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509B1 - Device for continuous reac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separating amino acid enantiomers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tinuous reac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separating amino acid enantiom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5509B1 KR101465509B1 KR1020120088740A KR20120088740A KR101465509B1 KR 101465509 B1 KR101465509 B1 KR 101465509B1 KR 1020120088740 A KR1020120088740 A KR 1020120088740A KR 20120088740 A KR20120088740 A KR 20120088740A KR 101465509 B1 KR101465509 B1 KR 1014655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ion tank
- amino acid
- reactor
- imine
- connection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46—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e.g. for the synthesis of polypeptides or polynucleotide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molecular arr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6—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hemical means or hydroly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41/00—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41/006—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by reactions involving C-N bonds, e.g. nitriles, amides, hydantoins, carbamates, lactames, transamination reactions, or keto group formation from racemic mixtures
- C12P41/007—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by reactions involving C-N bonds, e.g. nitriles, amides, hydantoins, carbamates, lactames, transamination reactions, or keto group formation from racemic mixtures by reactions involving acyl derivatives of racemic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원은 아미노산 광학 이성질체의 연속적 분리 공정이 가능한 연속 반응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의 연속 반응장치는 두 개의 연속 반응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연속 반응기는 상부 및 하부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저장용기는 반응기 연결관을 통해 나머지 연속 반응기의 상부 반응조 또는 하부 반응조와 연결된다. 본원의 연속 반응장치를 사용할 경우, 단일 반응기에서 유기용액층과 수용액층을 분리하는데 따른 공정상의 복잡함과 시간의 낭비를 줄여, 키랄 선택적 수용체를 이용한 D형 또는 L형의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 생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isclosed herein are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and methods capable of continuous separation of amino acid optical isomers. The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continuous reactors, one continuous reactor comprises upper and lower storage vessels, which are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reactor of the remaining continuous reactor through a reactor connection tube . When the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reduce process complexity and waste of time in separating the organic solution layer and the aqueous solution layer in a single reacto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optically pure amino acid production of the D- or L- .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 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수한 아미노산 광학 이성질체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민 추출 반응용 연속 반응기 및 아미노산 추출용 가수분해 연속 반응기와 이를 연결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의 아미노산을 수득/분리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and a pure amino acid optical isomer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inuous reaction reactor for immune extraction reaction and a hydrolysis continuous reactor for extracting amino acids, and an optically pure D- or L- An apparatus for obtaining / separating amino acids, and a method using the same.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로 모두 아미노기(NH2)와 카르복실기(COOH)를 포함하며, 측쇄에 따라 그 화학적 특성이 결정된다. 아미노산은 세포를 구성하는 필수 물질로서, 인공합성 여부에 따라 천연 아미노산과 비천연 아미노산으로 나뉘어지고, 생체 내에서 생성 여부에 따라 필수 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나뉘어진다.Amino acids are basic constituent units of proteins and include amino groups (NH 2 ) and carboxyl groups (COOH), and their chemical properties are determined by their side chains. An amino acid is an essential substance that constitutes a cell. It is divided into a natural amino acid and a non-natural amino acid according to the artificial synthesis, and is divided into an essential amino acid and a non-essential amino acid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oduced in vivo.
아미노산은 20 여종의 천연 아미노산과 700 여종의 비천연 아미노산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천연 아미노산은 L-형이며 산업적 생산단가가 낮다. 대부분의 비천연 아미노산은 D-형으로서 L-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산단가 및 산업적 부가가치가 높다.There are about 20 kinds of natural amino acids and about 700 kinds of unnatural amino acids. Most natural amino acids are L-form and have low industrial production costs. Most non-natural amino acids are D-type and relatively higher in production cost and industrial added value than L-type.
아미노산이 L-형과 D-형으로 나뉘는 것을 광학 이성질체(enantiomer) 또는 카이럴(chiral) 특성이라 하며, 분자량과 분자식은 동일하다. 그러나, L-글루타민은 감칠맛을 가지지만 D-글루타민은 신맛을 내고, L-발린은 저알부민병의 치료제로 사용되지만, D-발린은 농약, 살충제로 사용되는 등 판이한 특성을 가진다. L-형만 또는 D-형만으로 구성된, 광학적으로 순수한(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은 비대칭 촉매(asymmetric catalyst)의 리간드로 사용되거나, 각종 의약품 및 생리활성 물질을 합성하는데 필요한 출발물질 또는 중간체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므로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화합물이다(Helmchen, G.; Pfaltz, A. Acc. Chem. Res. 2000, 33, 336-345).The separation of amino acids into L-form and D-form is called an optical isomer (enantiomer) or chiral property, and the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formula are the same. However, although L-glutamine has a rich taste, D-glutamine has an acidic taste and L-valine is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hypoallergic disease. However, D-valine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used as pesticide and insecticide. Optically pure (D-type or L-type single) amino acids composed of only L-type or D-type are used as ligands for asymmetric catalysts or as starting materials or intermediates for synthesizing various drugs and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Helmchen, G .; Pfaltz, A. Acc. Chem. Res. 2000, 33, 336-345).
자연상태로 발효를 통해 생산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아미노산은 L-형 또는 라세미(racemic) 혼합물로 존재한다. 발효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아미노산은 천연 아미노산 중 L-아미노산에 국한되어 있다. 광학적으로 순수한 D-아미노산 및 비천연 아미노산은 효소법, 광학분할법을 통해 생산되고 있으나, 제조비용이 많이 들어 발효로 제조되는 천연 L-아미노산에 비해 단가가 5-10배 가까이 높게 형성되고 있으며 대량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Maruoka, K.; Ooi, T. Chem. Rev. 2003, 103, 3013.).Amino acids produced by fermentation in a natural state or chemically synthesized are present as L-form or racemic mixtures. Amino acids obtained through fermentation are limited to L-amino acids among natural amino acids. Although optically pure D-amino acids and unnatural amino acids are produced by enzymatic and optical resolution methods, they are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have a unit price of 5-10 times higher than that of natural L-amino acids produced by fermentation. (Maruoka, K .; Ooi, T. Chem. Rev. 2003, 103, 3013.).
최근까지, 산업적 활용도에 맞게 L-형과 D-형을 분리하든지, L-형과 D-형을 전환시키는 기술, 즉 광학활성 화합물 제조기술(chirotechnology, 키랄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본 발명자들은 키랄선택적 수용체인, 알데하이드기를 갖는 바이나프톨 유도체를 사용하여 이민 결합을 통해 키랄 아미노알코올 및 아미노산의 키랄성을 인식하고 L-아미노산을 D-아미노산으로 전환시키고 이를 분리하는 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a)Park, H.; Kim, K. M.; Lee, A.; Ham, S.; Nam, W.; Chin, J. J. Am. Chem. Soc. 2007, 129, 1518-1519;(b) Kim, K. M.; Park, H.; Kim, H.; Chin, J.; Nam, W. Org. Lett. 2005, 7, 3525-35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612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100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14483호). Until recently, techniques for converting L-form and D-form into L-form and D-form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at is, chirotechnology (chiral technology) Have developed a method of recognizing the chirality of chiral amino alcohols and amino acids through imine coupling using a chiral selective acceptor, a binaphthol derivative having an aldehyde group, converting L-amino acid into D-amino acid and separating the chiral amino alcohol and amino acid Kim, KM; Lee, A .; Ham, S .; Nam, W .; Chin, JJ Am. Chem. Soc 2007, 129, 1518-1519; Park, H .; Kim, H .; Chin, J .; Nam, W. Org. Lett., 2005, 7, 3525-3527,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61280,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1007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4483).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알데하이드기를 갖는 바이나프톨 유도체는 S-형과 R-형으로 나뉘며, S-형은 D-형 아미노산과 선택적으로 이민 결합을 만들고, R-형은 L-형 아미노산과 선택적으로 이민 결합을 만드는 특성이 있다 (Park, H.; Kim, K. M.; Lee, A.; Ham, S.; Nam, W.; Chin, J. J. Am . Chem . Soc. 2007, 129, 1518). 이와 같이 방향족 고리화합물에 알데하이드기와 이웃한 -OH기를 갖는 키랄성 화합물들은 기본적으로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으로 이민을 만들게 되며 이러한 화합물들을 통칭하여 Alanine Racemase Chiral Analogue (ARCA)로 명명하였다. 그 이유는 이들 화합물들이 기본적으로 Alanine Racemase (AR) 라는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는데 핵심역할을 하는 5'-포스페이트 피리독살 (5pyridoxal) (PLP)의 키랄 유도체이기 때문이다. PLP는 방향족 고리화합물에 알데하이드기와 이웃한 -OH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아미노산과 이민 결합을 안정하게 이루고 아미노산의 알파 수소의 산성을 증가시켜 아미노산의 라세미화를 유도한다. 이들 ARCA 화합물들은 아미노산과 이민을 잘 형성하며 기본적으로 아미노산에 대해 키랄 선택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ARCA들을 만들고 특허 출원을 완료한 상태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06221호; 제10-2010-011448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87498호; 제0870227호). The binaphthol derivative having an aldehyde group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 is divided into S-type and R-type, S-type forms an imine bond selectively with D-type amino acid, R-type forms an L- (Kim, KM; Lee, A .; Ham, S .; Nam, W .; Chin, J. J. Am . Chem . Soc . 2007, 129 , 1518) . In this way, chiral compounds having an -OH group adjacent to an aldehyde group in an aromatic ring compound basically produce amino acids and chiral selective imines, and these compound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lanine Racemase Chiral Analogue (ARCA). This is because these compounds are basically chiral derivatives of 5'-phosphate 5pyridoxal (PLP), which plays a key role in the enzymatic activity of Alanine racemase (AR). PLP has an aldehyde group and an adjacent -OH group in an aromatic ring compound, thereby stabilizing amino acid and imine bond, and increasing acidity of alpha hydrogen of amino acid to induce racemization of amino acid. These ARCA compounds form amino acids and imines well and are basically chiral selective for amino acids.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many kinds of ARCA and have filed patent applications so far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06221, No. 10-2010-0114483, Korean Patent No. 1087498, No. 0870227 ).
