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4135B1 - Apparatus for sorting frui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orting fr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135B1
KR101494135B1 KR20140087422A KR20140087422A KR101494135B1 KR 101494135 B1 KR101494135 B1 KR 101494135B1 KR 20140087422 A KR20140087422 A KR 20140087422A KR 20140087422 A KR20140087422 A KR 20140087422A KR 101494135 B1 KR101494135 B1 KR 10149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weight
gate
conveying conveyor
frui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7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혁
최종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에이피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에이피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에이피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1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1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03Details; specially adapted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과일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과일 선별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되어 이송용기에 담긴 후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다수의 게이트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는 과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중량 측정부;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한 중량 측정 후 상기 게이트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일의 이송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이송거리 측정부; 상기 게이트의 입구 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결합되되,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상기 각 게이트의 입구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과일 유도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의 중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거리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과일의 현재 위치 정보와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를 비교 연산하여 상기 과일이 작업자의 설정된 중량대로 선별되어 상기 각 게이트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과일 유도부에 구동신호를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ruit sort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fruit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eighing part provided on the conveying conveyor so as to be able to measure the weight of fruits that are selected by the operator and stored in the conveying container by the operator and then continuously conveyed in a plurality of gate directions by the conveying conveyor; A conveyance distance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conveying conveyor to measure a conveying distance of fruits conveyed in the gate direction after the weight measurement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A fruit guiding portion coupled to the conveying conveyer so as to b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gate and guided to the entrance side of each gate by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And compar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uits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unit with weight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fruit by the operator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weight measuring unit to sort the fruits according to the set weight of the operator,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to the fruit guiding part so as to be discharged to each gate.

Figure R1020140087422
Figure R1020140087422

Description

과일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FRUIT}{APPARATUS FOR SORTING FRUIT}

본 발명은 과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 이송되는 과일을 다수의 게이트에서 설정된 중량에 따라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고, 단위시간당 대량으로 선별할 수 과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s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sorting fruits discharged continuously by a transfer conveyor according to a set weight at a plurality of gates, .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있는 여러 종류의 과일들은 각각의 산지, 외관의 형태, 크기 및 맛이나 당도 등과 같은 품질을 기준으로 가격이 형성되기도 하지만, 포도 등과 같은 일부 과일들은 중량에 따라서 가격대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Generally, various types of fruits on the market are priced based on quality such as shape, size, taste and sugar content of each mountain, but some fruits such as grapes are formed according to their weight There is also.

상기와 같이 중량별로 가격대가 형성되는 과일들에 대해서는 과일 산지에서 수확한 과일들을 포장 이전에 중량별로 등급을 나누어 선별하여야 된다.For the fruits of which the price range is formed by weight as described above, the fruits harvested from the fruits of the fruits must be graded by weight before packing.

종래에도 중량별로 선별하여 포장 유통시키는 과일들을 위한 중량식 선별장치로서 컨베어형 중량식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conveyor-type weight sorting apparatus has been disclosed as a sorting apparatus for fruits which are packed and circulated selectively sorted by weight.

이러한 컨베어형 중량식 선별장치는, 긴 컨베이어 시스템의 하단면에 밀착하여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의 로드셀을 고정 장치하여, 각각의 로드셀에는 고유의 중량 매칭 선별값을 주어서, 컨베어를 타고 오는 과일 들을 로드셀이 설치된 간격마다 중량을 측정하여서, 각각의 로드셀에 주어진 중량 매칭 선별값에 해당하는 과일을 해당 위치에서 외측으로 분리시켜 선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conveyor type weight sorting apparatus, a plurality of load cells are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end surface of a long conveyor system, each load cell is given a unique weight matching sorting value, And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matching sorting value given to each load cell is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outside and selected.

상기한 컨베어형 중량식 선별장치에 의하면, 과일의 표면(껍질)이 단단한 종류는 컨베어의 상면에 과일을 올려 놓고 이동되는 과정 및 외측으로의 분리작업시에 표면이 훼손되지 않아 선별 작업과 품질 유지에 문제가 없으나, 포도와 같이 표면이 약한 과일은 선별작업에서 표면에 흠이 나거나 뭉그러져서 품질 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veyor type weight screening apparatus, when the surface of the fruit is hard, the frui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and the surface is not damaged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to the outside, However, fruits such as grapes, which have a weak surface, are disadvantageous in that they are scratched or flawed in the screening oper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quality.

