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6419B1 -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419B1
KR101506419B1 KR1020140016467A KR20140016467A KR101506419B1 KR 101506419 B1 KR101506419 B1 KR 101506419B1 KR 1020140016467 A KR1020140016467 A KR 1020140016467A KR 20140016467 A KR20140016467 A KR 20140016467A KR 101506419 B1 KR101506419 B1 KR 101506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late
center support
coupled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찬
Original Assignee
박윤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찬 filed Critical 박윤찬
Priority to KR102014001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4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41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좌판슬라이딩부; 상기 좌판슬라이딩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중앙지지부; 및 상기 중앙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리 찢기 운동기구에 따르면, 다리가 벌어지는 범위를 점차적으로 넓혀 다리가 일직선을 이룰 수 있게 유도하고, 사용자 신체 조건 및 능력에 맞추어 효율적인 다리 찢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하체의 근력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의 운동기구 구현이 가능하고, 편하게 앉아서 다리 찢기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여 실용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type sliding door device, A center support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left side plate slid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andl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oot sliding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part and having a foot plate on which a foot of the user sitting on the foot plate is slidably engaged and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eg-tearing exerci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the legs can be gradually widened to induce the legs to be straight, and an efficient leg-tearing exercis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and ability, .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w-cost exercise machine, safety is improved by sitting comfortably and carrying out a leg-tearing motion, and it is possible to use easily and conveniently by all ages

Figure R1020140016467
Figure R1020140016467

Description

다리 찢기 운동기구{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리 찢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리가 일직선을 이룰 수 있게 유도하고, 하체 스트레칭을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여 하체의 근력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tearing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g-tearing exercise device that induces a leg to be straight and can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 a lower body stretching to improve muscle strength and flexibility will be.

스트레칭 운동은 준비 운동으로 해왔던 유연체조로서, 탄력이나 반동을 주지 않고 건·근육을‘가벼운 신장(伸長)’을 느낄 때까지 서서히 뻗은 후, 각자의 능력에 따라 10 내치 30초 동안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Stretching exercises are flexible exercises that have been used as preparatory exercises. They stretch the tendons and muscles slowly until they feel "light elongation" without elasticity or recoil. Then, depending on their abilities, .

스트레칭 운동은 건이나 근육에 탄력을 주고, 관절의 가동범위를 넓혀 유연성이 붙게 하므로 모든 스포츠의 컨디셔닝과 상해방지의 준비운동으로 적당하다.Stretching exercises give flexibility to the tendons and muscles, broadening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s, which makes them suitable for conditioning and preventing injuries in all sports.

특히, 다리 찢기와 같은 스트레칭 운동은 각자의 능력에 따라 실시되므로 평소에 운동부족이 되기 쉬운 주부 또는 노인에게도 알맞은 체조로서, 운동이 부족한 바쁜 현대인의 건강유지에 매우 유익한 운동이다.In particular, stretching exercises such as tearing leg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ability, so it is a gymnastic exercise suitable for the housewife or the elderly who are likely to lack exercise, and it is a very beneficial exercise to maintain the health of busy modern people lacking exercise.

따라서 사용자가 혼자 간단하게 스트레칭 운동할 수 있는 보조 운동기구가 있다면 바쁜 현대인이 간편한 스트레칭이 가능하여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각종 근육 및 골격계 질환들은 스트레칭 및 바른 자세를 통해 예방하고 치유될 수 있다.Therefore, if a user has a supplementary exercise apparatus that can easily exercise stretching exercise alone, a busy modern person can stretch easily,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health promotion of modern people. In addition, various muscle and skeletal system diseases can be prevented and healed through stretching and correct posture.

그러나,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중 상체의 운동기구는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하체의 운동기구는 상체 운동기구에 비해 다양성이 떨어지고, 대부분 가격이 비싸며,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various exercises of upper body have been proposed among the exercise apparatuses for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muscles, but the lower body exercise apparatuses have lower diversity than the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es, and most of them are expensive and have poor safety.

한국공개특허: 10 - 2011- 0000335 (공개일 2011. 01. 03)Korea Published Patent: 10 - 2011 - 0000335 (Published on 2011.03.03)

한국등록특허: 10 - 1167637 (공고일 2012. 07. 20)
Korea Registered patent: 10 - 1167637 (Notification date July 20, 2012)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가 벌어지는 범위를 점차적으로 넓혀 다리가 일직선을 이룰 수 있게 유도하고 하체의 유연성 및 근력을 향상시키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that gradually widens the range of legs to induce straight legs and improves the flexibility and strength of the lower body.

또한, 사용자 신체 조건 및 능력에 맞추어 효율적인 다리 찢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의 운동기구 구현이 가능하며, 편하게 앉아서 다리 찢기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ffective leg-tearing exercis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body condition and ability, to realize a low-cost exercising mechanism with a simple structure, and to perform safety exercises by sitting comfortably and performing a leg-tearing exercise, And a leg-tearing exercise instrumen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좌판슬라이딩부; 상기 좌판슬라이딩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중앙지지부; 및 상기 중앙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assembly comprising: a seat plate sliding portion to which a seat for a user to be seated is slidably coupled to mov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center support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left side plate slid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andl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ootrest sliding portio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a footrest on which a foot of the user sitting on the footboard is slidably engaged and moved in a later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좌판슬라이딩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좌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at board sliding portion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guide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oller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sl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board.

