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0979B1 -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979B1
KR101490979B1 KR20130128779A KR20130128779A KR101490979B1 KR 101490979 B1 KR101490979 B1 KR 101490979B1 KR 20130128779 A KR20130128779 A KR 20130128779A KR 20130128779 A KR20130128779 A KR 20130128779A KR 101490979 B1 KR101490979 B1 KR 101490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hair dryer
hot air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2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현
정우연
신혜련
Original Assignee
정대현
정우연
신혜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현, 정우연, 신혜련 filed Critical 정대현
Priority to KR2013012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9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45D2001/045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the power being supplied by batterie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기에 청소기능을 부가하여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머리카락을 신속하게 청소하고, 헤어드라이기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흐름을 와류로 바꿈으로써 넓은 범위를 건조시킬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기능 헤어드라이기는 전방에 토출구(111)가 형성되고, 후방에 다수의 공기 흡입공(112)이 구비된 몸체(100);상기 몸체(100)의 어느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00);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공(1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111)로 이동시켜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24)와 연결된 제1모터(121)로 회전되는 송풍팬(122); 상기 송풍팬(122)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공(11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온시켜 열풍으로 만드는 히터부재(123);및 상기 몸체(100)의 토출구(111)에 설치되는 링형 지지프레임(131)과, 상기 토출구(11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131)까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133)와, 상기 지지부재(133)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구(111)로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회전하면서 열풍을 분산시켜주는 회전날개(132)로 구성된 회전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한쪽에 충전부(125)와 연결된 돌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단 일측에 상기 돌부(151)가 끼워지는 홈부(251)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몸체(100)로부터 탈착되되, 상기 손잡이부(200)는,상측에 공기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공기 배출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100)의 전원부(124)와 연결되는 충전부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225)와, 상기 공기흡입구(211)를 통해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지(225)와 연결된 제2모터(221)로 회전되는 흡입팬(222)이 구비되며, 손잡이의 내부 한쪽에는 상기 흡입팬(222)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외부와 연결되는 개폐부(231)를 통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헤어드라이기{Multifuntional hair dryer}
본 발명은 다기능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헤어드라이기에 청소기능을 부가하여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머리카락을 신속하게 청소하고, 헤어드라이기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흐름을 와류로 바꿈으로써 넓은 범위를 건조시킬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기는 가열된 바람을 토출시켜 젖은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거나 머리카락에 열을 가하여 헤어스타일을 만드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헤어드라이기는 일반적으로 송풍팬이 내장되는 원통형 몸체와 그 하방에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송풍팬이 작동하면 몸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로부터 흡기가 일어나고, 흡기된 공기는 송풍팬 전면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송풍구로 토출되며, 손잡이부에는 전원스위치가 장치되어 헤어드라이기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기 위한 헤어드라이기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154호 「전원선 권취수단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기」가 개시되어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내측에 전원선을 권취시킬 수 있는 권취수단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고, 열풍 또는 냉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송풍관 유도로; 및 상기 몸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송풍관 유도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권취수단은 전원선을 권취 또는 인출하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태엽(spiral spring)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플러그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내측이 중공된 플러그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전원선 권취수단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할 때에는 토출구에서 열풍이 일방향으로 토출되므로 머리를 건조시키는 범위를 넓히기 위해 헤어드라이기를 흔들면서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장시간 머리를 건조시키게 되면 팔에 통증이 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여 머리를 건조하게되면 항상 머리카락이 빠져 떨어지게된다. 이렇게 떨어진 머리카락을 청소하는 방법으로는, 손으로 줍거나 빗자루질을 하거나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머리카락은 가늘고 길어 손으로 줍기가 힘들고 빗자루질을 하게되면 마찰력으로 인해 빗자루에 머리카락이 달라붙게 되어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깔끔하게 머리카락을 청소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얼마 되지 않는 머리카락을 청소하기 위하여 전력 소비가 큰 진공청소기를 꺼내어 전원플러그를 꽂고 작동시키는 것은 전력 낭비이며 노동력의 비합리적인 소모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어드라이기의 토출구에 회전체를 설치하여 열풍이 와류를 이루어 토출됨으로써 헤어드라이기를 흔들면서 머리를 건조시키지 않아도 열풍이 충분한 범위에 도달되도록 하고, 손잡이부에 진공청소기의 기능을 부가하여 노동력의 비합리적인 소모 없이 간편하게 머리카락을 청소할 수 있는 다기능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다기능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다수의 공기 흡입공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어느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이동시켜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와 연결된 제1모터로 회전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온시켜 열풍으로 