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3579B1 - Dental Ultrasonic Tool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Ultrasonic Tool Se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ntal Ultrasonic Tool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Ultrasonic Tool Se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79B1
KR101483579B1 KR20130111606A KR20130111606A KR101483579B1 KR 101483579 B1 KR101483579 B1 KR 101483579B1 KR 20130111606 A KR20130111606 A KR 20130111606A KR 20130111606 A KR20130111606 A KR 20130111606A KR 101483579 B1 KR101483579 B1 KR 10148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andpiece
plane
ultrasonic
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훈
정규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1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5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7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3Instruments operated by v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vibratory drive,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61B2017/1651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2017/320084Irrigation slee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ntal ultrasonic tool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ing: a tool shank equipped on a handpiece constituting a handle and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handpiece; and a tool head equipped on the front end of the tool shank and damaging the cortical bone by applying ultrasonic stimuli to the cortical bone.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lane vertically crossing a direction which the tool head faces and a second plane in which the handpiece and tool shank are disposed make an acute angle so that the handpiece can be diagonally extended with respect to the applied region of the ultrasonic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ed region (surgical surface) facing the tool head makes an acute angle with the handpiece so that an operator can naturally see and move his/her wrist and a procedure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A wide field of view of the applied region can be ensured, and the ultrasound tool can be freely handled.

Description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및 이를 갖는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Dental Ultrasonic Tool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Ultrasonic Tool Set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ultrasound tool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 dental ultrasound too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 초음파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 교정술의 치료기간(교정기간) 단축을 위해 구강 연조직과 피질골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터널의 내부로 진입해서 피질골에 손상을 가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및 초음파 공구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ultrasound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ultrasound tool for dental orthodontics, which enters into a tunnel formed between a soft tissue and a cortical bone for shortening a treatment period (correction period) Dental ultrasound tools and ultrasound tool sets.

치과 교정술, 특히 치열교정시술은 치아의 점진적 이동을 요구하므로 치료기간(교정기간)이 길게 소요된다. 따라서, 브라켓과 교정 와이어 등의 교정 장치를 장기간동안 구강 내부에 착용해야 한다는 것이 환자들에게 부담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전문적인 교정치료를 받으려는 환자들이 가장 많이 망설이는 부분이다.Dental orthodontics, especially orthodontic procedures, require a gradual movement of the teeth, so the treatment period (correction period) is long. Therefore, it may be a burden to the patient to wear the orthodontic appliance such as the bracket and the orthodontic wire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oral cavity, which is the most hesitant part of patients who want to receive orthodontic treatment.

따라서 교정기간을 가능한 줄이고자 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여러 방법 중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한 가지 또는 몇 가지 방법을 동시에 사용해서 전체 교정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교장 장치를 구강 내부에 장기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고 있다. Therefore, several methods are being used to reduce the correction period as much as possible. In the various methods, one or several methods are used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o shorten the total correction period, It is reducing inconvenience.

상술한 교정기간 단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시술로는, 자가결찰 브라켓을 사용하는 시술과, 스크류(Screw)를 이용하는 시술과, 치아를 감싸고 있는 단단한 피질골에 손상을 가함으로써 치아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피질골 절제술 등이 있다.The procedures used to shorten the above-mentioned calibration period include a procedure using a self-ligation bracket, a procedure using a screw, and a cortical resection procedure in which a tooth is rapidly moved by damaging a hard cortical bone surrounding the tooth .

상술한 여러가지 종류의 시술 중에서, 상기 피질골 절제술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mong the various kinds of procedures described above, the corticotom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치아를 둘러싸는 치조골과 입천장의 구개골(입천장뼈)은 골조직이 성긴 해면골과 상기 해면골의 바깥층으로서 골조직이 치밀한 피질골 2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치열교정을 위해서는 치아 이동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상기 피질골은 단단하여 치아 이동에 있어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피질골 절제술을 통해 치아 이동을 가속화함으로써 교정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alveolar bone surrounding the tooth and the palate of the palate (palate bone) are composed of two layers of fine cortical bone, which are the outer cancellous bone of the cancellous bone and the bone tissue. Since the cortical bone is hardened and acts as a resistance in tooth movement, the tooth movement is accelerated through the cortical bone resection, thereby shortening the correction period.

예를 들어, 치과 교정술,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열교정시술에서 치아의 이동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치근(치아뿌리) 사이 영역의 치밀골(피질골)에 손상을 가하고 골개조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술식이 시술될 수도 있으며, 이는 선택적인 피질골 손상을 통해 유도되는 국소치유촉진현상(RAP; Regional Acceleratory Phenomenon)을 이용하는 방법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accelerate tooth movement in dental orthodontics, more specifically orthodontic treatment,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a procedure in which damage to the cortical bone (cortical bone) in the area between the root (tooth root) , Which is a method of using Regional Acceleratory Phenomenon (RAP) induced through selective cortical bone damag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단한 피질골에 구멍을 뚫거나 홈을 파는 등과 같이 피질골의 절제를 통해 상기 피질골에 손상을 가하면 상술한 국소치유촉진현상이 유도되는데, 이는 피질골 손상부위 및 그 주변의 뼈가 연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손상부위 및 그 주변 뼈의 연화에 따라 치아 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교정기간의 단축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ortical bone is damaged through the resection of the cortical bone, such as drilling a hole in a hard cortical bone or digging a groove, the above-mentioned local cure promoting phenomenon is induced. This is because the cortical bone damaged region and surrounding bone are softened , Resistance to tooth movement is reduced by softening of the damaged region and its surrounding bone, and consequently,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rrection period can be obtained.

