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667B1 - Apparatus for embodying large capacity of mobile terminal's batter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mbodying large capacity of mobile terminal's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667B1 KR101456667B1 KR1020130136886A KR20130136886A KR101456667B1 KR 101456667 B1 KR101456667 B1 KR 101456667B1 KR 1020130136886 A KR1020130136886 A KR 1020130136886A KR 20130136886 A KR20130136886 A KR 20130136886A KR 101456667 B1 KR101456667 B1 KR 1014566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pack
- battery pack
- large capacity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로서 배터리 대용량화를 위한 수납케이스(A)를 구성한 것으로, 휴대단말 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삽입 가능하며 본체 전극단자(6)와 접속되는 배터리 모형팩(8)을 구비하되, 배터리 모형팩(8)의 일측단에는 상방 돌출되며 배터리모형팩(8)을 통해 본체 전극단자(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방전단자부(12)가 형성된 직립기판(10)이 탑재되게 구성하고,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배터리팩 안착면(22)을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며,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 안착되어 상기 충방전단자부(12)와 접속되는 대용량배터리팩(28)을 외부커버(30)가 덮으며 장착되게 구성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battery large capacity implementation device which constitutes a storage case A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battery and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electrode terminal 6, A battery pack 10 is provided with a battery pack 10 and a battery pack 10 and a battery pack 10, The substrate 10 is mounted,
An inner cover 20 having a slot hole 24 through which the upright substrate 10 passes and a battery pack seating surface 22 are mounted so as to cover the battery model pack 8, Capacity battery pack 28 mounted on the surface 22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 discharging terminal unit 12 so as to cover the outer cover 30.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교체없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단말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요즈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사용 비중이 상당히 높아져서 거의 보편화 수준에 이르렀다. 스마트폰은 전화통화는 기본이고 음악 및 동영상 재생, 인터넷 브라우징, 메모,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에 전화기능만 있는 기존 휴대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게 되고 배터리소모도 그 만큼 빠르게 일어난다. 실제로 스마트폰을 연속해서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 전원공급은 수시간 만에 동난다.Nowadays, the use of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s increased considerably, and it has become almost universal. Smartphones are basic phone calls and can provide music and video playback, Internet browsing, memos, games, and other functions, so they are relatively more used than existing phones with only phone functions, and battery consumption is so fast. In fact, if the smartphone is used continuously, the battery power supply will take several hours.
그러므로 배터리 교체를 위해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거나 충전기를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고, 충전기 없는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를 대비해서 휴대형 대용량배터리를 구비하기도 한다. Therefore, it is often necessary to carry a spare battery or carry a charger in order to replace the battery, and a portable high capacity battery may be provided in case of long use in a charger-free environment.
하지만 충전기를 가지고 다니는 것도 번거롭고 거추장스러우며 예비용으로 여러개를 가지고 다니는 것도 쉽지 않다. However, carrying a charger is cumbersome and cumbersome, and it is not easy to carry more than one for spar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예로서 하기의 선행기술 특허문헌으로 언급된 종래기술이 있는데, 하기의 선행특허문헌은 다수의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고 병렬연결을 위한 배터리 커넥터를 사용한다. As an example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re is a prior art mention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patent documents. The following prior patent documents use a battery connecto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n parallel and for parallel connection.
하지만 이러한 배터리 커넥터들은 분실하거나 망실하기 쉬워서 제품화 되기가 힘들고, 2개 이상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경우 배터리를 모두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회로를 배터리에 장착해야 한다. 그에 따라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별도의 보호회로가 배터리에 장착된다면 그 배터리는 전용배터리로 제작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se battery connectors are difficult to commercialize because they are easy to lose or lose, and when charging two or more batteries at the same time, the battery must be equipped with a separate protection circuit to protect both batteries. Therefore, if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a separate protection circuit is mounted on the battery, the battery must be manufactured as a dedicated batter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업체의 정품배터리를 사용하면서도 배터리 교체없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단말의 사용시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realizing a portable terminal battery capacity enabling use tim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to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without using a genuine battery of a manufacturer and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 사용자에 있어 취급이 용이하고 관리가 편리하며 실용성도 있음과 아울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휴대단말의 사용시간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alizing a portable terminal battery capacity enabling a portable terminal user to easily handle, easily manage, and practical, and to maintain the use tim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for a long time .