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1523B1 -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523B1
KR101471523B1 KR1020130101399A KR20130101399A KR101471523B1 KR 101471523 B1 KR101471523 B1 KR 101471523B1 KR 1020130101399 A KR1020130101399 A KR 1020130101399A KR 20130101399 A KR20130101399 A KR 20130101399A KR 101471523 B1 KR101471523 B1 KR 10147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latch
locking
lever
restri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태
김두정
최문규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주) filed Critical 평화정공(주)
Priority to KR102013010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5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2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8Arrangements for protection of pedestri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는: 후드에 연결된 스트라이커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와, 래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부에서 언락킹된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세이프티후크와, 래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과,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부에 락킹된 스트라이커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와,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is disclosed for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The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tch portion for locking or unlocking a striker connected to a hood; a safety hook rotatably installed on the latch portion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unlocked striker in the latch portion; A lever member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panel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striker locked in the latch portion, and a driving portion for supplying power for lifting the striker by rotating the lever member .

Figure R1020130101399
Figure R1020130101399

Description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0001]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를 이중으로 락킹할 수 있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double locking a hood.

일반적으로, 차량 중 승용 차량에는 전방에 엔진룸이 마련되고, 엔진룸이 후드에 의해 차폐된다.Generally, a passenger vehicle in a vehicle is provided with an engine room in front, and an engine room is shielded by a hood.

엔진룸은 엔진 등의 부품이 컴팩트하게 배치되도록 레이 아웃 설계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여유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후드는 엔진룸을 견실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상당히 강한 구조로 설계된다.The engine room is laid out so that the parts such as the engine are arranged compactly, so there is no space for absorbing the shock, and the hood is designed to have a very strong structure for robustly shielding the engine room.

이로 인해 보행자의 충돌 사고시 보행자가 자동차의 전방범퍼와 1차 충돌한 후, 자동차의 후드 쪽으로 쓰러지면서 보행자의 머리가 후드에 2차 충돌을 하여 보행자의 피해가 증가한다.As a result, when a pedestrian collides with a front bumper of a car in the event of a pedestrian collision, the pedestrian's head hits the hood of the car, and the pedestrian's head collides with the hood secondarily, thereby increasing the damage of the pedestrian.

최근에는 보행자와 충돌 사고시 후드가 완충작용을 하여 보행자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n active hood system has been applied to absorb shock energy of a pedestrian by a shock absorbing function of a hood in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518호(2007.11.02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후드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77518 (Registered on November 11, 2007, entitled " Hood structure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active hood system of vehicle ").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를 이중으로 락킹할 수 있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double lock the hoo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는: 후드에 연결된 스트라이커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부에서 언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세이프티후크; 상기 래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부에 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스트라이커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An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tch part for locking or unlocking a striker connected to a hood; A safety hook rotatably installed on the latch portion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riker unlocked by the latch portion; A base panel on which the latch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A lever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the lever member being locked to the latch portion, the striker being located in a rotation path;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lever member to supply power to lift the striker.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레버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to the lever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구속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상기 구속부와 상기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속부와 상기 잠금부의 사이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장착패널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portion may include: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riker; A locking part connected to the cable member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estricting part; And a mounting panel having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rotatably mounted thereon, and a guide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triker is inserted between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세이프티후크는, 상기 래치부에서 언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부재; 외부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조작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와 마주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연결축; 상기 힌지연결축의 외측에 권선되며, 양측이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래치부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hook includes: a latching member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riker unlocked by the latch portion; An operating member having an operating lever for receiving an external operating force and facing the engaging member; A hinge connection shaft installed through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latch member; A pressing spring that is wound on the outside of the hinge connecting shaft and has both sides connected to the engag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latch portion and having the hinge connection shaft rotatably installed therein.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레버에 외력이 제공되면 상기 작동부재는 회전되고, 상기 가압스프링은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걸림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걸림부재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이동 구속이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부재를 회전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lever, the operating member is rotated, and the pressing spring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perating member to the latching member, so that the latching member is prevented from moving and restrained by the latching member. .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핀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and releasing the constraint of the guide pi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신호로 폭발하는 폭발부;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측에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폭발부의 폭발로 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가압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housing fixed to the case and having one side opened; An explosion part located inside the driving housing and detonating with an external signal; A piston installed in the drive housing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d moving by the explosion of the explosion part; And a rod member connected to the piston and pressing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by movement of the piston.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몸체; 상기 동력전달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로드부재와 마주하는 연장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may include a power transmit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power transmission body and facing the rod member; And a press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power transmitting body and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lever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는 보행자와 접촉사고시 구동부의 폭발을 이용하여 레버부재가 회전하여 스트라이커를 들어 올리므로 후드와 엔진룸 사이에 완충공간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In the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member is rotated using the explosion of the driving unit in the event of a contact with the pedestrian, so that the striker is lifted. Thus, a buffer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hood and the engine room to reduce the secondary impact of the pedestrian have.

또한 본 발명은 로드부재의 전개로 후드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멜트실링이 고온의 가스에 녹아서 피스톤의 외측으로 가스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보행자가 후드에 접촉할 때 후드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충격이 완충되어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lt seal is melted in the high-temperature gas in the state that the hood is moved upward by the deployment of the rod member, the gas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piston. Therefore, when the pedestria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od, So that the secondary impact of the pedestria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래치부와 더불어 세이프티후크를 통해 후드를 이중으로 락킹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시의 소음과 진동, 그리고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double lock the hood through the safety hook in addition to the latch portion, thereby solving noise, vibration, and safety at the time of vehicl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제1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세이프티후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제2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세이프티후크와 제2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으로 레버부재가 회전하며 스트라이커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멜트실링이 녹아서 스트라이커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완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세이프티후크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세이프티후크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후크의 회전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걸림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후크의 회전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걸림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내측의 가스가 빠져나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panel is detached from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hook is detached in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panel is detached from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hook and a second pan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9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10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member is rotated and the striker is lifted up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lt seal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lted so that the striker moves downward and is cushioned.
FIG. 1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striker is caught by a safety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striker is caught by the safety hoo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iker is released by rotation of the safety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iker is released by rotation of the safety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s inside the driving part is esca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block diagram of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제1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세이프티후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제2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에서 세이프티후크와 제2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으로 레버부재가 회전하며 스트라이커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멜트실링이 녹아서 스트라이커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완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세이프티후크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세이프티후크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후크의 회전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걸림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후크의 회전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걸림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내측의 가스가 빠져나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의 블록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panel is detached in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hook is separated in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hook and the second pan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FIG.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driving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 FIG. 10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r member is rotated and lifts the striker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melt seal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iker is moved downward to be fully absorbed. FIG. 1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striker is hooked on a safety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iker is hooked on a safety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iker is released by the rotation of the safety hoo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ront view of the stri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is disengage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as is escaped inside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lock diagram of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는, 후드(10)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2)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20)와, 래치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부(20)에서 언락킹된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하는 세이프티후크(200)와, 래치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60)과,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부(20)에 락킹된 스트라이커(12)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90)와, 레버부재(90)를 회전시켜 스트라이커(12)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 to 7 and 18, an active hood latch apparatus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tch portion 12 for locking or unlocking a striker 12 connected to a hood 10, A safety hook 200 rotatably installed in the latch portion 2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unlocked striker 12 in the latch portion 20 and a safety hook 20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unlocked striker 12 in the latch portion 20, A lever member 9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60 and in which the striker 12 locked in the latch portion 20 is located in the rotation path, 90) for rotating the striker (12) to supply the power to lift the striker (12).

