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795B1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795B1 KR101505795B1 KR1020130106944A KR20130106944A KR101505795B1 KR 101505795 B1 KR101505795 B1 KR 101505795B1 KR 1020130106944 A KR1020130106944 A KR 1020130106944A KR 20130106944 A KR20130106944 A KR 20130106944A KR 101505795 B1 KR101505795 B1 KR 1015057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 variable arm
- cable
- arm
- cable tr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부재와 종방향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로서, 케이블 트레이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연결되고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암과 몸체부에 연결되고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고, 가변암의 단부에는 횡방향 부재를 걸 수 있는 가변암 걸이부가 마련되고, 가변암 걸이부에는 회전부가 마련되어 가변암이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하는 경우에는 가변암 걸이부가 횡방향 부재를 지나가고, 가변암이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반대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하는 경우에는 가변암 걸이부가 횡방향 부재에 걸려서 몸체부를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킨다.A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laying a cable is disclosed. A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laying cables by moving along a cable tray including a longitudinal member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connecting between the longitudinal members, And a pul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for pulling the cable, wherein the variable arm has a transverse member attached to the end portion of the variable arm, When the variable arm has a length variable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ble tray, the variable arm hang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transverse member, and the variable arm is supported by the opposite side of the cable tray The variable arm fastening portion is caught by the transverse member, and the body portion is caught by the cable It moved in the laying direction of the ray.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la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laying a cable.
통상 건물의 신축 시에는 전기 공급이 필요한 위치마다 전선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함)이 연결되도록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또는 전로)가 설치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구조물이다. 케이블 트레이 상에는 수 개의 케이블이 다발 상태로 포설된다.A cable tray (or a converter) is installed so that a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ble") is connected to each location where electric supply is required when a building is newly constructed or shrunk. A cable tray is a structure made of metal or non-combustible material for supporting cables. Several cables are laid on the cable tray in a bundled state.
선박의 경우에도 전원 공급 또는 장치간 연결을 위해 수많은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 상에 포설된다. 케이블 포설 작업은 선박 건조 시 내, 외부 곳곳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작업과 케이블 트레이에 다수의 케이블을 포설(Laying)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이 때 케이블 트레이는 다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에 포설되는 케이블은 그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하며, 선종에 따라서는 수십만 미터 이상 케이블이 포설되기도 하며, 그 무게만 해도 수만톤이 넘을 수 있다.In the case of ships, too many cables are laid on cable trays for power supply or inter-device connections. Cable installation works include installation of cable trays inside and outside the ship during the ship's construction and laying of multiple cables in the cable tray. At this time, the cable tray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nd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Cables installed on ships vary in their type and size. Depending on the type of ship, cables may be installed several hundreds of thousands meters or more, and their weight may exceed tens of thousands of tons.
이처럼 케이블 포설 작업은 선박 건조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종래의 케이블 포설 방법은 케이블을 포설하기 전에 케이블의 일단에 로프를 연결하고, 케이블 트레이 상에서 로프를 윈치(Winch)에 까지 이동한 후, 윈치를 이용하여 로프를 감아들여 간접적으로 로프와 연결된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하는 과정을 거쳤다.Thus, cable laying is an important part of ship construction. In conventional cable laying methods, a rope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cable before a cable is laid, a rope is moved to a winch on a cable tray, a cable connected to the rope is indirectly wound by using a winch It was installed in a cable tray.
그러나 로프를 윈치에 연결하는 과정이라는 별도의 작업 공정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윈치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에 허용범위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거나 케이블 트레이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푸셔(Push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푸셔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 separate work process was required to connect the rope to the winch, and thus the work time was increased. In addition, when a winch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a tension greater than an allowable range is applied to the cable or a frictional force acts between the cable and the cable, thereby damaging the cable.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using a pusher has been propos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pusher is limited.
또한, 윈치와 푸셔에 불구하고 큰 힘을 요구하는 구역 또는 이러한 장비를 설치하기 어려운 협소 공간에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밖에 없었다.In addition, in the area requiring large power despite the winches and pushers, or in the narrow space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such equipment, the operator had to manually install the cable.