따라서 종래에는 포도 등과 같이 표면이 약한 과일의 중량별 등급 선별작업은, 수확한 상태에서 하나씩 일일이 저울에 올려 놓고 중량을 확인하여 일정 등급별로 선별용기에 분리하는 수동식 선별방법으로 실시하여 왔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sorting work by the weight of weak fruits such as grapes has been carried out by manual sorting method in which one piece is sorted one by one in the harvested state, and the weight is confirmed and separated into a sorting container according to a certain grad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 선별방법은 작업자가 부주의에 의하지 않으면 과일의 표면이 거의 훼손되지 않아 품질 유지에는 바람직하였지만, 수확한 과일을 하나씩 일일이 저울에 올려 놓고 중량을 확인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과일의 선별시 중량오차가 클 뿐만 아니라, 작업량 처리에 한계가 있어 단위시간당 소량의 과일만을 선별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과일의 소량 선별은 작업성 및 생산성의 저하를 의미하며 이로 인해 작업자를 많이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선별작업을 위한 인건비의 상승으로 과일 생산자와 판매자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However, this conventional manual sorting method is preferable for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fruit because the surface of the fruit is hardly damaged unless the operator neglects it. However, since the harvested fruit is put one by one on the balance and the weight is confi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the weight error is large when sorting the fruits but also the processing amount is limited so that only a small amount of fruits per unit time can be selected. A small selection of fruit means a decrease in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which leads to problems in that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required to be secured and that the profitability of fruit producers and sellers is inferior due to an increase in labor costs for sorting.

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되어 이송용기에 담긴 후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 이송되는 과일을 다수의 게이트에서 설정된 중량에 따라 선별하여 배출하면서도 단위시간당 대량으로 선별할 수 과일 선별장치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fruit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sorting fruits, which are selected by an operator and transported continuously by a conveying conveyor after being placed in a convey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t weight at a plurality of gates, It is a fact that is deman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4242호(등록일자: 2007년 05월 25일)Korean Patent No. 10-0724242 (Registration date: May 25, 200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되어 이송용기에 담긴 후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다수의 게이트로 연속 이송되는 과일의 중량과 이송거리 정보를 측정한 뒤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중량정보에 따라 다수의 게이트에서 과일을 정확하게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고, 다수의 게이트에 의해 단위시간당 대량으로 선별할 수 있는 과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eight and transfer distance information of fruits that are selected by the operator and stored in a transfer container and continuously transferred to a plurality of gates by a transfer convey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uit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selecting and discharging fruit from a gate and sorting a large number of fruits per unit time by a plurality of gat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at are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되어 이송용기에 담긴 후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다수의 게이트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는 과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중량 측정부;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한 중량 측정 후 상기 게이트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일의 이송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이송거리 측정부; 상기 게이트의 입구 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결합되되,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상기 각 게이트의 입구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과일 유도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의 중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거리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과일의 현재 위치 정보와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를 비교 연산하여 상기 과일이 작업자의 설정된 중량대로 선별되어 상기 각 게이트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과일 유도부에 구동신호를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ight meas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weight measuring unit provided on a conveying conveyor so as to measure the weight of fruits that are selected by a worker and are conveyed in a plurality of gate directions by a conveying conveyor, ; A conveyance distance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conveying conveyor to measure a conveying distance of fruits conveyed in the gate direction after the weight measurement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A fruit guiding portion coupled to the conveying conveyer so as to b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gate and guided to the entrance side of each gate by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And compar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uits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unit with weight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fruit by the operator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weight measuring unit to sort the fruits according to the set weight of the operat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to the fruit guiding part so as to be discharged to each gate.

