1 KR101440642 B1 KR 101440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l
- sensor assembly
- sensor
- disposed
- machine to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0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0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 B23Q17/0909—Detection of broken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0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 B23Q17/0919—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adjusting cutting-tool geometry in presetting devices
- B23Q17/0923—Tool l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95—Tool life managemen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5—Monitoring tool breakage, life or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테이블(10) 또는 테이블(10)이 설치되는 X축 베드 프레임(40)의 양쪽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제2 서포터(110a)(110b); 제1 서포터(110a)의 상측에 배치되고 비접촉식으로 공구(T)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조립체(120a); 및 제2 서포터(110b)의 상측에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일정 거리(S)를 두고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비접촉식으로 공구(T)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센서 조립체(120b);를 포함하고,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에서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의 합산 값과 일정 거리(S)의 차이를 연산하여 공구(T)의 외경 값 구하고 외경 값이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공구(T)가 파손되는 것으로 판단한다.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ers (not shown) installed on both sides of an X-axis bed frame 40 on which a table 10 or a table 10 is installed 110a) 110b; A first sensor assembly 120a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er 110a and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tool T in a non-contact manner; And a second sensor assembly 120a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er 110b and facing the first sensor assembly 120a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S between the first sensor assembly 120a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120a, The sensor assembly 120b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m of the respective measured values measured at the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20a and 120b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S, And determines that the tool (T) is broken if the outer diameter value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공구, 파손, 마모, 비정상, 검출, 센서, 센싱, 비접촉식 Tool, breakage, wear, abnormal, detection, sensor, sensing, contactl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에서 공작물을 가공하기 전 또는 후에 공구의 파손 또는 마모 정도를 검출하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팔레트에 공작물이 탑재되고 그 공작물과 공구의 상대 운동에 의해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게 된다.Generally, a machine tool is equipped with a workpiece on a pallet, and the workpiece is cut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orkpiece and the tool.
상술한 상대 운동의 일례로서, 상술한 팔레트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공구는 주축에 장착된 상태로 주축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relative movement, the above-described pallet may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main shaft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tool mounted on the main shaft.
또한, 상술한 상대 운동의 다른 예로서, 상술한 팔레트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공구는 주축에 장착된 상태로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relative movement, the above-described pallet may be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tool may be moved in the back-and-forth and up-down directions while being mounted on the main shaft.
또한, 상술한 공구는 툴 매거진에 여러 개가 수납될 수 있고, 자동공구교환장치에 의해 툴 매거진과 주축간에 공구가 교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ools can be housed in a plurality of tool magazines, and the tool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tool magazine and the main shaft by the automatic tool changer.
여기서, 여러 개의 공구 중에는 파손 또는 마모 등이 발생된 공구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공구는 공작물의 가공 전 또는 후에 미리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써 비정상적인 공구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였을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 공작물의 정밀가공 저하, 가공표면의 조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Here, among the various tools, there may be tools that have been damaged or abraded, and these tools need to be grasped before or after the machining of the workpiece, so tha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machining a workpiece using an abnormal tool Problems such as the risk of the workpiece being lowered, the precision machining of the workpiece lowering, and the lowering of the roughness of the processed surface.