그러나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케이블 포설은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협소 공간 또는 케이블 트레이가 다단으로 설치되는 구역 등에서는 수작업을 통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able installation by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not only consumes manpower and cost but also causes the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work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work through a manual operation in a narrow space or a zone where a cable tray i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손쉽게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lay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lay cables in a cable tray.
또한, 케이블을 포설하기 전에 로프를 연결하던 작업을 삭제하여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able laying apparatus that can simplify the work process and shorten the work time by deleting the work of connecting the rope before installing the cable.
또한, 자동화 장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able install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operator from being injured by enabling an automatic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부재와 상기 종방향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로서, 케이블 트레이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암;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암의 단부에는 상기 횡방향 부재를 걸 수 있는 가변암 걸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변암 걸이부에는 회전부가 마련되어, 상기 가변암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상기 횡방향 부재를 지나가고, 상기 가변암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반대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상기 횡방향 부재에 걸려서 상기 몸체부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oving a cable along a cable tray comprising a longitudinal member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interconnecting the longitudinal member, A moving body portion; A variable arm connected to the body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in a direction of installation of the cable tray; And a pul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pulling the cable, wherein a variable arm hanging portion for hanging the transverse membe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variable arm, and a rotat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variable arm hanging portion When the variable arm is variable in length in the direction of installation of the cable tray, the variable arm hanger passes the transverse member, and when the variable arm varies in length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ble tray, A cable installa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emale-hook portion is caught by the transverse member to move the body portion in the direction of installation of the cable tray.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nd a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guiding the body portion along the cable tray.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종방향 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롤러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guide part may be provided with a cable installation device which is a guide roller rolling motion along the longitudinal member.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종방향 부재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와 상기 종방향 부재의 상부 절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guide roller may be provided with a cable installation device including a side guide roller moving along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and an upper guide roller moving along an upper bent portion of the longitudinal member.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가이드부는 너비가 상이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or the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cable installation device including a length varying portion so as to be applicable to the cable tray having a different width.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종방향 부재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가변부는 상기 측부 가이드 롤러가 상기 종방향 부재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side guide roller that moves along an outer side surface or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and the length varying portion includes a cable laying device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ide guide roller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member Can be provided.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가변암 고정부; 상기 가변암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가변암 가변부; 및 상기 가변암 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변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암 가변부와 상기 가변암 걸이부는 걸림턱에 의해 정해진 범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variable arm includes: a variable arm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variable arm variable portion supported by the variable arm fixing portion and being displaced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ble tray; And a variable arm fasten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riable arm varying portion, wherein the variable arm varying portion and the variable arm fastening portion are provided with a cable laying device whose rotation is restricted by a range exceeding a predetermined range have.
상기 가변암 가변부와 상기 가변암 걸이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상기 횡방향 부재를 걸 수 있는 위치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cable installa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between the variable arm variable portion and the variable arm retaining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a position where the variable arm retaining portion can hang the transverse member.
상기 가변암은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variable arm may be provided with a cable installation device which can be variable in length by using a cylinder device.
상기 가변암은 복수로 마련되고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2군의 가변암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riable arms and two groups of variable arms that are alternately operated.
상기 복수의 가변암 중에서 일 군의 가변암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다른 군의 가변암보다 상기 횡방향 부재 사이의 거리만큼 전진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 group of the variable arms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arms may be arranged to be advanced by a distance between the transverse member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arms of the other groups operating alternately.
상기 가변암은 상기 횡방향 부재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variable arm may be provided with a cable installation device including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transverse member.
상기 가변암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길이가 가변되는 동안에 상기 횡방향 부재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nd a signal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when the transverse member can not be recognized while the length of the variable arm is vari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곡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경사진 상기 횡방향 부재에 대응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variable arm may be provided with a cable installation devi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the cable installation device being capable of supporting the transverse member when the cable tray forms a curved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윈치로 로프를 당기지 않고서도 동력에 의해 케이블을 견인하여 케이블 트레이 상을 이동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work process and shorten the work time by pulling the cable by the power without moving the rope by the winch and moving the cable tray.
또한, 협소 구간 등에서도 손쉽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narrow section.