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휴대단말 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삽입 가능하며 본체 전극단자(6)와 접속되는 배터리 모형팩(8)을 구비하되, 배터리 모형팩(8)의 일측단에는 상방 돌출되며 배터리모형팩(8)을 통해 본체 전극단자(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방전단자부(12)가 형성된 직립기판(10)이 탑재되게 구성하고,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 battery model pack (8) insertable in a battery mounting groove (4) of a portable terminal main body (2) and connected to a main body electrode terminal (6) And a charging /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배터리팩 안착면(22)을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며,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 안착되어 상기 충방전단자부(12)와 접속되는 대용량배터리팩(28)을 외부커버(30)가 덮으며 장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이다. A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휴대단말 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삽입 가능하며 본체 전극단자(6)와 컨넥터(34a)를 갖는 가요성케이블(34)로 접속되는 배터리 모형팩(8)을 구비하되, 배터리 모형팩(8)의 일측단에는 상방 돌출되며 배터리모형팩(8)을 통해 본체 전극단자(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방전단자부(12)가 형성된 직립기판(10)이 탑재되게 구성하고,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battery model pack which is connectable by a flexible cable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battery mounting groove of a portable terminal body and has a body electrode terminal and a connector, (12) protru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battery model pack (8)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electrode terminal (6) through a battery model pack (8) 10) is mounted,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배터리팩 안착면(22)을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며,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 안착되어 상기 충방전단자부(12)와 접속되는 대용량배터리팩(28)을 외부커버(30)가 덮으며 장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이다. A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로서, 휴대단말 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삽입 가능하며 본체 전극단자(6)와 접속되는 배터리 모형팩(8)을 구비하되, 배터리 모형팩(8)의 일측단에는 상방 돌출되며 배터리모형팩(8)을 통해 본체 전극단자(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충방전단자부(12a)(12b)가 상하 배열형성된 직립기판(10)이 탑재되게 구성하고,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배터리팩 안착면(22)을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며, 내부케이스(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는 다수의 배터리팩(28a)(28b)을 적층하여 대응 충방전단자부(12a)(12b)와 접속하고 외부커버(30)로 덮어서 장착되게 구성하되, 배터리모형팩(8)에는 사용될 배터리팩(28a)(28b)을 택일하는 배터리 선택기(1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이다. A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로서, 휴대단말 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삽입 가능하며 본체 전극단자(6)와 접속되는 배터리 모형팩(8)을 구비하되, 배터리 모형팩(8)의 일측단에는 상방 돌출되며 배터리모형팩(8)을 통해 본체 전극단자(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방전단자부(12)가 형성된 직립기판(10)이 탑재되게 구성하고, 배터리 모형팩(8) 내에는 추가적인 소형배터리팩(60)의 실장 및 충방전이 가능한 소형배터리실장홈(62)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배터리팩 안착면(22)을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며,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 안착되어 상기 충방전단자부(12)와 접속되는 대용량배터리팩(28)을 외부커버(30)가 덮으며 장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이다.
An
본 발명은 생산업체의 대용량 정품배터리를 사용하면서도 배터리 교체없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단말의 사용시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휴대단말 사용자가 취급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어서 제품화 및 실용성까지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use tim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for a long time without using a battery even when using a large-capacity genuine battery of a manufacturer. Moreo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user can easily handle and conveniently manage,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practicality.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의 분리 사시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의 결합 구성도,
도 3은 배터리 모형팩의 직립기판의 사시 구성도,
도 4는 배터리 모형팩의 직립기판에 설치된 배터리 선택기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의 분리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핑 지그의 사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클램핑 지그의 단면 구성도,
도 8은 클램핑 지그로 소형배터리를 지지하는 단면 구성 일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의 분리 사시 구성도.FIGS.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 portable terminal battery capacity increa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a combined configuration of Figs. 1A and 1B,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right substrate of a battery model pack,
4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ttery selector provided on an upright substrate of a battery model pack,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battery capacity increa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clamping jig of Fig. 6,
8 show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supporting a small battery with a clamping j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ing strap of a portable terminal battery capacity increa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배터리팩에는 단순해 충전용 셀만 있는게 아니라 과충전방지회로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들이 집합되어 있다. 만일 비정품 배터리 샀다가 배터리 보호에 관련된 회로가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사용중이나 충전중에 과열 내지 폭발 또는 발화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정품배터리만큼의 품질보증도 어렵다. The battery pack is not simply a rechargeable cell, but a collection of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n overcharge protection circuit. If you buy a non-genuine battery and the circuit related to battery protection does not work properly, there is a risk that it may overheat or explode or ignite during use or charging, and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quality just like a genuine battery.
정품과 비정품 배터리 간에는 배터리를 구성하는 품질의 차이, 배터리 성능 테스트의 유무의 차이, 안전인증 유무의 차이 등이 존재한다.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quality of the battery constituting the batte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attery performance tes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afety certification between the genuine product and the non-genuine battery.
