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3608B1 - Device for treating laundry - Google Patents

Device for treating laund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608B1
KR101443608B1 KR1020070048098A KR20070048098A KR101443608B1 KR 101443608 B1 KR101443608 B1 KR 101443608B1 KR 1020070048098 A KR1020070048098 A KR 1020070048098A KR 20070048098 A KR20070048098 A KR 20070048098A KR 101443608 B1 KR101443608 B1 KR 10144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base
lower base
upper base
fl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1398A (en
Inventor
우기철
김나은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08B1/en
Priority to EP08753521.7A priority patent/EP2155947B1/en
Priority to EP09015496.4A priority patent/EP2189566B1/en
Priority to PCT/KR2008/002725 priority patent/WO2008143427A2/en
Priority to CN200880024924.8A priority patent/CN102007243B/en
Priority to US12/122,044 priority patent/US8136896B2/en
Publication of KR2008010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3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0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 건조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nd drying laundry.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 상기 캐비닛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와 설치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확보하는 상부 베이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a cabinet, the washing tub containing laundry; A lower base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An upper base disposed on the lower bas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movable body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s and capable of being drawn out of the cabinet.

세탁물 처리 장치, 캐비닛, 하부 베이스, 상부 베이스, 이동체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 cabinet, a lower base, an upper base,

Description

세탁물 처리 장치{Device for treating laundr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eating laundry,

도 1은 키높이 부재에 설치된 일반적인 세탁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stalled in a keel height memb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FIG. 2;

도 4는 도 2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하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of FIG. 2; FIG.

도 5는 도 2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하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of FIG. 2; FIG.

도 6은 도 5의 I-I'선 단면도; 그리고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5; And

도 7은 도 6의 II-II' 선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세탁물 처리 장치 110: 캐비닛100: laundry processing device 110: cabinet

111: 제1 플랜지 113: 보강 부재111: first flange 113: reinforcing member

210: 하부 베이스 211: 절개부210: lower base 211:

220: 상부 베이스 222: 제2 플랜지220: upper base 222: second flange

230: 이동체 235: 손잡이230: Moving body 235: Handle

240: 레그 250: 브라켓240: Leg 250: Bracket

260: 보강 부재 270: 레일260: reinforcing member 270: rail

280: 방진 부재280: anti-vibration member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 건조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nd drying laundry.

세탁기는 의류 등을 세탁하는 가전 기기이며, 건조기는 젖은 의류 등을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에는 세탁기 및 건조기의 기능이 복합된 가전 기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탁기와 건조기 및 이들의 기능이 복합된 가전 기기를 통칭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라고 칭한다.The washing machine is an appliance for washing clothes and the like, and the dryer is a household appliance for drying wet clothes. In recent years, home appliances having combined functions of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have been widely used.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a washing machine, a dryer, and a combination of these function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넣는 위치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나무나 시멘트 및 타일과 같은 바닥면에 직접 설치되는데, 프런트 로딩 방식의 세탁물 처리 장치는 그 입구가 낮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고 빼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 밑에 키높이 부재(2)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In general,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divided into a top loading system and a front loading system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laundry is loaded.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generally installed directly on the bottom surface such as wood, cement, and tile. Since the front loading typ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s a low entrance,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insert and remove laundry. Therefore, for convenience of the user, a key height member 2 may be installed under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 as shown in FIG.

위와 같이, 상기 키높이 부재(2) 위에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올려져 사용되는 경우,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 is mounted on the key height member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deteriorated.

그리고, 상기 키높이 부재(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중량 전체를 지지해야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하며, 이는 상기 키높이 부재(2)의 제작 비용 및 무게를 증가시키는 문제도 있다.Since the key height member 2 must support the entire weight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 the key height member 2 must have a sufficient strength, which increases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of the key height member 2.

나아가, 상기 키높이 부재(2)에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올려져 사용되는 경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진동은 키높이 부재(2)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급증하는 문제도 있다.Further, whe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 is mounted on the key height member 2, the vibr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 may be increased more than when the key height member 2 is not us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높이 부재를 가지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작 비용 및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keel height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높이 부재를 가지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용 시의 진동을 줄이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vibration during use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keel height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 상기 캐비닛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와 설치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확보하는 상부 베이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sh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a cabinet for receiving laundry; A lower base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An upper base disposed on the lower bas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a movable body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s and capable of being drawn out of the cabinet.