또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케이블을 당김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the operator and prevent the injury of the operator, which may be caused by pulling the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이드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가변암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는 가변암이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 6은 가변암이 렁을 지나가는 모습을, 도 7은 가변암이 렁을 당겨 케이블 포설 장치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곡부에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견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2는 일 군의 가변암이 렁에 걸린 모습을, 도 13은 타 군의 가변암이 렁에 걸린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le 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uide por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variable arm.
5 to 7 are views showing a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arm mov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arm passes the rung, and FIG. 7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laying apparatus moves by pulling the variable arm.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cable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in a curved portion. FIG.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lling por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views showing a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arm of a group is caught by a rung, and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arm of another group is caught by a ru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부재(11)와 종방향 부재(11)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12)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10)(Cable Tray)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A
케이블 트레이(10)는 케이블(C)이 포설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방향 부재인 측면 레일(11)과 횡방향 부재인 렁(Rung, 12)을 포함한다. 측면 레일(11)은 상·하로 절곡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상부에 절곡된 부분은 상부 절곡부(11-1), 하부에 절곡된 부분을 하부 절곡부(11-2)라 한다. 측면 레일(11)은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C)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렁(12)은 측면 레일(11)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어 케이블(C)이 포설되는 가상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렁(12)에는 케이블(C)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한 롤러(Roller, 미도시)를 설치하거나, 케이블(C)을 묶음 단위로 묶는 케이블 타이(Cable Tie, 미도시) 등을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케이블 트레이(10)는 곡선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장애물 등을 피해 케이블(C)을 설치하기 위해 상부나 하부로 구부러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층의 케이블 트레이(10)가 배치되어 협소 공간에 많은 수의 케이블(C)을 포설할 수도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10)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와, 케이블 트레이(10)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암(120)과, 케이블(C)을 견인하기 위한 케이블 견인부(140)를 포함한다.A
몸체부(110)는 케이블(C)을 견인한 채로 케이블 트레이(10) 상에서 케이블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블(C)을 포설한다. 몸체부(110)는 가변암(120)과 가이드부(130)와 견인부(140)를 지지할 수 있는 하우징(111)을 포함한다.The
도 3은 가이드부(130)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가이드부(130)는 몸체부(110)가 케이블의 포설 방향으로 케이블 트레이(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 트레이(10)를 따라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도 3에는 몸체부(110)가 렁(12) 상부에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가이드부(130)가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렁(12)과 접촉하여 몸체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3은 가이드부(130)의 일 실시예로 측면 레일(11)의 상부 절곡부(11-1)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131)와 측면 레일(11)의 외측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132)를 도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 레일(11)의 내측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3 shows an example of the
가이드부(130)는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우징(111)에 가이드부(130)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하우징(111) 내부의 고정된 부분(예를 들면, 뒤에서 설명할 가변암 고정부, 121)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e
케이블 트레이(10)의 너비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다양한 너비의 케이블 트레이(10)에 설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0)와 몸체부(11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가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가변부(133)는 삽입구조 또는 탄성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조는 분리된 두 부재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 나사결합 또는 핀결합 등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탄성구조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 롤러(131, 132)를 측면 레일(11)이나 렁(12)에 밀착하기 위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력의 방향은 측면 레일(11)과 가이드 롤러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가이드 롤러가 측면 레일(11)의 외측면에 이동하는 경우에는 길이 가변부(133)로 인장 스프링을 이용하여 본체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인장력에 대한 반발력)이 작용하고, 측면 레일(11)의 내측면에 이동하는 경우에는 길이 가변부(133)로 압축 스프링을 이용하여 본체 반대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압축력에 대한 반발력)이 작용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도 4는 가변암(120)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the
