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4773B1 -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 Google Patents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773B1
KR101454773B1 KR1020130027807A KR20130027807A KR101454773B1 KR 101454773 B1 KR101454773 B1 KR 101454773B1 KR 1020130027807 A KR1020130027807 A KR 1020130027807A KR 20130027807 A KR20130027807 A KR 20130027807A KR 101454773 B1 KR101454773 B1 KR 10145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ensing
tube
power
leak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005A (ko
Inventor
정경원
윤기태
김희식
원서연
Original Assignee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77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77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3Pre-ins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관은 내관과 외관 사이에 배치되며 일부 영역의 피복이 제거되어 내부의 도전선이 노출되고 전원이 흐르는 누수감지선,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수감지선과 이격하여 형성되고, 유체를 통해 누수감지선의 도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누수감지선에 흐르는 전원을 공급받는 센싱와이어 및 상기 누수감지선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중보온관의 누수 및 파손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이중보온관의 누수와 파손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한다.

Description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PRE-INSULATION PIPE HAVING MULTI-SIGNAL WATER LEAKAGE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중보온관의 내, 외관에 파손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신호를 검출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에 관한 것이다.
온수관, 송유관, 가스관 등 원격지에서 유체로 공급하기 위한 이중보온 형태의 배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짧게는 수백 미터에서 길게는 수십 킬로미터까지 장거리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지중에 매설되는 배관은 토양성분에 의한 부식, 지중의 하중, 지상구조물의 하중, 외부로부터의 충격, 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일어나 뒤틀림,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내관의 파손으로 내부에 이송되는 열원인 고온의 온수가 누수 되거나, 외관의 파손에의 의해 지하수가 단열재에 유입되어 보온관으로서의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파손이 즉시 감지되지 못하는 경우 내관에 이송되는 유체가 지상으로 분출되거나 압력에 의한 폭발, 지반 약화에 의한 붕괴사고까지 이어지는 위험을 초래하고 이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불편이 따르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에 대하여 이중보온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거나, 제시된 제안들은 내,외관의 누수 발생 시 정확한 위치와 누수 정도를 예측하기 어려워 여러 번의 토목공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때 짧게는 수백 미터에서 길게는 수 킬로미터 구간에 토목공사를 하는 경우가 생기며, 누수 위치가 여러 군데 분산적으로 발생했을 경우에는 문제가 더욱 심각해져 복구를 위한 공사시간이 매우 길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부담이 뒤따른다.
그리고, 이중보온관의 측면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중력에 의해 아래에서부터 누수가 차오르는 특성으로 누수감지선에 유체가 접촉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조기감지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특히, 보온재는 소재의 성격상 누수의 진행이 느리므로 이러한 감지시간의 증가는 누수에 대한 대응에 큰 문제점이었다.
또한, 누수감지선에서 감지된 누수 정보가 이중보온관의 외관 파손에 따른 누수 정보인지 내관의 파손에 의한 누수 정보인지 직접 확인하기 전까지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80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보온관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중보온관에서 누수가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중보온관의 내관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감시하고, 상기 내관이 파손되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관,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채워진 단열재로 구성된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은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배치되며, 일부 영역의 피복이 제거되어 내부의 도전선이 노출되고, 전원이 공급되는 누수감지선,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수감지선과 이격하여 형성되고, 유체를 통해 누수감지선의 도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누수감지선에 흐르는 전원을 공급받는 센싱와이어 및 상기 누수감지선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중보온관의 누수 및 파손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선은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나란히 설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전선인 제1 전선과, 제2 전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전선은 외부의 피복이 일정 간격으로 제거되어 내부의 도전선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선은 제2 전선과 비교하여 단위길이당 전기 저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선 및 센싱와이어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와이어와 내관은 동일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수감지선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센싱와이어에 흐르는 전원의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센서 및 제어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내관의 보온을 위해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와이어는 상기 내관에 흐르는 유체로 인한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와이어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측정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원형자석 상기 원형자석에 감긴 코일 및 상기 코일에 흐르는 유도 기전력 값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자석의 내부에 상기 센싱와이어가 통과되도록 구성하여, 센싱와이어의 진동에 따라 상기 자기장이 변화되면서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진동 측정센서가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수감지선의 도전선과 내관이 유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내관에 누수감지선을 통해 공급된 전원의 전압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중보온관 한 관당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보온관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감지선을 이중보온관의 내관과 외관 사이에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써 신속하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이 제공된다.
