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685B1 -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hat get bent of the flexible display - Google Patents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hat get bent of the flexible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4685B1 KR101454685B1 KR1020120020994A KR20120020994A KR101454685B1 KR 101454685 B1 KR101454685 B1 KR 101454685B1 KR 1020120020994 A KR1020120020994 A KR 1020120020994A KR 20120020994 A KR20120020994 A KR 20120020994A KR 101454685 B1 KR101454685 B1 KR 101454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display
- curvature
- display unit
- interfac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장치, 휴대용 단말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을 감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판단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으로 현재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곡류에 따라 계층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using a warp of a flexible displa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judges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hierarchically aligns the currently executed layers with the first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or more, If the curvature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second curvature, the laye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grain, and the lay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ayer is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의 정도를 고려해서 다수의 레이어의 출력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휴대용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devic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a plurality of layers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warping of a flexible display.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 인터넷 등 다양한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각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menu)의 수가 증가하였고, 더욱 복잡해졌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는 사진, 음악, 책 등의 컨텐츠 파일의 종류와 수도 또한 급증하게 되었다.As the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amera and the Internet, the number of menus for selecting each function has increased and become more complicated. Also, the types and the number of content files such as photographs, music, books, etc., which can be stored in portable terminals, have also increased rapidly.
따라서, 많은 기능들을 제어하고 여러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 같이 복잡해지게 되고 사용자들은 새로운 기능과 여러 종류의 컨텐츠들을 서비스 받기 위해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익혀야 하는 문제가 대두 되었다.Therefore, the interface for controlling many functions and providing various kinds of contents becomes complicated, and users have to learn a complex interface to receive new functions and services of various kinds of contents.
이런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익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를 보다 직관적으로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실제 생활(real world)에서 체득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별도로 교육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It is very important to make the interface more intuitive to solve the problem of learning this complex interface. The intuitive interface is based on the experience that the user has acquired in the real world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train separately.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society has become a full-fledged information age, a display field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rapidly, and various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is.
이 같은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device),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전기발광 표시장치(EL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 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화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급부상 중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이처럼 접거나 말아도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device,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L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These display devices show excellent performance in reducing thickness, weight, and power consumption. Such a display device uses a glass substrate to withstand the high heat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us has a limitation in providing lightweight thinning and flexibility. Therefore, a flexible display device which is manufactured so as to be able to maintain the display performance even if bent like paper by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lastic instead of a conventional glass substrate having no flexibility is rapidly emerging as a next generation flat panel display devic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folded or rolled up, since it is not damaged when folded or rolled like a paper.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은 단순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고려해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처리하거나, 휘어짐 정도에 대해 단순 이벤트의 발생으로 처리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대한 사용의 정도가 다소 단순한 편으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못하고 있다.
The prior art using the flexible display simply processes th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or processes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simple event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warping so that the degree of u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flexible display is rather simple, I can not provide i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장치, 휴대용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evic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using a warp of a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의 정도를 고려해서 다수의 레이어의 출력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휴대용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user interface devic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a plurality of layers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warping of a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곡률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현하고, 곡률을 고려해서 다수의 레이어의 출력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휴대용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devic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hierarchically representing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a curvature of a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output of a plurality of layers in consideration of a curva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에 상응하여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짐을 감지하면 곡률을 판단하는 휨 판단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an interface using a warp of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display unit capable of flexing according to an external physical force and a flexible display unit for determining a curvatur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detects warpage The flexible display unit hierarchically arranges layers currently being execute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bent to a predetermined first curvature or more and selects a layer of the next layer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bent beyond a predetermined second curvature, And an interface unit for displaying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으로 현재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facing method using a curvature of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the steps of sensing a curvature of a flexible display unit, determining a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hierarchically aligning the layers being execute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warped beyond a predetermined second curvature, a layer of the next layer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곡률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현하고, 곡률을 고려해서 출력할 레이어를 선택해서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변형에 맞춰 3차원 객체표시를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고려해서 디스플레이할 레이어의 선택 및 화면전환 효과를 가미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물리적 표현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실제 생활(real world)에서 체득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함으로 인터페이스 습득을 위한 노력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for hierarchically representing a plurality of layers according to a curvature of a flexible display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a layer to be output in consideration of a curvature, and can display a three-dimensional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al physical representation to the user by selecting the layer to be displayed and switching the scree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uitive interface that minimizes the effort for acquiring the interface,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in the real worl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질 때 판단하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이 제1 곡률 이상일 때와 제2 곡률 이상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이 제3 곡률 이상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진 형태에 따라 선택되는 계층이 다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계층화 표시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계층화 표시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이 제1 곡률 이상일 때와 제2 곡률 이상일 때를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과 터치를 이용해서 다른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이용해서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짐을 감지하기 위해 압전 필름 센서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information determine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bent.