가변암(120)은 몸체부(110)와 연결되어 케이블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가변암(120)의 길이 가변 수단으로 실린더(Cylinder) 방식,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방식, 스크류와 너트(Screw and Nut)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링크(Link)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120)은 실린더 방식을 이용한다.The
가변암(120)은 몸체부(110)와 연결되는 가변암 고정부(121), 가변암 고정부(121)에 지지되어 케이블 트레이(10)의 포설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가변암 가변부(122), 및 가변암 가변부(1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변암 걸이부(123,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120)은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 방식을 이용하므로, 가변암 고정부(121)는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을, 가변암 가변부(122)는 플런저(Plunger) 또는 피스톤(Piston)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1단의 실린더를 도시하였지만 가변되는 길이에 따라 2단 이상의 실린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는 가변암(120)이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 6은 가변암(120)이 렁(12)을 지나가는 모습을, 도 7은 가변암(120)이 렁(12)을 당겨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5 to 7 illustrate how the
가변암 걸이부(123)는 가변암(120)이 케이블 트레이(10)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하는 경우, 즉 전방 이동하는 하는 경우에는 렁(12)에 장애 받지 않고 지나갈 수 있다. 그러나 반대 방향, 즉 복원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에 걸려서 지지되고 상대적으로 가변암 고정부(121)에 연결된 몸체부(110)가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끌려간다. 따라서 몸체부(110)에 의해 견인되는 케이블(C)이 케이블 트레이(10)를 따라 포설된다.The variable
가변암 걸이부(123)는 렁(12)에 걸리기 위해 가변암(120)에 대하여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도시하였지만 절곡된 각도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변암 걸이부(123)의 내측에는 마찰부재(미도시)가 부착되어 렁(12)과 접촉할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variable
도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가변암 걸이부(123)는 가변암 가변부(122)의 단부에 회전축(123-1) 결합되는 플레이트 일 수 있다. 중력에 의해 플레이트가 펴진(아래를 향하는) 상태로 위치하지만, 가변암 가변부(122)가 전진하여 렁(12)을 지나가는 경우 렁(12)에 부딪혀 가변암 걸이부(123)가 포설 반대 방향으로 접히게 되고 가변암 가변부(122)는 렁(12)에 장애받지 않고 전진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을 완전히 지나가면 다시 중력에 의해 플레이트가 펴진 상태가 된다.5 to 7, the variable
가변암 가변부(122)가 복원 운동을 하는 경우, 가변암 걸이부(123)는 펴진 상태로 렁(12)에 부딪히게 된다. 하지만 가변암 걸이부(123)는 포설 방향으로는 걸림턱(122-1)에 의해 접히지 않기 때문에 렁(1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가변암(120)의 수축 운동은 몸체부(110)를 당기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When the variable arm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에 걸릴 수 있는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가변암 가변부(122)의 단부에 마련되는 홈(125)에 탄성부재(124)가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탄성부재(124)의 일 단은 가변암 가변부(122)에, 타 단은 가변암 걸이부(123)에 연결되어 가변암 걸이부(123)에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24)는 압축 스프링, 인장 스프링, 토션 스프링, 이형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And may include an
도 2에는 2개의 가변암(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두 가변암(120)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2개의 가변암(120)이 전진하여 렁(12)에 걸린 후에 가변암(120)의 수축량만큼 포설 방향으로 전진하고, 다시 2개의 가변암(120)이 전진하여 렁(12)에 걸릴 때까지 휴지기를 갖게 된다. 이와 달리, 1개의 가변암이 마련될 수도 있다.In FIG. 2, two
또한, 2개의 가변암(120)이 마련되는 경우 두 가변암(120)이 번갈아 가면서 동작할 수 있다. 즉, 1개의 가변암이 전진하여 렁(12)에 걸린 후에 가변암의 수축량만큼 포설 방향으로 전진하고, 이어서 다른 가변암이 전진할 수 있다. 이 때, 1개의 가변암이 수축하는 동안에 다른 가변암이 신장된다면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이동하지 않는 휴지기를 줄일 수 있어서 포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when the two
또는, 2개의 가변암(120)이 동시에 이동할 것인지, 교번적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가변암(120)이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 속도가 느린 반면에 큰 힘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케이블(C)이 무겁거나 케이블(C)에 가해지는 장력이 큰 경우에는 2개의 가변암(120)이 동시에 움직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 밖에 케이블(C)이 가볍거나 케이블(C)에 가해지는 장력이 작은 경우에는 2개의 가변암(120)이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포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변경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operate whether the two
가변암(120)은 렁(12)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가 렁(12)을 인식한 경우에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에 걸릴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더 이상의 가변암(120)의 신장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거리만큼만 가변암(120)이 신장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센서의 사용으로 렁(12)과 렁(12) 사이의 거리가 다른 케이블 트레이(10)에 케이블 포설 장치(100)를 적용할 때 가변암(120)의 신장 길이를 렁(12)과 렁(12)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The