엔진룸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10)의 하측으로 스트라이커(12)가 설치된다.A striker (12) is installed below the hood (1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gine room.

스트라이커(12)는 "ㄷ"자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며, 후드(10)와 함께 상하 이동된다.The striker 12 is formed to bend in a " C "shape and is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hood 10. [

케이스부(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부(20)는 후드(10)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2)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atch portion 20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e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structure of locking or unlocking the striker 12 connected to the hood 10.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20)는,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30)와, 케이블부재(14)에 연결되며 구속부(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40)와, 구속부(30)와 잠금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속부(30)와 잠금부(40)의 사이에 스트라이커(12)가 삽입되는 안내홈부(52)를 구비하는 장착패널(50)을 포함한다.The latch portion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restricting portion 30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riker 12 and a locking portion 40 connected to the cable member 14 and controlling rotation of the restricting portion 30 And a guide groove portion 52 into which the striker 12 is inserted between the lock portion 40 and the restricting portion 30 and the lock portion 40 are rotatably mounted, Panel 50 as shown in FIG.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30)는, 구속몸체(31)와 제1돌기(32)와 인입홈(33)과 제2돌기(34)와 장착돌기(36)와 탄성부재(38)와 장착핀(39)을 포함한다.The restricting portion 3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triker 12 is provided with the restricting body 31 and the first projection 32, the lead-in groove 33, the second projection 34, the mounting projection 36, (38) and a mounting pin (39).

구속부(30)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속몸체(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패널(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restricting body 31 forming the body of the restricting portion 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panel 50. [

구속몸체(31)의 일측으로 제1돌기(32)와 제2돌기(34)가 돌출되며, 제1돌기(32)와 제2돌기(34)의 사이에는 스트라이커(12)가 삽입되는 인입홈(33)이 구비된다.A first protrusion 32 and a second protrusion 34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restricting body 31 and a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32 and the second protrusion 34, (33).

장착핀(39)이 구속몸체(31)와 장착패널(50)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구속몸체(31)는 장착핀(3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Since the mounting pin 39 is installed through the restricting body 31 and the mounting panel 50, the restricting body 31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mounting pin 39.

구속몸체(31)의 하측에는 장착돌기(36)가 구비되며,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부재(38)의 일측은 장착돌기(36)에 걸리며, 탄성부재(38)의 타측은 장착패널(50)에 걸린다.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38 using the coil spring is hooked on the mounting projection 36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38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anel 50 ).

탄성부재(38)는 수평방향(이하 도 6기준)으로 설치되며, 구속몸체(31)는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며, 이러한 구속몸체(31)는 케이블부재(14)에 의해 당겨지는 잠금부(40)와 이격되거나 접하면서 회전각도가 조절된다.The restricting body 31 is designed t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8. The restricting body 31 is fixed to the cable member 31, The rotation angle is adjust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or in contact with the lock portion 40 pulled by the engagement portion 14.

케이블부재(14)에 연결되며 구속부(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40)는 구속부(3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40 connected to the cable member 14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estricting portion 3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allowing 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restricting portion 30. [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40)는 잠금몸체(42)와 연결부재(44)와 걸림돌기(46)를 포함한다.The locking portion 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locking body 42, a connecting member 44, and a locking protrusion 46.

잠금부(40)의 몸체를 형성하는 잠금몸체(4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패널(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lock body 42, which forms the body of the lock portion 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panel 50. [

잠금몸체(42)에서 연장되는 연결부재(44)에 케이블부재(14)가 연결되며, 제1돌기(32)와 제2돌기(34)가 구비된 구속부(30)를 향하여 걸림돌기(46)가 돌출된다.The cable member 1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4 extending from the locking body 42 and the locking protrusion 32 is pushed toward the restricting portion 30 provided with the first protrusion 32 and the second protrusion 34, .

걸림돌기(46)는 구속부(30)의 제1돌기(32) 또는 제2돌기(34)에 걸리므로 구속부(30)의 회전을 구속한다.The locking protrusions 46 are caught by the first protrusions 32 or the second protrusions 34 of the restricting portion 30 and thus restrict rotation of the restricting portions 30. [

제4연결축(153)이 잠금몸체(42)를 관통하여 장착패널(50)에 설치되므로 잠금몸체(42)는 제4연결축(15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ourth connecting shaft 153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anel 50 through the locking body 42 so that the locking body 42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fourth connecting shaft 153.

제4연결축(153)의 외측에 코일 스프링 형상의 제4스프링(154)이 설치되며, 제4스프링(154)의 일측은 장착패널(50)에 고정되며 제4스프링(154)의 타측은 잠금몸체(42)에 연결된다.A fourth spring 154 having a coil spring shape is provided outside the fourth connecting shaft 153 and one side of the fourth spring 154 is fixed to the mounting panel 50 and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spring 154 And is connected to the lock body 42.

잠금몸체(42)는 제4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도 6기준)으로 회전되려 하며, 이러한 잠금몸체(42)는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몸체(31)에 접하여 회전이 구속된다.The locking body 42 is to be rotated counterclockwise (reference to FIG. 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ourth spring 154. The locking body 42 includes a restricting body 31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triker 12, The rotation is restrained.

장착패널(50)의 후방(도 3기준)에는 구속부(30)와 잠금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패널(50)의 전방에는 베이스패널(60)이 위치한다.The restricting portion 30 and the locking portion 40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anel 50 and the base panel 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ounting panel 50.

