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29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9629B1 KR101459629B1 KR1020080011216A KR20080011216A KR101459629B1 KR 101459629 B1 KR101459629 B1 KR 101459629B1 KR 1020080011216 A KR1020080011216 A KR 1020080011216A KR 20080011216 A KR20080011216 A KR 20080011216A KR 101459629 B1 KR101459629 B1 KR 1014596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air
- noise
- fan housing
- cyclone sepa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17 electrostatic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필터, 필터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필터 청소 유닛, 상기 이물질을 원심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 상기 필터 청소 유닛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발생 유닛 및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의 토출부에 설치된 소음차감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부를 통하여 나가는 소음을 차단하여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유닛 작동시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lter,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foreign matters of the filter, a cyclone separator for centrifuging the foreign matter, a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suction force to the filter cleaning unit, Noise reduction means.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oise emitt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is cut off, and the noise during operation of the filter clean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reduced.
공기조화기, 필터, 청소 유닛, 사이클론 분리기, 흡입력 발생 유닛, 소음저감부재 An air conditioner, a filter, a cleaning unit, a cyclone separator, a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차감수단에 의하여 흡입력 발생 유닛의 소음을 저감시킨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noise of a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is reduced by a noise reducing means.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 heating an indoor space by u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and functions to purify the room when a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the air is installed.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빈도에 따라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정화기능을 향상시킨다.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purifying units. In particular, a filter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detachably installed, and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filtered by the filter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 clean the room. The user can clean or replace the fil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thereby improving the purifying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작업시 수동으로 상기 필터를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탈거해야 한다. 따라서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청소 장치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장치 자체가 필터를 청소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However, the user needs to detach and clean the filter, or manually remove the filter from the air conditioner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Therefore,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during cleaning or replacement work, and the filter may not be cleaned or replaced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filter cleaning device can be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filter cleaning device itself can clean the filt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그러나 상기 필터 청소 유닛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는, 흡입력 발생 유닛 및 사이클론 분리기에서의 소음이 발생하여 공기조화기 작동시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filter cleaning unit, noise is generated i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and the cyclone separator, which causes a discomfort to the user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소음차감수단에 의하여 소음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저감시키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reduces the noise emitted to the outside by the noise reduction mean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설치된 필터, 상기 필터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청소하여 저장하는 필터 청소 유닛, 상기 필터 청소 유닛으로부터 흡입된 상기 이물질을 원심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 상기 필터청소유닛으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로 이동시키며,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구비하는 흡입력 발생 유닛 및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내에서 생성되어 상기 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차단수단을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lter installed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and storing the foreign matters filtered by the filter, a cyclone separator for centrifuging the foreign substance sucked from the filter cleaning unit, A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having a discharge unit for suck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cleaning unit and moving the same to the cyclone separator and discharging the air sucked from the cyclone separator and a noise generated