이들 ARCA는 여러 가지 DMSO, CHCl3, CH2Cl2, 톨루엔 등의 모든 유기용매에서 TEA (Triethanolamine)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이민 상태의 아미노산의 L-형을 D-형으로 또는 D-형을 L-형으로 전환시킨다. 키랄전환된 아미노산은 HCl과 같은 산성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가수분해를 통해 회수하고 ARCA는 재생되어 다시 반복 사용되게 된다. 물과 혼합이 잘되는 DMSO와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면 가수분해 반응시 수용액과 혼합되어 ARCA의 재생과 아미노산의 회수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물과 혼합되지 않는 톨루엔, CH2Cl2등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아미노산의 키랄 변환을 이루는 것이 좋으나 이 경우 통상적으로 키랄전환 반응이 느려지고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TEA와 같은 염기를 과량 사용하게 됨으로써 가수분해시 아미노산과 함께 TEA의 HCl염이 함께 수용액층으로 이동하게 되어 아미노산의 정제에 비용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ARCA가 존재하는 유기용매와 아미노산이 존재하는 수용액을 반응시켜 수용액층의 아미노산이 이민을 만들며 유기층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06221호). 이 공정에서 물층에서는 과량의 아미노산이 pH 10-13 정도를 유지하며 유기층에는 ARCA와 분주 (Aliquat, Fluka)와 같은 상전이 촉매가 함께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일반적인 아미노산들은 상온에서 1-3시간 정도에 유기층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이민을 만들게 된다. 이 조건하에서 통상적으로 유기층에서는 이민 상태 아미노산의 키랄 전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키랄선택적인 이민 추출 반응 후 유기층은 반응기에서 분리되어 다른 반응용기의 산성의 수용액과 또다시 추출 반응을 시킨다. 그러면 이민이 가수분해되어 키랄선택된 아미노산이 물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유기층은 처음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어 다시 이민 추출 반응에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처음에 이민 추출 반응에 사용된 과량의 아미노산 수용액은 PLP나 살리실 알데하이드 (salicyl aldehyde)와 같은 라세미 촉매를 사용하여 계속 라세미 상태를 유지시켜 주고 키랄선택적 이민 형성 추출반응과 가수분해 추출 반응의 두 공정을 반복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처음의 모든 아미노산이 키랄 선택적으로 L 또는 D형으로 전환되게 된다. 이처럼 키랄선택적 이민 형성 추출반응, 가수분해 추출 반응과 아미노산의 라세미화를 바탕으로 아미노산의 키랄전환을 이루는 공정은 이미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 출원되었다(한국 공개특허 제2010-0106221호). These ARCA can be used in all organic solvents such as DMSO, CHCl 3 , CH 2 Cl 2 and toluene in the presence of a base such as TEA (Triethanolamine) to convert the L-form of the imine to the D- - convert to a form. The chiral converted amino acid is recovered through hydrolysis by treatment with an acidic aqueous solution such as HCl, and the ARCA is regenerated and reused repeatedly. When an organic solvent such as DMSO mixed with water is used, it is mixed with an aqueous solution during the hydrolysis reaction, resulting in a great cost for regeneration of ARCA and recovery of amino aci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CH 2 Cl 2 or the like that does not mix with water to achieve chiral conversion of an amino acid. However, in this case, the chiral conversion reaction usually slows down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or more) The HCl salt of TEA together with the amino acid moves to the aqueous solution layer during the hydrolysis, resulting in a cost burden for the purification of the amino aci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process for reacting an organic solvent in which ARCA exists and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an amino acid is present, thereby allowing an amino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layer to migrate and selectively migrate to an organic lay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06221). In this process, excess amino acid is maintained at pH 10-13 in the water layer, and phase transition catalyst such as ARCA and aliquat (Fluka) coexists in the organic layer. Under these conditions, common amino acids migrate to the organic layer in 1-3 hours at room temperature to produce immigrants. Under these conditions, chiral conversion of the imatinic amino acid does not normally occur in the organic layer. After this chiral selective immune extraction reaction, the organic layer is separated from the reactor and subjected to an extraction reaction with an acidic aqueous solution of another reaction vessel. Then, the imine is hydrolyzed and the chiral selected amino acid is transferred to the water layer, and the organic layer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and can be used repeatedly in the immune extraction reaction. The initial aqueous solution of amino acid used in the immune extraction reaction was maintained in a racemic state using a racemic catalyst such as PLP or salicyl aldehyde, and the chiral selective immobilization extraction reaction and the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Repeating both processes results in the conversion of all the first amino acids chiral selectively into L or D forms. Such a chiral selective immune formation extraction reaction, a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and a racemization of amino acid based on chiral conversion of amino acid have already been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06221).
위 문헌에 개시된 방식은 회분식으로, 회분식으로 아미노산 키랄전환을 진행할 경우 반응기 내에서 수용액층과 유기용액층을 분리하고 다른 공정으로 용액을 이송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the method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 when an amino acid chiral conversion is carried out batchwise, it takes time to separate the aqueous solution layer and the organic solution layer from each other in the reactor and transfer the solution to another process,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본 발명에서는 키랄선택적 이민 형성 추출반응, 가수분해 추출 반응과 아미노산의 라세미화를 바탕으로 아미노산의 키랄전환을 이루는 공정을 회분식 (batch type)이 아닌 연속 공정을 통해 이룸으로써 그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늘리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hiral selective immobilization extraction reaction, the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and the racemization of amino acid, the process for achieving the chiral conversion of the amino acid is carried out through a continuous process rather than a batch type, do.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장치와는 상이하게, 다수의 반응조를 높이를 달리하여 서로 연결하고, 연속적으로 운전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여, ARCA와 같은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이용하여 키랄선택적 이민 형성 추출반응, 가수분해 추출 반응을 바탕으로 하는 아미노산의 키랄전환 공정을 연속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광학활성 아미노산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고자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operating a plurality of reaction vessels connected to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The present inventors have succeeded in producing an optically active amino acid efficiently by performing a chiral conversion process of amino acid based on a chiral selective immobilization extraction reaction and a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 분리공정을 키랄선택적 이민 추출과 가수분해 추출 반응을 바탕으로 하는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공정으로 나누어, 각각의 추출공정을 연속 반응기에서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추출반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divided the optically pure amino acid separation process into a chiral selective immune extraction and an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process based on a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The reac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본원은 연속 반응기를 제공하며, 상기 연속 반응기는, 각각 높이를 달리하여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부, 중앙부 및 하부의 3개 반응조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반응조는 상기 상부 반응조 및 상기 중앙부 반응조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중앙부 반응조 및 상기 하부 반응조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연결관을 통해 이웃한 반응조와 연결되고, 상기 각 반응조에는 교반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는 각각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반응조에는 가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inuous reactor, wherein the continuous reactor is composed of three reaction tanks, the upper, middle and lower reaction tanks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each of the reaction tanks being located between the upper reaction tank and the central reaction tank A first connection pipe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positioned between the central reaction tank and the lower reaction tank, and each of the reaction tanks is provided with a stirrer, and the upper and lower reaction tanks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input ports , And the lower reaction tank is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device.
