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767B1 - Food waste disposer - Google Patents
Food waste dispo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8767B1 KR101508767B1 KR20130082393A KR20130082393A KR101508767B1 KR 101508767 B1 KR101508767 B1 KR 101508767B1 KR 20130082393 A KR20130082393 A KR 20130082393A KR 20130082393 A KR20130082393 A KR 20130082393A KR 101508767 B1 KR101508767 B1 KR 101508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pulverizing
- food
- opening
- crush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7—F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걸러내는 여과통; 상기 여과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분쇄스크류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시키는 분쇄통; 및 상기 분쇄통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는 블로워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pulverizing cylind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x for introducing food wastes filtered with moisture and pulverizing and discharging food wastes as a pulverizing screw; And a blower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rusher to forcibly evacuate the offensive odor to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제거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finely pulverizing food waste from which water has been removed to reduce its volume.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나, 대부분 물기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는 쓰레기 수량을 증대시키고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므로, 근래에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서 음식물 처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Food waste is emitted daily from homes or restaurants, but most of the water is filtered and discarded. This increases the amount of waste and generates odors, which pollute the surrounding air.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food waste in general households and restaurants. Food processor is widely used as one of these efforts.
수분은 음식물 쓰레기 부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음식물 쓰레기양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이 효율적인 바, 대부분의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을 채택한다.
Moisture is a large part of the volume of food waste. It is efficient to reduce the volume of food waste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and most food waste treatment machines adopt devices for removing moisture from food waste.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중 건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처리기 내에 음식물 건조가 가능한 반응로를 위치시키고, 음식물 쓰레기가 1차적으로 반응로에 투입되도록 하며, 반응로가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수분을 별도로 분리시켜 낸 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방식이다.In the dry type food garbage disposer of the food garbage disposer, a reaction furnace capable of drying food is placed in the food disposer, food waste is firstly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furnace, and the reactor is heated by the heater to separate water separately And then dried food waste is discharged.
또, 미생물 처리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미생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습한 가루 형태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방식이다.
In addition, the microorganism-treated food garbage disposer is a method of disposing food waste with microorganisms and discharging food waste treated in the form of wet powder.
하지만, 이와 같은 건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상태 이상으로는 그 부피를 더 줄일 수 없고,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비될 뿐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데 소비되는 에너지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dry typ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an not reduce the volume of the food waste more than the dry state, and consumes a lot of time and energy to dry the food waste, and the energy consumed to dry the food was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inferior.
그리고, 미생물 처리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미생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습한 가루 형태로 분해하여 처리함으로써 잔여물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반면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소비되어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microorganism-treated food garbage disposer is a microorganism that decomposes food waste into a wet powder form to reduce the volume of residues, while consuming too much time to treat food waste, which is inefficient.
또, 건조방식의 처리기나 미생물 처리방식의 처리기 모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투입구의 개폐시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아주 치명적인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In addition, both of the dry type processor and the microorganism disposal type processor have a very fatal problem in that a bad smell is generated when the inlet is opened and closed in the course of processing the food wast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1차로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최종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음식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food wast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garbage dispos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amount of food waste, promptly treating food waste, and capable of forcibly exhausting odors generated in a food processing process.
상술한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걸러내는 여과통; 상기 여과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분쇄스크류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시키는 분쇄통; 및 상기 분쇄통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는 블로워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chieved by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filter bag into which food waste is introduced and which filters moisture from food waste; A pulverizing cylind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x for introducing food wastes filtered with moisture and pulverizing and discharging food wastes as a pulverizing screw; And a blower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rusher to forcibly evacuate the offensive odor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여과통에는 그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로더가 더 포함되고, 상기 여과통은 분쇄통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분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통에는 배수공을 통해 배수된 수분이 유입되는 배수통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ltration tube further includes a rotary loader for rotating the food waste charged therein. The filtration tube is slop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ulverizing vessel, and a drain for discharging moisture of the food wast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drain port through which food waste filtered by moisture is discharged is formed, and a drain pipe into which water drained through a drain hole flows is further included in the filter tank.