상기 과일 유도부는,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직선운동부재; 상기 직선운동부재의 직선운동과 연동되어 회전 작동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상기 각 게이트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유도바; 및 상기 유도바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각 게이트의 입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되, 상기 유도바에 의해 유도되는 과일을 상기 각 게이트의 입구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ruit guiding unit comprises: a rectilinear motion member arranged to linearly mov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in accordance with a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A guide bar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ear motion of the linear motion member and guided to the respective gate side by the conveying conveyor; And guide bars for guiding the fruit guided by the guide bars to enter the entrance of each of the gates, the guide bars being inclined toward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respective gates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중량정보에 따라 상기 각 게이트에서 동일한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과일 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ruit guide unit such that fruits of the same weight are selected and discharged from the respective gates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set by the operator.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중량정보에 따라 상기 각 게이트에서 서로 다른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과일 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ruit guiding unit so that fruits of different weights are selected and discharged from the respective gates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set by the operator.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중량 측정부의 전방에 과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과일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과일 공급부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분기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fer conveyor may include a fruit supply unit integrally provided to supply fruit in front of the weighing unit, and the fruit supply unit may be branched from the transfer conveyor and exten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되어 이송용기에 담긴 후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다수의 게이트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는 과일에 대해 중량 측정부와 이송거리 측정부에 의해 과일의 중량 및 이송거리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에 전송함과 동시에 제어부가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과일 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각 게이트에서 설정된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될 수 있는 과일 선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과일의 포장시 정확한 중량의 포장이 가능하고 단위시간당 대량 선별이 가능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uit weight and transfer distance information are collectively collected by a weighing part and a transfer distance measuring part for fruits that are picked up by a human operator and stored in a transfer container and continuously transferred in a plurality of gate directions by a transfer conveyo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ruit guiding unit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so that the fruit of the set weight can be selected and discharged from each gate.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mass screening per unit time, so that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과일 선별장치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과일 선별장치의 중량 측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과일 선별장치의 각 게이트의 입구 측에 배치된 과일 유도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ruit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fruit sor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weight measuring unit of the fruit sor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fruit guide portion disposed at an entrance side of each gate of the fruit sor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fruit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과일 선별장치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과일 선별장치의 중량 측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과일 선별장치의 각 게이트의 입구 측에 배치된 과일 유도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ruit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fruit sor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fruit guiding unit disposed at the entrance side of each gate of the fruit sor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fruit weighing unit of the fruit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10), 중량 측정부(20), 이송거리 측정부(30), 과일 유도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1 to 5, the fruit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conveyor 10, a weight measuring unit 20, a feed distance measuring unit 30, a fruit guiding unit 40, And a control unit 50.

이송 컨베이어(10)는 작업자에 의해 공급되는 과일을 게이트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이송 컨베이어(10)의 일측에는 과일을 공급하기 위한 과일 공급부(12)가 마련되어 있고, 이송 컨베이어(10)의 타측에는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하여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게이트(14)가 마련되어 있다.The conveying conveyor 10 is formed to be capable of conveying the fruit supplied by the operator in the gate direction. To this end, a fruit supply part 12 for supplying fru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conveyor 10, and a plurality of gates 14 for sorting fruit by weight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ying conveyor 10 have.

과일 공급부(12)는 과일이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되어 이송용기(1)에 담긴 후 이송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과일 공급부(12)는 이송 컨베이어(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작업자가 산지에서 선별되지 않은 상태로 포장되어 운반된 과일을 육안으로 선별하여 이송용기(1)에 담은 후 게이트(14)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영역이다. 이때, 과일 공급부(12)는 이송 컨베이어(10)의 일측에 분기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과일 공급부(12)의 양측에서 과일을 육안 선별하여 이송용기(1)에 담은 후 게이트(14) 방향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fruit supply unit 12 is provided so that fruit can be picked up by the operator and picked up in the transport container 1 and transported. That is, the fruit supply unit 12 i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conveying conveyor 10, and the worker packs the fruit in an unchecked state in a mountainous area, picks up the fruits, picks them up in the transfer vessel 1,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ruit supply part 12 is branched at one side of the conveying conveyor 10 and extended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operator picks up the fruit from both sides of the fruit supply part 12 by the naked eye, So that it can be supplied quickly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14.

다수의 게이트(14)는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다수의 게이트(14)는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과일 유도부(40)에 의해 중량별로 선별된 후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plurality of gates 14 are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selectively discharging fruits transferr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by weight. That is, the plurality of gates 14 form a space that can be discharged after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is sorted by weight by the fruit guide portion 40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ortion 50 .

