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829B1 - Demounting Device of Film and System with this apparatus - Google Patents
Demounting Device of Film and System with this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7829B1 KR101507829B1 KR20140101024A KR20140101024A KR101507829B1 KR 101507829 B1 KR101507829 B1 KR 101507829B1 KR 20140101024 A KR20140101024 A KR 20140101024A KR 20140101024 A KR20140101024 A KR 20140101024A KR 101507829 B1 KR101507829 B1 KR 1015078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
- film
- unit
- support frame
- fixing 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8—Removal of non-metallic coatings, e.g. for repai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 B65H2701/1726—Composite material including detachabl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65H29/56—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for stripping from elements 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름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 등의 표면보호를 위해 표면에 부착된 다수겹의 필름 중 최상위 보호필름이나 제거를 원하는 만큼의 필름 또는 칩본딩용 테이프의 지지필름의 제거시 택타임 없이 필름탈착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필름탈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필름탈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desorp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m desorption apparatus for protecting a surface of an electronic apparatus or the like, a top protective film among a plurality of films laminated on a surface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desorption apparatus and a film desorp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remarkably shorten the film desorption time without any tack time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can easily and easily remove the film.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경박단소용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가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d a notebook computer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or a light and small size. Examples of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는 다양한 기판 상에 형성되며, 기판에 소자가 형성되기 전에 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보호필름은 기판이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면을 보호하여 스크레치(scratch)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표시소자의 공정을 진행하기 전에 보호필름은 제거된다. Generally,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formed on various substrates, and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protect the substrate before the element is formed on the substrate. The protective film is provided to prevent the substrate from being contaminated from foreign substances and to protect the surface from scratching.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before proceeding with the proc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또한,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제조에 있어 칩을 기판 등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방전도성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과 같은 칩본딩용 테이프가 있다. 이 이방전도성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은 LCD 팬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과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TCP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칩본딩용 테이프는 Bare Chip을 접속LCD 팬널에 실장하는 COG(Chip On Glass)실장 등의 접속재료로도 사용된다. 이외에도 칩본딩용 테이프는 Bare Chip을 FPC(Flexible Printed Circuit)와 PCB에 접속실장하는 COF(Chip On Film)실장, COB(Chip On Board)실장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방전도성필름(ACF)과 같은 칩본딩용 테이프는 보관과 사용의 편리를 위해 칩을 기판에 부착시키는 접착성과 칩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성을 갖는 접착필름과 이 접착필름을 지지하는 지지필름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re is a chip bonding tape such as an 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used for fixing a chip to a substrate or the like in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products. The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an LCD fa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TCP (Tape Carrier Package),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TCP. The chip bonding tape is also used as a connection material for a COG (Chip On Glass) mounting in which a bare chip is mounted on a connected LCD panel. In addition, chip bonding tapes are also used in COF (Chip On Film) packaging and COB (Chip On Board) packaging for bonding bare chips to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PCB. A chip bonding tape such as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has an adhesive property to adhere a chip to a substrate for convenience of storage and use, a conductive adhesive film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hip and the substrate to each other, Lt; / RTI >
이와 같은 칩본딩용 테이프로 칩을 기판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칩본딩용 테이프를 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기판에 미리 부착시킨 다음에 칩을 칩본딩용 테이프에 부착함으로써 칩을 기판에 고정할 수 있다.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된 칩본딩용 테이프는 접착필름과 지지필름의 2겹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착필름에 의해 칩(미도시)을 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칩을 부착하기 전에 기판에 고정된 칩본딩용 테이프로부터 지지필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fix the chip to the substrate with such a chip-bonding tape, the chip-bonding tape is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hip and attached to the substrate in advance, and then the chip is attached to the chip- have. In order to fix a chip (not shown) to a substrate by an adhesive film, a chip bonding tape fixed to the substrate before the chip is attached is used as a chip-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support film.