3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curvature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curvature.
4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curvatur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er selected according to a curved shape of a flexible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position of a layered display area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layered display area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when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curvature and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curvat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ng layers of different layers using the curvature and the touch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hierarchically displaying and controlling layers using a curvature of a flexible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iezoelectric film sensor is disposed to detect a warp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100)은 제어부(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 휨 판단부(130), 터치 감지부(140), 저장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에 상응하여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The
휨 판단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휘어짐을 감지하면 곡률, 휘어짐 범위 및 휘어짐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 The
이때, 휨 판단부(130)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의해 동작 여부가 제어 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휨 판단부(130)는 물리적인 움직임을 전기적으로 바꿔주는 필름형태의 압전 필름 센서(Piezo Electric Film Sensor)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해서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압전 필름 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뒷편에 위치될 수 있으며 평평한 상태에서 약 10K Ω 의 저항값을 출력하며 90도 이상 휘어진 상태에서는 15K~30K Ω의 전기 저항 값을 출력함으로써 휘어진 정도를 휨 판단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압전 필름 센서는 도 15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The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짐을 감지하기 위해 압전 필름 센서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iezoelectric film sensor is disposed to detect a warp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에 압전 필름 센서들(1510, 1520, 1530, 1540, 1550)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5,
휨 판단부(130)는 압전 필름 센서들(1510, 1520, 1530, 1540, 1550)의 센싱한 결과를 이용해서 점선으로 표시된 구부림 조작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다.The
휨 판단부(130)에서 판단하는 휘어짐 정보은 아래 도 2와 같을 수 있다.The warp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질 때 판단하는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휨 판단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휘어져서 변형된 넓이(2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휘어진 방향(22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곡률 등을 판단할 수 있다.FIG. 2 is a view showing information determine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bent. 2, the
휨 판단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 필름 센서들의 센싱 결과를 이용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곡률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휨 판단부(130)는 압전 필름 센서들의 센싱 결과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부(120)의 휘어진 형태를 감지하고 변형된 형태에 따른 넓이(210) 및 휘어진 방향(220)을 계산할 수 있다.The
터치 감지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되면 터치 정보를 감지한다.The
저장부(150)는 휴대용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레이어들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아래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이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휨 판단부(130)의 동작을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에만 휨 판단부(130)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60)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이용한 인터페이스가 서비스되도록 할 수 있다.The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이 제1 곡률 이상일 때와 제2 곡률 이상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curvature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curvature.
도 3을 참조하면, (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진 상태이다. 인터페이스부(160)는 (a)의 상태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한다.Referring to FIG. 3, (a) is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진 상태이다. 인터페이스부(160)는 (b)의 상태에서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책장 넘기는 효과를 적용해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이던 레이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B) is a state in which the
즉,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계층의 레이어가 선택되면, 책장이 넘어가는 효과로 디스플레이 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레이어가 미끄러 지듯이 슬라이드 되거나,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레이어에 사라지는 효과를 적용해서 선택된 레이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휘어진 정도에 따라 책장이 넘어가는 속도,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레이어가 슬라이드 되는 속도 및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레이어가 사라지는 속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a layer of another layer is selected, the
한편,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레이어는, 이북(E-Book) 어플을 실행하는 경우 책의 각 페이지들, 다수의 메뉴 창들, 이메일(E-Mail) 어플인 경우 송수신한 메일들 및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들 등이 가능하며, 이뿐만 아니라 계층적으로 표시 가능한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layer displayed through the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60)는 아래 도 4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3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휘어진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계층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계층 수만큼 건너뛰어 계층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3 곡률은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일 수 있다.4, when the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이 제3 곡률 이상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curvature.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3 곡률 이상으로 휘어진 경우로, 휘어진 정도에 따라 확인한 계층 수가 2인 경우이다. 인터페이스부(160)는 2개의 계층에 해당하는 레이어를 책장 넘어가는 효과(410)로 건너뛰게 해서 2개의 계층 이후의 레이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또한, 인터페이스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4 곡률 이상으로 휘어져 있는 동안 하위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순차적으로 선택해서 계속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4 곡률은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3과 도 4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책을 보는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휘어짐에 따라 조금 휘어지면 한장씩 많이 휘어지면 여러장씩 또는 순차적으로 계속해서 넘어가도록 하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3 and 4,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pplication for viewing a book, for example, if the
이와 같인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실제 생활(real world)에서 체득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습득을 위한 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is intuitive interface minimizes the effort to acquire the user's interface with the interface created based on the experience that the user has learned in real life.
