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3819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819B1
KR101463819B1 KR1020080044746A KR20080044746A KR101463819B1 KR 101463819 B1 KR101463819 B1 KR 101463819B1 KR 1020080044746 A KR1020080044746 A KR 1020080044746A KR 20080044746 A KR20080044746 A KR 20080044746A KR 101463819 B1 KR101463819 B1 KR 10146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pper body
slide
link
link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766A (ko
Inventor
장창용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819B1/ko
Priority to US12/242,277 priority patent/US8108017B2/en
Priority to EP08165974.0A priority patent/EP2120425B1/en
Priority to CN2008101902303A priority patent/CN101582932B/zh
Publication of KR2009011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766A/ko
Priority to US13/229,486 priority patent/US2011031734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8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바디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바디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에 대해 일정 각도 세우는 틸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바디를 하부바디에 대해 승강시킴과 아울러 열린 상태에서 상부바디를 하부바디에 대해 일정 각도 세울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바디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바디를 하부 바디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들의 일예로서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위블 타입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바디를 하부 바디에 대해 승강시킴과 아울러 열린 상태에서 상부바디를 하부바디에 대해 일정 각도 세울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 및 하부바디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바디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에 대해 일정 각도 세우는 틸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바디에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에 의해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하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상부바디에 고정되는 상부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승강 유닛과 연결되는 하부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 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연결점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링크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는 상기 연결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의 일단이 세워지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하부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작동부는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 부재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점을 승강시키는 제1작동부재와, 상기 제1작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제2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링크부재의 연결점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링크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는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세워지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틸팅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디에는 상기 상부바디의 하강 공간을 마련하며,상기 승강 유닛이 위치하도록 표면에서 함몰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부에는 상기 상부 바디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유닛을 가리는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부바디를 하부 바디에 대해 승강시킴과 아울러 열린 상태에서 상부바디를 하부바디에 대해 일정 각도 세울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상부바디를 하부바디에 대해 수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상부바디(110)와, 상부바디(110)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디(120)를 포함한다.
도 1a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바디(110)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1b와 같이 상부바디(110)가 하부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는 하부바디(110)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부바디(120)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부바디(12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며, 이에 따라 상부 바디(110)는 하부바디(1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부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및 음향입력부(1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입력부(11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부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하부바디(120)는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디스플레이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부(123)는 제1디스플레이부(113)과 마찬가지로 시각정보를 출력하거나, 정보 입력의 수단으로서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조작부(124), 및 인터페이스(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2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124)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 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6)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6)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7)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27)는 하부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28)는 제1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9)는 제2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31)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8) 등이 하부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부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하부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과 승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바디(110,120)의 사이에는 상부 및 하부바디(110,120)를 슬라이드 결합시키는 슬라이드 모듈(140)과, 열린 상태에서 상부바 디(110)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150)이 구비된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부재(141,142)를 포함한다. 상부 슬라이드 부재(141)는 상부바디(11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의 측면에는 상부 슬라이드 부재(141)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그루브(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부재(141,142)의 사이에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부재(141,142)의 슬라이드 이동시 이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력 제공부는 스프링의 압축 및 복원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력 제공부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부재(141,142)가 일정 구간 상대 이동됨에 따라 압축된 스프링이 사점(dead point)을 지남에 따라 복원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승강 유닛(150)은 상부바디(110)의 일 부분을 하부바디(120)에 대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모듈(140)의 하부에 연결된다. 승강 유닛(150)은 슬라이드 모듈(140)의 일부분을 승강시킴으로써, 상부바디(110)의 일부분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승강 유닛(150)은 상부바디(110)를 하부바디(1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우는 틸팅부(160, 도 5a 참조)를 구비하며, 상부바디(110)는 일측이 하강하고, 타측이 해당 높이를 유지함에 따라 하부바디(1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하부바디(120)에는 상부바디(110)의 하강 공간을 마련하도록 표면에서 함몰 되는 리세스부(136)가 형성되며, 승강 유닛(150)은 리세스부(136)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리세스부(136) 상에는 승강 유닛(150)의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도록 장착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바디(110)에는 상부바디(110)가 세워지는 각도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5d는 승강 유닛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이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5d를 참조하여 승강 유닛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승강 유닛(150)은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에 연결되는 링크부재(151)와, 링크부재(151)를 작동시키는 링크 작동부(152)를 포함한다.