이와 같은 필름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으나, 이러한 수작업은 작업자의 손에 의해 기판의 오염이 발생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기판의 보호필름이나 지지필름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필름 제거장치를 사용하게 된다.Such a film can be manually removed by a worker. However, such a manual operation causes contamination of the substrate due to the hands of the operator and lowers the working efficiency. Therefore, in order to automatically remove the protective film or the supporting film of the substrate A film removing device is used.
이와 같은 보호필름의 제거장치로 한국특허공보 제2001-0044604호에는 선단면이 상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된 지지대에 저면이 지지되는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에 보호필름이 접착되도록 한 다음, 권취롤에 의해 감으면 접착테이프가 지지대의 선단부를 지나면서 방향을 바꾸어 수거롤에 감겨 수거될 때 보호필름도 선단면을 따라 접히면서 강도가 높아 접히지 않는 서킷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서킷테이프의 재질에 따라 분리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44604 discloses a protective film removing device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adhered to a bonding surface of an adhesive tape, the bottom surface of which is supported on a supporting base whose front end face has an acute angle with the upper face, It is disclosed that the protective film is separated from the circuit tape which is not folded due to its high strength while the protective film is folded along the end face when the adhesive tape is wound around the pick roll by changing the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tip of the support, And thus the separation efficiency is remarkably deteriorated.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583985호에는 기판에 고정된 칩본딩용 테이프로부터 지지필름을 제거하는 칩본딩용 테이프의 지지필름 제거장치가 소개되어, 제거 테이프 공급유닛과 회수유닛 사이의 제거 테이프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지지필름 분리유닛에 의해 지지필름이 분리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3985 also discloses a support film removing device for a chip bonding tape for removing a support film from a chip bonding tape fixed to a substrate and a removal tape between the removal tape supply unit and the recovery unit The support film is separated by the support film separating unit moving left and righ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 등의 표면보호를 위해 표면에 부착된 다수겹의 필름 중 최상위 보호필름이나 제거를 원하는 만큼의 필름 또는 칩본딩용 테이프의 지지필름의 제거시 택타임 없이 필름탈착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필름탈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탈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removing film on a surface of a multi-layer film attached to a surface of an electronic apparatus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m desorption apparatus and a film desorp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greatly simplify and simplify the work efficiency and can be easily and easily removed.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테이프(20)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30);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를 회수하는 테이프 회수부(40); 상기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테이프 회수부 사이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되, 레일(6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고 수직승하강이 가능하게 결합된 필름분리유닛(60); 및 상기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필름분리유닛 사이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테이프의 여분의 길이가 확보되도록 하는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ort frame (10);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는 Further,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테이프 공급부(30)와 상기 테이프 회수부(40) 사이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어 설치되되, 상기 테이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고정롤러(35a~35j); 및 상기 테이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이동롤러(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fixing rollers (35a to 35j) disposed in the support frame between the tape supply unit (30) and the tape recovery unit (40)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tape; And a moving roller (36) for holding the tension of the t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에서, 상기 이동롤러는 Further,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필름분리유닛이 제거필름의 모서리를 벗겨내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수직상승함과 동시에 장력이 유지되도록 수직하강하였다가 수직상승하는 방식으로 승하강운동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m separating unit is vertically moved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while peeling off the edge of the removal film, and then vertically descended so that the tension is maintained, and then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is controlled in such a manner as to vertically ri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Further,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10)
상기 테이프 공급부(30)와 테이프 회수부(40),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과 필름분리유닛(60)이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하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수직승하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에서, Further,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테이프 공급부(30)는 공급모터와 공급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테이프 회수부(40)는 회수모터와 회수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에서, Further,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은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50)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된 테이프 길이조절부 지지대(51a)에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하강하여 테이프를 하방향으로 늘어지도록 하는 테이프 길이조절부(51); 및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부 지지대(51a)의 우측 인접된 위치에 고정설치된 스토퍼지지대(53a)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부와 연동되되 수직하강하는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부에 의해 테이프가 하방향으로 늘어져 여분의 길이가 확보되도록 고정롤러(35d)와 맞물려 테이프를 순간 정지시키는 스토퍼(53);로 구성되며,A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부(51)는 2개의 고정롤러(35c, 35d)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스토퍼는 상기 고정롤러(35d)와 수직선상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에서, 상기 필름분리유닛(60)은 Further,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separation unit (60)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 하부에 고정설치된 레일(61)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부(62); 및 상기 이동부(62)의 하부에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압착부(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v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에서, Further,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20)는 고정롤러(35a)와 고정롤러(35b)를 거쳐 가이드되는 방향이 전환되며, 고정롤러(35c), 고정롤러(35d), 고정롤러(35e) 상부를 순차적으로 거치되도록 가이드된 후, 상기 필름분리유닛의 압착부의 하단부를 거쳐 보조롤러(35k)를 거친 다음 고정롤러(35f)에서 방향전환되어 고정롤러(35g)를 거친 다음 고정롤러(35h)에서 방향전환되고, 계속해서 고정롤러(35i), 이동롤러(36), 보조롤러(35j)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상기 테이프 회수부(40)로 가이드되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는 Further,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거필름(71)이 부착된 기본필름(72)이 탑재된 필름받침부(70)로부터 상기 제거필름을 탈착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탈착장치의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필름받침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가 구비되어 제거필름을 탈착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ilm desorption system comprising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lm is desorbed and removed.
