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565B1 - Device for Flatten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Google Patents
Device for Flatten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7565B1 KR101497565B1 KR20140073207A KR20140073207A KR101497565B1 KR 101497565 B1 KR101497565 B1 KR 101497565B1 KR 20140073207 A KR20140073207 A KR 20140073207A KR 20140073207 A KR20140073207 A KR 20140073207A KR 101497565 B1 KR101497565 B1 KR 1014975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l
- intersection
- transfer plate
- chain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OR C10K; LIQUIFIED PETROLEUM GAS; 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7/00—Mechanical treatments of coal charges in the oven
- C10B37/02—Levelling charges, e.g. with ba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8—Non-mechanical pretreatment of the charge, e.g. desulfurization
- C10B57/10—Dry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OR C10K; LIQUIFIED PETROLEUM GAS; 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OR C10K; LIQUIFIED PETROLEUM GAS; 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6—Specific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열증기를 이용하여 석탄을 건조시키는 다단의 건조기에서 미분기로부터 다단의 건조기로 투입되는 석탄을 고르게 분산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송 석탄 평탄화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제1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1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1체인들로 체결되고, 제1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1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2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1석탄건조기; 및 한 쌍의 제2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2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2체인들로 연결되고, 제2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4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3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4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3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4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2석탄건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석탄건조기에서 1차 건조된 석탄을 제2석탄건조기로 투입시켜 2차 건조되도록 이루어진 석탄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에서 위를 향하는 표면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정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투입된 석탄더미의 중심을 갈라 좌우로 분산시키는 가름돌기; 상기 가름돌기 저부 가장자리 전방으로 돌출된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름돌기 저부 가장자리 양쪽 측면으로 돌출된 날부가 형성되되, 모서리부에서 날부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일정 기울기의 경사면이 형성된 분산돌기; 및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제1가이드레일 상단 및 제2가이드레일 상단과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제3가이드레일 상단 및 제4가이드레일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몸체 양측단을 고정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서 이송되는 석탄더미를 일정 높이로 평탄화시켜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석탄입자 표면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탄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플레이트 위에 석탄더미를 이송시키면서 이송플레이트에 복수로 관통된 통공을 통하여 분사되는 고온의 재열증기로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빼앗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석탄이 투입되는 위치에 평탄화기를 설치하여 석탄더미를 고르게 분산 및 평탄화시킴으로써 석탄입자에 고온의 재열증기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화력발전소의 사용 연료인 석탄 내부와 외부에 잔존하는 수분 제거로 석탄의 불완전연소를 방지할 수 있고, 석탄 열량의 향상과 공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며, 석탄의 수분감소에 따른 자연발화율을 감소시키고, 수요가 적은 저급 석탄의 활용도를 높여 석탄 공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ance planer for uniformly dispersing coal supplied from a differentiator to a multi-stage dryer in a multi-stage dryer for drying coal using a reheat steam, A pair of first driven sprock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hains,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plates are hingedly coupled between the first chains, and between the first driven sprocket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A pair of first guide rail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re provided under the connected upper second chain, and a first transfer plate is arranged horizontally below the lower first chain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rive sprocket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A first steam chamber for spraying the reheated steam supplied from the reheater is installed under the upper first chain A first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is provided on the upper first chain and a second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is provided on the upper first chain, A first coal dryer provided with a second exhaust gas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And a pair of second drive sprockets and a pair of second driven sprock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nected to second chains, a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plates are hingedly coupled between the second chains, A pair of third guide rails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re provided below the upper second chain connected between the drive sprocket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A pair of fourth guide rail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re provided under the chain, a third vapor chamber for spraying the reheated steam supplied from the reheater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second chain, A third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is provided on the upper second chain, and a third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the exhaust gas is installed on the upper second chain, And a second coal dryer installed with a fourth exhaust gas chamber for collecting the coal, wherein the first coal dryer dries the first coal to a second coal dryer, and the second coal dryer dries the second coal dryer, 1 < / RTI > transfer plate and a second transfer plate; A spiral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face of the body to divide the center of the coal pile charg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veyance plate and the second conveyance plate in the coal quantity feeder, A dispersing protrusion having a sloped surface formed at a corner port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pod, a blade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edge of the pod bottom portion, and a slope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to the blade portion. And an upper end of a first guide rail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n upper end of a second guide rail, an upper end of a third guide rail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nd an upper end of a fourth guide rail, And a pair of fixing members fixed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The pile of coal transferr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ansfer plate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is planarized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reheated steam that is sprayed through is uniform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al partic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temperature reheating steam injected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a conveying plate while conveying a coal pile on a plurality of conveying plates for conveying coal, , A planarizer is installed to uniformly disperse and planarize the coal pile so that the high-temperature reheated steam can easily contact the coal particles, thereby preventing the incomplete combustion of coal by removing water remaining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al used as the fuel for the thermal power plant. It has improved the calorific value of coal and minimizes the emission of pollutants, reduces the spontaneous ignition rate due to decrease of coal moisture, and improves the stability of coal supply by increasing utilization of low-demand co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석탄 건조 장치에서 이송 석탄을 평탄화시키는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열증기를 이용하여 석탄을 건조시키는 다단의 건조기에서 미분기로부터 다단의 건조기로 투입되는 석탄을 고르게 분산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송 석탄 평탄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leveling coal conveyed in a coal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tage dryer in which coal is dried by using reheating steam. The coal to be fed from a differentiator to a mult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ance planarizer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conveyed coal.
일반적으로 석탄을 연료로 발전하는 화력발전소에서는 500MW당 대략 180ton/hr의 석탄을 연소하며, 미분기 1대당 대략 37ton에 상당하는 석탄을 보일러에 공급한다. 석탄을 사용하는 500MW의 화력발전소에는 대략 500ton 용량의 석탄저장소가 대략 6개가 설치되고, 그 중 5개는 정상적인 석탄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나머지 1개는 예비로 일정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석탄을 비축하는 저탄장으로 운영된다.Generally, a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burns approximately 180 tons / hr of coal per 500 MW, and supplies approximately 37 tons of coal to the boiler per diffuser. A 500 MW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will have approximately six 500-ton capacity coal reservoirs, five of which will be supplied with normal coal, and the other will have a reserve coal reserve It is operated with low-fidelity.