한편, 피질골을 손상시키는 시술, 즉 피질골 절제술을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피질골에 초음파 자극(진동)을 가해서 피질골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홈을 파는 치과 초음파 수술기가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ultrasonic waves can be used for the cortical bone injuring procedure, that is, for the cortical bone resection, and a dental ultrasonic surgical apparatus which forms a hole in the cortical bone by applying an ultrasonic stimulus (vibration) to the cortical bone or digs a groove can be us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 수술기(10)은, 핸드피스(1)와 상기 핸드피스(1)에 결합되어서 상기 피질골에 압전효과에 의한 자극, 특히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치과 초음파 공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ultrasonic surgical apparatus 10 includes a handpiece 1 and a dental ultrasound tool (not shown) coupled to the handpiece 1 and applying a stimulus, particularly ultrasonic vibration, to the cortical bone by a piezoelectric effect 2).

상기 초음파 공구(2)는, 상기 핸드피스(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툴 자루(2a)와 상기 툴 바디의 선단에 구비되는 툴 헤드(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툴 헤드(2b)는 피질골에 접촉되어 상기 피질골에 초음파 자극을 가함으로써 상기 피질골에 홈이나 홀(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The ultrasonic tool 2 includes a tool bag 2a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1 and a tool head 2b provided at the tip of the tool body, ) Contact the cortical bone and apply ultrasonic stimulation to the cortical bone to form a groove or a hole in the cortical bone.

그러나 종래의 초음파 공구(2)는, 구강 연조직(잇몸)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적인 피질골에 국소 크기의 홀이나 가는 홈을 형성할 수는 있으나, 넓은 영역의 피질골 절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잇몸 등의 구강 연조직의 절개범위가 커져야 하고 이는 환자의 고통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ultrasonic tool 2, localized holes or fine grooves can be formed in the partial cortical bon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cision of the soft tissue (gum). However, in order to perform the cortical bone resection in a wide area, The incision area of the oral soft tissue should be increased, which increases the patient's pain.

그리고, 상기 초음파 수술기(10)는 구강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초음파 절제술이 필요한 부위(시술부위)의 위치별로 접근성 및 핸들링에 제한이 따르고, 핸드피스 및/또는 툴 자루가 시술부위를 가려서 시술부위에 대한 충분한 시야 확보가 어려우며, 더 나아가 시술자가 시술부위에 대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면서 피질골 절제술을 수행할 때 자세가 불편하기 때문에 시술에 어려움이 있다.Since the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10 is used in a narrow space inside the oral cavity,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accessibility and handling of the site where the ultrasonic resection is required (the procedure site), and the handpiece and /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visual field for the surgical site, and furthermore, there is a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procedure because the posture is inconvenient when the operator performs sufficient curettage to the surgical site while performing corticotomy.

즉, 상기 툴 헤드(2b)가 시술면(시술부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상기 핸드피스(1)를 조작하면서 초음파 절제술을 수행할 때, 시술자의 손목과 팔의 각도가 과도하게 꺾일 수 있으며, 시술부위가 구치(어금니) 부근인 경우 상기 핸드피스(1)가 안면 연조직, 입술 기타 치아 주변의 구강 연조직에 간섭되어 상기 초음파 수술기(10)의 핸들링에 제약이 따르고, 시술부위에 대한 충분한 시야 확보가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That is, when the operator performs ultrasonic excision while operating the handpiece 1 in a state where the tool head 2b is disposed on the treatment surface (treatment area), the angle of the operator's wrist and arm may be excessively bended When the treatment part is in the vicinity of the molar (molar), the handpiece 1 is interfered with the oral soft tissue around the facial soft tissue, lips and other teeth to restrict the handling of the ultrasonic surgical device 10, There is a problem such as difficulty in securing visibilit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19426호, 2010년 2월 18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9426, February 18, 201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시술부위에 대한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핸들링 범위가 넓게 확보될 수 있으며, 치과 교정술(치열교정시술)의 치료기간 단축을 위해 피질골 제거술을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의 치과 초음파 공구 및 이를 갖는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treating a dental prosthesis, And a dental ultrasound tool set having the dental ultrasound too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 연조직의 국소 절개부를 통해 연조직 아래, 즉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구강 연조직과 피질골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해서 터널링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피질골에 손상을 가하며, 구강 연조직의 절개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초음파 절제술을 수행할 수 있는 치과 초음파 공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treating a cortical bone by entering into a space between a soft tissue and a cortical bone which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local incision of the soft tissu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ultrasound tool capable of performing an ultrasound resection in a state of a living body.

상술한 목적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를 이루는 핸드피스에 구비되며 상기 핸드피스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툴 자루(Tool Shank); 그리고 상기 툴 자루의 선단에 구비되며, 피질골에 초음파 자극을 가해서 상기 피질골을 손상시키는 툴 헤드(Tool Hea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로서: 상기 툴 자루는 상기 핸드피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연장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을 벗어나도록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근위 자루와, 상기 근위 자루의 선단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근위 자루에 비해 핸드피스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원위 자루로 구성되고, 상기 툴 헤드는 원위 자루 선단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핸드피스 및 툴 자루와 함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초음파 공구의 시술부위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제1평면과 상기 핸드피스와 툴 자루가 위치하는 가상의 제2평면은 예각을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툴 헤드에는 상기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제1평면을 향하도록 상기 툴 헤드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공구날이 구비되며, 상기 제1평면을 향해 냉각수를 분출할 수 있는 출수공이 상기 툴 헤드의 전면과 상기 원위 자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 shoe comprising: a tool shank provided on a hand piece constituting a handle and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hand piece; And a tool head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tool bag and damaging the cortical bone by applying an ultrasonic stimulus to the cortical bone, the dental ultrasonic tool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ing: A proximal bag extending as far as possible and extending along the axis of the handpiece or having an oblique shape bent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handpiece so as to be out of the axis of the handpiece, Wherein the tool head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and is positioned coplanar with the handpiece and tool bag, Wherein the handpiece is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art to be treated of the ultrasonic tool Wherein the first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is oriented and the virtual second plane in which the handpiece and the tool bag are located are formed at an acute angle so that the tool head is perpendicular to the tool head, Wherein an outflow hole capable of ejecting cooling water toward the first plane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ool head and the distal sack, .