본 발명에 따른 필름탈착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거시, 전자기기 등의 표면보호를 위해 표면에 부착된 다수겹의 필름 중 최상위 보호필름이나 원하는 만큼의 필름 또는 칩본딩용 테이프의 지지필름이 택타임 없이 단시간내에 제거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film is removed using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of the uppermost protective film or the desired number of films or the supporting film of the tape for chip bonding is selected among the multiple layers of the films attached to the surface It can be removed or separated in a short time without tim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ily and easily re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탈착장치시스템에 장착된 필름탈착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필름탈착장치에서 테이프 길이조절유닛에 의해 테이프가 여분길이로 늘어나는 현상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3은 도 1의 필름탈착장치에서 늘어난 여분길이의 테이프를 필름분리유닛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수직하강에 의해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필름탈착장치의 지지프레임이 도 3에 나타난 작동상태에서 전체 수직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수직하강한 도 4의 필름탈착장치에서 필름분리유닛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제거필름을 탈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제거필름이 탈착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lm desorption apparatus mounted on a film desorption apparatu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tape is stretched to an extra length by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pe having an extra length stretched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FIG. 1 is used by vertical descent while sliding the film separating unit from left to right,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of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Fig. 1 is fully vertically lowered in the operating state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m separating unit is slid from right to left in the film desorption device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moval film of Fig. 5 is detached.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필름탈착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탈착장치시스템에 장착된 필름탈착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필름탈착장치에서 테이프 길이조절유닛에 의해 테이프가 여분길이로 늘어나는 현상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3은 도 1의 필름탈착장치에서 늘어난 여분길이의 테이프를 필름분리유닛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수직하강에 의해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필름탈착장치의 지지프레임이 도 3에 나타난 작동상태에서 전체 수직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수직하강한 도 4의 필름탈착장치에서 필름분리유닛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제거필름을 탈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제거필름이 탈착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lm desorption apparatus mounted on a film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phenomenon in which a tape is stretched to an extra length by a tape length control unit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ape having an extra length stretched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Fig. 1 is used by vertical descent while sliding the film separating unit from left to right, Fig. 4 is a cross-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is fully vertically lowered in the operating state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state in which the film separating unit is slid from right to left in the vertically lowered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Fig.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moval film of FIG. 5 is detache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필름탈착장치(1)는 지지프레임(10), 테이프(20), 테이프 공급부(30), 테이프 회수부(40),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 및 필름분리유닛(60)을 포함한다.1 to 6, a
지지프레임(10)은 주요 구성요소인 테이프 공급부(30)와 테이프 회수부(40) 및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과 필름분리유닛(60)이 배치되는 지지판으로서, 이들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이들과 연결되는 테이프와 상호간의 유기적인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본체에 설치된 상하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수직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10)은 후술하는 탈착할 제거필름이 탑재된 필름받침부(70)가 이송되면 필름분리유닛(60)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필름위치까지 슬라이드한 후 소정거리 하강하여 테이프의 장력을 유지시키고 나면, 지지프레임(10)이 수직으로 하강하여 필름분리유닛(60)의 압착부가 압착부 말단에 위치된 테이프를 제거필름에 접촉되도록 하고, 테이프가 필름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압착부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드하고나면, 지지프레임은 다시 수직 상승하고 이를 반복하도록 구성된다.The