본 발명에서는 가능한 한 정품배터리를 사용하면서도 배터리 대용량화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설령 비정품배터리를 장착하더라도 안전인증이 보장될 수 있는 회로의 배치가 용이하게 구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that can maximize the capacity of a battery while using a genuine battery as much as possible, and it is easy to arrange a circuit that can guarantee safety certification even if a non-genuine battery is install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의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의 결합 구성도이다. FIGS. 1A and 1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battery capacity increa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and 2B are views show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FIGS. 1A and 1B.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를 위해 기존의 배터리용 커버를 빼낸 다음 장착해 사용할 수 있는 수납케이스(A)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case (A) that can be used by removing a conventional battery cover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battery capacity increas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수납케이스(A)는, 기존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대신하여 모조로 삽입되는 전원전달 용도의 배터리 모형팩(8)과, 대용량 배터리팩(28)을 등에 업으며 실장하는 내부커버(20)와, 및 대용량배터리팩(28)을 커버하고 장착하는 외부커버(30)를 포함한다. The storage cas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수납케이스(A)를 구성하는 내부커버(20) 및 외부커버(30)는 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된다. 그중 내부커버(20)는 해당 휴대단말 모델기종에 맞게 장착(예컨대 탄지걸림식으로)될 수 있도록 사출성형되고, 외부커버(30)는 내부커버(20)에 탄지걸림식 등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사출성형된다. The
도 1a 및 도 2a에서는 한개로 구성된 대용량배터리팩(28)을 장착하는 구성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1A and 2A show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large-
그리고, 도 1b 및 도 2b에서는 다수개의 배터리팩(28a)(28b)으로 대용량을 구현하는 배터리팩(28) 또는 다수의 대용량배터리팩(28a)(28b)으로 배가된 대용량팩(28)을 구현하는 구성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1B and 2B, a large-
본 발명에서의 대용량배터리팩(28)은 휴대단말 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실장되는 정품배터리팩보다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배터리팩을 의미한다. The large
요즈음 널리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배터리용량은 대개가 1000~2000mAh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용량을 갖는 배터리 하나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면 대략 3시간 정도의 사용을 허락한다. The battery capacity of widely used smart phones these days usually has the capacity of 1000 ~ 2000mAh. When a camera with a smartphone is photographed with a single battery having such a capacity, the camera allows about 3 hours of use.
본 발명에서는 1000~2000mAh의 배터리용량을 갖는 정품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단말에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하나로 된 대용량배터리팩(28) 예컨대,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3 스마트폰의 배터리와 같은 3200mAh 용량을 갖는 대용량 정품배터리팩을 장착하여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휴대단말에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두개의 배터리팩(28a)(28b) 예컨대,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 스마트폰의 배터리와 같은 2500mAh 용량을 갖는 정품배터리 두개를 장착하여 대용량 배터리팩(28)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요즈음 해당 휴대단말 제조사의 대용량 정품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전모델 기종에 적용할 수 있게 제조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genuine battery having a battery capacity of 1000 to 2000 mAh is connected to a single large
이렇게 대용량배터리팩(28)을 사용하면 하루종일 스마트폰으로 카메라 촬영등을 할 수 있다. 즉 아침에 출근해서 저녁에 퇴근할때까지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검색이나 채팅을 하면서도 별도 충전하지 않아도 될만큼의 배터리 성능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스마트폰 사용이 많지 않은 사용자라면 1~2일은 충분히 배터리 하나로 스마트폰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With such a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it is possible to shoot a camera on a smartphone all day long. In other words, while browsing the Internet or chatting with a smartphone until the morning after leaving for work in the evening, it shows the battery performance that you do not need to charge separately. Even if you do not use smartphone for a while, A single battery can keep your smartphone working.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형팩(8)은 해당 휴대단말 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맞춤식으로 삽입가능한 것이다. 배터리 모형팩(8)은 해당 휴대단말의 배터리와 동일 사이즈를 갖는 모형팩이지만, 배터리기능이 아닌 거치대 및 컨넥터 기능을 수행한다. The
배터리 모형팩(8)은 본체 전극단자(6)와 접속되는 접촉단자부(8a)를 가진다. 그리고 배터리 모형팩(8)의 일측단에는 상방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충방전단자부(12)를 구비한 직립기판(10)이 팩본체에 일체 결합형태로 탑재되며 끼움대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다.The