또한, 이중보온관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이중보온관의 내관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과 내관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측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압 측정센서를 이용한 누수 위치 감지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이중보온관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의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으로써, 기존의 이중보온관에서 발생하였던, 누수의 감지가 늦고 정확한 감지가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은, 기존 이중보온관의 구성요소인 내관(101), 외관(102) 및 단열재(103)에,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누수감지선(110), 센싱와이어(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중보온관에서, 내관(101)은 탄소 강관을 쓰고 외관(102)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며,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경질 폴리우레탄폼과 같은 보온을 위한 단열재(103)가 충진되어, 내관에 흐르는 온수가 목적지까지 열손실 없이 흐르도록 한다.
누수감지선(110)은 전원이 흐르는 전선에 유체가 접촉되었을 때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장치이다. 상기 누수감지선(110)은 단선으로 구성되어 누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전선(111) 및 제2 전선(11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전선(111) 및 제2 전선은 전원이 흐르는 도전선과 상기 도전선을 감싸는 절연소재의 피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나란히 설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전선(111)의 피복(111b)은 일정 간격으로 제거되어 내부의 도전선(111a)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전선의 구조에 따라, 이중보온관에 누수가 발생하여 제1 전선의 도전선에 유체가 접촉되면 전원이 유체를 따라 흐르며 누전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 전선에 있어서 도전선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제거된 피복의 홀(H) 지름은 0.2mm로 하고, 홀 간의 간격은 1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규격화된 구조로 도전선이 노출된 홀에 유체가 접촉하게 되면, 유체가 접촉된 홀의 개수에 따라 누전 전류가 비례하여 늘어나므로 어느 정도 누수가 진행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홀의 지름과 간격은 누수감지선(110)의 소재와 길이에 따라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2 전선(112)은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통하는 통로 역할을 하므로, 제2 전선의 저항으로 인한 영향이 적을수록 제1 전선을 통하여 알아내고자 하는 측정값이 정밀해 진다. 따라서 상기 제2 전선의 저항은 제1영역과 비교하여 단위길이당 전기 저항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와이어(120)는 상기 누수감지선(110)에서 유체에 의해 누전된 전류를 전달받는 장치이다. 센싱와이어(120)는 유체를 통해 전류를 전달받기 위해 피복이 없이 도전선만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관에 흐르는 유체로 인한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할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누수감지선(110)과 센싱와이어(120)를 통해 감지된 누수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 공급장치(131), 전류 측정센서(132) 및 통신부(133)로 이루어진다.
전원 공급장치(131)는 상기 누수감지선(110)에 누수를 감지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보온관은 내관을 예열하기 위하여 높은 교류전압이 인가됨으로, 전원 공급장치(131)는 상기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하여 누수감지선(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그와 별도로 전원을 인가받아 누수감지선(110)에 공급할 수도 있다.
전류 측정센서(132)는 상기 센싱와이어(120)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상기에 기재한 것과 같이 이중보온관에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전원이 흐르는 누수감지선(110)이 센싱와이어(120)와 유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센싱와이어(120)에 흐르는 전원의 일부가 누수감지선(110)으로 흐르게 된다. 전류 측정센서(132)는 이렇게 누수감지선(110)에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전류 측정센서(132)에서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이중보온관의 누수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때, 이중보온관에서 발생한 누수의 범위가 넓어져 유체와 접촉하게 되는 누수감지선(110)의 홀이 점점 많아지고, 상기 유체가 센싱와이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센싱와이어(120)에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류 측정센서(132)는 이러한 전류값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이중보온관에 발생한 누수의 범위를 알 수 있다.
통신부(133)는 제어부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보온관은 지중에 매설되어 설치되므로, 통신부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측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유선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거리가 길면 통신 신호가 감쇄되므로, 일정 거리마다 신호증폭기를 이용하여 통신 신호가 보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중보온관에서 발생하는 누수와, 내관(101)의 파손을 감지하기 위하여 진동측정부(134) 및 전압 측정센서(135)를 더 포함한다.