지지프레임(10)은 다양한 재질의 강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upporting
테이프(20)는 일면이 접착성을 갖는 릴형태의 테이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테이프의 일면에 구비된 접착성은 기본필름에 부착된 제거필름의 접착성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테이프 일면에 구비된 접착성보다 제거필름의 접착성이 크더라도 지지프레임이나 압착부의 상승하강 강도조절 및 슬라이딩하는 압착부의 누름 압력조절로 제거필름의 탈착이 가능하다. 이는, 제거필름은 필름분리유닛(60)의 압착부에 의해 모서리부분부터 압착되어 벗겨지며 탈착되되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압착부에 의해 제거필름의 모서리부분부터 필름중간부분까지 테이프가 접착됨과 동시에 제거필름부분의 상대적인 누름지지현상에 의해 지렛대역할을 통해 작용반작용힘이 작용되어 기본필름으로부터 제거필름이 쉽게 벗겨지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The
또한, 필름이 다중 필름으로 구성된 경우, 제거하고자 하는 필름보다 유지하고자 하는 필름의 접착성이 약하더라도 슬라이딩하는 압착부의 누름압력조절 및 장력조절로 제거하고자 하는 부위의 필름탈착이 가능하며, 다중필름에서 원하는 만큼의 필름제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마찬가지로 상술한 시스템구성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Further, when the film is composed of multiple films, even if the film to be held is less adhesive than the film to be remov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pressing part to slide and to detach the film at the part to be removed by controlling the tens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remove as many films as desired. This is likewise possible because of the system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테이프 공급부(30)는 지지프레임(10)의 일측 또는 일측 하부에 배치되며, 일면에 접착성이 있는 테이프(20)를 공급한다. 테이프 공급부(30)는 공급모터(미도시)와 공급릴(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릴로부터 풀려 공급되는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테이프가 거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롤러(35a ~ 35j)와 보조롤러(35k) 및 이동롤러(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롤러는 후부에 구비된 장력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늘어진 테이프를 당겨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필름분리유닛(60)이 제거필름의 모서리를 벗겨내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수직상승하는 순간 장력이 유지되도록 수직하강하였다가 수직상승하는 방식으로 조절된다.The
여기서, 다수개의 고정롤러(35a~35j)는 테이프 공급부(30)와 테이프 회수부(40) 사이의 지지프레임에 배치되어 설치되되, 테이프의 방향전환과 이동을 가이드하며, 이동롤러(36)는 테이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lurality of fixing
테이프 회수부(40)는 지지프레임(10)의 타측 또는 일측 상부에 배치되며, 제거필름이 부착된 접착성 테이프로 구성된 테이프(20)를 회수한다. 테이프 회수부(40)는 회수모터(미도시)와 회수릴(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수모터는 테이프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일정길이씩 테이프가 회수릴로 감기게 구성된다.The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은 테이프 공급부(10)와 필름분리유닛(6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된 테이프 길이조절부 지지대(51a)에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하강하여 테이프를 하방향으로 늘어지도록 하는 테이프 길이조절부(51)와, 테이프 길이조절부 지지대(51a)에 인접된 위치에 고정설치된 스토퍼지지대(53a)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테이프 길이조절부와 연동되되 수직하강하는 테이프 길이조절부에 의해 테이프가 하방향으로 늘어져 여분의 길이가 확보되도록 롤러(35d)와 맞물려 테이프를 순간 정지시키는 스토퍼(53)로 구성된다. 테이프 길이조절부(51)는 2개의 고정롤러(35c, 35d) 사이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며, 스토퍼는 고정롤러(35d)와 수직선상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tape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의 스토퍼 및 테이프 길이조절부의 승하강 동작은 전체적인 시스템과 연동되어 조절되도록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된다. The stopper and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of the tape
필름분리유닛(60)은 지지프레임(10)의 타측 하부에 고정설치된 레일(61)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부(62)와, 이동부(62)의 하부에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압착부(63)로 구성된다. 여기서,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을 거친 테이프(20)는 필름분리유닛(60)의 압착부를 거쳐 이동부(62)에 고정되어 이동부와 함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보조롤러(35k)를 거친 다음 지지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고정설치된 고정롤러(35h)에 연결된다. The
고정롤러(35h)를 거쳐 방향이 전환된 테이프(20)는 고정롤러(35i), 이동롤러(36), 고정롤러(35j)를 순차적으로 거쳐 테이프 회수부(40)에 감겨회수된다. 이동롤러는 후부에 구비된 장력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필름분리유닛(60)이 제거필름의 모서리를 벗겨내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하는 순간 테이프(20)의 장력이 유지되며 테이프가 회수부쪽으로 끌어 당겨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절된다.The