종래에는 공구의 파손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접촉식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이용하였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Conventionally, a contact type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is used as an apparatus for detecting breakage of a tool,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종래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테이블(10)의 한쪽에 프로브(26)가 설치되고 그 프로브(26)가 공구에 접촉함으로써 수치정보를 검출하여 공구의 파손 또는 마모정도를 검출한다.A conventional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좀 더 상세하게는, 상술한 테이블(10)에는 팔레트(30)가 탑재되고, 그 팔레트(30)에 공작물이 탑재된 상태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술한 테이블(10)의 한쪽에는 덕트(12)가 설치되며, 덕트(12)는 강성을 갖는 것으로써 프레임의 역할도 한다.In addition, a
상술한 덕트(12)의 쪽에는 케이스(14)가 설치되며, 케이스(14)의 상측에는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16)가 배치된다.A
또한, 상술한 케이스(18)의 내부에는 액추에이터(18)가 설치되고, 액추에이터(18)의 로드 단부에는 링크부재(20)가 배치되며, 그 링크 부재(20)에는 플레이트(22)가 설치되고 또한 상술한 링크 부재(20)의 한쪽에는 상술한 커버(16)가 링크로 연결된다.An
즉, 상술한 액추에이터(18)의 구동에 의해 플레이트(22)가 승강되고 아울러 커버(16)가 개폐되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술한 플레이트(22)는 선형 가이드에 의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고, 선형 가이드는 상술한 케이스(14)의 한쪽에 고정된다.Further, the above-mentioned
또한, 플레이트(22)의 한쪽에는 센서 조립체(24)와 프로브(26)가 설치되고, 프로브(26)는 접촉식으로서 측정대상물과 접촉하며 프로브(26)가 접촉하는 순간을 센서 조립체(24)에서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A
상술한 센서 조립체(24)에서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그 검출신호는 공작기계의 제어부로 전달되어 검출 값이 계산되는 것이다.When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상술한 프로브(26)와 공구의 접촉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act between the
테이블(10)과 공구는 상대운동을 하는 것이고, 이때 테이블(10)의 운동과 함께 프로브(26)가 이동되는 것으로서 결국 테이블(10)과 공구의 상대위치에 따라 프로브(26)가 공구와 접촉되는 것이다.The table 10 and the tool are in relative motion and at this time the
일례로서 공구(T)가 주축에 장착된 상태로 팔레트(30)의 상측 위치로 접근할 수 있고, 상술한 공구(T)가 접근하는 이동경로 상에 미리 배치되거나 공구(T)가 소정의 위치로 접근한 후에 프로브(26)가 이동될 수도 있다.The tool T can approach the upper position of the
즉, 기준이 되는 위치에서부터 프로브(26)가 공구와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수치제어의 좌표에 의해 연산될 수 있는 것이고, 기준 거리의 범위를 벗어나는 검출 값일 때에는 해당 공구가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울리거나 신호등을 밝혀 작업자가 공구의 상태를 알아 차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 점이 지적된다.The conventional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공구가 주축에 장착된 직후에 공작물을 가공하기 전 또는 후에 공구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그 외에 다른 시간에는 공작물(W)과의 간섭을 피하여야 하는 것이다.The tool breakage detecting device is to detect the state of the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the workpiece immediately after the tool is mounted on the main spindle and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workpiece W at other times.
즉, 공작물(W)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면서도 공구의 이동경로 상에 적절하게 배치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설치위치 선정은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rrange it on the movement path of the tool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workpiece W, but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installation position selection is subject to many restrictions.
특히, 종래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설치위치나 공작물 소재 또는 치구 등과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아지고 이로써 공구이동 경로에 제약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nterference with an installation position, a workpiece material, a fixture or the like occurs, thereby increasing the restriction of the tool movement path.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이동 경로를 설정함에 있어서 제약이 따르므로 공작물을 좀 더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는데 있어서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free to process the workpiece in a more various form because the constraint is imposed in setting the tool movement path as described above.
또한, 공작물을 절삭가공을 할 때에 절삭유, 냉각수 또는 절삭 칩 등의 이물질이 센서 조립체(24) 또는 프로브(26)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14)와 커버(16) 등의 보호구성품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orkpiece is cut, foreign matter such as cutting oil, cooling water or cutting chips may damage the
특히, 공구의 파손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액추에이터(18)가 확장 구동되어 뚜껑(16)을 개방함과 아울러 센서 조립체(24)와 프로브(26)를 상승시켜야 하고, 공구의 파손 검출이 완료된 후에는 액추에이터(18)가 수축 구동되어 뚜껑(16)을 닫음과 아울러 센서 조립체(24)와 프로브(26)를 케이스(14)의 내부로 감추어야 하므로 그 구성과 작용이 무척 복잡하며 이로써 공작기계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detect the breakage of the tool, the
또한, 센서 조립체(24)의 배선과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에어 블로우 라인 등의 배선은 테이블(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공작기계의 경로를 설정하고 조립하는 데에 조립공수가 많아져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iring of the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공구의 직경을 측정할 때에 다소 큰 공구를 측정하지 못하는 공구 크기의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tool breakage detection devices have a limited problem of tool size that can not measure a rather large tool when measuring the diameter of the tool.
일례로서, 공구의 지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공구의 최저면에 접촉하고 최고면에 접촉하여 그 거리 차이를 연산하여 공구의 지름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프로브(26)의 설치높이는 결정된 상태로서 어느 높이 이상으로 상승할 수 없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measure the diameter of a tool, the diameter of the tool is measured by contacting the lowest surface of the tool and contacting the highest surface of the tool to calculate the distance difference.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또한, 공구는 팔레트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접근할 수 있는 공간에 제한을 받게되므로 공구의 높이가 낮게 접근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tool is limited in the accessible space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pallet, there is a limit to approaching the tool at a low height.
