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455B1 - Line Filter With Current Sensor - Google Patents
Line Filter With Current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7455B1 KR101507455B1 KR1020130138404A KR20130138404A KR101507455B1 KR 101507455 B1 KR101507455 B1 KR 101507455B1 KR 1020130138404 A KR1020130138404 A KR 1020130138404A KR 20130138404 A KR20130138404 A KR 20130138404A KR 101507455 B1 KR101507455 B1 KR 1015074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mary coil
- bobbin
- coil
- secondary coil
- line fil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빈,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기장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코어,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1차코일과 2차코일, 상기 1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게 하는 분할판을 포함하되, 상기 1차코일은 상기 2차코일보다 단면적이 큰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1차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2차 코일의 권선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echnique relating to a line filter serving as a current sensor is disclosed. In one embodiment, the line filter also includes a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co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 magnetic field move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Wherein the primary coil is formed of a wir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ary coil, and the winding of the primary coil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Is less tha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라인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적 변경이 거의 없이도 라인필터의 고유기능인 노이즈 제거뿐만 아니라 전류센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라인필터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 filter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a current sensor function as well as noise elimination, which is a unique function of a line filter, with little structural change.
외부의 상용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단에는 AC 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 노이즈 제거를 위한 라인필터, 과전류 감지 및 차단을 위한 전류센서 등의 회로 소자가 구비된다.A power input terminal to which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input is provided with a rectifier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a line filter for removing noise, and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and interrupting an overcurrent.
이 중 라인필터는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선에 설치하여 전원선을 타고 들어오는 전자기 간섭파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보빈의 양측에 각각 코일이 일정 회수만큼 권취되고 U자형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가 보빈(bobbin)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라인필터의 일례가 한국등록실용 20-0094807 ‘라인필터의 보빈구조’에 개시되어 있다.The line filter is used to remo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waves coming from a power line to which a power source is input. Generally, a coil is wound on both sides of a bobbin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a ferrite core core is fixed to surround the bobbin. An example of such a line filter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Application No. 20-0094807 'Line filter bobbin structure ".
그리고, 변류기는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류(transform)하여 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전원단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과전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변류기는 변압기와 유사한 구조를 갖되 1차측과 2차측의 전류비가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의 권선비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1차측 전류에 비해 2차측 전류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하고 있다.The current transformer is a device for measuring a current by transforming a large current into a small current, and is used for detecting an overcurrent flowing in the power supply end to prevent an overcurrent flow. The current transformer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transformer. The current ratio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current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urns ratio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so that the secondary current is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primary current.
라인필터와 변류기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종래 전원 입력단에는 이러한 라인필터와 변류기가 각각 별도로 사용되고 있어 전원접속단의 단가 상승 요인이 되고 있다.Although the line filter and the current transformer have a generally similar structure, the line filter and the current transformer are separately used at the conventional power input terminal, which causes a rise in the unit price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이에 본 발명은 변압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라인필터와 변류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구조적 변경이 거의 없이도 1개의 장치로서 라인필터와 전류센서의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점에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는 인용발명과 차이가 있다.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both a line filter and a current sensor as a single device without almost any structural chang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 line filter and a current transformer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transform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resent line filter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urrent sensor is different from the cited inventio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빈,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기장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코어,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1차코일과 2차코일, 상기 1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게 하는 분할판을 포함하되, 상기 1차코일은 상기 2차코일보다 단면적이 큰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1차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2차 코일의 권선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urrent sensor combined line filter is disclosed. The line filter includes a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co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 magnetic field moves, a primary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 secondary coil, Wherein the primary coil is formed of a wir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ary coil, and the primary coil is wound less than the secondary coil .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provides only a selective concept in a simplified form as to wha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or limit the scope of essential features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의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e filter serving as a curr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line filter serving as a curr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the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figures, may be arranged, arranged, combined, or arrang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expressly contemplated, As shown in FIG.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an element, etc.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또는 “연결되는”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 connected "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 deploy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the case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dispos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the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 between " and " between "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is present and not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110, 120, 130,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의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s (e.g., 110, 120, 130, ...)