링크부재(151)는 슬라이드 모듈(140), 구체적으로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에 연결되며,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에는 링크부재(151)가 연결되기 위한 윙부(144,wing portion)가 형성된다. 윙부(144)는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의 측면에서 승강 유닛(150)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작동부(152)는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의 윙부(144)와 링크부재(151)를 연결하는 제1가동 회전점(161)을 슬라이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시 말하면 제1가동 회전점(161)이 수직 방향의 경로를 가지며 승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링크 작동부(152)는 링크부재(151)에 연결되어 제1가동 회전점(161)을 승강시키는 제1작동부재(153)와, 상부 및 하부바디(110,1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제1작동부재(153)를 동작시키는 제2작동부재(154)를 포함한다.
제1작동부재(153)는 링크부재(1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링크부재(151)를 회전 동작시키며, 링크부재(151)의 타단은 제2회전점(162)에 의해 제1작동부재(153)와 연결된다. 제1작동부재(153)는 일 영역이 절곡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가동 회전점(161,162)의 구성은 핀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작동부재(154)는 제1작동부재(15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가동 회전점(163)에 의해 제1작동부재(153)의 단부와 연결된다. 제2작동부재(154)의 일측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작동돌기(156)가 형성되며, 상부바디(110)의 하면에는 슬라이드 이동시 작동돌기(156)를 푸시하여 제2작동부재(154)를 회전시키는 푸시돌기(119)가 설치된다.
승강 유닛(150)은 상부바디(110), 즉 슬라이드 모듈(140)을 하부바디(1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우는 틸팅부(160)를 구비한다.
틸팅부(160)는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의 윙부(144)와 하부 바디(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 회전점(160)을 포함하며, 제1가동 회전점(161)이 하강함에 따라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의 일단을 세우도록 구성된다.
하부바디(120)의 장착홈(137) 상에는 링크부재(151)와 제1 및 제2작동부재(153,154), 및 고정 회전점(16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80)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80)은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서 마련될 수도 있으나, 하부바디(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프레임(180)이 설치되는 경우, 고정 회전점(160)은 지지 프레임(180)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를 지지 프레임(1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지지 프레임(180) 상에는 제1가동 회전점(161)의 수직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슬롯부(181)와, 제1슬롯부(18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슬롯부(182)가 형성된다. 제2슬롯부(182)는 제2가동 회전점(16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가동 회전점(161)이 제1슬롯부(181)를 따라 수직 이동함에 따라 제2가동 회전점(162)은 제2슬롯부(18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제2슬롯부(182)는 제2회전점(162)이 하부바디(12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슬롯부(18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질 수 있다.
제2작동부재(154)는 회전 동작에 의하여 제1작동부재(153)를 이동시키도록 지지 프레임(180) 상에 회전축(16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작동부재(154) 상에는 제3가동 회전점(163)의 직선 이동하도록 제3회전점(16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슬롯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80)과 제1작동부재(153)의 사이에는 상부바디(110)에 상승을 위한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83)이 설치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83)은 제1작동부재(153)의 타단과 지지 프레임(180)의 사이에 장착되며, 제1작동부재(153)가 하부바디(120)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인장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복귀 스프링(183)은 슬라이드 모듈(140)의 탄성력 제공부가 제공하는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설명된 링크부재(151)와, 제1 및 제2작동부재(171,172), 및 틸팅 부(160)는 지지 프레임(180)의 양 측면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승강 유닛의 순차적인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바디(110) 또는 하부바디(120)에 힘을 가하면, 상부 및 하부바디(110,120)는 상대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슬라이드 부재(141)는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사점까지 상부바디(110)를 이동시키면, 상부바디(110)는 그 이후부터 탄성력 제공부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b와 같이 상부바디(110)가 하부바디(120)의 리세스부(136)까지 도달하게 되면, 상부바디(110)의 푸시돌기(119)가 제2작동부재(154)의 작동돌기(156)를 푸시하여 제2작동부재(154)에 회전력을 가한다.