여기서 과일은 중량에 따라서 가격대가 형성되는 과일, 예를 들어서 포도, 체리, 딸기 등의 과일을 지칭한다.Here, the fruit refers to fruits such as grapes, cherries, strawberries, and the like, the price of which is formed according to the weight.

중량 측정부(20)는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중량 측정부(20)는 디스플레이부(23)를 갖는 본체(22)와, 과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본체(22)에 형성되는 저울부(24)로 구성되어 이송 컨베이어(10) 상에 마련되며 이송용기(1)가 통과될 때 과일의 각각의 중량을 저울부(24)로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23)로 출력한다. 이때, 중량 측정부(20)는 전자저울로 마련될 수 있다.The weighing part 20 is provided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That is,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includes a main body 22 having a display unit 23 and a scale unit 24 formed on the main body 22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ruit, And the weight of each fruit is measured by the scale part 24 when the transfer container 1 is passed and outputted to the display part 23. At this time,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may be provided as an electronic scale.

이러한 중량 측정부(20)는 이송용기(1)에 담긴 과일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이때, 이송용기(1)의 중량은 제어부(50)로 전송되지 않고 배제된다. 이는 과일의 순수한 중량만을 측정하기 위함이다.The weighing part 20 measures the weight of the fruit contained in the conveying container 1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part 50. At this time, the weight of the conveying container 1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and is excluded. This is to measure only the net weight of the fruit.

이송거리 측정부(30)는 중량 측정부(20)에 의한 중량 측정 후 게이트(14)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일의 이송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이송거리 측정부(30)는 이송 컨베이어(10)의 마련되며 중량 측정부(20)를 통과한 시점부터 게이트(14)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일의 각각의 이송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이송거리 측정부(30)는 이송 컨베이어(10)의 분당 이송속도를 측정하여 중량 측정부(20)를 통과한 시점부터 과일의 이송거리를 산출하도록 마련되는 공지된 거리측정센서 혹은 과일이 담긴 이송용기(1)의 이동을 감식하여 이송 컨베이어(10) 상에서 과일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도록 마련되는 적외선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The transfer distance measuring unit 30 is provided to measure the transfer distance of the fruit transferred to the gate 14 after the weight measurement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 That is, the feed distance measur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conveyor 10 and measures the distance of each of the fruits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14 from the point of time when passing through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in real time, 50). The distance measuring unit 30 may b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or a well-known distance measuring sensor provided to measure the feeding speed of the conveying conveyor 10 per minute and calculate the feeding distance of the fruit from the point of passing through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 An infrared sensor provided to calculate the present position of the fruit on the conveying conveyor 10 by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containing conveying container 1.

과일 유도부(40)는 게이트(14)의 입구 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이송 컨베이어(10)에 결합되어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각 게이트(14)의 입구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직선운동부재(42), 유도바(44) 및 안내바(46)를 포함한다.The fruit guide portion 40 is provided to be able to guide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to the inlet side of each gate 14 by being coupled to the conveying conveyor 10 so as to b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gate 14 A rectilinear motion member 42, a guide bar 44, and a guide bar 46.

여기서 과일 유도부(40)는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이 각 게이트(14)에 설정된 중량대로 선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구조를 갖는다.Here, the fruit guiding unit 4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so that the fruit weighted to each gate 14 can be sorted and discharged.

즉, 과일 유도부(40)는 제어부(50)에 입력되는 작업자의 설정된 과일 중량정보에 따라 작동되어 이송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과일을 각 게이트(14)에서 설정된 중량대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at is, the fruit guiding unit 4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fruit weight information set by the operator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50, and selectively discharges the fruit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conveyor 10 according to the weight set in each gate 14 .

직선운동부재(42)는 제어부(50)의 구동신호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때, 직선운동부재(4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The linear motion member 42 is provided to linear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10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 At this time, the linear motion member 42 may be provided by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유도바(44)는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각 게이트(14)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유도바(44)는 직선운동부재(42)의 직선운동과 연동되어 회전 작동되는데, 이러한 회전 작동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각 게이트(14)로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guide bar 44 is provided to guide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to each gate 14 side. In other words, the guide bar 44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near motion member 42. The guide bar 44 serves to guide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to each gate 14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I am responsible.