만드는 히터부재 및 상기 몸체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링형 지지프레임과, 상기 토출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까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구로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회전하면서 열풍을 분산시켜주는 회전날개로 구성된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어느 한쪽에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 일측에 상기 돌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탈착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측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부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지와 연결된 제2모터로 회전되는 흡입팬이 구비되며, 손잡이의 내부 한쪽에는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외부와 연결되는 개폐부를 통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는 교체가능한 1차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는 다수개의 살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어 열풍이 토출되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열풍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토출구의 전단에는 송풍방향을 한곳으로 모아줄 수 있는 노즐부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특정부위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여 머리를 건조할 때 헤어드라이기를 흔들면서 사용하지 않아도 열풍이 충분한 범위에 도달하여 팔의 피로도를 줄일수 있고, 헤어드라이어에 청소기의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머리카락을 간편하게 청소할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의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방에 토출구(111)가 형성되고, 후방에 다수의 공기 흡입공(112)이 구비되며, 어느 한쪽에는 손잡이부(200)가 구비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공(1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111)로 이동시켜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24)와 연결된 제1모터(121)로 회전되는 송풍팬(122)과 상기 송풍팬(122)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공(11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온시켜 열풍으로 만드는 히터부재(123); 상기 몸체(100)의 토출구(111)에 설치되는 링형 지지프레임(131)과,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구(111)로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회전하면서 열풍을 분산시켜주는 회전날개(132)로 구성된 회전부재(13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헤어드라이기는 원형관 형태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전방에 토출구(111)가 형성되어 열풍을 내뿜고, 후방에 다수의 공기 흡입공(112)이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1모터(121)와 연결된 송풍팬(122)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122)이 회전하면 상기 흡입공(112)으로 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송풍팬(122)을 지나면서 일정 압력을 가진 바람이 되어 상기 토출구(111)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122)과 상기 토출구(111) 사이에는 히터부재(123)가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22)이 발생시킨 바람을 가온시켜 열풍으로 만들어 토출시키게 된다.
도 2을 참조하면, 회전부재(130)는 상기 토출구(11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31)과 지지부재(133)와 회전날개(132)로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111)의 내주부 둘레를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31)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31)에는 중심으로 부터 방사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31)에 설치되는 방사형 지지부재(133)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133)의 중심부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날개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부재(130)에 의해 상기 송풍팬(122)으로 부터 열풍이 발생되면 토출구(111)측에 설치된 상기 회전날개(132)가 회전하여 열풍을 분산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130')는 지지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경사를 이루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회전날개와 지지프레임이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130)는 상기 송풍팬(122)이 작동하면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30)가 회전하여 열풍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몸체(100)와 손잡이부(200)는 탈착 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에서 손잡이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충전부(125)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돌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단에는 상기 돌부(151)가 끼워져 상기 돌부(151)와 접지되는 홈부(251)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단에는 흡입구(211)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흡입구(211)와 접하는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흡입구(211)가 끼워질 수 있는 제2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0)의 하측에는 배출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에는 상기 홈부(251)와 연결된 충전지(225)가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124)로 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충전하며, 상기 충전지(225)와 연결된 제2모터(221)로 회전되는 흡입팬(222)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팬(222)이 구동되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흡입구(211)로 부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게 되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공(212)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흡입구(211)와 상기 흡입팬(222) 사이에는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흡입팬(222)과 접하는 부분은 필터(232)로 형성되어 공기는 빠져나가고 이물질을 수용부에 남게된다. 상기 수용부에는 개폐부(231)가 형성되어 수용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충전지(225)는 교체형태의 1차전지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전원부(12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단독으로 청소기기능을 할 수 있다.
노즐부(300)는 전면에 얇고 긴 보조토출구(113)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몸체(100)의 토출구(111)에 끼워지도록 끼움구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부(300)를 상기 몸체(100)에 끼우면 상기 회전부재(130)에 의해 분산되거나 회전하는 열풍이 상기 노즐부(300)의 보조토출구(113)로 토출되면서 일방향을 갖고 좁은범위에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토출된다.