삭제delete

상기 툴 헤드가 상기 제1평면의 우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제1평면의 우측과 예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툴 헤드가 상기 제1평면의 우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제1평면의 좌측과 예각을 이룰 수도 있다.The handpiece makes an acute angle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with reference to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faces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And the handpiece may make an acute angle with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faces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또한, 상기 툴 헤드가 상기 제1평면의 좌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제1평면의 우측과 예각을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툴 헤드가 상기 제1평면의 좌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제1평면의 좌측과 예각을 이룰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andpiece may have an acute angle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on the basis of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faces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And the handpiece may make an acute angle with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with reference to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faces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은 20°~70°를 이루며, 보다 상세하게는 30°~60°를 이룬다. The first plane and the second plane form 20 ° to 70 °, and more specifically, 30 ° to 60 °.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제1초음파 공구와 제2초음파 공구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Dental Ultrasonic Tool Set)로서: 상기 제1초음파 공구와 제2초음파 공구는, 각각 핸드피스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핸드피스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툴 자루와, 상기 툴 자루의 선단에 구비되며, 피질골에 초음파 진동을 가해서 상기 피질골을 손상시키는 툴 헤드(Tool Head)를 포함하되; 상기 툴 자루는 상기 핸드피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연장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을 벗어나도록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근위 자루와, 상기 근위 자루의 선단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근위 자루에 비해 핸드피스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원위 자루로 구성되고, 상기 툴 헤드는 원위 자루 선단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핸드피스 및 툴 자루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과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핸드피스와 툴 자루가 위치하는 평면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과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핸드피스와 툴 자루가 위치하는 평면은 예각을 이루며;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와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1초음파 공구 및 제2초음파 공구의 각 툴 헤드에는 상기 각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향하도록 상기 툴 헤드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공구날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초음파 공구 및 제2초음파 공구의 각 툴 헤드의 전면과 상기 원위 자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과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각각 냉각수를 분출할 수 있는 출수공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fur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ultrasonic tool set for dental correction comprising a first ultrasonic tool and a second ultrasonic tool,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second ultrasonic tool each comprising a handpiece And a tool head provided at the tip of the tool bag and damaging the cortical bone by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o the cortical bone, The tool bag includes a proximal bag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and extending along an axis of the handpiece or having a shape bent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axis of the handpiece so as to deviate from the axis of the handpiece, Wherein the tool head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of the proximal end of the proximal end of the handpiece, Wherein a plan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tool head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a plane on which the handpiece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tool bag are located form an acute angle; A plan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of the second ultrasonic tool is oriented and a plane on which the handpiece of the second ultrasonic tool and the tool bag are located form an acute angle; Wherein the tool head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tool head of the second ultrasonic tool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tool heads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second ultrasonic tool are provided with planes orthogonal to the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a front surface of each of the tool heads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second ultrasonic tool and a distal handle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is provided with a tool tooth protruded forward of the tool head, And an outflow hole capable of ejecting cooling water on a plan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is oriented and a plan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of the second ultrasonic tool is oriented.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및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dental ultrasound tool and the dental ultrasound tool set for dental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툴 헤드와 마주하는 시술부위(시술면)가 핸드피스와 예각을 이루므로, 시술자의 시선과 손목의 방향이 자연스러워서 시술이 편리하고, 상기 시술부위에 대한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해진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eatment site (treatment surface) facing the tool head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handpiece, the operator's eyes and the direction of the wrist are natural and convenient, .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면을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시술면의 우측 사선방향 또는 좌측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시술자가 편한 자세에서 핸드피스를 조작해서 피질골 절제를 위한 툴 헤드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고, 과도한 손목의 꺾임이나 시술부위에 따른 시술자의 빈번한 위치이동 등과 같은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ndpiece extends in the right oblique direction or in the left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cedure surface,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handpiece in a comfortable posture to move the tool head for ablation of the cortical bone And inconveniences such as excessive wrist bending or frequent movement of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te can be reduced.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내부 구조나 입술 및 입술 주변의 연조직과 핸드피스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핸드피스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핸들링 범위)가 넓어지며, 시술부위의 위치에 따른 초음파 공구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oral cavity structure and the soft tissues around the lips and the lips and the handpiece, and the range in which the handpiece can move (the handling range) is widened. The accessibility of the ultrasonic tool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치과 초음파 시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치과 초음파 공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치과 초음파 공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치과 초음파 공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피질골 절제술의 시행 전에 구강 연조직 아래에 터널을 형성하는 터널링 시술을 위하여 구강 연조직에 절개부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초음파 공구를 이용하여 피질골 절제술을 시행하기 전에 구강 연조직의 아래에 터널을 형성하는 터널링 시술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초음파 공구를 이용한 피질골 절제술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ental ultrasound machine.
2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dental ultrasound tool.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ntal ultrasound tool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ntal ultrasound tool set for dental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dental ultrasound tool shown i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use state shown i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ental ultrasound tool set for dental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dental ultrasound tool shown i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use state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cision is formed in an oral soft tissue for tunneling to form a tunnel under an oral soft tissue before performing cortical bone resec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unneling operation for forming a tunnel under the oral soft tissue before the cortical bone resection using the dental ultrasound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cortical bone resection using a dental ultrasound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ool head of a dental ultrasonic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이하 '초음파 공구'라 약칭함) 및 이를 갖는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3 to 6, an embodiment of a dental ultrasound tool (hereinafter abbreviated as 'ultrasound tool') and a dental ultrasound tool set having the ultrasound tool for dental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면들 중,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치과 초음파 공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ntal ultrasonic tool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ntal ultrasonic tool s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dental ultrasound tool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use state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공구(100A, 100B)는 교정기간의 단축을 위해 피질골에 손상을 가하는 시술, 예를 들면 피질골 절제술을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강 연조직, 특히 잇몸과 치조골 사이에 형성되는 터널의 내부로 진입하여 피질골에 초음파 자극을 가함으로써 상기 피질골에 손상을 가하는 시술에는 더욱 효용성이 우수한 치과용 도구이다.3 to 6, the ultrasonic tool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injuring the cortical bone to shorten the correction period, for example, cortical bone resection, and more specifically, In particular, it is a dental tool which is more effective in the procedure of entering the tunnel formed between the gum and the alveolar bone and damaging the cortical bone by applying ultrasonic stimulation to the cortical bone.