본원은 또한 본원의 연속 반응기는 상부 저장용기 및 하부 저장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저장용기는 제 3 연결관을 통해 상기 상부 반응조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저장용기는 제 4 연결관을 통해 상기 하부 반응조와 연결되는, 연속 반응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ntemplates a continuous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n upper storage vessel and a lower storage vessel, wherein the upper storage vessel is connected to the upper reactor through a third connection tub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reaction tank.
본원은 또한 본원에 따른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이민 추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연속 반응기의 하부 반응조에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를 구성하는 상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과 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상기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 사이에 이민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 반응조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아미노산 수용액은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형성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 및상기 하부 반응조에서 상기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extracting an immune from a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continuously introducing an aqueous solution of a racemic amino acid into a bottom reaction tank of the continuous reactor; Continuously injecting a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water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constituting the continuous reactor; Mixing the aqueous solution of the racemic amino acid and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in a central reaction tank to form an imine between the amino acid and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imine formed in the central reaction tank flows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the aqueous amino acid solution flows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imine formation reaction This happens; And separating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imine separately from the lower reaction tank.
본원은 또한 본원에 따른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이민 추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연속 반응기의 상부 반응조에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를 구성하는 하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과 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상기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 사이에 이민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 반응조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아미노산 수용액은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형성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반응조에서 상기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immune extraction using a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continuously introducing an aqueous solution of a racemic amino acid into the upper reactor of the continuous reactor; Continuously injecting a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constituting the continuous reactor; Mixing the aqueous solution of the racemic amino acid and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in a central reaction tank to form an imine between the amino acid and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imine formed in the central reaction tank flows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aqueous amino acid solution flows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imine formation reaction This happens; And separately separating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imine in the upper reaction tank.
본원은 또한 본원에 따른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연속 반응기의 하부 반응조에 산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의 상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와 D형 또는 L형 아미노산 간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산 용액과 상기 이민이 포함된 유기 용매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가수분해를 통해 상기 이민을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로 분리하는 가수분해 단계로,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은 산성 수용액 층으로 이동하고,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유기용매에 잔류하는 단계;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산성 수용액은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반응조에서 상기 수용액 층에 포함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ptically pur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method using a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continuously introducing an acid solution into a bottom reaction tank of the continuous reactor; Continuously injecting into the upper reactor of the continuous reactor a solution containing an imine formed between a chiral selective acceptor and a D- or L-type amino acid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at of water; A step of hydrolyzing the acid solution and the organic solvent solution containing the immigration in a central reaction tank and separating the imine into an amino acid and a chiral selective receptor through hydrolysis, the separated amino acid is moved to an acidic aqueous solution layer ,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is left in the organic solvent,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acidi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separated amino acid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Introducing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and performing an imine hydrolysis reaction in the upper and lower reaction vessels, respectively; And separately separat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optically pure amino acid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layer in the upper reaction tank.
본원은 또한 본원에 따른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연속 반응기의 상부 반응조에 산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의 하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와 D형 또는 L형 아미노산 간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산 용액과 상기 이민이 포함된 유기 용매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가수분해를 통해 상기 이민을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로 분리하는 가수분해 단계로,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은 산성 수용액 층으로 이동하고,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유기용매에 잔류하는 단계;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산성 수용액은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반응조에서 상기 수용액 층에 포함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ptically pur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method using a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continuously introducing an acid solution into the upper reactor of the continuous reactor; Continuously injecting a solution containing an imine formed between a chiral selective acceptor and a D-type or L-type amino acid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in the bottom reaction tank of the continuous reactor; A step of hydrolyzing the acid solution and the organic solvent solution containing the immigration in a central reaction tank and separating the imine into an amino acid and a chiral selective receptor through hydrolysis, the separated amino acid is moved to an acidic aqueous solution layer ,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is left in an organic solvent, the organic solvent including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acidi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separated amino aci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Introducing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and performing an imine hydrolysis reaction in the upper and lower reaction vessels, respectively; And separat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optically pure amino acid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layer separately in the lower reaction tank.
본원은 또한 본원에 따른 제 1 및 제 2의 두 개의 연속 반응기를 포함하는 연속 반응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두 개 중 하나의 연속 반응기는 상부 및 하부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저장용기는 반응기 연결관을 통해 두 개 중 나머지 반응기의 상부 반응조 또는 하부 반응조와 연결되는 연속 반응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comprising two first and second continuous re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one of the two continuous reactors comprises an upper and a lower storage vessel, Provides a continuous rea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reactor of the remaining two of the reactors through a reactor connector.
본원은 또한 본원에 따른 연속 반응장치를 이용한 순수한 아미노산 광학 이성질체 분리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연속 반응장치를 구성하는 두 개의 연속 반응기 중 하나에서 수행되는 이민 형성 추출 공정과, 상기 연속 반응장치를 구성하는 두 개의 반응기 중 나머지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이민 형성 추출 공정은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공정은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민 추출공정에서 생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가, 상기 연속 반응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연속 반응기와 제 2 연속 반응기를 연결하는 반응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기의 상부 또는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separating pure amino acid optical isomers using a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an immersion formation extraction process performed in one of two continuous reactors constituting the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Wherein th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process comprises the steps of any one of claims 3 or 4, wherein th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process comprises the steps of: Wherein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imine produced in the immersion extraction process is a mixture of the first continuous reactor and the second continuous reactor constituting the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The upper or lower half of the reactor in which the amino acid hydrolysis and extraction reaction is carried out And a step that flows twos.