탈착할 제거필름(71)이 부착된 기본필름(72)이 탑재된 필름받침부(70)는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때 필름받침부는 회전하는 원판형으로 구비되며, 테두리를 따라 탈착할 제거필름(71)이 부착된 기본필름(72)이 배치된다.The
본 발명에서는 제거필름이 부착된 대상을 기본필름에 한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이나 기타 배선이 형성된 기판, 다수겹으로 이루어진 필름적층체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which the removal film is attached is limited to the basic fil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may be a substrate on which a liquid crystal screen of an electronic apparatus or other wiring is formed, .
본 발명에서는 구성요소들의 배치를 지지프레임의 일측하부에 테이프공급부를 배치하고 그 우측으로 테이프 길이조절유닛과 필름분리유닛을 연이어 배치한 후 필름분리유닛의 상부에 고정롤러를 배치하고 그로부터 좌측으로 고정롤러와 이동롤러를 배치하고 연이어 배치된 테이프회수부가 테이프 공급부의 상부측에서 배치되도록하여 공간적으로 효율적인 배치를 가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is arranged such that the tape supply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and the film separating unit are arranged successively on the right side thereof and the fixing roller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m separating unit,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rollers and the moving rollers so that the tape collecting units arranged successively are arranged at the upper side of the tape feeding unit so as to have a spatially efficient arrange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이하, 상기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 필름탈착장치(1)가 이를 구비한 필름탈착시스템에서 작동되는 공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operating the
우선, 본 발명의 필름탈착장치에서,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20)는 고정롤러(35a)와 고정롤러(35b)를 거쳐 가이드되는 방향이 전환되며, 고정롤러(35c), 고정롤러(35d), 고정롤러(35e) 상부를 순차적으로 거치되도록 가이드된 후, 상기 필름분리유닛의 압착부의 하단부를 거쳐 보조롤러(35k)에 걸친 다음 고정롤러(35f)에서 방향전환되어 고정롤러(35g)를 거친 다음 고정롤러(35h)에서 방향전환되고, 계속해서 고정롤러(35i), 이동롤러(36), 고정롤러(35j)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상기 테이프 회수부(40)로 가이드되어 회수되도록 연결한다.First, 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 탈착할 제거필름(71)이 부착된 기본필름(72)이 탑재된 필름받침부(70)를 필름탈착장치(1)의 지지프레임(10)에 고정결합된 필름분리유닛(60)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한다. Next, the
다음, 지지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스토퍼지지대(53a)로부터 스토퍼(53)가 수직으로 하강하여 고정롤러(35d)와 맞물려 그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프를 순간 정지시킨다.Next, the
그런 다음,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스토퍼지지대(53a)에 인접되어 고정설치된 테이프 길이조절부 지지대(51a)로부터 테이프 길이조절부(51)가 2개의 고정롤러(35c, 35d) 사이로 수직으로 하강하여 테이프를 하방향으로 늘어지도록 한 후 수직상승하여 테이프 길이조절부 지지대(51a)로 회귀한다.Then, the tape
테이프 길이조절부(51)가 수직상승함과 동시에 스토퍼(53)도 수직상승하여 스토퍼지지대(53a)로 회귀한다.When the tape
다음, 테이프 회수부(20)의 회수릴의 작동과 이동롤러(36)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테이프는 소정길이만큼 당겨지게 되되, 필름분리유닛(60)의 압착부(63)에 거치된 제거필름이 부착된 테이프는 상부로 소정길이만큼 당겨지게 된다.The tape is pulled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operation of the recovery reel of the
다음, 필름분리유닛(60)의 이동부(61)는 지지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레일(61)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되어 압착부(63)가 제거필름의 각모서리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Next, the moving
그런 다음, 필름분리유닛(60)의 압착부(63)는 이동부(61)로부터 소정길이만큼 수직하강하고, 계속해서 지지프레임 전체가 압착부 말단에 거치된 테이프가 제거필름의 각모서리에 접촉할때까지 수직하강하여 압착부가 테이프를 제거필름에 압착되도록 한다..Then, the
그런 다음, 연이어서 이동부(61)는 레일(61)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되면서 압착부(63)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압착부는 말단에 거치된 테이프가 제거필름의 각모서리부터 접착되어 중심부 위치까지 접착되어 오면서 동시에 제거필름을 각모서리로부터 기본필름으로부터 벗겨내어 탈착시키도록 한다. Thereafter, the moving
이때, 테이프에 접착되어 제거필름이 벗겨지는 동작은, 제거필름이 각모서리로부터 중심부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테이프에 접착됨과 동시에 테이프가 회수릴과 이동롤러의 수직하강구동에 의해 상부로 당겨지게되고, 동시에 제거필름은 테이프에 접착되면서 압착부에 의해 눌리게 되는 지점을 지지대로 하여 상부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되어 기본필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잘 벗겨지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the operation of peeling off the removal film adhered to the tape, the removal film is successively adhered to the tape from each edge to the center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tape is pulled upward by the vertical descending drive of the recovery reel and the movement roller, The removal film is attached to the tape and receives a force pulled upward by the point where it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as a support, so that the removal film is relatively well peeled off from the base film.