상기 초음파 공구(100A, 100B)는, 핸드피스(Handpiece; 1)에 구비되는 툴 자루(110)와 상기 툴 자루(110)에 구비되는 툴 헤드(120, 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ultrasonic tools 100A and 100B include a tool bag 110 provided in a handpiece 1 and tool heads 120 and 130 provided in the tool bag 110. [

여기서, 상기 핸드피스(1)는 상기 초음파 공구의 핸들링을 위한 손잡이(Handle)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툴 자루(110)는 상기 핸드피스(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툴 헤드(120, 130)는 상기 툴 자루(110)의 선단에 구비된다.Here, the handpiece 1 is a handle for handling the ultrasonic too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ol bag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1, (120, 130) are provided at the tip of the tool bag (1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툴 자루(110)는 상기 핸드피스(1)의 선단에 구비되어서 상기 핸드피스(1)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1)와 툴 자루(110)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핸드피스(1)의 축선(1a)과 툴 자루(110)의 축선이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툴 자루(110)의 일단은 상기 핸드피스(1)의 일측(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툴 자루(110)의 타단에는 상기 툴 헤드(120)가 일체로 구비된다.따라서, 결국 상기 툴 헤드와 핸드피스 및 툴 자루는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tool bag 110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handpiece 1 and is supported by the handpiece 1. In this embodiment, the handpiece 1 and the tool bag 110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More specifically, the axes of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1 and the tool bag 110 are the same Plane. One end of the tool bag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tip end) of the handpiece 1 and the tool head 120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ool bag 110. Consequently, the tool head, the handpiece, and the tool bag are both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상기 툴 헤드(120, 130)는 상기 툴 자루(110)에 구비되어서 상기 툴 자루(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피질골에 초음파 자극을 가해서 상기 피질골을 손상시키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툴 헤드(120, 130)는 피질골 손상을 위한 공구날(Tool Blade; 121, 131)을 갖는다. The tool heads 120 and 130 are provided on the tool sack 110 and are supported by the tool sack 110 to damage the cortical bone by applying ultrasonic stimulation to the cortical bone. The heads 120 and 130 have tool blades 121 and 131 for cortical bone damage.

상기 공구날(121, 131)은 상기 툴 헤드(120, 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툴 헤드(120, 130)의 전방(툴 헤드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등 상기 툴 헤드(120, 130)가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툴 헤드(120)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톱니 형상을 가지며 1줄 이상이 될 수 있다. The tool teeth 121 and 131 are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tool heads 120 and 130 or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tool heads 120 and 130 The heads 120 and 130 may have various shapes. In this embodiment, the heads 120 and 130 may have a saw-tooth shap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tip of the tool head 120 and may be one or more lines.

물론, 상기 공구날(121, 131)은 상기 툴 헤드(120, 130)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공구날(121, 131)의 방향은 툴 헤드의 폭방향(가로방향)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툴 헤드(120, 130)의 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면 세로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tool blades 121 and 13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ol heads 120 and 130, and the direction of the tool blades 121 and 131 may be a width direction of the tool head But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ol heads 120 and 130, for examp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공구(100A, 100B)에서는, 상기 핸드피스(1)가 상기 툴 헤드(120, 130)과 마주하면서 상기 툴 헤드(120, 130)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P1)과 예각을 이룬다. In the ultrasonic tool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piece 1 faces an imaginary plane P1 (P1, P2)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s 120, 130 face the tool heads 120, ) And an acute angl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툴 헤드(120, 130)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이하 '제1평면'이라 약칭함)과 상기 핸드피스(1)와 툴 자루(110)가 위치하는 가상의 평면(이하 '제2평면'이라 약칭함)이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툴 헤드(120, 130)에 수직한 선(120a, 130a)과 상기 핸드피스(1)의 축선(1a)이 상호 교차하거나 꼬인 위치에 있는 구조이다.More specifically, a virtual pla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s 120 and 130 are orien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lane') and the handpiece 1 and the tool bag 110 The lines 120a and 130a perpendicular to the tool heads 120 and 130 and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1 are mutu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a virtual pla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plane' It is a structure in a crossed or twisted positio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 공구(100A, 100B)의 예로서, 툴 헤드(120, 130)가 상기 제1평면(P1, 툴 헤드에 수직한 선(120a, 130a)과 직교하는 평면)의 좌측 또는 우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1)가 상기 제1평면(P1)의 우측과 예각을 이루는 구조, 즉 상기 제1평면(P1)의 우측과 상기 핸드피스(1)의 각도(θ)가 예각인 구조가 예시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피스(1)가 상기 제1평면(P1),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술면의 우측 사선방향으로 시술자를 향해 연장된다. 3 to 6, there is shown an example of the ultrasonic tools 100A and 100B in which the tool heads 120 and 130 are arranged in the first plane P1 and perpendicular to the lines 120a and 130a perpendicular to the tool head The handpiece 1 has an acute angle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P1,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P1 and the right side of the handpiece 1, A structure in which the angle [theta] of the light source 1 is an acute angle is exemplified. Thus, the handpiece 1 extends toward the practitioner in the first plane P1, more specifically in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treatment surfa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의 (a)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툴 헤드(120)가 상기 제1평면(P1)의 좌측과 마주하는 상태(제1평면이 툴 헤드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1) 특히 핸드피스의 축선(1a)이 상기 제1평면(P1)의 우측과 예각을 이룰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오른손잡이(Right-hander)의 시술자가 시술면(초음파 시술부위)에 대해 오른쪽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핸드피스(1)를 잡고 피질골 절제술(피질골에 손상을 가하는 시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시술자가 바라볼 때 좌측을 향하는 시술면(툴 헤드가 우측을 향하는 시술), 예를 들면 상악 우측 구치부의 설측 피질골에 피질골 절제술을 시행할 때 효과적인 구조(제1구조)가 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A and 6A, in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120 faces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P1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1, particularly the handpiece, may be at an acute angle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P1 on the basis of the right- the operator of the handler can perform the corticotomy (the operation of damaging the cortical bone) by holding the handpiece 1 extending in the right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eatment surface (the ultrasound procedure part), and in particular, This is the effective structure (the first structure) when the cortical bone resection is per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lingual cortical bone (the tool head is directed to the right side), for example, the dorsal cortex of the maxillary right posterior tooth.