장착패널(50)의 상측에는 구속부(30)와 잠금부(40)의 사이에 스트라이커(12)가 삽입되는 안내홈부(52)가 구비된다.A guide groove 5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anel 50 and into which the striker 12 is inserted between the locking portion 40 and the locking portion 40.

장착패널(50)의 종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안내홈부(52)를 따라 스트라이커(12)가 낙하되어 래치부(20)에 의해 이동이 구속된다.The striker 12 falls along the guide groove portion 52 forming th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panel 50 and the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latch portion 20. [

장착패널(50)에 잠금부(40)와 구속부(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패널(55)이 잠금부(40)와 구속부(30)를 감싸며 장착패널(50)에 고정된다.The cover panel 55 is fixed to the mounting panel 50 while enclosing the locking part 40 and the restricting part 30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part 40 and the restricting part 30 are provided on the mounting panel 50.

장착패널(50)의 전방에 베이스패널(60)이 설치되며, 베이스패널(60)의 전방에는 레버부재(90)와 동력전달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base panel 6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mounting panel 50 and a lever member 90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are rotat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base panel 60. [

또한 베이스패널(60)과 래치부(20)의 장착패널(50)과 커버패널(55)을 관통하여 제2연결축(147)이 설치되므로 래치부(20)는 제2연결축(147)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Since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47 is provided through the base panel 60 and the mounting panel 50 of the latch unit 20 and the cover panel 55 so that the latch unit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47, As shown in FIG.

구동부(110)의 동작으로 스트라이커(12)를 파지한 래치부(20)가 회전하는 경우, 래치부(20)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70)가 구비된다.A guide portion 70 for guid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latch portion 20 is provided when the latch portion 20 holding the striker 12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ortion 110. [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70)는, 장착패널(50)에 고정되며 케이스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72)과, 가이드핀(72)의 이동경로를 따라 케이스부(120)에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74)를 포함한다.The guide part 7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guide pin 72 fixed to the mounting panel 50 and protruding outward of the case part 120 and a case part 120 formed with a guide hole 74 for forming a hole.

가이드핀(72)의 일측은 장착패널(50)에 고정되며, 가이드핀(72)의 타측은 베이스패널(6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패널(60)의 전방에 걸린다.One side of the guide pin 72 is fixed to the mounting panel 50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in 7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ase panel 60 and hooks in front of the base panel 60.

가이드핀(72)의 이동경로는 제2연결축(147)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게 되므로, 가이드홀부(74)는 원호 형상으로 케이스부(120)에 장공을 형성한다.Since the guide pin 72 moves in a circular arc about the second connection shaft 147, the guide hole portion 74 forms a long hole in the case portion 120 in an arc shape.

래치부(20)가 회전하는 경우, 래치부(20)에 고정된 가이드핀(72)도 가이드홀부(74)를 따라 이동하므로 래치부(20)의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latch portion 20 rotates, the guide pin 72 fixed to the latch portion 20 also moves along the guide hole portion 74, so that the rotation of the latch portion 20 can be stably performed.

구동부(110)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가이드핀(72)의 이동을 구속하는 락킹부(80)는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부재(90)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핀(72)의 구속을 해제한다.The locking portion 8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pin 72 when the driving portion 110 is not operate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60 and is coupled to the guide pin 72 in cooper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90. [ (72).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80)는, 가이드핀(72)의 이동경로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버부재(90)의 이동으로 회전되는 락킹몸체(82)와, 락킹몸체(82)를 관통하여 베이스패널(60)에 연결되는 락킹연결축(86)과, 락킹연결축(86)의 외측에 권선되며, 락킹몸체(82)에서 연장된 락킹돌기(84)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락킹몸체(82)를 가이드핀(72)의 이동경로상에 배치시키는 락킹스프링(88)을 포함한다.The locking part 8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locking body 82 rotatably moun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pin 72 and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member 90, And a locking protrusion 84 extending from the locking body 82 and being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locking connection shaft 86 and elastically biasing the locking protrusion 84 to the locking position, And a locking spring 88 for disposing the body 82 on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pin 72.

락킹몸체(82)는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락킹돌기(84)는 락킹몸체(82)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락킹몸체(82)는 제1경사면(82a)과 제2경사면(82c)을 구비하고, 제2경사면(82c)이 레버몸체(92)에 접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락킹부(80)의 회전은 레버부재(90)에 의해 구속된다. The locking body 8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60 and the locking protrusion 84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locking body 82. The locking body 82 h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82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82c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82c is fixed in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lever body 92. [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locking portion 80 is restricted by the lever member 90.

락킹연결축(86)이 락킹몸체(82)를 관통하여 베이스패널(60)에 설치된다. 락킹연결축(86)의 외측에 권선된 락킹스프링(88)의 일측은 락킹돌기(84)에 연결되며, 락킹스프링(88)의 타측은 베이스패널(60)에 연결되므로, 락킹부(80)는 시계 방향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받는다.A locking connecting shaft 86 is installed in the base panel 60 through the locking body 82. [ One side of the locking spring 88 wound on the outside of the locking connection shaft 86 is connected to the locking projection 84 and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spring 88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60, Is urged 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락킹몸체(82)의 측면은 레버몸체(92)의 일단에 접하여 락킹몸체(82)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락킹몸체(82)의 일단은 가이드핀(72)에 접하여 가이드핀(72)이 가이드홀부(74)를 따라 이동됨을 구속한다.One end of the locking body 8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pin 72 in contact with the guide pin 72 while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body 82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ever body 92 and the rotation of the locking body 82 is restricted. To be moved along the guide hole portion (74).

레버부재(90)는 래치부(20)와 별도로 회전되며, 레버부재(90)의 회전경로 내에 스트라이커(12)가 위치하므로 레버부재(90)의 회전으로 스트라이커(1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The lever member 90 is rotated separately from the latch portion 20 and the striker 12 is positioned within the rotation path of the lever member 90. Therefore, I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in thought.

락킹부(80)와 함께 베이스패널(6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90)는 레버몸체(92)와 레버돌기(94)를 포함한다.The lever member 90 rotat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base panel 60 together with the locking portion 80 includes the lever body 92 and the lever projection 94. [

제2연결축(147)이 레버부재(90)의 몸체를 형성하는 레버몸체(92)와 베이스패널(60)과 래치부(20)를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레버부재(90)는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Since the second connection shaft 147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penetrate through the lever body 92 forming the body of the lever member 90 and the base panel 60 and the latch portion 20 in this order, 60, respectively.