i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a noise reduction means for reducing the nois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음차단수단은 상기 토출부의 개구면의 상부 또는 하부를 막는 소음저감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 저감부재는 상기 토출부에 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토출부의 개구면적의 1/2이하를 막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shielding means may be a noise attenuating member blocking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The noise reduction member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that is less than a half of the opening area of the discharge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은, 팬하우징 및 상기 팬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하우징은 서로 결합되는 상부 팬하우징과 하부 팬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소음저감부재는 상기 상부 팬하우징과 하부 팬하우징 중 어느 하나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저감부재는 상기 토출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부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fan housing and a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fan housing to suck air. The fan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fan housing and a lower fan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noise reducing membe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ny one of the upper fan housing and the lower fan housing. The noise reduction member may be disposed obliquely to the discharge unit to smooth air flow in the discharge uni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력 발생 유닛의 토출부에 소음차감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토출부를 통하여 나가는 소음을 차단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유닛 작동시,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noise reducing means at a discharging portion of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to cut off the nois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ing portion. Therefore, when the filter clean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the noise is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필터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clean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유입부(2) 및 배출부(4)가 형성된 본 체(100),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미도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미도시), 흡입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0) 및 필터(10)에 걸러진 이물질을 청소하는 필터 청소 장치를 포함한다. 1 and 2,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본체(100)는 공기조화기의 각 부품들을 둘러싸고 있는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본체(100)의 하부 양 측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부(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부 양 측면과 상판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입부(2) 및 배출부(4)는 본체의 외형, 에어컨의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조화기는 본체(100) 내부에 송풍기(미도시) 및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 내부로 흡입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송풍기가 흡입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blower (not shown) and a heat exchanger (not shown) in the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입부(2)에는 필터(10)가 배치된다. 필터(filter)란 어떠한 유체(air, gas, oil, fuel, water 등 기타)를 일정한 시간 내에 일정한 용량을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통과시키는 여과기로서, 특히 대기중에 존재하는 오염된 부유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해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터(10)는 상기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중의 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프리필터,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헤파필터, 탈취나 향균 성능이 우수한 나노 필터, 부직포와 조밀도가 다른 복수개의 폴리우레탄 등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필터 및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플라스마 전기 집진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들이 복수개로 채용되어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A
도3은 도2에 도시된 필터 청소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필터(10)에서 걸러진 이물질은 필터의 외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0)는 사용자가 분리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필터(10)를 분리하여 청소하여야 하고, 주기적으로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을 자동 청소하는 필터청소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청소장치는 필터 청소 유닛(30), 흡입력 발생 유닛(50), 소음차감수단(60), 사이클론 분리기(70), 이물질 수거통(90) 및 청소제어부(80)를 포함한다.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filter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필터 청소 유닛(30)은 필터의 공기 유입면을 따라 상하 방향(z)으로 이동하면서 필터상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 청소기(32), 필터 청소기(32)가 상하방향(z)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 흡입력 발생 유닛(50)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필터 청소기(32)가 수거한 이물질을 흡입하는 필터 덕트(34), 필터 덕트(34)를 통과한 이물질이 사이클론 분리기(7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사이클론 분리기(70)와 필터 덕트(34)를 연결하는 연결관(36)을 포함한다. The
사이클론 분리기(70)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 분리기(7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및 공기는 사이클론 분리기(70)의 내부의 외주면을 따라 원운동을 하면서 하부로 내려간다. 이때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서 공기와 분리되어 벽면을 타고 아랫방향으로 이동 하게 된다. 그리고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는 사이클론 분리기(70) 하부 중앙의 음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하부 중앙에서 그 진행방향을 상부로 향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하향성회류를 외부선회류라고 하고 방향이 바뀐 상향성회류를 내부선회류라고 한다. The