그리고, 도 5의 (b)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 헤드(130)가 상기 제1평면(P1)의 우측과 마주하는 상태(제1평면이 툴 헤드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1) 특히 핸드피스의 축선(1a)이 상기 제1평면(P1)의 우측과 예각을 이룰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오른손잡이(Right-hander)의 시술자가 시술면에 대해 오른쪽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핸드피스(1)를 잡고 피질골 절제술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시술자가 바라볼 때 우측을 향하는 시술면(툴 헤드가 좌측을 향하는 시술), 예를 들면 상악 좌측 구치부의 설측 피질골에 피질골 절제술을 시행할 때 효과적인 구조(제2구조)가 된다. As shown in Figs. 5 (b) and 6 (b), when the tool head 130 faces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P1 (the first plan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tool head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1, particularly the handpiece, may be at an acute angle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P1, so that the practitioner of the right- The cortical bone resection can be performed by holding the handpiece 1 extending in the right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eatment surface. In particular, the treatment surface facing the right side (the tool head is directed to the left side), for example, It is an effective structure (the second structure) when cortical resection is performed on the lingual cortical bone of the left posterior part.

상술한 구조의 초음파 공구으로 구성되는 초음파 공구세트에 따르면, 상기 핸드피스(1)가 상기 시술면에 대해 오른쪽 사선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배치되므로, 상기 핸드피스(1)를 통해 상기 시술면에 수직 분력과 수평 분력이 작용해서 상기 시술면과 상기 툴 헤드의 원활한 접촉을 유도할 수 있으며, 오른손잡이의 시술자가 상기 핸드피스(1)를 움직이면서 상기 초음파 공구(100A, 100B)을 핸들링(Handling)할 때 상기 핸드피스(1)와 안면 연조직 예를 들면 입주변의 연조직이나 치아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고 시술부위에 대한 넓은 시야확보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ultrasonic tool set constituted by the ultrasonic tool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handpiece 1 is disposed forward in the obliqu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eatment surface, A force component and a horizontal component force are applied to induce smooth contact between the treatment surface and the tool head, and a right-handed operator manipulates the ultrasonic tools 100A and 100B while moving the handpiece 1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handpiece 1 and the soft tissue of the facial soft tissue, for example, the incisal side, or the teeth,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for the treatment site.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공구세트의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ultrasonic tool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Fig.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 공구의 다른 예(100C, 100D)로서, 툴 헤드(140, 150)가 상기 제1평면(P1)의 좌측 또는 우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1)가 상기 제1평면(P1)의 좌측과 예각을 이루는 구조, 즉 상기 제1평면(P1)의 좌측과 상기 손잡이의 각도(θ)가 예각인 구조가 예시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피스(1)가 상기 제1평면(P1),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술면의 좌측 사선방향으로 시술자를 향해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S. 7 to 9, another example of the ultrasonic tool 100C and 100D may be used. The tool head 140 and the tool head 150 may face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P1. A structure in which the handpiece 1 has an acute angle with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P1,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P1 and the handle is an acute angle is exemplified. Thus, the handpiece 1 extends toward the practitioner in the first plane P1, more specifically in the left oblique direction of the procedure surfa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의 (a)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 헤드(140)가 상기 제1평면(P1)의 우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1) 특히 핸드피스의 축선(1a)이 상기 제1평면(P1)의 좌측과 예각을 이룰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왼손잡이(Left-hander)의 시술자가 시술면(큐렛 시술부위)에 대해 왼쪽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드피스(1)를 잡고 피질골 절제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시술자가 바라볼 때 우측을 향하는 시술면에 피질골 절제술을 시행할 때 효과적인 구조(제3구조)가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8 (a) and 9 (a), on the basis of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140 faces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P1, (1) In particular,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may be at an acute angle with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P1, so that the practitioner of the left- The cortical bone resection can be performed by holding the handpiece 1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 In particular, when the surgeon looks at the right side, the cortical bone resection procedure is effective (third structure).