진동측정부(134)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원형자석(134a)과, 상기 원형자석에 감긴 코일(134b), 상기 코일 양측에 전류값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센서(134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동측정부(134)의 원형자석(134a)에 상기 센싱와이어(120)가 통과되도록 하면, 센싱와이어가 내관에 흐르는 유체로 인하여 진동함에 따라 원형자석(134a)의 자기장이 변하게 되고, 상기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코일(134b)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센싱와이어(120)의 진동은 일반적인 내관(101)의 유체 압력에 따른 진동에 비하여, 내관에 파손이 일어났을 때 유체가 불규칙하게 흐름에 따른 진동이 더 크다. 따라서 내관 파손시 코일(134b)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은 파손이 일어나기 전에 비하여 더 커진다.
상기 진동 측정센서(134c)는 이러한 유도 기전력, 즉 전류값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측정값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내관의 파손 여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센싱와이어(120)에 누수가 감지되었을 때 진동 측정센서 값을 이용하여 상기 누수가 내관의 파손에 의한 것인지 외관의 파손으로 인한 유체의 침투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압 측정센서(135)는 이중보온관의 어느 부분에 누수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는 장치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중보온관에 본원발명의 구성요소인 누수감지선(110)과 누수감지선에 전원 전압(Vref)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131)에 있어서, 이중보온관의 임의의 지점에 누수가 발생하여 누수감지선(110)과 내관(101)이 유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누수 지점(B)에서는 분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분압으로 새로 생겨나는 루프의 전압(V)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센서(135)를 내관과 연결하여 설치하였을 때 측정된 전압 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3022551317-pat00001
RS1 + RS2 는 누수감지선(110) 제1 전선(111)의 전체 저항값으로, 제1 전선의 단위 길이당 저항값을 이용하여 사전에 계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값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RS1 + RS2, Vref와 측정된 전압값 V를 이용하여 RS2를 알 수 있고, 상기 RS2값을 누수감지선 제1 전선의 단위 길이당 저항값과 비교하여 누수 된 위치를 유추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에서,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선(110) 및 센싱와이어(120)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파이프의 일 측에만 형성되었다. 따라서, 누수 된 유체가 상기 센서의 하부에서 유입될 경우 유체가 누수감지센서까지 도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감지 시간이 늦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의 경우 누수감지선(110) 및 센싱와이어(120)가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도 6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누수가 이중보온관의 상부에 발생하였을 때뿐만 아니라, 도 6의 (b),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누수가 이중보온관의 측면에 발생하여 중력에 의해 누수가 이중보온관 하부로 진행되더라도 신속하게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이중보온관의 누수 범위, 내관의 파손 유무 및 누수 위치에 관한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더욱 신속하게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중보온관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이상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처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누수감지선 120 : 센싱와이어
130 : 제어부

Claims (12)

  1. 내관, 외관 및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채워진 단열재로 구성된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배치되며, 일부 영역의 피복이 제거되어 내부의 도전선이 노출되고, 전원이 공급되는 누수감지선;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수감지선과 이격하여 형성되고, 유체를 통해 누수감지선의 도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누수감지선에 흐르는 전원을 공급받는 센싱와이어; 및
    상기 누수감지선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중보온관의 누수 및 파손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와이어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측정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원형자석, 상기 원형자석에 감긴 코일 및 상기 코일에 흐르는 유도 기전력 값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자석의 내부에 상기 센싱와이어가 통과되도록 구성하여 센싱와이어의 진동에 따라 상기 자기장이 변화되면서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을 진동 측정센서가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선은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나란히 설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전선인 제1 전선과, 제2 전선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전선은 외부의 피복이 일정 간격으로 제거되어 내부의 도전선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은 제2 전선과 비교하여 단위길이당 전기 저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선 및 센싱와이어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와이어와 내관은 동일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수감지선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센싱와이어에 흐르는 전원의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센서; 및