한편, 인터페이스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볼록 또는 오목하게 휘어지는 형태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정렬하는 방법을 달리할 수도 있다.When the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60)는 아래 도 5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곡률이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곡률이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이전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5, when the right curvature of the right curvature is bent beyond the second curvature, the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진 형태에 따라 선택되는 계층이 다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er selected according to a curved shape of a flexible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a)는 점선으로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곡률이 오른쪽이 더 큰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오른쪽의 곡률이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져서 책장 넘어가는 효과로 다음 계층의 레이어가 디스플레이 됨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5, (a) shows a case where the curvature of the
(b)는 점선으로 표시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곡률이 왼쪽이 더 큰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왼쪽의 곡률이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져서 책장 넘어가는 효과로 인전 계층의 레이어가 디스플레이 됨을 나타낸다.(b) shows a case where the curvature of the
인터페이스부(160)에서 기준선을 기준으로 다음 계층 또는 이전 계층을 선택하는 방법은 기설정된 다른 곡률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인터페이스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곡률이 제3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곡률에 대응하는 계층 수만큼 순방향으로 건너뛰어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왼쪽의 곡률이 제3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곡률에 대응하는 계층 수만큼 역방향으로 건너뛰어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method of selecting the next layer or the previous layer based on the reference line in the
인터페이스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부를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계층화 표시 영역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휘어진 곡률이 가장 큰 쪽의 외곽 또는 모서리를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계층화 표시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position of a layered display area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휘어짐 방향(610)을 판단한 결과 최대 곡률(620)이 기준선인 점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분포함으로 인터페이스부(160)는 오른쪽 외곽에 기설정된 크기의 계층화 표시 영역(630)을 설정한다. 이때, 계층화 표시 영역(630)의 크기는 기설정된 크기일 수도 있고, 계층화 표시 영역(630)에 표시될 레이어의 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6, when the curvature direction 610 of the
한편, 인터페이스부(160)는 도 7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된 상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터치된 위치를 시작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외곽까지를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7, when the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계층화 표시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layered display area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60)는 터치된 상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터치위치(710)를 계층화 표시 영역(720)의 시작 위치로 판단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외곽까지를 계층화 표시 영역(720)으로 설정한다.7, when the
이때, 계층화 표시 영역(520)의 끝 위치인 외곽은 도 6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휘어진 방향과 최대 곡률을 고려할 수도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휘어진 방향과 짧은 쪽 외곽을 고려할 수도 있다.6, the curved direction and the maximum curvature of the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이 제1 곡률 이상일 때와 제2 곡률 이상일 때를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when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curvature and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curvature.
도 8을 참조하면, (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진 상태이다. 인터페이스부(160)는 (a)의 상태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해서 계층화 표시 영역(810)에 표시 한다.Referring to FIG. 8, (a) is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진 상태이다. 인터페이스부(160)는 (b)의 상태에서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60)는 선택된 계층 보다 상위의 계층은 계층화 표시 영역(810)에 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계층화 표시 영역(810)에 의 크기를 재조정할 수 있다.(B) is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60)는 계층화 표시 영역의 곡률이 기설정된 제5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계층화 표시 영역 내에서 최대 곡률의 위치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curvature of the layered display area is bent beyond the predetermined fifth curvature, the
한편, 사용자의 원치 않은 휘어짐으로 인한 레이어 선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부(160)는 아래 도 9와 같이 계층화 표시 영역이 터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60)에서 계층화 표시 영역의 터치와 함께 곡률을 감지해서 계층을 방법은 기설정된 다른 곡률에도 적용 가능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layer selection due to the user's unwanted warping, the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과 터치를 이용해서 다른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ng layers of different layers using the curvature and the touch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60)는 계층화 표시 영역(910)이 터치(920)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9, in a state where the layered
한편,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160)에서 확인하는 On the other hand, the
제1 곡률, 제2 곡률, 제3 곡률, 제4 곡률, 제5 곡률 등이 있다.The first curvature, the second curvature, the third curvature, the fourth curvature, and the fifth curvature.
