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404B1 -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contents based on playlist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contents based on playlist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6404B1 KR101466404B1 KR1020080077537A KR20080077537A KR101466404B1 KR 101466404 B1 KR101466404 B1 KR 101466404B1 KR 1020080077537 A KR1020080077537 A KR 1020080077537A KR 20080077537 A KR20080077537 A KR 20080077537A KR 101466404 B1 KR101466404 B1 KR 1014664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keyword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playlist
- sear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된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판정하는 단계;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키워드-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키워드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요청시 키워드-컨텐츠 목록을 참조하여 컨텐츠 검색결과를 리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컨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 컨텐츠의 관련도를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using playlist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Analyzing the collected play list to extract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alyzing the collected play list to generate a keyword related to the content from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Determining an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keyword and the content; Generating a keyword-content list based on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keyword and the content; And returning a content search result by referring to a keyword-content list when a content search request is made using a keyword, where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Searching the Internet using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keyword related to the content using the search result.
플레이리스트, 컨텐츠 검색, 키워드-컨텐츠 관련도 Playlist, content search, keyword - content related diagram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결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컨텐츠 검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온라인 상에서의 컨텐츠 판매 및 배포를 위하여 검색 기능은 대단히 중요한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알고리즘과 나아가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컨텐츠, 연계 판매의 가능성이 높은 컨텐츠의 추천을 위한 알고리즘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The search function is very important for selling and distributing contents on-lin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search algorithms that enable users to search for desired contents accurately, contents matching with user's taste, algorithms for recommending contents with high possibility of linked sales Is being actively studied.
이를 위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사용자나 서비스 제공자(ISP)가 컨텐츠마다 태그를 부여하는 방법, 구매이력의 DB화, 고객 프로파일의 분류와 같은 일반적인 기법들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론들은 개별 컨텐츠마다 태그를 수작업으로 붙이고 관리해야 하는 등의 비경제성이나, 컨텐츠의 특성을 무시한 일반적인 고객분석기법의 도입으로 인한 비효율성과 같은 뚜렷한 한계를 갖고 있었다.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a method in which a user or a service provider (ISP) assigns a tag to each content, a DB of purchase histories, and a classification of a customer profile are used. And the inefficiency due to the introduction of general customer analysis techniques that ignor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한편, 플레이리스트란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순차 또는 임의(random) 의 순서로 재생하도록 리스트 형태로 묶어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a play list means that a plurality of multimedia contents are expressed in a list form so as to be reproduced in a sequential or random order.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미디어플레이어나 윈앰프, 아이튠즈와 같은 널리 사용되는 컨텐츠 재생 소프트웨어들은 각기 사용자로 하여금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작성된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순차 또는 임의의 순서로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미디어플레이어에서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재생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Widely used content reproduction software such as Microsoft's media player, Winamp, and iTunes respectively allow the user to create a playlist, or to reproduce contents contained in the created playlist in a sequential or random order .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reproducing contents included in a play list in a media player of Microsoft Corporation.
이러한 플레이리스트는 작성의 경위에 따라서 1)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플레이리스트, 2)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플레이리스트, 3) 사용기록이나 구매행태 등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생성한 플레이리스트로 크게 3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These playlists can be classified into playlists created by the user, 2) playlists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ISP), 3) playlists and purchasing behavior,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이러한 플레이리스트는 플레이리스트 자체의 제목이나,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의 제목이나 가수, 앨범명과 같은 정보를 통해서 결국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내포한다.Such a playlist eventually includes a description of the content through information such as the title of the playlist itself, the title or the number of included contents, album name, and the like.
그러나, 플레이리스트는 사용자들이 PC 기타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장비에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취합함으로써 이로부터 역으로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들을 뽑아내는 시도는 존재하지 않았다.However, it is common for playlists to be used by users for personal use in equipment for playing back PCs and other contents, and there is an attempt to extract keywords related to content from this by collecting playlists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Did not do it.