도 5c와 같이, 제2작동부재(154)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제1작동부재(153)가 하부바디(120)의 내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작동부재(153)는 링크부재(160)을 회전 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가동 회전점(161,162,163)은 제1 내지 제3슬롯부(181,182,155) 상을 직선 이동하게 된다.
제1가동 회전점(161)은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는 고정 회전점(16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 회전점(160)은 원래의 높이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하부 슬라이드 부재(142)와 상부바디(110) 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5d는 링크부재(160)가 회전 이동을 완료하여 상부바디(110)의 일부분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상부바디(110)은 하부바디(1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워진 상태가 된다. 도 5d의 상태에서는 탄성력 제공부가 제공하는 탄성력이 복귀 스프링(183)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부바디(110)의 일부분이 하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5d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바디(11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상부바디(110)의 하강된 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복귀 스프링(183)은 상부바디(110)에 상승을 위한 복귀력을 제공하며, 상부바디(110)의 상승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상부바디(110)에 닫힌 상태를 향하여 힘을 가하면 상부 및 하부바디(110,120)는 닫힌 상태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모듈 및 승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a 내지 8c는 도 6의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이다. 여기서 앞선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관련된 승강 유닛(250)은 하부 슬라이드 부재(242)에 연결되는 베이스(250a)와, 베이스(250a)에 연결되는 링크부재(251), 및 링크부재(251)에 연결되어 베이스(250a)와 링크부재(251)의 연결점을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링크 작동부(252)를 포함한다.
승강유닛(250)은 상부 바디(210)를 하부바디(2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우 도록 구성되는 틸팅부(260)을 포함하며, 틸팅부(260)는 하부 슬라이드 부재(242)가 베이스(250a)에 대해 일정 각도 세워지도록 하부 슬라이드 부재(242)와 베이스(25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틸팅 힌지(26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251)는 베이스(250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링크부재(251a,25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작동부(252)는 제1 및 제2링크부재(251a,251b)에 연결되어 이들에 회전력을 가하는 제1작동부재(253)와, 제1작동부재(253)에 연결되어 제1작동부재(253)를 동작시키는 제2작동부재(254)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251)와, 제1 및 제2작동부재(253,254)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리세스부(236)의 외곽에는 닫힌 상태에서 승강 유닛(250)의 구성들을 가리는 커버(235)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235)는 리세스부(236)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베이스(250a)의 후면에 장착되어 베이스(250a)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커버(235)는 상부바디(210)의 하강시 하부바디(22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부바디(210)의 상승시 외부로 노출되어 승강 유닛(250)을 가린다.
이하,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승강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는 상부 슬라이드 부재(241)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부바디(210)의 푸시돌기(219)가 제2작동부재(254)의 작동돌기(256)를 푸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과정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8b와 같이 제1작동부재(253)의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링크부재(251a,251b)가 회전하면, 제1가동 회전점(261)이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250a)가 수직으로 하강하여, 상부바디(21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링크부재(252)와 제1 및 제2작동부재(253,254)의 작동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8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바디(210)를 일단에 상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하부 슬라이드 부재(242)는 틸팅 힌지(26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슬라이드 부재(242)는 베이스(25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되며, 도 8c와 같이 상부바디(210)은 하부바디(2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워진 상태가 된다.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들이다.
닫힌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와 유사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부(113)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제1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하여 전화 번호,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전화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휴대 단말기의 부가적 기능(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작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2디스플레이부(123)가 활성화된다.
도 9a는 제2디스플레이부(123)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123) 또한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디스플레이부(123)에는 퀴티(qwerty)키 형태의 자판(123a)이 배열되며, 사용자가 이를 터치하면 그에 해당하는 정보가 제1디스플레이부(113)에 텍스트 형태로 출력된다.
한편,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123)는 터치에 의해 서로 연동 가능한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9b는 이러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제1디스플레이부(113)에는 음악, 방송,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부(123)에는 음악, 방송, 및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디스플레이부(123)은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아이콘들을 터치함으로써 음악, 방송, 및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디스플레이부(123)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3)에서 재생되는 파일의 상세 정보, 및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들의 리스트 등 다양한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91), 조작부(124), 영상입력부(115,128), 음향입력부(116), 디스플레이부(113,123), 음향출력부(114,131), 센싱유닛(196), 인터페이스(125), 방송 수신 모듈(195), 메모리(194), 전원공급부(126), 제어부(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1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9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92)을 포함한다.
