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575B1 - Bluetooth antenna and po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uetooth antenna and po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0575B1 KR101450575B1 KR1020080038885A KR20080038885A KR101450575B1 KR 101450575 B1 KR101450575 B1 KR 101450575B1 KR 1020080038885 A KR1020080038885 A KR 1020080038885A KR 20080038885 A KR20080038885 A KR 20080038885A KR 101450575 B1 KR101450575 B1 KR 1014505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radiation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bluetoo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uetooth antenna capable of minimizing a mounting spa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Bluetooth antenna.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면에 급전 패드와 접지 패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일단이 상기 급전 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을 통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선형의 방사체, 및 일단이 상기 방사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지 패드에 연결되는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안테나와,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A linear radiator that is connected to the feed pad and has one end extending through both sid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linear radia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eed pa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pad,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Bluetooth antenna.
이에 의하면, 블루투스 안테나의 방사체가 인쇄회로기판의 양면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소형화 및 박형화된 휴대 단말기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ince the radiator of the Bluetooth antenna is direct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can be advantageously used in manufacturing a miniaturized and thinned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 블루투스, 안테나, 인쇄회로기판, PIFA Portable terminal, Bluetooth, antenna, printed circuit board, PIFA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휴대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is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A wireless LAN terminal, and the like, which can carry various function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while being carried by an individual.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Such portable terminals have not only achieved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due to steady development, but also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mp3, digital camera, navigation, and internet access.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is being reborn as a complex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s already become a necessity of modern people.
한편 휴대 단말기의 발전과 더불어,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무선 헤드셋(headset)의 사용이 점차 늘고 있다. 그리고 근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0004] 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terminals, the use of wireless headsets connected to wireless terminals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increasing. Recently, Bluetooth (bluetooth) technology is mainly used as a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그런데 블루투스의 주파수 대역이 2.4GHz인 반면, 통화 주파수(예컨대, CDMA 주파수 등)은 블루투스와 다른 주파수 대역(예컨대 824 내지 894MHz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 기능과 블루투스 기능을 함께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휴대 단말기가 통화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모두 구비하여야 한다.However, while the frequency band of Bluetooth is 2.4 GHz, the calling frequency (e.g., CDMA frequency, etc.) uses a different frequency band (e.g., 824 to 894 MHz) than Bluetooth. Therefore, in order to use both the call function and the Bluetooth function by using on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must include both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signal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luetooth signal.
그런데 최근에 작고 얇은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요구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 내에 다수 개의 안테나를 결합시킬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은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는 안테나 장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심화되고 있다.However, since a small and thin portable terminal is recently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a sufficient space can not be secured for coupling a plurality of antennas in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more, this problem is further exacerbated as the number of antenna apparatuse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블루투스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uetooth antenna capable of minimizing a space occupied by a Bluetooth antenna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Bluetooth antenn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는 일면에 급전 패드와 접지 패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급전 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을 통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선형의 방사체, 및 일단이 상기 방사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지 패드에 연결되는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uetooth antenna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feed pad and a ground pad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linear radiator connected to the feed pad at one end thereof and extending through both surfac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devic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dia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p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한 