따라서 프로브(26)의 높이를 원천적으로 높게 배치하여 공구의 지름이 크더라도 측정할 수 있겠지만, 이렇게 프로브(26)의 높이를 높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4)의 구조가 높게 변경되거나 또는 액추에이터(18)의 행정거리가 길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arrange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4) 또는 액추에이터(18)의 구조가 높게 변경될 경우에는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 공작물(W), 공구, 치구 등과의 간섭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프로브(26)의 높이 설정에는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When the structure of the
다른 한편으로, 케이스(14)의 위치에 있어서도, 테이블(1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수록 더 큰 공작물(W)을 팔레트(30)에 탑재할 수 있겠지만, 케이스(14)의 위치에는 매우 제한 적일 수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even at the position of the
상술한 케이스(14)의 설치위치가 제한적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ason wh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테이블(10)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테이블(10)이 케이스(14)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 공작기계의 벽체 패널에 케이스(14)가 가까워지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1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케이스(14)가 배치되었을 경우에는 케이스(14)가 공작기계의 벽체 패널에 부딪힐 우려가 있는 것이다.When the table 10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따라서 종래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공작물(W)의 최대 크기에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고 이로써 공작기계의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maximum size of the workpiece W is very limited and the use efficiency of the machine tool is deteriorated.
또 다른 한편으로, 센서 조립체(24)와 프로브(26)는 매우 정교한 구성요소로서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하여야 하는데, 케이스(14)가 설치된 위치를 살펴보면 공작기계의 벽체 패널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접근성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26)는 접촉식으로써 피 측정물 일례로 공구(T)와 접촉하여 데이터를 얻는 것인데, 이때 프로브(26)와 공구(T)의 접촉 회수가 늘어남에 따라 프로브(26)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렇게 프로브(26)가 변형됨에 따라 공구(T)의 외경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작물, 치구 및 공구이동경로와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면서도 가공할 수 있는 공작물의 최대크기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tool that can accommodate a workpiece, a jig, and a movement path of a tool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a maximum size of the workpiec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구의 파손을 검출하는 장치를 간소화하고 작업자의 접근을 쉽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which simplifies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breakage of a tool and facilitates access by an operator to facilitate mainten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구의 지름이 다소 크더라도 공구의 지름 크기와 상관없이 계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capable of measuring the tool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tool even if the diameter of the tool is somewhat larg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테이블 또는 상기 테이블이 설치되는 X축 베드 프레임의 양쪽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제2 서포터; 상기 제1 서포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비 접촉식으로 공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조립체; 및 상기 제2 서포터의 상측에 상기 제1 센서 조립체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제1 센서 조립체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비접촉식으로 상기 공구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센서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센서 조립체에서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의 합산 값과 상기 일정 거리의 차이를 연산하여 상기 공구의 외경 값 구하고 상기 외경 값이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공구가 파손되는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breakage of a tool of a machine tool, including: a table or first and second supporter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an X-axis bed frame on which the table is installed; A first sensor assembly disposed above the first supporter and measuring a distance from the tool in a non-contact manner; And a second sensor assem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er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or assembly and facing the first sensor assembly and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tool in a non-contact manner, ,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m of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assembly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outer diameter of the tool and the tool is judged to be broken if the outer diameter exceeds the allowable range.
또한, 상기 제1 센서 조립체와 상기 제2 센서 조립체는 설치되는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 assembly and the second sensor assembly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또한, 상기 제1, 제2 서포터는 상측 또는 하측이 굴절되어 상기 제1, 제2 서포터의 일부가 공작기계의 벽체 패널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ers may be bent upward or downward so that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ers are disposed outside the wall panel of the machine tool.