조작부(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조작부(124)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12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12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9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9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1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91)를 통 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1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12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9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 유닛(19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며, 제어부(1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6)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5)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5)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94)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12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95)은 방송과 관 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6)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과 승강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5d는 승강 유닛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모듈 및 승강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a 내지 8d는 도 6의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8)

  1. 수평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바디; 및
    상기 상부 및 하부바디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바디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바디를 상기 하부바디에 대해 일정 각도 세우는 틸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승강 유닛과 연결되는 하부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연결점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링크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바디에는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 작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점은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을 상기 상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회전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제1회전점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회전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슬롯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은 제2회전점에 의해 제1작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제1슬롯부에서 상기 하부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회전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슬롯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바디에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에 의해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바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상부바디에 고정되는 상부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상부 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연결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의 일단이 세워지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하부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작동부는,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 부재를 회전 동작시켜 상기 연결점을 승강시키는 제1작동부재; 및
    상기 제1작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작동부재를 작동시키는 제2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에는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2작동부재를 푸시하여 상기 제2작동부재를 동작시키는 푸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점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 및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재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링크부재의 연결점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링크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세워지도록 상기 하부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틸팅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에는 상기 상부바디의 하강 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승강 유닛이 위치하도록 표면에서 함몰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부에는 상기 상부 바디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유닛을 가리는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승강유닛의 하면에 장착되며,상기 상부바디의 하강시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상부 바디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승되는 방향으로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상기 복귀 스프링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44746A 2008-05-14 2008-05-14 휴대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6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46A KR101463819B1 (ko) 2008-05-14 2008-05-14 휴대 단말기
US12/242,277 US8108017B2 (en) 2008-05-14 2008-09-30 Portable terminal
EP08165974.0A EP2120425B1 (en) 2008-05-14 2008-10-07 Portable terminal
CN2008101902303A CN101582932B (zh) 2008-05-14 2008-12-26 便携终端
US13/229,486 US20110317349A1 (en) 2008-05-14 2011-09-09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46A KR101463819B1 (ko) 2008-05-14 2008-05-14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766A KR20090118766A (ko) 2009-11-18
KR101463819B1 true KR101463819B1 (ko) 2014-12-04

Family

ID=4046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7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3819B1 (ko) 2008-05-14 2008-05-14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108017B2 (ko)
EP (1) EP2120425B1 (ko)
KR (1) KR101463819B1 (ko)
CN (1) CN1015829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1623B (zh) * 2008-04-14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子
USD611030S1 (en) * 2009-01-19 2010-03-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phone
TWI363143B (en) * 2009-06-18 2012-05-01 Htc Corp Electronic device and moving mechanism thereof
US8364215B2 (en) * 2009-07-06 2013-01-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021809B1 (ko) * 2009-09-07 2011-03-17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USD622248S1 (en) * 2009-09-30 2010-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622249S1 (en) * 2009-10-09 2010-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622252S1 (en) * 2009-10-15 2010-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KR101142554B1 (ko) * 2009-11-30 2012-05-08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 및 이의 슬라이딩장치
JP5149264B2 (ja) * 2009-12-01 2013-02-20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チルト機構
TWI369605B (en) * 2009-12-08 2012-08-0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2098885B (zh) * 2009-12-11 2013-03-20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电子装置
US8149581B2 (en) * 2009-12-18 2012-04-03 Sony Ericssom Mobile Communications AB Keyboard and display screen in separate housings connected by cam assemblies that tilt responsive to movement between the housings
US8483784B2 (en) * 2009-12-18 2013-07-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rotatable member