또한, 가변암(120)의 신장 길이와 비교하여 렁(12)과 렁(1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센서는 가변암(120)의 신장 길이를 고려하여 렁(12)의 개수를 셀 수 있다. 즉, 가변암(120)의 신장 길이가 3개의 렁(1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경우에 센서는 2개의 렁(12)을 인식한 후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에 걸릴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상향으로 굽은 케이블 트레이(10)에서도 이동 가능하다. 평면을 이동하던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가변암(120)은 케이블 트레이(10)에 수평 방향으로 일 방향 운동하기 때문에 상향으로 굽은 케이블 트레이(10)에서는 다음 렁(12)에 가변암 걸이부(123)가 걸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130)가 측면 레일(11)에 지지되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10)로부터 이탈하지는 않는다.The
상향으로 굽은 케이블 트레이(10)에서는 센서가 다음 렁(12)을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오류로서 인식하고 발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에 오류를 알리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상향으로 굽은 케이블 트레이(10)뿐만 아니라 렁(12)의 설치가 오류나거나 장애물이 있는 케이블 트레이(10)에서도 발신부를 통해 외부에 오류를 알리는 신호를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upward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측면으로 굽은 곡부에서도 이동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곡부에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확대도이다.The
케이블 트레이(10)의 곡부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렁(12-1)과 렁(12-2) 사이의 간격이 케이블 트레이(10)의 폭 방향으로 상이하다. 즉, 곡률 중심에서 가까운 쪽(A)에서는 렁(12-1)과 렁(12-2) 사이의 간격이 가깝고, 곡률 중심에서 먼 쪽(B)에서는 렁(12-1)과 렁(12-2) 사이의 간격이 멀다. 또한, 렁(12-1)과 렁(12-2)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고 일정 각을 형성한 채 배치된다.In the curved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측면 레일(11)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하기 때문에, 곡부에서도 케이블 트레이(1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이하 곡부에서의 동작 효율을 최대화 하기 위한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Since the
각각의 가변암(120-1, 120-2)은 각각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가 주는 신호에 따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곡부에서는 각각의 가변암(120-1, 120-2)의 신장 방향에 있어서 다음 렁(12-2)까지의 거리가 상이하므로 다음 렁(12-2)에 가변암 걸이부(123)가 걸릴 때까지 가변암(120-1, 120-2)이 신장하는 거리가 상이하다. 즉, 각각의 센서가 렁(12-2)을 인식하여 독립적으로 가변암(120-1, 120-2)을 동작시키므로 렁(12-1)과 렁(12-2) 사이의 거리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곡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포설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variable arms 120-1 and 120-2 includes a sensor (not shown), and can independently operate according to a signal given by each sensor. Since the distances to the next rungs 12-2 are different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espective variable arms 120-1 and 120-2 in the trough portion, the variable
가변암(1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곡부에서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을 파지하기 위해서는 가변암(120)이 렁(12)의 각도에 맞도록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변암 고정부(121)는 몸체부(110)와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26) 결합 될 수 있다. 가변암(120)이 렁(12)의 각도에 맞도록 회전함으로써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에 밀착하여 파지되고, 렁(12)에 수직 방향으로 가변암(120)의 수축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동작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도 9에는 가변암 고정부(121)가 축(126) 결합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가변암 걸이부(123)가 가변암 가변부(122)와 축 결합할 수도 있다.The
도 10은 견인부(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lling
견인부(140)는 몸체부(110)와 연결되어 케이블(C)을 견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견인부(140)는 몸체부(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과 같이 별도의 장치로서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pulling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견인부(140)는 케이블(C)에 밀착하여 빠지지 않도록 그립(Grip)하는 밀착부재(142)와, 다수의 케이블(C)을 다발로 포설하기 위하여 복수의 밀착부재(142)를 동시에 몸체부(110)에 연결할 수 있는 다발 견인부재(141)와, 견인부(14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10, the pulling
밀착부재(142)는 속이 빈 메쉬(Mesh) 형상을 할 수 있다. 밀착부재(142)의 빈 공간에 케이블(C)을 삽입한 후 당기면, 밀착부재(142)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단면은 축소된다. 따라서 내입되어 있는 케이블(C)을 단단히 조일 수(Tighten) 있게 된다. 다발 견인부재(141)는 복수의 케이블(C)을 다발로 포설하기 위하여 밀착부재(142)와 연결되는 제1 연결고리(145)가 다수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고리(145)는 케이블 트레이(10)에 포설되기 쉽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밀착부재(142)에는 제1 연결고리(145)와 연결되기 위한 제2 연결고리(14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고리(145)와 제2 연결고리(146)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케이블(C)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다발 견인부재(141)는 회전부재(143)를 매개하여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10)가 케이블 트레이(10)를 이동하면서 다발 견인부재(141)와 연결되는 부분에 꼬임이 발생할 수 있다. 회전부재(143)는 360도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다발 견인부재(141)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20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가변암(220)은 렁(12) 방향(케이블 트레이(10)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변암(220)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2 그룹(221, 2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렁(12)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가변암(220)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가변암(221-1, 221-2)과 다른 그룹의 가변암(222)은 서로 번갈아 가면서 동작할 수 있다.A plurality of