본 발명은 단일 반응기에서 유기용액층과 수용액층을 분리하는데 따른 공정상의 복잡함과 시간의 낭비를 줄여,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이용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의 단일 아미노산 생산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공정의 간편화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and waste of time in separating the organic solution layer and the aqueous solution layer in a single reactor and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of optically pure D or L single amino acid using a chiral selective receptor Of course, the cost can be reduced by simplifying the proces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반응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연속반응기가 연결된 연속반응장치의 개략도이다. 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in which two continuous reactors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용액층 사이에서 특정 물질이 이동하며 빠른시간 내에 평형상태로 분배될 때 자동으로 용액을 분리하며 연속공정을 이루는 방법에는 카운터커런트 컬럼 공법 (Thomas A. Verachtert; Wheeling, III. US Patent 4491565, Jan. 1, 1985), 믹서-세틀러 (mixer-settler) 공법 (Giralico, Michael A.; Preston, Michael Joseph, US Patent 7550120, Jul 27, 2006), 원심력에 의한 연속 분리공법 (Todd, David B. US Patent 4284232, Aug 18, 1981)등이 알려져 있다. 이 공법을 ARCA에 의한 키랄선택적 이민 형성 추출반응, 가수분해 추출 반응과 아미노산의 라세미화를 바탕으로 하여 아미노산의 키랄전환을 이루는 공정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 그 이유는 ARCA를 사용하여 이민을 형성하는 추출 반응 및 이민을 가수분해하는 추출 반응 모두 약 1-3시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카운터커런트 컬럼 공법을 1시간 이상 걸리는 추출반응에 적용하려면 컬럼의 길이가 매우 길어야 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일반적인 믹서-세틀러 공법 또는 원심분리법을 적용하게 되면 믹서나 원심분리기 내에서 충분히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용액이 분리된다. Generally, when a specific material moves between two solution layers that do not mix with each other and the solution is equilibr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solution is automatically separated by a countercurrent column method (Thomas A. Verachtert, Wheeling, III. US Patent No. 4491565, Jan. 1, 1985), a mixer-settler method (Giralico, Michael A .; Preston, Michael Joseph, US Patent 7550120, Jul 27, 2006), continuous separation by centrifugal force , David B. US Patent 4284232, Aug. 18, 1981). It is difficult to apply this method to processes for chiral conversion of amino acids based on chiral selective immobilization extraction reaction by ARCA,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and racemization of amino aci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xtraction reaction to form an imine using ARCA and the extraction reaction to hydrolyze the immigrant require about 1-3 hours. For example, when applying the countercurrent column method to an extraction reaction that takes more than one hour, the length of the column must be very long. Applying a general mixer-settler method or centrifugation method, the solution is separated without sufficient reaction in a mixer or a centrifuge.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반응조를 여러 개 연결하여 반응시간을 충분히 보장하면서도 섞이지 않는 두 용액의 자동 분리를 성취함으로써 연속 공정을 달성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a continuous process by connecting multiple reaction vessels to achieve automatic separation of two solutions that do not mix well while assuring sufficient reaction time.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방향족 고리화합물에 알데하이드기와 이웃한 -OH기를 갖는 키랄성 화합물들을 통칭하며, Alanine Racemase Chiral Analogue (ARCA)라 한다. 이들 화합물은 기본적으로 Alanine Racemase (AR) 라는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는데 핵심역할을 하는 5'-포스페이트 피리독살 (5pyridoxal) (PLP)의 키랄 유도체이다. PLP는 방향족 고리화합물에 알데하이드기와 이웃한 -OH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아미노산과 이민 결합을 안정하게 이루고 아미노산의 알파 수소의 산성을 증가시켜 아미노산의 라세미화를 유도한다. 이들은 아미노산과 이민을 잘 형성하며 기본적으로 아미노산에 대해 키랄 선택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ARCA는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하기 문헌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Park, H.; Nandhakumar, R.; Hong, J.; Ham, S.; Chin, J.; Kim, K. M. Chem. Eur. J. 2008, 14, 9935; Tang, L.; Choi, S.; Nandhakumar, R.; Park, H.; Chung, H.; Chin J.; Kim, K. M. J. Org. Chem. 2008, 73, 5996; Nandhakumar, R.; Ryu, J.; Park, H.; Tang, L.; Choi, S.; Kim, K. M. Tetrahedron 2008, 64, 7704; Tang, L.; Ga, H.; Kim, J.; Choi, S.; Nandhakumar, R.;Kim, K. M. Tetrahedron Lett. 2008, 49, 6914; Park, H.; Hong, J.; Ham, S.; Nandhakumar, R.; Kim, K. M. Bull. Kor. Chem. Soc. 2009, 30, 409; Nandhakumar, R.; Ahn, Y. S.; Hong, S.; Ham, S.; Kim, K. M. Tetrahedron 2009, 65, 666; 및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06221호; 제10-2010-011448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87498호; 및 제0870227호. The term chiral selective acceptor used herein refers to chiral compounds having an -OH group adjacent to an aldehyde group in an aromatic ring compound and is referred to as Alanine Racemase Chiral Analogue (ARCA). These compounds are basically chiral derivatives of 5'-phosphate 5pyridoxal (PLP), which plays a key role in the activity of enzymes called alanine racemase (AR). PLP has an aldehyde group and an adjacent -OH group in an aromatic ring compound, thereby stabilizing amino acid and imine bond, and increasing acidity of alpha hydrogen of amino acid to induce racemization of amino acid. They form amino acids and imines well and are basically chiral selective for amino acids. ARCA that may be used herei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e following references: Park, H .; Nandhakumar, R .; Hong, J .; Ham, S .; Chin, J .; Kim, KM Chem. Eur. J. 2008, 14, 9935; Tang, L .; Choi, S .; Nandhakumar, R .; Park, H .; Chung, H .; Chin J .; Kim, KM J. Org. Chem . 2008, 73 , 5996; Nandhakumar, R .; Ryu, J .; Park, H .; Tang, L .; Choi, S .; Kim, KM Tetrahedron 2008, 64 , 7704; Tang, L .; Ga, H .; Kim, J .; Choi, S .; Nandhakumar, R., Kim, KM Tetrahedron Lett. 2008, 49 , 6914; Park, H .; Hong, J .; Ham, S .; Nandhakumar, R .; Kim, KM Bull. Kor. Chem. Soc. 2009, 30 , 409; Nandhakumar, R .; Ahn, YS; Hong, S .; Ham, S .; Kim, KM Tetrahedron 2009, 65 , 666;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06221; 10-2010-011448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87498; And 0870227.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반응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한 양태에서 본원은 연속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연속 반응기는 각각 높이를 달리하여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부, 중앙부 및 하부의 3개 반응조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반응조는 상기 상부 반응조 및 상기 중앙부 반응조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중앙부 반응조 및 상기 하부 반응조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연결관을 통해 이웃한 반응조와 연결되고, 상기 각 반응조에는 교반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는 각각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반응조에는 가압장치가 구비된다. In one aspect, the disclosure is directed to a continuous reactor. The continuous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ree reaction tanks which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and each of the reaction tanks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located between the upper reaction tank and the central reaction tank, A reaction vessel and a second reaction vessel located between the lower reaction vessel, and each of the reaction vessels is provided with an agitator, each of the upper and lower reaction vessels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the lower reaction vessel is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device Respectively.
본원의 연속 반응기는 키랄선택적 이민 추출 공정과 이민의 가수분해 추출 반응을 기본으로 하는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continuous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arry out an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process based on a chiral selective immersion extraction process and a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of an imine.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반응기의 개략도 이다. 본원의 연속 반응기가 키랄 선택적 이민 추출 또는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공정에 사용되는 경우 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속 반응기는 높이 따라 하부, 중앙부, 및 상부로 구성되는 세 개의 반응조(각각 10, 12, 14)를 포함한다. 세 개의 반응조에서, 하부 반응조(10)와 중앙부 반응조(12)는 하부 연결관 또는 제 2 연결관(11)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중앙부 반응조(12)와 상부 반응조(14)는 상부 연결관 또는 제 1 연결관(1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중앙부 반응조(12)에서 하부 반응조(10)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관(11)의 위치보다 중앙부 반응조(12)에서 상부 반응조(14)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13)의 위치가 높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continuous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hiral selective immersion extraction or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process, each constitu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continuous reactor comprises three reaction vessels (10, 12 and 14, respectively) consisting of a lower, a middle, and an upper along the height. In the three reaction vessels, the
세 개의 반응조(10, 12, 14)는 높이를 달리하여, 예를 들면 계단식으로 연결된다. 즉, 하부 반응조(10)와 중앙부 반응조(12) 사이의 하부 연결관(11)을 기준으로 볼 때, 중앙부 반응조(12)에 연결된 하부 연결관(11)의 일측 개구부가 하부 반응조(10)에 연결된 하부 연결관(11)의 타측 개구부보다 수평면상으로 높이 위치해 있다. 또한, 중앙부 반응조(12)와 상부 반응조(14) 사이의 상부 연결관(13)을 기준으로 볼 때, 상부 반응조(14)에 연결된 상부 연결관(13)의 일측 개구부가 중앙부 반응조(12)에 연결된 상부 연결관(13)의 타측 개구부보다 높게 위치해 있다. 한편, 설치 위치로 보았을 때, 상부 반응조(14)가 가장 높게 설치되고, 하부 반응조(10)가 가장 아래에 설치된다. 하부 반응조(10)와 중앙부 반응조(12) 및 상부 반응조(14)의 저부에는 각각 교반장치, 예를 들어 스터러(24)가 설치된다. 본원의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는 각각 투입구 (14a 및 10a)가 설치된다. The three
연속 반응기는 상부 저장용기(18)와 하부 저장용기 (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저장용기(18)는 제 3 연결관을 통해 상기 상부 반응조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저장용기(16)는 제 4 연결관 (17)을 통해 상기 하부 반응조와 연결된다. 즉 하부 반응조(10)의 일측에는 하부 저장용기 연결관 즉 제 4 연결관(17)을 통해 하부 저장용기(16)가 연결된다. 하부 반응조(10)에서 하부 저장용기(16)로 연결되는 하부 저장용기 연결관(17)의 위치보다 하부 반응조(10)에서 중앙부 반응조(12)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관(11)의 위치가 수평면상으로 높이 위치한다. The continuous reactor may further include an
상부 저장용기 (18) 및 하부 반응조 (10)를 연결하는 연결관 (94)을 통해 하부 반응조 (10)에 포함된 물층이 순환 사용될 수 있다. The water layer included in the
상부 반응조(14)의 일측에는 상부 저장용기 연결관 즉 제 3 연결관 (15)을 통해 상부 저장용기(18)가 연결된다. 상부 반응조(14)에서 중앙부 저장용기(12)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13)의 위치보다 상부 반응조(14)에서 상부 저장용기(18)로 연결되는 상부 저장용기 연결관(15)의 위치가 수평면상으로 높이 위치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저장용기는 각각 밸브(22, 2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부 반응조(10)에 투입되는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이 중력에 거슬러 일정한 유량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부 반응조에는 가압장치를 구비한다. 가압장치로는 일반적 정량 펌프 (controlled volume pump)가 사용될 수 있다. 반응속도는 가압장치를 통한 투입 유량으로 정할 수 있다. 상부 반응조(14)에 투입되는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은 일정한 유량을 투입하되, 중력이 가해지므로 별도의 가압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The