안내바(46)는 유도바(44)에 의해 유도되는 과일을 각 게이트(14)의 입구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안내바(46)는 유도바(44)와 일정 간격을 두고 각 게이트(14)의 입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바(46)는 유도바(44)에 의해 유도되는 과일을 각 게이트(14)로 입구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bar 46 is provided to allow the fruit guided by the guide bar 44 to enter the entrance of each gate 14. For this purpose, the guide bar 46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each gate 14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uide bar 44. Thus, the guide bar 46 is able to guide the fruit guided by the guide bar 44 to the entrance to each gate 14.

제어부(50)는 작업자의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에 따라 과일 유도부(40)를 제어하여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이 설정된 중량대로 선별되어 각 게이트(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fruit guiding unit 40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fruit set by the operator so that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can be sorted according to the set weight and discharged to each gate 14 have.

즉, 제어부(50)는 작업자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독립된 제어단말기로 형성되며 중량 측정부(20)의 중량정보를 기반으로, 이송거리 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과일의 현재 위치 정보와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를 비교 연산하여 과일이 작업자의 설정된 중량대로 선별되어 각 게이트(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과일 유도부(40)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 unit 50 is formed of an independent control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by the operator, and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ruit measured by the feed distance measuring unit 30, The fruit weight information of the fruits is compar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to the fruit guiding unit 40 so that the fruit can be sorted according to the set weight of the worker and discharged to each gate 14.

예를 들어서, 각 게이트(14)에 700g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작업자에 의해 제어부(50)에 과일의 중량정보가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50)는 중량 측정부(20)의 중량정보와 이송거리 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과일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와 비교 연산하여 이송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과일을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 조합하여 그 중량이 700g이 되도록 선별한 뒤 선별된 과일을 각 게이트(14)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과일 유도부(4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 게이트(14) 별로 정확한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50)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과일은 이송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른 과일과 700g의 중량이 되도록 선별된 후 이웃하는 게이트(14)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weight information of fruit is set in the control unit 50 by the operator so that 700 g of fruit can be selected and discharged to each gate 14,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weight of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Informa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uit measured by the feed distance measuring unit 30 and compares the information wit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fruits to determine whether the fruit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conveyor 10 is two or more than thre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ruit guiding part 40 so that the selected fruit can be discharged to each gate 14 so that the fruit of the correct weight for each gate 14 And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At this time, the fruits not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50 are sorted to be weighed 700 g with other fruits in the process of being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conveyor 1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neighboring gate 14. [

이러한 제어부(50)는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중량정보에 따라 각 게이트(14)에서 동일한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과일 유도부(4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혹은 각 게이트(14)에서 서로 다른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과일 유도부(4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ruit guiding unit 40 so that fruits of the same weight are selected and discharged from the respective gates 14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set by the operator, The fruit guide portion 4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ruit of the fruit guide portion 40 is selectively discharg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에 의한 과일의 선별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lecting fruit by the fruit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과일 선별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된 과일이 이송 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된 과일 공급부에서 이송용기에 담긴 상태로 각 게이트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In the fruit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uits picked up by the operator are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respective gates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tained in the transfer container at a fruit supply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ransfer conveyor.

이송용기에 담긴 과일이 이송되면, 중량 측정부(20)는 이송용기(1)가 통과될 때 과일의 각각의 중량을 일일이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하며, 이후 중량 측정부(20)에 의해 중량 측정이 완료된 과일은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각 게이트(14)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이송되게 된다.When the fruit contained in the transfer container is transferred, the weighing part 20 individually measures each weight of the fruit when the transfer container 1 is passed, and transfers the measured weight to the control part 50. Then, The fruits which have been weigh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are continuously conveyed toward the respective gates 14.