배터리 모형팩(8)의 접촉단자부(8a)와 직립기판(10)의 충방전단자부(12)는 배터리팩모형팩(8) 내부에 매립된 연결전선(18)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직립기판(10)의 충방전단자부(12)는 내부커버(20)의 등에 업혀 끼움지지된 대용량 배터리팩(28)과 접촉되며, 아울러 전원전달 용도의 배터리모형팩(8)이 휴대단말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실장되면 배터리모형팩(8)의 연결전선(18)을 통해 본체 전극단자(6)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배터리모형팩(8)의 직립기판(10) 내측에 형성된 충방전단자부(12)가 첨부 도면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두개 이상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대형배터리팩(28)을 구성하는 다수 배터리팩(28a)(28b)중에서 택일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선택기(14)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When the charging / discharging
도 3은 배터리 모형팩(8)의 직립기판(10)의 사시 구성을 일예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두개의 충방전단자부(12) 즉 제1 충방전단자부(12a)와 제2 충방전단자부(12b)를 구비한 예시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apping configuration of the
도 4는 도 3과 같은 배터리 모형팩(8)의 직립기판(10)에 설치된 배터리 선택기(14)의 회로 구성도로서, 참조부호 "16"은 배터리팩(28)의 접촉단자(29)에 연결된 연결전선(18)이 납땜고정된 기판단자대(16)이다. 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기판단자대(16)와 제1,2 충방전단자부(12a)(12b) 사이는 인쇄패턴라인(P1)~(P4)으로 연결된다. 그중 제1,제2 충방전단자부(12a)(12b)의 신호선에 대응되는 인쇄패턴라인(P2)(P4)은 공통노드로 접속되어 기판단자대(16)의 대응 단자에 연결되고, 제1,제2 충방전단자부(12a)(12b)의 (+)전원 인쇄패턴라인(P1a)(P1b)은 2단자 선택스위치(14a)의 a단 및 b단에 대응 연결되게 하고 기판단자대(16)의 (+)단자에 연결된 (+)전원 인쇄패턴라인(P1)의 선택스위치(14a)의 타단에 연결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제1,제2 충방전단자부(12a)(12b)의 (-)전원에 대응되는 인쇄패턴라인(P3a)(P3b)도 다른 2단자 선택스위치(14a)의 a단 및 b단에 대응 연결되게 하고 기판단자대(16)의 (-)단자에 연결된 (-)전원 인쇄패턴라인(P3)의 선택스위치(14a)의 타단에 연결되게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4, between the
상기 선택스위치(14a)는 수동조작가능한 딥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고, 제어부의 신호 제어 하에 자동 택일하는 멀티플랙서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 상기 선택스위치(14a)는 제1,제2 충방전단자부(12a)(12b)의 (+)(-)전원선 인쇄패턴라인(P1a)(P1b)중에서 택일하거나 (P3a)(P3b)중에서 택일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제1,제2 충방전단자부(12a)(12b)의 4개 인쇄패턴라인 모두에 적용하여서 스위치 a단이거나 b단을 택일할 수 있는 스위치군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사용자가 선택스위치(14a)를 이용해서 a단자를 선택하면 제1 충방전단자부(12a)만 활성화되고 제2 충방전단자부(12b)는 비활성화되며, 반대로 선택스위치(14a)를 이용해서 b단자를 선택하면 제2 충방전단자부(12b)만 활성화되고 제1 충방전단자부(12a)는 비활성화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l a using the
제1,제2 충방전단자부(12a)(12b)는 배터리 모형팩(8)의 팩본체 일측에 일체로 결합된 직립기판(12)의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 내부커버(20)가 업고 있는 대용량배터리팩(28)의 배터리단자(29)가 끼움 접촉된다.The first and second charging and discharging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배터리 선택기(14)를 이용해서 다수 배터리팩(28a)(28b)중에서 하나의 배터리팩만이 선택하여 작동하는데, 이는 선행기술문헌등록특허공보 제10-1050332호에서 언급되었던, 2개 이상 한꺼번에 충전작동시 2개 이상의 배터리를 모두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방안을 강구해야 하는 문제가 전혀 없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battery pack among 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와 같은 충방전단자부(12)가 형성된 직립기판(10)을 갖는 배터리 모형팩(8)이 휴대단말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실장된 다음에는, 내부커버(20)를 이용해 배터리모형팩(8)을 덮고 탄지걸림식으로 장착되게 한다. After the
내부커버(20)는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배터리팩 안착면(22)을 갖는 구성인바, 내부커버(20)로 장착하면 배터리모형팩(8)의 직립기판(10)은 슬롯공(24)을 통과해서 상방 돌출된다. The
내부커버(20)의 깔끔한 결합구조는 휴대단말 사용자의 배터리 관리 및 취급에 편리함을 준다. The clean coupling structure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상에는 대용량배터리팩(28)이 안착될 수 있으며, 안착된 대용량배터리팩(28)이 끼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26)이 돌출형성된다. 그러므로 대용량배터리팩(28)은 내부커버(20)의 상방으로 돌출된 직립기판(10)과 지지브라켓(26) 사이의 배터리팩 안착면(22)상에 안전하게 끼워진다. In this state, the user can seat the large
도 1a 및 도 2a에서와 같이 대형배터리팩(28)이 배터리팩 안착면(22) 상에 끼움고정될 경우 대형배터리팩(28)의 배터리단자(29)는 직립기판(10)의 제1 충전단자부(12a)에 접촉되며, 이때에는 배터리선택기(14)의 선택스위치(14a)를 a단으로 절체하여서 제1 충전단자부(12a)를 활성화하면 된다. When the
그리고, 도 1b 및 도 2b에서와 같이 제1,제2 배터리팩(28a)(28b)을 적층하여서 배터리팩 안착면(22) 상에 끼움고정될 경우 제1 배터리팩(28a)의 배터리단자(29)는 직립기판(10)의 제1 충전단자부(12a)에 접촉되고 제2 배터리팩(28b)의 배터리단자(29)는 직립기판(10)의 제2 충전단자부(12b)에 접촉된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packs 28a and 28b are stacked and fixed on the battery
사용자는 배터리 선택기(14)의 선택스위치(14a)를 이용해서 제1 배터리팩(28a)이나 제2 배터리팩(28b)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제2 배터리팩(28a)(28b)중 하나가 활성화됨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직립기판(10)의 배면에는 LED칩으로 구현가능한 두개의 작동램프(70)가 구비된다. 제1 배터리팩(28a)이 활성화되면 그에 대응된 작동램프(70)가 점등되고 제2 배터리팩(28a)이 활성화되면 제2 배터리팩(28b)에 대응된 작동램프(70)가 점등된다.The user can select and activate only one of the
그리고 충방전단자부(12a)(12b)의 신호선을 이용하면 작동램프(70)의 점등시 충방전상태도 작동램프(70)의 점등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터리 잔량정도에 따른 점등색상을 달리 표현할 수도 있다. If the signal line of the charging / discharging
작동램프(70)는 도 2a 및 도 2b의 결합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외부커버(30)의 투광창(72)을 통해서 외부로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The
사용자가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상에 대용량배터리팩(28)(28a)(28b)을 안착시킨 다음에는, 외부커버(30)로 덮어서 탄지걸림식으로 장착되게 하면 수납케이스(A)의 결합이 완료된다.