따라서, 컨텐츠의 검색방법과 관련하여 이러한 플레이리스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 search result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playlist with respect to a content search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도출해내며, 이에 의하여 컨텐츠의 검색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컨텐츠 검색장치 및 그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search apparatus and a content search apparatus for extracting a play list and analyzing the play lis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플레이리스트 수집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search apparatus using playlist information,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aylist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a playlist through the Internet;
수집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플레이리스트 분석부;A play list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the collected play list and extracting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추출된 컨텐츠 식별정보에 관한 인터넷검색을 수행하는 인터넷검색부; An Internet search unit for searching the Internet for the extracte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플레이리스트와 인터넷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생성부;A keyword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keyword related to content using a playlist and an Internet search result;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판정하는 관련도 판정부;An association degre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n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keyword and the content;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키워드-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는 키워드-컨텐츠 목록 생성부;A keyword-content lis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keyword-content list based on the relevance of the keyword and the content;
키워드-컨텐츠 목록을 이용하여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검색서비스 제공부; 및A search serv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earch function using a keyword-content list; And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ent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 단계;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using playlist information, comprising: collecting a playlist through the Internet;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Analyzing the collected play list to extract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된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Analyzing the collected play list to generate a keyword related to the content from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association degree between the keyword and the content;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키워드-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keyword-content list based on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keyword and the content; And
키워드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요청시 키워드-컨텐츠 목록을 참조하여 컨텐츠 검색결과를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And returning a content search result with reference to a keyword-content list when a content search request is made using a keyword,
컨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 컨텐츠의 관련도를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검색하는 단계; 및Searching the Internet using the extracte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for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levance of the content after the step of extracting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generating a keyword related to the content using the search resul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함으로써 컨텐츠를 설명하는 키워드를 보다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으며, 특히 인터넷 상에서 동적으로 이 루어지는 컨텐츠와 키워드의 연결관계를 실시간으로 포착할 수 있게 되어 컨텐츠의 검색시 결과의 정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rive the keyword describing the content by analyzing the play list,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aptur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dynamically performed on the Internet and the keyword in real time, The accuracy of the result of the search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나아가, 키워드에 의한 컨텐츠 검색시 높은 정확도를 갖는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리턴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의 컨텐츠 판매와 연계판매를 위한 컨텐츠의 추천이 더욱 용이해지며,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더욱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returning a search result having a high accuracy to a user when searching for a content by a keyword, it is made easier to recommend the content for online sales and linked sales, and the user can search the desired content more efficiently It is effective.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장치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ent searching apparatus using Play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searching apparatus using play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장치는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20), 인터넷검색부(130), 키워드 생성부(140), 관련도 판정부(150), 키워드-컨텐츠 목록 생성부(160), 검색서비스 제공부(17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80)를 구비한다.2, a content search apparatus using play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y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는 인터넷을 통해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는데, 이때 플레이리스트의 수집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 PC들로부터 전송받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나 윈 앰프 등의 컨텐츠 재생 소프트웨어로부터 플레이리스트가 생성되거나, 변경, 갱신되는 등의 경우에 자동으로 해당 소프트웨어가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로 플레이리스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구현가능하다.The
한편,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20)는 수집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하는데, 이때 컨텐츠 식별정보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정보 가운데 컨텐츠를 특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플레이리스트는 컨텐츠의 파일명과 저장위치 또는 URL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재생시간과 ID3 태그에 포함되는 제목, 앨범, 아티스트, 장르와 같은 정보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며, 플레이리스트 파일 포맷에 따라서는 각 컨텐츠별 코멘트 또는 플레이리스트 자체에 대한 코멘트를 포함하기도 한다. 컨텐츠 식별정보는 이 가운데 컨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파일명 및 저장위치 또는 URL, 그리고 ID3 태그정보 가운데서 필요에 따라서 정할 수 있다. 반대로, 컨텐츠나 플레이리스트 자체에 대한 코멘트, 플레이리스트의 제목은 컨텐츠 식별정보로 이용되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the play
수집된 플레이리스트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한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2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추출된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파악하여 대응하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컨텐츠 식별정보는 불필요한 정보로 취급하여 버릴 수도 있다.The play
한편, 인터넷검색부(130)는 상기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20)에서 추출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인터넷 검색을 수행한다. 인터넷의 검색은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도 있으며, 인터넷검색부(130)가 검색로봇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한편, 키워드 생성부(140)는 수집된 플레이리스트를 대상으로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에 대하여 단어별로 분리한 다음, 불필요한 단어의 삭제, 부적절한 단어의 타 단어로의 대체, 동사의 명사화와 같은 처리를 함으로써 키워드를 생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인터넷검색부(130)의 검색결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단어별로 분리한 다음, 불필요한 단어의 삭제, 부적절한 단어의 타 단어로의 대체, 동사의 명사화와 처리를 함으로써 키워드를 생성한다.Likewise, the search result of the
이때, 불필요한 단어의 삭제란 예를 들어 컨텐츠가 음원파일일 때 "가수", "음악"과 같이 특정 컨텐츠를 설명하는 정보로서의 가치가 없는 단어를 삭제하는 것을 말하며, 부적절한 단어의 타 단어로의 대체는 수많은 동의어를 가진 단어를 하나의 단어로 치환하는 등 키워드의 수를 줄이고 적절한 단어들로만 키워드를 채우기 위한 조치에 해당하며, 동사의 명사화란 예를 들어 "좋아한다"를 "선호"와 같은 단어로 바꿔 검색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말한다.At this time, the deletion of unnecessary words means, for example, deleting words having no value as information describing specific contents such as "singer" and "music" when the contents are sound source files, Is a measure to reduce the number of keywords and fill keywords with only the appropriate words, such as replacing words with a lot of synonyms by a single word. The verb's nounation is, for example, "like" It is a measure to secure the ease of search.