도 2는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반응기의 개략도이며, 앞서 이민 추출 반응기에 대하여 설명한 구성과 상응하는 구성을 가지나,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반응기에 사용되는 구성은 번호를 별도로 부여하여, 다시 설명한다.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반응기는 적어도 세 개의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용 반응조 (30, 32, 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D-형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용 반응조를 포함한다. 세 개의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용 반응조에서, 하부 반응조(30)와 중앙부 반응조(32)는 하부 연결관(31)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중앙부 반응조(32)와 상부 반응조(34)는 상부 연결관(3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중앙부 반응조(32)에서 하부 반응조(30)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관(31)의 위치보다 중앙부 반응조(32)에서 상부 반응조(34)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33)의 위치가 높게 위치한다.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reactor, which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at described above for the immune extraction reactor, but the configuration used in th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reactor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and again described. Th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reactor comprises at least three hydrolysis extraction chambers (30, 32, 34).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ion tank for D-typ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In the thre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tanks, the
세 개의 광학적으로 순수한(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용 반응조(30, 32, 34)는 계단식으로 연결된다. 즉, 하부 반응조(30)와 중앙부 반응조(32) 사이의 하부 연결관(31)을 기준으로 볼 때, 중앙부 반응조(32)에 연결된 하부 연결관(31)의 일측 개구부가 하부 반응조(30)에 연결된 하부 연결관(31)의 타측 개구부보다 수평면상으로 높게 위치해 있다. 또한, 중앙부 반응조(32)와 상부 반응조(34) 사이의 상부 연결관(33)을 기준으로 볼 때, 상부 반응조(34)에 연결된 상부 연결관(33)의 일측 개구부가 중앙부 반응조(32)에 연결된 상부 연결관(33)의 타측 개구부보다 수평면상으로 높이 위치해 있다. 한편, 설치 위치로 보았을 때, 상부 반응조(34)가 가장 높게 설치되고, 하부 반응조(30)가 가장 아래에 설치된다. 하부 반응조(30)와 중앙부 반응조(32) 및 상부 반응조(34)의 저부에는 각각 교반장치, 예를 들어 스터러(44)가 설치된다.The three optically pure (D- or L-type singl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reactors (30, 32, 34) are cascaded. In other words, one opening of the
하부 반응조(30)의 일측에는 하부 저장용기 연결관(37)을 통해 하부 저장용기(36)가 연결된다.하부 반응조(30)에서 하부 저장용기(36)로 연결되는 하부 저장용기 연결관(37)의 위치보다 하부 반응조(30)에서 중앙부 반응조(32)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관(31)의 위치가 수평면상으로 높이 위치한다. A
상부 반응조(34)의 일측에는 상부 저장용기 연결관(35)을 통해 상부 저장용기(38)가 연결된다. 상부 반응조(34)에서 중앙부 저장용기(32)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33)의 위치보다 상부 반응조(34)에서 상부 저장용기(38)로 연결되는 상부 저장용기 연결관(35)의 위치가 수평면상으로 높이 위치한다. An
본원의 연속반응기는 ARCA에 의한 아미노산 이민형성 추출반응, ARCA 이외에 아미노산과 이민을 형성하는 화합물과의 반응, 이민형성 반응이외에도 추출반응시반응시간이, 예를 들면 30분이상 소요되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다. The continuous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reaction that takes a reaction time of, for example, 30 minutes or more in addition to an amino acid emulsion formation extraction reaction by ARCA, a reaction with an amino acid and an imine forming compound other than ARCA, have.
이중, 키랄선택적 이민 추출 공정과 이민의 가수분해 추출 반응을 기본으로 하는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공정에 사용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원은 본원의 연속 반응기를 사용한 이민 추출 반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민추출용 반응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mong them, the chiral selective immersion extraction process and the method used in the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process based on the hydrolysis extraction reaction of imine are explained.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mune extraction using the continuous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immersion extraction rea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부 반응조(10)에는 투입구(10a)를 통해 라세미 아미노산 (D-, L-아미노산) 수용액이 투입된다. 상부 반응조(14)에는 투입구(14a)를 통해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 예를 들면 ARCA가 투입된다. 상기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는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 (Chloroform), 에킬렌디클로라이드 (Ethylenedichloride (CH2ClCH2Cl)) 등을 들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queous solution of racemic amino acid (D-, L-amino acid) is injected into the
상기 하부 반응조에 연소적으로 투입된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과 상기 상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은 중앙부 반응조 (12)에서 혼합되고, 이에 의해 상기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 사이에 이민이 형성된다. 이어 상기 중앙부 반응조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아미노산 수용액은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형성 반응이 일어난다. 이어 상기 하부 반응조에서 상기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별도로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저장용기(16)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의 단일 아미노산이 키랄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하여 저장된다. 예를 들면 사용된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S-형일 경우 D-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하여 사용된 유기용매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되어 저장된다. 하부 저장용기(16)는 하부 저장용기 밸브(22)를 구비하며, 이를 개방하면 내부에 저장된 이민 용액을 분리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을 위한 반응기로 보낼 수 있다. A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water in the upper reaction tank is mixed in the
상부 저장용기(18)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 수용액이 저장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S-형일 경우 D-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함에 따라 잔류하게 된 L-아미노산 수용액이 저장된다. 상부 저장용기(18)는 상부 저장용기 밸브(20)가 개방됨에 따라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잔류하는 L-형 아미노산을 외부로 배출시킨다.In the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이민추출용 반응기를 사용한 이민 추출 방법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나, 단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에 용해되고, 이에 따라 키랄선택적 수용체 유기용매 용액이, 상부 반응조가 아닌, 하부 반응조 (10)에 투입되고,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은 상부 반응조에 투입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기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의 예로는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메킬 이소부틸케톤 (methyl isobutyl ketone,MIBK) 등을 들 수 있다. 그 결과, 상부 저장용기(18)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이 키랄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하여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키랄선택적 수용액이 S-형일 경우 D-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하여 톨루엔에 용해되어 저장된다. 상부 저장용기(18)는 상부 저장용기 밸브(20)를 개방하여 내부에 저장된 이민 용액을 분리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을 위한 반응기로 보낼 수 있다. The immigration extraction method using the immune extraction re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method, except that the monochiral selective receptor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Is added to the
하부 반응조(10)의 일측에는 하부 저장용기 연결관(17)을 통해 하부 저장용기(16)가 연결된다. 하부 저장용기(16)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 수용액이 저장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키랄선택적 수용액이 S-형일 경우 D-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함에 따라 잔류하게 된 L-아미노산 수용액이 저장된다. 하부 저장용기(16)는 하부 저장용기 밸브(22)가 개방됨에 따라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잔류하는 L-형 아미노산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A
다른 양태에서 본원의 연속반응기는 키랄선택적 이민 추출 공정과 이민의 가수분해 추출 반응을 기본으로 하는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공정에 사용되는 것으로,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본원은 본원의 연속 반응기를 사용한 이민 추출 반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용 반응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nother aspect, the continuous re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process based on a chiral selective immersion extraction process and a hydrolysis extraction process of an immune. Therefore, from this viewpoi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mersion extraction reaction method The method of using the reactor for hydrolysis and extraction of amino aci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하부 반응조(30)에는 투입구(30a)를 통해 산이 연속적으로 투입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염산이 투입된다. 상부 반응조(34)에는 투입구(34a)를 통해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의 단일 아미노산이 키랄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하여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유기용매 용액이 연속적 투입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D-아미노산이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에 용해되어 투입된다. 상기 산 용액과 상기 이민이 포함된 유기 용매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다음 가수분해를 통해 상기 이민을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은 산성 수용액 층으로 이동하고,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유기용매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산성 수용액은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난다. Acid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상기 상부 반응조에서 상기 수용액 층에 포함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상부 반응조에 연결된 상부 저장용기(38)에 저장될 수 있다. 상부 저장용기(38)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 수용액이 저장된다. 상부 저장용기(38)는 상부 저장용기 밸브(40)가 개방됨에 따라 내부의 아미노산 수용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분리할 수 있다. Separat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optically pure amino acid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layer in the upper reaction tank, which may be stored in the
하부 저장용기(36)에는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이 저장되며, 하부 저장용기(36)는 하부 저장용기 밸브(42)가 개방됨에 따라 내부의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하부 저장용기(36)에 저장되는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재활용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하부 저장용기(36)의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이민 추출용 반응조에 제공되는 키랄선택적 수용체로 재활용된다.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is stored in the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용 반응기를 사용한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방법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나, 단 키랄선택적 수용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이민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에 용해되고, 이에 따라 이민 용액이, 상부 반응조가 아닌, 하부 반응조에 투입되고, 산 수용액은 상부 반응조에 투입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기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의 예로는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메킬 이소부틸케톤 (methyl isobutyl ketone,MIBK) 등을 들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하부 반응조에서 상기 수용액 층에 포함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포함하며, 이를 별도로 분리하여 하부 저장용기(36)에 저장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부 저장용기 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광학적으로 순수한 D형 또는 L형 단일 아미노산을 외부로 분리할 수 있다. 상부 저장용기(38)에는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이 저장되며, 상부 저장용기(38)는 상부 저장용기 밸브(40)가 개방됨에 따라 내부의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부 저장용기(38)에 저장되는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재활용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부 저장용기(38)의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이민 추출용 반응조에 제공되는 키랄선택적 수용체로 재활용된다.