그리고, 도 7의 (b)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 헤드(150)가 상기 제1평면(P1)의 좌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1) 특히 핸드피스의 축선(1a)이 상기 제1평면(P1)의 좌측과 예각을 이루는데, 이에 따라 왼손잡이의 시술자가 시술면에 대해 왼쪽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드피스(1)를 잡고 피질골 절제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시술자가 바라볼 때 좌측을 향하는 시술면에 피질골 절제술을 시행할 때 효과적인 구조(제4구조)가 된다.As shown in Figs. 7 (b) and 8 (b), the tool head 150 is opposed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P1,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is at an acute angle with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P1 so that the left handed operator grips the handpiece 1 extending in the left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eatment surface and performs cortical bone resection And it is an effective structure (the fourth structure) when the cortical bone resection is performed on the treatment surface facing the left side, especially when the operator looks at it.

따라서, 상술한 네가지 구조의 초음파 공구은 상기 핸드피스(1)의 축선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툴 헤드(130, 150)의 방향이 모두 다른 방향이 되며, 상술한 네가지 구조 중 어느 하나의 초음파 공구을 제1초음파 공구이라 칭하고, 나머지 세가지 구조 중 다른 하나의 초음파 공구을 제2초음파 공구이라 칭할 때,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와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는 방향이 서로 다른 구조가 된다.Accordingly, the ultrasonic tools of the above-described four structures hav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tool heads 130 and 150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handpiece 1, and the ultrasonic tools of any one of the above- One of the three ultrasonic tools is called a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other one of the three structures is called a second ultrasonic tool, the tool head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tool head of the second ultrasonic tool have different structures.

그리고, 상술한 제1구조와 제2구조의 초음파 공구가 하나의 세트가 되고, 제3구조와 제4구조의 초음파 공구 세트가 하나의 세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술자의 기호에 맞게 선택되어서 하나의 세트로 조합될 수 있으며, 4가지 구조가 모두 하나의 세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ultrasonic tools of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described above may be one set, and the ultrasonic tools of the third structure and the fourth structure may be one s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y can be selected together and combined into one set, and all four structures can be included in one se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평면과 상기 제2평면의 각도는 20°~70°, 보다 구체적으로는 30°~60°가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툴 자루(110)는 상기 핸드피스(1)의 일단에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plane and the second plane may be 20 ° to 70 °, more specifically, 30 ° to 60 °. The tool bag 11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piece 1 in a bent shap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툴 자루(110)는 근위 자루(111)와 원위 자루(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근위 자루(111)는, 상기 핸드피스(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연장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1a)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1a)을 벗어나도록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1a)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the tool bag 110 comprises a proximal bag 111 and a distal bag 112. The proximal bag 11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piece 1 and extends along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or extends beyond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And may have a shape bent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line 1a.

그리고 상기 원위 자루(112)는, 상기 근위 자루(111)의 선단에서 일측 구부러진 형상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1a)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distal bag 112 is bent at one end from the distal end of the proximal bag 111. In this embodiment, the distal bag 112 is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axis 1a of the handpiece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axis of the handpiece And extend in diagonal directions.

상기 툴 헤드(120, 130, 140, 150)는 상기 원위 자루(112)의 선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원위 자루(112)는 근위 자루(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핸드피스에서 멀리 위치하는 자루 부분이다. The tool heads 120, 130, 140 and 150 are integrally provided at the distal ends of the distal sacks 112 and the distal sacks 112 are positioned relative to the proximal sacks 111 relative to the handles, Section.

한편, 상기 초음파 공구(100A, 100B, 100C, 100D)는 시술부위의 냉각을 위해 냉각수를 분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수공(161, 162)을 갖는다. 상기 출수공(161, 162)은 상기 툴 헤드(120, 130, 140, 150)의 전면과 상기 툴 자루, 특히 상기 원위 자루(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1평면(P1)을 향해 냉각수를 분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초음파 공구의 내부에는 상기 출수공으로 냉각수를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어서, 상기 핸드피스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출수공으로 안내한다. The ultrasonic tools 100A, 100B, 100C and 100D have at least one water outlet 161 and 162 for spraying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treatment site. The outflow holes 161 and 162 are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tool head 120 and at least one of the tool sacks and in particular the distal sacks 112 to define the first plane P1 And the cooling water is sprayed toward the cooling water. Although not shown, a flow path for guiding the cooling water is formed in the ultrasonic wave tool through the water outlet so that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handpiece is guided to the water outle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공구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공구세트는 치과 교정술, 특히 교정기간 단축을 위한 피질골 절제술을 위한 초음파 공구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되는 터널링 시술에 의해 구강 연조직과 치조골 사이에 형성되는 터널의 내부로 진입하여 피질골에 손상을 가하는 시술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ltrasonic tool and the ultrasonic tool set including the ultrasonic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n ultrasonic tool for dental orthodontic treatment, in particular, cortical bone resection for shortening the calibration perio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more effectively applied to the procedure of entering the tunnel formed between the cortical bone and the cortical bone and damaging the cortical bone.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교정기간 단축을 위해 피질골 절제가 필요한 부위를 덮고 있는 영역의 구강 연조직 아래에 터널을 형성하는 터널링 시술을 시행하고, 터널링된 부위의 피질골에 손상을 가하는 시술의 일 예가 설명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0 to 12, a tunnel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form a tunnel below the oral soft tissue in a region covering a site requiring cortical resection for shortening the calibration period, and a tunneling operation An example of a procedure is described.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피질골 손상이 필요한 부위를 덮고 있는 영역의 구강 연조직(잇몸) 예를 들면 우측 구치부의 설측에 메스로 절개부(C)를 형성한다.10 to 12, the practitioner forms a scalpel incision C on the oral tissue (gum), for example, the lingual side of the right molar, in a region covering a site where damage to the cortical bone is required.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절개부(C)를 통해 덴탈 큐렛(200)의 팁, 즉 블레이드 헤드(210)를 상기 구강 연조직(S)의 아래로 진입시키고, 상기 블레이드 헤드의 가장자리(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구강 연조직(S)이 벗겨지도록 큐렛 손잡이(220)를 조작하면, 상기 구강 연조직(S)과 치조골(B) 특히 피질골 사이가 층간 분리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헤드(210)의 이동방향으로 터널이 만들어진다. Then, the operator inserts the tip of the dental culet 200, that is, the blade head 210, under the oral soft tissues S through the incision part C, and the edge (blade) of the blade head When the curette grip 220 is operated so that the oral soft tissue S is peeled off, the oral soft tissue S and the alveolar bone B, particularly the cortical bon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a tunnel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lade head 21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덴탈 큐렛(200)에 의하여 상기 상기 구강 연조직(S)과 치조골(B)의 사이에 상기 초음파 공구의 진입을 위한 공간, 즉 터널(Tunnel)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치조골(B)의 피질골을 덮는 골막은 상기 구강 연조직(S)과 함께 상기 피질골의 표면에서 분리(박리)된다.More specifically, a space for entering the ultrasonic tool, that is, a tunnel is formed between the oral soft tissue S and the alveolar bone B by the dental cullet 200, The periosteum covering the cortical bone of the bone (B) is separated (peeled) from the surface of the cortical bone together with the oral soft tissue (S).