또한, 상기 분쇄통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분쇄통의 배출구에서 회전되면서 배출구를 개폐시키되, 상기 개폐부재는 그 일면에 평탄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서 연장되어 완만하게 돌출되는 곡면부로 형성되어, 상기 분쇄통의 배출구에서 회전되면서 시간차를 두고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nding barrel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at an outlet of the grinding barrel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gently protrudes so that the discharge por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time difference while being rotated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pulverizing container.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1차로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스크류로서 잘게 분쇄한 후 배출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최종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waste is firstly removed from the charged food garbage, and the food garbage that has been moisture-removed is finely pulverized as a pulverizing screw and discharg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volume of the food garbage can be minimize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 중에 발생되는 악취를 블로워로서 강제 배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dor generat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of food waste can be forcedly discharged as a blow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스를 제외한 처리기를 보인 구성도로서, 도 2a는 결합도이고, 도 2b는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기의 여과통과 이의 구동수단을 보인 도면으로, 도 3a는 결합도이고, 도 3b는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기의 분쇄통과 이의 구동수단을 보인 도면으로, 도 4a는 결합도이고, 도 4b는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통의 배출구에 구비되는 개폐부재와 이의 구동수단을 보인 도면으로, 도 5a는 결합도이고, 도 5b는 분리도이며, 도 5c는 개폐부재의 작동상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or except for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2A is a coupling diagram and FIG. 2B is a separation diagram.
FIG. 3 is a view showing a filter box and a driving means of the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3A is a coupling diagram and FIG. 3B is a separation diagram.
FIG. 4 is a view showing driving means for pulverizing and passing the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4A is a coupling diagram and FIG. 4B is a separation diagram.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the driving mean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pulveriz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coupling diagram, FIG. 5B is a separation diagram, and FIG. 5C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케이스(200)와, 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적으로 처리하는 처리기(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x-
상기 케이스(200)는 처리기(100)를 덮어 가리는 박스형상의 케이스로서, 그 상부에는 후술될 처리기(100)에 구성되는 커버(160)의 투입구(161)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161)는 싱크대(미도시)의 배수구(싱크볼)와 신축가능한 호스 등으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The
상기 처리기(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베이스(110) 위에 설치되는 분쇄통(120)과, 분쇄통(120) 위에 설치되는 여과통(140) 및 블로워유닛(130)을 포함한다.2A and 2B, the
상기 베이스(110)는 그 하부 일측에 수납통(112)이 슬라이딩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통(112)의 상부에는 후술될 분쇄통(120)이 배출구(125)가 위치되어 분쇄통(120)에서 잘게 분쇄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납 보관된다.A
따라서, 상기 베이스(110)에서 수납통(112)만을 인출시켜 최종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게 되므로 편리하다.Therefore, it is convenient that only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는 분쇄통(12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브라켓(111)들이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된다.