이와 같은 필름탈착장치의 동작이 계속반복되며, 연속해서 공급되는 필름받침부의 제거필름은 기본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되게 된다.
The operation of such a film desorption apparatus is continuously repeated, and the removal film of the continuously supplied film receiving section is continuously removed from the base film.
본 발명에서는 제거필름이 부착된 회수된 테이프의 처리에 대한 것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수되는 과정중에 테이프에 부착된 제거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 테이프와 제거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저감시켜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냉각부가 구비되고 곡률이 매우 큰 롤러를 구비하여 제거필름이 부착된 테이프가 180도로 회전이동하도록 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treatment of the recovered tape with the removal film,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removal film adhered to the tape during the recovery process so as to reduc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tape and the removal film, And a roller having a roller having a very large curvature so that the tape having the removal film is rotated by 180 degrees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필름탈착장치는 필름탈착시스템내에 구비하여 효율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거필름을 탈착시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ilm desorption system to efficiently and easily remove the removal film at a low cost.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필름탈착장치 10:지지프레임
20:테이프 30:테이프 공급부
35a~35j:고정롤러 36: 이동롤러
40:테이프 회수부 50: 테이프 길이조절유닛
51:테이프 길이조절부 53: 스토퍼
60: 필름분리유닛 61:레일
62: 이동부 63: 압착부
70: 필름받침부 71: 제거필름
72: 기본필름 35k: 보조롤러1: Film Desorption Apparatus 10: Support Frame
20: tape 30: tape supply part
35a to 35j: Fixing roller 36: Moving roller
40: tape recovery unit 50: tape length adjustment unit
51: tape length adjuster 53: stopper
60: Film separation unit 61: Rail
62: moving part 63:
70: Film receiving portion 71: Removing film
72:
Claims (10)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테이프(20)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30);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를 회수하는 테이프 회수부(40);
상기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테이프 회수부 사이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되, 레일(6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고 수직승하강이 가능하게 결합된 필름분리유닛(60); 및
상기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필름분리유닛 사이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테이프의 여분의 길이가 확보되도록 하는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분리유닛(6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 하부에 고정설치된 레일(61)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부(62); 및 상기 이동부(62)의 하부에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압착부(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장치.A support frame (10);
A tape supply unit 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0 and supplying the tape 20;
A tape collecting part (4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frame for collecting the tape;
A film separating unit (6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between the tape supply unit and the tape collecting unit, the film separating unit (60) being slidable along the rail (6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vertically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And a tape length adjusting unit (50)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between the tape supplying unit and the film separating unit to secure an extra length of the tape,
The film separating unit (60)
A moving part 62 coupled to the rail 61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frame 1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pressing part (63)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art (62) so as to move up and down.