The amino acid hydrolysis and extraction method using the reactor for hydrolysis and extraction of amino aci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method, except that the imine formed between the monosaccharide and the selective acceptor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mall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And thus the immersion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not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and the aqueous acid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the water include toluene, ethyl acetate, and methyl isobutyl ketone (MIBK). As a result, the solution containing the optically pure amino acid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layer in the lower reaction tank is separately separated and stored in the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따른 제 1 및 제 2의 두 개의 연속 반응기를 포함하는 연속 반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연속반응기의 하부 저장용기와 제 2 연속반응기의 상부 반응조는 제 1 반응기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속반응기의 상부 저장용기와 제 2 연속반응기의 하부 저장용기는 제 2 반응기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는, 연속 반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및 제 2 연속반응기의 상대적 위치는 상관이 없으나, 각 반응기에서 용기의 위치는 도 1가 같이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연속 반응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 하부 저장용기 및 상부 반응조 연결관 (90) 및 상부 반응조 및 하 부저장용기 연결관 (92)을 통해 연결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reactor comprising two first and second continuous re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upper reactor of the lower storage vessel of the first continuous reactor and the upper reactor of the second continuous reactor comprise a first reactor connection tube Wherein the upper storage vessel of the first continuous reactor and the lower storage vessel of the second continuous reactor are connected through a second reactor connection tub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inuous reactors are not correlated, but the positions of the vessels in each reactor are arranged as in Fig. The first and second continuous reactors are connected through the
본원의 연속 반응장치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두 개의 연속반응기는, 이민 추출용 연속 반응기 또는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용 연속 반응기에 상응하는 것으로, 각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하나의 반응기는 이민 추출용으로 사용되며 이 경우, 상부 및 하부 저장용기를 포함하며, 1단계로, 유기용매에 포함된 키랄선택형 수용체가 라세미 아미노산(D, L 아미노산) 수용액에서 특정(단일의 D- 또는 L-아미노산) 아미노산과 형성한 이민이 용해된 유기용액을 추출에 사용된다. 이어 다른 하나의 반응기는 2 단계로, 상기 이민을 포함한 유기용액에 산을 가해 아미노산을 추출하는 2단계 공정에 사용되며, 본원의 반응장치는 상기 반응이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two continuous reactors included in the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 to a continuous reactor for immersion extraction or a continuous reactor for amino acid hydrolysis extraction, and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are as described above. One reactor is used for immune extraction and in this case comprises upper and lower storage vessels and in a first step the chiral selectable receptors contained in the organic solvent are reacted in a solution of the racemic amino acid (D, L amino acid) D- or L-amino acid) is used to extract an organic solution in which an imine formed with an amino acid is dissolved. The other reactor is used in a two-step process in which an acid is added to an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imine to extract an amino acid, and the re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reaction to proceed continuously.
첫 번째 공정인 이민 추출 공정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민 추출용 반응조의 하부 반응조(10)에 라세미 아미노산(DL-아미노산) 수용액을 투입한다. 그리고, 상부 반응조(14)에는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 예컨대,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에틸렌디클로라이드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투입한다. 상부 반응조(14)에는 투입구(14a)를 통해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투입된다. 한 구현예에서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의 희석비는 (물/아미노산 = 약 3-5/1 )이고, 키랄선택적 수용체의 유기용매 희석비는 ( 수용체/유기용매 = 약 10-15/1)일 수 있다. 하부 반응조(10)에 투입되는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이 중력에 거슬러 일정한 유량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가압장치(일반적 정량 펌프)를 사용한다. 반응속도는 가압장치를 통한 투입 유량으로 정할 수 있다. 상부 반응조(14)에 투입되는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은 일정한 유량을 투입하되, 중력이 가해지므로 별도의 가압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The first process, the immersion extraction process, is as described above. An aqueous solution of racemic amino acid (DL-amino acid) is added to the
하부 반응조에 투입된 라세미 수용액은 하부 연결관(11)을 통해 중앙부 반응조(12)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 반응조에 투입된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도 상부 연결관(13)을 통해 중앙부 반응조로 이동하므로 두 용액은 중앙부 반응조에서 만나게 되지만,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수용액과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공급하는 유기용액은 서로 섞이지 않으므로, 이 두 층을 교반하기 위해 스터러(24)를 작동한다. 두 용액이 섞이면, 수용액의 아미노산 중 유기용액에 포함된 키랄선택적 수용체(S-형 또는 R-형)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형(D-형 또는L-형)만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하여 유기용액에 포함된다. 예컨대,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S-형일 경우 D-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한다. 이민 형성 후,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액층은 아래로 수용액층은 위로 서로 분리되고, 중력에 의해 유기용액은 하부 연결관(11)을 통해 하부 반응조(10)로 이동하게 된다. 가압 장치에 의해 아미노산 수용액이 일정한 유량으로 하부 반응조에서 중앙부 반응조로 계속 유입되기 때문에 중앙부 반응조 상부에 형성된 수용액층은 상부 연결관(13)을 통해 상부 반응조(14)로 이동하게 된다.The racemic aqueous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moves through the
중앙부 반응조(12)에서 하부 연결관(11)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이동하는 유기용액에는 이민 형성에 참여하지 않은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하부 연결관(11)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부 연결관(11) 내부에서, 하부 반응조로부터 중앙부 반응조로 이동하는 아미노산 수용액과 만나 수용액에 포함된 D-아미노산과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 반응조에서도 수용액과 교반하면서 D-아미노산과 선택적 이민 형성을 계속하게 된다. 하부 반응기에서도 서로 섞이지 않는 유기용액층과 수용액층을 교반하기 위해 스터러(24)를 작동한다. 하부 반응조에서 반응 후 수용액층과 분리된 유기용액층은 이민을 주로 포함하며 하부 저장용기 연결관(17)을 통해 하부 저장용기(16)로 이동하고, 하부 저장용기(16)는 하부 저장용기 밸브(22)를 통해 상기 유기용액을 배출한다.Since the organic solution moving from the
중앙부 반응조에서 상층으로 분리되어 상부 연결관(13)을 통해 상부 반응조(14)로 이동하는 수용액에는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S-형일 경우 D-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함에 따라 잔류하게 된 L-아미노산 수용액이 대부분이지만, 이민 형성에 참여하지 않은 D-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부 연결관(13)을 통해 상부 반응조(14)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 연결관(13) 내부에서, 상부 반응조로부터 중앙부 반응조(12)로 이동하는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만나 이민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반응조(14)에서도 유기용액과 교반하면서 D-아미노산과 선택적 이민 형성을 계속하게 된다. 상부 반응기에서도 서로 섞이지 않는 유기용액층과 수용액층을 교반하기 위해 스터러(24)를 작동한다. 상부 반응조에서 반응 후 유기용액층과 분리된 수용액층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L-형 아미노산을 주로 포함하며 상부 저장용기 연결관(15)을 통해 상부 저장용기(18)로 이동하고, 상부 저장용기(18)는 상부 저장용기 밸브(20)를 통해 상기 수용액을 배출한다.The aqueous solution which is separated into the upper layer in the central reaction tank and moves to the
이와 달리, 하부 반응조(10)에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을 투입하고, 상부 반응조(14)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 예컨대 톨루엔, EA, MIBK 등에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포함된 유기용액을 투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Alternatively, an organic solution containing a chiral selective acceptor such as toluene, EA, MIBK, etc. may be added to the