더욱이 석탄을 연료로 발전하는 화력발전소에서는 석탄에 대한 표준화력 설계기준은 6,080Kcal/Kg, 10%이하의 저수분 역청탄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몇몇 화력발전소에서는 수입된 석탄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중 일부 아역청탄의 평균 수분 함수율이 17%이상 되는 것도 있어서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저하시킨다. 표준화력 연소한계가 5,400Kcal/Kg으로 사용하는 석탄의 발열량이 낮을 경우에는 연소효율의 저하로 발전량 감소와 연료소비량의 증가가 예상된다. 더욱이 고수분의 저열량탄인 아역청탄을 사용할 때에 수분함량이 설계기준보다 높아 석탄을 운반하는 이송계통이 원활하지 않고, 미분기로 석탄을 분쇄할 때에 능률의 저하, 일부 불완전 연소에 따른 연소효율의 저하, 보일러 내에서 발생되는 열 분포의 편류와 비정상 상태로 운전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에서 연료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아역청탄의 사용 비중이 대략 41~60%까지 차츰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Moreover, in the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the standard thermal power design standard for coal is 6,080 Kcal / Kg, designed to use low-moisture bituminous coal of less than 10%. Some coal-fired power plants use imported coal, some of which have an average moisture content of at least 17%, which reduces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boiler. If the calorific value of the coal used as the standard thermal power combustion limit is 5,400 Kcal / Kg is low, it is expected that the power generation will decrease and the fuel consumption will increase due to the decrease of combustion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coarse coal with a low calorific value of high water content is used, the water content is higher than the design standard and the conveying system for conveying the coal is not smooth, and when the coal is pulverized by the differentiator, the efficiency is lowered, , It may happen that the heat distribution generated in the boiler is operated with drift and abnormal condition. However, in order to reduce fuel costs in thermal power plants, the proportion of sub-bituminous coal is gradually increasing to about 41 ~ 60%.
또한, 세계 경기회복의 기대와 일본의 대지진에 의한 원자력발전소의 파괴로 안전문제에 직면하여 화력발전소에 대한 선호가 높아져 석탄의 수요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석탄시장은 수요자에서 공급자 중심으로 환경이 변화되고 있어 안정적인 석탄의 수급이 어려운 실정이고, 고열량탄의 생산량은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전망이어서 석탄 수급의 불균형이 예상된다.In addition, with the expectation of the global economic recovery and the de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due to the Japanese earthquake, the demand for coal-fired power plants is expected to rise steadily as the demand for thermal power plants increases. The global coal market is changing from the consumer to the supplier, and it is difficult to supply and supply stable coal. Production of high calorific coal is expected to remain at the current level, which is unbalanced supply and demand.
세계 석탄의 총 매장량 중에서 저열량탄은 대략 47%로 매장량은 많지만 발열량이 낮고 수분함량이 높아 연소 때에 연소 장애 등 고수분 저열량탄은 완전 연소에 어려움이 있어 시장에서 외면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근래까지 석유의 안정된 가격과 원자력발전의 저렴한 생산단가에 의지하는 경향이 높았지만, 최근 석유 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원자력발전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의 건설이 많이 계획되고 있다.Among the total coal reserves of the world coal, the low calorific value is about 47%, but the calorific value is low and the water content is high, so the low calorific value burning of high water such as combustion trouble at the time of combustion is difficult to completely ignite in the market. Until now, there has been a high tendency to rely on stable oil prices and low production cost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worldwide, but there are many plans for the construction of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due to the rapid rise in oil prices and anxiety about nuclear power generation .
종래에 석탄을 건조하는 기술(열적 건조)은 석탄이 투입된 원통의 쉘(Shell)을 회전시키면서 내부의 석탄입자를 고온의 가스로 건조시키는 로터리 건조방식과, 석탄을 위에서 아래로 공급하면서 고온의 건조가스를 아래에서 위로 상승시켜 건조시키는 플래쉬(Flash, Pneumatic) 건조방식과, 고온의 건조가스가 미세한 입자를 동반하여 위로 상승하면서 석탄을 건조시키는 플루이드 베드(Fluid-Bed) 건조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the technique of drying coal (thermal drying) is a rotary drying method in which coal particles in the inside are dried with a high temperature gas while rotating a shell of a cylinder into which coal is charged, and a rotary drying method in which coal is dried from a high temperature (Flash, Pneumatic) drying method in which the gas is rais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fluid-bed drying method in which the high-temperature drying gas rises to the top with fine particles to dry the coal.
석탄은 석탄입자 사이의 공극에 부착된 표면수분과 석탄 내부의 기공에 결합되는 결합수분으로 구분된다. 표면수분은 산지에서의 세척과정과 수송 및 저장 때에 살포되는 수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표면적과 흡수성에 따라 그 양이 결정되며,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커지고 입자와 입자 사이의 모세관이 형성되어 수분을 함유하게 되어 함수율이 커진다. 결합수분은 석탄의 생성기에 형성된 것으로 갈탄, 유연탄(역청탄, 아역청탄), 무연탄 순으로 적다. 석탄에 수분이 많으면 발열량이 낮아지고 수송비도 증가하므로 석탄의 혼합, 분쇄, 분리 등의 과정에서 수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Coal is divided into surface moisture attached to the pores between the coal particles and bonded water which is bound to the pores inside the coal. The surface moisture occupies most of the water spray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transportation and storage in the mountain, and its amount is determined by the surface area and the water absorption.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the larger the surface area and the capillary between particles and particles is formed. And the water content becomes larger. The combined moisture is formed in coal-fired generators, which are lignite, bituminous coal (bituminous coal, bituminous coal), and anthracite. If the coal has a lot of water, the calorific value is lowered and the transportation cost is increased, so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water in the process of mixing, grinding and separating the coal.
더욱이 분쇄된 석탄을 다단의 건조기, 즉 재열증기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 또는 복수로 결합된 이송플레이트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건조기 아래에서 고온의 재열증기를 분사하여 석탄을 건조시키는 장치에서 투입된 석탄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열증기를 분사시켜도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석탄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의 단수나 길이를 늘려야 하고, 건조를 위한 재열증기의 공급량이 많아져 석탄 건조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since the pulverized coal is conveyed through a multi-stage dryer, that is, a conveyo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in for passing the reheat steam, or coal conveyed through a plurality of conveying plates while spraying hig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al can not be effectively dried even if the reheated steam is sprayed in a state where it is not evenly dispersed. As a result, the number and length of the dryer for drying the coal have to be increased, and the amount of the reheated steam for drying has been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cost and time for drying the coal.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저급 석탄 안정화 장치에서 1차 건조된 저급 석탄에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투입되는 중유회 분말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한 물결모양(Wave-type)의 진동유동판이 구비되어 있다. 진동유동판은 저급 석탄과 중유회 분말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석탄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증기가 석탄 표면에 일정하게 분사되지 못하여 건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력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을 건조기로 이송시키는 동안 재열증기로 건조시키는 석탄 건조 장치에서 건조기에 투입되는 석탄이 평탄화 장치를 통과하면서 고른 분포로 평탄하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석탄에 분사되는 재열증기에 의하여 석탄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al drying apparatus for drying coal used as a fuel of a thermal power plant with a reheat steam while conveying the coal to a dryer, And to effectively dry the coal by reheating steam injected into the coal.