사이클론 분리기(70)는 상부에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71)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이클론 분리기(70)의 상부면은 흡입력 발생 유닛(50)과 연통되어 있고, 하부 측면은 이물질 수거통(90)과 연통되어 있다. 필터 청소 유닛(30)에서 유입된 이물질은 사이클론 분리기(70)에서 원심분리되고, 상기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는 흡입력 발생 유닛(50)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은 이물질 수거통(90)으로 이동되어 축적된다. The
이물질 수거통(90)은 사이클론분리기(70)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을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수거통은 사이클론분리기와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 수거통(90)은 사이클론 분리기(70)에서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이 사이클론 분리기(70)로 역류되지 않도록 사이클론 분리기(70)의 하부 측면과 이물질수거통(90)의 상부 측면이 파이프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물질수거통(90)은 축적된 이물질을 사용자가 외부로 배출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사이클론분리기(70)와 착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oreign
청소제어부(80)는 외부의 입력에 따라 필터 청소 유닛(30)의 구동부 및 흡입력 발생 유닛(50)의 팬모터(55)를 구동시켜 상기 필터 청소 장치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도4는 상기 도3에 도시된 흡입력 발생 유닛(50)과 소음저감부재(6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에 도시된 흡입력 발생 유닛(50)과 소음저감부재(6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흡입력 발생 유닛(50)과 소음저감부재(60)의 구성을 설명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ction
흡입력 발생유닛(50)은 팬하우징, 송풍팬(53) 및 팬모터(55)를 포함한다. The suction
상기 팬하우징은 팬하우징 내부의 송풍팬(53)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결합되는 상부 팬하우징(51)과 하부 팬하우징(57)을 포함한다. 따라서 팬하우징 내부에 송풍팬(53)과 팬모터(55)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의 일 측면에는 흡입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59)가 형성되고, 하부 팬하우징(57)의 저면은 사이클론분리기(70)의 상면과 연통되어 사이클론분리기(70)에서 분리된 공기가 유입된다. 송풍팬(53)은 팬모터(55)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고, 송풍팬의 회전에 발생한 흡입력은 필터청소유닛(30)에서 청소한 이물질을 사이클론분리기(70)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The fan housing includes an
소음저감부재(60)는 토출부(5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소음을 차감하는 기능을 한다. 토출부(5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소음에는 사이클론분리기(70)와 흡입력 발생 유닛(50)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소음, 유동하는 유체와 송풍팬, 팬하우징 등의 구조물과의 접촉에 의한 소음 및 팬모터와 송풍팬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소음 등이 있다. 상기 소음의 대부분은 팬하우징 내부의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토출부(59)를 통하여 외부로 나간다. 따라서 소음저감부재(60)는 상기 토출부(59)의 개구면의 하부를 막아서 공기의 진동에 의해 토출부(59)를 통하여 외부로 나가는 소음을 차단한다. 즉 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나가는 소음의 일부는 소음저감부재(60)에 의해 반사(Reflection)되어 팬하우징 내부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소음의 파장는 밀도가 높은 물질에서 잘 반사되므로, 소음저감부재(60)는 소음이 반사가 잘 되는 밀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음저감부재(60)는 토출부(59)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소음은 소음저감부재(60)에서 팬하우징 내부로 반사가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부(59)의 하부를 막았지만, 소음저감부재(60)는 토출부(59)의 상부를 막을 수도 있다.The noise reduction member (60) serves to subtract the nois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59). The nois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소음저감부재(60)가 토출부(59)의 개구면을 막는 비율(이하 '차폐비'라 한다)에 따라 차단되는 소음의 양은 다르다. 상기 차폐비가 큰 경우 토출부(59)를 통하여 외부로 나가는 소음을 많이 반사를 시켜서 토출부(59)를 통하여 토출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래의 표1은 소음저감부재(60)가 토출부(59)의 개구면을 차폐하는 비율에 따라 토출부에서의 소음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The amount of noise to be cut off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atio at which the
표 1에 나타난 차폐비는 전체 토출부(59)의 높이(t1)와 소음저감부재(60)의 높이(t2)의 비(t2/t1)를 나타내는 것이고, 토출부에서의 소음은 토출부의 출구에 설치된 소음기를 통하여 측정한 소음을 dBA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1을 참고하면 토출부(59)에 소음저감부재(60)를 설치한 경우, 차폐비가 클수록 토출부(59)에서의 소음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폐비가 큰 경우 토출부(59)의 개구면을 많이 차폐하게 되어, 토출부(59)를 통하여 배출되는 풍량이 저하되어 송풍기의 효율이 오히려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높이가 1/2이상이 되는 경우, 소음저감효과는 증가하지만 토출 풍량이 크게 저하되어 송풍기의 효율이 떨어지므로 상기 차폐비가 1/2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차폐비가 너무 작은 경우 충분한 소음저감효과를 얻을 수 가 없으므로, 소음저감효과와 풍량의 감소량을 감안하면 차폐높이가 1/3이상 되도록 소음저감부재(60)의 높이(t2)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ielding ratio shown in Table 1 indicates the ratio t2 / t1 of the height t1 of the