When the user places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28a, 28b) on the battery
한편 배터리모형팩(8)의 구성에 있어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일예와 같은 휴대단말본체(2)의 본체 전극단자(6)가 접촉식이 아닌 경우도 있다. 그 대표적인 일예가 애플사의 아이폰 스마트폰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배터리모형팩(8)에 컨넥터(34a)를 갖는 가요성케이블(34)을 이용해서 휴대단말본체(2)의 본체전극단자(32)와 끼움결합으로 접속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품배터리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정품배터리팩 이외에 5,000mAh 등과 같은 대용량의 비정품 배터리팩도 사용할 수 있고 외부커버(30)도 그에 따른 맞춤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별도로 구비하는 배터리 모형팩(8)내에 과열보호회로(과열폭발방지용 써미스터, 전자퓨즈) 등의 회로가 내장 배치되게 구현함으로써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use the genuine battery pack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non-genuine battery pack having a large capacity such as 5,000 mAh in addition to the genuine battery pack, and 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기존 제품에 있던 소형 배터리팩도 수납케이스(A)에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클램핑 지그(40)를 추가로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lamping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핑 지그(40)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클램핑 지그(40)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8에서는 클램핑 지그(40)로 소형배터리(50)를 지지하는 단면 구성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클램핑지그(40)는 지지판(42)에 톱니식 레일턱부를 갖는 작공안내공이 두개 라인으로 평형 형성되고 그 레일턱부에 톱니(46)가 마련되게 구성하며, "ㄷ"자형 밀대(44)를 지지판(42)의 톱니식 레일턱부를 따라 전후진 및 톱니(46) 걸림이 가능케 한 구조이다. The clamping
밀대(44)의 전방부에는 판스프링(44a)을 고정하여서 소형배터리(50)의 배터리단자가 직립기판(10)의 충방전단자(12a)(12b)에 밀착접촉될 수 있도록 해주며, 지지판(42)의 저면에는 흡착시트(48)를 부착하여서 좌우방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한다. The
상기와 같은 구조의 클램핑지그(40)를 사용하면 배터리팩(28)(28a)(28b)의 크기가 실장크기보다 좁아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28)을 팩실장공간 내에서 충분히 클램프해줄 수 있다. Even if the size of the battery pack 28 (28a, 28b) is narrower than the size of the mounting, the use of the clamping
상기의 클램핑지그(40)는 배터리팩뿐만 아니라 배터리모형팩(8)을 클램핑 지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즉 배터리 모형팩(8)의 크기가 실장크기보다 좁아도 배터리팩(28)을 팩실장공간 내에서 충분히 클램프해줄 수 있는 것이다.
The clamping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의 분리 사시 구성도로서, 배터리 모형팩(8)에도 소형배터리팩(60)을 실장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예시이다.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battery capacity increa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ample of a
화면사이즈가 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은 배터리팩도 사이즈가 상당히 크게 구성되는 바, 그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본 발명의 배터리모형팩(8)내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 배터리팩(60)을 실장하기 위한 실장홈(62)을 마련한다. 그리고 실장홈(62)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모형팩(8)의 직립기판(10)에 충방전단자(12c)를 더 구비하고, 배터리모형팩(8)의 실장홈(62)에 소형 배터리팩(60)을 실장시 상기 충방전단자(12c)에 소형배터리팩(60)의 배터리단자(61)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에는 배터리 선택기(14)의 선택스위치(14a)로 배터리모형팩(8))에 실장된 소형 배터리팩(60)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추가 구현되며, 대형배터리팩(28)이 먼저 사용된 후에 배터리전원이 모자랄때 비상용이나 보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having a large screen size, the size of the battery pack is considerably large. In the
즉,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의 실시 예로서, 휴대단말 본체(2)의 배터리 실장홈(4)에 삽입 가능하며 본체 전극단자(6)와 접속되는 배터리 모형팩(8)을 구비하되, 배터리 모형팩(8)의 일측단에는 상방 돌출되며 배터리모형팩(8)을 통해 본체 전극단자(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방전단자부(12)가 형성된 직립기판(10)이 탑재되게 구성하고, 배터리 모형팩(8) 내에는 추가적인 소형배터리팩(60)의 실장 및 충방전이 가능한 소형배터리실장홈(62)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9, a battery model pack (not shown),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배터리팩 안착면(22)을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며,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 안착된 대용량배터리팩(28)을 외부커버(30)가 덮으며 장착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An
요즈음의 스마트폰에는 자체 충전IC가 내장되어서 초기에는 신속한 충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충전량이 75~80%를 넘어서면 배터리의 안정성을 위해 즉 배터리 셀에 전기적 충격을 줄여주기 위해서 아주 서서히 충전이 이루어지게 제어한다. These days smart phones have built-in self-charging ICs that enable quick charging in the early days. When the charge amount exceeds 75 ~ 80%, the battery is controlled to be charged slowly to reduce battery shock. do.