제2연결축(147)의 외측에 권선된 제2스프링(148)의 일측은 레버몸체(92)의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돌기(94)에 연결되며, 제2스프링(148)의 타측은 베이스패널(60)에 걸린다. 따라서 레버부재(90)는 제2스프링(148)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도 7 기준)으로 탄성 지지된다.One side of the second spring 148 woun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shaft 147 is connected to a lever projection 94 protruding outwardly of the lever body 92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pring 148 is connected to the base The panel 60 is caught. Therefore, the lever member 9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refer to FIG. 7)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148.

동력전달부재(100)에 밀려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버부재(90)가 제2연결축(14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레버부재(90)의 상측면이 스트라이커(12)의 하부를 들어올려 안내홀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lever member 90 pushed by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and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otates around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47,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member 90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striker 12 And lifts it to the outside of the guide hole portion.

동력전달부재(100)는 구동부(110)의 동력을 레버부재(90)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재(100)는 구동부(110)의 직선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레버부재(9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transfers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110) to the lever member (90).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convert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10 into the rotational movement to rotate the lever member 90. [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100)는, 베이스패널(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몸체(102)와, 동력전달몸체(102)에서 연장되어 로드부재(118)와 마주하는 연장부재(104)와, 동력전달몸체(102)에서 연장되어 레버부재(90)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압돌기(106)를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ower transmitting body 102 rotatably installed in the base panel 60 and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power transmitting body 102 to face the rod member 118 Member 104 and a pressing projection 106 extending from the power transmitting body 102 and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lever member 90. [

제1연결축(140)이 동력전달몸체(102)를 관통하여 베이스패널(60)의 전면에 고정되므로 동력전달부재(100)는 제1연결축(14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The first connecting shaft 140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anel 60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body 102 so that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is rotated about the first connecting shaft 140.

제1연결축(140)의 외측에 제1스프링(142)이 권선되며, 제1스프링(142)의 일측은 동력전달몸체(102)에 걸리며 제1스프링(142)의 타측은 베이스패널(60)에 걸리므로, 동력전달부재(100)는 반시계 방향(도 7기준)으로 회전하려 하는 탄성력을 받는다.A first spring 142 is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shaft 140 and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142 is hooked on the power transmitting body 102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pring 142 is connected to the base panel 60 ,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is subjected to an elastic force t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ference in FIG. 7).

동력전달몸체(102)의 측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연장부재(104)가 형성되며, 가압돌기(106)는 레버부재(90)의 측면에 접하여 설치된다.The extension member 104 is formed in a shape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102 and the pressing projection 106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ever member 90. [

도 3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0)는 케이스부(12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외부신호로 동작되어 동력전달부재(100)를 가압하여 레버부재(9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3 and 10, the driving unit 110 is fixed to the case unit 120 and is operated by an external signal to press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to rotate the lever member 90 Various types of driving devices can be used in the art.

구동부(110)는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여 동작되며, 레버부재(9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스트라이커(1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므로 스트라이커(12)에 고정된 후드(10)도 상측으로 이동된다.The driving unit 110 is operated using the explosive force of the gunpowder and the hover 10 fixed to the striker 12 is also moved upward since the lever member 90 is rotated upward to lift the striker 12 upward.

구동부(110)는 스트라이커(12)가 래치부(20)에 구속되기 위하여 하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측방향을 향하여 로드부재(118)가 이동된다.The driving unit 110 is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iker 12 is lowered to be restrained by the latch unit 20. [ The driving unit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od member 118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0)는 구동하우징(112)과 폭발부(114)와 피스톤(116)과 로드부재(118)와 멜트실링(119)을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riving housing 112, an explosive unit 114, a piston 116, a rod member 118, and a melt seal 119.

구동하우징(112)은 케이스부(120)의 제2패널(124)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하우징(112)의 외측을 감싸는 브라켓부재(126)에 의해 제2패널(124)에 고정된다.The driving housing 112 is installed horizontally below the second panel 124 of the case 120 and is fixed to the second panel 124 by a bracket member 126 which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driving housing 112. [ do.

구동하우징(112)은 일측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하우징(112)의 내측에 폭발부(114)가 위치한다.The drive housing 112 is formed in a pipe shape having one side opened, and the explosive part 114 is located inside the drive housing 112.

폭발부(114)는 외부신호에 의해 폭발이 이루어지며, 폭발부(114)의 폭발로 생성된 가스의 체적이 증가하여 피스톤(116)과 로드부재(118)를 이동시킨다.The explosion part 114 is exploded by an external signal and the volume of the gas generated by the explosion of the explosion part 114 is increased to move the piston 116 and the rod member 118.

도 3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범퍼에 보행자가 접촉됨을 감지하는 센서부(135)는 제어부(130)로 측정값을 전달하며, 제어부(130)는 구동부(110)의 폭발부(114)로 외부신호를 전달하여 폭발부(114)를 폭발시킨다.3, 10 and 11, the sensor unit 135, which detects the contact of the pedestrian with the bumper of the vehicle,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ler 130.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riving unit 110, The explosion part 114 is caused to explode.

피스톤(116)은 구동하우징(112)의 내측에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폭발부(114)의 폭발로 이동한다.The piston 116 is installe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side the drive housing 112 and moves by the explosion of the explosion part 114.

로드부재(118)는 피스톤(116)에 연결되며, 피스톤(116)의 수평 이동으로 로드부재(118)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동력전달부재(100)를 회전시킨다.The rod member 118 is connected to the piston 116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ston 116 also moves the rod member 11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otate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로드부재(118)는 동력전달부재(100)의 연장부재(104)를 가압하여 동력전달부재(100)를 회전시키므로, 동력전달부재(100)에 밀려서 레버부재(90)도 회전하며 래치부(20)에 구속된 스트라이커(1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The rod member 118 pushes the extension member 104 of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to rotate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so that the lever member 90 is also pushed by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to rotate the latch member 90 The striker 12 restrained by the striker 20 is moved upward.

멜트실링(MELT SEALING)(119)은 피스톤(116)의 외측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발부(114)의 폭발로 생성된 고온의 가스에 녹아서 구동하우징(112)과 피스톤(116)의 사이로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The MELT SEALING 119 is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piston 116 and is melted in the high temperature gas generated by the explosion of the explosion part 114 to thereby prevent the driving housing 112 and the piston 116 Thereby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terstitial gas is discharged.