US8638302B2 (en) * 2009-12-22 2014-01-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multiple displays
USD628548S1 (en) * 2009-12-24 2010-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8843183B2 (en) * 2010-01-15 2014-09-23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body members
USD629780S1 (en) * 2010-01-22 2010-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633461S1 (en) * 2010-01-26 2011-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633064S1 (en) * 2010-01-29 2011-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9154592B2 (en) 2010-02-05 2015-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veable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284554B2 (en) * 2010-02-15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pivoting and sliding portions
USD631902S1 (en) * 2010-03-30 2011-02-01 Cisco Technology, Inc. Digital video camera
USD635540S1 (en) * 2010-04-30 2011-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KR20120055108A (ko) * 2010-11-23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유닛의 가이드 장치
TWI481331B (zh) * 2011-01-03 2015-04-11 Compal Electronics Inc 電子裝置
TWI415553B (zh) * 2011-01-06 2013-11-1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
EP2495942B1 (en) * 2011-03-04 2013-09-18 BlackBerry Limited Slidable and rotat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keypad and display portions
EP2495943B1 (en) * 2011-03-04 2014-04-23 BlackBerry Limited Slidable and rotat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keypad and display portions
JP5777946B2 (ja) * 2011-06-15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8769772B2 (en) 2011-08-10 2014-07-08 Blackberry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member rotatable between first and second positions
USD667807S1 (en) * 2011-09-20 2012-09-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KR20130032195A (ko) 2011-09-22 2013-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USD680995S1 (en) * 2012-01-10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I482568B (zh) * 2012-04-25 2015-04-21 Wistron Corp 滑蓋式電子裝置
US8891236B2 (en) * 2012-06-29 2014-11-18 Blackberry Limited Housings that move using a link that slidingly engages cams
US8549708B1 (en) * 2012-07-05 2013-10-08 Khvatec Co., Ltd. Long stroke tilting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USD768101S1 (en) * 2013-10-17 2016-10-04 Shenzhen Wave Multimedia Co., Ltd. Cellular phone
US9696765B2 (en) * 2013-10-30 2017-07-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uble-track guided hinge
KR102177953B1 (ko) * 2014-05-26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420152B2 (en) * 2014-08-29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mera with a reflective element
CN109343771B (zh) * 2018-09-30 2022-04-22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操控方法
GB202002660D0 (en) * 2020-02-25 2020-04-08 Planet Computers Ltd Smartphone 2020
US20250208665A1 (en) * 2023-12-25 2025-06-26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US20250208664A1 (en) * 2023-12-25 2025-06-26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5002B2 (en) * 2005-01-19 2007-05-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clined-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43731A1 (en) * 2006-04-07 2007-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type cradle for the same
US20070252202A1 (en) * 2006-04-28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tilt unit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6082A1 (en) * 2003-11-03 2005-05-05 Chin-Wei Chang Duo-display mobile phone
KR100533038B1 (ko) * 2003-12-30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JP4169204B2 (ja) * 2004-09-16 2008-10-2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20060031019A (ko) 2004-10-07 2006-04-12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69B1 (ko) 2004-11-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4440092B2 (ja) * 2004-12-27 2010-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378333B2 (ja) 2005-09-07 2009-12-02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7627337B2 (en) * 2006-04-17 2009-12-01 Nokia Corporation Dual lever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US20080052874A1 (en) * 2006-08-16 2008-03-06 Shin Zu Shing Co., Ltd. Flat hinge assembly
EP1916826B1 (en) 2006-10-25 2009-10-14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s
US7986983B2 (en) * 2007-12-28 2011-07-26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slider form factor devices with continguous surfaces when open
US20090170574A1 (en) * 2007-12-28 2009-07-02 Motorola Inc Methods and slider form factor devices with contiguous surfaces when open
US8265719B2 (en) * 2008-03-04 2012-09-1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Link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5002B2 (en) * 2005-01-19 2007-05-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clined-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43731A1 (en) * 2006-04-07 2007-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 type cradle for the same
US20070252202A1 (en) * 2006-04-28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tilt unit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08017B2 (en) 2012-01-31
EP2120425B1 (en) 2015-03-04
CN101582932A (zh) 2009-11-18
KR20090118766A (ko) 2009-11-18
EP2120425A1 (en) 2009-11-18
CN101582932B (zh) 2013-02-13
US20110317349A1 (en) 2011-12-29
US20090286573A1 (en)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81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38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9517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2991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2838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5424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66281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87141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0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4557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953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9535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2991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0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5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845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7239B1 (ko)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장치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76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45591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11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