블루투스 안테나, 및 상기 블루투스 안테나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luetooth antenna, and a talk antenna which i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Bluetooth antenna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은 일면에 급전 패드와 접지 패드가 형성되는 기판 몸체, 일단이 상기 급전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 몸체의 양면을 통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선형의 방사체, 및 일단이 상기 방사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접지 패드와 연결되는 수동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사체는 상기 기판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급전 배선층에 연결되는 제1 방사부, 상기 기판 몸체의 타면 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방사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방사부, 및 상기 기판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방사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방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luetooth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body having a power supply pad and a ground pad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d, And a passive elemen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adia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pad, wherein the radiato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eed wiring layer A second radiation pa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and having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adiation part, and a second radiation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body, And a third radiating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와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사체가 인쇄회로기판의 양면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블루투스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소형화 및 박형화된 휴대 단말기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는 다양한 튜닝 지점(즉, 방사체의 길이와 두께(즉, 선폭), 그리고 인덕터와 같은 수동 소자)을 통해 휴대 단말기 모델에 따라 해당 모델에서 최적의 성능으로 수행되도록 블루투스 안테나를 튜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블루투스 안테나를 별도로 제조하여 실장하고, 이를 튜닝함에 따라 소요되는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Bluetooth antenna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Bluetooth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require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Bluetooth antenna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since the radiator is direct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for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manufacturing a miniaturized and thinned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Bluetooth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optimal performance in a corresponding model according to a portable terminal model through various tuning points (i.e., a length and a thickness of a radiator (i.e., a linewidth) and a passive element such as an inductor) The antenna can be tuned. As a result, the Bluetooth antenna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 Bluetooth antenna is mounted and tuned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required, and the cost required for the Bluetooth antenna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designat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a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은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국한되지 않으며, PBA(Printed Board Assembly)를 통합하여 지칭한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not limited to a PCB (Printed Circuit Board) but is referred to as a PBA (Printed Board Assemb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기판 몸체를 투과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rear view of FIG. 1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strate body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안테나(100)는 휴대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즉, 인쇄회로기판(110)의 기판 몸체(115)와, 기판 몸체(115) 상에 형성되는 선형의 방사체(150), 및 수동 소자(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A and 2B, a Bluetooth
인쇄회로기판(110)은 일면(이하, 급전면)과 타면(이하, 방사면)을 갖는 기판 몸체(115)와, 기판 몸체(115)의 일면에 형성되는 급전부(130)를 포함한다.The printed
휴대 단말기(300)의 인쇄회로기판(110)에는 실제적으로 상기한 급전부(130)들 이외에도 다양한 회로와 다수의 부품이 실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inted
기판 몸체(115)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절연판으로, 그 양면에 휴대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소자들이 실장된다. 기판 몸체(115)의 소재로는 프리프레그(prepreg), 유리 섬유가 함유된 에폭시 수지(Glass-Epoxy Resin), 비티 수지(BT Resi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급전부(130)는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급전부(130B; 이하, 블루투스 급전부)와 통화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의 급전부(130A; 이하, 통화 급전부), 및 접지층(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되는 블루투스 급전부(130B)는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방사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이고, 통화 급전부(130)는 통화 안테나의 방사체(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이다. The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급전부(130B)와 통화 급전부(130A)는 기판 몸체(115)의 일면인 급전면에 모두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급전부(130)는 급전 패드(P), 접지 패드(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luetooth
각 대응하는 방사체(150, 도 4A의 220)의 일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각 접지 패드(G)는 대응하는 각 급전 패드(P)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블루투스 급전부(130B)의 접지 패드(G)는 수동 소자(140)를 통해 블루투스 안테나 방사체(150) 일단에 연결된다. 더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급전 패드(P)들과 접지 패 드(G)들은 기판 몸체(115)를 관통하는 비아(via; 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하여 각각 기타 회로들 및 접지층(도 2의 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corresponding radiator 150 (220 in Fig. 4A). And each ground pad G is formed close to each corresponding one of the power feed pads P. [ The ground pad G of the Bluetooth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급전부(130B)와 통신 급전부(130A)가 기판 몸체(115)의 동일한 면(즉 급전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Bluetooth