또한, 상기 제1 센서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센서 조립체는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sensor assembly or the second sens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over for protecting the senso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비접촉식의 센서 조립체를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공작물, 치구 및 공구이동경로와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면서도 가공할 수 있는 공작물의 최대크기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The apparatus for detecting breakage of a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ccommodate the maximum size of a workpiece that can avoid interference with a workpiece, jig and tool movement path by arranging a non-contact type sensor assembly apar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비접촉식의 센서 조립체를 배치함으로써 공구의 파손을 검출하는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고, 특히 공작기계의 벽체 패널의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의 접근이 쉬워 유지보수가 편리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detecting breakage of a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breakage of a tool by disposing a non-contact type sensor assembl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It is easy to maintain and easy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센서 조립체의 사이에 공구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공구의 지름이 다소 크더라도 공구의 지름 크기와 상관없이 계측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mits the tool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ensor assemblies spaced apart, so that the tool can be measured irrespective of the diameter of the tool even if the diameter of the tool is somewhat larg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FIG. 3 and FIG. 4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100)는 테이블(10)이 이동되는 X축 베드프레임(40)의 한쪽에 설치될 수 있다.3 and 4, a tool
X축 베드 프레임(40)의 양쪽에 각각 제1 서포터(110a)와 제2 서포터(110b)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제2 서포터(110a)(110b)의 상측에는 앵글 서포터(112)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앵글 서포터(112)의 한쪽에는 비접촉식의 검출수단인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상술한 제2 센서 조립체(120b)는 상술한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일정 거리(S)를 두고 상술한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상술한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식으로써, 수광부와 발광부가 구비되고 발광부에서 빔을 발광 후 수광부에서 반사 빛을 받아 빔의 반사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피측정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또한, 상술한 제1, 제2 서포터(110a)(110b)는 하측에 영문자 L자 형성으로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고, 수직부분은 후술되는 벽체 패널(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술한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는 상술한 벽체 패널(2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또한, 상술한 앵글 서포터(112)에는 플랜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플랜지(115)는 후술되는 벽체 패널(21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앵글 서포터(112)의 한쪽 단부는 경사진 형태의 제1, 제2 설치대(114a)(114b)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tables 114a and 114b are inclined at one end of the
상술한 제1 설치대(114a)와 상술한 제2 설치대(114a)에는 각각 상술한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가 설치되는 것이고, 여기서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서포터(110a)와 제2 서포터(110b)의 높이(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일례로 어느 한쪽이 높게 되면 상술한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가 대향하는 가상의 선(L)이 경사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length)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의 선(L)이 기울어짐에 따라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는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상술한 제1, 제2 설치대(114a)(114b)는 상술한 가상의 선(L)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다른 한편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는 상호 대향되도록 미세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first and
또한,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센서 조립체(120b)의 경우에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센서 커버(130)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100)의 설치 예를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tool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및 측면의 예시도면이고,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면이다.5 and 6 are illustrations of front and side views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작기계는 X축 베드 프레임(40)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선형 운동하도록 테이블(10)이 설치될 수 있고, 상술한 X축 베드 프레임(4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Y축 베드프레임(50)이 설치될 수 있으며, Y축 베드 프레임(50)의 상측에는 상술한 테이블(10)이 설치된 방향(전후 방향)으로 선형 운동되도록 하는 Z축 프레임(60)이 설치될 수 있다.5 and 6, the table 10 can be installed to linearly move the machine tool from the upper sid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또한, 상술한 Z축 프레임(60)에는 승강 방향으로 선형 운동하도록 주축(7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공작기계의 한쪽에는 자동공구교환장치(80)와 툴 매거진(90)이 설치될 수 있다.The
상술한 툴 매거진(90)에는 여러 가지의 공구(T)가 수납되어 있고, 상술한 자동공구교환장치(80)는 툴 매거진(90)과 주축(70)간에 툴(T)을 자동으로 교환하는 것이다.The