그리고 상술한 터널링 시술이 완료되면, 상기 덴탈 큐렛(200)에 의해 구강 연조직(S) 아래에 형성된 터널의 내부로 상기 초음파 공구(100A)를 진입시키고 터널링 방향(터널이 형성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피질골에 초음파 자극에 의한 손상을 가하면, 국소치유촉진현상에 의하여 손상이 가해진 부위의 치조골이 연화되므로 치아 이동이 촉진되고 교정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When the tunnel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dental culet 200 moves the ultrasonic tool 100A into the tunnel formed below the oral soft tissue S and moves in the tunneling direction (direction in which the tunnel is formed) , The tooth movement is promoted and the corre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because the alveolar bone at the damaged area is softened by the localized healing promotion phenomenon.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툴 헤드의 방향이 핸드피스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방향을 향하는 구조로 되는 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도 13은 공구날이 툴 헤드의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ool head of the ultrasonic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far as the direction of the tool head is directed to the direc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handpiece, Fig. 1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ool blad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ol hea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A, 100B, 100C, 100D: 초음파 공구
1: 핸드피스 110: 툴 자루
111: 근위 자루 112: 원위 자루
120, 130, 140, 150: 툴 헤드
100A, 100B, 100C, 100D: Ultrasonic tools
1: Handpiece 110: Tool sack
111: proximal bag 112: distal bag
120, 130, 140, 150: Tool head

Claims (10)

손잡이를 이루는 핸드피스에 구비되며 상기 핸드피스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툴 자루(Tool Shank); 그리고
상기 툴 자루의 선단에 구비되며, 피질골에 초음파 자극을 가해서 상기 피질골을 손상시키는 툴 헤드(Tool Hea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로서:
상기 툴 자루는 상기 핸드피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연장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을 벗어나도록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근위 자루와, 상기 근위 자루의 선단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근위 자루에 비해 핸드피스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원위 자루로 구성되고,
상기 툴 헤드는 원위 자루 선단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핸드피스 및 툴 자루와 함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초음파 공구의 시술부위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제1평면과 상기 핸드피스와 툴 자루가 위치하는 가상의 제2평면은 예각을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툴 헤드에는 상기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제1평면을 향하도록 상기 툴 헤드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공구날이 구비되며,
상기 제1평면을 향해 냉각수를 분출할 수 있는 출수공이 상기 툴 헤드의 전면과 상기 원위 자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A tool shank provided on a handpiece constituting a handle and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handpiece; And
And a tool head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tool bag and damaging the cortical bone by applying ultrasonic stimulation to the cortical bone, the dental ultrasonic tool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ing:
The tool bag includes a proximal ba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piece and extending along an axis of the handpiece or having a shape bent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axis of the handpiece so as to be out of the axis of the handpiece, A distal bag positioned away from the handpiece relative to a relatively proximal bag having a shape curved to one side from the distal end of the proximal bag,
The tool head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of the tool, and is positioned to be coplanar with the handpiece and tool bag,
A first plane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is oriented and an imaginary second plane in which the handpiece and the tool bag are located are formed at an acute angle so that the handpiece extends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treatment site of the ultrasonic tool And,
Wherein the tool head is provided with a tool blade protruding forwardly of the tool head so as to face a first plan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is oriented,
Wherein an outlet hole capable of ejecting cooling water toward the first plane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front surface of the tool head and the distal sac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 헤드가 상기 제1평면의 우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제1평면의 우측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piece is at an acute angle to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faces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 헤드가 상기 제1평면의 우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제1평면의 좌측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piece is at an acute angle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faces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 헤드가 상기 제1평면의 좌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제1평면의 우측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piece is at an acute angle to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lane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faces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 헤드가 상기 제1평면의 좌측과 마주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핸드피스가 상기 제1평면의 좌측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piece is at an acute angle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the tool head faces the left side of the first plane.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은 20°~70°를 이루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first plane and the second plane are in the range of 20 DEG to 70 DEG.
삭제delete 제1초음파 공구와 제2초음파 공구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Dental Ultrasonic Tool Set)로서:
상기 제1초음파 공구와 제2초음파 공구는, 각각 핸드피스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핸드피스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툴 자루와, 상기 툴 자루의 선단에 구비되며, 피질골에 초음파 진동을 가해서 상기 피질골을 손상시키는 툴 헤드(Tool Head)를 포함하되;
상기 툴 자루는 상기 핸드피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연장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을 벗어나도록 상기 핸드피스의 축선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근위 자루와, 상기 근위 자루의 선단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근위 자루에 비해 핸드피스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원위 자루로 구성되고,
상기 툴 헤드는 원위 자루 선단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핸드피스 및 툴 자루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과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핸드피스와 툴 자루가 위치하는 평면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과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핸드피스와 툴 자루가 위치하는 평면은 예각을 이루며;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와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1초음파 공구 및 제2초음파 공구의 각 툴 헤드에는 상기 각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향하도록 상기 툴 헤드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공구날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초음파 공구 및 제2초음파 공구의 각 툴 헤드의 전면과 상기 원위 자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과 상기 제2초음파 공구의 툴 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각각 냉각수를 분출할 수 있는 출수공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
A dental ultrasonic tool set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ing a first ultrasonic tool and a second ultrasonic tool, the dental ultrasonic tool set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second ultrasonic tool each include a tool bag provided at the tip of the handpiece and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handpiece and a tool holder provided at the tip of the tool bag for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o the cortical bone, And a tool head that damages the tool.
The tool bag includes a proximal ba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piece and extending along an axis of the handpiece or having a shape bent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axis of the handpiece so as to be out of the axis of the handpiece, A distal bag positioned away from the handpiece relative to a relatively proximal bag having a shape curved to one side from the distal end of the proximal bag,
The tool head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of the tool, and is positioned to be coplanar with the handpiece and the tool bag,
Wherein a plane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is oriented and a plane in which the handpiece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a tool bag are located form an acute angle; A plan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of the second ultrasonic tool is oriented and a plane on which the handpiece of the second ultrasonic tool and the tool bag are located form an acute angle; The tool head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tool head of the second ultrasonic tool face in different directions,
Wherein each tool head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second ultrasonic tool is provided with tool teeth protruded forward from the tool head so as to face a plan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s face,
Wherein at least one of a front surface of each of the tool heads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and the second ultrasonic tool and the distal bag has a plan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ead of the first ultrasonic tool faces, And a water outlet hole capable of spraying cooling water on a plan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oling water flows.
삭제delete
KR20130111606A 2013-09-17 2013-09-17 Dental Ultrasonic Tool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Ultrasonic Tool Set Hav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483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606A KR101483579B1 (en) 2013-09-17 2013-09-17 Dental Ultrasonic Tool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Ultrasonic Tool Se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606A KR101483579B1 (en) 2013-09-17 2013-09-17 Dental Ultrasonic Tool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Ultrasonic Tool Se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579B1 true KR101483579B1 (en) 2015-01-21