걸이부재(140)는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고리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벽면에 박힌 못과 같이 돌출된 부분에 걸어 상기 본체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부재(140)는 상기 몸체(100)의 후방 상단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토출구(111)의 방향을 상기 벽면과 수직하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기 걸이부재(140)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를 고정시키더라도 상기 회전부재(130)에 의해 열풍이 분산되거나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하게 머리카락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는 송풍팬(122)이 구동되어 열풍이 발생할때 토출구(111)에 설치된 회전부재(130)에 의해 열풍이 분산되거나 회전하여 사용자가 헤어드라이기를 흔들면서 머리카락을 건조시키지 않아도 넓은 범위를 건조시킬수 있으며, 상기 걸이부재(14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00)를 고정시켜도 열풍이 분산되거나 회전하기 때문에 손쉽게 머리카락을 건조시킬수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를 상기 몸체(100)로 부터 분리하여 진공청소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한 뒤 바닥에 떨어진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몸체 111: 토출구
112 : 흡입공 121 : 제1모터
122 : 송풍팬 123 : 히터부재
124 : 전원부 125 : 충전부
130 : 회전부재 130' : 회전부재
131 : 지지프레임 132 : 회전날개
133 : 지지부재
140 : 걸이부재 151 : 돌부
200 : 손잡이부 211 : 흡입구
212 : 배출공 221 : 제2모터
222 : 흡입팬 225 : 충전지
231 : 개폐부 232 : 필터
251 : 홈부 300 : 노즐부

Claims (6)

  1. 전방에 토출구(111)가 형성되고, 후방에 다수의 공기 흡입공(112)이 구비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한쪽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00);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공(1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111)로 이동시켜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24)와 연결된 제1모터(121)로 회전되는 송풍팬(122);
    상기 송풍팬(122)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공(11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온시켜 열풍으로 만드는 히터부재(123);및
    상기 몸체(100)의 토출구(111)에 설치되는 링형 지지프레임(131)과, 상기 토출구(11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131)까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133)와, 상기 지지부재(133)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구(111)로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회전하면서 열풍을 분산시켜주는 회전날개(132)로 구성된 회전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한쪽에 충전부(125)와 연결된 돌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단 일측에 상기 돌부(151)가 끼워지는 홈부(251)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0)가 상기 몸체(100)로부터 탈착되되,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측에 공기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공기 배출공(212)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100)의 전원부(124)와 연결되는 충전부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225)와, 상기 공기흡입구(211)를 통해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지(225)와 연결된 제2모터(221)로 회전되는 흡입팬(222)이 구비되며, 손잡이의 내부 한쪽에는 상기 흡입팬(222)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외부와 연결되는 개폐부(231)를 통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225)는 교체가능한 1차전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는 회전날개(132)가 상기 지지프레임(131)과 일체로 형성되어 열풍이 토출되면 상기 회전부재(130)가 회전하여 열풍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토출구(111)의 전단에는 송풍방향을 한곳으로 모아줄 수 있는 노즐부(3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헤어 드라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는 특정부위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걸이부재(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KR20130128779A 2013-10-28 2013-10-28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90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779A KR101490979B1 (ko) 2013-10-28 2013-10-28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779A KR101490979B1 (ko) 2013-10-28 2013-10-28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979B1 true KR101490979B1 (ko) 2015-02-09

Family

ID=5259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87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0979B1 (ko) 2013-10-28 2013-10-28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97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48U (ko) * 2016-04-21 2017-10-31 김학규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드라이기
CN108175169A (zh) * 2018-02-26 2018-06-19 深圳科利电器有限公司 一种可吸入水份的吹风机
KR20180071019A (ko) * 2016-12-19 2018-06-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헤어 드라이어