또한, 테이블(10)의 주변은 벽체 패널(210)이 둘러싸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벽체 패널(210)은 가공영역과 외부를 차단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eriphery of the table 10 can be arranged in the form of enclosing the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 파손 검출장치(100)는 X축 베드 프레임(40)의 양측에 제1, 제2 서포터(110a)(110b)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공구(T)는 상술한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의 사이로 위치될 수 있고, 특히 공구(T)가 가상의 선(L)을 지날 때에 공구(T)의 외경이 계측될 수 있다.5, the tool
또한, 공구 파손 검출장치(100)는 테이블(10)과 주축(70) 또는 공구(T)의 이동경로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공작물(W)의 가공이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는 것이다.The tool
특히, 도 5에 나탄 낸 바와 같이,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는 상호 대향하는 가상의 선(L)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이와 같이 경사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의 사이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공작물(W)을 가공할 때에 공작물(W), 치구 또는 공구(T)의 이동경로와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5, the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 패널(210)의 외측에 제1, 제2 서포터(110a)(110b)가 배치되고, 앵글 서포터(112)에 의해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가 지지되는 것인바,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가공영역 쪽으로 접근하지 않고도 공작기계의 외부에서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에 접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의 설치와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6 and 7, the first and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의 높이를 동일한 높이로 배치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는 상호 대향하는 가상의 선(L)은 수평을 이룰 수 있다.8, the heights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의 선(L)이 수평을 이루도록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를 배치함으로써 제1, 제2 서포터(110a)(110b)의 높이를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제1, 제2 설치대(114a)(114b)는 수평상태로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경사지도록 설계되는 것에 비교하여 제조가 좀 더 편리하고, 아울러 설치하는 것도 좀 더 편리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an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테이블(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첨부도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urther,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table 1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첨부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10)의 양측에 제1, 제2 서포터(110a)(110b)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제2 서포터(110a)(110b)의 상측에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또한, 상술한 제1, 제2 서포터(110a)(110b)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고, 이때에는 양측의 센서를 잇는 가상의 선(L)이 수평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irst and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제2 서포터(110a)(110b)의 높이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고, 이때에는 양측의 센서를 잇는 가상의 선(L)이 경사질 수 있으며, 가상의 선(L)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의 사이 거리를 멀리할 수 있고, 이로써 공작물(W), 치구 및 공구경로와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s of the first an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용된다.The tool
주축(70)에 공구(T)가 장착된 상태에서 테이블(10)과 주축(70)이 상대운동을 하고 이로써, 공구(T)는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의 사이에 진입하며, 주축(70)의 승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공구(T)는 가상의 선(L)을 지나치게 된다.The table 10 and the
이때,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는 공구(T)까지의 거리를 계측하고 이로써 공구(T)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또한,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의 사이에 공구(T)가 위치될 때에 공구(T)는 제1 센서 조립체(120a) 또는 제2 센서 조립체(120b) 중에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더라도 공구(T)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센서 조립체(120a) 또는 제2 센서 조립체(120b)에서 측정되는 값은 가변 될지라도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가 이루는 거리는 절대적인 일정 거리(S)로써 고정된 값이므로,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에서 측정된 거리 값과 상술한 일정 거리(S)와 거리 값의 차이를 계산하면 공구(T)의 외경을 쉽게 계측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tool 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또한, 공구(T)가 비정상적인 상태, 일례로서, 공구(T)가 파손되거나 허용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마모가 진행되었을 때에는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120b)에 의해 계측되는 값에 의해 알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공구(T)의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작업자가 시각 또는 청각으로 알 수 있게 경고등을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Further, when the tool T is in an abnormal state, for example, when the tool T is damaged or abrad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tool T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th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and
다른 한편으로, 공구(T)의 외경이 다소 크더라도 그 공구(T)는 항상 제1 센서 조립체(120a)와 제2 센서 조립체(12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공구(T)의 외경 크기와는 상관없이 공구(T)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tool T is somewhat larger, the tool T can always be disposed betwee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는 공작물을 가공하기 전에 공구의 파손 또는 마모 등의 상태를 검출하여 비정상적일 때에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detecting a breakage of a tool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tect a condition such as breakage or wear of a tool before machining the workpiece so that it can be notified to an operator when the tool is abnormal.