그러므로 사용자가 빠른 시간내에 신속한 충전을 원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배터리 선택기(14)를 사용하여 두개 이상의 배터리를 택일 충전하되 신속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량(70%)까지 충전한 다음, 비충전된 다른 배터리를 택일 충전하도록 자동 절체해줄 수 있도록 하는 구현하면 빠른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desires quick charging within a short time,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 수납케이스 (2)-- 휴대단말본체
(4)-- 배터리 실장홈 (6)-- 본체 전극단자
(8)-- 배터리 모형팩 (8a)-- 접촉단자부
(10)-- 직립기판 (12)-- 충방전단자부
(12a)(12b)-- 제1,제2 충방전단자부
(14)-- 배터리 선택기 (14a)-- 선택스위치
(16)--- 기판단자대 (P1~P4)-- 인쇄패턴라인
(18)-- 연결전선 (20)-- 내부커버
(22)-- 배터리팩 안착면 (24)-- 슬롯공
(26)-- 지지브라켓 (28)(28a)(28b)-- 대용량배터리팩
(29)-- 배터리단자 (30)-- 외부커버
(34)-- 가요성케이블 (34a)-- 컨넥터
(40)-- 클램핑 지그 (60)-- 소형배터리팩
(61)-- 배터리단자 (70)-- 작동램프
(72)-- 투광창(A) - a storage case (2) - a portable terminal body
(4) - Battery mounting groove (6) - Body electrode terminal
(8) - Battery model pack (8a) - Contact terminal
(10) - upright substrate (12) - charge / discharge terminal portion
(12a) and (12b) - First and second charge /
(14) - Battery selector (14a) - Select switch
(16) --- PCB terminal block (P1 ~ P4) - Print pattern line
(18) - connecting wires (20) - inner cover
(22) - Battery pack seating surface (24) - Slot hole
(26) - Support bracket (28) (28a) (28b) -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9) - battery terminal (30) - outer cover
(34) - flexible cable (34a) - connector
(40) - Clamping jig (60) - Small battery pack
(61) - Battery terminal (70) - Operation lamp
(72) - Flood light window
Claims (7)
배터리 모형팩(8)은, 팩본체 일측에 일체 결합되고 상방 돌출된 직립기판(10)과, 본체 전극단자(6)에 접속되는 접촉단자부(8a)와, 직립기판(10) 내면에 형성된 충방전단자부(12)와, 접촉단자부(8a)와 충방전단자부(12)간을 전기 연결하는 연결전선(18)으로 구성하고,
배터리실장홈(4)에 삽입된 전원전달용 배터리 모형팩(8)의 상방돌출된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대용량 배터리팩 안착면(22)을 함께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고, 대용량 배터리팩(28)이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터리모형팩(8)의 직립기판(10)에 그 일단이 끼움되어 충방전단자부(12)와 전기 접속되게 구성하며, 외부커버(30)가 대용량 배터리팩(28)을 덮으며 장착되게 구성하여서,
대용량 배터리팩(28)의 배터리전원이 전원전달용 배터리 모형팩(8)을 통해 휴대단말본체(2)의 본체 전극단자(6)에 바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
And a power supply battery model pack (8) inserted into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instead of the existing mounted battery pack in a phony manner,
The battery model pack 8 includes an upright substrate 10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ck body and projecting upwardly, a contact terminal portion 8a connected to the main electrode terminal 6, Discharge terminal portion 12 and a connection wire 18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8a and the charge / discharge terminal portion 12,
Capacity battery pack receiving surface 22 together with the slot hole 24 through which the upright substrate 10 protruded upward of the power-transmitting battery model pack 8 inserted in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Capacity battery pack 28 is mounted on the battery pack receiving surface 22 of the inner cover 20 while the battery pack 8 is mounted on the upright substrate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terminal unit 12 while the outer cover 30 is installed to cover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Wherein the battery power of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main body electrode terminal (6)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through the power supply battery model pack (8) .