인터페이스부(160)에서 기설정된 곡률 별로 지원하는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경우, 기설정된 곡률들 간의 상관관계는 바람직하게는 제1 곡률 < 제2 곡률 < 제3 곡률 < 제4 곡률 < 제5 곡률 크기를 가지게 될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6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 인터페이스부(160)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60)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60)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설명에서 계층화 표시 영역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한쪽에만 표시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계층화 표시 영역은 다수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이북(E-Book) 어플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오른쪽 외곽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레이어등을 가지는 계층화 표시 영역을 표시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왼쪽 외곽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레이어등을 가지는 계층화 표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yered display area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terface method using the warp of the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이용해서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hierarchically displaying and controlling layers using a curvature of a flexible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100)는 1010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 여부를 확인한다.Referring to FIG. 10, in
1010단계의 확인결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감지되면, 휴대용 단말(100)는 1012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휘어짐 범위 및 휘어짐 방향 정보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그리고, 휴대용 단말(100)는 1014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인지 확인한다.In
1014단계의 확인결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기설정된 제1 곡률보다 작으면, 휴대용 단말(100)는 1010단계로 돌아간다.If it is determined in
1014단계의 확인결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이면, 휴대용 단말(100)는 1016단계에서 현재 실행중인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진 방향에 따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그리고, 휴대용 단말(100)는 1018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한다.In
이때, 휴대용 단말(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휘어진 곡률이 가장 큰 쪽의 외곽 또는 모서리를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터치된 상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100)는 터치된 위치를 시작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외곽까지를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휴대용 단말(100)는 1020단계에서 계층화 표시 영역에 현재 실행중인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한다.In
그리고, 휴대용 단말(100)는 1022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기설정된 곡률 이상인지 확인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곡률이란 도 1의 휴대용 단말(100) 설명 시 기재한 제2 곡률, 제3 곡률, 제4 곡률, 제5 곡률을 나타낸다.In
1022단계의 확인결과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기설정된 곡률 이상이 아니면, 휴대용 단말(100)는 1024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제1 곡률 미만으로 떨어졌는지 확인한다.If it is determined in
1024단계의 확인결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제1 곡률 미만으로 떨어졌으면, 휴대용 단말(100)는 1010단계로 돌아간다. 1024단계의 확인결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제1 곡률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았으면, 휴대용 단말(100)는 1022단계로 돌아간다.If it is determined in
한편, 1022단계의 확인결과 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짐이 기설정된 곡률 이상이면, 휴대용 단말(100)는 1026단계에서 곡률과 휘어진 형태 등을 고려해서 계층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그러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예를 아래에서 도 11에서 도 14를 통해 살펴본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한 측면에 본체(1110)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1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외한 휴대용 단말(100)의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내부에 보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양쪽 측면에 본체(1210, 1220)들을 구비한다. 이때, 본체(1210, 1220)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외한 휴대용 단말(100)의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210, 1220)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어느 한쪽 내지는 양쪽에 나누어 보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portable terminal has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한 측면에 본체(1310)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1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외한 휴대용 단말(100)의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3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본체(1310)의 외부에 말아서 보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내부에 본체(1410)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14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외한 휴대용 단말(100)의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14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휘어짐에 따라 같이 휘어지는 연성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The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Claims (25)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짐을 감지하면 곡률을 판단하는 휨 판단부; 및
상기 휨 판단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하고, 상기 휨 판단부에서 상기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한 후에 연속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곡률과 다른 크기의 곡률인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A flexible display unit capable of flexing according to a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A warp judging unit for judging curvatur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detects warp; And
Wherein the deflection determination unit hierarchically aligns the layers currently being execute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detects warp at a predetermined first curvature or more, detects deflection of the first curvature or more from the warp determination unit, And an interface unit for selecting a layer of a next layer and displaying the selected layer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detects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urved at a second curvatur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second curvature having a curvature different from the first curvature,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제2 곡률은,
상기 제1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urvature comprises:
And a curvature larger than the first curvature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3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진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계층 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계층 수만큼 건너뛰어 계층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includes:
If the flexible display portion is warped by a predetermined third curvature or more, the flexible display portion check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lay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rping, selects a layer by skipping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layers,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제3 곡률은,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of claim 3,
The third curvature may be,
Wherein the first curvature and the second curvature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4 곡률 이상으로 휘어져 있는 동안 하위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순차적으로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includes:
While the flexible display section is bent at a predetermined fourth curvature or more, the layer corresponding to the lower layer is sequentially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section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제4 곡률은,
상기 제1 곡률과 상기 제2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ourth curvature may be,
Wherein the first curvature and the second curvature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볼록 또는 오목하게 휘어지는 형태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정렬하는 방법을 달리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includes:
And a method of aligning the layers being output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being convex or concav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bent beyond the first curvature,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계층의 레이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레이어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때,
책장이 넘어가는 효과로 디스플레이 되거나,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레이어가 미끄러 지듯이 슬라이드 되거나, 또는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레이어에 사라지는 효과를 적용해서 선택된 레이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includes:
