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0041B1 -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 Google Patents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041B1
KR101450041B1 KR1020120066766A KR20120066766A KR101450041B1 KR 101450041 B1 KR101450041 B1 KR 101450041B1 KR 1020120066766 A KR1020120066766 A KR 1020120066766A KR 20120066766 A KR20120066766 A KR 20120066766A KR 101450041 B1 KR101450041 B1 KR 101450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entering
medical
centering mechanism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313A (ko
Inventor
이배
황인철
이호인
박종오
박석호
이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66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041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04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16Guide wires with mandrils
    • A61M25/09033Guide wires with mandrils with fixed mandrils, e.g. mandrils fixed to tip; Tension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93Catheter, guide wire or the like with means for holding, centering, anchoring or frictionally engaging the device within an artificial lumen, e.g.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47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centering means, e.g. balloons having an appropriat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강 내에 시술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에 관한 것으로, 의료 기구의 삽입을 안내하게 되는 중공 형상의 인너 카테터(110)와, 이 인너 카테터(110)가 삽입되어 인너 카테터(111)를 따라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아웃터 카테터(120)를 포함하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카테터(120)의 선단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131)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다수의 가요성 스트립(132)으로 이루어진 센터링부재(130)가 마련됨으로써, 종래의 벌룬 타입의 확장체와는 달리 별도의 압력 유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카테터의 센터링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Centering tool for a medical catheter}
본 발명은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압력유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는 직접 신체에 삽입되는 의료용 수단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기구로써, 혈관 주사용, 관상동맥 확장용, 요도 삽입용, 기도삽입용, 복강경 수술용 카테터 등과 같이 신체 삽입을 위한 다양한 카테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혈관, 요도, 기도 등을 통해 정밀하게 삽입되어야 하며, 그 조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며, 시술 편의성, 정확성 및 안정성의 관점에서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뇌혈관,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 급성 심근경색, 심장마비와 같은 심혈관계 치료 분야에서 다양한 카테터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혈관성형 시술법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확장 카테터는 주로 협착, 또는 폐색한 혈관 등의 체내 통로에 대해 체내 형성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확장 카테터는 내부에 복수의 루멘(lumen)을 갖는 튜브상의 카테터 샤프트(shaft)의 선단 부분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벌룬(ballon) 형태의 확장용 루멘에 연통한 확장체를 가짐과 동시에 기단부에 각 루멘에 연통한 포트를 갖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확장 카테터는 통상의 상태에서 확장체는 카테터 샤프트에 대해 접힌 상태이며, 치료에서 확장 카테터의 확장체부는, 예를 들어 환자의 대동맥을 거쳐 관상 동맥의 협착 부위 중에 삽입하여, 거기서 압력 유체를 확장체의 내부에 도입함으로써 확장시켜 협착 또는 폐색한 환부를 확장시킨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특1997-0020053호(공개일자: 1997.05.28), 특허공개 특1997-7000522호(공개일자: 1997.02.12),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60260호(공개일자: 2009.06.11) 등에는 압력 유체를 이용하여 벌룬 형태의 확장체를 팽창시키는 벌룬 카테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확장체는 카테터 시술에서 의료용 기구를 목표 부위까지 삽입한 후에 카테터가 혈관 등의 체강 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센터링부재로 사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센터링부재는 압력 유체를 벌룬 형태의 확장체 내에 주입하여 확장이 이루어지므로, 불편하며 시술 작업을 지연시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압력 유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카테터의 센터링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는, 의료 기구의 삽입을 안내하게 되는 중공 형상의 인너 카테터와, 이 인너 카테터가 삽입되어 인너 카테터를 따라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아웃터 카테터를 포함하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카테터의 선단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다수의 가요성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센터링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은 상기 아웃터 카테터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의 폭은 절개홈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 각각에는 반경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은 선단의 곡률이 후단보다 더 크거나, 또는 선단의 곡률이 후단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는, 인너 카테터가 삽입되어 인너 카테터를 따라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아웃터 카테터에서 반경 방향으로 만곡되어 탄성을 갖는 다수의 가요성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센터링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종래의 벌룬 타입의 확장체와는 달리 별도의 압력 유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카테터의 센터링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는 의료 기구의 삽입을 안내하게 되는 중공 형상의 인너 카테터(110)와, 이 인너 카테터(110)가 삽입되어 인너 카테터(111)를 따라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아웃터 카테터(120)를 포함한다.
도 1은 협착물을 천공하기 위한 카테터를 예시한 도면으로, 인너 카테터(110) 내에는 협착물을 천공하기 위한 절삭툴(101)이 마련되며, 절삭툴(101)은 인너 카테터(110)를 따라서 전후 이동 또는 회전이 가능하여 선단에 구비된 드릴링 팁을 이용하여 절삭툴(101)의 조작에 의해 협착물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인너 카테터(110)는 합성수지재의 유연성 튜브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 또는 금속 와이어가 편조된 블레이드(braid)를 심재로 하여 합성수지가 코팅된 튜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인너 카테터(110)의 선단부에는 선단부가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는 헤드(111)가 고정되며, 이 헤드(111)는 인너 카테터(110)가 혈관 내에 도입되어 목표 부위까지 진입하는 과정에서 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아웃터 카테터(120)의 선단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131)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다수의 가요성 스트립(132)으로 이루어진 센터링부재(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센터링부재(130)는 혈관 내의 목표 부위 중앙에서 인너 카테터(110)를 견고히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스트립(132)은 상기 아웃터 카테터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며, 예를 들어, 6개의 가요성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가요성 스트립들이 60°만큼 회전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 스트립이 아웃터 카테터의 중심축(CL1)에 대해 회전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혈관 내에서 인너 카테터는 편심되지 않고 중앙에서 센터링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요성 스트립은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혈관 내벽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스트립의 폭은 절개홈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요성 스트립은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충분한 탄성력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요성 스트립 각각에는 탄성을 갖는 와이어 또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별도로 삽입되어 탄성력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인너 카테터(110)와 함께 아웃터 카테터(120)가 혈관(10) 내에 삽입되며, 이때 아웃터 카테터(120)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가요성 스트립(132)은 압축되어 혈관(10) 내에 삽입이 이루어진다.
협착물(20)이 위치하는 목표 부위까지 인너 카테터(110)가 진입한 후에는 가요성 스트립(132)에 의해 혈관(10) 중앙에 인너 카테터(110)가 고정되며, 절삭툴(101)을 이용하여 협착물(20)에 대해 천공 작업 또는 기타 필요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시술 시에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사이즈를 갖는 센터링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예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센터링부재(230)는 가요성 스트립 선단(231)의 곡률이 후단(232)보다 더 작게 제작될 수 있으며(a), 또는 다른 실시예로써 센터링부재(330)는 가요성 스트립 선단(331)의 곡률이 후단(332)보다 더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술 부위에 따라서 사용되는 센터링부재의 사이즈, 길이, 또는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1 : 절삭툴 110 : 인너 카테터
120 : 아웃터 카테터 130 : 센터링부재
131 : 절개홈 132 : 가요성 스트립