여기서, 상기 상부 베이스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세탁조의 입구 위치를 소정 높이 이상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세탁조와 상기 하부 베이스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베이스는 상기 세탁조를 지지하는 댐퍼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Here, the upper base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lower base so as to increase the inlet position of the washing tub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upper base may be installed to support a damper for supporting the washing tub.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 하부 베이스를 회피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에 결합된 레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eg coupled to the upper base to avoid the lower base.

상기 상부 베이스는,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서 절곡된 제1 플랜지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둘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는 방진 부재 및/또는 보강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The upper base may include a first flange bent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a second flange fitted and fixed between the peripheries of the lower base. In this case, an anti-vibration member and / or a reinforcement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상기 하부 베이스는, 상기 레그가 지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모서리에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베이스는 상기 절개부 주변에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 단차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후 상기 레그가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베이스를 상기 캐비닛 쪽으로 가압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lower base may include an incision formed at an edge to secure a space through which the leg passes. The lower base includes a stepped portion formed around the cutout portion.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is arranged to engage with the stepped portion, and when the leg is inserted into the cabinet through the through-hole, And a bracket for pressing the guide plate toward the guide plate.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s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키높이 부재에 상응하는 구조물이 종래와는 달리 캐비닛(110) 내에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key-level member for enhancing convenience of the user, unlike the conventional one, in the cabinet 110.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of FIG. 2. Referring to FIG.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캐비닛(110)은 하면을 이루는 하부 베이스(210), 양 측면을 이루는 측벽, 후면을 이루는 후벽, 상면을 이루는 탑 플레이트, 그리고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커버에는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도어(115)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70)이 구비된다.The cabinet 110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ase 210 constituting a lower surface, side walls constituting both sides, a rear wall constituting the rear surface, a top plate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and a front cover constituting the front surface . A door 115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on the front cover and a control panel 170 for operat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by the user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스프링(101)과 댐퍼(102)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0)가 제공된다. 상기 터브(12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고 세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세탁조, 즉 드럼(130)이 제공되는데, 상기 드럼(130)은 상기 터브(120)의 후벽에 고정된 모터(140)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드럼(130)의 내면에는 다수의 리프트(135)가 구비되는데, 상기 다수의 리프트(135)는 상기 세탁조, 즉 상기 드럼(130)의 회전 시 상기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을 들어올린 후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세탁물에 마찰력과 충격력을 가한다.Inside the cabinet 110, a tub 120 supported by a spring 101 and a damper 102 is provided. A drum 130 is provided in the tub 120 so as to be rotatable and accommodate laundry therein. The drum 130 is supported by a motor 140 fixed to a rear wall of the tub 120 Rotate. A plurality of lifts 135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130. The plurality of lifts 135 lift laundry in the drum 130 when the drum 130 rotates, Thereby applying frictional force and impact force to the laundry.