When a layer of another layer is selected, when displaying the selected layer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The effect of the bookcase is displayed,
The currently displayed layer slides as it slides, or
The selected layer is displayed by applying the effect of disappearing to the currently displayed layer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책장이 넘어가는 속도,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레이어가 슬라이드 되는 속도 및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레이어가 사라지는 속도를 조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terface unit includes:
The speed at which the currently displayed layer is slid and the speed at which the currently displayed layer disappear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lex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곡률이 상기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곡률이 상기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이전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includes:
When a right curvature of the right curvature is bent beyond the second curvature with reference to a preset reference lin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 layer of the next layer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f the curvature of the right curvature is bent over the second curvature with reference to a preset reference lin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 layer of the previous layer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레이어는,
이북(E-Book) 어플을 실행하는 경우 책의 각 페이지들,
다수의 메뉴 창들,
이메일(E-Mail) 어플인 경우 송수신한 메일들 및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yer
If you are running an E-Book application,
Multiple menu windows,
Email (E-Mail) In case of applic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s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unit includes:
The flexible display unit sets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s a layered display area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bent over the first curvature and hierarchically displays the layers output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layered display area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기설정된 기준선을 기준으로 휘어진 곡률이 가장 큰 쪽의 외곽 또는 모서리를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terface unit includes:
Setting the layered display are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r
The outer edge or corner of the curved surface with the largest curvature curved in relation to the preset reference lin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set as the layered display area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상기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할 때,
상기 레이어들을 구분할 수 있는 레이어 정보를 같이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terface unit includes:
When hierarchically displaying the layers output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layered display area,
Layer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the layers is displayed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곡률에 의해 계층이 선택되면 선택된 계층 보다 상위의 계층은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의 크기를 재조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terface unit includes:
When a layer is selected by the curvature, layers higher than the selected layer are not displayed in the layered display area, and the size of the layered display area is readjusted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의 곡률이 기설정된 제5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 내에서 최대 곡률의 위치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terface unit includes:
If the curvature of the layered display area is bent beyond the predetermined fifth curvature,
A lay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ximum curvature in the layered display area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터치되면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이 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touch sensing unit for sensing touch informa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touched,
The interface unit includes:
The layered display area is touched, and when the flexible display part is bent at a predetermined second curvature or more, a layer of the next layer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part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터치된 상태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터치된 위치를 시작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외곽까지를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terface unit includes: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detects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or more in a touched state,
And setting up the layered display area from the touched position to the outer edge of the flexible display part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휨 판단부는,
휘어짐 범위 또는 휘어짐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판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해서 인터페이스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rp judging unit judges,
At least one of the warp or warp direction is further judged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by utilizing the warp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현재 실행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한 후에 연속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곡률과 다른 크기의 곡률인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Sensing a warp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Determining a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Hierarchically aligning layers currently being execute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detects warp at a predetermined first curvature or more; 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bent at a second curvat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different from the first curvature continuously after detecting the curvature of the first curvature or more, Comprising the steps of:
An interface method that utilizes warping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3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진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계층 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계층 수만큼 건너뛰어 계층을 선택하고, 선택된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Determin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layers according to a degree of flex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detects warp at a predetermined third curvature or more; And
Selecting a layer by skipping as many as the number of layers identified and selecting a layer of the selected layer and displaying the selected layer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An interface method that utilizes warping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4 곡률 이상으로 휘어져 있는 동안 하위 계층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순차적으로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sequentially selecting the layer corresponding to the lower layer while the flexible display portion is bent at a predetermined fourth curvature or more and displaying the selected layer on the flexible display portion
An interface method that utilizes warping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계층화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Setting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s a layered display area if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bent at a first curvature or more;
And hierarchically displaying the layers output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layered display area
An interface method that utilizes warping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레이어들을 계층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의 곡률이 기설정된 제5 곡률 이상으로 휘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 내에서 최대 곡률의 위치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After hierarchically displaying the layers,
And selecting a layer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maximum curvature in the layered display area and displaying the selected layer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it detects that the curvature of the layered display area is curved more than a predetermined fifth curvature
An interface method that utilizes warping of a flexible display.