또한, 본 발명은 석탄의 효과적인 건조로 석탄의 적정 함수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석탄의 발열량을 높임으로써 화력발전소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향상시켜 연료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a thermal power plant boiler by increasing the heating value of coal by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moisture content of coal by effectively drying coal, thereby reducing fuel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은 석탄에 함유된 수분의 조절로 석탄의 불완전연소로 인한 환경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술과 화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ing technology and a technology applicable to a thermal power plant that can prevent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of coal by controlling moisture contained in coal.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1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1체인들로 체결되고, 제1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1구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1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2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1석탄건조기; 및 한 쌍의 제2구동 스프로킷과 한 쌍의 제2종동 스프로킷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2체인들로 연결되고, 제2체인들 사이에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며,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제2구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4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3증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 아래에 재열기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4증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3배가스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체인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4배가스챔버가 설치된 제2석탄건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석탄건조기에서 1차 건조된 석탄을 제2석탄건조기로 투입시켜 2차 건조되도록 이루어진 석탄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에서 위를 향하는 표면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정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투입된 석탄더미의 중심을 갈라 좌우로 분산시키는 가름돌기; 상기 가름돌기 저부 가장자리 전방으로 돌출된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름돌기 저부 가장자리 양쪽 측면으로 돌출된 날부가 형성되되, 모서리부에서 날부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일정 기울기의 경사면이 형성된 분산돌기; 및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제1가이드레일 상단 및 제2가이드레일 상단과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제3가이드레일 상단 및 제4가이드레일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몸체 양측단을 고정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서 이송되는 석탄더미를 일정 높이로 평탄화시켜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석탄입자 표면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하는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first driving sprockets and a pair of first driven sprock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first chains, A pair of first guide rails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re provided under the upper second chain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rive sprocket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conveying plate are provided below the lower first chain connected between the first driven sprockets and a pair of first guide rail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conveying plate, A second steam chamber for spraying reheat steam supplied from a reheater is installed under the lower first chain, and a first exhaust gas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is installed on the upper first chain, And, a first and a second coal drier off-gas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on the lower side chain installed first; And a pair of second drive sprockets and a pair of second driven sprock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nected to second chains, a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plates are hingedly coupled between the second chains, A pair of third guide rails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re provided below the upper second chain connected between the drive sprocket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A pair of fourth guide rail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re provided under the chain, a third vapor chamber for spraying the reheated steam supplied from the reheater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second chain, A third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is provided on the upper second chain, and a third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the exhaust gas is installed on the upper second chain, And a second coal dryer installed with a fourth exhaust gas chamber for collecting the coal, wherein the first coal dryer dries the first coal to a second coal dryer, and the second coal dryer dries the second coal dryer, 1 < / RTI > transfer plate and a second transfer plate; A spiral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face of the body to divide the center of the coal pile charg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veyance plate and the second conveyance plate in the coal quantity feeder, A dispersing protrusion having a sloped surface formed at a corner port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pod, a blade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edge of the pod bottom portion, and a slope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to the blade portion. And an upper end of a first guide rail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n upper end of a second guide rail, an upper end of a third guide rail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nd an upper end of a fourth guide rail, And a pair of fixing members fixed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The pile of coal transferr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ansfer plate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is planariz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reheated steam that is passed through and is sprayed is even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al particle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돌기는 분산돌기 양측 경사면이 만나는 제2교선과, 상기 가름돌기 측면과 분산돌기의 경사면이 만나는 제3교선과, 상기 분산돌기 저면과 가장자리가 만나는 날부에 해당하는 제4교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교선과 제3교선이 만나는 제1교점과, 상기 제2교선과 제4교선이 만나는 제2교점, 및 제3교선과 제4교선이 만나는 제3교점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dispersion protrusions preferably have a second line intersecting with the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dispersion protrusion, a third line intersecti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above-mentioned perforations an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dispersion protrusions, A fourth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second intersection intersects with the third intersection line, a second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second intersection intersects with the fourth intersection line, and a third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third intersection intersects with the fourth intersection line are formed .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돌기는 분산돌기의 양측 경사면이 만나는 제2교선과, 상기 가름돌기 측면과 분산돌기의 경사면이 만나는 제3교선과, 상기 분산돌기 저면과 가장자리가 만나는 날부에 해당하는 제4교선과, 가름돌기 측면과 몸체가 만나는 제5교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2교선과 제3교선이 만나는 제1교점과, 상기 제2교선과 제4교선이 만나는 제2교점과, 제4교선과 제5교선이 만나는 제3교점 및 제3교선과 제5교선이 만나는 제4교점이 형성되되, 상기 제3교선과 제4교선이 나란한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on projection has a second line intersecting with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dispersion projection, a third line intersect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ispersion projection, and a third line inters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rsion projection and the edge A fifth intersection between the second intersection and the third intersection, a second intersection between the second intersection and the fourth intersection, and a second intersection between the second intersection and the fourth intersection, A third intersection where the fourth intersection line and the fifth intersection line meet and a fourth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third intersection line intersects with the fifth intersection line are formed and the third intersection line and the fourth intersection line can be formed horizontally side by sid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돌기가 가름돌기 측면에 상하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dispersion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up-and-down directions on the side surface of the crimp proj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배가스챔버, 제2배가스챔버, 제3배가스챔버 및 제4배가스챔버 앞단에 분산돌기가 형성된 가름돌기가 일체 결합된 몸체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haust gas chambers and the fourth exhaust gas chamber may be fixed to the first exhaust gas chamber, the second exhaust gas chamber, the third exhaust gas chamber, and the fourth exhaust gas chamb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 저면이 가름돌기의 제2교점에서 몸체 배면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slope such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cker from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of the projections to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는 석탄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플레이트 위에 석탄더미를 이송시키면서 이송플레이트에 복수로 관통된 통공을 통하여 분사되는 고온의 재열증기로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빼앗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석탄이 투입되는 위치에 평탄화기를 설치하여 석탄더미를 고르게 분산 및 평탄화시킴으로써 석탄입자에 고온의 재열증기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화력발전소의 사용 연료인 석탄 내부와 외부에 잔존하는 수분 제거로 석탄의 불완전연소를 방지할 수 있고, 석탄 열량의 향상과 공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며, 석탄의 수분감소에 따른 자연발화율을 감소시키고, 수요가 적은 저급 석탄의 활용도를 높여 석탄 공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열량탄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저열량탄의 사용이 가능하고, 석탄 수입량 감소로 연료비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석탄 소비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연소가스로부터 발생되는 폐기물 및 오염물질 배출의 저감과 이산화탄소 감축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해외기술의 대체효과와 설비의 해외 수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ed coal planer in the coal drying apparatus is a high-temperature reheating steam injected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conveying plate while conveying a coal pile on a plurality of conveying plates for conveying coal, A planarizer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al is put to effectively dry and disperse and planarize the coal pile evenly so that the high temperature reheated steam is easily contacted to the coal particles so that the coal remains inside and outside the coal used as the fuel for the thermal power plan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mplete combustion of coal by water removal, to improve coal calorific value, to minimize pollutant discharge, to reduce spontaneous ignition rate due to decrease of coal moisture, and to improve utilization of low grade coal with low demand,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low-calorific charcoal, which is cheaper in price than high-calorie coal, reduce fuel cost and cost due to reduction of coal import quantity, and reduce coal consumption relatively, thereby reducing waste and pollutant discharge And carbon dioxide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 of substitution of foreign technology and overseas export of facilities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가 설치된 석탄 건조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가 설치된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al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veyed coal planer in a coal drying apparatus is shown.