    제어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내관의 보온을 위해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와이어는 상기 내관에 흐르는 유체로 인한 진동에 따라 함께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수감지선의 도전선과 내관이 유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내관에 누수감지선을 통해 공급된 전원의 전압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중보온관 한 관당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KR1020130027807A 2013-03-15 2013-03-15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Expired - Fee Related KR10145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07A KR101454773B1 (ko) 2013-03-15 2013-03-15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07A KR101454773B1 (ko) 2013-03-15 2013-03-15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05A KR20140113005A (ko) 2014-09-24
KR101454773B1 true KR101454773B1 (ko) 2014-10-27

Family

ID=5175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8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4773B1 (ko) 2013-03-15 2013-03-15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7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02B1 (ko) * 2018-08-03 2019-06-05 (주) 엘앤티 지역 난방 배관 시공 방법
KR20200015342A (ko) * 2018-11-06 2020-02-12 (주) 엘앤티 지역 난방 배관 시공 방법
WO2020231118A1 (ko) * 2019-05-10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배관 누수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332A (ko) * 2017-01-29 2017-03-13 김성림 해저전력케이블 유지보수를 위한 센서와 관리법
KR102033881B1 (ko) * 2019-08-14 2019-10-17 임준희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상하수도관
WO2022245228A1 (en) * 2021-05-18 2022-11-24 Bpe Sp. Z O.O. System for measuring temperature distribution in heating network and method of monitoring heating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328A (ko) * 2003-11-19 2005-05-24 엄주호 누수위치의 측정정밀도를 개선시킨 열배관누수감지장치 및그 방법
JP2006098177A (ja) * 2004-09-29 2006-04-13 Optrex Corp 漏水検知システム
KR100942903B1 (ko) * 2009-09-03 2010-02-16 신민철 누수 감지관
KR100948073B1 (ko) * 2009-03-31 2010-03-16 부영산전주식회사 이중보온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328A (ko) * 2003-11-19 2005-05-24 엄주호 누수위치의 측정정밀도를 개선시킨 열배관누수감지장치 및그 방법
JP2006098177A (ja) * 2004-09-29 2006-04-13 Optrex Corp 漏水検知システム
KR100948073B1 (ko) * 2009-03-31 2010-03-16 부영산전주식회사 이중보온관
KR100942903B1 (ko) * 2009-09-03 2010-02-16 신민철 누수 감지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02B1 (ko) * 2018-08-03 2019-06-05 (주) 엘앤티 지역 난방 배관 시공 방법
KR20200015342A (ko) * 2018-11-06 2020-02-12 (주) 엘앤티 지역 난방 배관 시공 방법
KR102214381B1 (ko) * 2018-11-06 2021-02-10 (주) 엘앤티 지역 난방 배관 시공 방법
WO2020231118A1 (ko) * 2019-05-10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배관 누수 감지 시스템
KR20210127759A (ko) * 2019-05-10 2021-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배관 누수 감지 시스템
KR102738841B1 (ko) * 2019-05-10 2024-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배관 누수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05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773B1 (ko) 다중신호 검출형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이중보온관
CA2925544C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submarine cable
KR101696675B1 (ko)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CN106415253B (zh) 一种检测装置及方法
BR102013020747B1 (pt) Aparelho de tubulação e método de formação de um aparelho de tubulação
EP3063520B1 (e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50064173A (ko) 매립된 장치 주변의 토양 부식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계장화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66525A (ko) 지하매설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
KR20120029303A (ko) 박막 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식 손상 측정용 부식탐지기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EP3184973B1 (en) Device for measuring a property of a flowing fluid
KR101318916B1 (ko) 이중보온관 및 이중보온관 감시장치
KR101762614B1 (ko) 상수관로의 누수 여부 및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상수관로용 안전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관로 안전감시 방법
US10288225B2 (en) Pipeline system
US20130292265A1 (en) Impressed current cathodic protection
WO2018185338A1 (en) Sensor system
KR100986704B1 (ko) 상태 감시 센서를 구비하는 이중 보온관
KR101216384B1 (ko) 누설 유체 및 배관 절단 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관
KR100948071B1 (ko) 측정 정밀도를 개선한 이중보온관 감시장치
US9651183B2 (en) Controlling heating and communication in a pipeline system
JPS58221143A (ja) 断熱管路の漏洩検知装置
KR20100132700A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JP2011117910A (ja) 埋設管の塗覆装損傷検知方法及び埋設管の塗覆装損傷検知システム
CN111595412A (zh) 水位监测系统
KR20090033295A (ko) 배관 손상 감시장치
JPS598129B2 (ja) Ofケ−ブル漏油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10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