배터리 모형팩(8)은, 팩본체 일측에 일체 결합되고 상방 돌출된 직립기판(10)과, 본체 전극단자(6)에 접속되는 컨넥터(34a)를 갖는 가요성케이블(34)과, 직립기판(10) 내면에 형성된 충방전단자부(12)와, 가요성케이블(34)과 충방전단자부(12)간을 전기 연결하는 연결전선(18)으로 구성하고,
배터리실장홈(4)에 삽입된 전원전달용 배터리 모형팩(8)의 상방돌출된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대용량 배터리팩 안착면(22)을 함께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고, 대용량 배터리팩(28)이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터리모형팩(8)의 직립기판(10)에 그 일단이 끼움되어 충방전단자부(12)와 전기 접속되게 하며, 외부커버(30)가 대용량 배터리팩(28)을 덮으며 장착되게 구성하여,
대용량 배터리팩(28)의 배터리전원이 전원전달용 배터리 모형팩(8)을 통해 휴대단말본체(2)의 본체 전극단자(6)에 바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
And a power supply battery model pack (8) inserted into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instead of the existing mounted battery pack in a phony manner,
The battery model pack 8 includes a flexible cable 34 having an upright substrate 10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ck body and projecting upwardly and a connector 34a connected to the main electrode terminal 6, Discharge terminal portion 1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10 and a connection wire 18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lexible cable 34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terminal portion 12,
Capacity battery pack receiving surface 22 together with the slot hole 24 through which the upright substrate 10 protruded upward of the power-transmitting battery model pack 8 inserted in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Capacity battery pack 28 is mounted on the battery pack receiving surface 22 of the inner cover 20 while the battery pack 8 is mounted on the upright substrate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 discharging terminal unit 12 by being inserted into one end thereof, and the outer cover 30 is mounted so as to cover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Wherein the battery power of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main body electrode terminal (6)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through the power supply battery model pack (8) .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is a battery pack having a relatively larger capacity than an existing battery pack mounted in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Implementation device for large capacity terminal battery.
배터리 모형팩(8)은, 팩본체 일측에 일체 결합되고 상방 돌출된 직립기판(10)과, 본체 전극단자(6)에 접속되는 접촉단자부(8a)나 컨넥터(34a)와, 직립기판(10) 내면에 형성된 충방전단자부(12)와, 접촉단자부(8a)나 컨넥터(34a)중 하나와 충방전단자부(12)간을 전기 연결하는 연결전선(18)으로 구성하고,
배터리실장홈(4)에 삽입된 전원전달용 배터리 모형팩(8)의 상방돌출된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대용량 배터리팩 안착면(22)을 함께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고,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는 다수의 대용량 배터리팩(28a)(28b)들이 적층 안착되게 구성하되, 각 대용량 배터리팩(28a)(28b)이 배터리모형팩(8)의 직립기판(10)에 그 일단이 끼움되어 대응 충방전단자부(12a)(12b)와 전기 접속되게 구성하며, 외부커버(30)가 다수 대용량 배터리팩(28a)(28b)을 덮으며 장착되고, 안착된 다수 대용량 배터리팩(28a)(28b)의 전원중 하나를 선택하는 배터리 선택기(14)를 구비하여서,
배터리 선택기(14)에 의해서 선택된 하나의 대용량 배터리팩(28)의 배터리전원이 전원전달용 배터리 모형팩(8)을 통해 휴대단말본체(2)의 본체 전극단자(6)에 바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
And a power supply battery model pack (8) inserted into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instead of the existing mounted battery pack in a phony manner,
The battery model pack 8 includes an upright substrate 10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ck main body and projecting upwardly, a contact terminal portion 8a and a connector 34a connected to the main electrode terminal 6, And a connection wire 18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8a and the connector 34a to the charge and discharge terminal portion 12,
Capacity battery pack receiving surface 22 together with the slot hole 24 through which the upright substrate 10 protruded upward of the power-transmitting battery model pack 8 inserted in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20 is mounted covering the battery model pack 8,
A plurality of large capacity battery packs 28a and 28b are stacked on the battery pack seating surface 22 of the inner cover 20. Each of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s 28a and 28b is mounted on the battery pack mounting surface 22 of the battery pack 8 On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upright substrate 1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erminal portions 12a and 12b and the outer cover 30 is mounted covering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s 28a and 28b, And a battery selector (14) for selecting one of the powers of the plurality of large capacity battery packs (28a) and (28b)
The battery power of on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selected by the battery selector 14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electrode terminal 6 of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2 through the power supply battery model pack 8. [ And the battery capac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ed.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ize of the battery model pack (8) mounted on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or the size of the battery pack (28) The clamping jig 40 for clamping the battery model pack 8 or the battery pack 28 (28a, 28b) in the pack mounting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battery pack 28a (28a, 28b)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has a large capacity.