3 is a side view showing a coal dry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nveyed coal flat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major parts in which a conveyed coal flattener is installed in a coal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arizer of a coal coal in a coal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and 7B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ed coal pl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veyed coal pl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ed coal plana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ed coal pl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ed coal flat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yed coal planer in a coal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A and 13B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ed coal pl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id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veyed coal pl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lanarizer of a coal coal in a coal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transported coal planer in a coal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컨베이어나 이송플레이트 등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석탄을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킬 때에 이송장치에 투입된 석탄을 고르게 분산시켜 건조효과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이송 석탄 평탄화기는 미분된 석탄을 일정량씩 공급하는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석탄 건조 장치의 이송장치로 석탄을 투입하여 석탄을 이송시키는 동안 고온의 재열증기를 분사하여 석탄을 건조시키는 석탄 건조 장치에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al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conveying device when the coal is conveyed while being conveyed by using a conveying device such as a conveyor or a conveying plate to enhance the drying effect. In addition, the conveying planarizer is installed in a coal drying apparatus for drying coal by injecting high temperature reheating steam while coal is fed into a conveying device of a coal drying device in a coal quantity feeder for fee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ulverized coal .
도 1에서, 저탄장(200)은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석탄을 보관 및 저장하는 곳이다. 석탄은 표면 수분과 내부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더욱이 저탄장(200)에 저장된 석탄은 주기적으로 물을 뿌려 석탄가루의 비산을 방지하고 있다. 저탄장(200)에 저장된 석탄은 컨베이어시스템 등의 이송수단을 통해 석탄 건조 장치(100)로 이송된다. 이때, 수분이 제거되지 않은 저탄장(10)의 석탄을 석탄 건조 장치와 연결된 건조용 석탄 공급탱크(300)로 옮겨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석탄 공급탱크(300)에 저장된 석탄은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일정량으로 석탄 건조 장치(1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석탄 건조 장치(100)는 복층으로 설치된 제1석탄건조기(110)와 제2석탄건조기(140)를 거쳐 배출되는 석탄을 자연 건조시키기 위한 제3석탄건조기(170)가 포함된다. 제1석탄건조기(110)와 제2석탄건조기(140)는 대략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3석탄건조기(170)를 거치면서 자연 건조된 석탄은 건조석탄 저장조(600)에 저장되었다가 화력발전소(700)의 보일러 연료로 공급된다.In FIG. 1, the low-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석탄 평탄화기(1)가 설치된 석탄 건조 장치(10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석탄 건조 장치(100)는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투입된 석탄을 다단의 건조기, 즉 제1석탄건조기(110)와, 제1석탄건조기에서 건조된 석탄을 2차 건조시키는 제2석탄건조기(140), 그리고 제2석탄건조기에서 건조된 석탄을 자연 건조시킨 후 건조석탄 저장조(50)로 공급하는 제3석탄건조기(170)를 포함한다.2 and 3, there is shown an example of a
제1석탄건조기(110)는 한 쌍의 제1구동 스프로킷(111)과 한 쌍의 제1종동 스프로킷(112)이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1체인(113)들로 체결되고, 제1체인(113)들 사이에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114)가 힌지 결합되며, 제1구동 스프로킷(111)과 제1종동 스프로킷(112)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143)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114)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15)이 설치되고, 제1구동 스프로킷(111)과 제1종동 스프로킷(112)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1체인(113) 아래에 제1이송플레이트(114)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116)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113) 아래에 재열기(500)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1증기챔버(120)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113) 아래에 재열기(500)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2증기챔버(123)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1체인(113)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1배가스챔버(124)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1체인(113)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2배가스챔버(126)가 설치된다. The
그리고 제2석탄건조기(140)는 한 쌍의 제2구동 스프로킷(141)과 한 쌍의 제2종동 스프로킷(142)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제2체인(143)들로 연결되고, 제2체인(143)들 사이에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144)가 힌지 결합되며, 제2구동 스프로킷(141)과 제2종동 스프로킷(142) 사이에 연결된 상측 제2체인(143)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144)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3가이드레일(145)이 설치되고, 제2구동 스프로킷(141)과 제2종동 스프로킷(142) 사이에 연결된 하측 제2체인(143) 아래에 제2이송플레이트(144)를 수평 지지하는 한 쌍의 제4가이드레일(146)이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143) 아래에 재열기(500)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3증기챔버(150)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143) 아래에 재열기(500)에서 공급된 재열증기를 분사하는 제4증기챔버(153)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 제2체인(143)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3배가스챔버(154)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제2체인(143) 위에 배가스를 포집하는 제4배가스챔버(156)가 설치된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1)는 제1석탄건조기(110)의 제1배가스챔버(124) 및 제2배가스챔버(126)와, 제2석탄건조기(140)의 제3배가스챔버(154) 및 제4배가스챔버(156) 앞단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Therefore, the transported
도 4에서, 이송 석탄 평탄화기(1)는 제1석탄건조기(110)의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위를 향하는 표면 상부, 즉 제1배가스챔버(124) 앞단과, 제2석탄건조기(140)의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 상부, 즉 제3배가스챔버(154) 앞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다. 더욱이 이송 석탄 평탄화기(1)의 몸체(2) 양측단은 제1이송플레이트(114)를 수평 지지하는 제1가이드레일(115) 상단과 제2이송플레이트(144)를 수평 지지하는 제3가이드레일(145) 상단에 각각 한 쌍의 고정부재(5)로 고정 지지된다.4, the transferred