도 1은 종래의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도 2는 종래의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으로서, 각각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wherein (a) is a plan view, (b) is a front view, and FIG. 2 (c) is a side view.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FIG. 3 and FIG. 4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의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측면 및 평면의 예시도면이다.5 to 7 are illustrations of front, side and plan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8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파손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tool breakage detecting apparatus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S)
10: 테이블 12: 덕트10: Table 12: Duct
14: 케이스 16: 커버14: Case 16: Cover
18: 액추에이터 20: 링크 부재18: actuator 20: link member
22: 플레이트 24: 센서 조립체22: plate 24: sensor assembly
26: 프로브(probe) 30: 팔레트26: probe 30: pallet
40: X축 베드 프레임 50: Y축 베드 프레임40: X-axis bed frame 50: Y-axis bed frame
60: Z축 프레임 70: 주축60: Z-axis frame 70:
80: 자동공구교환장치 90: 툴 매거진80: Automatic tool changer 90: Tool magazine
100: 공구 파손 검출장치100: Tool breakage detecting device
110a, 110b: 제1, 제2 서포터110a, 110b: first and second supporters
112: 앵글 서포터112: Angle supporter
114a, 114b: 제1, 제2 설치대114a, 114b: first and second mounting tables
115: 플랜지115: Flange
120a, 120b: 제1, 제2 센서 조립체120a, 120b: first and second sensor assemblies
130: 센서 커버130: Sensor cover
210: 공작기계 벽체 패널210: Machine tool wall panel
T: 공구 W: 공작물T: Tool W: Workpiec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1137A KR101440642B1 (en) | 2009-08-03 | 2009-08-03 | tool damage detector of machine to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71137A KR101440642B1 (en) | 2009-08-03 | 2009-08-03 | tool damage detector of machine too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13596A KR20110013596A (en) | 2011-02-10 |
| KR101440642B1 true KR101440642B1 (en) | 2014-09-25 |
Family
ID=437730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71137A Active KR101440642B1 (en) | 2009-08-03 | 2009-08-03 | tool damage detector of machine too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40642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44372A (en) | 2019-10-15 | 2021-04-23 | 현대위아 주식회사 | Method of tool break detection in machine tools |
| KR20220027028A (en) * | 2020-08-26 | 2022-03-07 |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 Cutting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cutting product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344247A (en) * | 1993-06-04 | 1994-12-20 | Seikosha Co Ltd | Nc machine tool |
| JPH08197381A (en) * | 1995-01-24 | 1996-08-06 | Mitsubishi Heavy Ind Ltd | Automatic measuring device of cutting tool |
| JP2005052910A (en) | 2003-08-07 | 2005-03-03 | Makino Fraes Seiki Kk | Too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
| JP2007196327A (en) | 2006-01-26 | 2007-08-09 | Union Tool Co | Position detection device |
-
2009
- 2009-08-03 KR KR1020090071137A patent/KR10144064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344247A (en) * | 1993-06-04 | 1994-12-20 | Seikosha Co Ltd | Nc machine tool |
| JPH08197381A (en) * | 1995-01-24 | 1996-08-06 | Mitsubishi Heavy Ind Ltd | Automatic measuring device of cutting tool |
| JP2005052910A (en) | 2003-08-07 | 2005-03-03 | Makino Fraes Seiki Kk | Too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
| JP2007196327A (en) | 2006-01-26 | 2007-08-09 | Union Tool Co | Position detection device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44372A (en) | 2019-10-15 | 2021-04-23 | 현대위아 주식회사 | Method of tool break detection in machine tools |
| KR20220027028A (en) * | 2020-08-26 | 2022-03-07 |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 Cutting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cutting products |
| KR102644561B1 (en) * | 2020-08-26 | 2024-03-08 |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 Cutting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cutting product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13596A (en) | 2011-02-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628993B1 (en) | Machining apparatus | |
| US9863807B2 (en) | Machine tool with protective cover detector | |
| KR20150088246A (en) | Machine tool | |
| JP6098332B2 (en) | Work support device and machine tool | |
| US20100084385A1 (en) | Moving enclosures for laser equipment | |
| KR101440642B1 (en) | tool damage detector of machine tool | |
| KR20200134167A (en) | Centerless cylindrical grinding machine | |
| JP4776772B2 (en) | Coordinate measuring device | |
| CN103317387A (en) | Device for deflection detection and automatic regulation of drill bit | |
| CN114274017A (en) | A kind of laser measuring device and laser measuring method | |
| JP4044361B2 (en) | Attachment changer with a tool position sensor | |
| KR100977746B1 (en) | Tool magazine for milling machine | |
| CN216781330U (en) | Laser measuring device | |
| CN107990827B (en) | Full-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M value and tooth surface run-out of worm | |
| CN216558771U (en) | Non-contact height measuring device | |
| CN116690311A (en) | Numerical control machining center structure and spindle vibration detection method | |
| CN213105880U (en) | Cutter detection device and processing equipment | |
| JP2018119824A (en) | Linear gauge and processing equipment | |
| KR101082897B1 (en) | Tool Magazine for Milling Machine | |
| CN221088299U (en) | Pallet clamping detection structure of exchange workbench | |
| KR102549877B1 (en) |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of a rotary tool | |
| JP2753814B2 (en) | Dicing equipment | |
| CN215676867U (en) | Profiling error-proofing device | |
| CN217033666U (en) | Visual inspection system and panel inspection device | |
| US20060213071A1 (en) | 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dimensions of a tool for a machine too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2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