상기 터브(120)에는 급수 호스(103)를 통해 외부의 물이 내부에 공급된 후 저장되며, 상기 터브(120) 내에 저장된 물은 배수 호스(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터브(120)에는 또한 순환 호스(105)가 연결되는데, 상기 순환 호스(105)의 중간에는 순환 펌프(106)가 설치된다. 상기 순환 펌프(106)가 작동하면, 상기 터브(120) 내의 물은 터브(120)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순환 호스(105)에 의해 다시 상기 터브(120) 내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터브(120) 내의 물을 펌핑하여 다시 터브(120) 내로 분사하는 것은 상기 드럼(130) 내에 다양한 수류를 형성함과 동시 에 물 분사를 통해 충격력을 가하고 마찰을 유발함으로써 세탁력과 헹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Water stored in the tub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se 104. The water stored in the tub 120 is supplied to the tub 120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103. [ The tub 120 is also connected with a circulation hose 105, and a circulation pump 106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irculation hose 105. When the circulation pump 106 is operated, water in the tub 120 is drawn out of the tub 120 and then injected into the tub 120 again by the circulating hose 105. As such, pumping water in the tub 120 and injecting the water into the tub 120 again forms various water streams in the drum 130, and at the same time, applies an impact force through water spray and induces friction, thereby improving washing power and rinsing power .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입구를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세탁조, 즉 드럼(130)과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설치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확보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이격 공간은 예를 들어 키높이 부재가 종래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아래에 설치되었을 때 종래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세탁조와 설치면 사이에 확보되는 공간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etween the drum 130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sert and remove the laundry by raising the entran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 predetermined spacing space is secured. Here, the predetermined spacing space corresponds to a space secured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conventional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when, for example, the key height member is installed under the conventional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세탁조, 즉 드럼(130)과 설치면 사이의 이격 공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220)에 의해 확보된다. 상기 상부 베이스(220)는 상기 하부 베이스(210)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2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와 상기 설치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베이스(220)에 의해 상기 세탁조, 즉 상기 드럼(130)의 입구 위치가 소정 높이 이상 높아지게 되며, 이에 의해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사용 시 사용자는 허리를 크게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을 상기 세탁조에 넣거나 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The space between the drum 130 and the mounting surface is secured by the upper base 220 as shown in FIG. The upper base 220 is disposed on the lower base 210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upper base 220 and the lower base 210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inlet of the washing tub, that is, the drum 130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by the upper base 220, so that whe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s used, It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washing tub,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상기 상부 베이스(220)에는 상기 터브(120)를 지지하는 상기 댐퍼(102)가 연결된다. 상기 상부 베이스(220)가 상기 댐퍼(10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다수의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에 의해 강도가 보강된 부분에 상기 댐퍼(102)가 연결될 수 있다.The damper 102, which supports the tub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base 220.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upper base 2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se 220 so that the upper base 220 can stably support the damper 102, The damper 102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where the strength is reinforced by the ribs.

본 발명에서, 키높이 부재의 역할을 하는 상기 상부 베이스(220)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중량 전체를 지지하던 종래의 키높이 부재와는 달리 상기 터브(120) 및 상기 터브(120)에 장착된 부품들의 무게만을 지지한다. 즉, 상기 캐비닛(110) 및 상기 캐비닛(110)에 장착되는 부품들의 무게는 상기 상부 베이스(220)가 지지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베이스(220)는 종래의 키높이 부재보다 적은 중량을 지지해도 된다. 그리고, 종래의 키높이 부재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캐비닛(110)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하부 베이스(210)가 종래의 키높이 부재의 바닥면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훨씬 적은 양의 재료만으로, 그리고 저렴하고 가볍게 키높이 부재의 역할을 하는 상부 베이스(2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ase 220, which serves as a key-level member,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height-level member that supports the entire weight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 that the weight of the parts mounted on the tub 120 and the tub 120 . That is, the weight of the components mounted to the cabinet 110 and the cabinet 110 is not supported by the upper base 220. Thus, the upper base 220 may support less weight than a conventional height level member. Unlike the conventional key height member, the lower base 210, which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10, functions as a bottom surface of a conventional key height memb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upper base 220 which is made of a much smaller amount of material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which is inexpensive and lightly serving as a key-height member.

상기 상부 베이스(220)와 상기 하부 베이스(210)의 사이에 확보된 공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23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230)는 상기 상부 베이스(220) 및 하부 베이스(21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캐비닛(110)의 프론트 커버에는 상기 이동체(230)의 인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A moving body 230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secured between the upper base 220 and the lower base 210, as shown in FIG. The moving body 230 is not only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s 220 and 210 but also can be drawn out of the cabinet 110. For this purpose, the front cover of the cabinet 110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 the drawing-out of the moving body 230.

상기 이동체(230)에는 손잡이(23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35)를 잡고 당김으로써 상기 이동체(230)를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밀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220)와 하부 베이스(21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넣을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230)의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측벽 내면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일(270)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레일(270)이 설치되는 곳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측벽 내면에 보강 부재(260)가 덧대어 질 수도 있다.The moving body 23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235. The user can pull the moving body 230 out of the cabinet 110 by pulling the handle 235 and pushing the moving body 230 out of the cabinet 110, The upper base 220 and the lower base 210, as shown in FIG. 4 to 6, the guide rail 27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upper base 220 for smooth sliding movement of the moving body 230. A reinforcing member 26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upper base 22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place where the guide rail 270 is installed.