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describ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That is, step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의 저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e filter serving as a curr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ttom view of a line filter serving as a curr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라인필터(100)는 보빈(bobbin, 110), 접속단자(120), 코어(core, 130), 1차코일(150), 2차코일(140) 및 분할판(spacer, 16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라인필터(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고정지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보빈(110)은 내부에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일례로, 보빈(1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돌출부(110a) 및 돌출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a) 및 돌출부(110b)는 각각 2차코일(140) 및 1차코일(150)이 보빈(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빈(110)의 재료로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보빈(110)은 코어(130), 2차코일(140) 및 1차코일(150)의 지지 구조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접속단자(120)는 보빈(110)의 상기 일단의 돌출부(110a)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상기 일단의 돌출부(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접속단자(120)로서 한 쌍의 접속 단자(120a, 120b)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복수의 접속 단자들(120)의 재료로는 금속, 전도성 폴리머 등 전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The
코어(130)는 보빈(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기장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코어(130)의 재료로는 페라이트(ferrite) 등의 자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코어(130)는 2차코일(14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을 1차코일(150)로 전달하는 자기장의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자기장을 전달받은 1차코일(150)에서는 패러데이(Faraday)의 전자기 유도법칙에 의하여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 또는 전압이 생성된다. 외부에 노출된 코어(13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금속판(131)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판(131)은 2차코일(14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이 안정적으로 1차코일(150)에 전달되도록 상기 자기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2차코일(140)은 보빈(110)을 감도록 권취되며, 일단 및 타단이 접속단자(120) 중에서 선택되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코일(140)의 상기 일단은 접속 단자(120a)에 연결되고, 상기 타단은 접속 단자(120b)에 연결될 수 있다.The
1차코일(150)은 보빈(110)을 감도록 권취되고, 2차코일(14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1차코일(150)은 별도의 접속 단자 없이 직접 외부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외부로 연장되어 별도의 접속 단자 없이 직접 외부 회로와 연결될 수 있는 1차코일(15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1차코일(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을 한번 경유하는 방식으로 보빈(110)을 감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1차코일(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빈(110)을 여러 번 감는 방식으로 보빈(110)을 감을 수도 있다. 2차코일(140) 및 1차코일(150)의 재료로는 금속, 전도성 폴리머 등 전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라인필터(100)는 전류센서로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1차코일(150)의 와이어의 단면적이 2차코일(140)의 와이어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1차코일(150)의 권선수는 2차코일(140)의 권선수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1차코일(150)의 권선수는 1이고 2차코일의 권선수는 수십회 정도가 되도록 형성한 라인필터(100)의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The
이러한 권선비에 따라 2차코일(140)에는 1차코일(150)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의 전류가 흐르게 되며, 2차코일(140)의 출력단에 저항 또는 전류계를 접속하여 2차코일(14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원입력단에 유입되는 입력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 접속회로에 과전류 차단회로가 설치된 경우 상기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과전류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winding ratio, a very small current flows through the
1차코일(150)을 단면적이 작은 얇은 와이어로 형성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일정값 이상의 대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1차코일(150)이 과열되어 단선될 수 있으므로 정격 전류에 따라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단선되지 않는 정도의 굵기의 와이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conceivable that the
분할판(160)은 2차코일(140) 및 1차코일(150) 사이에 배치되며, 보빈(110)에 감기는 2차코일(140) 및 1차코일(150)이 서로 이격 분리되어 감기도록 보빈(110)을 분할한다. 분할판(160)의 재료로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분할판(160)은 보빈(110)과 분리 형성되어 보빈(110)에 배치되거나, 보빈(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고정지지부(170)는 분할판(160)과 보빈(110)의 상기 타단의 돌출부(110b) 사이에 배치되어 1차코일(150)을 보빈(11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1차코일(150)이 2차코일(140)에 비해 훨씬 굵으므로 2차코일(140)과 같이 보빈(110)에 단단하게 감겨진 상태가 아니므로 1차코일(150)을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지지부(170)와 같은 고정지지수단이 필요하다. 이 경우, 고정지지부(170)는 복수의 관통홀들을 구비하며, 1차코일(150)은 1차코일(150)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통과하고 1차코일(150)의 타단이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 중에서 선택되는 다른 어느 하나를 통과함으로써 보빈(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지지부(170)은 1차코일(150)이 관통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로서 한 쌍의 관통홀(171, 172)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고정지지부(170)의 재료로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가 사용될 수 있다.The
도면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고정지지부(170) 이외에 1차코일(150)을 보빈(110)에 추가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에폭시 등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제는 1차코일(150) 및 1차코일(150)과 마주보는 분할판(160) 사이에 배치되어 1차코일(150)을 보빈(110)에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접착제는 1차코일(150) 및 1차코일(150)과 마주보는 돌출부(110b) 사이에 배치되어 1차코일(150)을 보빈(110)에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접착제는 1차코일(150) 및 1차코일(150)과 마주보는 분할판(160) 사이 와 1차코일(150) 및 1차코일(150)과 마주보는 돌출부(110b) 사이에 모두 배치되어 1차코일(150)을 보빈(110)에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여 1차코일(150)을 추가적으로 고정하는 한 접착제의 접착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adhesive such as epoxy may be used to additionally fix the
도면을 참조하여 라인필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코일(150)은 전력설비(미도시)와 연결이 되고, 2차코일(140)은 전자기기와 연결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1차코일(150)은 상기 전력설비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전력설비에 배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전력설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력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2차코일(140)에는 일정한 수준의 직류 또는 교류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게 된다. 일례로, 1차코일(150)에 정격 전류가 흐를 때 2차코일(140)에는 1A(ampere) 또는 5A가 흐르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설비에 전기적 단락과 같은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1차코일(150)에 흐르는 전류값은 변화하게 된다. 이 경우, 코어(130)를 통하여 2차코일(140)에 전달되는 자기장, 즉 자속(magnetic flux)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자속의 변화에 의해 2차코일(140)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며, 2차코일(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류측정수단이 과전류 유입을 감지하게 되어 과전류의 유입 차단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forego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possible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is disclosure. An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but true ideas and scope will b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4)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기장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코어;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1차코일과 2차코일;
상기 1차코일과 상기 2차코일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게 하는 분할판을 포함하되,
상기 1차코일은 상기 2차코일보다 단면적이 큰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1차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2차 코일의 권선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A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co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 magnetic field move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nd a partition plate for allowing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primary coil is formed of a wir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ary coil, and the winding of the primary coil is smaller than the winding of the secondary coil.