또한, 복수의 가변암(220) 중에서 일 군의 가변암(221-1, 221-2)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다른 군의 가변암(222)보다 렁(12) 사이의 거리만큼 전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군의 가변암(221-1, 221-2)에 의해 몸체부(21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렁(12-1)과 렁(12-2) 사이의 거리만큼이다. 이 때 렁(12-1)과 렁(12-2) 사이의 거리는 이웃하는 렁(12-1)과 렁(12-2) 사이의 거리일 수 있으며, 가변암(220)의 신장 길이에 따라 몇 개의 렁(12)을 건너 뛴 렁(12-1)과 렁(12-3) 사이의 거리일 수도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200)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2는 일 군의 가변암(221)이 렁(12-1)에 걸린 모습을, 도 13은 타 군의 가변암(222)이 렁(12-2)에 걸린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2 and 1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일 군의 가변암(221)이 렁(12-1)에 걸린 채 수축하여 몸체부(210)가 전진한 후에는 다른 군의 가변암(222)이 렁(12-2)에 걸리거나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케이블 포설 장치(200)의 이동이 가능하다.The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2개의 가변암(120)을 이용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200)는 3개의 가변암(220)을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200)는 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가변암(221)과 중앙에 위치하는 가변암(222)이 서로 교번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Although the
케이블 포설 장치(200)는 도 12와 같이 외곽에 위치하는 가변암(221)이 전진하여 렁(12-1)에 걸린 후에 가변암(221)의 수축량만큼 포설 방향으로 전진하고, 이어서 도 13과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가변암(222)이 전진할 수 있다. 이 때, 외곽에 위치하는 가변암(221)이 수축하는 동안에 중앙에 위치하는 가변암(222)이 전진한다면 케이블 포설 장치(200)가 이동하지 않는 휴지기를 줄일 수 있어서 포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2개의 가변암(120)이 교번적으로 이동하는 것과 비교할 때, 3개의 가변암(220)을 이용하는 경우 가변암(220)이 수축하면서 몸체부(210)를 당기는 힘의 균형이 몸체부(210)의 중심에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은 가이드부(1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승 방향으로 케이블 트레이(10)가 놓인 경우에 극대화된다.When the three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220)의 가변암 걸이부(223)는 가변암(220)에 대하여 'ㄷ'자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ㄷ'자로 절곡되는 경우 가변암 걸이부(223)에서 렁(12)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가변암 걸이부(223)의 두 절곡부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렁(12)이 삽입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렁(12)이 이탈할 수 없게 된다. 'ㄷ'자 가변암 걸이부(223)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10)가 상향으로 경사진 경우(수직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를 포함)에도 케이블 포설 장치(2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variable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사진 케이블 트레이를 이동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200)의 모습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향으로 경사진 경우에는 케이블 포설 장치(200)의 무게 때문에 떨어지려는 힘이 항상 작용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220)과 같이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가변암(120)을 포함하고 'ㄷ'자 형상의 가변암 걸이부(223)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경사진 케이블 트레이를 이동할 수 있다. 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가변암(221)이 전진한 후 렁을 걸어서 몸체부(210)가 이동하는 동안에 몸체부(210)는 무게에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 트레이에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중앙에 위치하는 가변암(122)이 전진하는 동안에 케이블 포설 장치(200)가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Nex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케이블 트레이, 11: 측면 레일,
12: 렁, 100: 케이블 포설 장치,
110: 몸체부, 111: 하우징,
120: 가변암, 121: 가변암 고정부,
122: 가변암 가변부, 123: 가변암 걸이부,
130: 가이드부, 131: 상부 가이드 롤러,
132: 측부 가이드 롤러, 133: 길이 가변부,
140: 견인부, 141: 다발 견인부재,
142: 밀착부재, 143: 회전부재,
144: 견인부 연결고리, 145: 제1 연결고리,
146: 제2 연결고리, 200: 케이블 포설 장치,
210: 몸체부, 220: 가변암,10: Cable tray, 11: Side rail,
12: rung, 100: cable laying device,
110: body portion, 111: housing,
120: variable arm, 121: variable arm fixing portion,
122: variable arm variable section, 123: variable arm retaining section,
130: guide portion, 131: upper guide roller,
132: side guide roller, 133: length variable portion,
140: pulling portion, 141: bundle pulling member,
142: tight contact member, 143: rotating member,
144: pull portion connecting link, 145: first connecting link,
146: second connection ring, 200: cable installation device,
210: body portion, 220: variable arm,
Claims (15)