Family

ID=5259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6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3579B1 (en) 2013-09-17 2013-09-17 Dental Ultrasonic Tool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Ultrasonic Tool Se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5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78U (en) * 2021-08-31 2023-03-07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Orthodontic carrier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735A (en) 1999-12-21 2001-07-31 Tomaso Vercellotti Surgical instrument and surgical method for bone surgery
JP2002209913A (en) * 2001-01-12 2002-07-30 Michiko Hanai Composite resin filling and forming implement for dentist
KR100999106B1 (en) * 2010-06-08 2010-12-07 한국세라믹기술원 Jaw cutting tips for ultrasound surg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735A (en) 1999-12-21 2001-07-31 Tomaso Vercellotti Surgical instrument and surgical method for bone surgery
JP2002209913A (en) * 2001-01-12 2002-07-30 Michiko Hanai Composite resin filling and forming implement for dentist
KR100999106B1 (en) * 2010-06-08 2010-12-07 한국세라믹기술원 Jaw cutting tips for ultrasound surg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78U (en) * 2021-08-31 2023-03-07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Orthodontic carrier devices
KR200497568Y1 (en) 2021-08-31 2023-12-21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Orthodontic carrier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lles et al. Ultrasonic orthognathic surgery: enhancements to established osteotomies
Stübinger et al. Intraoral piezosurgery: preliminary results of a new technique
JP4390484B2 (en) Orthopedic appliance
Aly Piezoelectric surgery: Applications in oral & maxillofacial surgery
WO2014210163A1 (en) Ultrasonic cutting blade with cooling liquid conduction
JP7192087B2 (en) Methods and instruments for periodontal scaling and debridement, and gingival tissue resection for treating periodontal and peri-implant disease
US7021933B2 (en) Universal depth cut burr having dental and skeletal applications
JP2022550909A (en) Surgical guide and implant with alignment member
CN117940080A (en) Serrated ultrasonic cutting blades with different tooth pitches
CN110882073B (en) A depth-fixing sleeve and an apical surgery guide plat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epth-fixing sleeve
JP2004016400A (en) Grinding burr
KR101483579B1 (en) Dental Ultrasonic Tool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Ultrasonic Tool Set Having The Same
US9248004B2 (en) Ultrasonic tip for minimally invasive crown lengthening
KR101794273B1 (en) Surgical instrument ist for treatment for osmidrosis axillae
US7293989B2 (en) Periodontal therapy instrument
KR101493373B1 (en) Dental Curette Exfoliating Oral Soft Tissu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Curette Set Having The Same
KR20140112703A (en) Dental Ultrasonic Tool For Scraping Or Cutting Cortical Bone
US20190038379A1 (en) Dental retractor
WO2010103743A1 (en) Dental cutting chip
KR101491710B1 (en) Temporomandibular tip for medical operation using ultrasonic wave
CN217447927U (en) Clamping tool for femoral greater trochanter lengthening osteotomy
RU66945U1 (en) FORCEPS
KR200425767Y1 (en) Implant Treatment Chisel
Tahir et al. Armamentarium for Cor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N221512226U (en) Ultrasonic bone knife tip for apical re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1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1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