상기 테이프 공급부(30)와 상기 테이프 회수부(40) 사이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어 설치되되, 상기 테이프의 방향전환과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고정롤러(35a~35j); 및 상기 테이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이동롤러(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A plurality of fixing rollers (35a to 35j) arranged in the support frame between the tape supply part (30) and the tape recovery part (40) and guiding the direction change and movement of the tape; And a moving roller (36) for holding the tension of the tape.
상기 필름분리유닛이 제거필름의 모서리를 벗겨내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하면서 수직상승함과 동시에 장력이 유지되도록 수직하강하였다가 수직상승하는 방식으로 승하강운동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oving roller
Wherein the film separating unit vertically moves up from the right to the left while peeling off the edges of the removal film, and vertically moves upwardly and downwardly in such a manner that the tension is maintained.
상기 테이프 공급부(30)와 테이프 회수부(40), 테이프 길이조절유닛(50)과 필름분리유닛(60)이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하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수직승하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frame (10)
The tape feeding unit 30, the tape collecting unit 40,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50, and the film separating unit 60 are disposed and vertically raised and lowered by a vertical driving unit. And a film separator.
상기 테이프 공급부(30)는 공급모터와 공급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테이프 회수부(40)는 회수모터와 회수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pe supply unit 30 includes a supply motor and a supply reel,
Wherein the tape recovery unit (40) comprises a recovery motor and a recovery reel.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된 테이프 길이조절부 지지대(51a)에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하강하여 테이프를 하방향으로 늘어지도록 하는 테이프 길이조절부(51); 및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부 지지대(51a)의 우측 인접된 위치에 고정설치된 스토퍼지지대(53a)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부와 연동되되 수직하강하는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부에 의해 테이프가 하방향으로 늘어져 여분의 길이가 확보되도록 고정롤러(35d)와 맞물려 테이프를 순간 정지시키는 스토퍼(53);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 길이조절부(51)는 2개의 고정롤러(35c, 35d)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스토퍼는 상기 고정롤러(35d)와 수직선상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50)
A tape length adjuster 51 coupled to the tape length adjuster support 51a fixed to the support frame 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o be vertically lowered to cause the tape to be pulled downward; And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is coupled to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so that the tape can be vertically moved on a stopper support 53a fix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support 51a. And a stopper 53 for momentarily stopping the tape by engaging with the fixing roller 35d so as to secure an extra length by being stretch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tape length adjusting unit 51 is disposed between the two fixing rollers 35c and 35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topper is disposed on the vertical line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roller 35d / RTI >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테이프(20)는 고정롤러(35a)와 고정롤러(35b)를 거쳐 가이드되는 방향이 전환되며, 고정롤러(35c), 고정롤러(35d), 고정롤러(35e) 상부를 순차적으로 거치되도록 가이드된 후, 상기 필름분리유닛의 압착부의 하단부를 거쳐 보조롤러(35k)를 거친 다음 고정롤러(35f)에서 방향전환되어 고정롤러(35g)를 거친 다음 고정롤러(35h)에서 방향전환되고, 계속해서 고정롤러(35i), 이동롤러(36), 보조롤러(35j)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상기 테이프 회수부(40)로 가이드되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tape 20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unit is switched in the direction of being guided by the fixing roller 35a and the fixing roller 35b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roller 35c, the fixing roller 35d, The film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roller 35g by the fixing roller 35f and then the fixing roller 35g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roller 35g. And is sequentially guided by the fixing roller 35i, the moving roller 36, and the auxiliary roller 35j, and then guided to the tape collecting portion 40 and recovered.