상기 키워드 생성부(140)에 의하여 각각의 컨텐츠마다 키워드가 생성이 되면, 관련도 판정부(150)는 각각의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판정한다.When the keyword is generated for each content by the
예를 들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80)에 "여행을 떠나요.mp3"와 같은 컨텐츠가 존재하는데,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가 다수의 사용자 PC로부터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여, 키워드 생성부(140)가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로부터 키워드를 생성한 결과 키워드 "조용필"이 10회, "1985년"이 5회, "7집"이 3회 각각 반복 생성되었다고 가정하고,For example, content such as " Traveling .mp3 "exists in the
인터넷 검색부(130)가 "여행을 떠나요.mp3"에 관하여 인터넷을 검색하고, 그 결과(웹 페이지)를 키워드 생성부(140)가 분석하여 반복적으로 나오는 단어들을 분석한 결과 "조용필"이 6회, "7집"이 7회, "1985년"이 2회 반복되었다고 가정하면, 표 1과 같이 모두 합쳐 키워드 "조용필"이 16회, "7집"이 10회, "1985년"이 7회이므로, The
[컨텐츠와 키워드의 관련도 판정의 예][Example of judging relevance of contents and keywords]
컨텐츠 "여행을 떠나요.mp3"에 대한 키워드의 관련도는 "조용필"이 가장 높고, "7집"이 그 다음, "1985년"이 그 뒤를 이었다.The keyword "joyongpil" has the highest level of relevance for the content "go on a journey .mp3", followed by "seventh house" followed by "1985".
키워드-컨텐츠 목록 생성부(160)는 상기와 같이 판정된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이용하여 키워드-컨텐츠 목록을 생성한다. 키워드-컨텐츠 목록은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계를 데이터베이스나 리스트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검색서비스 제공부로 하여금 키워드와 관련도가 높은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이다.The keyword-content
상기의 예에서, 예를 들어 [여행을 떠나요,조용필,16]-[여행을 떠나요,7집,10]-[여행을 떠나요,1985년,7]과 같은 리스트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example above, you could save it as a list, for example [Leave Travel, Joe Pil, 16] - [Leave Travel, 7th, 10] - [Leave Travel, 1985, 7].
한편, 검색서비스 제공장치(170)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할 때, 키워드를 쿼리로 입력받아 적절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리턴하는 것으로,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검색결과는 필요에 따라서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컨텐츠로 한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컨텐츠를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arches for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the search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ent retrieval method using play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description of the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retrieval method using play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플레이리스트 수집부(110)가 인터넷에 연결된 다수의 PC로부터 플레이리스트를 전송받아 플레이리스트를 수집하면(S101),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20)가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컨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102). First, the play
한편,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컨텐츠 가운데 상기 추출된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는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해서는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버릴 수도 있다.Meanwhi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이후,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20)는 수집한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를 생성한다(S103).Thereafter, the play
한편, 이와는 별도로 인터넷 검색부(130)가 상기 S102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면(S107), Meanwhile, when the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20)는 인터넷 검색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에 관한 키워드를 생성한다(S108).The
상기 S103 단계와 S106 단계에서 키워드를 생성하는 과정은 플레이리스트나 인터넷 검색결과를 단어별로 분리하여, 분리된 단어 가운데 불필요한 단어의 삭제, 부적절한 단어의 타 단어로의 대체, 동사의 명사화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keywords in steps S103 and S106 is performed by deleting the playlist or the Internet search result by word, deleting unnecessary words among the separated words, substituting inappropriate words into other words, and pronouncing the verbs.
다음으로, 관련도 판정부(150)가 상기 S103 단계와 S106 단계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조합하여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판정하면(S104),Next, when the
키워드-컨텐츠 목록 생성부(160)가 S104 단계에서 판정된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키워드-컨텐츠 목록을 생성한다(S105).The keyword-content
이때, 키워드와 컨텐츠의 관련도 판정은 컨텐츠 별로 동일 키워드가 생성된 횟수에 비례하여 판정된다.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of relevance between the keyword and the content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same keyword is generated for each content.