그리고, 상기 발판슬라이딩부는 좌판에 앉은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발을 뻗었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과 맞대응되는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or a plurality of guide rail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 sliding sliding portion on a face of the foot opposite to the user's foot when the user sitting on the footboard extends forward, And a roller that is coupled and slid is provided.

또한, 상기 발판은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다리가 양측으로 벌어질 때 가변되는 발의 각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 is rotated by an angle of the foot which is variable when the leg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plate is widened.

상기 발판은 중앙에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의 외주연에 원호형상의 레일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핀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가변되는 발의 각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발안착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발안착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된 발안착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t plate includes a base plate having a pin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n arc-shaped rail groove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pin hole, and an angle of a foo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n hole of the base plate and is slidable along the rail groove, And a spring coupl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foot seating plate to impart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ted foot seating plate.

그리고, 상기 중앙지지부와 발판슬라이딩부의 결합은 일단부가 중앙지지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발판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중앙지지부와 발판슬라이딩부를 연결시키는 길이조절봉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plate sliding portion are coupled by a length adjusting rod,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foot plate sliding portion and connects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plate sliding portion.

이에 더하여, 상기 중앙지지부 측면에는 인장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은 발판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ension spring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support, and the tension spr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oot plate.

또한, 상기 중앙지지부의 전면부에는 좌판에 앉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보조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손잡이는 발판에 연결되고 중앙지지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전면으로 인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부가 내장되고, 상기 파지부의 외측에는 권취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의 풀림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uxiliary handle may include a wire connected to the foot plate and extend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support to be drawn out to the front side of the center suppo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winding unit on the outer side of the gripping uni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to be unwound, wherein the gripping unit includes a gripping part coupled to the wir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리 찢기 운동기구에 따르면, 다리가 벌어지는 범위를 점차적으로 넓혀 다리가 일직선을 이룰 수 있게 유도하고, 사용자 신체 조건 및 능력에 맞추어 효율적인 다리 찢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하체의 근력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leg-tearing exerci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the legs can be gradually widened to induce the legs to be straight, and an efficient leg-tearing exercis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and ability, .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의 운동기구 구현이 가능하고, 편하게 앉아서 다리 찢기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여 실용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w-cost exercise device, and safety is improved by sitting comfortably and carrying out a leg-tearing motion, and it is possible to use easily and conveniently by all 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g-tear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4 are usage states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a user.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usage states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a user.
9 and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ridge brea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purposes of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g-tear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a use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좌판슬라이딩부(100)와, 상기 좌판슬라이딩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중앙지지부(200)와, 상기 중앙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발판슬라이딩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leg-tearing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side sliding part 100 tha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being slidably coupled to a seat, A center support portion 200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left seat slid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ootres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eet of the user, And a foot sliding part 300.

좌판슬라이딩부(100)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10)에는 좌판(120)의 저면에 구비된 롤러(1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판(120)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다. A guide rail 1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plate sliding part 100. A roller 13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eft plate 1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110, And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좌판(120)은 사용자가 앉을 때 안정감을 주기 위해 등받이가 있는 의자 형태로 구비되고, 좌판(120)의 저면에 구비되는 롤러(130)는 저면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롤러(130)가 결합되는 좌판슬라이딩부의 가이드레일(110)은 좌우 롤러(130)가 결합되게 복수개 구비되어 좌판(12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In this case, the seat 1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hair with a backrest to provide a sense of security when the user sits. The roller 13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120 i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guide rails 110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rollers 13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seat panels 120 is stabilized.

즉, 좌판슬라이딩부(10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된 복수의 수평프레임(10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이격된 수평프레임(101)의 가이드레일(110)에 좌판의 롤러(130)가 끼워진 다음 수평프레임 (101)단부에 가이드레일(110)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수평프레임(101)을 연결시키는 수직프레임(102)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판슬라이딩부(300) 형태와 같이 평판형태의 프레임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양측 가이드레일에 좌판의 롤러가 끼워진 다음 프레임 측벽에 가이드레일을 차단하는 측면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1 and 2,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1 having guide rails 110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oller 130 of the seat plate is fitted to the guide rail 110 of the horizontal frame 101 and then the guide rail 110 is block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01 and the vertical frame 10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01 is coupled A guide rail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a top surface of a plate-shaped frame, a guide rail may be formed on both side guide rails, a roller of a seat plate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And a side frame for blocking the side frame.

그리고, 사용자가 앉은 좌판(120)을 다른 사람이 밀어줄 수 있게 좌판(120)의 등받이에는 손잡이봉(121)이 구비될 수 있고, 손잡이봉(121)은 좌판(120) 등받이의 상부로 연장되거나 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A handle bar 121 may be provided on the backrest of the seat 120 so that the user can push the seated seat 120. The handle bar 121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back 120 Or may extend in a rearwardly protruding manner, or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중앙지지부(200)는 좌판슬라이딩부(100) 전방에 좌판슬라이딩부(100)와 조립이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고, 상면에는 좌판(120)에 앉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10)가 구비된다.The center support part 200 is assembled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ft side plate sliding part 100 in front of the left side plate sliding part 100 and has a handle 210 on the upper side to be held by the user sitting on the left side plate 120 Respectively.