접지층(120)은 기판 몸체(115) 내부에 형성되며 기판 몸체(115)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110)에 형성되는 회로들의 접지선 및 각 급전부(130)의 접지 패드(G)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방사체(150; 또는 통화 안테나의 방사체)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접지층(120)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접지층(120)이 블루투스 안테나(100; 또는 통신 안테나)의 동작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The
이러한 접지층(1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만 도시하였다. 또한, 접지층(120)의 위치는 도 2와 같이 기판 몸체(115)의 내부로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 몸체(115)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is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급전부(130)의 각 구성 요소들은 구리 소재의 배선층으로, 기판 몸체(115)에 동박(Cu foil)을 부착한 다음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Patterning)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Each component of the
수동 소자(140)는 일단이 후술되는 블루투스 방사체(15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블루투스 급전부(130B)의 접지 패드(G)에 연결된다. 수동 소자(140)로는 인덕터(inductor; L) 또는 캐패시터(capacitor; C)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 동 소자(140)의 소자 값은 고정된 값으로 정해지지 않으며, 후술되는 튜닝 과정을 통해 설정된다.One end of the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방사체(150)는 선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블루투스 급전부(130B)에 연결되며, 기판 몸체(115)의 양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방사체(150; 이하, 블루투스 방사체)는 제1 방사부(151), 제2 방사부(153), 제3 방사부(155)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제1 방사부(151)와 제2 방사부(153)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52), 및 제2 방사부(153)와 제3 방사부(155)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제1 방사부(151)는 기판 몸체(115)의 급전면 즉, 블루투스 급전부(130B)가 형성되어 있는 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블루투스 급전부(130B)의 급전 패드(P)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제2 방사부(153)는 기판 몸체(115)의 타면 즉, 방사면에 형성되고, 후술되는 제1 연결부(152)를 통해 일단이 제1 방사부(151)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제3 방사부(155)는 기판 몸체(115)의 일면 즉, 제1 방사부(151)와 동일한 면에 형성되고, 후술되는 제2 연결부(154)를 통해 일단이 제2 방사부(153)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방사체(150)는 모두 동일한 선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블루투스 방사체(150)는 기판 몸체(115)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만 다를 뿐, 제1 방사부(151), 제2 방사부(153), 및 제3 방사부(155)에 의해 동일한 폭을 갖는 하나의 긴 선 형태로 형성된다.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방사부(153)와 제3 방사부(155)는 기판 몸체(115)를 매개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길이만 다를 뿐 마주보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방사부(155)는 후술되는 튜닝 과정을 통해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사부(153)와 제3 방사부(155)는 마주보는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 선 형상으로 대응되지만, 일반적으로 제3 방사부(155)의 길이가 제2 방사부(15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the
제1 연결부(152)는 제1 방사부(151)의 타단과 제2 방사부(153)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연결부(154)는 제2 방사부(153)의 타단과 제3 방사부(155)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152)와 제2 연결부(154)는 인쇄회로기판(110)의 기판 몸체(115)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각 방사부들(151, 153, 15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 몸체(115)에 비아 홀(via hole)들 형성하고, 비아 홀들의 내부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제1 연결부(152) 및 제2 연결부(154)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전성 물질은 블루투스 방사체(15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152) 및 제2 연결부(154)는 상기한 비아 홀을 이용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기판 몸체(115)의 양면에 형성되는 방사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However, th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방사체(150)를 개 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3a의 경우, 제1 연결부(352)와 제2 연결부(354)는 기판 몸체(315)의 형상을 따라 최단거리로 형성된다. 즉, 도 2와 같이 별도의 비아 홀을 이용하지 않고, 기판 몸체(315)의 외형을 따라 각 방사부(35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도 3b의 경우, 기판 몸체(415)에 별도의 관통 홀(417)들을 형성하고, 관통 홀(417)을 통해 각 방사부(45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150)는 인쇄회로기판(1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110)에 회로층을 인쇄하는 과정에서 다른 회로들에 더하여 제1 방사부(151), 제2 방사부(153), 및 제3 방사부(155)를 인쇄함으로써 다른 회로들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 소재의 배선층으로 회로를 인쇄하는 경우, 이러한 과정은 기판 몸체(115)에 동박(Cu foil)을 부착한 다음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Patterning)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52)와 제2 연결부(154)의 경우, 회로 등에 포함되는 관통 홀이나 비아 홀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는 별도의 제조 과정 없이 인쇄회로기판(1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판 몸체(115) 상에 직접 일정한 안테나 패턴(즉, 블루투스 방사체)을 형성한다. 이는 인쇄회로기판(110) 상에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 형태의 안테나를 직접 형성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이에 따라 별도로 블루투스 안테나의 방사체를 제조하고 이를 인쇄회로기판에 접합하는 종래에 비하여 제조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는 그 사용 환경이나,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다른 구성 요소(예컨대, 케이스나 안테나 위치 등)들에 따라 성능의 차이가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튜닝 지점(turning point)들에서 적절하게 튜닝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erformanc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튜닝 지점으로는 블루투스 방사체(150)의 길이, 수동 소자(140), 그리고 제2 방사부(153)와 제3 방사부(155) 간에 발생되는 커플링(Coupling) 효과 등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는 블루투스 방사체(150)의 전체 길이와, 블루투스 방사체(150)에 연결되는 수동 소자(140)의 종류와 소자 값,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제2 방사부(153)와 제3 방사부(155) 상호 간에 형성되는 커플링 효과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튜닝할 수 있다. The tuning point of the