또한, 도 5에서, 이송 석탄 평탄화기(1)는 제1석탄건조기(110)의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위를 향하는 표면 상부, 즉 제2배가스챔버(126) 앞단과, 제2석탄건조기(140)의 복수의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 상부, 즉 제4배가스챔버(156) 앞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다. 더욱이 이송 석탄 평탄화기(1)의 몸체(2) 양측단은 제1이송플레이트(114)를 수평 지지하는 제2가이드레일(116) 상단 및 제4가이드레일(146) 상단에 각각 한 쌍의 고정부재(5)로 고정 지지된다.5, the transported
따라서 이송 석탄 평탄화기(1)는 제1석탄건조기(110)에 2개가 설치되고, 제2석탄건조기(140)에 2개가 설치된다. 이는 석탄 정량공급기(400)에서 제1석탄건조기(110)의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위를 향하는 표면 상단으로 석탄이 투입되는 제1배가스챔버(124) 앞단과, 제1석탄건조기(110)의 상측 제1이송플레이트(114)에서 하측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위를 향하는 표면으로 석탄이 낙하되는 제2배가스챔버(126) 앞단과, 제1석탄건조기(110)의 하측 제1이송플레이트(114)에서 제2석탄건조기(140)의 상측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으로 석탄이 낙하되는 제3배가스챔버(154) 앞단, 그리고 제2석탄건조기(140)의 상측 제2이송플레이트(144)에서 하측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으로 석탄이 낙하되는 제4배가스챔버(156) 앞단에 각각 설치되어 투입 및 낙하된 석탄더미를 분산시키고 평탄화시켜 제1이송플레이트(114) 및 제2이송플레이트(144)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석탄입자 표면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석탄을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wo of the transferred
제1이송플레이트(114)에는 제1증기챔버(120)와 제2증기챔버(123)에서 분사된 재열증기가 제1이송플레이트(114)를 관통하여 석탄입자에 접촉되도록 복수의 통공(114a)이 형성된다. 제1이송플레이트(114) 상단면 좌우측에는 투입된 석탄더미가 제1이송플레이트(114)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일정 높이의 가드(114b)가 설치된다. 가드(114b)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다. 따라서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가드(114b)는 상호 인접하는 가드(114b)와 상부가 겹쳐지게 된다. 이때, 제1이송플레이트(114)의 가드(114b)는 상호 인접하는 가드(114b)와 대략 지그재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이송플레이트(114) 하단면 좌우측에는 제1증기챔버(120)와 제2증기챔버(123)에서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제1증기챔버(120)와 제2증기챔버(123) 각각의 좌우측으로 분사되어 소실되지 않도록 차폐판(114c)이 설치된다.A plurality of through
또한, 제2이송플레이트(144)에는 제3증기챔버(150)와 제4증기챔버(153)에서 분사된 재열증기가 제2이송플레이트(144)를 관통하여 석탄입자에 접촉되도록 복수의 통공(144a)이 형성된다. 제2이송플레이트(144) 상단면 좌우측에는 투입된 석탄더미가 제2이송플레이트(144)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일정 높이의 가드(144b)가 설치된다. 가드(144b)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다. 따라서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가드(144b)는 상호 인접하는 가드(144b)와 상부가 겹쳐지게 된다. 이때,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가드(144b)는 상호 인접하는 가드(144b)와 대략 지그재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이송플레이트(144) 하단면 좌우측에는 제3증기챔버(150)와 제4증기챔버(153)에서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제3증기챔버(150)와 제4증기챔버(153) 각각의 좌우측으로 분사되어 소실되지 않도록 차폐판(144c)이 설치된다.The
도 6에서, 이송 석탄 평탄화기(1)는 기둥 형상의 몸체(2)로 이루어진다. 몸체(2)는 석탄을 이송장치 위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면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몸체(2) 정면 중심부에는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이송장치로 투입된 석탄더미의 중심을 갈라 좌우로 분산시키는 가름돌기(3)가 돌출 형성된다. 가름돌기(3)는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몸체(2) 전방에 교선을 갖는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름돌기(3)에 석탄더미가 접촉되면 석탄입자들은 가름돌기(3)에 의하여 좌우 양측으로 갈라진다. 이는 이송장치 위에 석탄이 투입되면 석탄은 대략 원호 형상으로 쌓인다. 따라서 원호 형상으로 쌓인 석탄더미는 중심부의 밀도가 높아지고 전후 및 좌우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가름돌기(3)는 석탄더미의 중심부를 좌우로 가르면서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Fig. 6, the transported
가름돌기(3)가 돌출 형성된 몸체(2)는 이송장치 일측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부재로 몸체 양측단이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더욱이 이송 석탄 평탄화기(1)는 이송장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이송 석탄 평탄화기(1)는 이송장치에서 이송되는 석탄더미를 일정 높이로 평탄화시켜 이송장치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석탄입자 표면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더욱이 도 7a 및 도 7b에서, 가름돌기(3) 하부 가장자리, 즉 전방 및 양 측면에 분산돌기(10)가 돌출 형성된다. 분산돌기(10)는 가름돌기(3) 저부 가장자리 전방으로 돌출된 모서리부(11)가 형성되고, 모서리부(11)에서 가름돌기(3) 저부 가장자리 양쪽 측면으로 돌출된 날부(12)가 형성된다. 분산돌기(10)의 모서리부(11)에서 날부(12)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일정 기울기의 경사면이 형성된다.7A and 7B, the
분산돌기(10)는 이송장치에서 이송되는 석탄더미의 중심 부분을 모서리부(11)로 가로질러 밀도가 높은 중심 부분을 갈라놓는다. 분산돌기(10)는 모서리부(11) 및 가름돌기(3)에서 갈라진 석탄더미가 가름돌기(3)를 따라 양쪽으로 분산된 후에 내려오는 석탄을 각각 양측면의 경사면 앞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석탄더미의 밀도를 일정하게 분산시키고 이송장치 표면에 고르게 펴지도록 한다.The
도 8에서, 모서리부(11), 날부(12) 및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분산돌기(10)에 관하여 면과 면이 만나는 교선과, 선과 선이 만나는 교점을 기준으로 표현한 것이다.8, reference is made to the point of intersection where the surface and the surface meet and the point of intersection where the line and the line meet with respect to the dispersing
즉 제1교선(a1)은 가름돌기(3) 양측면이 전면에서 만나는 선이고, 제2교선(a2)은 분산돌기(10) 양측 경사면(12)이 만나는 선이며, 제3교선(a3)은 가름돌기(3) 측면과 분산돌기(10)의 경사면(12)이 만나는 선이고, 제4교선(a4)은 분산돌기(10) 저면과 가장자리가 만나는 날부(13)에 해당하는 선이며, 제5교선(a5)은 가름돌기(3) 측면과 몸체(2)가 만나는 선이다. 또한, 제1교점(b1)은 제1교선(a1)과 제2교선(a2)이 만나는 점이고, 제2교점(b2)은 제2교선(a2)과 제4교선(a4)이 만나는 점이며, 제3교점(b3)은 제3교선(a3), 제4교선(a4) 및 제5교선(a5)이 만나는 점이다.That is, the first line (a1) is a line where both sides of the projecting portion (3) meet at the front, the second line (a2) is a line where both inclined surfaces (12) The fourth line a4 is a line corresponding to the blade portion 13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rsing
따라서 평탄화기(1)의 가름돌기(3) 저부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분산돌기(10)는 제2교선(a2)과 제3교선(a3)이 만나는 제1교점(b1)과, 제2교선(a2)과 제4교선(a4)이 만나는 제2교점(b2), 및 제3교선(a3)과 제4교선(a4)이 만나는 제3교점(b3)이 각각 교접하여 형성되는 입체화된 부분에 해당한다.The dispersing
도 9 및 도 10에서, 석탄 건조 장치의 제1이송플레이트(114)와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투입된 석탄(C)은 이송 석탄 평탄화기(1)의 가름돌기(3)을 지나면서 좌우측으로 갈라지고, 갈라진 석탄은 분산돌기(10)를 따라 고르게 분산된 다음 평평한 몸체(2) 저면을 지나면서 평탄화된다. 9 and 10, the coal (C) charg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veying