Various types of
상기 분쇄통(120)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빈 함체로서 베이스(110) 위에 다수의 브라켓(111)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2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잘게 분쇄된 최종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pulverizing
그리고, 상기 분쇄통(120)의 내부에는 분쇄통(120) 내에서 회전되면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는 분쇄스크류(122)가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분쇄스크류를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분쇄날이 상호 교차하도록 두 개의 분쇄스크류를 한쌍으로 설치하여 분쇄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A pulverizing
상기 분쇄스크류(122)는 그 일단부에 종동스프로킷휠(123)이 설치되고, 상기 종동스프로킷휠(123)에는 후술될 제 2 모터(180)가 체인(124)으로 연결되어, 상기 분쇄스크류(122)를 회전시키게 된다.A driven
그리고, 상기 분쇄통(120)의 배출구(125)에는 개폐부재(12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126)는 배출구(125)에서 회전되면서 배출구(125)를 개폐시킨다.An opening and
이와 같은 개폐부재(126)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와 같이 그 일면에 평탄한 평면부(126b)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26b)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완만하게 돌출되는 곡면부(126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26)가 분쇄통(120)의 배출구(125)에서 회전되면서 시간차를 두고 배출구(125)를 개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 개폐부재(126)의 평면부(126b)나 곡면부(126a)가 배출구(125)의 전면으로 위치되면 배출구(125)는 폐쇄되고, 이 상태에서 개폐부재(126)가 회전되면 배출구(125)가 서서히 개방되다가 개폐부재(126)의 평면부(126b)가 배출구(125) 상에 수직하게 위치되면 배출구(125)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126)가 분쇄통(120)의 배출구(125)를 한번에 모두 개방시키지 않고 점차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분쇄통(120) 내에서 분쇄스크류(122)에 의해 분쇄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최종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대한 작게 만들 수 있다.5A to 5C, a
이러한 개폐부재(126)는 분쇄통(1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 3 모터(127)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 3 모터(127)와 개폐부재(126)는 기어방식에 의한 감속비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and
그리고, 상기 블로워유닛(130)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통(120)의 가장 높은 곳에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즉, 상기 블로워유닛(130)은, 분쇄통(120)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한편 배기구(132)를 갖는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쇄통(120) 내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해 내는 블로워팬(134)과, 상기 블로워팬(134)과 연결되어 블로워팬(134)을 회전 구동시키는 블로워모터(133)를 포함한다.That is, the
상기 블로워팬(134)은 시로코 팬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31)의 배기구(132)에는 별도의 신축가능한 호스가 연결되어 분쇄통(120) 내부의 악취를 실외로 강제 배기시킬 수 있다.
The
상기 여과통(14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통(12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상기 여과통(140)은 원통으로서, 그 하부의 바닥면과 외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수공(141)이 형성되고, 반대편 측 상부의 바닥면에는 수분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4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여과통(140)의 배출구(142)는 분쇄통(120)의 투입구(121)와 연통되는 위치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여과통(140)의 내부에는 여과통(14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로더(143)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로더(143)는 그 중심부에 연결되어 여과통(140)의 외측에 위치되는 종동기어(144)가 설치되며, 상기 종동기어(144)는 후술될 제 1 모터(170)와 연결되어 여과통(140) 내에서 회전로더(143)를 회전시키게 된다.A
한편, 상기 여과통(140)의 외측 하부에는 여과통(140)의 배수공(141)을 통해 배수된 수분(물)이 유입되는 배수통(150)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통(150)의 하부에는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15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수관(151)에는 별도의 신축가능한 호스가 연결되어 배수관(151)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직접 하수구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그리고, 상기 여과통(140)의 상면에는 여과통(140)을 비롯하여 배수통(150)까지 덮어 가릴 수 있는 커버(16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16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커버(160)의 상면에는 전술한 케이스(200)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투입구(16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60)의 투입구(161)는 여과통(140)의 배수공(141) 부위와 동일선상으로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싱크대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여과통(140)의 배수공(141) 부위로 투입함으로써, 투입 즉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 즉 오수가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수분의 제거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The
상기 여과통(140)의 하부 일측에는 회전로더(143), 분쇄스크류(122), 블로워팬(134)을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구성된다.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상기 구동부는, 회전로더(143)를 구동시키는 제 1 모터(170)와, 분쇄스크류(122)를 구동시키는 제 2 모터(180)와, 블로워팬(134)을 구동시키는 블로워모터(133)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상기 제 1 모터(170)는 그 선단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171)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171)는 감속기어(172)를 매개로 하여 회전로더(143)의 종동기어(144)와 감속비를 갖도록 연결된다.The