이때, 손잡이(210)는 사용자의 양손이 각각 파지할 수 있게 상면 양측에 세워지며 사용자가 좌판(120)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양쪽으로 벌릴 때 좌판(120)을 끌어당겨 다리가 최대한으로 벌어질 수 있게 하는 힘을 부여하는 데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handle 210 is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so that both hands of the user can grasp the user.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120, when the user opens the legs on both sides, the seat 120 is pulled It is used to give the power to be able to.

발판슬라이딩부(300)는 좌판(120)에 앉은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발을 뻗었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과 맞대응되는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레일(310)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레일(310)에는 발판(320)의 저면에 구비된 롤러(36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판(320)이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좌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된다.One or a plurality of guide rails (310)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ot sliding bearing part (300) facing the user 's sole when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120) extends forward, A roller 360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oot plate 3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foot plate 310 so that the foot plate 32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310.

여기서, 발판슬라이딩부(30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슬라이딩부(100)와 수직이 되게 세워지는 형태로 중앙지지부(200)의 양측에 결합된다.1 and 2, the footrest sliding part 30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part 200 in such a manner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ootrest sliding part 100, as shown in FIGS.

이때, 중앙지지부(200)와 발판슬라이딩부(300)의 결합은 상호 조립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중앙지지부(200)와 발판슬라이딩부(300)와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center support part 200 and the footrest sliding part 300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and the center support part 200 and the footrest sliding part 300 can be spaced from each other.

즉, 중앙지지부(200)와 발판슬라이딩부(300) 각각의 후방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홀(201,301)이 형성된 중공관(202,302)이 일체로 구비되고, 중앙지지부의 중공관(202)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발판슬라이딩부의 중공관(302)에 타단부가 삽입되며 체결홀(201,301)과 대응되는 결합홀(30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길이조절봉(304)이 구비되어 중공관의 체결홀(201,301)과 길이조절봉의 결합홀(303)이 체결부재(305)에 의해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중앙지지부(200)와 발판슬라이딩부(300)와의 간격이 조절되고, 이로 인하여 발판슬라이딩부(300)의 전체 길이를 늘릴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hollow tubes 202 and 302 having the fastening holes 201 and 301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center support part 200 and the foot plate sliding part 300, respectively, and the hollow tube 202 of the center support part has one end And a length adjusting rod 304 inserted into the hollow tube 302 of the foot sliding part and having the other end inserted and the coupling holes 303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201 and 30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support part 200 and the foot plate sliding part 3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oupling hole 303 of the length adjusting rod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305,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verall length.

발판슬라이딩부(300)는 평판 형태의 프레임(310) 전면부 상하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320)이 형성되고, 상하 가이드레일(320)에 발판(340)의 롤러(360)가 끼워지며 측면에 가이드레일(320)을 차단하는 측면프레임(330)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판슬라이딩부(100)의 형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복수의 수평프레임이 발판의 폭 간격에 맞게 상하 이격되고, 이격된 수평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발판의 레일이 각각 끼워진 다음 수평프레임 단부에 가이드레일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수직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 guide rail 32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lat plate-shaped fram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oller 360 of the foot plate 340 is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320 And a side frame 330 blocking the guide rail 32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edestal 300.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having guide rail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vertical frame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may be coupled to the guide rails of the horizontal frames, respectively, after the rails of the footrests are fitted to the guide rails of the spaced horizontal frames, have.

그리고, 발판슬라이딩부(300)의 가이드레일(320)에 결합되는 발판(340)은 좌판(120)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다리가 양측으로 벌어질 때 가변되는 발의 각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구비된다.The foot plate 340 coupled to the guide rail 320 of the foot plate sliding part 300 is rotated by the angle of the foot which is variable when the foot of the user sitting on the foot plate 120 is lifted up, Respectively.

여기서, 발판(340)은 가이드레일(320)에 결합되는 롤러(360)가 저면에 구비되는 베이스판(341)과, 베이스판(34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발이 안착되며 다리가 양측으로 벌어질 때 가변되는 발의 각도에 의해 발의 힘이 가해지면 발의 각도에 맞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발안착판(344)과, 베이스판(341)과 발안착판(344) 사이에 결합되어 회전된 발안착판(344)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50)을 포함한다. The foot plate 340 includes a base plate 341 having a roller 360 coupled to the guide rail 320 on its bottom surface and a base plate 341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341, A foot seating plate 344 tha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foot angle when a foot force is applied by a varying foot angle when the foot plate 341 is widened toward both sides, And a spring 350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to the foot seating plate 344. [

베이스판(341)은 중앙에 핀홀(342)이 형성되고, 핀홀(342)의 외주연에 원호형상의 레일홈(343)이 형성되며, 발안착판(344)의 저면에는 핀홀(342)에 삽입되는 핀과(345) 레일홈(343)에 삽입되는 롤러(348)가 구비되며 발이 안착되는 상면의 테두리에는 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349)이 형성된다.The base plate 341 is formed with a pinhole 342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arc-shaped rail groove 343 is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nhole 342. A pinhole 34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ing plate 344 And a roller 348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343 and a step 349 for preventing the foot from being detached are formed on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feet are seated.