더욱이 도 11a에서, 제1이송플레이트(114)와 제2이송플레이트(144) 위에 투입되거나 낙하된 석탄(C)은 대략 호 형상으로 쌓인다. 이때, 호 형상으로 쌓인 석탄(C)은 중심부의 밀도는 높아지고 전후 및 좌우로 갈수록 밀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석탄(C)이 가름돌기(3) 및 분산돌기(10)의 모서리부(11)에 접촉되면 석탄(C)의 중심부를 좌우 양측으로 갈라 석탄입자들을 분산시킨다. 그리고 분산돌기(10)는 석탄입자를 더욱 일정하게 분산시켜 석탄더미의 밀도를 균일하게 한다. 도 11b에서, 이렇게 분산된 석탄(C)은 이송 석탄 평탄화기(1)의 저면을 거치면서 제1이송플레이트(114)와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평탄하게 배열된다.11A, the coal C that has been charged or dropped onto th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2 및 도 13에서, 가름돌기(3) 하부 가장자리, 즉 전방 및 양 측면에 분산돌기(10)가 돌출 형성된다. 분산돌기(10)는 가름돌기(3) 저부 가장자리 전방으로 돌출된 모서리부(11)가 형성되고, 모서리부(11)에서 가름돌기(3) 저부 가장자리 양쪽 측면으로 돌출된 날부(12)가 형성된다. 분산돌기(10)의 모서리부(11)에서 날부(12)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일정 기울기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산돌기(10)는 모서리부(11)에서 몸체(2)까지 일정한 폭의 경사면이 형성된다.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12 and 13, the
분산돌기(10)는 이송장치에서 이송되는 석탄더미의 중심 부분을 모서리부(11)로 가로질러 밀도가 높은 중심 부분을 갈라놓는다. 분산돌기(10)는 모서리부(11) 및 가름돌기(3)에서 갈라진 석탄더미가 가름돌기(3)를 따라 양쪽으로 분산된 후에 내려오는 석탄을 각각 양측면의 경사면 앞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석탄더미의 밀도를 일정하게 분산시키고 이송장치 표면에 고르게 펴지도록 한다.The
더욱이 도 14에서, 모서리부(11), 날부(12) 및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분산돌기(10)에 관하여 면과 면이 만나는 교선과, 선과 선이 만나는 교점을 기준으로 표현한 것이다. 즉 분산돌기(10)는 제3교선(a3)과 제4교선(a4)이 나란한 수평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제1교선(a1)은 가름돌기(3) 양측면이 전면에서 만나는 선이고, 제2교선(a2)은 분산돌기(10) 양측 경사면(12)이 만나는 선이며, 제3교선(a3)은 가름돌기(3) 측면과 분산돌기(10)의 경사면(12)이 만나는 선이고, 제4교선(a4)은 분산돌기(10) 저면과 가장자리가 만나는 날부(13)에 해당하는 선이며, 제5교선(a5)은 가름돌기(3) 측면과 몸체(2)가 만나는 선이다. 또한, 제1교점(b1)은 제1교선(a1)과 제2교선(a2)이 만나는 점이고, 제2교점(b2)은 제2교선(a2)과 제4교선(a4)이 만나는 점이며, 제3교점(b3)은 제4교선(a4)과 제5교선(a5)이 만나는 점이고, 제4교점(b4)은 제3교선(a3)과 제5교선(a5)이 만나는 점이다. 이때, 제3교선(a3)과 제4교선(a4)은 나란한 수평이 된다.Further, in FIG. 14, reference is made to the point of intersection where the surface and the surface meet and the point of intersection where the line and the line meet with respect to the
따라서 평탄화기(1)의 가름돌기(3) 저부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분산돌기(10)는 제2교선(a2)과 제3교선(a3)이 만나는 제1교점(b1)과, 제2교선(a2)과 제4교선(a4)이 만나는 제2교점(b2)과, 제4교선(a4)과 제5교선(a5)이 만나는 제3교점(b3) 및 제3교선(a3)과 제5교선(a5)이 만나는 제4교점(b4)이 각각 교접하여 형성되는 입체화된 부분에 해당한다.The dispersing
석탄 건조 장치의 제1이송플레이트(114)와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투입된 석탄(C)은 이송 석탄 평탄화기(1)의 가름돌기(3)을 지나면서 좌우측으로 갈라지고, 갈라진 석탄은 분산돌기(10)를 따라 고르게 분산된 다음 평평한 몸체(2) 저면을 지나면서 평탄화된다. 더욱이 제1이송플레이트(114)와 제2이송플레이트(144) 위에 투입되거나 낙하된 석탄(C)은 대략 호 형상으로 쌓인다. 이때, 호 형상으로 쌓인 석탄(C)은 중심부의 밀도는 높아지고 전후 및 좌우로 갈수록 밀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석탄(C)이 가름돌기(3) 및 분산돌기(10)의 모서리부(11)에 접촉되면 석탄(C)의 중심부를 좌우 양측으로 갈라 석탄입자들을 분산시킨다. 그리고 분산돌기(10)는 석탄입자를 더욱 일정하게 분산시켜 석탄더미의 밀도를 균일하게 한다. 이렇게 분산된 석탄(C)은 이송 석탄 평탄화기(1)의 저면을 거치면서 제1이송플레이트(114)와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평탄하게 배열된다.The coal C fed into the surface of the first conveying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5에서, 분산돌기(10)가 가름돌기(3) 측면에 상하로 복수로 형성된 것이다. 이는 평탄화기(1)의 가름돌기(3) 양측면에 복수의 분산돌기(10)가 형성되어 제1이송플레이트(114)와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투입된 석탄(C)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고른 밀도로 평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평탄화기(1)의 가름돌기(3) 중심부 양측면에 형성된 제1분산돌기(10)와, 가름돌기(3) 하부 양측면에 형성된 제2분산돌기(10)가 제1이송플레이트(114)와 제2이송플레이트(144)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호 형상으로 투입된 석탄(C)의 중심부를 갈라놓은 후에 제1분산돌기(10)와 제2분산돌기(10)의 각 모서리부와 날부, 그리고 경사면에 의하여 고르게 분산 및 평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에서 각 분산돌기(10)의 경사면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제1교점, 제2교점 및 제3교점이 각 교선으로 연결된 형상이다.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5, a plurality of
더욱이 도 16에서, 제1분산돌기(10)와 제2분산돌기(10)는 각각 경사면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으로, 제1교점, 제2교점, 제3교점 및 제4교점과 연결된 형상이다.16,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는 석탄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플레이트 위에 석탄더미를 이송시키면서 이송플레이트에 복수로 관통된 통공을 통하여 분사되는 고온의 재열증기로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빼앗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평탄화기에 의하여 석탄더미를 고르게 분산 및 평탄화시켜 석탄입자에 고온의 재열증기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한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red coal planarizer in the coal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temperature reheating steam injected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a conveying plate while conveying a coal pile on a plurality of conveying plates for conveying coal,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pile of coal is evenly dispersed and planarized by the planarizer so that the high-temperature reheated steam easily contacts with the coal particles.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has it will know it easily.
1: 이송 석탄 평탄화기 2: 몸체 3: 가름돌기 4: 쐐기 5: 고정부재 6: 경사면 10: 분산돌기 11: 모서리부 12: 날부 100: 석탄 건조 장치 110: 제1석탄건조기 111, 141: 구동 스프로킷 112, 142: 종동 스프로킷 113, 113a, 113b, 143, 143a, 143b: 체인 114, 144: 이송플레이트 114a, 144a: 통공 114b, 144b: 가드 114c, 144c: 차폐판 115, 116, 145, 146: 가이드레일 117, 157: 가이드 바 118, 148: 구동모터 119, 149: 감속기 120, 123, 150, 153: 증기챔버 121, 151: 증기공급관 124, 126, 154, 156: 배가스챔버 125, 155: 가스배출관 130, 160: 투입구 131, 161: 배출구 140: 제2석탄건조기 170: 제3석탄건조기 200: 저탄장 300: 건조용 석탄 공급탱크 400: 석탄 정량공급기 500: 재열기 600: 건조석탄 저장조 700: 화력발전소 C: 석탄 a1-a5: 교선 b1-b4: 교점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l drying apparatus and a coal drying apparatus for drying coal, comprising: a
Claims (6)
상기 복수의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에서 위를 향하는 표면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정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석탄 정량공급기에서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 투입된 석탄더미의 중심을 갈라 좌우로 분산시키는 가름돌기;