배터리 모형팩(8)은, 팩본체 일측에 일체 결합되고 상방 돌출된 직립기판(10)과, 본체 전극단자(6)에 접속되는 접촉단자부(8a)나 컨넥터(34a)와, 직립기판(10) 내면에 형성된 충방전단자부(12)와, 접촉단자부(8a)나 컨넥터(34a)중 하나와 충방전단자부(12)간을 전기 연결하는 연결전선(18)으로 구성하고,
배터리실장홈(4)에 삽입된 전원전달용 배터리 모형팩(8)의 상방돌출된 직립기판(10)이 통과되는 슬롯공(24)과 대용량 배터리팩 안착면(22)을 함께 갖는 내부커버(20)가 배터리모형팩(8)을 덮으며 장착되고, 대용량 배터리팩(28)이 내부커버(20)의 배터리팩 안착면(22)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터리모형팩(8)의 직립기판(10)에 그 일단이 끼움되어 충방전단자부(12)와 전기 접속되게 구성하며, 외부커버(30)가 대용량배터리팩(28)을 덮으며 장착되게 구성하고,
배터리 모형팩(8)내에는 소형배터리실장홈(62)이 형성되어서 추가적인 소형배터리팩(60)이 실장되게 구성하고, 대용량 배터리팩(28)과 소형 배터리팩(60)의 전원중 하나를 선택하는 배터리 선택기(14)가 구비되게 구성하여서,
배터리 선택기(14)에 의해서 선택되는 대용량 배터리팩(28) 및 소형 배터리팩(60)중 하나의 배터리전원이 전원전달용 배터리 모형팩(8)을 통해 휴대단말본체(2)의 본체 전극단자(6)에 바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배터리 대용량화 구현장치. And a power supply battery model pack (8) inserted into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instead of the existing mounted battery pack in a phony manner,
The battery model pack 8 includes an upright substrate 10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ck main body and projecting upwardly, a contact terminal portion 8a and a connector 34a connected to the main electrode terminal 6, And a connection wire 18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8a and the connector 34a to the charge and discharge terminal portion 12,
Capacity battery pack receiving surface 22 together with the slot hole 24 through which the upright substrate 10 protruded upward of the power-transmitting battery model pack 8 inserted in the battery mounting groove 4 Capacity battery pack 28 is mounted on the battery pack receiving surface 22 of the inner cover 20 while the battery pack 8 is mounted on the upright substrate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 discharging terminal unit 12 with one end thereof being inserted into the battery pack 28, and the outer cover 30 is mounted so as to cover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A small battery mounting groove 62 is formed in the battery model pack 8 so that an additional small battery pack 60 is mounted and a power supply of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and the small battery pack 60 is selected A battery selector 14 is provided,
The battery power of one of the large capacity battery pack 28 and the small battery pack 60 selected by the battery selector 14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electrod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2 6.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36886A KR101456667B1 (en) | 2013-11-12 | 2013-11-12 | Apparatus for embodying large capacity of mobile terminal's battery |
| PCT/KR2014/010648 WO2015072701A1 (en) | 2013-11-12 | 2014-11-07 | High-capacity battery case device having auxiliary battery function for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36886A KR101456667B1 (en) | 2013-11-12 | 2013-11-12 | Apparatus for embodying large capacity of mobile terminal's battery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56667B1 true KR101456667B1 (en) | 2014-11-04 |
Family
ID=5228914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368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6667B1 (en) | 2013-11-12 | 2013-11-12 | Apparatus for embodying large capacity of mobile terminal's batter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5666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510255A (en) * | 2018-10-31 | 2019-03-22 | 深圳欣旺达智能科技有限公司 | Double cell fast charge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96514A (en) * | 2010-02-22 | 2011-08-30 | 그린파워전자(주) | Battery pack device of solar cell charge type for mobile terminal |
| KR101142647B1 (en) * | 2011-11-25 | 2012-05-10 | 김염구 | Mounting device of double battery for mobile phone |
-
2013
- 2013-11-12 KR KR1020130136886A patent/KR1014566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96514A (en) * | 2010-02-22 | 2011-08-30 | 그린파워전자(주) | Battery pack device of solar cell charge type for mobile terminal |
| KR101142647B1 (en) * | 2011-11-25 | 2012-05-10 | 김염구 | Mounting device of double battery for mobile phon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510255A (en) * | 2018-10-31 | 2019-03-22 | 深圳欣旺达智能科技有限公司 | Double cell fast charge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668518B2 (en) | Mobile device case including electronic cigarettes and accessories | |
| US10250056B2 (en) |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 |
| US20090314400A1 (en) |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KR101356309B1 (en) |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Using Variable Chargeable Battery | |
| US7562997B2 (en) | Flashlight with a battery device having plural joined-together batteries | |
| US20110195753A1 (en) | Smartphone Case with LEDS | |
| JP2006014587A (en) | Portable charger | |
| US20100194332A1 (en) | Adjustable Charger | |
| US7785723B2 (en) | Battery device with plural joined-together batteries | |
| KR20130079314A (en) | Universal battery charger | |
| KR20160043199A (en) | Bluetooth earphone-integrated mobile terminal case | |
| CN205017433U (en) | Light compensating lamp | |
| CN204651978U (en) | A mobile power supply with machine and cable | |
| US20090079392A1 (en) |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nding unit | |
| CA2608293A1 (en) | An energy storage mobile charging adapter | |
| CN102722068A (en) | Chargeable projector for mobile phone | |
| KR101567048B1 (en) | Portable auxiliary battery apparatus | |
| KR101907795B1 (en) | Charger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 |
| KR101456667B1 (en) | Apparatus for embodying large capacity of mobile terminal's battery | |
| KR20140140175A (en) | Portable power supply | |
| KR101718664B1 (en) | Charg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1955772B1 (en) | Auxiliary battery capable of connecting mobile phone by a combination element | |
| KR200469699Y1 (en) | cell phones case | |
| KR20090001494U (en) |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 JP3130892U (en) | Charg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10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02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