이를 위하여 멜트실링(119)의 녹는점은 폭발부(114)의 폭발로 생성된 가스의 온도 이하로 설정한다.For this, the melting point of the melt seal 119 is set below the temperature of the gas produced by the explosion of the explosive 114.

한편, 일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10)가 단수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구동부(110)를 복수 개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driving unit 1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unit, the driving unit 110 is merely an exampl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the driving units 110 may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스부(120)는 래치부(20)와 레버부재(9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패널(60)에 고정된다.The case part 120 is formed in a shape that encloses the latch part 20 and the lever member 90 and is fixed to the base panel 60.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20)는 락킹부(80)와 동력전달부재(100)와 레버부재(90)를 감싸며 베이스패널(6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1패널(122)과, 래치부(20)를 감싸며 베이스패널(6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패널(124)과, 제2패널(124)에 구동부(110)를 고정시키는 브라켓부재(126)를 포함한다.The case 120 includes a first panel 122 that surrounds the locking portion 80,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and the lever member 90 a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ase panel 60, And a bracket member 126 for fixing the driving unit 110 to the second panel 124. The second panel 124 includes a first panel 124 and a second panel 124,

제2연결축(147)이 제2스프링(148)과 레버부재(90)와 베이스패널(60)과 장착패널(50)과 커버패널(55)을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2연결축(147)의 양측에 제1패널(122)과 제2패널(124)이 위치한 상태에서 캡부재(146)가 제1패널(122)과 제2패널(124)을 관통하여 제2연결축(147)에 고정되므로,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의 부품이 서로 연결된다.The second connection shaft 147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econd spring 148, the lever member 90, the base panel 60, the mounting panel 50 and the cover panel 55 in order. The cap member 146 passes through the first panel 122 and the second panel 124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122 and the second panel 124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shaft 147, 2 connecting shaft 147, so that the parts of the vehicle active hood latch apparatu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active hood latch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0)의 하측 이동시 후드(10)와 함께 스트라이커(12)도 하측으로 이동되어 래치부(20)에 잠금상태로 설치된다.6 and 7, when the hood 10 is moved downward, the hood 10 and the striker 12 are also moved downward and installed in the latch portion 20 in a locked state.

스트라이커(12)가 인입홈(33)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속부(30)가 반시계 방향(도 6기준)으로 회전하려 하면, 구속부(30)의 제1돌기(32)가 잠금부(40)의 걸림돌기(46)에 걸리므로 구속몸체(31)의 회전은 구속된다.When the striker 1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ference in FIG. 6) in a state where the striker 12 is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33, the first projection 32 of the restricting portion 30 is locked 40, the rotation of the restricting body 31 is restrained.

도 8,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범퍼에 보행자가 충격된 경우, 범퍼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135)가 제어부(13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8, 13 and 15, when a pedestrian is impacted on the bumper of the vehicle, the sensor unit 135 that senses the impact of the bumper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130.

제어부(130)는 구동부(110)의 폭발부(114)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폭발부(114)는 외부신호인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구동하우징(112)의 내측에서 폭발된다.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explosion unit 114 of the driving unit 110 and the explosion unit 114 operates with a control signal which is an external signal and explodes inside the driving housing 112.

폭발부(114)의 폭발로 발생된 가스로 인해 구동하우징(112) 내측의 압력은 상승하며, 이로 인하여 로드부재(118)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동력전달부재(100)를 회전시킨다.The pressure inside the drive housing 112 rises due to the gas generated by the explosion of the explosion part 114, whereby the rod member 118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otate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동력전달부재(100)가 회전하면서 레버부재(9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부재(90)는 스트라이커(12)를 밀어 올리며 회전을 한다.When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rotates and rotates the lever member 90 counterclockwise, the lever member 90 pushes the striker 12 and rotates.

스트라이커(12)의 이동으로 스트라이커(12)를 구속하는 래치부(20)도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부(1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The latch portion 20 which restrains the striker 12 by the movement of the striker 12 also protrudes upward from the case portion 120 while rotating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스트라이커(12)의 상측에 연결된 후드(10)도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엔진룸과 후드(10)의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어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시킨다.The hood 1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riker 12 also moves upward so that a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ngine room and the hood 10 to reduce the secondary impact of the pedestrian.

레버부재(90)가 회전하면서 락킹부(80)를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내는 경우 가이드핀(72)의 구속이 해제된다.When the lever member 90 rotates and pushes the locking part 80 counterclockwise, the restraint of the guide pin 72 is released.

따라서 래치부(20)에 고정된 가이드핀(72)은 래치부(20)가 제2연결축(147)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홀부(74)를 따라 이동된다.The guide pin 72 fixed to the latch portion 20 is moved along the guide hole portion 74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latch portion 20 about the second connection shaft 147.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이프티후크(200)는 래치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래치부(20)에서 언락킹된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한다. 여기서 래치부(20)에서의 언락킹은 래치부(20)의 파손이나 오결합 등을 포함하여 스트라이커(12)가 래치부(20)에 락킹되지 않은 모든 상황을 포괄한다. 3 to 7, the safety hook 20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latch portion 20, and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unlocked striker 12 in the latch portion 20. As shown in Fig. Here, the unlocking in the latch portion 20 covers all situations in which the striker 12 is not locked to the latch portion 20, including the breakage of the latch portion 20 and the erroneous coupling.

세이프티후크(200)는 래치부(20)에서 언락킹된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부재(210)와, 외부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조작레버(222)를 구비하며 걸림부재(210)와 마주하는 작동부재(220)와, 작동부재(220)와 걸림부재(2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연결축(230)과, 힌지연결축(230)의 외측에 권선되며, 양측이 걸림부재(210)와 작동부재(220)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240)과, 래치부(20)에 고정되며, 힌지연결축(2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브라켓(250)을 포함한다.The safety hook 200 includes a latch member 21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unlocked striker 12 from the latch portion 20 and an operation lever 222 for receiving an external operation force, A hinge connecting shaft 230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actuating member 220 and the engaging member 210 and a hinge connecting shaft 230 which is wound on the outside of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A pressing spring 240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210 and the operating member 22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a mounting bracket 250 fixed to the latch portion 20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210)는 걸림몸체(211)와 걸림고리(212)와 걸림끼움부(213)와 걸림홈부(214)와 걸림홀부(215)를 포함한다.The latching member 2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latching body 211, a latching ring 212, a latching portion 213, a latching groove 214 and a latching hole 215.

걸림부재(210)의 몸체를 형성하는 걸림몸체(211)는 힌지연결축(230)을 통해 장착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걸림몸체(211)는 힌지연결축(23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The engaging body 211 forming the body of the engaging member 21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250 through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Therefore, the engaging body 211 is rotated by using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as a rotating shaft.