블루투스 방사체(150)의 전체 길이는 제3 방사부(155)의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방사체(150)의 전체 길이는 대응하는 전파에 대해 λ / 4의 길이를 기본으로 하여 기본 공진을 구현하지만, 주변 환경과 여러 요인들에 의해 최적의 길이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안테나(100)가 최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길이를 설정하기 위해 제3 방사부(155)의 타단 부분을 일정 구간 절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방사체(150)의 길이를 조절한다. The overall length of the
또한, 커플링 효과는 서로 마주보는 제2 방사부(153)와 제3 방사부(155) 사이에 발생되며,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는 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공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커플링 효과는 서로 마주보는 제2 방사부(153)와 제3 방사부(155)의 면적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 방사부(153)와 제3 방사부(155)에서 최적의 커플링 효과가 일어날 수 있는 면적으로 선폭을 측정하고, 이에 해당 선폭으로 방사체(150)를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안테나(100)를 튜닝한다. The coupling effect is generated between th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합한 수동 소자(140)를 선택함으로써 블루투스 안테나(100)를 튜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다양한 튜닝 지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튜닝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어서 통화 안테나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call antenna is coupled will be described.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안테나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portable terminal incorporating a call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300)는 전술한 블루투스 안테나(100)와, 통화 안테나(200)를 함께 구비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안테나(10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통화 안테나(200)는 휴대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상대 단말기(300)와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안테나로, CDMA 안테나나 GSM 안테나 등을 모두 포함한다. The
통화 안테나(200)는 판 형상의 유전판(210)과, 유전판(210)의 표면에 형성된 통화 안테나 방사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전판(210)은 유리 섬유가 함유된 에폭시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유전판(210)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몸체(115)로부터 통화 안테나 방사체(220)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해 형성된 형태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통화 안테나 방사체(150)는 유전판(2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일단이 인쇄회로기판(110)의 통화 안테나 급전부(도 1a의 13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안테나(200)는 블루투스 안테나(100)와 서로 간섭이 없는 거리 즉,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이 확보되는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안테나(200)는 제2 방사부(153)가 형성된 면 즉, 기판 몸체(115)의 타면에 설치된다.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화 안테나(2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사부(153)에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 방사부(153)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안테나(200)의 방사체(220)와 블루투스 방사체(150)의 이격 거리(L)가 3mm 내지 4mm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이는 측정을 통해 획득한 적정 값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두 안테나 간에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된다면 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4A and 4B,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0)는 통화 안테나(2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기판 몸체(115)에 블루투스 안테나(100)가 형성된다. 따라서 통화 안테나(200)와 블루투스 안테나(100)가 각각 별도의 위치에 형성되어 각각 공간을 차지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통화 안테나(200)가 블루투스 안테나(100)와 근접하게 설치되지만, 이격 거리에 의해 두 안테나 간의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된다. 따라서 최소의 공간을 이용하면서도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lso, in the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의 성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erformance of the Bluetooth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블루투스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measuring a standing wave ratio of the Bluetooth antenna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는 2400MHz에 대응하는 '1' 지점에서 매우 낮은 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400MHz에서 2500MHz('2' 지점)사이의 구간에도 비교적 낮은 정재파비를 보이고 있다. Referr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는 블루투스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서 매우 낮은 정재파비를 보인다. 따라서, 블루투스 안테나(100)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블루투스 안테나의 Passive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0dBm의 파워를 입력하였을 때 각 주파수 별 TIS(Total Isotropic Sensitivity)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Next, FIG. 6 is a diagram showing passive measurement results of the Bluetooth antenna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result of measuring TIS (Total Isotropic Sensitivity) for each frequency when 0 dBm power is input.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경우, 블루투스의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들에 대하여 -2.76dBi ~ -3.41dBi 내의 값으로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안테나의 TIS 측정에서 측정 값이 -4dBi ~ -5dBi 이상이면 양호한 성능으로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경우, 매우 양호한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in the case of the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블루투스 안테나의 방사출력파워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2400MHz(0ch), 2420MHz(39ch), 및 2440MHz(79ch)에 대해 active TRP(Total Radiated Power)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7 is a graph showing the radiation output power of the Bluetooth antenna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active TRP (Total Radiated Power) is measured for 2400 MHz (0 ch), 2420 MHz (39 ch), and 2440 MHz Results.