상기 보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2차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코일은 외부로 연장되어 접속단자 없이 직접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Wherein the primary coil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directly without the connection terminal being extended to the outside.
상기 분할판과 상기 보빈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1차코일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ed suppor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bbin and fixedly supporting the primary coil.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1차코일이 관통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겸용 라인필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ed support portion is a plate structur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imary coil is inserted and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38404A KR101507455B1 (en) | 2013-11-14 | 2013-11-14 | Line Filter With Current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38404A KR101507455B1 (en) | 2013-11-14 | 2013-11-14 | Line Filter With Current Sens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07455B1 true KR101507455B1 (en) | 2015-03-31 |
Family
ID=5302898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38404A Active KR101507455B1 (en) | 2013-11-14 | 2013-11-14 | Line Filter With Current Sens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07455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52779Y1 (en) | 2001-05-21 | 2001-11-16 | 주식회사 필룩스 | Means of line filter |
| JP2004273510A (en) | 2003-03-05 | 2004-09-30 | Tokyo Parts Ind Co Ltd | Line filter |
| KR101153580B1 (en) | 2010-12-16 | 2012-06-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ne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Line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 same |
| KR20130053651A (en) * | 2011-11-15 | 2013-05-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n integrated 2 stage line fil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and an ac power device |
-
2013
- 2013-11-14 KR KR1020130138404A patent/KR1015074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52779Y1 (en) | 2001-05-21 | 2001-11-16 | 주식회사 필룩스 | Means of line filter |
| JP2004273510A (en) | 2003-03-05 | 2004-09-30 | Tokyo Parts Ind Co Ltd | Line filter |
| KR101153580B1 (en) | 2010-12-16 | 2012-06-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ne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Line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 same |
| KR20130053651A (en) * | 2011-11-15 | 2013-05-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n integrated 2 stage line fil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and an ac power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732206B2 (en) | Current sensor and method of assembly | |
| CN103620421B (en) | Current detection device and fuel gauge | |
| EP2690450B1 (en) | A device for measuring the direct component of alternating current | |
| KR20160014020A (en) | Current sensor arrangement | |
| US20130002236A1 (en) | Device for measuring the electric current flowing in an electric apparatus, said device enabling power measurement, and an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ame | |
| US20150364909A1 (en) | Power converter, short-circuit detecting device thereof and short-circuit detecting method thereof | |
| CN105358992A (en) | Current sensor arrangement with measuring coil | |
| JP2012233718A (en) | Current detection device | |
| WO2021198589A3 (en) | Very-wide-bandwidth current sensor | |
| RU2390865C2 (en) | Current transformer for electric power supp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7378932B1 (en) | Reduced size high-frequency surface-mount current sense transformer | |
| KR20170078027A (en) | Current measurement device | |
| KR101507455B1 (en) | Line Filter With Current Sensor | |
| KR100966450B1 (en) | Contactless Current Measuring Device | |
| US8754643B2 (en) | Coil design for miniaturized fluxgate sensors | |
| JP5731876B2 (en) | Current detection device and watt-hour meter using the same | |
| JP5869785B2 (en) | Current detection device and watt-hour meter | |
| JP5930455B2 (en) | Sample table for core loss measuring device, core loss measuring device | |
| CN104508500B (en) | The device of the electric current flowed through for measuring in conductor | |
| JP7208830B2 (en) | Current sensor element | |
| US11617269B2 (en) | Current measuring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protection system | |
| JP2020067401A (en) | Current detector and power module | |
| CN115902343A (en) | Converter integrated current sensor and circuit breaker | |
| RU2555858C2 (en) | Differential relay based on transformers with rotary magnetic field | |
| HK1195363B (en) | Current detector and electricity me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3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326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3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326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