상기 이동체(2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체(230)가 구현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으로 서랍이 있다. 상기 이동체(230)가 상기 서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세제를 비롯한 세탁 용품이나 세탁물 등을 상기 서랍에 넣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The moving body 2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 drawer is an example in which the moving body 230 can be realized. If the moving body 230 includes the drawer, the user can store the laundry or laundry, including detergent, in the drawer, which is very convenient.

다르게는, 상기 이동체(230)는 소형 가전 제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용량의 세탁기나 건조기 등이 상기 이동체(230)로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위쪽에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중 어느 하나를 배치하고, 아래쪽에는 다른 하나를 이동체(230)로 구현하여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달리, 세탁과 관계된 또는 관계없는 다른 형태의 소형 가전 제품 등이 상기 이동체(230)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moving body 230 may include a small household appliance. When a small-sized washing machine, a dryer, or the like is implemented as the moving body 230, a user may place one of the washing machine or the dryer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one on the lower side to implement the moving body 230 have. Of course, other types of small household appliances or the like related to washing or the like may alternatively be implemented in the mobile body 230.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100)에는 또한 레그(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240)는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베이스(210)를 회피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240)와 상부 및 하부 베이스(220, 210), 그리고 상기 캐비닛(110)의 조립 구조가 도 4 내지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4는 도 2의 세탁물 처리 장치의 하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세탁물 처리 장 치의 하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I' 선 단면도이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legs 240. The legs 2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base 220 while avoiding the lower base 210, for example. The legs 240, the upper and lower bases 220 and 210, and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cabinet 110 are well illustrated in FIGS. 4 through 7,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FIG. 2,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FIG. 2,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10)의 하부에는 통상의 그것처럼 안쪽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랜지(111)에는 나사 또는 리벳 결합을 위한 소형의 구멍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0)의 앞쪽에는 두 측벽을 연결하는 보강 부재(113)가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first flange 111 bent inwar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10 as usual. The first flange 111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mall holes for screw or rivet engagement. A reinforcing member 113 for connecting the two side walls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10.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상면과 측벽은 상기 캐비닛(110)의 하부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측벽 하단에는 바깥쪽으로 절곡된 제2 플랜지(22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베이스(210)는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아래에 배치되며, 그 둘레가 나사나 리벳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캐비닛(110)의 상기 제1 플랜지(11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상기 제2 플랜지(222)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10)의 상기 제1 플랜지(111)와 상기 하부 베이스(210)의 둘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wall of the upper base 220 are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10 and the second flange 222 bent out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upper base 220. The lower base 210 is disposed below the upper base 220 and its periphery is fixed to the first flange 111 of the cabinet 110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or rivets. 4 to 7, the second flange 222 of the upper base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lange 111 of the cabinet 110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base 210, As shown in Fig.

상기 제1 플랜지(111)와 상기 제2 플랜지(222)의 사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260)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260)는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10)과 상부 및 하부 베이스(220, 210)의 결합 부위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측벽도 함께 보강할 수 있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reinforcing member 260 for reinforcing strength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111 and the second flange 222. The reinforcing member 2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n L-shaped material so as to reinforce not only the joining portions of the cabinet 110 and the upper and lower bases 220 and 210 but also the side walls of the upper base 220. [ Or the like.