이때, 베이스판(341)의 핀홀(342)에 삽입되어 관통되는 핀(345)의 끝단부에는 나사산(346)이 형성되고, 나사산(346)에는 너트(347)가 체결되어 베이스판(341)과 발안착판(344)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핀(345)은 핀홀(342)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베이스판(341)을 기준으로 발안착판(344)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발안착판(344)의 회전 범위는 다리가 일자로 벌어질 때 가변되는 발의 각도만큼만 회전되어야 한다.At this time, a thread 34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in 345 which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342 of the base plate 341 and a nut 347 is fastened to the thread 346, The pin 345 can be rotated by the pin hole 342 and the foot seating plate 344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341. [ However, the rotational range of the foot seating plate 344 must be rotated only by the angle of the foot that is variable when the leg is spread in a straight line.

이를 위해, 베이스판(341)에 형성된 레일홈(343)은 핀홀(342)의 중심을 기준으로 0°∼ 120°범위와 이에 대칭되는 180°∼ 300°범위에 형성되고, 레일홈(343)에는 발안착판(344)에 구비된 롤러(348)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발안착판(344)의 회전 범위를 한정한다. 또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레일홈(343)과 롤러(348)는 발안착판(344)의 안정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The rail groove 343 formed in the base plate 341 is formed in a range of 0 ° to 120 ° and a range of 180 ° to 300 °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inhole 342, The rotation range of the foot placement plate 344 to which the rollers 348 provided on the foot placement plate 344 are coupled to rotate is defined. Further, the rail grooves 343 and the rollers 348 form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make stable rotation of the foot placement plate 344.

이때, 베이스판(341)과 발안착판(344)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350)은 발안착판(344)이 회전될 때 압축되었다가, 벌어진 다리를 오므림으로 인하여 가변되었던 발의 각도가 원위치되면서 발안착판(344)에 가해졌던 발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 발안착판(344)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At this time, the spring 350 connected between the base plate 341 and the foot seating plate 344 is compressed when the foot seating plate 344 is rotated, and the angle of the foot, which has been varied due to the breaking of the legs, When the foot force applied to the foot seating plate 344 is removed, the foot seating plate 344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is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이에 더하여, 중앙지지부(200) 측면에는 인장스프링(40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tensile spring 40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enter support part 200.

인장스프링(400)은 일단부가 중앙지지부(20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발판(340)의 측면에 결합되어 발판(340)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40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2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oot plate 340 to apply tension to the foot plate 340.

인장스프링(400)은 유연성이 좋고, 다리가 잘 벌어지는 사용자가 벌어지는 힘의 강도를 높이거나, 다리의 근력을 키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인장스프링(400)의 타단부에 걸고리(410)를 형성하고, 발판(340)의 측면에 걸이홈(420)를 형성하여 인장스프링의 걸고리(410)를 발판의 걸이홈(420)에 탈부착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The tension spring 400 is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trength of a force of a user who is well-plied and has a good leg o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a leg, and the hook 41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400 And a hooking groove 420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oot plate 340 so that the hooking hook 410 of the tensioning spring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oking groove 420 of the footing plate.

또한, 좌판슬라이딩부(100) 또는 발판슬라이딩부(300)에는 좌판(120)의 이동거리 또는 발판(340)의 이동거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눈금(450)이 표기된다.A scale 450 is displayed on the left or right sliding part 100 or the foot sliding part 300 so tha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eat 120 or the moving distance of the foot plate 340 can be visually confi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좌판(120)에 앉은 상태에서 양쪽 발을 전방으로 뻗어 발판(340)의 발안착판(344)에 올리고, 손을 뻗어 중앙지지부(200)에 구비된 손잡이(210)를 잡는 다음 팔 힘을 이용하여 몸을 전방으로 끌어당김과 동시에 다리를 양측으로 벌리면 좌판(120)이 가이드레일(110)을 타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발판(340)이 가이드레일(320)을 타고 좌,우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다리가 일자로 벌어지는 도 4의 상태가 된다. 이때, 발안착판(344)은 다리가 양측으로 벌어질 때 가변되는 발의 각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3, first, when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120, both feet extend forward and are placed on the foot seating plate 344 of the foot plate 340, When the leg is extended to both sides while pulling the body forward by using the arm force holding the knob 210, the seat plate 120 is slid forward on the guide rail 110 and the foot plate 340 is guided by the guide rail 320 to slide leftward and rightward to the outside, resulting in the state shown in FIG. 4 in which the legs open in a straight line. At this time, the foot placement plate 344 is rotated by the angle of the foot which is variable when the leg is spread to both sides.

이처럼, 사용자는 다리의 벌어짐이 가능할 때까지 다리를 벌린 후 10 내지 30초 동안 그 자세를 유지하여 스트레칭을 한다.As such, the user stretches the legs to allow the legs to spread, then holds them for 10 to 30 seconds to stretch them.