두 번째 공정인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공정의 경우, 상기 이민 추출공정에서 생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가, 상기 연속 반응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연속 반응기와 제 2 연속 반응기를 연결하는 반응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기의 상부 또는 하부 반응조로 유입된다. 즉 하부 저장용기 밸브(22)를 통해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이민을 포함한 유기용액이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반응조의 상부 반응조(34)에 투입되고,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반응조의 하부 반응조(30)에는 일정 유량의 산(예컨대, 염산) 용액이 투입된다. 예를 들면 산 용액의 희석비는 (산의 농도: 약 1-4mol/L)일 수 있다. 하부 반응조(30)에 투입되는 산 수용액이 중력에 거슬러 일정한 유량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일반적 정량펌프와 같은 가압장치를 사용한다. 반응속도는 가압장치를 통한 투입 유량으로 정할 수 있다. 상부 반응조(34)에 투입되는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은 일정한 유량을 투입하되, 중력이 가해지므로 별도의 가압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In the case of the amino acid hydrolysis and extraction process, which is the second process,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imine generated in the immersion extraction process is mixed with the organic solvent,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or lower reaction tank of the reactor in which the amino acid hydrolysis and extraction reaction is carried out. That is, the organic solution containing the imine in the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larger than that of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하부 반응조에 투입된 산 수용액은 하부 연결관(31)을 통해 중앙부 반응조(32)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 반응조에 투입된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액도 관(35)을 통해 중앙부 반응조로 이동하므로 두 용액은 중앙부 반응조에서 만나게 되지만, 산을 공급하는 수용액과 이민을 공급하는 유기용액은 서로 섞이지 않으므로, 이 두 층을 교반하기 위해 스터러(44)를 작동한다. 두 용액이 섞이면, 유기용액층의 이민이 깨지면서 아미노산이 수용액층으로 이동하고,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유기용액층에 남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S-형일 경우 D-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하고, 상기 이민이 깨지면서 D-아미노산이 수용액층으로 이동하고 S-형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유기용액층에 잔류한다. 그 후,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액층은 아래로 수용액층은 위로 서로 분리되고, 중력에 의해 유기용액은 하부 연결관(31)을 통해 하부 반응조(30)로 이동하게 된다. 가압 장치에 의해 산 수용액이 일정한 유량으로 하부 반응조(30)에서 중앙부 반응조로 계속 유입되기 때문에 중앙부 반응조 상부에 형성된 수용액층은 관(35)을 통해 상부 반응조(34)로 이동하게 된다.The aqueous acid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moves to the
중앙부 반응조(32)에서 관(37)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이동하는 유기용액에는 산에 의해 깨어지지 않은 이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하부 연결관(31)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부 연결관(31) 내부에서, 하부 반응조로부터 중앙부 반응조로 이동하는 산 수용액과 만나 수용액에 산에 의해 이민이 깨어진다. 또한, 하부 반응조에서도 산 수용액과 교반하면서 유기용액에 포함된 이민 깨어짐을 계속하게 된다. 하부 반응기에서도 서로 섞이지 않는 유기용액층과 수용액층을 교반하기 위해 스터러(44)를 작동한다. 하부 반응조에서 반응 후 수용액층과 분리된 유기용액층은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주로 포함하며 관(37)을 통해 하부 저장용기(36)로 이동하고, 하부 저장용기(36)는 하부 저장용기 밸브(42)를 통해 상기 유기용액을 배출한다. 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 포함 유기용액은 재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이민 추출 반응조로 재 투입될 수 있다. Since the organic solution moving from the
중앙부 반응조(32)에서 상층으로 분리되어 상부 연결관(33)을 통해 상부 반응조(34)로 이동하는 수용액은 키랄선택적 수용체가 S-형일 경우 D-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이민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이민이 깨어져 형성된 D-아미노산 수용액과 산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부 연결관(33)을 통해 상부 반응조(34)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 연결관(33) 내부에서, 상부 반응조로부터 중앙부 반응조(32)로 이동하는 이민 함유 유기용액을 만나 이민을 깨는 반응을 계속한다. 또한, 상부 반응조(34)에서도 유기용액과 교반하면서 산이 이민을 깨는 반응을 계속하게 된다. 상부 반응기에서도 서로 섞이지 않는 유기용액층과 수용액층을 교반하기 위해 스터러(44)를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부 반응조에서 반응 후 유기용액층과 분리된 수용액층은 이민에서 분리된 D-형 아미노산을 주로 포함하며 관(35)을 통해 상부 저장용기(38)로 이동하고, 상부 저장용기(38)는 상부 저장용기 밸브(40)를 통해 상기 수용액을 배출한다.The aqueous solution which is separated into the upper layer in the
이와 달리, 하부 반응조(30)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예컨대, 톨루엔)에 이민이 포함된 유기용액을 투입하고, 상부 반응조(34)에 산 수용액을 투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Alternatively, an organic solution containing an imine in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toluene)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You must see.
예를 들어 이민 추출용 연속 반응조와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용 연속 반응조 각각에 포함되는 반응조는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연속 반응조는 3개 이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민 추출용 연속 반응조에서 반응에 참여하지 않은 아미노산(D아미노산이 S-형 키랄선택적 수용체와 이민을 형성했을 때, L아미노산)의 라세미화를 위해 별도의 연속 반응조와 연결할 수 있으며, 추출물을 정제하기 위해서도 추가의 연속 반응조에 연결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reaction vessels included in the continuous reaction tank for immersion extraction and the continuous reaction tank for hydrolysis and extraction of amino acids may be four, five, or more, and three or more of the continuous reaction vessels may be connected. For example, in a continuous immune extraction reaction tank, a separate continuous reaction tank can be connected for the racemization of amino acids not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when the D amino acid forms an S-type chiral selective receptor and the imine, L amino acid) It can also be connected to an additional continuous tank to purify the extract.
10, 30: 하부 반응조 12, 32: 중앙부 반응조
14, 34: 상부 반응조 16, 36: 하부 저장용기
18, 38: 상부 저장용기 20, 40: 상부 저장용기 밸브
22, 42: 하부 저장용기 밸브 11, 31: 제 2 (하부) 연결관
13, 33: 제 1 (상부) 연결관 15, 35: 제 3 (상부 저장용기) 연결관
17, 37: 제 4 (하부 저장용기) 연결관 50, 70: 상부 반응조 투입구
52, 72: 하부 반응조 투입구 54, 74: 교반기
80: 제1 반응기 연결관 82: 제2 반응기 연결관
90: 하부 저장용기 및 상부 반응조 연결관
92: 상부 반응조 및 하 부저장용기 연결관
94: 상부 저장용기 및 하부 반응조 연결관10, 30:
14, 34:
18, 38:
22, 42: Lower
13, 33: first (upper)
17, 37: fourth (lower storage container) connecting
52, 72: Lower
80: first reactor connection pipe 82: second reactor connection pipe
90: Lower storage vessel and upper reactor connection pipe
92: Upper Reactor and Lower Storage Container
94: Upper storage vessel and lower reactor connection pipe
Claims (8)
A continuous reactor, wherein the continuous reactor is composed of an upper reaction tank at the highest position adjacent to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a lower reaction tank at the lowest position, and a middle reaction tank at a position between the upper reaction tank and the lower reaction tank And each of the reaction tanks is connected to a neighboring reaction tank through a first connection pipe located between the upper reaction tank and the central reaction tank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located between the central reaction tank and the lower reaction tank, Wherein the upper and lower reaction vessels are each provided with an inlet, and the lower reaction vessel is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device.
상기 연속 반응기는 상부 저장용기 및 하부 저장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저장용기는 제 3 연결관을 통해 상기 상부 반응조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저장용기는 제 4 연결관을 통해 상기 하부 반응조와 연결되는, 연속 반응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inuous reactor further comprises an upper storage vessel and a lower storage vessel, wherein the upper storage vessel is connected to the upper reactor through a third connecting pipe, and the lower storage vessel is connected to the lower reactor through a fourth coupling pipe Connected, continuous reactor.
상기 연속 반응기의 하부 반응조에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를 구성하는 상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인 알데하이드기를 갖는 바이나프톨 유도체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과 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상기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 사이에 이민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 반응조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아미노산 수용액은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형성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반응조에서 상기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이민 추출 방법.
A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an immune from a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ntinuously injecting an aqueous solution of racemic amino acid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of the continuous reactor;
Continuously injecting a binaphthol derivative having an aldehyde group as a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water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constituting the continuous reactor;
Mixing the aqueous solution of the racemic amino acid and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in a central reaction tank to form an imine between the amino acid and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imine formed in the central reaction tank flows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the aqueous amino acid solution flows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imine formation reaction This happens; And
And separating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imine separately in the lower reaction tank.