걸림고리(212)는 걸림몸체(211)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걸림고리(212)는 스트라이커(12)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한다. 걸림고리(21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2)를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atching ring 21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atching body 211. The latching ring 212 restrains the striker 12 from moving upward. The latching ring 212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striker 12.

걸림끼움부(213)는 걸림몸체(211)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걸림끼움부(213)는 걸림고리(212)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작동부재(220)의 작동돌기(223)와 끼움 결합된다. 일 예로 걸림끼움부(213)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21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body 211. The engaging portion 213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taining ring 212 and is engaged with the actuating projection 223 of the actuating member 220. For example, the engaging portion 213 may be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column shape.

걸림홈부(214)는 걸림고리(212)와 걸림끼움부(213)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걸림몸체(211)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걸림홈부(214)는 가압스프링(240)의 일측이 걸림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engaging groove portion 214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engaging body 211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engaging hook 212 and the engaging portion 213. The latching groove portion 214 is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so that one side of the pressuring spring 240 is engaged and fixed.

걸림홀부(215)는 걸림몸체(211) 상에 형성되어 힌지연결축(230)이 관통된다. 걸림홀부(215)를 관통한 힌지연결축(230)은 장착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atching hole portion 215 is formed on the latching body 211, and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is penetrated.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passing through the latching hole 21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250.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재(220)는 작동몸체(221)와 조작레버(222)와 작동돌기(223)와 작동홈부(224)와 작동홀부(225)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emb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operation body 221, the operation lever 222, the operation projection 223, the operation groove 224, and the operation hole 225.

작동부재(220)의 몸체를 형성하는 작동몸체(221)는 힌지연결축(230)을 통해 장착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작동몸체(221)는 힌지연결축(23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The operation body 221 forming the body of the operation member 22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250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shaft 230. Therefore, the operation body 221 is rotated by using the hinge connection shaft 230 as a rotation axis.

조작레버(222)는 작동몸체(221)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조작레버(222)는 외력,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력을 받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조작레버(222)는 타 부위보다 비교적 넓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operation lever 22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body 221. The operation lever 222 is a portio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specifically, an operation force input from the outside. For this, the operation lever 222 is formed in a relatively wide plate shape than the other portions.

작동돌기(223)는 작동몸체(221)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작동돌기(223)는 조작레버(222)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걸림부재(210)의 걸림끼움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작동돌기(223)는 걸림끼움부(213)에 끼움 결합된 후 분리가 어렵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측면에 돌출부가 더 형성된다.The operation protrusion 22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ody 221. The operation protrusion 223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222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213 of the engaging member 210. The operation protrusion 223 is formed in a hook shape so as to be difficult to separate after the operation protrusion 223 is fitted in the engaging portion 213 and further has a protrusion on the side surface.

작동홈부(224)는 작동몸체(221)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스프링(240)의 타측은 작동홈부(224)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다.The operating groove 224 is formed in the operating body 221 in a concave groove shape. The other side of the pressure spring 240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groove 224 and fixed in position.

작동홀부(225)는 작동몸체(221) 상에 형성되어 힌지연결축(230)이 관통된다. 작동홀부(225)를 관통한 힌지연결축(230)은 장착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operating hole 225 is formed on the operating body 221 so that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is penetrated. The hinge connection shaft 230 passing through the operation hole 225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unting bracket 250.

힌지연결축(230)은 작동몸체(221) 상에 형성되는 작동홀부(225)와, 걸림몸체(211) 상에 형성되는 걸림홀부(215)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에 장착브라켓(250)의 장착브라켓홀부(2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작동몸체(221)와 걸림몸체(211)는 모두 힌지연결축(23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The hinge connection shaft 230 is formed by sequentially inserting the operation hole portion 225 formed on the operation body 221 and the engagement hole portion 215 formed on the engagement body 211 and then mounting the mounting bracket 250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racket hole portion 253. Therefore, both the operation body 221 and the engagement body 211 are rotated with the hinge connection shaft 230 as a rotation axis.

가압스프링(240)은 힌지연결축(230)의 외측에 권선되며, 양측이 걸림부재(210)와 작동부재(220)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pressing spring 240 is wound on the outside of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and both side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engaging member 210 and the actuating member 22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일 예로 가압스프링(240)은 힌지연결축(230)에 나선 형상으로 권선되는 스프링몸체(241)와, 스프링몸체(24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걸림홈부(214)에 걸려 위치 고정되는 제1스프링연장부(242)와, 스프링몸체(241)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작동홈부(224)에 걸려 위치 고정되는 제2스프링연장부(243)를 포함한다.The pressing spring 240 includes a spring body 241 wound on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in a spiral shape and a spring body 24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pring body 241, And a second spring extension 243 extend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body 241 and fixed in position by being caught by the operation groove 224.

가압스프링(240)은 제1스프링연장부(242)와 제2스프링연장부(243)를 통해 걸림부재(210)와 작동부재(2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조작레버(222)에 외력이 제공되어 작동부재(220)가 회전되면, 가압스프링(240)에 의해 작동부재(220)의 회전은 걸림부재(210)에 전달되어 걸림부재(21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걸림부재(210)의 회전은 스트라이커(12)의 이동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The pressing spring 24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engaging member 210 and the actuating member 220 through the first spring extension 242 and the second spring extension 243. The rotation of the actuating member 220 is transmitted to the engaging member 210 by the urging spring 240 so that the engaging member 210 is rotated . The rotation of the latching member 210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striker 12.

가압스프링(240)은 제3스프링연장부(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스프링연장부(244)는 걸림끼움부(213)에 지지되면서 제1스프링연장부(242)와 제2스프링연장부(243)에서의 탄성력을 극대화시킨다. The pressurizing spring 24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pring extension 244. The third spring extension portion 244 is supported by the engagement portion 213 to maximiz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extension portion 242 and the second spring extension portion 243.

가압스프링(240)이 권선됨에 따라 힌지연결축(230)에는 가압스프링(240), 작동부재(220), 걸림부재(210) 순으로 배치된다. The pressing spring 240 is disposed on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in the order of the pressing spring 240, the actuating member 220 and the engaging member 210 as the pressing spring 240 is wound.