이어, 도 4의 상태에서 팔을 뻗어 몸을 후방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벌어진 다리를 중앙으로 모으면 좌판(120)이 가이드레일(110)을 타고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발판(340)이 가이드레일(320)을 타고 중앙지지부(200) 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벌어진 다리가 모아지는 도 3의 상태가 된다.4, when the arm is extended and the body is pushed backward and the legs are assembled to the center, the seat plate 120 is slid rearward along the guide rail 110, and the foot plate 340 is guided by the guide rails 320 3, in which the legs are slid and gathered 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200 side.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다리가 일직선을 이룰 수 있으며, 하체 스트레칭으로 하체의 근력 및 유연성이 향상되게 된다. Repeatedly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the legs can be straightened, and the lower body stretching improves th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the lower body.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g-tear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g-tear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a user State diagram.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좌판(120)에 앉은 상태에서 양측 발을 전방으로 뻗어 발판(340)에 올리고, 손을 뻗어 중앙지지부(200)에 구비된 손잡이(210)를 잡을 때, 유연성이 떨어지는 사람이나 노약자의 경우 손이 손잡이(210)에 닿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10 provided on the center support portion 200 by extending his / her hands and extending both the front feet to the foot plate 340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120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120, Or a case where the hand does not touch the handle 210 in the case of the elderly.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중앙지지부(200)의 전면부에 좌판(120)에 앉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보조손잡이(500)가 더 구비된 것이다.In this cas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of one embodiment,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handle 500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120 in the front part of the center support part 200 will be.

여기서, 중앙지지부(200)의 측면과 전면에는 관통홀(203,204)이 구비되고, 보조손잡이(500)는 일단부가 발판(34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중앙지지부(200)의 측면 관통홀(203)을 관통하여 전면 관통홀(204)로 인출되는 와이어(510)와, 와이어(510)에 결합되는 파지부(520)로 구성된다.The auxiliary handle 5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oot plate 34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ide through hole 203 of the center support part 200. [ A wire 510 extending through the front through hole 204 and a grip 520 coupled to the wire 510.

그리고, 파지부(520)의 내부에는 와이어(510)가 권취되는 권취부(521)가 내장되고, 파지부(520)의 외측에는 권취부(521)의 회전을 제어하여 와이어(510)의 풀림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522)가 구비된다.A winding part 521 for winding the wire 510 is built in the grip part 520 and the rotation of the winding part 521 is controlled on the outside of the grip part 520 so that the wire 510 is loosened And a control unit 522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motor.

또한, 중앙지지부(200) 내부에는 관통홀(203,204)을 통과하는 와이어(5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205)이 구비된다.A guide roller 205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wire 51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203 and 204 is provided in the center support part 200.

이러한 보조손잡이(500)는 사용자가 양측 발을 발판(340)에 올린 상태에서 발을 좌우 양측으로 벌리면 발판(340)의 이동에 이끌려 중앙지지부(200) 측으로 끌려가고, 좌판(120)에 앉은 사용자가 이끌려가는 보조손잡이(500)를 잡게 되면 사용자의 몸과 함께 좌판(120)이 중앙지지부(200) 측으로 이끌려가게 되어 중앙지지부(200)의 상면에 고정된 손잡이(210)를 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The auxiliary handle 500 is pulled to the center support part 200 by the movement of the foot plate 340 when the user spreads the foot on both sides in a state that both feet are raised on the foot plate 340, The seat 120 is pulled toward the center support part 200 together with the user's body so that the handle 210 fixed to the upper face of the center support part 200 can be easily gripped .

이때, 보조손잡이(500)의 파지부(520) 일측면에 걸고리(523)를 구비하고, 좌판에는 걸고리(523)가 걸림되는 걸이홈(524)을 구비하여 보조손잡이(500)의 걸고리(523)를 좌판(120)의 걸이홈(524)에 걸어 사용자가 발판(340)에 올려진 발을 양측으로 벌릴 때 발판(340)의 이동에 이끌려가는 보조손잡이(500)가 좌판(120)을 이끌 수 있게 구비할 수도 있다. The auxiliary handle 500 includes a hook 523 on one side of the grip 520 and a hook 522 on the left side of the auxiliary handle 500. The hook 523 of the auxiliary handle 500 has hooks 523 The auxiliary handle 500 which is pulled by the movement of the foot plate 340 when the user walks the foot put on the foot plate 340 on both sides is hooked on the hook groove 524 of the foot plate 120,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조절부(522)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다리 길이나 유연성 정도에 따라 와이어(510)의 풀림된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좌판(120)에 앉은 상태에서 양쪽 발을 전방으로 뻗어 발판(340)의 발안착판(344)에 올리고, 손으로 보조손잡이(500)를 잡는다. As shown in FIG. 6, first, the user adjusts the adjuster 522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510 to be loosened according to the leg length or flexibility of the user. While sitting on the seat 120, both feet extend forward and are placed on the foot seating plate 344 of the footrest 340 and hold the auxiliary handle 500 by hand.

이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를 양측으로 벌리면 발판(340)이 가이드레일(320)을 타고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다리가 벌어지고, 발판(340)의 이동으로 인하여 와이어(510)로 연결된 보조손잡이(500)가 전방으로 이끌려가게 되며, 아울러 보조손잡이(500)의 이끌림에 의해 사용자의 몸이 전방으로 끌려감과 동시에 좌판(120)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7, when the legs are spread to both sides, the legs are opened while the legs 340 slide on the guide rails 320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auxiliary handle 50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handle 500 and the auxiliary handle 500 is pulled by the auxiliary handle 500 so that the user's body is pulled forward and the seat 120 is moved forward along the guide rail 110.