Claims (6)

  1. 의료 기구의 삽입을 안내하게 되는 중공 형상의 인너 카테터와, 이 인너 카테터가 삽입되어 인너 카테터를 따라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아웃터 카테터를 포함하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카테터의 선단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어 아웃터 카테터와 일체로 구성된 다수의 판상의 가요성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센터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스트립은 상기 아웃터 카테터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대칭되게 배치되어 그 폭은 절개홈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 각각에는 반경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은 선단의 곡률이 후단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트립은 선단의 곡률이 후단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KR1020120066766A 2012-06-21 2012-06-21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450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66A KR101450041B1 (ko) 2012-06-21 2012-06-21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766A KR101450041B1 (ko) 2012-06-21 2012-06-21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313A KR20130143313A (ko) 2013-12-31
KR101450041B1 true KR101450041B1 (ko) 2014-10-15

Family

ID=4998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7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0041B1 (ko) 2012-06-21 2012-06-21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0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5369A (ja) * 2002-06-24 2005-11-24 コーディス・コーポレイション センタリングカテーテル
JP2009500052A (ja) * 2005-06-20 2009-01-08 アブレーション フロンティア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ブレーション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5369A (ja) * 2002-06-24 2005-11-24 コーディス・コーポレイション センタリングカテーテル
JP2009500052A (ja) * 2005-06-20 2009-01-08 アブレーション フロンティア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ブレーション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313A (ko) 201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5478B2 (ja) 拡張カテーテル
CN108577937B (zh) 一种切割球囊及球囊导管
JP3425363B2 (ja) ステント送給システムのためのシースおよび使用方法
JP4404630B2 (ja) 非定置ステントを備えたバルーンカテーテル
CA2274032C (en) Neovascularization catheter
US82679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deploying an occluding device within a vessel
KR20220156546A (ko) 경피적 관상 동맥 개입술을 위한 혈관 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JP2020512045A (ja) 医療デバイス送達システム用結合ユニット
US2005020955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total occlusions
JP2009527316A (ja) 最小侵襲性血管内治療装置
US20230218870A1 (en) A mobile balloon support catheter
JP2008512140A (ja) 機械的に展開可能な閉塞器
EP3197531B1 (en) Catheter systems for re-entry in body vessels with chronic total occlusion
EP4353165A1 (en) Cutting balloon catheter with concealed blades
EP3099371B1 (en) Balloon with mandrel support guidewire
JP2008000276A (ja) カテーテル用拡張体及び拡張カテーテル
KR101450041B1 (ko)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기구
CN120641165A (zh) 用于操纵介入装置的侧视可扩张框架和装置
JP6014911B2 (ja) カテーテル用切断ワイヤ組立体
JP2016187441A (ja) カテーテル
KR101387029B1 (ko) 의료용 카테터의 센터링장치
JP4605581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5618421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4954571B2 (ja) 長尺状医療用具保持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15112265A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0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00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