한편, 상기 팬하우징은 상부 팬하우징(51)과 하부 팬하우징(57)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음저감부재(60)는 상기 상부 팬하우징(51) 또는 하부 팬하우징(57)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소음저감부재(60)를 생산하고 토출부(59)에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fan housing is formed by combining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음저감부재(60)가 공기의 진행방향에 수직이 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6을 참조하면, 소음저감부재(60')는 토출부(59)와 일정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일정각도(θ)는 공기의 진행방향쪽으로 형성되거나, 공기의 진행방향과 반대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공기의 진행방향쪽으로 형성되는 경우, 공기의 토출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보다 팬하우징 내부로 반사되는 소음이 적어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는 떨어진다. 반대로 공기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형성되는 경우,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팬하우징 내부로 반사되는 소음이 많아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는 향상되나, 토출공기의 흐름을 막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일정각도(θ)는 송풍기의 풍량과, 토출부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When the air is formed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there is an effect of smoothly discharging the air, but the noise reflected to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is less than the case where the air is arranged vertically.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being formed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ir, the noise reflected to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is more increased than in the case of vertically disposed, thereby improving the noise reduction effect. Therefore, the predetermined angle? Can be various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필터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clean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도3은 도2에 도시된 필터 청소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filter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2,
도4는 도3에 도시된 흡입력 발생 유닛 및 소음저감부재를 확대한 사시도,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and the noise reducing member shown in Fig. 3,
도5는 도4에 도시된 흡입력 발생 유닛 및 소음저감부재의 분해 사시도,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and the noise reducing member shown in Fig. 4,
도6은 도4에 도시된 소음저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noise reducing membe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00: 본체 10: 필터100: Body 10: Filter
30: 필터 청소 유닛 50: 흡입력 발생 유닛30: Filter cleaning unit 50: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51: 상부 팬하우징 53: 송풍팬51: upper fan housing 53: blowing fan
55: 팬모터 57: 하부 팬하우징55: Fan motor 57: Lower fan housing
59: 토출부 70: 사이클론 분리기59: discharging portion 70: cyclone separator
71: 흡입부 80: 청소제어부71: suction unit 80: cleaning control unit
90: 이물질 수거통 90: Dust collecto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1216A KR101459629B1 (en) | 2008-02-04 | 2008-02-04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11216A KR101459629B1 (en) | 2008-02-04 | 2008-02-04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85367A KR20090085367A (en) | 2009-08-07 |
| KR101459629B1 true KR101459629B1 (en) | 2014-11-07 |
Family
ID=4120539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11216A Active KR101459629B1 (en) | 2008-02-04 | 2008-02-04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5962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73954Y1 (en) * | 2013-03-11 | 2014-09-25 | 주식회사 리한 | Air control means which is combined in the air cleaner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6504Y1 (en) | 2002-12-17 | 2003-03-11 | 주식회사 진도리빙텍 | Ventilator |
| KR100768002B1 (en) | 2006-09-20 | 2007-10-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08
- 2008-02-04 KR KR1020080011216A patent/KR1014596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6504Y1 (en) | 2002-12-17 | 2003-03-11 | 주식회사 진도리빙텍 | Ventilator |
| KR100768002B1 (en) | 2006-09-20 | 2007-10-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85367A (en) | 2009-08-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0423851C (en) | Cyclone Air Purifier | |
| RU2271137C1 (en) | Cyclone type dust catcher and vacuum cleaner with cyclone type dust catcher | |
| CA2513062C (en) | Central vacuum system with secondary airflow path | |
| CN213665058U (en) | Industrial dust collector | |
| JPH0966007A (en) | Vacuum cleaner with noise reduction system | |
| US7914596B2 (en) | Air purifier | |
| JP4390738B2 (en) | Air cleaner | |
| CN102755140A (en) | Automatic cleaning and filtering device of dust collector | |
| KR101459629B1 (en) | Air conditioner | |
| CN111281264B (en) | Household dust collector | |
| CN110613400A (en) | Cyclone separation assembly, dust collection cup body and mite removing and cleaning equipment | |
| JP2002349918A (en) | Air cleaner | |
| JP4942573B2 (en) | Electric equipment and vacuum cleaner | |
| CN101623184A (en) | Dust collecting device for dust collector | |
| JP2007190234A (en) | Dust collecting device with air cleaning function | |
| CN1791347A (en) | Device for removing particles from a separation chamber | |
| JP5077473B1 (en) | Cyclone separation device and vacuum cleaner | |
| KR200466747Y1 (en) | Vacuum cleaner | |
| CN101596084B (en) | Dust collecting barrel with separated part | |
| CN218474563U (en) | A separator and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machine | |
| KR200205691Y1 (en) | Noise reduction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sound absorption case | |
| KR20090081917A (en) | Air conditioner | |
| CN100484458C (en) | Dust-collecting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 KR20090086745A (en) | Air conditioner | |
| JP2006289169A (en) | Air clea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0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