이를 참조하면, 각 주파수에 대응하는 TRP가 -2.64dBm, -2.94dBm, -4.15dBm으로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안테나의 TRP가 -4dBm 이상인 경우, 블루투스 안테나의 성능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도 7의 측정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가 양호한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RP corresponding to each frequency was measured as -2.64dBm, -2.94dBm, -4.15dBm. Generally, when the TRP of the Bluetooth antenna is more than -4 dBm,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performance of the Bluetooth antenna.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이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수 안테나의 측정 값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To explain this more clearly, the measured value of the blue pitching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ared as follows.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의 방사출력파워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반적인 칩 형태의 블루투스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사출력파워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채널들은 도 8의 채널들과 동일하게 대응한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radiation output power of a Bluetooth antenn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shows a radiation output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eneral chip type Bluetooth antenna. Here, each of the channels corresponds to the channels of FIG. 8 in the same manner.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블루투스 안테나는 TRP 값이 -4.07dBm, -4.72dBm, -5.66dBm으로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블루투스 안테나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보다 TRP가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100)의 성능이 종래 기술보다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TRP value of the conventional Bluetooth antenna is measured as -4.07 dBm, -4.72 dBm, and -5.66 dBm.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luetooth antenna, TRP is lower than that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는 블루투스 방사체가 인쇄회로기판의 양면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블루투스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소형화 및 박형화된 휴대 단말기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uetooth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Bluetooth antenna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since the Bluetooth radiator is direct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for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manufacturing a miniaturized and thinned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는 휴대 단말기 모델에 따라 해당 모델에서 최적의 성능으로 수행되도록 방사체의 길이와 두께, 그리고 인덕터와 같은 수동 소자를 조절하며 블루투스 안테나를 튜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블루투스 안테나(예컨태 칩 형태)를 별도로 실장하고, 이를 튜닝함에 따라 발생되는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더하여, 별도의 블루투스 안테나(예컨태 칩 형태)에 적합한 휴대 단말기를 개발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uetooth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a passive element such as a length and a thickness of a radiator and an inductor so as to perform optimal performance in a corresponding model according to a portable terminal model, thereby tuning the Bluetooth antenna. Accordingly, the Bluetooth antenna (e.g.,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chip) can be separately mounted and tuned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developing a portable terminal suitable for a separate Bluetooth antenna (e.g.,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chip).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안테나와 블루투스 모듈 안테나를 함께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블루투스 안테나를 구비하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안테나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의 다른 안테나(예컨대, 무선 랜 안테나 등)와도 함께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alth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antenna and a Bluetooth module antenna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all devices having a Bluetooth antenna.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mmunication antenna, and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ennas (e.g., a wireless LAN antenna).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에 블루투스 안테나의 방사체가 인쇄되어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방사체를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모양으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접착시킨 후,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a case where a radiator of a Bluetooth antenna is pri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eparate radiator may be adher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And t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eding part.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안테나와 블루투스 모듈 안테나가 인쇄회로기판의 동일한 위치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예를 들었으나, 이는 인쇄회로기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공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antenna and the Bluetooth module antenna are spaced apart from the same posi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 That is, when there is space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form them at different positions.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배면도.FIG. 1B is a rear view of FIG. 1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기판 몸체를 투과하여 도시한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ubstrate body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radi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안테나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to which a call antenna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블루투스 안테나의 정재파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measuring a standing wave ratio of the Bluetooth antenna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블루투스 안테나의 Passive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 passive measurement result of the Bluetooth antenna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블루투스 안테나의 방사출력파워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the radiation output power of the Bluetooth antenna of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안테나의 방사출력파워를 나타내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 radiation output power of a conventional Bluetooth antenn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블루투스 안테나 110 : 인쇄회로기판100: Bluetooth antenna 110: printed circuit board