상기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화 표시 영역이 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기설정된 제2 곡률 이상으로 휘어지면 다음 계층의 레이어를 선택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tep of selecting the layer of the next layer and displaying the selected layer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comprises:
The layered display area is touched, and when the flexible display part is bent at a predetermined second curvature or more, a layer of the next layer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part
An interface method that utilizes warping of a flexible display.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0994A KR101454685B1 (en) | 2012-02-29 | 2012-02-29 |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hat get bent of the flexible display |
| US13/731,585 US20130222416A1 (en) | 2012-02-29 | 2012-12-3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flexible dis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20994A KR101454685B1 (en) | 2012-02-29 | 2012-02-29 |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hat get bent of the flexible displa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99459A KR20130099459A (en) | 2013-09-06 |
| KR101454685B1 true KR101454685B1 (en) | 2014-10-27 |
Family
ID=4945077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20994A Active KR101454685B1 (en) | 2012-02-29 | 2012-02-29 |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hat get bent of the flexible displa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5468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108096A1 (en) * | 2020-11-17 | 2022-05-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48252B1 (en) * | 2013-10-07 | 2020-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278816B1 (en) * | 2014-02-04 | 2021-07-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ng the same |
| KR102691770B1 (en) * | 2016-09-20 | 2024-08-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
| US10712892B2 (en) | 2017-04-26 | 2020-07-14 | Sensel, Inc. | Pre-loading a resistive touch sensor device via lamination of differently curved surfaces |
| KR102719933B1 (en) * | 2018-07-10 | 2024-10-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based on bending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21528A (en) * | 2002-06-14 | 2004-01-22 | Sony Corp |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
| KR20070094335A (en) * | 2006-03-17 | 2007-09-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of a flexible mobile terminal |
| KR20090106768A (en) * | 2008-04-07 | 2009-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20110053660A (en) * | 2009-11-16 | 2011-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2012
- 2012-02-29 KR KR1020120020994A patent/KR10145468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21528A (en) * | 2002-06-14 | 2004-01-22 | Sony Corp |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
| KR20070094335A (en) * | 2006-03-17 | 2007-09-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of a flexible mobile terminal |
| KR20090106768A (en) * | 2008-04-07 | 2009-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20110053660A (en) * | 2009-11-16 | 2011-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108096A1 (en) * | 2020-11-17 | 2022-05-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99459A (en) | 2013-09-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048758B2 (en) | Haptic feedback for interactions with foldable-bendable displays | |
| KR101454685B1 (en) |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that get bent of the flexible display | |
| KR101375335B1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2013022241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flexible display | |
| RU2632413C2 (en) | Flexi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 US993990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 |
| CN105159405B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 US982383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 |
| KR102358110B1 (en) | Display apparatus | |
| EP2433275B1 (en) | Hand-held device with ancillary touch activated zoom or transformation of active element, method of opera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
| US20090164937A1 (en) | Sc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Data on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 |
| WO2011138903A1 (en) | Touch panel, touch-type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 JP6005422B2 (en) | Electronic devices | |
| WO2012049969A1 (en) |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 CN104662505A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 US10345954B2 (en) |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 of electronic information | |
| KR1012924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ing flexible display | |
| JP5737883B2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 |
| CN116917843A (en) |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ing force-based gestures | |
| US20150169126A1 (en) |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 KR101754921B1 (en) | Flexible aparatus for displaying file | |
| JP5939900B2 (en) | Book type device | |
| JP2009218995A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 JP2019101815A (en) | Control device,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