상기 제1 플랜지(111)와 상기 제2 플랜지(222)의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부재(280)가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베이스(22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터브(120)를 지지하는 댐퍼(102)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작동 시 상기 상부 베이스(220)는 상기 터브(120)의 진동을 전달 받게 되는데, 상기 제1 플랜지(111)와 상기 제2 플랜지(222) 사이에 방진 부재(280)가 개재되면, 상기 터브(120)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10) 및 상기 하부 베이스(210)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10) 및 하부 베이스(210)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A vibration preventing member 28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111 and the second flange 222 to prevent transmission of vibration as shown in FIG. A damper 102 for supporting the tub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base 22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whe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s operated, the upper base 220 receives vibration of the tub 120, an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flange 111 and the second flange 22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tub 1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10 and the lower base 210 when the cabinet 280 is interpo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vibration of the cabinet 110 and the lower base 210, which form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상기 레그(240)가 상기 하부 베이스(210)를 회피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2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210)에는 절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베이스(2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레그(240)가 지나는 공간을 확보해준다. 따라서, 상기 레그(240)는 나사부가 상기 하부 베이스(210)의 절개부(211)를 지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베이스(220)의 측벽에는 상기 레그(240)의 나사부가 결합되기 위한 보스 등의 구조가 구비된다.A cutout 211 may be formed in the lower base 210 so that the leg 24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base 220 while avoiding the lower base 210. As shown in FIG. 4, the cutouts 211 are formed at respective corners of the lower base 210 to secure a space for the legs 240 to pass through. Accordingly, the leg 240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upper base 220 through the cutout 211 of the lower base 210, as shown in FIG. The side wall of the upper base 220 is provided with a boss or the like for engaging the threaded portion of the leg 240.

상기 레그(240)가 상기 하부 베이스(210)를 회피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220)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 베이스(22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터브(120)의 진동이 상기 하부 베이스(210) 및 상기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10) 및 하부 베이스(210)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legs 240 are coupled to the upper base 220 while avoiding the lower base 210, vibration of the tub 120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base 220 is transmitted to the lower base 210 and /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vibration of the cabinet 110 and the lower base 210, which form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상기 하부 베이스(210)의 각 절개부(211)의 주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하부 베이스(210)의 밑면과 서로 다른 평면을 이루는 단차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11)에는 상기 단차부(213)에 맞물리도록 브라켓(2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그(240)는 상기 브라켓(250)를 관통한 후 상기 상부 베이스(220)에 결합되며, 상기 레그(240)에 나사 결합된 조임 너트(241)가 조여지면 상기 브라켓(250)은 상기 하부 베이스(210)의 각 모서리를 상기 캐비닛(11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A step 213 may be formed around each cutout 211 of the lower base 210 as shown in FIG. 4, which is a plane different from the bottom face of the lower base 210. The cutout portion 211 may be provided with a bracket 250 to be engaged with the stepped portion 213. The leg 240 is coupled to the upper base 220 after passing through the bracket 250. When the tightening nut 241 screwed to the leg 240 is tightened, So that each corner of the base 210 is pressed toward the cabinet 110.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세탁물 처리 장치의 입구의 높이를 높여주는 키높이 역할을 하는 상부 베이스가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세탁물 처리 장치의 미관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를 싱크대나 조리대 등의 주방용 가구에 빌트인하여 설치하는 경우 아름다운 미관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도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base, which serves as a key height for heightening the height of the entranc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in order to enhanc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beauty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improved. Particularly, whe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built in a kitchen furniture such as a sink or a countertop, not only the beauty but als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키높이 부재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캐비닛의 높이를 약간 높게 제작한 후 단순한 구조의 상부 베이스를 하부 베이스 위에 배치하 면 된다. 상기 상부 베이스는 종래의 키높이 부재보다 약한 강도를 가져도 되고, 별도의 밑면을 가질 필요도 없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작 비용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manufacture the key-level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cabinet may be made slightly higher, and then the upper base of the simple structure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base. The upper base may have a lower strength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key height member or need not have a separate bottom surface.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키높이 부재의 역할을 하는 상부 베이스가 댐퍼를 통해 터브를 지지한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 장치가 키높이 부재에 단순히 올려져 사용되었던 종래보다 세탁물 처리 장치의 작동 시의 진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ase, which serves as the key height member, supports the tub through the damper. Therefore, the vibr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which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simply used by being raised on the key height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 처리 장치의 레그는 하부 베이스를 회피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에 고정된다. 나아가, 체결 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와 캐비닛 사이의 플랜지들 사이에 방진 부재가 개재된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 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캐비닛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캐비닛의 진동 및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s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re fixed to the upper base while avoiding the lower base. Furthermore, an anti-vibration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langes between the upper base and the cabinet, which are mutually coupled by the fastening memb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Thereby, vibration and noise of the cabinet can be greatly reduced.