케이블 트레이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일 측에 상기 횡방향 부재를 걸 수 있는 가변암 걸이부를 포함하는 가변암;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oving a cable along a cable tray including a longitudinal member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connecting the longitudinal member,
A body portion moving on the cable tray;
A variable arm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variable arm length variable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ble tray and capable of hanging the transverse member on one side; And
And a pul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pulling the cable.
상기 가변암 걸이부에는 회전부가 마련되어, 상기 가변암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상기 횡방향 부재를 지나가고, 상기 가변암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반대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상기 횡방향 부재에 걸려서 상기 몸체부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포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variable arm is variable in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tray is installed, the variable arm hanging portion passes the transverse member, and the variable arm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ble tray The variable arm fastening portion is caught by the transverse member so as to move the body portion in the direction of installing the cable tray.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guide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guiding the body portion along the cable tray.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종방향 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롤러인 케이블 포설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a guide roller that rolls along the longitudinal member.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종방향 부재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와 상기 종방향 부재의 상부 절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roller includes a side guide roller that moves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and an upper guide roller that moves along an upper bent portion of the longitudinal member.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가이드부는 너비가 상이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portion or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length varying portion adapted to be applied to the cable tray having a different width.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종방향 부재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가변부는 상기 측부 가이드 롤러가 상기 종방향 부재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side guide roller that moves along an outer side surface or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ember,
Wherein the length varying portion provides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side guide roller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member.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가변암 고정부;
상기 가변암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가변암 가변부; 및
상기 가변암 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변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암 가변부와 상기 가변암 걸이부는 걸림턱에 의해 정해진 범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ariable arm comprises:
A variable arm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variable arm variable portion supported by the variable arm fixing portion and being displaced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ble tray; And
And a variable arm hook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riable arm variable portion,
Wherein the variable arm variable portion and the variable arm retaining portion are restricted in rotation beyond a range defin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상기 가변암 가변부와 상기 가변암 걸이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상기 횡방향 부재를 걸 수 있는 위치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variable arm variable portion and the variable arm retaining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a position where the variable arm retaining portion can hang the transverse member.
상기 가변암은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ariable arm is variable in length by using a cylinder device.
상기 가변암은 복수로 마련되고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2군의 가변암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ariable arm includes a plurality of variable arms which are alternately operated.
상기 복수의 가변암 중에서 일 군의 가변암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다른 군의 가변암보다 상기 횡방향 부재 사이의 거리만큼 전진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group of the variable arms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arms are arranged to be advanced by a distance between the transverse member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arms of the other groups operating alternately.