제거필름(71)이 부착된 기본필름(72)이 탑재된 필름받침부(70)로부터 상기 제거필름을 탈착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탈착장치의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필름받침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탈착장치.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film desorption apparatus
The base film 72 with the removal film 71 is mounted thereon so that the removal film can be removed and removed from the film receiving section 70. The base film 72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fram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ilm receiving portion (70) is provid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101024A KR101507829B1 (en) | 2014-08-06 | 2014-08-06 | Demounting Device of Film and System with this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101024A KR101507829B1 (en) | 2014-08-06 | 2014-08-06 | Demounting Device of Film and System with this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07829B1 true KR101507829B1 (en) | 2015-04-07 |
Family
ID=530322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401010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7829B1 (en) | 2014-08-06 | 2014-08-06 | Demounting Device of Film and System with this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0782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548528A (en) * | 2021-08-24 | 2021-10-26 | 北京卫蓝新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ulti-layer composite strip unwinding equipment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26124A (en) | 2001-01-31 | 2002-08-14 | Homei Sangyo Kk | Automatic sticking device for double-faced tape |
| JP2007043047A (en) | 2005-03-31 | 2007-02-15 | Nitto Denko Corp | Protective tape peel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5061324B2 (en) * | 2007-11-13 | 2012-10-31 | 株式会社タカトリ | Wafer protective tape peeling method and apparatus |
-
2014
- 2014-08-06 KR KR20140101024A patent/KR10150782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26124A (en) | 2001-01-31 | 2002-08-14 | Homei Sangyo Kk | Automatic sticking device for double-faced tape |
| JP2007043047A (en) | 2005-03-31 | 2007-02-15 | Nitto Denko Corp | Protective tape peel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5061324B2 (en) * | 2007-11-13 | 2012-10-31 | 株式会社タカトリ | Wafer protective tape peeling method and apparatu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548528A (en) * | 2021-08-24 | 2021-10-26 | 北京卫蓝新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ulti-layer composite strip unwind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61541B1 (en) | Protective sheet separator of polarizing film | |
| US8833423B2 (en) | Film attachment apparatus and attachment method | |
| CN102811933B (en) | Plastic film peeling device | |
| CN102948021A (en) | Tape adhesion device and tape adhesion method | |
| KR20080087538A (en) | Polarizing film attachment device | |
| CN101188906A (en) | Adhesive film cutting device and method, and adhesive film attaching device and method | |
| KR20160135073A (en) | Conductive tape attachment apparatus and attaching using the same | |
| KR101557822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film | |
| JP2016164584A (en) | Acf sticking method and acf sticking device | |
| JP2013145872A (en) | Film peeling system and method for dfsr | |
| JP2007302398A (en) | Joining sheet affixing device and method | |
| TWI676586B (en) | Film member bonding device and method | |
| KR102432335B1 (en) | System for attaching polorizing film to panel | |
| KR101320773B1 (en) | Peeling system for dfsr | |
| KR101507829B1 (en) | Demounting Device of Film and System with this apparatus | |
| KR20160135071A (en) | Conductive tape attachment apparatus and attaching using the same | |
| KR101396221B1 (en) | Apparatus for bonding printed circuit on fpd panel | |
| KR20120100412A (en) | Adhering device for tape of printed circuit board | |
| KR102088799B1 (en) | A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rotecting thin film | |
| KR102310537B1 (en) | Apparatus for peel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fabricating di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
| JP2016164904A (en) | ACF sticking method and ACF sticking apparatus | |
| JP6393903B2 (en) | ACF sticking method and ACF sticking apparatus | |
| KR101365077B1 (en) | Apparatus for bonding printed circuit on fpd panel | |
| KR101467239B1 (en) | Tape attaching apparatus | |
| CN101393331B (en) | Press table structure and crimp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3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