Claims (11)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A wash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and receiving laundry; 상기 캐비닛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A lower base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하부 베이스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세탁조와 설치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확보하는 상부 베이스; 그리고An upper base disposed on the lower bas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이동체; 그리고,A movable body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ses and capable of being drawn out of the cabinet; And, 상기 하부 베이스를 회피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에 결합된 레그;를 포함하고,And a leg coupled to the upper base to avoid the lower base, 상기 하부 베이스는 상기 레그가 지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모서리에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 장치.Wherein the lower base includes a cut-out portion formed at a corner for securing a space through which the legs pas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베이스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세탁조의 입구 위치를 소정 높이 이상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세탁조와 상기 하부 베이스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Wherein the upper bas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lower base so as to increase the inlet position of the washing tub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베이스는,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서 절곡된 제1 플랜지와 상기 하부 베이스의 둘레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 장치.Wherein the upper base includes a first flange bent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a second flange fitted and fixed between a periphery of the lower base.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 장치.And a dustproof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 장치.And a reinforc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레그는 상기 하부 베이스의 절개부를 지나 상기 상부 베이스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Wherein the leg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upper base through the cutout of the lower bas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부 베이스는, 상기 절개부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의 밑면과 서로 다른 평면을 이루는 단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 장치.Wherein the lower base includes a step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cutout and having a different plane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ase.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차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레그가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부 베이스를 상기 캐비닛 쪽으로 가압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 장치.And a bracket disposed to be engaged with the stepped portion and configured to press the lower base toward the cabinet when the leg penetrates and is coupled to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베이스는 상기 세탁조를 지지하는 댐퍼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Wherein the upper base supports a damper for supporting the washing tub.
KR1020070048098A 2007-05-17 2007-05-17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ctive KR101443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098A KR101443608B1 (en) 2007-05-17 2007-05-17 Device for treating laundry
EP08753521.7A EP2155947B1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treating machine
EP09015496.4A EP2189566B1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treating machine
PCT/KR2008/002725 WO2008143427A2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treating machine
CN200880024924.8A CN102007243B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machine
US12/122,044 US8136896B2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098A KR101443608B1 (en) 2007-05-17 2007-05-17 Device for treating laund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398A KR20080101398A (en) 2008-11-21
KR101443608B1 true KR101443608B1 (en) 2014-09-23

Family

ID=4028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098A Active KR101443608B1 (en) 2007-05-17 2007-05-17 Device for treating laund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0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379A (en) 1990-04-12 1994-11-29 Aktiebolaget Electrolux Dishwasher chassis
EP1233100A1 (en) * 2001-01-26 2002-08-21 CANDY S.p.A. Washing machine for household use with two compartments
US20040226320A1 (en) 2003-03-28 2004-11-18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in particular of the front loading type, with lower hous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379A (en) 1990-04-12 1994-11-29 Aktiebolaget Electrolux Dishwasher chassis
EP1233100A1 (en) * 2001-01-26 2002-08-21 CANDY S.p.A. Washing machine for household use with two compartments
US20040226320A1 (en) 2003-03-28 2004-11-18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in particular of the front loading type, with lower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398A (en)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896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8234889B2 (en) Laundry machine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US20050172678A1 (en) Pedesta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EP2155948B1 (en) Laundry machine
CA2722531A1 (en) Washing machine
KR20080104762A (en) Laundry treatment equipment
KR100765275B1 (en) Base for home appliances
KR101443608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1396970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nd pedestal for the same
KR101435794B1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KR101387483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nd decorative front cover for the same
KR101467749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EP2108729A1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featuring a device for fixing an outer panel to the appliance casing
KR101443606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1443607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1435793B1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KR20080101382A (en) Laundry treatment equipment
KR102104895B1 (en) Supporting Appratus and Laundry Treating Appratus having the same
KR101526964B1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KR20120108473A (en) Washing machine
KR20070016189A (en) Base for home appliances
KR101356498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0720544B1 (en) Base for home appliances
KR20180052283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5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