상기 가름돌기 저부 가장자리 전방으로 돌출된 모서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름돌기 저부 가장자리 양쪽 측면으로 돌출된 날부가 형성되되, 모서리부에서 날부까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일정 기울기의 경사면이 형성된 분산돌기; 및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제1가이드레일 상단 및 제2가이드레일 상단과 제2이송플레이트를 수평 지지하는 제3가이드레일 상단 및 제4가이드레일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몸체 양측단을 고정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의 위를 향하는 표면에서 이송되는 석탄더미를 일정 높이로 평탄화시켜 제1이송플레이트와 제2이송플레이트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재열증기가 석탄입자 표면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하는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이송 석탄 평탄화기.
A pair of first drive sprockets and a pair of first driven sprock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astened to the first chains,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plates are hingedly coupled between the first chains, A pair of first guide rail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re provided below an upper second chain connected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first driven sprocket, and a pair of first guide rail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lower first chain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re provided below the first transfer chamber, a first vapor chamber for spraying the reheated steam supplied from the reheater is provided below the upper first chain, A first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is provided on the upper first chain, and a second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the exhaust gas is installed on the lower first chain, A first coal dryer in the second off-gas chamber of the house are installed; And a pair of second drive sprockets and a pair of second driven sprock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nected to second chains, a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plates are hingedly coupled between the second chains, A pair of third guide rails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re provided below the upper second chain connected between the drive sprocket and the second driven sprocket, A pair of fourth guide rails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re provided under the chain, a third vapor chamber for spraying the reheated steam supplied from the reheater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second chain, A third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exhaust gas is provided on the upper second chain, and a third exhaust chamber for collecting the exhaust gas is installed on the upper second chain, A fourth off-gas chamber the second coal dryer was installed to house and to put the primary drying coal from the first coal dryer in the second drier coal in coal drying system made to secondary drying,
A columnar bod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ansfer plate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A spiral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face of the body to divide the center of the coal pile charg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veyance plate and the second conveyance plate in the coal quantity feeder,
A dispersing protrusion having a sloped surface formed at a corner port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pod, a blade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edge of the pod bottom portion, and a slope extending from the edge portion to the blade portion. And
A first guide rail upper and a second guide rail upper end horizontally supporting the first transfer plate, an upper end of a third guide rail horizontally supporting the second transfer plate and an upper end of a fourth guide rail, And a pair of fixing members for supporting the fixing member,
The pile of coal transferr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ansfer plate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is planariz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reheated steam injected through the first transfer plate and the second transfer plate is evenly contacted to the surface of the coal particles. Transfer planarizer for coal in coal dryers.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ion protrusion has a second line intersecting the inclined planes on both sides of the dispersion protrusion, a third line intersect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ispersion protrusion, and a fourth line inters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rsion protrusion, A first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second intersection line intersects with the third intersection line and a second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second intersection line intersects with the fourth intersection line and a third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third intersection intersects with the fourth intersection line, Transfer planarizer of coal in drying equipment.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ion protrusions have a second line intersecting with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dispersion protrusion, a third line intersect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ispersion protrusion, and a third line inters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rsion protrusion, A fifth intersection between the second intersection and the third intersection, a second intersection between the second intersection and the fourth intersection, a fourth intersection between the second intersection and the fourth intersection, A third crossing point where the fifth line intersects with the third line, and a fourth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third line intersects with the fifth line, and the third and fourth lines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transported coal flatte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ion projection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up-and-down directions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rojecting projections.