상기 연속 반응기의 상부 반응조에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를 구성하는 하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인 알데하이드기를 갖는 바이나프톨 유도체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라세미 아미노산 수용액과 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상기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 사이에 이민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중앙부 반응조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아미노산 수용액은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형성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반응조에서 상기 이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이민 추출 방법.
A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an immune from a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ntinuously injecting an aqueous solution of racemic amino acid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of the continuous reactor;
Continuously injecting a binaphthol derivative having an aldehyde group as a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constituting the continuous reactor;
Mixing the aqueous solution of the racemic amino acid and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in a central reaction tank to form an imine between the amino acid and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imine formed in the central reaction tank flows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aqueous amino acid solution flows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imine formation reaction This happens; And
And separating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imine separately in the upper reaction tank.
상기 연속 반응기의 하부 반응조에 산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의 상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큰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와 D형 또는 L형 아미노산 간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산 용액과 상기 이민이 포함된 유기 용매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가수분해를 통해 상기 이민을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로 분리하는 가수분해 단계로,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은 산성 수용액 층으로 이동하고,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유기용매에 잔류하는 단계;
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산성 수용액은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반응조에서 상기 수용액 층에 포함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방법.
A method for optically pure amino acid hydrolysis and extraction by hydrolyzing an imine formed between an amino acid and a binaphthol derivative having an aldehyde group as a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using the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Continuously injecting an acid solution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of the continuous reactor;
Continuously injecting into the upper reactor of the continuous reactor a solution containing an imine formed between a chiral selective acceptor and a D- or L-type amino acid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at of water;
A step of hydrolyzing the acid solution and the organic solvent solution containing the immigration in a central reaction tank and separating the imine into an amino acid and a chiral selective receptor through hydrolysis, the separated amino acid is moved to an acidic aqueous solution layer ,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remaining in an organic solvent;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acidi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separated amino acid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A step in which an imine hydrolysis reaction occurs; And
And separat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optically pure amino acid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layer in the upper reaction tank separately.
상기 연속 반응기의 상부 반응조에 산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연속 반응기의 하부 반응조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유기용매에 용해된, 키랄선택적 수용체와 D형 또는 L형 아미노산 간에 형성된 이민을 포함하는 용액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산 용액과 상기 이민이 포함된 유기 용매 용액을 중앙부 반응조에서 혼합하여, 가수분해를 통해 상기 이민을 아미노산과 키랄선택적 수용체로 분리하는 가수분해 단계로,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은 산성 수용액 층으로 이동하고, 키랄선택적 수용체는 유기용매에 잔류하는 단계;
상기 키랄선택적 수용체를 포함하는 유기용매는 제 1 연결관을 통해 상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분리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산성 수용액은 제 2 연결관을 통해 하부 반응조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응조에서 각각 이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반응조에서 상기 수용액 층에 포함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미노산 가수분해 추출 방법.
A method for optically pure amino acid hydrolysis and extraction by hydrolyzing an imine formed between an amino acid and a binaphthol derivative having an aldehyde group as a chiral selective receptor solution using the continuous rea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Continuously injecting an acid solution into the upper reactor of the continuous reactor;
Continuously injecting a solution containing an imine formed between a chiral selective acceptor and a D-type or L-type amino acid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in the bottom reaction tank of the continuous reactor;
A step of hydrolyzing the acid solution and the organic solvent solution containing the immigration in a central reaction tank and separating the imine into an amino acid and a chiral selective receptor through hydrolysis, the separated amino acid is moved to an acidic aqueous solution layer ,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remaining in an organic solvent;
The organic solvent containing the chiral selective receptor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action tank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acidi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separated amino acid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reaction tank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A step in which an imine hydrolysis reaction occurs; And
And separat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optically pure amino acid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layer in the lower reaction tank separately.
A continuous re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two continuous reactor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reservoir of the first continuous reactor and the upper reactor of the second continuous reactor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actor connection pipe Wherein the upper storage vessel of the first continuous reactor and the lower storage vessel of the second continuous reactor are connected through a second reactor connection tub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8740A KR101465509B1 (en) | 2012-08-14 | 2012-08-14 | Device for continuous reac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separating amino acid enantiom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8740A KR101465509B1 (en) | 2012-08-14 | 2012-08-14 | Device for continuous reac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separating amino acid enantiomer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22559A KR20140022559A (en) | 2014-02-25 |
| KR101465509B1 true KR101465509B1 (en) | 2014-11-26 |
Family
ID=5026844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887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5509B1 (en) | 2012-08-14 | 2012-08-14 | Device for continuous reac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separating amino acid enantiomer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65509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98109B1 (en) * | 2006-08-11 | 2008-01-28 | 주식회사 제이앤드제이 캐미칼 | Method for manufacturing biuret and cyanuric aci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
| US20080166291A1 (en) * | 2007-01-08 | 2008-07-10 | Available Energy Corporation | Reactor and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hydrogen based on steam oxidation of molten iron |
| KR20100106221A (en) * | 2009-03-23 | 2010-10-01 | 주식회사 아미노룩스 | Method for obtaining optically pure amino acids |
| KR20110037480A (en) * | 2009-10-07 | 2011-04-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igh yield of aldehyde production from olefins and reaction apparatus used therein |
-
2012
- 2012-08-14 KR KR1020120088740A patent/KR1014655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98109B1 (en) * | 2006-08-11 | 2008-01-28 | 주식회사 제이앤드제이 캐미칼 | Method for manufacturing biuret and cyanuric aci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
| US20080166291A1 (en) * | 2007-01-08 | 2008-07-10 | Available Energy Corporation | Reactor and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hydrogen based on steam oxidation of molten iron |
| KR20100106221A (en) * | 2009-03-23 | 2010-10-01 | 주식회사 아미노룩스 | Method for obtaining optically pure amino acids |
| KR20110037480A (en) * | 2009-10-07 | 2011-04-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igh yield of aldehyde production from olefins and reaction apparatus used therei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22559A (en) | 2014-02-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Sui et al. | Strategies for chiral separation: from racemate to enantiomer | |
| Zhang et al. | Emergence of hemicryptophanes: from synthesis to applications for recognition, molecular machines, and supramolecular catalysis | |
| Davie et al. | Asymmetric catalysis mediated by synthetic peptides | |
| Poe et al. | Mechanism and application of a microcapsule enabled multicatalyst reaction | |
| Müller et al. | Organocatalytic enantioselective acyl transfer onto racemic as well as meso alcohols, amines, and thiols | |
| Mase et al. | In water, on water, and by water: mimicking nature's aldolases with organocatalysis and water | |
| Whitby et al. | Design, synthesis, and validation of a β-turn mimetic library targeting protein–protein and peptide–receptor interactions | |
| Zhou et al. | Synthesis of C 1-symmetric chiral secondary diamines and their applications in the asymmetric copper (II)-catalyzed Henry (nitroaldol) reactions | |
| AU767185B2 (en) | Synthesis of compounds and libraries of compounds | |
| Lewandowski et al. | Asymmetric catalysis with short-chain peptides | |
| Kelly et al. | Oligopeptides as catalysts for asymmetric epoxidation | |
| Spivey et al. | Amine, alcohol and phosphine catalysts for acyl transfer reactions | |
| Yeo et al. | Liquid phase peptide synthesis via one‐pot nanostar sieving (PEPSTAR) | |
| Han et al. | Asymmetric michael addition in synthesis of β-substituted gaba derivatives | |
| Maruoka et al. | Design of chiral organocatalysts for practical asymmetric synthesis of amino acid derivatives | |
| Petri et al. | Asymmetric synthesis of a high added value chiral amine using immobilized ω-transaminases | |
| EP2941415B1 (en) | Cross metathesis process | |
| KR101185603B1 (en) | Method for obtaining optically pure amino acids | |
| KR101465509B1 (en) | Device for continuous reac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separating amino acid enantiomers | |
| Chen et al. | Water as a Direct Proton Source for Asymmetric Hydroarylation Catalyzed by a Rh (I)–Diene: Access to Nonproteinogenic β2/γ2/δ2-Amino Acid Derivatives | |
| JPH04255717A (en) | Continuous manufacture of carbonate oligomer | |
| FR2482591A1 (en) | MANUFACTURE OF ALKANE SULFONYL CHLORIDES | |
| Wang et al. | Asymmetric Michael addition of aromatic ketones to nitroolefins catalyzed by simple chiral bifunctional primary amine-thioureas | |
| JP2002507617A (en) | Synthesis of compounds and libraries of compounds | |
| CN105753726B (en) | Preparation method for asymmetrically synthesizing pregabali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11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