이후,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검색요청이 있으면 쿼리로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컨텐츠 목록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로 리턴한다(S106).Thereafter, if there is a content search request from the user, the content retrieved from the keyword-content list is returned to the user as a search result (S106).
종래기술에 의하면 컨텐츠의 판매량순, 발매일 등에 따라 정렬하여 컨텐츠의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종래의 검색결과 표시방법에서 벗어나 키워드와의 관련도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t has been common to display contents search results to users by sorting them according to sales order of contents, release dates, etc.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show the result.
이상 몇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플레이리스트를 지원하는 컨텐츠 재생 소프트웨어의 화면 예시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content playback software supporting a playlis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searching apparatus using play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retrieval method using play li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10 : 플레이리스트 수집부 120 : 플레이리스트 분석부110: Playlist collection unit 120: Playlist analysis unit
130 : 인터넷검색부 140 : 키워드 생성부130
150 : 관련도 판정부 160 : 키워드-컨텐츠 목록 생성부150: relevance determining unit 160: keyword-content list generating unit
170 : 검색서비스 제공부 180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70: search service provider 180: content databas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7537A KR101466404B1 (en) | 2008-08-07 | 2008-08-07 |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contents based on playlist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7537A KR101466404B1 (en) | 2008-08-07 | 2008-08-07 |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contents based on playlist informa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18842A KR20100018842A (en) | 2010-02-18 |
| KR101466404B1 true KR101466404B1 (en) | 2014-11-27 |
Family
ID=420894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77537A Active KR101466404B1 (en) | 2008-08-07 | 2008-08-07 |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contents based on playlist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66404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47596B1 (en) | 2015-04-20 | 2016-08-10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15790A (en) | 2003-10-09 | 2005-04-28 | Sony Corp |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information display and program |
| JP2007164478A (en) | 2005-12-14 | 2007-06-28 | Onkyo Corp | Content list delivery method, client device, and client program |
| KR20070087399A (en) * | 2006-02-23 | 2007-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media files by extracting partial search terms |
| WO2008056570A1 (en) * | 2006-11-09 | 2008-05-15 | Panasonic Corporation | Content search apparatus |
-
2008
- 2008-08-07 KR KR1020080077537A patent/KR1014664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15790A (en) | 2003-10-09 | 2005-04-28 | Sony Corp |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information display and program |
| JP2007164478A (en) | 2005-12-14 | 2007-06-28 | Onkyo Corp | Content list delivery method, client device, and client program |
| KR20070087399A (en) * | 2006-02-23 | 2007-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media files by extracting partial search terms |
| WO2008056570A1 (en) * | 2006-11-09 | 2008-05-15 | Panasonic Corporation | Content search apparatu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47596B1 (en) | 2015-04-20 | 2016-08-10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18842A (en) | 2010-02-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546288B2 (en) | Matching media file metadata to standardized metadata | |
| CN104899302B (en) | Recommend the method and apparatus of music to user | |
| US10210184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metadata | |
| US9846744B2 (en) | Media discovery and playlist generation | |
| US9519715B2 (en) | Personalized search | |
| WO2017096877A1 (en) |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 |
| US2007003322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dex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audio content | |
| US784907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anking items of audio content | |
| US20090158155A1 (en) | Playlist generation, delivery and navigation | |
| US20090287676A1 (en) | Search results with word or phrase index | |
| US20100217755A1 (en) | Classifying a set of content items | |
| JP5306114B2 (en) | Query extraction device, query extraction method, and query extraction program | |
| JP2007249899A (en) | Search processing program | |
| US20110137855A1 (en) | Music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socialized music server | |
| US2006025343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knowledge-based music search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sic file | |
| US800582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preferred provider of audio content | |
| Jansen et al. | The effect of specialized multimedia collections on web searching | |
| KR101466404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contents based on playlist information | |
| CA3013202C (en) | Usage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 KR10146640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keyword generation using playlist information | |
| Schedl | Web-based and community-based music information extraction | |
| Vigliensoni et al. | Using jWebMiner 2.0 to Improve Music Classification Performance by Combining Different Types of Features Mined from the Web. | |
| HK1147131A1 (en) | System and method of inclusion of interactive elements on a search results page | |
| HK1147131B (en) | System and method of inclusion of interactive elements on a search results pag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8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