2. The method as set forth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ferring the coal in the coal drying apparatus having a body integrally fixed to the first exhaust gas chamber, the second exhaust gas chamber, the third exhaust gas chamber, and the fourth exhaust gas chamber, .
The conveyor planariz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slope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body bottom surface increases from the second intersection point of the projecting projections to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Priority Applications (8)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073207A KR101497565B1 (en) | 2014-06-17 | 2014-06-17 | Device for Flatten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RU2017101188A RU2017101188A (en) | 2014-06-17 | 2015-06-17 | DISTRIBUTING AND LEVELING DEVICE FOR UNIFORM DRYING OF MOVABLE CARBON IN THE CARBON DRYER USING OVERHEATED STEAM |
| CA2952211A CA2952211A1 (en) | 2014-06-17 | 2015-06-17 | Dispersing and flattening apparatus for uniform drying of transportation coals in coal dryer using reheat steam |
| PCT/KR2015/006139 WO2015194855A1 (en) | 2014-06-17 | 2015-06-17 | Spreading and flattening apparatus for uniformly drying transferred coal in coal drying apparatus using reheat steam |
| CN201580032292.XA CN106459769A (en) | 2014-06-17 | 2015-06-17 | Spreading and flattening apparatus for uniformly drying transferred coal in coal drying apparatus using reheat steam |
| AU2015278419A AU2015278419B2 (en) | 2014-06-17 | 2015-06-17 | Spreading and flattening apparatus for uniformly drying transferred coal in coal drying apparatus using reheat steam |
| US15/320,287 US20170145316A1 (en) | 2014-06-17 | 2015-06-17 | Dispersing and flattening apparatus for uniform drying of transportation coals in coal dryer using reheat steam |
| PH12016502494A PH12016502494A1 (en) | 2014-06-17 | 2016-12-14 | Dispersing and flattening apparatus for uniform drying of transportation coals in coal dryer using reheat st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073207A KR101497565B1 (en) | 2014-06-17 | 2014-06-17 | Device for Flatten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97565B1 true KR101497565B1 (en) | 2015-03-02 |
Family
ID=5302594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400732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7565B1 (en) | 2014-06-17 | 2014-06-17 | Device for Flatten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97565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65315B1 (en) | 2015-04-06 | 2015-11-04 |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 Apparatus for Drying Sludge Using Reheater Steam |
| WO2016163629A1 (en) * | 2015-04-06 | 2016-10-13 |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 Sludge drying device using reheater steam |
| KR20170001096A (en) | 2015-06-25 | 2017-01-04 | 오씨아이 주식회사 | Planarizing apparatus for powdered material |
| KR102667278B1 (en) * | 2023-09-04 | 2024-05-20 | 진균하 | Carbonization System with Overlapping Swing Plate to Prevent Fallout |
| KR102674195B1 (en) * | 2024-03-21 | 2024-06-11 | 진균하 | Superheated and saturated steam integrated pyrolysis devices with swing plates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80346B1 (en) * | 1995-02-09 | 1999-02-18 | 구로이타 코지 | Dry classification device of coal using fluidized layer |
| KR101216827B1 (en) * | 2011-12-15 | 2012-12-28 |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super-heated steam |
| KR101406388B1 (en) * | 2012-02-22 | 2014-06-16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measuring water content of coal |
-
2014
- 2014-06-17 KR KR20140073207A patent/KR1014975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80346B1 (en) * | 1995-02-09 | 1999-02-18 | 구로이타 코지 | Dry classification device of coal using fluidized layer |
| KR101216827B1 (en) * | 2011-12-15 | 2012-12-28 |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super-heated steam |
| KR101406388B1 (en) * | 2012-02-22 | 2014-06-16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measuring water content of coal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65315B1 (en) | 2015-04-06 | 2015-11-04 |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 Apparatus for Drying Sludge Using Reheater Steam |
| WO2016163629A1 (en) * | 2015-04-06 | 2016-10-13 |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 Sludge drying device using reheater steam |
| KR20170001096A (en) | 2015-06-25 | 2017-01-04 | 오씨아이 주식회사 | Planarizing apparatus for powdered material |
| KR102667278B1 (en) * | 2023-09-04 | 2024-05-20 | 진균하 | Carbonization System with Overlapping Swing Plate to Prevent Fallout |
| KR102674195B1 (en) * | 2024-03-21 | 2024-06-11 | 진균하 | Superheated and saturated steam integrated pyrolysis devices with swing plat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08147B1 (en) | Apparatus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 |
| KR101497565B1 (en) | Device for Flatten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JP5885113B2 (en) | Coal drying system using superheated steam | |
| AU2015278419B2 (en) | Spreading and flattening apparatus for uniformly drying transferred coal in coal drying apparatus using reheat steam | |
| US9890344B2 (en) | Apparatus for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of input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 |
| AU2015278422B2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am pressure in apparatus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 |
| AU2015278424B2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spontaneous ignition of transferred coal in apparatus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 |
| KR101526284B1 (en) | Apparatus for Alignment for Even Dry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 |
| KR101549888B1 (en) | Apparatus for Dispersion Supply and Dust-Reduction of Input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 |
| KR101497573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Spontaneous Ignition of Conveying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49894B1 (en) | Apparatus for Conveying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 |
| KR101497564B1 (en) | Device for Flatten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497571B1 (en) | Apparatus for Supply Coal for Dust-Reduction and Dispersion Supply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13081B1 (en) | Apparatus for Dispersion and Flattening Multi-level According to Deflection Load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13091B1 (en) | Apparatus for Alignment and Flattening for Even Dry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24567B1 (en) | Apparatus for Dust-Shelter by Transferring of Falling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24565B1 (en) | Apparatus for Dust-Reduction by Supplying of Falling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26281B1 (en) | Apparatus for Flattening Multi-level for Load Reduction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26282B1 (en) | Apparatus for Injection Dispersion of Reheat Steam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26283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Static Coal Residue on Transfer Plate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497569B1 (en) | Apparatus for Regulation Steam Pressure of Chamber for Supply Reheat Steam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497568B1 (en) | Apparatus for Regulation Steam Pressure of Chamber for Supply Reheat Steam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497572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Spontaneous Ignition of Conveying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
| KR101549883B1 (en) | Chamber for Supply Reheat Steam in System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 |
| KR101513085B1 (en) | Apparatus for Alignment for Even Drying of Transportation Coal in System for Drying Coa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22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