이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잡고 있던 보조손잡이(500)를 놓고 중앙지지부(200)의 상면에 고정된 손잡이(210)를 잡는다. 그리고, 팔 힘을 이용하여 몸을 전방으로 더 끌어당김과 동시에 다리를 양측으로 더 벌리면 좌판(120)이 가이드레일(110)을 타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고, 발판(340)이 가이드레일(320)은 타고 좌,우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다리가 일자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발안착판(344)는 다리가 양측으로 벌어질 때 가변되는 발의 각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FIG. 8, the user holds the auxiliary handle 500 and grasps the handle 210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200. [ When the legs are further extended to both sides while the body is further pulled forward using the arm force, the seat plate 120 is slid forward on the guide rail 110, and the footrests 340 are guided by the guide rails 320 The bridge is slid to the left and the right outside, and the bridge is opened in a straight line. At this time, the foot placement plate 344 is rotated by the angle of the foot which is variable when the leg is spread to both sides.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좌판에 앉아 양측 발을 발판에 올린 상태에서 손이 손잡이에 닿지 않는 경우, 보조손잡이를 손으로 잡거나 보조손잡이의 걸고리를 좌판의 걸이홈에 걸은 다음 다리를 양쪽으로 벌리면 발판의 이동으로 보조손잡이가 끌려가고 아울러 보조손잡이에 이끌려 좌판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중앙지지부의 손잡이를 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does not touch the handle with his / her feet on the footboard while sitting on the seat, the user grasps the auxiliary handle, hooks the hook of the auxiliary handle to the hook groove of the seat, The auxiliary handle is pulled by the movement of the foot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is pulled by the auxiliary handle so that the seat plate is moved forward along the guide rai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handle of the center frame.

또한, 노약자의 경우 좌판이 이동될 때, 몸의 중심을 잃거나 흔들림을 느낄 수 있는데 보조손잡이를 잡음으로써 중심을 잡거나 안정감을 줄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en the seat is moved, the body may be lost or shaken, and the assist grip may be centered or stabilized to improve ease of us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리가 벌어지는 범위를 점차적으로 넓혀 다리가 일직선을 이룰 수 있게 유도하고, 사용자 신체 조건 및 능력에 맞추어 효율적인 다리 찢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the legs is gradually widened to induce the legs to be straight, and an efficient leg-tearing exercis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and ability.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의 운동기구 구현이 가능하고, 편하게 앉아서 다리 찢기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하체 스트레칭을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a low-cost exercise machine can be realized, safety is improved by sitting comfortably and carrying out a leg-tearing motion, and anyone under age 5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 lower body stretching.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9 and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use state view showing a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발판 위에 서서 다리를 양측으로 벌렷다 오므리는 다리 찢기 운동을 통해 하체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leg-tear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user stands on a foot plate and performs a lower body exercise through a leg-tearing motion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는 전방에 수직으로 손잡이가 구비되는 중앙지지부(600)와, 상기 중앙지지부(600)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면에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7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슬라이딩부(700)를 포함한다.The leg tear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support part 600 having a handle vertically disposed at a front side thereof and a footrest 74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part 600, And a foot sliding part 700 which is slidably coupled and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중앙지지부(600)는 양측면에 발판슬라이딩부(700)를 고정시키되, 필요에 따라 발판슬라이딩부(7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The center support part 600 fixes the footrest sliding part 700 on both sides thereof,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footrest sliding part 700 as necessary.

그리고, 중앙지지부(600)의 전방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손잡이(610)는 사용자가 발판(740)에 발을 올려 서있는 상태에서도 손으로 손잡이(610)를 잡을 수 있게 일정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손잡이(610)는 사용자가 발판(740)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다리를 양쪽으로 벌일 때 다리가 최대한으로 벌어질 수 있게 하는 힘을 부여하는 데 사용된다.The handle 61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enter support part 600 has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610 even when the user is standing on the foot plate 740. Here, the handle 610 is used to give a force that allows the leg to spread to the maximum when the user puts the foot on the foot 740, when the foot is put on both sides.

발판슬라이딩부(700)는 평판 형태의 프레임(71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720)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720)에 발판(740)의 롤러(750)가 끼워지며 측면에 가이드레일(720)을 차단하는 측면프레임(73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프레임(710)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7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740)이 가이드레일(720)을 따라 좌,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된다. A guide rail 7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late type frame 7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oller 750 of the foot plate 740 is fitted to the guide rail 720, And a side frame 730 that blocks the light source 720 are coupled. That is, the footrest 740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7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710 is configured to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720.

그리고 발판슬라이딩부(700)의 상면에는 발판(740)의 이동거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눈금(760)이 표기된다.A scale 760 is mar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sliding part 700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scaffold 740 can be visually confirmed.

또한, 중앙지지부(600) 측면에는 발판슬라이딩부(700)의 발판(740)과 결합되는 인장스프링(800)이 구비된다. 인장스프링(800)은 일단부가 중앙지지부(60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발판(740)의 측면에 결합되어 발판(740)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A tension spring 80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support part 600 to be engaged with the foot plate 740 of the foot sliding part 700.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80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6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oot plate 740 to apply tension to the foot plate 740.