CN110644403A (zh) * 2018-06-27 2020-01-03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一种吹风机
EP3626107A1 (en) 2018-09-19 2020-03-25 Lg Electronics Inc. Dryer
EP3626106A2 (en) 2018-09-19 2020-03-25 Lg Electronics Inc. Dryer
CN113207277A (zh) * 2019-12-06 2021-08-03 崇实大学校产学协力团 高效率无线吹风机
KR102287378B1 (ko) * 2020-09-18 2021-08-06 (주)넥스트업 헤어 드라이어
CN114794700A (zh) * 2022-04-30 2022-07-29 深圳市众平电机有限公司 具有出风口低于自然风功能的新型吹风机及其使用方法
KR20220120926A (ko) * 2021-02-24 2022-08-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청소 기능이 포함된 헤어드라이어
GB2614263A (en) * 2021-12-22 2023-07-05 Jemella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2782U (ko) * 1975-08-05 1977-02-17
KR20080109382A (ko) * 2007-06-13 2008-12-17 윤건배 헤어드라이기
KR100982551B1 (ko) * 2008-07-01 2010-09-15 김현성 진공청소기능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US20130104415A1 (en) * 2011-04-15 2013-05-02 Kiss Nail Products, Inc. Rotating air directing apparatus for a hair dry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2782U (ko) * 1975-08-05 1977-02-17
KR20080109382A (ko) * 2007-06-13 2008-12-17 윤건배 헤어드라이기
KR100982551B1 (ko) * 2008-07-01 2010-09-15 김현성 진공청소기능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US20130104415A1 (en) * 2011-04-15 2013-05-02 Kiss Nail Products, Inc. Rotating air directing apparatus for a hair dryer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48U (ko) * 2016-04-21 2017-10-31 김학규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드라이기
KR200485139Y1 (ko) * 2016-04-21 2017-12-01 김학규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드라이기
KR20180071019A (ko) * 2016-12-19 2018-06-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헤어 드라이어
KR101900931B1 (ko) 2016-12-19 2018-11-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헤어 드라이어
CN108175169A (zh) * 2018-02-26 2018-06-19 深圳科利电器有限公司 一种可吸入水份的吹风机
CN110644403A (zh) * 2018-06-27 2020-01-03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一种吹风机
EP4039126A1 (en) 2018-09-19 2022-08-10 LG Electronics Inc. Dryer
EP3626106A2 (en) 2018-09-19 2020-03-25 Lg Electronics Inc. Dryer
US11213174B2 (en) 2018-09-19 2022-01-04 Lg Electronics Inc. Dryer
EP3626107A1 (en) 2018-09-19 2020-03-25 Lg Electronics Inc. Dryer
US11678777B2 (en) 2018-09-19 2023-06-20 Lg Electronics Inc. Dryer
CN113207277A (zh) * 2019-12-06 2021-08-03 崇实大学校产学协力团 高效率无线吹风机
KR102287378B1 (ko) * 2020-09-18 2021-08-06 (주)넥스트업 헤어 드라이어
KR20220120926A (ko) * 2021-02-24 2022-08-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청소 기능이 포함된 헤어드라이어
KR102466035B1 (ko) * 2021-02-24 2022-11-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청소 기능이 포함된 헤어드라이어
GB2614263A (en) * 2021-12-22 2023-07-05 Jemella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CN114794700A (zh) * 2022-04-30 2022-07-29 深圳市众平电机有限公司 具有出风口低于自然风功能的新型吹风机及其使用方法
CN114794700B (zh) * 2022-04-30 2024-01-26 深圳市众平电机有限公司 具有出风口低于自然风功能的新型吹风机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979B1 (ko) 다기능 헤어드라이기
US9439493B2 (en) Hair dryer and smoother
KR100470320B1 (ko) 진공 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
US5671499A (en) Vacuum cleaner with all components in floor traveling head
US6807708B2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dual hoses and hose ports
EP3419489B1 (en) Accessory for use with vacuum cleaners
CN103269630A (zh) 真空吸尘器
CN103658107B (zh) 吹风机及吹吸机
JP6291218B2 (ja) 電気掃除機
US20210127938A1 (en) Accessory for use with vacuum cleaners
US9149105B2 (en) Hair drier
KR20130030999A (ko) 모발 흡입식 헤어드라이어
CN218959770U (zh) 多功能宠物清洁机
KR100982551B1 (ko) 진공청소기능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KR20190089295A (ko) 청소기 겸용 다기능 헤어드라이어
KR20200067597A (ko) 진공청소기능이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RU50383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тепловентилятор
KR102466035B1 (ko) 모발 청소 기능이 포함된 헤어드라이어
KR20110003531U (ko) 머리카락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 드라이기
KR101629305B1 (ko) 진공청소기
US20220007905A1 (en) Electric floor sweeper
KR101144669B1 (ko) 청소기
EP1195101A1 (en) Multifunctional hair-dryer, in particular for eliminating dandruff
KR200364342Y1 (ko) 머리카락 청소기를 겸한 헤어드라이어
RU2295272C1 (ru) Беспроводной пылесос ю.в. розенберг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2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