그리고, 제 2 모터(180)는 그 선단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휠(181)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휠(181)은 체인(124)을 매개로 하여 분쇄스크류(122)의 종동스프로킷휠(123)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종동스프로킷휠(123)은 구동스프로킷휠(181)보다 큰 직경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양 스프로킷휠(181)(123) 간에 감속비가 작용하도록 구성된다.A driving
그리고, 상기 블로워모터(133) 역시도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126)에 기어방식에 의한 감속비를 갖도록 연결되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케이스(200)에 연결된 처리기(100)의 투입구(161)를 통해 여과통(140)의 배수공(141) 부위로 투입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은 여과통(140)의 배수공(141)을 통해 배수통(150)으로 배수되며, 배수통(150)으로 유입된 물은 배수관(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First, the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 of the sink is introduced into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여과통(140)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로더(143)에 의해 여과통(140)의 내측 상부로 이동되어 여과통(140)의 배출구(142)와 분쇄통(120)의 투입구(121)를 통해 분쇄통(120) 내부로 투입된다.The food waste having the moisture removed as described above is moved to the upper inside of the
이와 같이 분쇄통(120) 내로 투입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감속 회전되는 분쇄스크류(122)에 의해서 잘게 분쇄되면서 교반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통(120)의 배출구(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dried food waste put into the
이때, 분쇄통(120)의 배출구(125)에는 개폐부재(126)가 회전되면서 배출구(125)를 개폐시키게 되는데, 도 5c의 좌측 도면과 같이 개폐부재(126)의 곡면부(126a)나 평면부(126b)가 배출구(125)에 전면으로 위치(즉,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되면 배출구(125)는 폐쇄되고, 이 상태에서 도 5c의 우측 도면과 같이 개폐부재(126)가 더 회전되면 배출구(125)가 서서히 개방되다가 개폐부재(126)의 평면부(126b)가 배출구(125) 상에 수직하게 위치되면 배출구(125)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개폐부재(126)에 의해서 분쇄통(120)의 배출구(125)가 한번에 개방되지 않고 점차적으로 개방됨으로써 분쇄스크류(122)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그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로 분쇄통(120)으로부터 배출된다.Therefore, the
이와 같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베이스(110)에 슬라이딩 결합된 수납통(112)으로 배출되어 외부로 버려진다.The food waste discharged in this manner is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한편, 상기와 같이 처리기(100)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분쇄통(120)에 연통되게 설치된 블로워유닛(130)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기되어 실내에서의 악취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lodor generated in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처리기 110 : 베이스
111 : 브라켓 112 : 수납통
120 : 분쇄통 121 : 투입구
122 : 분쇄스크류 123 : 종동스프로킷휠
124 : 체인 125 : 배출구
126 : 개폐부재 126a : 곡면부
126b : 평면부 127 : 제 3 모터
130 : 블로워유닛 131 : 하우징
132 : 배기구 133 : 블로워모터
134 : 블로워팬 140 : 여과통
141 : 배수공 142 : 배출구
143 : 회전로더 144 : 종동기어
150 : 배수통 151 : 배수관
160 : 커버 161 : 투입구
170 : 제 1 모터 171 : 구동기어
172 : 감속기어 180 : 제 2 모터
181 : 구동스프로킷휠 200 : 케이스100: processor 110: base
111: Bracket 112: Receiving box
120: Grinding barrel 121: Inlet port
122: pulverizing screw 123: driven sprocket wheel
124: chain 125: outlet
126: opening and closing
126b: plane portion 127: third motor
130: blower unit 131: housing
132: exhaust port 133: blower motor
134: blower fan 140: filter bag
141: Drain 142: Outlet
143: rotary loader 144: driven gear
150: drain pipe 151: drain pipe
160: Cover 161:
170: first motor 171: drive gear
172: Reduction gear 180: Second motor
181: Driving sprocket wheel 200: Case
Claims (6)
상기 분쇄통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분쇄통의 배출구에서 회전되면서 배출구를 개폐시키되, 상기 개폐부재는 그 일면에 평탄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서 연장되어 완만하게 돌출되는 곡면부로 형성되어, 상기 분쇄통의 배출구에서 회전되면서 시간차를 두고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 filter bag into which food waste is put and which removes moisture from food waste; A pulverizing cylind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x for introducing food wastes filtered with moisture and pulverizing and discharging food wastes as a pulverizing screw; And a blower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crusher to forcibly evacuate the odor to the outside,
The crusher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 clos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food waste is discharged,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formed by a flat surface portion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lat surface portion and gently protruding from the outlet surface of the crusher, A garbage disposal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an outlet with a time difference.