상기 가변암은 상기 횡방향 부재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ariable arm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transverse member.
상기 가변암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길이가 가변되는 동안에 상기 횡방향 부재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signal por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when the transverse member can not be recognized while the length of the variable arm is vari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곡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경사진 상기 횡방향 부재에 대응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ariable arm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variable arm can accommodate the transverse member that is inclined when the cable tray forms a curve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06944A KR101505795B1 (en) | 2013-09-06 | 2013-09-06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06944A KR101505795B1 (en) | 2013-09-06 | 2013-09-06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28425A KR20150028425A (en) | 2015-03-16 |
| KR101505795B1 true KR101505795B1 (en) | 2015-03-25 |
Family
ID=530232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069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5795B1 (en) | 2013-09-06 | 2013-09-06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0579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01657U (en) * | 2013-10-22 | 2015-04-3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Towing device of cable routhing rop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977034B (en) * | 2022-06-05 | 2023-12-05 | 深圳市白云林肯科技有限公司 | Spliced adjustable communication pipeline supporting device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166041A (en) | 1998-11-19 | 2000-06-16 | Sanki Dengyo Shokai:Kk | Remote-controlled car for cable wiring and method for wiring cable with the remote-controlled car |
| WO2006075379A1 (en) | 2005-01-14 | 2006-07-20 | Sanki Engineering Co., Ltd. | In-conduit work device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cable |
| KR20090010439U (en) * | 2008-04-10 | 2009-10-14 | 심효일 | Bundle wire laying machine |
| KR20110004756U (en) * | 2009-11-06 | 2011-05-13 | 허광학 | Cable routing |
-
2013
- 2013-09-06 KR KR1020130106944A patent/KR10150579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166041A (en) | 1998-11-19 | 2000-06-16 | Sanki Dengyo Shokai:Kk | Remote-controlled car for cable wiring and method for wiring cable with the remote-controlled car |
| WO2006075379A1 (en) | 2005-01-14 | 2006-07-20 | Sanki Engineering Co., Ltd. | In-conduit work device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cable |
| KR20090010439U (en) * | 2008-04-10 | 2009-10-14 | 심효일 | Bundle wire laying machine |
| KR20110004756U (en) * | 2009-11-06 | 2011-05-13 | 허광학 | Cable routing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01657U (en) * | 2013-10-22 | 2015-04-3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Towing device of cable routhing rope |
| KR200486426Y1 (en) * | 2013-10-22 | 2018-05-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Towing device of cable routhing rop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28425A (en) | 2015-03-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54627B1 (en)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
| US9021644B2 (en) | Method for replacing sloped cables, and temporary hanger for replacing sloped cables | |
| KR101497323B1 (en)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
| FI79819C (en) | Control arm for winding cable | |
| ATE536463T1 (en) | OVERHEAD TRANSPORT OF CONTROL CABLES TO A MOVABLE TURNSTILE | |
| US9184574B2 (en) | Cable pulling system | |
| RU2595227C2 (en) | Method and device to prevent deviation of guiding cable | |
| KR101505795B1 (en)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
| KR101454625B1 (en)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
| WO2015026037A1 (en) | Device for laying power lines using gripper technique | |
| KR20120127082A (en) | Cable wiring device of tray and cable wiring method using the same | |
| US2013021631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el laying subsea pipeline to reduce strain in use | |
| KR101135639B1 (en) | Automatic arrangement device or cable hanger | |
| KR101531496B1 (en)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
| CN106660707A (en) | A belt-conveying aerial system | |
| KR200451149Y1 (en) | Bundle wire laying machine | |
| KR20110019084A (en) | Cable laying system | |
| KR100981711B1 (en) | Guide harness for 3-phase cable pulling | |
| KR101724437B1 (en) | apparatus for Laying cable | |
| US10302525B2 (en) | Test device for carrying out load test on a flexible elongated test object | |
| KR101505641B1 (en) | synchronizing method of cable feeding robot using the distance sensor | |
| KR20160038108A (en)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
| KR101672193B1 (en) | 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 |
| CN113977591A (en) | A detection robot for stay cables and using method | |
| KR101311439B1 (en) | Electric wire exchange method to use this and winding machine for wir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3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32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