인장스프링(800)은 유연성이 좋고, 다리가 잘 벌어지는 사용자가 벌어지는 힘의 강도를 높이거나, 다리의 근력을 키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인장스프링(800)의 타단부에 걸고리(810)를 형성하고, 발판(740)의 측면에 걸이홈(820)를 형성하여 인장스프링의 걸고리(810)를 발판의 걸이홈(820)에 탈부착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tension spring 800 has flexibility and is used when the strength of a user's leg is increased or the strength of a leg is increased. A hook 81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800 A hooking groove 82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oot plate 740 so that the hooking hook 810 of the tension spring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oking groove 820 of the footing pl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리 찢기 운동기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eg-tearing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발판슬라이딩부(7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740)에 사용자의 양쪽 발을 올린 다음 손잡이(610)를 잡고 다리를 양측으로 벌리면 발판(740)이 가이드레일(720)을 타고 좌,우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다리가 일자로 벌어지는 도 10의 상태가 된다. 9, when a user lifts both feet of a user to a foot plate 740 slidably coupled to the foot plate sliding portion 700 and then grasps the handle 610 and spreads the legs to both sides, The guide rail 720 slides leftward and rightward outward to be in a state shown in Fig.

이처럼, 사용자는 다리의 벌어짐이 가능할 때까지 다리를 벌린 후 10 내지 30초 동안 그 자세를 유지하여 스트레칭을 한다.As such, the user stretches the legs to allow the legs to spread, then holds them for 10 to 30 seconds to stretch them.

이어, 도 10의 상태에서 벌어진 다리를 중앙으로 모으면 발판(740)이 가이드레일(720)을 타고 중앙의 중앙지지부(600)측으로 이동되어 벌어진 다리가 모아지는 도 9의 상태가 된다.10, the legs 740 are moved to the central support portion 600 side of the guide rail 720, and the legs are gathered to the state shown in FIG.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하체 스트레칭으로 하체의 근력 및 유연성이 향상되게 된다. Repeatedly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the lower body stretching improves th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the lower bod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좌판슬라이딩부 101: 수평프레임
102: 수직프레임 110: 가이드레일
120: 좌판 130: 롤러
200: 중앙지지부 210: 손잡이
201,301: 체결홀 202,302: 중공관
203,204: 관통홀 205: 안내롤러
300: 발판슬라이딩부 303: 결합홀
304: 길이조절봉 305:체결부재
310: 프레임 320: 가이드레일 330: 측면프레임 340: 발판
341: 베이스판 342: 핀홀
343: 레일홈 344: 발안착판
345: 핀 346: 나사산
347: 너트 348: 롤러
349: 단턱 350: 스프링
360: 롤러 400: 인장스프링
410: 걸고리 420: 걸이홈
500: 보조손잡이 510: 와이어
520: 파지부 521: 권취부
522: 조절부 523: 걸고리
524: 걸이홈 600: 중앙지지부
610: 손잡이 700: 발판슬라이딩부
710: 프레임 720: 가이드레일
730: 측면프레임 740: 발판
750: 롤러 760: 눈금
800: 인장스프링 810: 걸고리
820: 걸이홈
100: seat plate sliding portion 101: horizontal frame
102: vertical frame 110: guide rail
120: seat plate 130: roller
200: center support part 210: handle
201, 301: fastening holes 202, 302: hollow tube
203, 204: Through hole 205: Guide roller
300: Scaffold sliding part 303: Coupling hole
304: length adjusting rod 305: fastening member
310: frame 320: guide rail 330: side frame 340: foot plate
341: base plate 342: pinhole
343: rail groove 344: foot seating plate
345: pin 346: threaded
347: Nut 348: Roller
349: step 350: spring
360: roller 400: tension spring
410: Hook 420: Hook groove
500: auxiliary handle 510: wire
520: grip part 521: winding part
522: Adjusting portion 523:
524: Hook groove 600: Central section
610: Handle 700: Scaffold sliding part
710: Frame 720: Guide rail
730: side frame 740: foot plate
750: roller 760: scale
800: Tension spring 810: Hook
820: Hook home

Claims (9)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좌판슬라이딩부;
상기 좌판슬라이딩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중앙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슬라이딩부; 및
상기 중앙지지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좌판에 앉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조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손잡이는 발판에 연결되고 중앙지지부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타 측면으로 인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부가 내장되고, 상기 파지부의 외측에는 권취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의 풀림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
A left plate sliding part in which a seat on which a user can sit is slidably engaged and is mov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center support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left side plate sliding portion and provided with a handl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ootrest sliding portio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footboard on which a foot of a user sitting on the seatboard is slidably engaged and mov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And an auxiliary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adapted to be held by a user sitting on the seat,
The auxiliary handle includes a wire connected to the foot plate and extending through one side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to the other side and a grip portion coupled to the wire, and a winding portion for winding the wire is built in the grip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winding uni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to be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grip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슬라이딩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좌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 plate sliding portion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guide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oller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slidabl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슬라이딩부는 좌판에 앉은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발을 뻗었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과 맞대응되는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trest sliding part has one or a plurality of guide rail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foot opposite to the user's foot when the user sitting on the footboard extends forward,
And a roller that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slides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oot plate.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다리가 양측으로 벌어질때 가변되는 발의 각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foot plate is rotated by an angle of a foot which is variable when the leg of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plate is lifted to the both sid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중앙에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의 외주연에 원호형상의 레일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핀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가변되는 발의 각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발안착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발안착판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된 발안착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oot plate includes a base plate having a pin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n arc-shaped rail groove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pin hole, and an angle of a foo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n hole of the base plate and is slidable along the rail groove, And a spring coupl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foot seating plate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rotated foot seat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부와 발판슬라이딩부의 결합은 일단부가 중앙지지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발판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중앙지지부와 발판슬라이딩부를 연결시키는 길이조절봉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plate sliding portion is engaged by a length adjusting rod which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support portion at one end and inserted into the foot plate sliding portion and connects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plate slid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부 측면에는 인장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인장스프링은 발판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찢기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ension spring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tension spr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oot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16467A 2014-02-13 2014-02-13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Expired - Fee Related KR101506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67A KR101506419B1 (en) 2014-02-13 2014-02-13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67A KR101506419B1 (en) 2014-02-13 2014-02-13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419B1 true KR101506419B1 (en) 2015-03-26