과일이 중량 측정부(20)를 통과하여 각 게이트(14) 방향으로 이송되면, 이송거리 측정부(30)는 중량 측정부(20)를 통과한 시점부터 각 게이트(14)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일의 각각의 이송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한다.When the fruits are transferred to the gates 14 through the weighing unit 20, the transfer distance measuring unit 3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gate 14 and the weighing unit 20,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ontrol unit 50. [0033]

이송거리 측정부(30)에 의해 각 게이트(14)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일의 현재 위치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부(50)는 작업자의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이 설정된 중량대로 선별되어 각 게이트(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과일 유도부(40)를 제어하게 된다.Whe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uit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each gate 14 is collected by the conveyance distance measuring unit 30,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transfer conveying unit 10 to convey The fruit guiding unit 40 is controlled so that the fruit to be selected is sorted according to the set weight and discharged to each gate 14.

즉, 제어부(50)는 중량 측정부(20)의 중량정보를 기반으로, 이송거리 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과일의 현재 위치 정보와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를 비교 연산하여 과일 유도부(40)에 구동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은 과일 유도부(40)에 의해 설정된 중량대로 선별되어 각 게이트(14)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the control unit 50 compare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uit measured by the feed distance measuring unit 30 wit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fruits predetermined by the operator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can be sorted into the weight set by the fruit guiding portion 40 and discharged to the respective gates 14 by controlling the drive to the fruit guiding portion 40. [

예를 들어서, 제어부(50)에 각 게이트(14)로 700g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작업자에 의해 과일의 중량정보가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50)는 중량 측정부(20)의 중량정보와 이송거리 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과일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와 비교 연산하여 이송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과일을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 조합하여 그 중량이 700g이 되도록 선별한 뒤 선별된 과일을 각 게이트(14)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과일 유도부(40) 작동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 게이트(14) 별로 정확한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weight information of fruit is set by the operator so that 700 g of fruits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to each gate 14 in the control unit 50,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weight of the weight measuring unit 20 Informa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uit measured by the feed distance measuring unit 30 and compares the information with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fruits to determine whether the fruit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conveyor 10 is two or more than thre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ruit guiding part 40 so as to discharge the selected fruits to the gates 14 so that the fruit of the correct weight is selected for each gate 14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과일 선별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되어 이송용기(1)에 담긴 후 이송 컨베이어(10)에 의해 다수의 게이트(14)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는 과일에 대해 중량 측정부(20)와 이송거리 측정부(30)에 의해 과일의 중량 및 이송거리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50)에 전송함과 동시에 제어부(50)가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과일 유도부(40)의 작동을 제어하여 각 게이트(14)에서 설정된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일의 포장시 정확한 중량의 포장이 가능하고 단위시간당 대량 선별이 가능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uit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ruit sorting apparatus that performs gravimetric measurement on fruits that are picked up by a worker and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gates 14 by the conveying conveyor 10 after being contained in the transfer vessel 1 The control unit 5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weight and the feed distance of the fruit by the feed unit 20 and the feed distance measuring unit 30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operation So that fruits of a predetermined weight can be selected and discharged from the respective gates 14, so that the fruits can be packed with an accurate weight and can be mass-sorted per unit tim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이송 컨베이어 12: 과일 공급부
14: 게이트 20: 중량 측정부
30: 이송거리 측정부 40: 과일 유도부
42: 직선운동부재 44: 유도바
46: 안내바 50: 제어부
10: conveying conveyor 12: fruit supply part
14: Gate 20: Gravimetric unit
30: Feed distance measuring part 40: fruit guide part
42: linear motion member 44: guide bar
46: guide bar 50:

Claims (5)