가압스프링(240)과 작동부재(220) 사이에는 와셔(261)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걸림부재(210)와 장착브라켓(250) 사이에는 힌지연결축(230)에 결합되는 힌지연결축보강부(26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 washer 26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spring 240 and the actuating member 220. A hinge connection shaft reinforcing part 260 coupled to the hinge connecting shaft 2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member 210 and the mounting bracket 250. [

장착브라켓(250)은 래치부(20)에 결합되는 브라켓상판(251)과, 브라켓상판(25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다 하측으로 굴곡되는 브라켓하판(252)을 포함한다.The mounting bracket 250 includes a bracket upper plate 251 coupled to the latch portion 20 and a bracket lower plate 25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racket upper plate 251 and bent downward.

브라케상판(251)은 래치부(20), 구체적으로 커버패널(55)에 체결부재(262)에 의해 결합된다. 브라켓하판(252)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됨에 따라 브라켓하판(2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재(210)는 제2패널(124)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The bracket upper plate 251 is coupled to the latch portion 20, specifically, the cover panel 55 by a fastening member 262. The bracket lower plate 252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latching member 210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plate 25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cond panel 124.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하우징(112)의 내측에 고온의 가스가 충진되면, 고온에서 녹는 재질로 성형된 멜트실링(119)은 가스에 접하면서 녹아내려 구동하우징(112)에 충진된 가스가 멜트실링(119)을 통해 구동부(11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16 and 17, when a high-temperature gas is filled in the driving housing 112, the melt seal 119, which is formed of a material melting at a high temperature, melts while contacting with the gas,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unit 110 through the melt seal 119.

따라서 보행자의 신체가 후드(10)에 충격된 경우, 스트라이커(12)와 레버부재(90)와 동력전달부재(100)를 통해 구동부(110)로 외력이 전달된다.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110 through the striker 12, the lever member 90, and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100 when the body of the pedestrian is impacted by the hood 10. [

구동부(110)로 외력이 전달되면, 구동하우징(112) 내측에 있는 가스의 일부가 구동부(11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면서 로드부재(118)가 구동하우징(112)의 내측으로 이동하므로, 이에 연동하여 장착패널(50)과 후드(10)와 스트라이커(12)도 하측으로 이동하여 완충작용을 한다. When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110, the rod member 118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driving housing 112 as a part of the gas inside the driving housing 112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unit 110, The mounting panel 50, the hood 10, and the striker 12 also move downward to function as a buff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와 접촉사고시 구동부(110)의 폭발을 이용하여 래치부(20)를 포함한 장착패널(5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12)를 들어올리므로 후드(10)와 엔진룸 사이에 완충공간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anel 50 including the latch portion 20 is moved upward by lifting the striker 12 by using the explosion of the driving unit 110 in case of a contact accident with the pedestrian, And the engine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buffer space, so that the secondary impact of the pedestrian can be reduced.

또한 로드부재(118)의 전개로 후드(10)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멜트실링(119)이 고온의 가스에 녹아서 피스톤(116)의 외측으로 가스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보행자가 후드(10)에 접촉할 때 후드(1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보행자의 2차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The gas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piston 116 since the melt seal 119 is melted in the high temperature gas in the state that the hood 10 is moved upward by the development of the rod member 118, The hood 10 is moved downward to reduce the secondary impact of the pedestria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1)에서 이중 락킹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double locking in the active hood latch apparatus for a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차적으로 스트라이커(12)는 래치부(20)에 의해 락킹된다. 만일 도 12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20)의 파손이나 오결합 등으로 인해 래치부(20)가 스트라이커(12)를 락킹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스트라이커(12)의 상측 이동은 세이프티후크(200)에 의해 구속된다.The striker 12 is primarily locked by the latch portion 20. 12 and 13, even if the latch portion 20 can not lock the striker 12 due to breakage or misjudgment of the latch portion 20, the upward movement of the striker 12 is not restricted to safety And is constrained by the hook 200.

세이프티후크(200)의 걸림부재(210)는 스트라이커(12)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재(210)의 걸림고리(212)는 스트라이커(12)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므로, 래치부(20)에 의해 락킹되지 않은 스트라이커(12)의 상측 이동은 걸림고리(212)가 배치되는 위치까지로 제한된다. The engaging member 210 of the safety hook 200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triker 12. [ More specifically, since the latching ring 212 of the latching member 210 is disposed on the path along which the striker 12 moves upward, the upward movement of the striker 12, which is not locked by the latching portion 20, To the position in which the heat sink 212 is disposed.

스트라이커(12)는 걸림고리(212)에 의해 상측 이동이 구속되므로, 래치부(20)에서 스트라이커(12)의 이동을 구속시키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후드(10)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triker 12 is restrained from moving upward by the latching ring 212 so that the hood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opened even if the latching portion 20 can not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triker 12. [

걸림고리(212)에 의한 스트라이커(12)의 상측 이동의 제한은 가압스프링(240)에 의해 걸림부재(210)와 연동되도록 설치된 작동부재(220)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룰 수 있다.Restriction of the upward movement of the striker 12 by the latching ring 212 can be achiev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220 installed to be engaged with the latching member 210 by the biasing spring 240. [

작동부재(220)에는 외력의 공급이 쉽도록 조작레버(222)가 별도로 구비되며, 운전자 등이 도 14와 도 15와 같이 조작레버(222)에 외력을 공급하게 되면 작동부재(220)는 힌지연결축(23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작동부재(220)의 회전에 의해 가압스프링(240)은 탄성 변형되고, 가압스프링(2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재(210)는 스트라이커(12)의 이동 제한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스트라이커(12)의 상측 이동이 이루어진다.When the driver or the like su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operation lever 222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operation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 hinge And is rotated with the connecting shaft 230 as a rotating shaft. The pressing spring 24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220 and the engaging member 210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pressing spring 24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o release the restriction of the movement of the striker 12. [ Thereby, the striker 12 is moved upwar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부와 더불어 세이프티후크를 통해 후드를 이중으로 락킹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시의 소음과 진동, 그리고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uble lock the hood through the safety hook in addition to the latch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noise, vibration, and safety problems during vehicle opera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10: 후드 12: 스트라이커 14: 케이블부재
20: 래치부
30: 구속부 31: 구속몸체 32: 제1돌기 33: 인입홈 34: 제2돌기 36: 장착돌기 38: 탄성부재 39: 장착핀
40: 잠금부 42: 잠금몸체 44: 연결부재 46: 걸림돌기
50: 장착패널 52: 안내홈부 55: 커버패널
60: 베이스패널
70: 가이드부 72: 가이드핀 74: 가이드홀부
80: 락킹부 82: 락킹몸체 84: 락킹돌기 86: 락킹연결축 88: 락킹스프링
90: 레버부재 92: 레버몸체 94: 레버돌기
100: 동력전달부재 102: 동력전달몸체 104: 연장부재 106: 가압돌기
110: 구동부 112: 구동하우징 114: 폭발부 116: 피스톤 118: 로드부재 119: 멜트실링
120: 케이스부 122: 제1패널 124: 제2패널 126: 브라켓부재
130: 제어부 135: 센서부 200: 세이프티후크 210: 걸림부재 220: 작동부재 230: 힌지연결축 240: 가압스프링 250: 장착브라켓
1: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10: Hood 12: Striker 14: Cable member
2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fixing pin to a fixing pin,
40: locking portion 42: locking body 44: connecting member 46:
50: mounting panel 52: guide groove 55: cover panel
60: base panel
70: guide portion 72: guide pin 74: guide hole portion
80: locking part 82: locking body 84: locking protrusion 86: locking connecting shaft 88: locking spring
90: Lever member 92: Lever body 94: Lever projection
100: Power transmission member 102: Power transmission body 104: Extension member 106:
110: driving part 112: driving housing 114: explosion part 116: piston 118: rod member 119: melt seal
120: case part 122: first panel 124: second panel 126: bracket member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conn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Claims (8)