Family

ID=5302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4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6419B1 (en) 2014-02-13 2014-02-13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419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892B1 (en) 2016-07-01 2017-02-16 이승현 Leg stretching apparatus
WO2017146392A1 (en) * 2016-02-22 2017-08-31 류현광 Leg stretching apparatus
KR101936518B1 (en) * 2017-08-02 2019-01-08 김선호 Noise reduction exercise equipment
CN109908554A (en) * 2019-04-16 2019-06-21 郑州工程技术学院 A ligament stretcher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utonomously for martial arts training
CN109938969A (en) * 2019-04-12 2019-06-28 吉林大学 Patien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110559614A (en) * 2019-09-25 2019-12-13 舒华体育股份有限公司 Outdoor leg stretching trainer
CN112774126A (en) * 2021-01-22 2021-05-11 青岛理工大学 Device is tempered to shank for sports
CN115591194A (en) * 2022-10-26 2023-01-13 烟台大学(Cn) A kind of leg flexibility training device for sports
KR102518813B1 (en) * 2022-12-19 2023-04-05 오정민 Automatic and Semi-autoamtic Assembly for Pelvic Exercis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954U (en) * 2008-09-23 2009-07-09 朱振綱 Crotch health device
KR20090102543A (en) * 2008-03-26 2009-09-30 주식회사 토마토티브이 A training mechanism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KR20100129647A (en) * 2009-06-01 2010-12-09 김재영 Multipurpose fitness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543A (en) * 2008-03-26 2009-09-30 주식회사 토마토티브이 A training mechanism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JP3151954U (en) * 2008-09-23 2009-07-09 朱振綱 Crotch health device
KR20100129647A (en) * 2009-06-01 2010-12-09 김재영 Multipurpose fitness equipment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392A1 (en) * 2016-02-22 2017-08-31 류현광 Leg stretching apparatus
KR101706892B1 (en) 2016-07-01 2017-02-16 이승현 Leg stretching apparatus
KR101936518B1 (en) * 2017-08-02 2019-01-08 김선호 Noise reduction exercise equipment
CN109938969A (en) * 2019-04-12 2019-06-28 吉林大学 Patien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109938969B (en) * 2019-04-12 2024-04-19 吉林大学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patient
CN109908554A (en) * 2019-04-16 2019-06-21 郑州工程技术学院 A ligament stretcher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utonomously for martial arts training
CN109908554B (en) * 2019-04-16 2020-12-22 郑州工程技术学院 A ligament stretcher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utonomously for martial arts training
CN110559614A (en) * 2019-09-25 2019-12-13 舒华体育股份有限公司 Outdoor leg stretching trainer
CN112774126A (en) * 2021-01-22 2021-05-11 青岛理工大学 Device is tempered to shank for sports
CN115591194A (en) * 2022-10-26 2023-01-13 烟台大学(Cn) A kind of leg flexibility training device for sports
KR102518813B1 (en) * 2022-12-19 2023-04-05 오정민 Automatic and Semi-autoamtic Assembly for Pelvic Exerci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419B1 (en)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US20170165553A1 (en) Exercise Apparatus and System for Stationary Users
KR101905367B1 (en) Squat exercise apparatus
KR102225269B1 (en) Arm curl fitness apparatus
JP2010274117A (en) Multiple-purpose exercise implement
KR20150023196A (en) Ankle and lower sports equipment
JP5391245B2 (en) Exercise aids
US20110015047A1 (en) Exercise apparatus
EP4487925A1 (en) Fitness device
US20070155602A1 (en) Sit-up exercise bench
KR101535753B1 (en) Sports outfit for chair
KR20150132658A (en) Fitness equipment
CN206152201U (en) Body-building training apparatus
CN112827129A (en) A device for stretching and relaxing legs after dance learning
JP2008061807A (en) Athletic device structure for extending tendon passively
TWI622387B (en) Lacing massage machine
CN105641858A (en) Leg curl exercise equipment
KR102482764B1 (en) Multipurpose fitness appliance
KR100318363B1 (en) Sporting goods for relaxing muscle
JP6150160B2 (en) Strength training seat chair
KR102331912B1 (en) A remedial exercise stretching device
KR20160003856U (en) Exercise device
KR20140129627A (en) Comprehensive exercise equipment combination Chairs
KR100622369B1 (en) Non-powered cardio
KR200381130Y1 (en) Non-power-driven aerobic athlet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3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