115, 315, 415 : 기판 몸체 120 : 접지층115, 315, 415: substrate body 120: ground layer
130 : 급전부 130A : 통화 안테나 급전부130: feeding
130B : 블루투스 안테나 급전부 140 : 수동 소자130B: Bluetooth antenna feed 140: Passive element
150, 350, 450 : 블루투스 안테나 방사체 150, 350, 450: Bluetooth antenna radiator
151 : 제1 방사체151: first radiator
152, 352 : 제1 연결부 153 : 제2 방사체152, 352: first connection part 153: second radiator
154, 354 : 제2 연결부 155 : 제3 방사체154, 354: second connection part 155: third radiator
200 : 통화 안테나 210 : 유전판200: Talking antenna 210: Dielectric plate
220 : 통화 안테나 방사체220: Calling antenna radiator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38885A KR101450575B1 (en) | 2008-04-25 | 2008-04-25 | Bluetooth antenna and po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38885A KR101450575B1 (en) | 2008-04-25 | 2008-04-25 | Bluetooth antenna and po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113026A KR20090113026A (en) | 2009-10-29 |
| KR101450575B1 true KR101450575B1 (en) | 2014-10-15 |
Family
ID=4155416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388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0575B1 (en) | 2008-04-25 | 2008-04-25 | Bluetooth antenna and po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505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613890B (en) * | 2020-06-11 | 2023-07-1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9340647A (en) * | 2023-07-19 | 2025-01-21 |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 Bluetooth antennas, positioning devices and vehicle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17126B1 (en) | 2004-10-28 | 2006-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uetooth antenn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66047B1 (en) | 2005-01-03 | 2007-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Built-in antenna module with radiator for Bluetooth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JP2007194995A (en) * | 2006-01-20 | 2007-08-02 | Murata Mfg Co Ltd |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
| KR20070117266A (en) * | 2006-06-08 | 2007-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Built-in antenn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2008
- 2008-04-25 KR KR1020080038885A patent/KR1014505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17126B1 (en) | 2004-10-28 | 2006-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uetooth antenn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66047B1 (en) | 2005-01-03 | 2007-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Built-in antenna module with radiator for Bluetooth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JP2007194995A (en) * | 2006-01-20 | 2007-08-02 | Murata Mfg Co Ltd |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
| KR20070117266A (en) * | 2006-06-08 | 2007-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Built-in antenn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113026A (en) | 2009-10-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01921B1 (en) | Patent application title: PORTABLE TERMINAL WITH METAL CASE | |
| CN101512832B (en) | Tunable Antennas for Handheld Devices | |
| TWI403021B (en) | Carrier and device | |
| JP3990699B2 (en) |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 KR100638726B1 (en) |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 |
| US8344955B2 (en) | Integrated antenna with e-flex technology | |
| KR20000019433A (en) | Integrated transmitting-receiving type micro strip patch antenna | |
| US20100207832A1 (en) | Antenna arrangement, printed circuit boar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conversion kit | |
| KR20080001611A (en) | Antennas and Portable Radios | |
| KR20070098020A (en) |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 |
| JP3253255B2 (en) |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device and portable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 |
| US20080272964A1 (en) | Antenna Radiator Assembly and Radio Communications Assembly | |
| KR101450575B1 (en) | Bluetooth antenna and po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 JP4133928B2 (en) |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 |
| CN114628892B (en) | PCB antenna and electronic equipment | |
| US7940218B2 (en) | Multilayer PCB antenna | |
| KR20010052177A (en) | Substrate antenna | |
| KR20080019798A (en) | Built-in antenna using balun of mobile terminal | |
| JP7671773B2 (en) | Cover Type Antenna | |
| KR102280754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Chip Having Internal Antenna, Internal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Method for Fabricating Wireless Communication Chip Having Internal Antenna | |
| KR200273804Y1 (en) | Flat type antenna | |
| JP2004201145A (en) | Module with antenna | |
| CN117594983A (en) | Antenna feed structure | |
| CN119481713A (en) |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101783254B1 (en) |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0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