후드에 연결된 스트라이커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부에서 언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세이프티후크;
상기 래치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부에 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회전경로 내에 위치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스트라이커를 들어올리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레버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부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구속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부; 및
상기 구속부와 상기 잠금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속부와 상기 잠금부의 사이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안내홈부를 구비하는 장착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후크는, 상기 래치부에서 언락킹된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부재;
외부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조작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와 마주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연결축;
상기 힌지연결축의 외측에 권선되며, 양측이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래치부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A latch portion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striker connected to the hood;
A safety hook rotatably installed on the latch portion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riker unlocked by the latch portion;
A base panel on which the latch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A lever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the lever member being locked to the latch portion, the striker being located in a rotation path;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lever member to supply power to lift the striker; And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to the lever member,
The latch portion includes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riker;
A locking part connected to the cable member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estricting part; And
And a mounting panel having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rotatably mounted thereon, and a guide groove portion between which the striker is inserted between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The safety hook includes: a latching member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riker unlocked by the latch portion;
An operating member having an operating lever for receiving an external operating force and facing the engaging member;
A hinge connection shaft installed through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latch member;
A pressing spring that is wound on the outside of the hinge connecting shaft and has both sides connected to the engag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And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latch portion and having the hinge connection shaft rotatably mounted there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 외력이 제공되면 상기 작동부재는 회전되고, 상기 가압스프링은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걸림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걸림부재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이동 구속이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operating lever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force, the operating member is rotated, and the pressing spring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perating member to the engaging member to rotate the engaging member so that the striker is restrained from moving by the engaging member Wherein the vehicle body is a vehicle bod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핀의 구속을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ortion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and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guide pin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케이스부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신호로 폭발하는 폭발부;
상기 구동하우징의 내측에서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폭발부의 폭발로 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가압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e housing fixed to the case and having one side opened;
An explosion part located inside the driving housing and detonating with an external signal;
A piston installed in the drive housing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d moving by the explosion of the explosion part; And
And a rod member connected to the piston and pressing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by movement of the pist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전달몸체;
상기 동력전달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로드부재와 마주하는 연장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래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power transmit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panel;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power transmission body and facing the rod member; And
And a press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power transmitting body and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lever member.
KR1020130101399A 2013-08-26 2013-08-26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Active KR101471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399A KR101471523B1 (en) 2013-08-26 2013-08-26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399A KR101471523B1 (en) 2013-08-26 2013-08-26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523B1 true KR101471523B1 (en) 2014-12-10

Family

ID=5267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399A Active KR101471523B1 (en) 2013-08-26 2013-08-26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52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186A (en) * 2014-12-31 2016-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 front pop-up ratch safty hook structure for active hood of car
KR101774525B1 (en) 2015-07-13 2017-09-04 평화정공 주식회사 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854B1 (en) * 2001-11-14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mobile Hood Latch Having Two Step Locking Structure
KR100655521B1 (en) * 2004-12-20 2006-12-11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Locking hood hood
KR20110086336A (en) * 2010-01-22 2011-07-28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Hood latch assembly
KR101272519B1 (en) * 2011-08-12 2013-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854B1 (en) * 2001-11-14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mobile Hood Latch Having Two Step Locking Structure
KR100655521B1 (en) * 2004-12-20 2006-12-11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Locking hood hood
KR20110086336A (en) * 2010-01-22 2011-07-28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Hood latch assembly
KR101272519B1 (en) * 2011-08-12 2013-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ctive hood system for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186A (en) * 2014-12-31 2016-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 front pop-up ratch safty hook structure for active hood of car
KR101673721B1 (en) * 2014-12-31 2016-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 front pop-up ratch safty hook structure for active hood of car
US10329811B2 (en) 2014-12-31 2019-06-25 Kia Motors Corporation Front pop-up latch safety hook structure for active hood of vehicle
DE102015222194B4 (en) 2014-12-31 2022-07-28 Kia Motors Corporation Front opening locking bar safety hook structure for vehicle active hood
KR101774525B1 (en) 2015-07-13 2017-09-04 평화정공 주식회사 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334B1 (en)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KR101491298B1 (en)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US9863170B2 (en) Structure of hood latch for vehicle
JP6741760B2 (en) Car door lock
KR101560979B1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100921062B1 (en) Lift device in active hood system
KR101567637B1 (en) Active hood apparatus for vehicle
KR101904665B1 (en) Hinge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pedestrian protection means for a front hood
KR102805295B1 (en) Automotive safety device with rotary latch and ejection spring
US10975599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471523B1 (en)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US20210301565A1 (en) Vehicle latch device
KR101471524B1 (en)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KR101542689B1 (en) Hood latch device for automobile
KR101471525B1 (en)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KR102659231B1 (en)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working together airbag system
US11719025B2 (en) Vehicle latch device
CN101152832A (en) Safety brake device for the panel of a sliding roof
KR101464146B1 (en)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JP5765267B2 (en) Pop-up hood device for vehicle
JP6157333B2 (en) Hood lift mechanism
JP5910370B2 (en) Hood jumping device
KR101464147B1 (en) Apparatus for active hood latch of automobile
JP6292101B2 (en) Pop-up hood device for vehicle
KR101798204B1 (en) 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