상기 여과통에는 그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로더가 더 포함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bag further includes a rotary loader for rotating the food waste injected into the filter bag.
상기 여과통은 분쇄통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분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lter box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ulverizing vessel and is provided at its lower portion with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moisture of the food garbage and an upper portion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food garbage.
상기 여과통에는 배수공을 통해 배수된 수분이 유입되는 배수통이 더 포함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lter bag further includes a drain pipe into which water drained through a drain hole flow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82393A KR101508767B1 (en) | 2013-07-12 | 2013-07-12 | Food waste dispo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82393A KR101508767B1 (en) | 2013-07-12 | 2013-07-12 | Food waste dispos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7845A KR20150007845A (en) | 2015-01-21 |
| KR101508767B1 true KR101508767B1 (en) | 2015-04-07 |
Family
ID=5257066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300823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8767B1 (en) | 2013-07-12 | 2013-07-12 | Food waste dispos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087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2186760B2 (en) | 2021-07-05 | 2025-0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od waste disposer |
| WO2023282443A1 (en) * | 2021-07-05 | 2023-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Food treatment apparatus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95153A (en) * | 2009-02-20 | 2010-08-3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Transfer unit having rotating screw and garbage disposing apparatus |
| KR20100109301A (en) * | 2009-03-31 | 2010-10-08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Waste disposing apparatus integrating exhaustion pass and drain pass |
| KR20110031805A (en) * | 2009-09-21 | 2011-03-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Transfer unit for food processor and transfer control method of food processor |
-
2013
- 2013-07-12 KR KR20130082393A patent/KR10150876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95153A (en) * | 2009-02-20 | 2010-08-3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Transfer unit having rotating screw and garbage disposing apparatus |
| KR20100109301A (en) * | 2009-03-31 | 2010-10-08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Waste disposing apparatus integrating exhaustion pass and drain pass |
| KR20110031805A (en) * | 2009-09-21 | 2011-03-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Transfer unit for food processor and transfer control method of food process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7845A (en) | 2015-01-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732941B1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 JPH09262574A (en) | Garbage treatment apparatus | |
| KR20130024351A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 KR20140100823A (en) | Screw pressing type's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 KR20100107886A (en) | The drying apparatus for food garbage | |
| KR101508767B1 (en) | Food waste disposer | |
| KR20110118315A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 KR101321340B1 (en) | Food wastes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the multiple filters against vapor and smell, and the treatment methods by using it | |
| KR100719839B1 (en) | Screw food waste treatment device using microwave | |
| KR100748853B1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and Disposal Method | |
| KR200410006Y1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 KR20140134462A (en) | Food waste disposers | |
| KR101178784B1 (en) | Food garbage disposer for sink | |
| KR100744971B1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 JP5269514B2 (en) | Deodorization system for peripheral processing of eyeglass lenses | |
| KR101543444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leftover fo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2001096266A (en) | Machine for treating garbage | |
| JP2002282824A (en) | Garbage disposal equipment | |
| KR100745630B1 (en) | Drying room of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 KR200356431Y1 (en) | Garbage disposer of sink | |
| KR100862756B1 (en) | Horizontal grinding feed dehydration small food residue processor | |
| KR20090122579A (en) | Food waste disposal method and device | |
| KR200426854Y1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 CN216039082U (en) | A kind of mining wastewater layer treatment device | |
| KR19980055684U (en) | Dry Structure of Grain Wash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3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32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