작업자에 의해 육안 선별되어 이송용기에 담긴 후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다수의 게이트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는 과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중량 측정부;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한 중량 측정 후 상기 게이트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일의 이송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마련되는 이송거리 측정부;
상기 게이트의 입구 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결합되되,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상기 각 게이트의 입구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과일 유도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의 중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거리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과일의 현재 위치 정보와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과일의 중량정보를 비교 연산하고 상기 과일 유도부에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작업자의 설정된 중량대로 상기 과일이 담긴 상기 이송용기를 조합하여 상기 각 게이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장치.
A weighing part provided on the conveying conveyor so as to be abl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ruit that is selected by the operator and picked up in the conveying container and continuously conveyed in a plurality of gate directions by the conveying conveyor;
A conveyance distance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conveying conveyor to measure a conveying distance of fruits conveyed in the gate direction after the weight measurement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A fruit guiding part coupled to the conveying conveyor so as to be respectively disposed at an entrance side of the gate and guiding the fruit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to the entrance side of each gat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uit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unit and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fruit predetermined by the operator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weight measuring unit, And a control unit arranged to combine the conveying containers containing the fruit as weights and to discharge the collected containers to the respective g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유도부는,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직선운동부재;
상기 직선운동부재의 직선운동과 연동되어 회전 작동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을 상기 각 게이트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유도바; 및
상기 유도바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각 게이트의 입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되, 상기 유도바에 의해 유도되는 과일을 상기 각 게이트의 입구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uit guide portion
A linear motion member arranged to linear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in accordance with a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A guide bar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ear motion of the linear motion member and guided to the respective gate side by the conveying conveyor; And
And a guide bar for guiding the fruit guided by the guide bar to enter the entrance of each of the gates, the guide bar being inclined at an interval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of each g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중량정보에 따라 상기 각 게이트에서 동일한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과일 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ruit guiding unit so that fruits of the same weight are selected and discharged from the respective gates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set by the ope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중량정보에 따라 상기 각 게이트에서 서로 다른 중량의 과일이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과일 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ruit guiding unit so that fruits of different weights are selected and discharged from the respective gates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set by the operato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중량 측정부의 전방에 과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과일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과일 공급부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분기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nveying conveyor
And a fruit supply unit integrally provided so as to supply fruit in front of the weighing unit,
Wherein the fruit supplying part is branched from the conveying conveyor and extend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KR20140087422A 2014-07-11 2014-07-11 Apparatus for sorting fruit Active KR101494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7422A KR101494135B1 (en) 2014-07-11 2014-07-11 Apparatus for sorting fr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7422A KR101494135B1 (en) 2014-07-11 2014-07-11 Apparatus for sorting fr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135B1 true KR101494135B1 (en) 2015-02-16

Family

ID=5259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7422A Active KR101494135B1 (en) 2014-07-11 2014-07-11 Apparatus for sorting fr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13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812A (en) * 1994-03-03 1995-10-17 Materiel Pour L Arboriculture Fruitier Device for transferring product particularly for sorting outfruit based on preset selection standard
JP2005254172A (en) 2004-03-12 2005-09-22 Yanmar Co Ltd Sorting device for fruits and vegetables
JP2005324902A (en) 2004-05-13 2005-11-24 Hanshin Doryoku Kikai Kk Sor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812A (en) * 1994-03-03 1995-10-17 Materiel Pour L Arboriculture Fruitier Device for transferring product particularly for sorting outfruit based on preset selection standard
JP2005254172A (en) 2004-03-12 2005-09-22 Yanmar Co Ltd Sorting device for fruits and vegetables
JP2005324902A (en) 2004-05-13 2005-11-24 Hanshin Doryoku Kikai Kk Sor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410B1 (en) Combination scale
KR101896434B1 (en) Weight separator of stick packed goods having multiseriate structure
KR101742670B1 (en) Combination scale
EP3098578B1 (en) Checkweig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6371546B2 (en) Inspection equipment
KR20010023803A (en) Weight sorter
KR101919986B1 (en) Chestnut sorting apparatus using continuous individual weight discrimination
KR101533172B1 (en) Combination scale
KR101494135B1 (en) Apparatus for sorting fruit
JP6062209B2 (en) Weighing system
JP2018031729A (en) Combinational register
CN206665013U (en) Fruits and vegetables automatic weighing system
KR101588296B1 (en) Fruit select installation
KR200485429Y1 (en) Apparatus for sorting cherry tomato
JP7479769B2 (en) Combination weigher
KR101255755B1 (en) Checkweigher for feeder ring belt type sorting means
CN106742203A (en) Fruits and vegetables automatic weighing system
JP2017227576A (en) Combination scale
Gaikwad et al. Development of orange grading machine on weight basis
KR101096791B1 (en) Inline visual grader and method of identific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JP2017176930A (en) Weight selecting device
JP5714409B2 (en) Combination scale
JP5308240B2 (en) Combination set device
JP2005060048A (en) Flesh sorting device, pulp filling device and pulp sorting method
JP2018083185A (en) Selection rank setting method of selection conveyor and selection rank sett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